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449A - 숙성처리가 적용된 증숙지황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숙성처리가 적용된 증숙지황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449A
KR20230085449A KR1020210173631A KR20210173631A KR20230085449A KR 20230085449 A KR20230085449 A KR 20230085449A KR 1020210173631 A KR1020210173631 A KR 1020210173631A KR 20210173631 A KR20210173631 A KR 20210173631A KR 20230085449 A KR20230085449 A KR 20230085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steaming
rehmannia glutinosa
ag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귀영
최수지
강민혜
김동휘
김형돈
이승은
최재훈
지윤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10173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5449A/ko
Publication of KR20230085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1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heating without chemical treatment, e.g. steam treatment, cook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36Phytosterols, phytostan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성처리로 주침 과정이 생략된 숙지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숙성 처리된 숙지황은 최적 숙성 조건으로 6일, 최적 건조-증숙 반복 사이클이 5회 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기의 최적 조건으로 제조된 숙지황이, 표준 제조 공정으로 제조된 숙지황과 비교하여도, 품질 특성에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건조-증숙 반복 사이클이 1회일 때 aucubin의 함량이 증가하고, 5회일 때 acetoside의 함량이 특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Harpagide의 함량은 건조-증숙 반복 사이클 1 내지 9회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여, 종래의 건조-주침-증숙 반복 공정을 단순화 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품질 기준을 만족하는 숙지황을 제조하는 방법인 것을 확인하였다.

Description

숙성처리가 적용된 증숙지황의 제조방법{Methods for producing steamed Rehmanniae radix with aging treatment}
본 발명은 숙성처리가 적용된 증숙지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황(Rehmannia glutinosa)은 현삼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주로 뿌리를 약재로 이용한다. 제법에 따라 생지황, 건조한 것을 건지황, 포제과정을 거친 숙지황으로 구분한다. 생지황은 지혈, 해열, 해독 작용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지황의 유효성분으로는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켐페스테롤(campestrol), 카탈폴(catalpol), 스타치오스(stachyose), 라피노스(raffinose) 및 베르바스코스(verbascose) 등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유용성분 중 stachyose와 raffinose는 각각 생지황의 고형분 중 25~40%, 4~5%로 많은 함량을 보인다.
한편, 생지황에 포함된 많은 유용성분 중에서 몇몇 당류는 인간의 소화기 내 효소로는 분해되지 않아서 장내 가스발생과 설사를 유발할 수 있에 생지황 자체를 이용하기 보다는 포제가공을 통해 문제가 된 당류들을 제거시킨 숙지황을 주로 사용해 왔다.
숙지황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생지황을 건조하여, 건지황을 제조한 후, 이를 주침(술에 침지)하고, 주침된 숙지황을 증숙하는 공정을 반복하여 제조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숙지황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정 반복에 따른 많은 비용과 인력이 요구되며, 특히 주침은 지황을 술에 침지하는 과정으로, 주침 과정을 거친 지황은 지황 내 수분 함량이 증가하게 되고, 이를 증숙하게 되면서, 후속 공정인 건조 과정에서 건조 시간의 증가로 인해, 총 가공 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숙지황의 제조 과정에서, 주침 과정은 지황에 대한 효소의 작용, 미생물의 작용으로 인한 단당류를 공급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서, 숙지황의 난소화성 올리고당을 분해하여 숙지황의 유용성분인 5-HMF (5-Hydroxymethyl-2-furaldehyde)의 생산을 위한 전구체를 제공하는 과정이기에, 숙지황의 제조에 있어서 주침 과정은 필수적이며, 이로 인해 종래의 공정을 단순화 