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7685B1 -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7685B1
KR100577685B1 KR1020040043866A KR20040043866A KR100577685B1 KR 100577685 B1 KR100577685 B1 KR 100577685B1 KR 1020040043866 A KR1020040043866 A KR 1020040043866A KR 20040043866 A KR20040043866 A KR 20040043866A KR 100577685 B1 KR100577685 B1 KR 100577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hannel
bridge
networ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8773A (ko
Inventor
박성수
이상신
이동학
정원석
이주식
이명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3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685B1/ko
Publication of KR2005011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은 브릿지 및 이동라우터를 포함하는 이동네트워크를 가지는 고속 이동체에서 RF 모뎀 및 IP패킷 처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IP 액세스를 통해 무선으로 고정네트워크와 접속하여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고속 이동체의 이동에 따른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은, 상기 브릿지 또는 RF 모뎀으로부터의 새로운 채널 상태 및 접속점에 대한 보고를 받고, 상기 새로운 채널의 상태정보 및 접속점 정보를 별도의 신호채널을 통해 보고하여, 이후 접속될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상위 네트워크에서 미리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른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고속 이동체상에서 효율적으로 서비스 받을 수 있으며, 이를 개인 단말에 적용할 경우에도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 무선 데이터 서비스의 활성화와 수익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고속이동체, 고속핸드오프

Description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Implementation Method for Fast Handoff Mechanism on the High Speed Mobile}
도 1은 Pre-Registration 핸드오프 절차
도 2는 고속이동체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도 3은 이동네트워크의 고정 네트워크 접속점 변경 절차(동일 서브넷)
도 4는 이동네트워크의 고정 네트워크 접속점 변경 절차(다른 서브넷)
도 5는 이동단말의 고정 네트워크 접속점 변경 절차(동일 서브넷)
도 6은 이동단말의 고정 네트워크 접속점 변경 절차(다른 서브넷)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사용자 단말, 이동라우터
2 : 브릿지(이동체)
3 : 브릿지(고정체)
4 : 라우터
본 발명은 기차, 지하철, 버스 등과 같은 고속 이동체에 대해 고속의 무선 데 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이동체의 이동으로 인해 네트워크 접속점이 변경되어도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 노드와 이동체상의 노드간 핸드오프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고속 무선 인터넷망의 구축과 저렴한 이용요금으로 인해 인터넷 서비스 보급이 보편화됨으로써 인터넷이 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또한, CDMA 이동전화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이를 활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제공은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게 만들었다. 인터넷 이용을 원하는 고객은 가정이나 학교, PC방 등에서 초고속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동전화를 이용하여 뉴스, 주식정보, 웹 검색, E-Mail 송수신 및 단문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등의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유선 초고속 인터넷이 설치된 특정 장소를 찾아가야 하며, 이동전화를 이용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데이터 전송률과 높은 사용료로 인해 서비스의 이용이 제한적이게 된다. 이러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의 해결책으로 공중용 WLAN 시스템이 도입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 기술은 서비스 반경이 수십m 내외로 제한됨으로써 라스트 마일(Last mile)의 무선화에서 의의가 있으나 기차나 지하철, 고속버스 등과 같이 넓은 커버리지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는 적용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무선 중계링크 기술 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추진되었다. 우선, 802.11 WLAN 기술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고이득의 안테나, 예를 들면 지향성 안테나, 스마트안테나 등을 사용하여 커버리지를 확대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또한, HiperAccess나 BWA(broadband wireless access)와 같은 점대점 또는 점대 다중점 고속 무선 데이터 전송기술이 개발중에 있다. 아울러, 국내에서는 IEEE 802.16e 규격을 사용하는 HPi(highspeed portable internet) 기술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이 상용화되면 이동전화와 유사한 커버리지를 가질 수 있으나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셀간 핸드오프 문제가 추가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IP 기술을 이용하는 고속 무선 인터넷에서 서비스 연속성 보장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Mobile IP 기술이다. Mobile IP는 넓은 분야에의 적용을 위하여 하부 링크 계층에 대해 독립적으로 설계되었다. 이러한 설계 방법은 IP 계층과 링크 계층간의 분리를 가능케 해주는 장점이 있으나 핸드오버시 지연에 관해서는 불리하게 작용될 수 있다. 