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502A - 커피 메이커 - Google Patents

커피 메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502A
KR20230083502A KR1020210171542A KR20210171542A KR20230083502A KR 20230083502 A KR20230083502 A KR 20230083502A KR 1020210171542 A KR1020210171542 A KR 1020210171542A KR 20210171542 A KR20210171542 A KR 20210171542A KR 20230083502 A KR20230083502 A KR 20230083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ase
water
dripper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현식
양중근
최승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1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3502A/ko
Priority to PCT/KR2021/018840 priority patent/WO2023101082A1/ko
Publication of KR20230083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 A47J31/103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with a siphon in the water heating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커피 메이커가 개시된다. 개시된 커피 메이커는 커피의 출수를 위해 물이 유동되는 케이스 모듈의 제1 내부 공간과 회로 기판이 설치되는 케이스 모듈의 제2 내부 공간을 내부 격벽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2 내부 공간의 상부에 가열 모듈을 배치하고, 케이스 모듈의 하부에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홀을 형성하고, 케이스 모듈의 상부에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홀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 메이커{COFFEE MAKER}
본 발명은 커피 원두 또는 커피 분말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많은 소비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가정, 회사 등에서 직접 커피를 제조해서 이를 음용한다.
커피를 제조하는 방식 중 핸드 드립(drip) 방식은, 필터가 설치된 드리퍼에 로스팅된 커피 분말을 담고, 커피 분말로 물을 부어 추출홀이 형성된 드리퍼의 하부로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이다. 핸드 드립 방식은 뜸 들이기(pre-wetting) 과정 및 커피 추출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뜸 들이기 과정은 블루밍(blooming), 프리-인퓨전(pre-infusion) 등으로도 호칭되며, 커피 추출 과정을 수행하기 전에 커피 분말에 소량의 물을 부어 후 일정 시간 동안 기다리는 과정이다. 뜸 들이기 과정을 통해 물이 커피 분말에 미리 균일하게 확산되고, 커피 분말에 포함된 탄소 가스가 배출된다. 커피 추출 과정은 다량의 물을 커피 분말에 부어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뜸 들이기 과정 및 커피 추출 과정에서, 사용자는 동심원 형태 또는 스파이럴(나선형) 형태로 물을 커피 분말에 붓는다.
핸드 드립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메이커가 개발되었다. 커피 메이커는 물 탱크 모듈, 드리퍼 모듈, 출수 모듈을 포함한다. 물 탱크 모듈은 물을 저장하고,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구비한다. 가열된 물은 출수 모듈을 통해 드리퍼 모듈로 공급되고, 드리퍼 모듈에 수용된 커피 분말에 물을 공급하여 커피를 추출한다.
물 탱크 모듈의 물 가열 동작 및 출수 모듈의 물 공급 동작 등을 제어하기 위해 회로 기판이 커피 메이커에 구비된다. 이 때, 물 가열 동작에 의해 회로 기판의 온도가 증가되며, 온도가 너무 높아지는 경우 커피 메이커가 고장나거나 이상 동작한다. 따라서, 가열부 및 회로 기판은 냉각되어야 한다.
또한, 물 탱크 모듈에서 저장된 물은 배관들을 통해 출수 모듈로 전달된다. 이 때, 배관들이 파손되거나 배관이 다른 배관과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않아서 물이 누수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누수된 물이 회로 기판(80)과 접촉하는 경우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피 메이커에 대한 방열 및 방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7273호가 개시되었다.
종래 기술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음용 온수를 제공하기 위해 유도 가열 모듈을 사용하며, 유도 가열 모듈을 제어하는 인쇄 회로 기판이 정수기 내에 구비된다. 이 때, 종래 기술은 수냉 방식으로 유도 가열 모듈을 냉각하고, 제어 모듈 커버를 이용하여 인쇄 회로 기판을 냉각한다.
