KR101218347B1 -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노변장치 - Google Patents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노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347B1
KR101218347B1 KR1020110016664A KR20110016664A KR101218347B1 KR 101218347 B1 KR101218347 B1 KR 101218347B1 KR 1020110016664 A KR1020110016664 A KR 1020110016664A KR 20110016664 A KR20110016664 A KR 20110016664A KR 101218347 B1 KR101218347 B1 KR 101218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address
mpdu
roadside device
road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222A (ko
Inventor
이혁준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6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347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45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 and backbone network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은 차량에 장착된 차량탑재장치(On-Board Unit)에서 핸드오버를 결정하면,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통신 중 WAVE/IEEE 802.11p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현재의 노변장치(Road-Side Unit)으로 결합 해제(disassocia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합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현재의 노변장치는 상기 차량탑재장치로 전송할 MPDU(MAC Protocol Data Unit)를 상기 차량탑재장치가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다음 노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MPDU를 수신하면, 상기 다음 노변장치는 백본 네트워크로 상기 차량탑재장치에 대한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노변장치가 자신임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노변장치{A method for handover processing in th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communication, therefor a road side unit}
본 발명은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짧은 핸드오버 지연시간과 높은 처리량을 갖는 ITS 통신을 위한 IEEE 802.11p 기반의 Seamless 핸드오버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기존 IEEE 802.11의 기반의 무선랜 환경에서 핸드오버 동작은 Mobile Station(이하 "MS"라 약칭함)이 Access Point(이하 "AP"라 약칭함)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가 일정한 문턱값 보다 낮게 감소할 때 시작된다. AP의 전파범위의 경계에 가깝게 되면 물리 링크의 질이 급격히 저하되어 안정적인 패킷의 수신이 보장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MS는 다른 AP의 채널로 변경하기 위해 모든 가용한 채널을 이용하여 주변 AP들로 프로브 메시지를 전송하고 비콘(Beacon) 메시지를 받는 등의 스캐닝 동작을 시작한다. 모든 채널을 스캐닝 후에 MS는 가장 높은 신호 세기를 가지는 AP를 선택하여, reassociation/reauthentication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 IEEE 802.11p 기반의 시스템에서는 노변장치(Road Side Unit)가 Control Channel(CCH)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WAVE 비콘을 전송하여 채널 정보 등을 알려주기 때문에 차량탑재장치(On Board Unit)가 스캐닝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reassociation/reauthentication 과정 또한 생략 되었기 때문에 차량탑재장치(OBU)가 새로운 노변장치(RSU)에 접속한 이후 자신의 정보를 노변장치(RSU)에게 알려줄 수 있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가장 직관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은 IEEE 802.11과 유사하게 reassociation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접근 방법은 아래 언급하는 몇 가지 문제를 가진다. 첫 번째, 현재 IEEE 802.11p의 표준에는 reassociation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reassociation 메시지를 현재의 표준에 포함하는 것은 IEEE 802.11p의 고속링크 접속의 장점을 훼손하게 된다.
두 번째, reassociation 메시지는 비 공공안전 메시지에 해당하여 유니캐스트로 전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CCH가 아닌 Service Channel(SCH)로 전송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CCH에서 새로운 RSU로부터 Wave Service Announcement(WSA)를 수신하고 그 다음 SCH에 reassociation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므로 최소한 50ms의 핸드오버 지연시간이 추가 된다. 또한 이때 만약 차량탑재장치(OBU)가 핸드오버 이후에 RSU로부터 전송되는 첫 번째 WSA를 수신하지 못한다면 150ms 이상의 핸드오버 지연시간이 발생하게 된다.
세 번째, reassociation 메시지는 새로운 노변장치(RSU)로 핸드오버하는 차량탑재장치(OBU)가 WSA를 받은 후 그 다음 SCH에 전송하게 되므로 새로운 노변장치(RSU)로 핸드오버 하는 모든 차량탑재장치(OBU)가 동시에 전송을 수행 하게 되므로 충돌로 인한 손실의 확률이 높다.
