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901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로밍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로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901B1
KR101079901B1 KR1020040077937A KR20040077937A KR101079901B1 KR 101079901 B1 KR101079901 B1 KR 101079901B1 KR 1020040077937 A KR1020040077937 A KR 1020040077937A KR 20040077937 A KR20040077937 A KR 20040077937A KR 101079901 B1 KR101079901 B1 KR 101079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device
fixed
fixed relay
handover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8990A (ko
Inventor
박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40077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901B1/ko
Publication of KR20060028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04W36/023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 로밍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 고정중계장치와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이동중계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2 고정중계장치의 셀 커버리지에 진입하는 경우에 광대역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접속요구 신호의 수신레벨이 임계레벨을 초과함에 따라 제 2 고정중계장치와 무선링크를 설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손실없이 연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 로밍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중계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을 연속적으로 로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고정중계장치와 제1 주파수대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다가, 제2 고정중계장치로부터 제2 주파수대역으로 접속요구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접속요구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한 접속요구신호의 수신레벨이 임계레벨을 초과하면 상기 제1 고정중계장치로부터 상기 제2 고정중계장치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고정중계장치를 통해 라우터측으로 핸드오버 예정을 통지하고, 상기 라우터측으로 보낼 상향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과정; 상기 핸드오버 예정 통지 결과로 상기 제1 고정중계장치를 통해 상기 라우터측으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제1 고정중계장치와의 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제2 고정중계장치와의 접속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한 제2 고정중계장치와의 접속을 통해 상기 임시 저장한 상향 데이터를 상기 라우터측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무선통신,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광대역 안테나, 핸드오버, 바인딩 캐쉬(Binding Cache), 연속적 로밍(Seamless Roaming)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 로밍 방법{Method for Seamless Roaming between one and the other frequency band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랜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동일한 서브넷 상에서의 연속적 로밍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서브넷 상에서의 연속적 로밍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 로밍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인터넷 102 : 기가비트 스위칭 라우터
103 : 마스터 기지국 라우터 104 : 기지국 라우터
105 : 고정중계장치 106 : 이동중계장치
107 : 고속이동체 108 : 엑세스 포인트
109 : 제 1 고정중계장치 110 : 제 2 고정중계장치
111 : 제 1 기지국 라우터 112 : 제 2 기지국 라우터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 로밍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고정중계장치와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이동중계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2 고정중계장치의 셀 커버리지에 진입하는 경우에 광대역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접속요구 신호의 수신레벨이 임계레벨을 초과함에 따라 제 2 고정중계장치와 무선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 로밍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고속이동체는 기차, 지하철, 및 고속버스 등을 포함하되, 기차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무선링크는 고정중계장치와 이동중계장치 사이의 연결을 의미하고, 유선링크는 고정중계장치와 기가비트 스위칭 라우터 사이의 연결을 의미하며, 접속링크는 무선링크와 유선링크를 포함한다.
현재, 지하철 및 기차 등과 같은 고속의 이동체에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스마트폰 및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 단말기 등과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무선인터넷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이러한 무선인터넷서비스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전송하는 트래픽에 비해 수신하는 트래픽이 수백 배 많은 인터넷 데이터의 특성 때문에, 200Kbps 미만의 저속 데이터 지원이 가능한 무선통신 채널은 상당히 비효율적이고 동영상 등 대량의 데이터 수신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속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이 등장하게 되었다. 