즉, IP 계층에서의 Mobile IP 등록은 링크 계층에서의 핸드오버가 완료된 이후에나 수행 가능하므로 필연적인 지연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이렇게 발생된 지연은 Vo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에서는 치명적인 문제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속 이동체와 같은 넓은 커버리지를 수용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서는 이동성 지원을 위해 Mobile IP 기술을 적용한다 하더라도, 핸드오프에 따른 지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서비스 커버리지 변경에 따른 데이터 손실 방지와 신속한 핸드오프 기능의 제공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데이터 손실 방지 및 핸드오프 지연 시간을 줄이기 위한 빠른 핸드오프의 구현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손실 방지 및 핸드오프 지연 시간을 줄이기 위한 빠른 핸드오프의 구현을 위해, 지하철, 버스와 같은 이동체에서 요구되는 네트워크 이동성기술과 IP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 중계링크 기술을 결합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즉, 지하철과 같은 고속이동체 상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WLAN 기술을 last mile로 활용하여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네트워크 이동성기술과 무선 중계링크 기술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하지만, 네트워크 이동성 기술은 mobile IP에 기반하고, 무선 중계링크 기술은 주로 고정점간 통신환경을 고려하고 있어, 핸드오프 기능에 대한 고려가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지하철, 버스와 같은 이동체에서 요구되는 네트워크 단위의 이동성 제공과 IP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액세스망에서의 효율적인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필수적인 Fast 핸드오프 기능의 구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은 브릿지 및 이동라우터를 포함하는 이동네트워크와 RF 모뎀 및 IP패킷 처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IP 액세스를 통해 무선으로 고정네트워크와 접속하여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은, 상기 브릿지 또는 별도로 만들어진 RF 모뎀으로부터의 새로운 채널 상태 및 접속점에 대한 정보를 보고 받고, 상기 새로운 채널의 상태에 따라 기존의 통신 제어채널을 통해 보고하여, 이후 접속될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빠른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이동네트워크의 브릿지 또는 독립적으로 구현된 RF 모뎀은, 새로운 채널에 대한 검색을 주기적으로 수행(T0 간격)하고, 일정 신호레벨 이상의 신호가 수신되는 채널에서 제어 메시지를 해석하여 상위인 이동 라우터 또는 IP패킷 처리부로 전달한 후, 상기 T0 보다 빈번하게(T1 간격) 해당 채널에 대한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위로 보고된 새로운 채널에 대한 신호품질이 기존의 통신채널 보다 우수하게 되면, 데이터링크를 연결하고 연결완료 사실을 상위계층에 통보하는 단계; 상위계층으로부터 새롭게 설정된 무선링크로 데이터 전송요구가 발생하면, 기존의 링크를 해제하는 단계; 및 무선링크의 품질이 일정 수준이하가 되면 접속 채널을 종료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또한, 상기 이동네트워크의 상위계층인 라우터 또는 사용자 단말의 IP패킷 제어부는, 하위계층에서 전달되는 채널 품질 및 네트워크측 브릿지 ID 정보를 현재 통신중인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측으로 전달하는 단계; 현재 통신중인 채널로부터 새로운 무선 채널과 연계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여, 새로운 무선채널과의 통신을 준비하는 단계; 하위계층으로부터 새로운 통신 채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함을 통지 받으면, 새로운 브릿지로 데이터 통신을 시도하는 단계; 및 무선링크의 품질이 일정 수준이하가 되면 접속 채널을 종료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한편, 상기 고정네트워크는, 새로운 사용자 단말 채널에 대한 검색을 주기적으로 수행(T0 간격)하고, 일정 신호레벨 이상의 신호가 수신되는 채널에서 제어 메시 지를 해석하여 상위로 전달한 후, 상기 T0 보다 빈번하게(T1 간격) 해당 채널에 대한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위로 보고된 새로운 채널에 대한 신호품질이 기존의 통신채널 보다 우수하게 되면, 데이터링크를 연결하고 연결완료 사실을 상위계층에 통보하는 단계; 상위계층으로부터 새롭게 설정된 무선링크로 데이터 전송요구가 발생하면, 기존의 링크를 해제하는 단계; 및 무선링크의 품질이 일정 수준이하가 되면 접속 채널을 종료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또한, 상기 고정네트워크의 상위계층은, 하위계층에서 전달되는 새로운 채널 품질 및 네트워크측 브릿지 ID 정보, 그리고 단말 ID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영역에 존재하는 판단하는 단계; 자신이 서비스하는 노드가 아닐 경우에는 자신의 관리 노드 정보를 갱신하고, 사용자 단말 ID와 브릿지 ID를 이용하여 인접 FA들에게 이 사실을 통지하고, 보고된 브릿지 또는 사용자 단말을 관리하는 FA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응답으로 수신함과 아울러 현재 통신중인 채널로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하위계층으로부터 새로운 통신 채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함을 통지 받으면 새로운 브릿지로 데이터 통신을 시도하는 단계; 및 무선링크의 품질이 일정 수준이하가 되면 접속 채널을 종료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차세대 정보통신망이 IP 기반으로 발전함에 따라 IP 망에서의 이동성 지원 기술인 Mobile IP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무선 인터넷을 위한 주요 인프라로 사용되고 있는 이동통신망의 경우 2 계층에서 이동성을 지원하기 때문에 하부 기술에 대한 의존성으로 인하여 글로벌 로밍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비하여 Mobile IP는 3 계층에서 이동성을 제공함으로써 하부 기술에 독립적인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IP 기반의 차세대 망에서 글로벌 로밍을 쉽게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Mobile IP는 넓은 지역의 느린 이동성 지원을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단말에 대한 실시간 서비스 제공에는 어려움이 있어 이에 대한 기능 향상이 요구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L2 트리거링을 이용한 Fast 핸드오프 방법이 제시되었다.