네 번째, 기존 노변장치(RSU)는 차량탑재장치(OBU)가 자신의 전송범위를 벗어난 것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계속해서 재전송을 시도하며 대역폭을 낭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탑재장치(On-Board Unit)과 노변에 설치되는 노변장치(Road-Side Unit)간의 빠른 링크 연결과 고속전송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 ITS 환경의 새로운 통신 기술인 WAVE/IEEE 802.11p를 기반으로, 차량탑재장치가 기존 노변장치와 연결을 해제하기 이전에 기존 노변장치에게 핸드오버를 할 것을 알려주어 자신에게 전송되는 데이터를 새로운 노변장치로 전송하는 방법으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여 seamless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노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은 차량에 장착된 차량탑재장치(On-Board Unit)에서 핸드오버를 결정하면,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현재의 노변장치(Road-Side Unit)으로 결합 해제(disassocia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합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현재의 노변장치는 상기 차량탑재장치로 전송할 MPDU(MAC Protocol Data Unit)를 상기 차량탑재장치가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다음 노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MPDU를 수신하면, 상기 다음 노변장치는 백본 네트워크로 상기 차량탑재장치에 대한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노변장치가 자신임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ITS 통신은 WAVE/IEEE 802.11p 기반의 통신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음 노변장치로 전송되는 상기 MPDU의 MAC 헤더의 주소는 FromDS가 1로 설정되고, Address 1이 상기 차량탑재장치의 주소로 설정되고, Address 2는 상기 다음 노변장치의 주소로 설정되고, Address 3은 상기 현재의 노변장치의 주소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MPDU를 수신하면, 상기 다음 노변장치는 상기 MAC 헤더의 주소 필드를 참조하여, 상기 MPDU가 현재 노변장치로부터 전달되었으며, 상기 차량탑재장치에게 전송되어야할 데이터임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음 노변장치는 Null 데이터 패킷을 상기 백본 네트워크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차량탑재장치에 대한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노변장치가 자신임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Null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백본 네트워크는 상기 현재의 노변장치로 전송하던 상기 MPDU의 주소를 상기 다음 노변장치의 주소로 변경하고, 상기 다음 노변장치로 상기 MPDU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은, 고속도로 상에 설치된 노변장치들과 상기 차량탑재장치 사이에서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을 위한 노변장치는 차량에 장착된 차량탑재장치(On-Board Unit)로부터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통신을 통해, 결합 해제(disassociation) 메시지를 무선에 의해 수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부; 상기 차량탑재장치로 전송할 MPDU(MAC Protocol Data Unit)를 제공하는 백본 네트워크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유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결합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상기 차량탑재장치로 전송할 상기 MPDU를 상기 차량탑재장치가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다음 노변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핸드오버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는 상기 이전 노변장치로부터 상기 MPDU를 수신하면, 백본 네트워크로 상기 차량탑재장치에 대한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노변장치가 자신임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ITS 통신은 WAVE/IEEE 802.11p 기반의 통신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음 노변장치로 전송되는 상기 MPDU의 MAC 헤더의 주소는 FromDS가 1로 설정되고, Address 1이 상기 차량탑재장치의 주소로 설정되고, Address 2는 상기 다음 노변장치의 주소로 설정되고, Address 3은 상기 현재의 노변장치의 주소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는, 상기 MPDU를 수신하면, 상기 MAC 헤더의 주소 필드를 참조하여, 상기 MPDU가 상기 이전 노변장치로부터 전달되었으며, 상기 차량탑재장치에게 전송되어야할 데이터임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는, Null 데이터 