무선랜은 최대 11Mbps 또는 54Mbps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할 수 있고,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지하철 및 기차 등과 같은 고속 이동체에서 무선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좋은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속의 무선인터넷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이동체내에 무선랜 엑세스 포인트(AP : Access Point)가 설치되어야 하고, 이동체와 지상의 고정중계장치간에 무선링크가 설정되어야 하며, 고정중계장치에서 인터넷 접속점(액세스 라우터)까지 네트웍장치들에 의한 접속망(유선링크)이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이동체-지상 무선링크를 위한 이동체와 지상의 고정중계장치는 차량내 접속가입자의 모든 트래픽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넓은 전송대역과 높은 전송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네트웍 구성에서 이동체내의 무선인터넷서비스 사용자는 무선랜 카드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 즉,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이용하여 이동체내의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공중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고, 또한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체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에 진입할 때 인터넷에 접속된 통신링크(접속링크)가 단절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이전의 지상 고정중계장치와의 무선링크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새로운 고정중계장치와의 무선링크로 신속하게 절체할 수 있는 연속적 로밍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제 1 고정중계장치와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이동중계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2 고정중계장치의 셀 커버리지에 진입하는 경우에 광대역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접속요구 신호의 수신레벨이 임계레벨을 초과함에 따라 제 2 고정중계장치와 무선링크를 설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손실없이 연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 로밍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방법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중계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을 연속적으로 로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고정중계장치와 제1 주파수대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다가, 제2 고정중계장치로부터 제2 주파수대역으로 접속요구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접속요구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한 접속요구신호의 수신레벨이 임계레벨을 초과하면 상기 제1 고정중계장치로부터 상기 제2 고정중계장치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고정중계장치를 통해 라우터측으로 핸드오버 예정을 통지하고, 상기 라우터측으로 보낼 상향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과정; 상기 핸드오버 예정 통지 결과로 상기 제1 고정중계장치를 통해 상기 라우터측으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제1 고정중계장치와의 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제2 고정중계장치와의 접속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한 제2 고정중계장치와의 접속을 통해 상기 임시 저장한 상향 데이터를 상기 라우터측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방법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라우터가 이동중계장치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을 연속적으로 로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고정중계장치와 제2 고정중계장치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상기 이동중계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제1 고정중계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중계장치측으로부터 상기 제1 고정중계장치로부터 상기 제2 고정중계장치로의 핸드오버 예정을 통지받으면, 상기 이동중계장치측으로 보낼 하향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상기 제1 고정중계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중계장치측으로 상기 핸드오버 예정 통지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신호 전송 결과로 상기 제2 고정중계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중계장치측으로부터 상향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상기 임시 저장한 하향 데이터를 상기 제2 고정중계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중계장치측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랜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먼저, 고속이동체(107) 내부에 엑세스 포인트(108)가 설치되어 있어, 고속이동체(107) 내부의 무선랜 단말기는 엑세스 포인트(108)에 접속하여 무선인터넷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때, 고속이동체(107)의 외부 상단에는 이동중계장치(106)를 설치하여 내부의 엑세스 포인트(108)들과 유선으로 연결한다.
또한, 고정중계장치(105)는 고속이동체(107)가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중계장치(106)와 무선으로 접속하며, 기지국 라우터(BSR : Base station Switching Router)(104)와는 유선으로 연결된다.
한편, 동일 서브넷 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고정중계장치(105)는 동일한 기지국 라우터(104)에 연결된다. 하나의 역사에는 한개 또는 다수의 고정중계장치(105)가 설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역사는 하나의 서브넷을 구성한다. 지하철 한 노선에는 다수의 서브넷이 존재하며, 각 서브넷에 하나씩 존재하는 기지국 라우터(104)는 마스터 기지국 라우터(M_BSR : Master Base station Switching Router)(103)에 유선으로 연결된다. 또한, 마스터 기지국 라우터(103)는 기가비트 스위칭 라우터(GSR : Gigabit Switching Router)(102)를 통하여 인터넷(101)에 연결된다.
이러한 무선통신 시스템은 마스터 기지국 라우터(103), 기지국 라우터(104), 고정중계장치(105), 이동중계장치(106) 등을 포함하며, 그 각각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스터 기지국 라우터(M_BSR)(103)는 하위의 기지국 라우터(104) 및 상위의 기가비트 스위칭 라우터(102)와 정합하고, 서로 다른 서브넷간의 고정중계장치(105)와 이동중계장치(106)사이의 로밍을 위한 제어 기능을 담당하며, 핸드오버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버퍼링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마스터 기지국 라우터(103)는 인터넷 프로토콜(IP : Internet Protocol) 트래픽을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L2 스위치(L2 Switch)의 일반기능과 L3 라우터(L3 Router)의 일반 기능을 모두 갖고 있다.