시키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주침과정을 생략하고, 품질 기준을 만족하는 숙지황을 제조하는 방법을 모색하던 중, 주정으로 숙성시킨 숙성지황을 이용하면, 주침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품질 특성의 기준치를 만족하는 숙지황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지황을 숙성하여 숙성지황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지황을 건조 및 증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침과정이 생략된 숙지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주침과정이 생략된 숙지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주침과정이 생략된 숙지황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 지황을 숙성하여 숙성지황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지황을 건조 및 증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세토사이드(Acetoside), 아큐빈(Aucubin) 또는 하르파자이드(Harpagide)의 함량이 증가된 숙지황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지황을 숙성하여 숙성지황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지황을 건조 및 증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침과정이 생략된 숙지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주침과정이 생략된 숙지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주침과정이 생략된 숙지황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생 지황을 숙성하여 숙성지황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지황을 건조 및 증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세토사이드(Acetoside), 아큐빈(Aucubin) 또는 하르파자이드(Harpagide)의 함량이 증가된 숙지황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숙성 처리된 숙지황은 최적 숙성 조건, 최적 건조-증숙 반복 사이클을 확립하였으며, 상기의 최적 조건으로 제조된 숙지황이, 표준 제조 공정으로 제조된 숙지황과 비교하여도, 품질 특성에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여, 종래의 건조-주침-증숙 반복 공정을 단순화 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품질 기준을 만족하는 숙지황을 제조하는 방법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건조-증숙 반복 사이클이 1회일 때 aucubin의 함량이 증가하고, 5회일 때 acetoside의 함량이 특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Harpagide의 함량은 건조-증숙 반복 사이클 1 내지 9회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여, 종래의 건조-주침-증숙 반복 공정의 간소화 및 생산 비용을 절감 시킬 수 있어 관련 산업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침과정이 생략된 숙지황의 제조 공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표준 제조 공정으로 제조된 숙지황의 제조 공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것이다.
도 3은 표준 제조 공정으로 제조된 숙지황의 공정 반복에 따른 5-HMF의 함량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침과정이 생략된 숙지황의 숙성 기간에 따른 5-HMF의 함량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주침과정이 생략된 숙지황의 건조-증숙 반복에 따른 5-HMF의 함량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주침과정이 생략된 숙지황의 건조-증숙 반복에 따른 물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A: 1 사이클, B: 3 사이클, C: 5 사이클, D: 7 사이클, E: 9 사이클).
도 7은 본 발명의 주침과정이 생략된 숙지황의 건조-증숙 반복에 따른 외관 및 색상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숙성 지황의 건조-증숙 반복에 따른 유효성분 3종(Acetoside, Aucubin 및 Harpagide)의 함량을 분석한 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지황을 숙성하여 숙성지황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지황을 건조 및 증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침과정이 생략된 숙지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지황”은 현삼과의 지황의 뿌리를 말려서 만든 약재로서, 중국이 원산지인 약용식물을 뜻한다. 뿌리는 굵고 육질이며 옆으로 뻗고 붉은빛이 도는 갈색을 띄며, 뿌리의 생것을 생지황, 건조시킨 것을 건지황이라 한다.
본 발명의 용어 “주침(酒製)”은 한약재를 술에 담그어, 약재의 속까지 술이 배도록 담구는 포제법을 뜻한다.