패킷을 상기 백본 네트워크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차량탑재장치에 대한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노변장치가 자신임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Null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상기 백본 네트워크는 상기 현재의 노변장치로 전송하던 상기 MPDU의 주소를 상기 다음 노변장치의 주소로 변경하고, 상기 다음 노변장치로 상기 MPDU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을 위한 노변장치는, 고속도로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량탑재장치와의 사이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TS 통신을 위한WAVE/IEEE 802.11p 기반에서 보다 짧은 핸드오버 지연시간과 높은 처리량 및 전송 성공률을 가지는 Seamless 핸드오버를 제공함으로써, 도로상의 CCTV 비디오 스트립 영상이나 그 밖의 인터넷으로부터의 멀티미디어 정보에 대한 서비스를 끊김 없이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요소 및 네트워크 환경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핸드오버 수행을 위한 각 구성요소 사이의 순차적인 데이터 교환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을 위한 노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 및 이를 위한 노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가지고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요소 및 네트워크 환경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10)에 연결된 라우터(20)과 유선 랜 망(Wired LAN network)에 의해 연결된 L2 스위치(30), 그리고, 차량에 장착된 차량탑재장치(OBU, 60), 상기 차량탑재장치(OBU, 60)와 현재 통신을 수행하는 현재 노변장치(RSU, 40)과,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다음 노변장치(RSU, 5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먼저, 차량에 장착된 차량탑재장치에서 핸드오버를 결정하면, ITS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현재의 노변장치으로 결합 해제(disassoci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제100 단계). 상기 ITS 통신은 WAVE/IEEE 802.11p 기반의 통신에 해당한다. 차량탑재장치(60)에서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시기는 현재 노변장치(40)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가 일정한 문턱값 보다 낮게 감소할 때 시작된다. 이에 따라, 온보드 유닛(60)에서 Service Channel(이하 "SCH"라 약칭함)을 이용하여 현재 노변장치(40)로 결합 해제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100 단계 후에, 상기 결합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현재의 노변장치는 상기 차량탑재장치로 전송할 MPDU(MAC Protocol Data Unit)를 상기 차량탑재장치가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다음 노변장치로 전송한다(제102 단계). 결합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현재 노변장치(40)는 MPDU에 대해 차량탑재장치(60)로의 전송을 중단하고, 해당 MPDU를 차량탑재장치(60)가 이동할 새로운 노변장치 즉, 다음 노변장치(50)로 전송한다.
이때, 다음 노변장치(50)로 전송되는 상기 MPDU의 MAC 헤더의 주소는 FromDS가 1로 설정되고, Address 1이 상기 차량탑재장치(60)의 주소로 설정되고, Address 2는 상기 다음 노변장치(50)의 주소(BSSID)로 설정되고, Address 3은 상기 현재 노변장치(40)의 주소로 설정될 수 있다.
제102 단계 후에, 상기 MPDU를 수신하면, 상기 다음 노변장치는 백본 네트워크로 상기 차량탑재장치에 대한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노변장치가 자신임을 알린다(제104 단계).
다음 노변장치(50)는 현재 노변장치(40)로부터 MPDU를 전송받으면, 상기 MPDU의 MAC 헤더의 주소 필드를 분석한다. 이에 따라, 다음 노변장치(50)는 MPDU의 MAC 헤더의 주소 필드참조하여, 상기 MPDU가 현재 노변장치(40)으로부터 전달되었으며, 상기 MPDU에 대해 차량탑재장치(60)에게 전송해야하는 데이터임을 인식한다.
그 후, 상기 다음 노변장치(50)는 Null 데이터 패킷을 L2 스위치(30) 및 라우터(20)를 통해 백본 네트워크로 전송(UNICAST)한다. 이러한 Null 데이터 패킷을 백본 네트워크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차량탑재장치(60)에 대한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노변장치가 자신(즉, 다음 노변장치(50))임을 알린다.
제104 단계 후에, 상기 Null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상기 백본 네트워크는 MPDU를 상기 다음 노변장치로 전송한다(제106 단계). 상기 다음 노변장치(50)로부터 상기 Null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백본 네트워크는 MPDU를 전송하기 위한 주소에 대해, 현재 노변장치(40)의 주소를 상기 다음 노변장치(50)의 주소로 변경한다. 그후, MPDU를 상기 다음 노변장치(50)로 전송한다.