Fast 핸드오프 방안에서는 이동 단말이나 라우터가 핸드오버의 시작을 감지하면 이에 대한 정보가 링크 계층에서 핸드오버 트리거 신호로 발생되며 이 신호를 이용하여 IP 계층에서의 핸드오버에 필요한 작업을 핸드오버 이전에 미리 수행하는 방법이다.
도 1에는 핸드오프에 필요한 동작을 사전에 수행하는 pre-registration 절차가 나타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라우터(Old FA)는 인접한 지역에 있는 다른 라우터(New FA)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한다(절차 (1), (2)). 사용자 단말이 이동하면 라우터(Old FA)와 사용자 단말은 이동사실을 감지하게 되며, 향후에 이동해 갈 라우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절차 (3), (4)). 사용자 단말이 새로운 라우터(New FA)에 대한 정보와 L2 링크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Mobile IP에 대한 등록을 수행하게 된다(절차 (5), (6), (7), (8)).
도 2에는 고속 이동체상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 성 예가 나타나 있다. 도 2에서 고속이동체에 장착되는 MN(mobile node)(1)은 개인용 단말기 또는 이동 라우터 장비가 된다. 고속 이동체에 장착되는 브릿지(2)는 개인용 단말기의 안테나 또는 이동 라우터와 연결되는 무선 송수신장치가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가 이동함에 따라 네트워크 접속점이 되는 네트워크단의 브릿지(3)와 라우터(4) 변경이 이루어지게 된다. 라우터(4)의 변경에 따라 고속 이동체로 전달되는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전송경로를 변경하여야 한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은 MIP 기술에 기반하여 라우팅 경로를 재설정하게 되며, 수백 ms에서 수초 정도의 지연시간을 요구하게 된다.
경로 재설정으로 생기는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Fast 핸드오프 방안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고속 이동체상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각 노드에서의 Fast 핸드오프를 위한 주요기능과 동작절차를 제시한다.
고속 이동환경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단말(또는 이동 라우터)은 무선 채널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RF 모뎀부(또는 브릿지)와 IP패킷 처리부(또는 라우터)로 구성된다. RF 모뎀부에서는 무선링크 신호의 연결과 해제, 상위계층으로 신호품질의 보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IP 패킷 처리부에서는 이들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무선 채널의 변경을 인지하고 MIP 등록이나 또는 패킷의 라우팅 경로 등을 조정하게 된다. Fast 핸드오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무선채널 환경의 변화에 따른 무선링크의 접속/해제에 대한 정보의 실시간 제공이 필수적이다. 이 정보는 MN 이 사용자 단말일 경우에는 내부 인터페이스로 구현되며, 라우터와 브릿지 모드로 분리될 경우에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어야 한다.