그리고 기지국 라우터(BSR)(104)는 동일한 서브넷상의 고정중계장치(105)와 이동중계장치(106)사이의 로밍을 위한 제어 기능을 담당하며, 핸드오버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버퍼링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 라우터(104)는 인터넷 프로토콜(IP : Internet Protocol) 트래픽을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L2 스위치(L2 Switch)의 일반기능과 L3 라우터(L3 Router)의 일반 기능을 모두 갖고 있다.
그리고 고정중계장치(105)는 고속이동체(107)의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된 중계장치로서, 서로 다른 주파수를 통해 고속이동체(107)에 설치된 이동중계장치(106)와 무선링크를 형성하여 이동중계장치(106)로부터의 트래픽을 기지국 라우터(104)로 전송하거나 기지국 라우터(104)로부터의 트래픽을 이동중계장치(106)로 전송한다.
그리고 이동중계장치(106)는 고속이동체(107)에 설치되는 중계장치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광대역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광대역 안테나를 이용하여 인근 고정중계장치(105)와 무선링크를 형성하여 고정중계장치(105)로부터의 트래픽을 열차내의 엑세스 포인트(108)로 전송하거나 엑세스 포인트(108)로부터의 트래픽을 고정중계장치(105)로 전송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동일한 서브넷 상에서의 연속적 로밍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먼저, 이동중계장치(106)는 제 1 고정중계장치(109)와 무선링크가 설정되어 있으며, 양단간에 양방향으로 트래픽이 존재한다.
이후, 고속이동체(107)가 제 2 고정중계장치(110)에 근접함에 따라 이동중계장치(106)는 광대역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2 고정중계장치(110)로부터 접속요구 신호, 일예로 비이컨 신호를 수신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비이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 2 고정중계장치(110)는 제 1 고정중계장치(109)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통해 주기적으로 비이컨 신호를 송신한다.
이후, 이동중계장치(106)는 비이컨 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여 현재 무선링크가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로부터 수신되는 비이컨 신호의 수신레벨보다 임계레벨 이상 큰지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110)로부터 수신된 비이컨 신호의 수신레벨이 임계레벨 이상 크지 않으면 무시하고, 비이컨 신호의 수신레벨이 임계레벨 이상 크면 상기 비이컨 신호가 순서상 다음 차례의 고정중계장치, 즉 제 2 고정중계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신호인지 아니면 다른 고정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비이컨 신호가 다른 고정중계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이면 무시한다. 반면, 상기 비이컨 신호가 순서상 다음 차례인 제 2 고정중계장치(110)로부터 수신된 비이컨 신호이면, 상기 이동중계장치(106)는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에게 제 2 고정중계장치(110)로의 핸드오버가 있음을 알리고, 응답(ACK) 신호를 기다린다. 그리고 상기 이동중계장치(106)는 제 1 바인딩 캐쉬를 만들어 이후에 고정중계장치로 향하는 데이터를 제 2 고정중계장치(110)와 무선링크가 설정될 때까지 상기 제 1 바인딩 캐쉬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이동중계장치(106)로부터 핸드오버가 있음을 통보받은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는 기지국 라우터(104)에게 바인딩 갱신을 요구하고, 응답 신호를 기다린다.
이후,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로부터 바인딩 갱신을 요구받은 상기 기지국 라우터(104)는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와 제 2 고정중계장치(110)가 자신이 관리하는 장치들임을 인식하고 바인딩 갱신 후 제 2 바인딩 캐쉬를 만든다. 그리고 이동중계장치(106)로 전송할 데이터를 제 2 바인딩 캐쉬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 라우터(104)는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로 응답 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는 상기 이동중계장치(106)로 응답 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이동중계장치(106)는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와의 무선링크를 해제하고, 제 2 고정중계장치(110)와 무선링크를 설정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 상기 제 1 바인딩 캐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11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110)는 상기 이동중계장치(106)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 라우터(104)로 전송하며, 또한 상기 이동중계장치(106)로 데이터를 전송할 준비가 되었음을 상기 기지국 라우터(104)에 알린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 라우터(104)는 상기 제 2 바인딩 캐쉬에 저장해 놓은 데이터를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110)를 통하여 상기 이동중계장치(106)로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동일 서브넷상에서 로밍이 완료되면, 이동중계장치(106)는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110)와 형성된 무선링크(세션)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트래픽을 송수신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서브넷 상에서의 연속적 로밍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먼저, 이동중계장치(106)는 제 1 고정중계장치(109)와 무선링크가 설정되어 있으며, 양단간에 양방향으로 트래픽이 존재한다.
