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840A -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 - Google Patents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840A
KR20230083840A KR1020210172215A KR20210172215A KR20230083840A KR 20230083840 A KR20230083840 A KR 20230083840A KR 1020210172215 A KR1020210172215 A KR 1020210172215A KR 20210172215 A KR20210172215 A KR 20210172215A KR 20230083840 A KR20230083840 A KR 20230083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urrent
magnet
module
magnetic field
osci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0298B1 (ko
Inventor
석현택
Original Assignee
석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현택 filed Critical 석현택
Priority to KR1020210172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298B1/ko
Publication of KR20230083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53Finger-rings having special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44C27/002Metall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자석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 착용자의 혈액순환을 개선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미세전류발진모듈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전류를 통해 통증을 더욱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세포의 재생 및 활성화가 증대될 수 있도록 한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미세전류발진기판이 구비되고 배터리가 구비되는 미세전류발진모듈과, 상기 미세전류발진모듈의 일측에 연결되어 신체부위에 접촉되고 표면에는 제 1 금속층이 형성되는 제 1 자석모듈과, 상기 미세전류발진모듈의 타측에 연결되어 신체부위에 접촉되고 표면에는 제 2 금속층이 형성되는 제 2 자석모듈을 포함하는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BODY CONTACT APPARATUS PROVIDED WITH MAGNETIC FILED AND MICROCURRENT}
개시된 내용은 예를 들어 손가락, 손, 발가락, 발, 목, 어깨 등과 같은 다양한 신체부위에 접촉되게 착용, 부착 또는 고정 가능한 신체접촉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반지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액세서리의 하나이다. 종래의 반지는 단순 액세서리로만 활용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자석의 자기장 또는 옥, 게르마늄, 세라믹 등으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혈액순환을 개선시키고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반지가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자석을 이용한 반지의 경우에 금속 또는 옥과 같은 재질에 의해 링 형상으로 가공된 반지본체에 자석을 조립하는 형태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자석반지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007470호(2015.01.21. 공개)에는 반지의 내주연에 자석이 삽입 설치되는 설치홈을 연속되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설치홈의 내부에 다수의 자석을 등 간격으로 배열설치시키며, 설치홈의 내부로 에폭시를 주입시켜 자석으로 고정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반지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0-0008449호(2010.08.26. 공개)에는 손가락에 삽입하는 링 형태의 반지 본체를 일체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하되, 상기 반지 본체의 전방에는 원주를 따라 다수의 조립공을 등각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조립공에는 전후 방향으로 N,S극을 형성하는 바형 자석을 각각 일정한 방향으로 삽입하여 조립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내장형 건강 반지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5-0016394호(1995.07.20. 공개)에는 2개의 자석을 내장하되 각 자석이 손가락의 혈관 상에 안치되도록 한 자석반지가 개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석반지의 경우에는 단순히 자석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 혈액순환을 개선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만 제공될 뿐이어서 통증 완화와 착용자의 건강 증진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007470호(2015.01.21. 공개) 2.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0-0008449호(2010.08.26. 공개) 3.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5-0016394호(1995.07.20. 공개)
자석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 착용자의 혈액순환을 개선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미세전류발진모듈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전류를 통해 통증을 더욱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세포의 재생 및 활성화가 증대될 수 있도록 한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미세전류를 발진시키는 미세전류발진모듈과, 상기 미세전류발진모듈의 일측에 연결되어 신체부위에 접촉되고 표면에는 제 1 금속층이 형성되는 제 1 자석모듈과, 상기 미세전류발진모듈의 타측에 연결되어 신체부위에 접촉되고 표면에는 제 2 금속층이 형성되는 제 2 자석모듈을 포함하는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되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자석모듈과 상기 제 2 자석모듈을 연결하여 신체부위에 착용 가능한 링 형상을 완성하는 절연모듈을 더 포함한다.
개시되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연모듈은 절연체로 코팅된 자석블럭으로 형성된다.
개시되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세전류발진모듈은 미세전류를 발진시키는 미세전류발진기판과,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자석모듈에 양극이 접하고 상기 제 2 자석모듈에 음극이 접한다.
개시되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자석모듈은 다수의 자석블럭이 연접되게 연결되어 형성된다.