본 발명의 용어 “숙지황”은 지황을 황주 또는 백주와 같은 술에 넣고 주침하여, 증숙 건조하는 공정을 반복하여, 제조되는 약제로서, 주로 구증구포처리로 가공된 지황을 뜻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숙성은, 95% 에탄올로 숙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에탄올은 지황 무게의 1 내지 1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숙성은 45 내지 65℃에서 숙성될 수 있으며, 1 내지 20일간 숙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4일이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 및 증숙은, 건조 후 증숙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50 내지 70℃에서 3 내지 6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숙은 95 내지 115℃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증숙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5-HMF (5-Hydroxymethyl-2-furaldehyde)”는 건지황이나 생지황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숙지황제조 시 환원당과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식품을 열처리할 경우 발생하는 비효소적 갈색화 반응인 마이얄 반응(maillard reaction)의 중간 산물중 하나이다. 상기 5-HMF는 숙지황의 표준화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대한 약전에서는 건조된 숙지황을 정량할 때 5-HMF의 함량이 0.1% 이상 포함된 것이 숙지황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숙지황은 5-HMF (5-Hydroxymethyl-2-furaldehyde)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지황 무게의 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주침과정이 생략된 숙지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주침과정이 생략된 숙지황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건강 증진의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 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생 지황을 숙성하여 숙성지황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지황을 건조 및 증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세토사이드(Acetoside), 아큐빈(Aucubin) 또는 하르파자이드(Harpagide)의 함량이 증가된 숙지황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 및 증숙을 4 내지 6회 반복하면 아세토사이드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 및 증숙을 1 내지 3회 반복하면 아큐빈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 및 증숙을 1 내지 9회 반복하면 하르파자이드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숙성처리된 숙지황의 제조
본 발명의 숙성처리 후 증숙된 지황을 제조하기 위하여, 지황(2020년 충북 음성 수확)을 세척하여 원료 지황을 준비하였다. 이후 밀폐용기에, 상기 원료 지황에 95% 에탄올을 첨가하였다. 첨가한 에탄올은 지황 중량의 6% 부피(v/w%)로 첨가하였다. 이후 용기를 밀봉한 후 55℃에서 숙성시켰다. 숙성된 지황은 건조-증숙 과정만을 반복하여, 숙지황을 제조하였다(도 1).
<비교예 1> 표준 제조 공정 숙지황의 제조
본 발명의 숙성처리된 숙지황과 품질 비교를 위하여, 표준 제조 공정으로 제조된 숙지황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세척된 지황(2020년 충북 음성 수확)을 60℃에서 4시간 건조하였다(건조), 그 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주침하였으며(주침, 생막걸리 또는 살균막걸리; 4∼6°), 주침된 지황을 105℃에서 2시간 증숙하였다(증숙). 상기 건조-주침-증숙 과정을 1 사이클로하여, 0 내지 9회 반복하여 표준 제조 공정 숙지황을 제조하였다(도 2). 그후 표준 제조 공정 숙지황의 5-HMF (5-Hydroxymethyl-2-furaldehyde)함량을 분석하여, 본 발명의 숙성처리된 숙지황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준 제조 공정 숙지황은 증숙-건조 사이클이 7회 이상일 때 숙지황의 5-HMF의 함량 기준인 0.1 중량%를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숙성기간에 따른 숙지황의 5-HMF 함량
본 발명의 숙성처리된 숙지황에서 숙성기간에 따른 숙지황의 품질을 평가하고자하였다. 구체적으로, 숙지황의 품질기준이 되는 5-HMF (5-Hydroxymethyl-2-furaldehyde)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예 1의 숙성과정에서 0, 2, 4, 6, 8 및 10일간 지황을 숙성하였으며, 숙성된 지황을 증숙과 건조과정만을(증숙-건조) 3사이클 시행하였다. 그 후 각 숙성일별로 제조된 숙지황의 5-HMF함량을 HPLC로 측정(역상크로마토그래피에서 5-HMF 표준품을 이용하여 농도별 표준곡선을 작성, 시료 중 5-HMF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숙성처리된 숙지황은, 숙성 기간이 증가하면, 5-HMF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숙성을 6일 이상 하면 안정적으로 5-MHF의 함량이 기준치(0.1 w/w%) 이상으로 포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증숙-건조 횟수에 따른 숙지황의 5-HMF 함량
본 발명의 숙성처리된 숙지황의 증숙-건조 횟수에 따른 숙지황의 품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예 1의 숙성처리 과정에서 8일간 숙성된 숙지황을 이용하여, 증숙-건조 공정 횟수에 따른 5-HMF을 측정하였다. 증숙-건조 공정은 0 내지 9회(0 내지 9 사이클) 시행하였으며, 각 사이클 종료 후, 제조된 숙지황의 5-HMF 함량을 HPLC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숙성처리된 숙지황은, 증숙-건조 공정만을 시행하여도, 5-HMF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증숙-건조를 5사이클 이상 시행하면 안정적으로 5-HMF의 함량이 기준치(0.1 w/w%) 이상으로 포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숙성처리된 숙지황의 물성 및 외관 특성
<3-1> 숙성처리된 숙지황 증숙-건조 횟수에 따른 물성 분석
본 발명의 숙성처리된 숙지황의 증숙-건조 횟수에 따른 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2의 숙지황 중 증숙-건조 사이클이 1, 3, 5, 7, 9회 시행된 숙지황의 물성을 분석하였다(TAXT2 (Stable Micro Systems, Surrey, England), Two-bite test, 20 mm cylinderical plunger probe, test-speed; 5 mm/s, test-distance; 5 mm, return-speed; 5 mm/s). 물성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에 타나내었다.