이후, 고속이동체(107)가 제 2 고정중계장치(110)에 근접함에 따라 이동중계장치(106)는 광대역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2 고정중계장치(110)로부터 비이컨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제 2 고정중계장치(110)는 제 1 고정중계장치(109)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통해 주기적으로 비이컨 신호를 송신한다.
이후, 이동중계장치(106)는 비이컨 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여 현재 무선링크가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로부터 수신되는 비이컨 신호의 수신레벨보다 임계레벨 이상 큰지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110)로부터 수신된 비이컨 신호의 수신레벨이 임계레벨 이상 크지 않으면 무시하고, 비이컨 신호의 수신레벨이 임계레벨 이상 크면 상기 비이컨 신호가 순서상 다음 차례의 고정중계장치, 즉 제 2 고정중계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신호인지 아니면 다른 고정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비이컨 신호가 다른 고정중계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이면 무시한다. 반면, 상기 비이컨 신호가 순서상 다음 차례인 제 2 고정중계장치(110)로부터 송신된 비이컨 신호이면, 상기 이동중계장치(106)는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로 제 2 고정중계장치(110)로의 핸드오버가 있음을 알리고, 응답(ACK) 신호를 기다린다. 그리고 상기 이동중계장치(106)는 제 1 바인딩 캐쉬를 만들어 이후에 고정중계장치로 전송할 데이터를 제 2 고정중계장치(110)와 무선링크가 설정될 때까지 상기 제 1 바인딩 캐쉬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이동중계장치(106)로부터 핸드오버가 있음을 통보받은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는 제 1 기지국 라우터(111)에게 바인딩 갱신을 요구하고, 응답 신호를 기다린다.
이후,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로부터 바인딩 갱신을 요구받은 상기 제 1 기지국 라우터(111)는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110)가 자신이 관리하는 장치가 아님을 인식하고, 마스터 기지국 라우터(103)에게 바인딩 갱신을 요구하고, 응답 신호를 기다린다.
이후, 상기 제 1 기지국 라우터(111)로부터 바인딩 갱신을 요구받은 상기 마스터 기지국 라우터(103)는 바인딩 갱신 후 제 2 바인딩 캐쉬를 만든다. 그리고 이동중계장치(106)로 전달할 데이터를 제 2 바인딩 캐쉬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 기지국 라우터(103)는 상기 제 1 기지국 라우터(111)로 응답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 1 기지국 라우터(111)는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로 응답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는 상기 이동중계장치(106)로 응답 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상기 이동중계장치(106)는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와의 무선링크를 해제하고 제 2 고정중계장치(110)와 무선링크를 설정한 후, 상기 제 1 바인딩 캐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11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110)는 상기 이동중계장치(106)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지국 라우터(112)로 전송하며, 또한 이동중계장치(106)로 데이터를 전송할 준비가 되었음을 상기 제 2 기지국 라우터(112)에 알린다.
그러면, 상기 제 2 기지국 라우터(112)는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110)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 기지국 라우터(103)에 전송하며, 동시에 상기 이동중계장치(106)로 향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준비가 되었음을 상기 마스터 기지국 라우터(103)에 알린다. 그러면, 상기 마스터 기지국 라우터(103)는 상기 제 2 바인딩 캐쉬에 저장해 놓은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지국 라우터(112) 및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110)를 통하여 상기 이동중계장치(106)로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서로 다른 서브넷간 로밍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중계장 치(106)는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110)와 형성된 무선링크(세션)를 통해 양방향으로 트래픽을 송수신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 로밍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이동중계장치(106)는 제 1 고정중계장치(109)와 무선링크가 설정되어 있다(401). 이때, 양단간에 양방향으로 트래픽이 존재한다.
이후, 고속이동체(107)가 제 2 고정중계장치(110)에 근접함에 따라 이동중계장치(106)는 광대역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2 고정중계장치(110)로부터 비이컨 신호를 수신한다(402). 이때, 제 2 고정중계장치(110)는 제 1 고정중계장치(109)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통해 주기적으로 비이컨 신호를 송신한다.