유선 인터넷망과 연결된 라우터와 RF 모뎀 또는 브릿지는 다음과 같은 주요기능을 가져야 한다. 우선, 새로운 이동체의 신호가 검출되면, 이들 신호를 복조하여 어떤 단말이 서비스영역으로 진입했음을 알려주어야 한다. 이 경우, 대부분 기존의 시스템이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일정 기준치 이상이 되면 상위에서의 처리를 위해 트리거링 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법보다는 제어신호를 복조하여 해당 단말에 대한 기본 정보가 획득될 경우에 통지하여야 한다. 만약, 신호세기가 높다 하더라도 간섭신호로 인한 데이터 오류가 발생할 경우에는 신호세기 이외에는 어떠한 정보도 상위로 전달하지 못하게 된다. RF 모뎀 또는 브릿지는 새로운 이동체의 신호를 검출하고 복조한 후에, 새로운 이동체에 대한 ID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신호세기, 신호대 잡음비, 수신감도 등)을 상위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링크 연결이 완료되어 정상적인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할 경우에도 동일한 정보를 상위로 전달하여야 한다.
이동체에 위치한 RF 모뎀 또는 브릿지는 다음과 같은 주요기능을 가져야 한다. 우선, 새로운 고정 브릿지의 신호가 검출되면, 이들 신호를 복조하여 자신이 어떠한 무선 링크를 수신할 수 있는지를 상위에 알려주어야 한다. 이 경우, 대부분 기존의 시스템이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일정 기준치 이상이 되면 상위에서의 처리를 위해 트리거링 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법보다는 제어신호를 복조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송신한 송신측의 기본 정보가 획득될 경우에 통지하여야 한다. 만약, 신호세 기가 높다 하더라도 간섭신호로 인한 데이터 오류가 발생할 경우에는 신호세기 이외에는 어떠한 정보도 상위로 전달하지 못하게 된다. RF 모뎀 또는 브릿지는 새로운 이동체의 신호를 검출하고 복조한 후에, 새로운 이동체에 대한 ID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신호세기, 신호대 잡음비, 수신감도 등)을 상위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링크 연결이 완료되어 정상적인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할 경우에도 동일한 정보를 상위로 전달하여야 한다.
브릿지 또는 RF 모뎀으로부터 링크정보를 수신한 상위계층(라우터 또는 IP계층)은 실질적인 IP 패킷의 라우팅을 수행하게 된다. 정상적인 Mobile IP 절차에서는 브릿지 또는 RF 유선 모뎀에 의해 새로운 무선 데이터링크가 설정된 이후에 다시 인터넷망에 접속된 라우터로부터 Router Advertisement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새로운 FA에 대한 IP 주소를 인지하고 MIP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절차는 데이터링크계층의 설정이 완료된 후에, 다시 Router Advertisement 메시지 수신시까지 단말은 데이터 통신을 대기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 발생하는 지연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데이터의 전송성능을 개선하는데 매우 중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체에서의 브릿지 또는 단말 RF 모뎀에서의 동작절차는 다음과 같다(S1∼S8).
절차 1) 새로운 채널에 대한 검색을 주기적으로 수행(T0 간격)하고, 일정 신호레벨 이상의 신호가 수신되는 채널에서 제어 메시지를 해석하여 상위로 전달한 후, 보다 빈번하게(T1 간격) 해당 채널에 대한 신호세기를 측정한다. (T0>T1)
절차 2) 상위로 보고된 새로운 채널에 대한 신호품질이 기존의 통신채널 보다 우수하게 되면, 데이터링크를 연결하고 연결완료 사실을 상위계층에 통보한다.
절차 3) 상위계층으로부터 새롭게 설정된 무선링크로 데이터 전송요구가 발생하면, 기존의 링크를 해제한다.
절차 4) 무선링크의 품질이 일정 수준이하가 되면 접속 채널을 종료한다.
이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동체측의 상위계층(이동체상의 라우터 또는 단말의 IP 제어부)은 다음의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S11∼S19).
절차 1) 하위계층에서 전달되는 채널 품질 및 네트워크측 브릿지 ID 정보를 현재 통신중인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측으로 전달한다.
절차 2) 현재 통신중인 채널로부터 새로운 무선 채널과 연계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여, 새로운 무선채널과의 통신을 준비한다.
절차 3) 하위계층으로부터 새로운 통신 채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함을 통지 받으면 새로운 브릿지로 데이터 통신을 시도한다.
절차 4) 무선링크의 품질이 일정 수준이하가 되면 접속 채널을 종료한다.
또한, 이동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측의 브릿지 또는 단말 RF 모뎀에서의 동작절차는 다음과 같다(S21∼S28).
절차 1) 새로운 단말 채널에 대한 검색을 주기적으로 수행(T0 간격)하고, 일정 신호레벨 이상의 신호가 수신되는 채널에서 제어 메시지를 해석하여 상위로 전달한 후, 보다 빈번하게(T1 간격) 해당 채널에 대한 신호세기를 측정한다. (T0>T1)
절차 2) 상위로 보고된 새로운 채널에 대한 신호품질이 기존의 통신채널 보다 우수하게 되면, 데이터링크를 연결하고 연결완료 사실을 상위계층에 통보한다.