도 3은 도 2에서의 핸드오버 수행을 위한 각 구성요소 사이의 순차적인 데이터 교환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현재 노변장치(old RSU)로부터 MPDU를 수신하고 있다가, 차량탑재장치(OBU)가 핸드오버를 결정하면, SCH을 이용하여 현재 노변장치(old RSU)로 결합 해제 메시지를 전송한다. 결합 해제 메시지를 받은 현재 노변장치(old RSU)는 MPDU를 차량탑재장치(OBU)로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고, MPDU를 차량탑재장치(OBU)가 이동할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다음 노변장치(new RSU)로 전송한다.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다음 노변장치(new RSU)는 L2 스위치 및 라우터를 통하여 연결된 백본 네트워크를 향해 Null 데이터 패킷을 전송(unicast)하여, 차량탑재장치(OBU)의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RSU가 자신임을 네트워크에 알린다.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다음 노변장치(new RSU)로부터 Null 데이터 패킷을 받은 백본 네트워크는 현재 노변장치(old RSU)로 전송하던 MPDU의 주소를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다음 노변장치(new RSU)의 주소로 바꾸고, 다음 노변장치(new RSU)로 MPDU를 전송한다. 그 후, 다음 노변장치(new RSU)는 WSA Beacon신호를 주기적으로 차량탑재장치(OBU)로 전송하여 채널 정보를 알려주며, 백본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된 MPDU를 차량탑재장치(OBU)로 전송한다.
한편, 전술한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은 고속도로 상에 설치된 노변장치들과 상기 차량에 장착된 차량탑재장치 사이에서 핸드오버가 수행된다. 고속도로의 가변에 일렬로 늘어선 노변장치들은 그 순서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현재 노변장치와 다음 노변장치의 식별이 명확하다. 따라서, 전술한 핸드오버 실행을 위해, 현재 노변장치와 다음 노변장치 사이의 MPDU 전송을 위한 주소 설정이 가능므로,백본 네트워크가 현재 노변장치에서 다음 노변장치로 MPDU의 전송을 위한 주소 변경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을 위한 노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무선 인터페이스부(200), 핸드오버 제어부(210) 및 유선 인터페이스부(220)로 구성된다.
무선 인터페이스부(200)는 차량에 장착된 차량탑재장치(OBU)으로부터 ITS 통신을 통해, 결합 해제 메시지를 무선에 의해 수신한다. 상기 ITS 통신은 WAVE/IEEE 802.11p 기반의 통신에 해당한다. 차량탑재장치(OBU)에서 Service Channel(SCH)을 통해 결합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면, 현재 노변장치(RSU)의 무선 인터페이스부(200)는 결합 해제 메시지를 무선에 의해 수신한다. 한편, 무선 인터페이스부(200)는 백본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받은 MPDU를 인터페이스큐(202)에 임시 저장하고 있다가 차량탑재장치(OBU)로 무선 전송한다.
유선 인터페이스부(220)는 L2 스위치 및 라우터를 통해 백본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으며, 백본 네트워크로부터 MPDU를 제공받아서 인터페이스큐(222)에 임시 저장하고 있다가 무선 인터페이스부(200)로 전달한다. 한편, 유선 인터페이스부(220)는 핸드오버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Null 데이터 패킷을 백본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핸드오버 제어부(210)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200)에서 상기 결합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면, 차량탑재장치(OBU)로 전송할 MPDU를 차량탑재장치(OBU)가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다음 노변장치(RSU)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백본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되어 유선 인터페이스부(220)의 인터페이스큐(222)에 임시 저장된 MPDU는 차량탑재장치(OBU)로 전송되지 않고, 다음 노변장치(RSU)로 전송된다. 이때, 다음 노변장치(RSU)로 전송되는 상기 MPDU의 MAC 헤더의 주소는 FromDS가 1로 설정되고, Address 1이 상기 차량탑재장치(OBU)의 주소로 설정되고, Address 2는 상기 다음 노변장치(RSU)의 주소(BSSID)로 설정되고, Address 3은 상기 현재 노변장치(RSU)의 주소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핸드오버 제어부(210)는 이전의 노변장치(RSU)로부터 상기 MPDU를 수신하면, 백본 네트워크로 차량탑재장치(OBU)에 대한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노변장치(RSU)가 자신임을 알린다. 이전의 노변장치(RSU)로부터 상기 MPDU가 수신되면, 수신된 MPDU는 유선 인터페이스부(220)의 인터페이스큐(222)에 임시 저장된다. 핸드오버 제어부(210)는 이전 노변장치(RSU)로부터 MPDU를 전송받으면, 상기 MPDU의 MAC 헤더의 주소 필드를 분석한다. 이에 따라, 핸드오버 제어부(210)는 MPDU의 MAC 헤더의 주소 필드참조하여, 상기 MPDU가 이전 노변장치(RSU)로부터 전달되었으며, 상기 MPDU를 차량탑재장치(OBU)에게 전송해야하는 데이터로 인식한다. 그 후, 핸드오버 제어부(210)는 인터페이스큐(222)에 저장된 MPDU를 핸드오버에 따라 차량탑재장치(OBU)로 전송한다.