이후, 이동중계장치(106)는 비이컨 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여 현재 무선링크가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로부터 수신되는 비이컨 신호의 수신레벨보다 임계레벨 이상 큰지를 비교한다(403).
상기 비교 결과(403),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110)로부터 수신된 비이컨 신호의 수신레벨이 임계레벨 이상 크지 않으면 상기 "402" 과정으로 진행하고, 비이컨 신호의 수신레벨이 임계레벨 이상 크면 상기 비이컨 신호가 순서상 다음 차례의 고정중계장치, 즉 제 2 고정중계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신호인지 아니면 다른 고정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인지를 판단한다(404).
상기 판단 결과(404), 상기 비이컨 신호가 다른 고정중계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이면 상기 "402" 과정으로 진행하고, 순서상 다음 차례인 제 2 고정중계장치(110)로부터 수신된 비이컨 신호이면, 상기 이동중계장치(106)는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에게 제 2 고정중계장치(110)로의 핸드오버가 있음을 알리고, 제 1 바인딩 캐쉬를 만들어 고정중계장치로 전송할 데이터를 제 2 고정중계장치(110)와 무선링크(세션)가 설정될 때까지 상기 제 1 바인딩 캐쉬에 저장한다(405).
이후, 이동중계장치(106)로부터 핸드오버가 있음을 통보받은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는 핸드오버에 관여하는 최상위 라우터 측으로 바인딩 갱신을 요구한다(406). 여기서, 핸드오버에 관여하는 최상위 라우터란 동일 서브넷 상에서 로밍이 일어날 경우에는 고정중계장치의 바로 상위에 위치하는 기지국 라우터를 말하며, 서로 다른 서브넷 상에서 로밍이 일어날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 라우터의 상위에 위치하는 마스터 기지국 라우터를 말한다. 이때, 고정중계장치로부터의 바인딩 갱신 요구가 기지국 라우터를 통하여 마스터 기지국 라우터로 전달된다.
이후,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로부터 바인딩 갱신을 요구받은 상기 최상위 라우터는 바인딩 갱신 후 제 2 바인딩 캐쉬를 만들어 이동중계장치(106)로 전송할 데이터를 제 2 바인딩 캐쉬에 저장한다(407). 그리고 상기 최상위 라우터는 하위 라우터를 통하여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에게, 또는 바로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에게 응답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는 상기 이동중계장치(106)에게 응답 신호를 보낸다(408).
그러면, 상기 이동중계장치(106)는 상기 제 1 고정중계장치(109)와의 무선링크를 해제하고, 제 2 고정중계장치(110)와 무선링크(세션)를 설정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한다(409).
이후, 상기 이동중계장치(106)는 상기 제 1 바인딩 캐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하위 라우터와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110)를 통하여, 또는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110)를 통하여 상기 최상위 라우터로 전송한다(410).
이후, 상기 최상위 라우터는 상기 제 2 바인딩 캐쉬에 저장해 놓은 데이터를 상기 하위 라우터와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110)를 통하여 또는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110)를 통하여 상기 이동중계장치(106)로 전송한다(411).
이러한 과정을 통해 로밍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중계장치(106)는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110)와 설정된 무선링크를 통해 양방향으로 트래픽을 송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제 1 고정중계장치와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이동중계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2 고정중계장치의 셀 커버리지에 진입하는 경우에 광대역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2 고정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접속요구 신호의 수신레벨이 임계레벨을 초과함에 따라 제 2 고정중계장치와 무선링크를 설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손실없이 연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중계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을 연속적으로 로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고정중계장치와 제1 주파수대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다가, 제2 고정중계장치로부터 제2 주파수대역으로 접속요구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접속요구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한 접속요구신호의 수신레벨이 임계레벨을 초과하면 상기 제1 고정중계장치로부터 상기 제2 고정중계장치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고정중계장치를 통해 라우터측으로 핸드오버 예정을 통지하고, 상기 라우터측으로 보낼 상향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과정;
    상기 핸드오버 예정 통지 결과로 상기 제1 고정중계장치를 통해 상기 라우터측으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제1 고정중계장치와의 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제2 고정중계장치와의 접속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한 제2 고정중계장치와의 접속을 통해 상기 임시 저장한 상향 데이터를 상기 라우터측으로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 로밍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는,
    핸드오버 대상인 상기 제2 고정중계장치가 이동 경로 상의 다음 순서에 위치하는 고정중계장치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 로밍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의 핸드오버 예정을 통지하는 과정은,
    상기 제1 고정중계장치로부터 상기 제2 고정중계장치로의 핸드오버에 관한 바인딩 갱신을 상기 라우터측에 요구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 로밍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저장한 상향 데이터는,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시작 시점부터 완료하는 시점까지 상기 이동중계장치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라우터측으로 보낼 상향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 로밍 방법.