절차 3) 상위계층으로부터 새롭게 설정된 무선링크로 데이터 전송요구가 발생하면, 기존의 링크를 해제한다.
절차 4) 무선링크의 품질이 일정 수준이하가 되면 접속 채널을 종료한다.
이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측의 상위계층(이동체상의 라우터 또는 단말의 IP 제어부)은 다음의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S31∼S39).
절차 1) 하위계층에서 전달되는 새로운 채널 품질 및 네트워크측 브릿지 ID 정보, 그리고 단말 ID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영역에 존재하는 판단한다.
절차 2) 자신이 서비스하는 노드가 아닐 경우에는 FA의 변경이 필요하며, 단말 ID와 브릿지 ID를 이용하여 인접 FA들에게 이 사실을 통지하고, 보고된 브릿지 또는 단말을 관리하는 FA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응답으로 수신한다. 그리고, 현재 통신중인 채널로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한다.
절차 3) 하위계층으로부터 새로운 통신 채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함을 통지 받으면 새로운 브릿지로 데이터 통신을 시도한다.
절차 4) 무선링크의 품질이 일정 수준이하가 되면 접속 채널을 종료한다.
고속 이동체상에서의 브릿지 및 라우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 Fast 핸드오프에 대한 절차가 도 3과 도4에 나타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할 경우의 절차가 도 5와 도 6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고속 이동체 및 IP 기술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 무선 데이터 서비스의 활성화와 수익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5)

  1. RF 모뎀을 포함하는 브릿지와 이동 라우터를 포함하는 이동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 단말이 IP 액세스를 통해 이동네트워크를 통해 무선으로 고정네트워크와 접속하여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RF 모뎀을 내장한 이동체상의 브릿지에서 새로운 고정 브릿지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와 고정 브릿지 ID 에 대한 정보를 별도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라우터가 보고 받고, 이동 라우터는 고정 브릿지의 ID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변경사실을 판단하여 네트워크 변경시에는 상기 새로운 채널정보를 기존의 고정 브릿지와의 통신채널을 통해 보고하여, 이후 접속될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고정네트워크에 전달함으로써 빠른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네트워크의 RF 모뎀을 포함하는 브릿지는,
    고정 브릿지와의 새로운 채널에 대한 검색을 주기적으로 수행(T0 간격)하고, 일정 신호레벨 이상의 신호가 수신되며 수신 채널에서 제어 메시지를 해석하여 상위인 이동라우터로 새로운 채널의 신호세기와 고정 브릿지의 ID를 전달한 후, 상기 T0 보다 빈번하게(T1 간격) 해당 채널에 대한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보고하는 단계;
    이동라우터로 보고된 새로운 채널에 대한 신호품질이 기존의 통신채널 보다 우수하게 되면, 새로운 채널에 대한 데이터링크를 연결하고 연결완료 사실을 이동라우터로 통보하는 단계;
    이동라우터로부터 새롭게 설정된 무선링크로 데이터 전송요구가 발생하면, 기존의 링크를 해제하는 단계; 및
    이동라우터로부터 새롭게 설정된 무선링크로 데이터 전송요구가 없더라도 무선링크의 품질이 일정 수준이하가 되면 접속 채널을 종료하는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네트워크의 이동라우터는 ,
    이동 브릿지로부터 전달되는 채널 품질 및 네트워크측 브릿지 ID 정보를 이용하여 FA 변경 사실을 판단하는 단계;
    네트워크측 FA의 변경 사실을 인지하면 현재 통신중인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측으로 전달하는 단계;
    이동 브릿지로부터 새로운 통신 채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함을 통지 받으면, 새로운 고정 브릿지와의 채널로 데이터 통신을 시도하는 단계; 및
    무선링크의 품질이 일정 수준이하가 되면 접속 채널을 종료하는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네트워크는,
    새로운 이동 브릿지와의 채널에 대한 검색을 주기적으로 수행(T0 간격)하고, 일정 신호레벨 이상의 신호가 수신되는 채널에서 제어 메시지를 해석하여 신호세기 정보와 이동 브릿지의 ID 정보를 상위 라우터로 전달한 후, 상기 T0 보다 빈번하게(T1 간격) 해당 채널에 대한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위 라우터로 보고된 새로운 채널에 대한 신호품질이 기존의 통신채널 보다 우수하게 되면, 데이터링크를 연결하고 연결완료 사실을 상위 라우터에 통보하는 단계;
    상위 라우터로 부터 새롭게 설정된 새로운 이동 브릿지와의 무선링크로 데이터 전송요구가 발생하면 데이터를 전송하고,
    무선링크의 품질이 일정 수준이하가 되면 접속 채널을 종료하고 이를 상위 라우터에 보고하는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네트워크의 상위 라우터는,
    고정 브릿지에서 전달되는 새로운 채널의 품질 및 네트워크측 브릿지 ID 정보, 그리고 이동 브릿지의 ID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영역에 존재하는 판단하는 단계;
    자신이 서비스하는 노드가 아닐 경우에는 FA의 바인딩 정보를 변경하며, 이동 브릿지의 ID와 고정 브릿지 ID를 이용하여 인접 FA들에게 이 사실을 통지하고, 통지된 이동 브릿지를 관리하는 FA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응답으로 수신함과 아울러 현재 통신중인 채널로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하위 고정 브릿지로 부터 새로운 통신 채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함을 통지 받으면 새로운 이동 브릿지로 데이터 통신을 시도하는 단계; 및