또한, 핸드오버 제어부(210)는 Null 데이터 패킷을 L2 스위치 및 라우터를 통해 백본 네트워크로 전송(UNICAST)한다. 이러한 Null 데이터 패킷을 백본 네트워크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차량탑재장치(OBU)에 대한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노변장치(RSU)가 자신임을 네트워크에 알린다.
노변장치(RSU)로부터 상기 Null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백본 네트워크는 MPDU를 전송하기 위한 주소에 대해, 현재 노변장치(RSU)의 주소를 Null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 다음 노변장치(RSU)의 주소로 변경한다. 그후, 백본 네트워크는 라우터 및 L2 스위치를 통해 MPDU를 다음 노변장치(RSU)로 전송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은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코드/명령들(instructions)/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명령들/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마그네틱 테이프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 및 이를 위한 노변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무선 인터페이스부
210: 핸드오버 제어부
220: 유선 인터페이스부

Claims (14)

  1. 차량에 장착된 차량탑재장치(On-Board Unit)에서 핸드오버를 결정하면,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통신 중 WAVE/IEEE 802.11p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현재의 노변장치(Road-Side Unit)으로 결합 해제(disassocia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합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현재의 노변장치는 상기 차량탑재장치로 전송할 MPDU(MAC Protocol Data Unit)를 상기 차량탑재장치가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다음 노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MPDU를 수신하면, 상기 다음 노변장치는 백본 네트워크로 상기 차량탑재장치에 대한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노변장치가 자신임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노변장치로 전송되는 상기 MPDU의 MAC 헤더의 주소는 FromDS가 1로 설정되고, Address 1이 상기 차량탑재장치의 주소로 설정되고, Address 2는 상기 다음 노변장치의 주소로 설정되고, Address 3은 상기 현재의 노변장치의 주소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S 통신에서의핸드오버 수행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MPDU를 수신하면, 상기 다음 노변장치는 상기 MAC 헤더의 주소 필드를 참조하여, 상기 MPDU가 현재 노변장치로부터 전달되었으며, 상기 차량탑재장치에게 전송되어야할 데이터임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노변장치는 Null 데이터 패킷을 상기 백본 네트워크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차량탑재장치에 대한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노변장치가 자신임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ull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백본 네트워크는 상기 현재의 노변장치로 전송하던 상기 MPDU의 주소를 상기 다음 노변장치의 주소로 변경하고, 상기 다음 노변장치로 상기 MPDU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은
    고속도로 상에 설치된 노변장치들과 상기 차량탑재장치 사이에서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방법.