Figure pat00001
그 결과, 본 발명의 숙성처리된 숙지황은 표준 제조 공정 숙지황의 제조 공정 특성과 동일하게, 증숙 횟수가 증가하면, 경도, 응집성, 점착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및 표 1).
<3-2> 숙성처리된 숙지황 증숙-건조 횟수에 따른 색도 분석
본 발명의 숙성처리된 숙지황의 증숙-건조 횟수에 따른 외관 및 색도를 분석하고자, 상기 실시예 3-1의 숙지황과 동일한 조건의 증숙-건조 사이클을 시행한 숙지황을 이용하여,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후 숙지황을 절단하여, 외부 및 내부의 색도를 측정하였다(CR-300, Konica, Minolta, Japan, 외부 표면 색도 및 횡단면 측정). 그 결과를 하기 표 2(외부 색도 측정 결과) 및 표 3(내부 색도 측정 결과)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숙성처리된 숙지황은, 건조-증숙 사이클이 증가할수록 외관의 색상이 검은색에 가까워지는 것을 확인하여, 표준 제조 공정 숙지황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부 및 내부의 색도가 표준 제조 공정 숙지황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증숙-건조 횟수에 따른 숙지황의 지황 유래 성분 함량
본 발명의 숙성처리된 숙지황의 증숙-건조 횟수에 따른 숙지황의 품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예 1의 숙성처리 과정에서 8일간 숙성된 숙지황을 이용하여, 증숙-건조 공정 횟수에 따른 5-HMF을 측정하였다. 증숙-건조 공정은 0 내지 9회(0 내지 9 사이클) 시행하였으며, 각 사이클 종료 후, 제조된 숙지황의 acetoside, aucubin, harpagide 함량을 UPLC(역상크로마토그래피, 표준품을 이용하여 표준곡선 작성 후 정량)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숙성처리된 숙지황은, 증숙-건조 공정을 1회 수행하였을 때, Aucubin의 함량(0.37 mg/g, ex.)이 특이적으로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증숙-건조 공정을 5회 반복하였을 때, Acetoside 함량(0.517 mg/g, ex.)이 특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Harpagide의 함량은 증숙-건조 공정을 1 내지 9회 반복하였을 때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숙성 처리된 숙지황은 최적 숙성 조건으로 6일, 최적 건조-증숙 반복 사이클이 5회 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기의 최적 조건으로 제조된 숙지황이, 표준 제조 공정으로 제조된 숙지황과 비교하여도, 품질 특성에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건조-증숙 반복 사이클이 1회일 때 aucubin의 함량이 증가하고, 5회일 때 acetoside의 함량이 특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Harpagide의 함량은 건조-증숙 반복 사이클 1 내지 9회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여, 종래의 건조-주침-증숙 반복 공정을 단순화 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품질 기준을 만족하는 숙지황을 제조하는 방법인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8)

  1. 생 지황을 숙성하여 숙성지황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지황을 건조 및 증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침과정이 생략된 숙지황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은 95% 에탄올로 숙성되는 것인,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95% 에탄올은, 지황 무게의 1 내지 1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인,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은 45 내지 65℃에서 숙성되는 것인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은 1 내지 20일간 숙성되는 것인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및 증숙은, 건조 후 증숙하는 것인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50 내지 70℃에서 건조하는 것인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3 내지 6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인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증숙은 95 내지 115℃에서 증숙하는 것인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증숙은 1 내지 3시간 동안 증숙하는 것인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숙지황은, 5-HMF (5-Hydroxymethyl-2-furaldehyde)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5-HMF은 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방법.