    무선링크의 품질이 일정 수준이하가 되면 접속 채널을 종료하는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
KR1020040043866A 2004-06-15 2004-06-15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 KR100577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866A KR100577685B1 (ko) 2004-06-15 2004-06-15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866A KR100577685B1 (ko) 2004-06-15 2004-06-15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773A KR20050118773A (ko) 2005-12-20
KR100577685B1 true KR100577685B1 (ko) 2006-05-10

Family

ID=37291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866A KR100577685B1 (ko) 2004-06-15 2004-06-15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6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217B1 (ko) * 2006-08-04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브리지 기반 무선 기지국 기간망 시스템 및 그 신호 처리방법
KR100790135B1 (ko) 2006-08-17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브리지 기반 무선 기지국 기간망에서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KR101679120B1 (ko) * 2014-09-02 2016-12-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786A (ko) * 2003-07-10 2005-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브넷을 이용한 핸드오프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시스템
KR20050101956A (ko) * 2004-04-20 2005-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핸드오프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786A (ko) * 2003-07-10 2005-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브넷을 이용한 핸드오프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시스템
KR20050101956A (ko) * 2004-04-20 2005-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핸드오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773A (ko) 2005-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37901A1 (en) Vertical handover method by IP multicast
CN108235384B (zh) 一种无线网络切换方法和装置
US9532399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ervice to a multi-mod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1887012B (zh) 用于通信系统中的无线电资源管理的系统和方法
CN101040463B (zh) 用于连接移动通信网络和无线网络的双模式移动终端的切换系统和方法
JP4460589B2 (ja) Ipレベルのシームレスなハンドオーバを実現するための最適なターゲット・アクセス・ルータを決定するプロトコル
US20100329206A1 (en) Dual idle-traffic state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7739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ositioning a relay in a wide area communication network
JP200420800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1002323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high speed intra-domain mobility management using dual interfaces in wireless lan/man
JPWO2005025253A1 (ja) ハンドオーバ方法及び基地局制御装置
KR2008002685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CN111314881B (zh) 一种直连链路建立方法及相关设备
CN103209447A (zh) 一种车联网中支持多跳wlan的用户接入终端选择装置及方法
Dias et al. Seamless horizontal and vertical mobility in VANET
AU784890B2 (en) Seamless integrated network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090001304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지원 장치 및 방법
Hu et al. On the evolution of handoff management and network architecture in WiMAX
KR100577685B1 (ko) 고속이동체에서의 고속핸드오프 구현방법
Slimane et al. Seamless infrastructure independent multi homed NEMO handoff using effective and timely IEEE 802.21 MIH triggers
Jakimoski et al. Vertical Handover Decision Algorithm from WiMAX to WLAN based on the Mobile Node’s Speed and the Session’s Priority
KR100943172B1 (ko) 다중 무선 접속 네트워크 환경에서 부드러운 핸드오버 방법및 이를 위한 및 서버
CN103533594B (zh) 基于用户移动状态感知的车载移动中继切换方法
Mouton et al. On the evaluation of make-before-break handovers in urban WiFi networks for moving vehicles
Majeed et al. Vehicular ad hoc networks: History and future development aren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