개시되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자석모듈에 형성되는 제 2 금속층은 상기 제 1 자석모듈에 형성되는 제 1 금속층을 형성하는 금속보다 이온화경향이 낮은 금속으로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자석모듈에 의해 자기장이 형성됨에 따라 착용자의 혈액순환이 개선되고 통증이 완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전류발진모듈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전류가 신체부위에 접촉되는 제 1 및 제 2 자석모듈을 통해 해당 신체부위에 제공됨에 따라 통증이 더욱 완화되고 세포의 재생 및 활성화가 증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자석모듈를 형성하는 자석블럭마다 적층되는 금속층의 이온화경향의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미세전류가 제공됨에 따라 통증이 더욱 완화되고 세포의 재생 및 활성화가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의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의 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의 작동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세전류를 발진시키는 미세전류발진모듈(10)과, 미세전류발진모듈(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신체부위에 접촉되고 표면에는 제 1 금속층(21)이 형성되는 제 1 자석모듈(20)과, 미세전류발진모듈(10)의 타측에 연결되어 신체부위에 접촉되고 표면에는 제 2 금속층(31)이 형성되는 제 2 자석모듈(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미세전류발진모듈(10)은 예를 들어 저주파펄스에 따라 미세전류를 발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미세전류를 발진시키는 미세전류발진기판(11)과,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13)를 포함한다.
미세전류발진기판(11)은 공지의 전류공급회로가 구현된 인쇄회로기판으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13)는 교체 가능한 소형배터리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재충전이 가능한 2차전지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배터리(13)가 교체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소켓이 구비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충전케이블의 접속가능한 충전단자가 구비된다.
또한 미세전류발진모듈(10)은 실시예에 따라 미세전류의 발진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작동스위치(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작동스위치(15)는 가압여부 또는 가압횟수에 의해 온/오프 되는 버튼스위치, 위치이동에 따라 온/오프되는 접접이동식 스위치, 또는 그 외 공지된 다양한 온/오프 스위치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미세전류발진기판(11)의 출력단 중 하나에 해당하는 양극(17)은 후술될 제 1 자석모듈에 접하고 미세전류발진기판(11)의 출력단 중 하나에 해당하는 음극(19)은 후술될 제 2 자석모듈(30)에 접한다.
미세전류발진모듈(10)의 하우징은 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금속재, 합성수지재, 세라믹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 가능하다.
전술한 미세전류발진모듈(10)의 일측에는 제 1 자석모듈(20)이 연결된다. 제 1 자석모듈(20)은 자기장의 발생을 통해 착용자의 혈액순환을 개선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손가락, 손, 발가락, 발, 목, 어깨 등과 같은 다양한 신체부위에 접촉된다.
이러한 제 1 자석모듈(20)은 일반적인 영구자석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대적으로 자력이 강한 네오디뮴 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자석모듈(20)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자석블럭이 연접되게 연결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자석블럭이 연접되게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외에 일정 곡률반적으로 구부러진 곡면판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자석블럭이 연접되게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자석모듈(20)을 구성하는 각각의 자석블럭은 자력에 의해 서로 연접되게 결합될 수도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통상의 시계줄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힌지연결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자석모듈(20)의 표면에는 제 1 금속층(21)이 적층형성된다. 이러한 제 1 금속층(21)은 미세전류발진모듈(10)에서 발생된 미세전류를 해당 신체부위로 전달하기 위한 전극판에 해당하는 것으로, 통상의 금속도금방법 또는 금속코팅방법 등에 의해 형성 가능하다. 제 1 금속층(21)은 제 1 자석모듈(20)의 외부면 전체에 걸쳐 적층형성될 수도 있고, 신체부위에 접촉하는 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미세전류발진모듈(10)의 타측에는 제 2 자석모듈(30)이 연결된다. 제 2 자석모듈(30)은 자기장의 발생을 통해 착용자의 혈액순환을 개선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손가락, 손, 발가락, 발, 목, 어깨 등과 같은 다양한 신체부위에 접촉된다.