그러나, 물이 흐르는 온수 탱크와 인접하여 인쇄 회로 기판이 설치되므로, 물의 누수 시 인쇄 회로 기판을 물로부터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피 메이커의 구조 상, 가열부는 공랭식 냉각 방식으로 냉각되어야 하므로, 수냉식의 냉각 방식은 커피 메이커에 적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 기판을 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랭식으로 가열 모듈 및 회로 기판을 모두 냉각할 수 있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장 또는 이상 동작이 사전에 방지될 수 있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는, 커피의 출수를 위해 물이 유동되는 케이스 모듈의 제1 내부 공간과 회로 기판이 설치되는 케이스 모듈의 제2 내부 공간을 내부 격벽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는, 케이스 모듈을, 아우터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이너 케이스가 내부 격벽을 구성할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부 공간에서 물이 누수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누수된 물이 제2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는, 제2 내부 공간의 상부에 가열 모듈을 배치하고, 케이스 모듈의 하부에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홀을 형성하고, 케이스 모듈의 상부에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홀에서 유입된 공기가 자연적으로 제2 내부 공간의 하부에서 제2 내부 공간의 상부로 이동하여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는 제2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에어 가이드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내부 공간의 전 영역에서 공기가 유동되어 토출홀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는, 커피 분말로부터 커피를 추출하는 드리퍼 모듈과, 물을 저장하고, 상기 물을 가열하는 물 탱크 모듈과, 상기 저장된 물을 상기 드리퍼 모듈로 공급하는 출수 모듈과, 상기 드리퍼 모듈, 상기 출수 모듈 및 상기 물 탱크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과, 아우터 케이스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드리퍼 모듈, 상기 출수 모듈, 상기 물 탱크 모듈 및 상기 회로 기판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은 제1 내부 공간 및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케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내부 공간 및 상기 제2 내부 공간이 구분되며, 상기 저장된 물은 상기 제1 내부 공간에서 상기 출수 모듈로 전달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는, 커피 분말로부터 커피를 추출하는 드리퍼 모듈과, 상기 드리퍼 모듈로 물을 공급하는 출수 모듈과, 상기 물을 저장하고, 상기 물을 가열하는 물 탱크 모듈과, 상기 드리퍼 모듈, 상기 출수 모듈 및 상기 물 탱크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과, 상기 드리퍼 모듈, 상기 출수 모듈, 상기 물 탱크 모듈 및 상기 회로 기판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케이스 모듈의 후측에는 상기 회로 기판이 설치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상방에는 상기 물 탱크 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모듈의 후측면의 하부에는 외부 공기를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하는 흡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모듈의 후측면의 상부에는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탱크 모듈의 물 가열 동작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 온도는 상기 내부 공간의 하부 온도보다 높고, 상기 유입된 공기는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 온도 및 하부 온도의 차이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 유동 공간(제1 내부 공간)에 누수되는 물이 회로 기판 설치 공간(제2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게 되어 물이 회로 기판과 접촉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안전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홀에서 유입된 공기가 자연적으로 제2 내부 공간의 하부에서 제2 내부 공간의 상부로 이동하여 토출되어 공기가 효율적으로 유동될 수 있으며, 회로 기판 및 가열 모듈의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 가이드의 설치를 통해 제2 내부 공간의 전 영역에서 공기가 유동될 수 있으며, 회로 기판 및 가열 모듈의 냉각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일부의 케이스 모듈이 생략된 커피 메이커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 모듈의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일부 구성이 생략된 출수 모듈의 후방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 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드리퍼 모듈의 제1 부분이 드리퍼 모듈의 제2 부분에서 탈착되는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드리퍼 모듈의 제1 부분이 드리퍼 모듈의 제2 부분에 장착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리퍼 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모듈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아우터 케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케이스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케이스의 후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이너 케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케이스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아우터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가 결합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프론트 케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이너 