  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라우터가 이동중계장치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을 연속적으로 로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고정중계장치와 제2 고정중계장치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상기 이동중계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제1 고정중계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중계장치측으로부터 상기 제1 고정중계장치로부터 상기 제2 고정중계장치로의 핸드오버 예정을 통지받으면, 상기 이동중계장치측으로 보낼 하향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상기 제1 고정중계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중계장치측으로 상기 핸드오버 예정 통지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신호 전송 결과로 상기 제2 고정중계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중계장치측으로부터 상향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상기 임시 저장한 하향 데이터를 상기 제2 고정중계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중계장치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 로밍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예정 통지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고정중계장치로부터 상기 제2 고정중계장치로의 핸드오버에 관한 바인딩 갱신을 상기 이동중계장치측에 응답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 로밍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저장한 하향 데이터는,
    상기 제1 고정중계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중계장치측으로부터 핸드오버 예정을 통지받는 시점부터 상기 제2 고정중계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중계장치측으로부터 상향 데이터를 수신받는 시점까지 인터넷으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이동중계장치측으로 보낼 하향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 로밍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40077937A 2004-09-30 2004-09-3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로밍 방법 KR101079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937A KR101079901B1 (ko) 2004-09-30 2004-09-3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로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937A KR101079901B1 (ko) 2004-09-30 2004-09-3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로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990A KR20060028990A (ko) 2006-04-04
KR101079901B1 true KR101079901B1 (ko) 2011-11-04

Family

ID=3713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937A KR101079901B1 (ko) 2004-09-30 2004-09-3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로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9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164B1 (ko) * 2006-09-27 2008-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파수간 핸드오버 방법 및 그 단말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509B1 (ko) * 1998-12-22 2001-11-15 서평원 주파수간핸드오프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509B1 (ko) * 1998-12-22 2001-11-15 서평원 주파수간핸드오프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990A (ko) 200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014B1 (ko) 이동통신망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KR101701926B1 (ko) 이동 중계기를 이용하는 핸드오버
EP2314104B1 (en) Improved mobility management
KR101217305B1 (ko) 중계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US20070123254A1 (en) Method for improving channel scanning in portable internet system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80025275A1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method thereof
JP2000506320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ー
CN103442397A (zh) Lte-a中继系统及其基于辅助载波的协作切换方法
EP3497972A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minal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US85384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off of mobile terminals between different wireless access network technologies
Huang et al. Mobile relay based fast handover scheme in high-speed mobile environment
US20090280813A1 (en) Handover Procedure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Choi et al. Takeover: a new vertical handover concept for next-generation heterogeneous networks
Zhao et al. LTE-M system performance of integrated services based on field test results
US8750874B2 (en) Handover method for communication networks
CN102892153A (zh) 一种中继节点切换中释放用户终端信息的方法和系统
Charitos et al. Heterogeneous hybrid vehicular WiMAX-WiFi network for in-tunnel surveillance implementations
Qian et al. A dual-antenna and mobile relay station based handover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for high-speed railway
KR101079901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 연속적로밍 방법
CN108668329B (zh) 基地台切换方法
KR10169064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에 연결된 단말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순차적 데이터 전달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Sen et al. Persistent WiFi connectivity during Train journey: An SDN based approach
WO20231417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 an iab network
KR100577685B1 (ko)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
KR20190116802A (ko) 이동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 빠른 핸드 오버를 위한 단말 설정 및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