이러한 제 3 자석모듈(30)은 일반적인 영구자석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대적으로 자력이 강한 네오디뮴 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자석모듈(30)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자석블럭이 연접되게 연결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자석블럭이 연접되게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외에 일정 곡률반적으로 구부러진 곡면판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자석블럭이 연접되게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자석모듈(30)을 구성하는 각각의 자석블럭은 자력에 의해 서로 연접되게 결합될 수도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통상의 시계줄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힌지연결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자석모듈(30)의 표면에는 제 2 금속층(31)이 적층형성된다. 이러한 제 2 금속층(31)은 미세전류발진모듈(10)에서 발생된 미세전류를 해당 신체부위로 전달하기 위한 전극판에 해당하는 것으로, 통상의 금속도금 방법에 의해 형성 가능하다. 제 2 금속층(31)은 제 2 자석모듈(30)의 외부면 전체에 걸쳐 적층형성될 수도 있고, 신체부위에 접하는 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제 1 자석모듈(20)에 형성되는 제 1 금속층(21)과 제 2 자석모듈(30)에 형성되는 제 2 금속층(31)은 모두 동일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제 1 자석모듈(20)과 제 2 자석모듈(30)을 각각 형성하는 다수의 자석블럭마다 서로 상이한 이온화경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에 제 1 자석모듈(20)을 형성하는 다수의 자석블럭마다 적층되는 제 1 금속층(21)은 미세전류발진모듈(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온화경향이 점차 낮아지게 형성되고 제 2 자석모듈(30)을 형성하는 다수의 자석블럭마다 적층되는 제 2 금속층(21)도 미세전류발진모듈(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온화경향이 점차 낮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이온화 경향으로 차이로 인해 제 1 자석모듈(20)에 형성되는 제 1 금속층(21)과 제 2 자석모듈(30)에 형성되는 제 2 금속층(31)을 통해 해당 신체부위에 미세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해당 부위에 미세전류 자극이 가해질 수 있다.
미세전류발진모듈(10), 제 1 자석모듈(20)과 제 2 자석모듈(30)을 포함하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는 일부분이 결손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 손, 발가락, 발, 목 등과 같은 신체부위에 착용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패치 또는 밴드와 유사하게 손, 발, 목, 어깨 등과 같이 다양한 신체부위에 부착 또는 고정되는 패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디.
또한 미세전류발진모듈(10), 제 1 자석모듈(20)과 제 2 자석모듈(30)을 포함하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는 제 1 자석모듈(20)과 제 2 자석모듈(30)이 절연모듈(40)에 의해 연결되어 손가락, 손, 발가락, 발, 목 등과 같은 다양한 신체부위에 착용 가능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손가락에 착용되는 반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발가락에 착용되는 발가락지, 발목에 착용되는 발찌 또는 목에 착용되는 목걸이와 같은 액세서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자석모듈(20)과 제 2 자석모듈(30)을 연결하는 절연모듈(40)은 그 자체가 절연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절연체로 코팅된 블럭, 특히 자석블럭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자석모듈(20, 30)에 의해 자기장이 형성됨에 따라 착용자의 혈액순환이 개선되고 통증이 완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전류발진모듈(10)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전류가 제 1 및 제 2 자석모듈(20, 30)에 의해 형성되는 전극판을 통해 제공됨에 따라 통증이 더욱 완화되고 세포의 재생 및 활성화가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자석모듈(20)에 형성되는 제 1 금속층(21)으로부터 제 2 자석모듈(30)에 형성되는 제 2 금속층(31) 사이의 이온화 경향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전류가 제공됨에 따라 통증이 더욱 완화되고 세포의 재생 및 활성화가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미세전류발진모듈
11 : 미세전류발생기판
13 : 배터리
15 : 작동스위치
17 : 양극
19 : 음극
20 : 제 1 자석모듈
21 : 제 1 금속층
30 : 제 1 자석모듈
31 : 제 1 금속층
40 : 절연모듈

Claims (6)

  1. 미세전류를 발진시키는 미세전류발진모듈;
    상기 미세전류발진모듈의 일측에 연결되어 신체부위에 접촉되고 표면에는 제 1 금속층이 형성되는 제 1 자석모듈; 및
    상기 미세전류발진모듈의 타측에 연결되어 신체부위에 접촉되고 표면에는 제 2 금속층이 형성되는 제 2 자석모듈을 포함하는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석모듈과 상기 제 2 자석모듈을 연결하여 신체부위에 착용 가능한 링 형상을 완성하는 절연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연모듈은 절연체로 코팅된 자석블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류발진모듈은 미세전류를 발진시키는 미세전류발진기판과,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자석모듈에 양극이 접하고 상기 제 2 자석모듈에 음극이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자석모듈은 다수의 자석블럭이 연접되게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자석모듈에 적층되는 금속층은 상기 자석블럭마다 서로 상이한 이온화경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