  13.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주침과정이 생략된 숙지황.
  14.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주침과정이 생략된 숙지황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15. 생 지황을 숙성하여 숙성지황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지황을 건조 및 증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세토사이드(Acetoside), 아큐빈(Aucubin) 또는 하르파자이드(Harpagide)의 함량이 증가된 숙지황의 제조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및 증숙을 4 내지 6회 반복하면 아세토사이드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인,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및 증숙을 1 내지 3회 반복하면 아큐빈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인,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및 증숙을 1 내지 9회 반복하면 하르파자이드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인, 방법.
KR1020210173631A 2021-12-07 2021-12-07 숙성처리가 적용된 증숙지황의 제조방법 KR202300854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631A KR20230085449A (ko) 2021-12-07 2021-12-07 숙성처리가 적용된 증숙지황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631A KR20230085449A (ko) 2021-12-07 2021-12-07 숙성처리가 적용된 증숙지황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449A true KR20230085449A (ko) 2023-06-14

Family

ID=86744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631A KR20230085449A (ko) 2021-12-07 2021-12-07 숙성처리가 적용된 증숙지황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54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57585A (zh) * 2023-12-08 2024-01-09 南昌大学 一种中药地黄的炮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57585A (zh) * 2023-12-08 2024-01-09 南昌大学 一种中药地黄的炮制方法
CN117357585B (zh) * 2023-12-08 2024-03-29 南昌大学 一种中药地黄的炮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38595B2 (ja) 糖尿病予防・改善剤
KR101404391B1 (ko) 마를 이용한 흑마의 제조방법
CN103960568B (zh) 一种人参总皂苷咀嚼片及其制备方法
KR101686898B1 (ko) 여주 및 산수유를 이용한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CN103783369B (zh) 一种牛蒡咀嚼片及其制备方法
CN107467467B (zh) 一种猴头菇米昔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604981A (zh) 一种红枣桃酥及其制备方法
CN102488189B (zh) 一种具有辅助降血脂保健功能的胶囊及其制备方法
CN104431686A (zh) 一种富硒阿胶菊粉咀嚼片及其制备方法
KR101738664B1 (ko) 갈근 전분액으로 코팅된 인삼 정과 과자의 제조방법
KR20230085449A (ko) 숙성처리가 적용된 증숙지황의 제조방법
KR20140026748A (ko) 인삼 및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CN102885246B (zh) 一种苦水玫瑰咀嚼片
KR20160148870A (ko) 쑥맥이떡의 제조방법
KR20040082468A (ko) 대추한약재 추출액을 이용한 찐빵
KR101837067B1 (ko) 다량의 총엽록소 성분 및 퀘르세틴 함량을 갖는 증숙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말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건강기능식품
KR20160010159A (ko) 꽃대가 올라온 상추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청 조성물
JP2007075125A (ja) 糖尿病の予防・改善用機能性食品
KR20090078013A (ko) 혈당강하 기능성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 상엽차
KR101979351B1 (ko) 인삼 츄잉정 및 그 제조방법
KR102135801B1 (ko) 항산화능이 향상된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116569A (ko)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99511A (ko) 증자 및 건조가공법을 이용한 흑마를 함유한 고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KR101668447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 식품
KR102173223B1 (ko) 볶음 우엉 또는 볶음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틱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