  8. 차량에 장착된 차량탑재장치(On-Board Unit)로부터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통신 중 WAVE/IEEE 802.11p 기반의 통신을 통해, 결합 해제(disassociation) 메시지를 무선에 의해 수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부;
    상기 차량탑재장치로 전송할 MPDU(MAC Protocol Data Unit)를 제공하는 백본 네트워크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유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결합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상기 차량탑재장치로 전송할 상기 MPDU를 상기 차량탑재장치가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다음 노변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핸드오버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는 이전 노변장치로부터 상기 MPDU를 수신하면, 백본 네트워크로 상기 차량탑재장치에 대한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노변장치가 자신임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을 위한 노변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노변장치로 전송되는 상기 MPDU의 MAC 헤더의 주소는 FromDS가 1로 설정되고, Address 1이 상기 차량탑재장치의 주소로 설정되고, Address 2는 상기 다음 노변장치의 주소로 설정되고, Address 3은 자신에 해당하는 현재의 노변장치의 주소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을 위한 노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는
    상기 MPDU를 수신하면, 상기 MAC 헤더의 주소 필드를 참조하여, 상기 MPDU가 상기 이전 노변장치로부터 전달되었으며, 상기 차량탑재장치에게 전송되어야할 데이터임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을 위한 노변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는
    Null 데이터 패킷을 상기 백본 네트워크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차량탑재장치에 대한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노변장치가 자신임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을 위한 노변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Null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상기 백본 네트워크는 상기 현재의 노변장치로 전송하던 상기 MPDU의 주소를 상기 다음 노변장치의 주소로 변경하고, 상기 다음 노변장치로 상기 MPDU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을 위한 노변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을 위한 노변장치는
    고속도로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량탑재장치와의 사이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을 위한 노변장치.
KR1020110016664A 2011-02-24 2011-02-24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노변장치 KR101218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664A KR101218347B1 (ko) 2011-02-24 2011-02-24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노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664A KR101218347B1 (ko) 2011-02-24 2011-02-24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노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222A KR20120097222A (ko) 2012-09-03
KR101218347B1 true KR101218347B1 (ko) 2013-01-09

Family

ID=4710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664A KR101218347B1 (ko) 2011-02-24 2011-02-24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노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3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45805A1 (en) * 2013-05-03 2018-02-15 Cisco Technology, Inc. Angle of arrival location sensing with antenna arr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33646B (zh) * 2019-11-16 2021-09-28 江南大学 车载通讯中针对连续退避冻结的时延性能分析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7781A (ja) * 2001-02-13 2002-08-23 Kddi Research & Development Laboratories Inc 路車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局情報の転送方法
KR20060034067A (ko) * 2004-10-18 2006-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환경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KR20100033840A (ko) * 2008-09-22 2010-03-31 이나루티앤티(주) 다채널 무선 통신 기반의 고속 핸드오버 지원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7781A (ja) * 2001-02-13 2002-08-23 Kddi Research & Development Laboratories Inc 路車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局情報の転送方法
KR20060034067A (ko) * 2004-10-18 2006-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환경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KR20100033840A (ko) * 2008-09-22 2010-03-31 이나루티앤티(주) 다채널 무선 통신 기반의 고속 핸드오버 지원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45805A1 (en) * 2013-05-03 2018-02-15 Cisco Technology, Inc. Angle of arrival location sensing with antenna ar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222A (ko) 2012-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6369B2 (en) Handover management using a broadcast channel in a network having synchronized base stations
US9144002B2 (en) Method for performing proactive wireless communication handoffs using a mobile client's route information
US7953052B2 (en) Inter-technology handoff method in an IP-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932054B (zh) 一种无线局域网的切换方法
US8203996B2 (en)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CN106686647B (zh) 无线通信设备和无线通信方法
CN114365543A (zh) 切换确定
US20080108326A1 (en) Handover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3296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ESH NETWORK USING A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WAPs)
US20040137901A1 (en) Vertical handover method by IP multicast
US818953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1079104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ins and other vehicles using trackside base stations
KR101732155B1 (ko) 차량통신 핸드오버 지원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hoi et al. Supporting handover in an IEEE 802.11 p-based wireless access system
CN102104926A (zh) 一种切换触发方法和装置
KR20130112304A (ko) 차량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 통신 장치
KR101218347B1 (ko)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노변장치
EP35122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on high speed rail
JP3823738B2 (ja) 路車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局情報の転送方法
KR101229986B1 (ko)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노변장치와 차량탑재장치
WO2014169476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pdating base station configuration
KR10142271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및 장치
Madli et al. A Review of Communication Handoffs in Vehicular Ad-Hoc Networks (VANET) and its Classification
KR101079901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로밍 방법
KR101042112B1 (ko) 인공위성을 이용한 휴대 인터넷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