KR1020210172215A 2021-12-03 2021-12-03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 KR102610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215A KR102610298B1 (ko) 2021-12-03 2021-12-03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215A KR102610298B1 (ko) 2021-12-03 2021-12-03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840A true KR20230083840A (ko) 2023-06-12
KR102610298B1 KR102610298B1 (ko) 2023-12-06

Family

ID=8677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215A KR102610298B1 (ko) 2021-12-03 2021-12-03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298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461U (ja) * 1994-08-31 1995-03-14 勝美 小池 治療具兼用組合せ装身具
KR950016394U (ko) 1993-12-31 1995-07-20 김선복 자석반지
JPH07213626A (ja) * 1994-01-26 1995-08-15 Serisuton Kenkyusho:Kk 微電流治療器
JP3049245U (ja) * 1997-11-28 1998-06-09 三田企画株式会社 治療器
KR20050030450A (ko) * 2003-09-26 2005-03-30 주식회사 대경솔라 미세전류에 의한 건강증진 기능이 부여된 장신구
JP2005131083A (ja) * 2003-10-30 2005-05-26 Sagami Chemical Metal Co Ltd 永久磁石リング
KR20100008449U (ko) 2009-02-17 2010-08-26 김양선 자석 내장형 건강 반지
KR20100120475A (ko) * 2009-05-06 2010-11-16 (주)한지 자석 보사를 이용한 기능성 반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07470A (ko) 2013-07-11 2015-01-21 김태규 자석반지
JP2016067398A (ja) * 2014-09-26 2016-05-09 悦郎 手塚 磁石装着具
KR20180132254A (ko) * 2017-06-02 2018-12-12 안상훈 국부전계 접촉형 액세서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461B2 (ja) * 1990-08-16 2000-02-14 三菱化学株式会社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JP3049245B2 (ja) * 1998-08-10 2000-06-05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導波路型光変調器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394U (ko) 1993-12-31 1995-07-20 김선복 자석반지
JPH07213626A (ja) * 1994-01-26 1995-08-15 Serisuton Kenkyusho:Kk 微電流治療器
JP3008461U (ja) * 1994-08-31 1995-03-14 勝美 小池 治療具兼用組合せ装身具
JP3049245U (ja) * 1997-11-28 1998-06-09 三田企画株式会社 治療器
KR20050030450A (ko) * 2003-09-26 2005-03-30 주식회사 대경솔라 미세전류에 의한 건강증진 기능이 부여된 장신구
JP2005131083A (ja) * 2003-10-30 2005-05-26 Sagami Chemical Metal Co Ltd 永久磁石リング
KR20100008449U (ko) 2009-02-17 2010-08-26 김양선 자석 내장형 건강 반지
KR20100120475A (ko) * 2009-05-06 2010-11-16 (주)한지 자석 보사를 이용한 기능성 반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07470A (ko) 2013-07-11 2015-01-21 김태규 자석반지
JP2016067398A (ja) * 2014-09-26 2016-05-09 悦郎 手塚 磁石装着具
KR20180132254A (ko) * 2017-06-02 2018-12-12 안상훈 국부전계 접촉형 액세서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298B1 (ko) 202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7046B2 (en) Kinetic energy system and apparatus for charging portable batteries
JP5627236B2 (ja) 性的刺激装置
TWI626936B (zh) massager
US20030142512A1 (en) Energized body jewelry
US11659879B2 (en) Flexible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and belt comprising the same
KR102435088B1 (ko) 파워 소스의 무선 충전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를 갖는 시계 케이스 백
US10722705B2 (en)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KR101670246B1 (ko) 다중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미용기기
KR20230083840A (ko)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
KR102130831B1 (ko) 의료용 또는 미용 성분을 피부에 주입하기 위한 이온도입 장치
JP3221261U (ja) 電気刺激用装着具
KR102221844B1 (ko) 매트형 전자기 치료 장치
KR102329883B1 (ko) 미세전류 및 진동 제공 기구, 이에 사용되는 진동소자부 및 이들의 결합체
KR101192108B1 (ko) 저주파 치료기
CN219579666U (zh) 一种可穿戴的睡眠仪
GB2451282A (en) A finger mountable sexual stimulation device
KR102477201B1 (ko) 클립식 보조배터리
JP2784022B2 (ja) 治療器
JP6937153B2 (ja) 筋肉電気刺激装置
KR20190041392A (ko) 복수의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의료용 또는 미용 성분을 피부에 주입하기 위한 이온도입 장치
EP3355131B1 (en) Watch
CN113725976B (zh) 一种可穿戴设备
US6928319B2 (en) Acupuncture device
CN113746296B (zh) 智能穿戴设备
JPS585061B2 (ja) 中敷型電気治療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