케이스와 결합된 프론트 케이스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방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방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 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상하 방향"은 커피 메이커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커피 메이커의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좌우 방향"은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 방향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모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양측 방향" 또는 "측 방향"은 좌우 방향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이들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혼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커피 원두(whole bean)라 함은 커피 나무에서 수확한 커피 생두(coffee bean)가 아니라,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로스팅된 커피 원두는 로스팅의 정도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다크 로스팅 커피는 라이트 로스팅 커피보다 더 물에 쉽게 커피 성분이 용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커피 원두는 로스팅 정도에 무관하게 커피 추출을 위해 이용할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커피 메이커는 분쇄된 커피 즉, 커피 분말(powder)를 물과 혼합한 후 커피 성분을 물에 녹여 액상 커피 또는 커피 액(coffee liquid)을 추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커피 액은 커피 분말에서 추출한 커피 성분이 포함된 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커피 액을 추출한다는 것은 커피 분말을 물에 용해하여 커피 분말에서 커피 성분을 포함하는 물을 추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커피는 일반적으로 커피 액을 의미하고, 커피 원두 및 커피 분말은 고체 형상의 커피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1)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1)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일부의 케이스 모듈(10)이 생략된 커피 메이커(1)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1)의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1)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좌표 축에서, x축 및 -x축 방향을 전방 및 후방으로, y축 및 -y축 방향을 우측방 및 좌측방으로, z축 및 -z축 방향을 상방 및 하방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커피 메이커(1)는 케이스 모듈(10), 물 탱크 모듈(20), 호퍼(30), 그라인더 모듈(40), 출수 모듈(50), 드리퍼 모듈(60), 커피 서버(70), 회로 기판(8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모듈(10)는 커피 메이커(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 모듈(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로서, 케이스 모듈(10)는 바디 케이스 및 베이스 케이스(1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케이스는 아우터 케이스(12), 이너 케이스(13), 프론트 케이스(14), 제1 어퍼 케이스(15), 제2 어퍼 케이스(16), 제1 커버(17), 제2 커버(18) 및 회로 기판 서포터(19)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바디는 커피 메이커(1)의 구성 요소들의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 케이스(11)는 케이스 바디 및 커피 서버(70)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커피 서버(70)는 베이스 케이스(11)의 제1 설치홈(111)에 안착될 수 있고, 케이스 바디는 베이스 케이스(11)의 제2 설치홈(112)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2)는 커피 메이커(1)의 실질적인 외관을 구성할 수 있으며, 비어있는 내부 공간(126, 127, 128)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2)의 내부 공간(126, 127, 128)에는 호퍼(30), 그라인더 모듈(40), 출수 모듈(50)의 제1 부분, 드리퍼 모듈(60)의 제1 부분, 회로 기판(80) 및 송풍 팬(90)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2)의 후측 상방에는 물 탱크 모듈(20)이 설치될 수 있다.
내부 공간(126, 127, 128)은 제1 내부 공간(126), 제2 내부 공간(127) 및 제3 내부 공간(12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 공간(126)에는 출수 모듈(50)의 제1 부분, 드리퍼 모듈(60)의 제1 부분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내부 공간(127)에는 회로 기판(80)이 설치될 수 있다. 제3 내부 공간(128)에는 호퍼(30) 및 그라인더 모듈(40)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2)의 후측면에는 흡입홀(121) 및 토출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홀(121)은 아우터 케이스(12)의 후측면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외부의 공기를 아우터 케이스(12)의 내부 공간 즉, 제2 내부 공간(127)으로 유입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는 제2 내부 공간(127)에 설치된 회로 기판(80)을 냉각할 수 있다. 토출홀(122)은 아우터 케이스(12)의 후측면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아우터 케이스(12)의 내부 공간 즉, 제2 내부 공간(127)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2)의 후측면에는 에어 가이드(123)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123)는 제2 내부 공간(127)에서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유입된 공기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123)의 일단은 아우터 케이스(12)의 후측면의 제1 지점에서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점은 흡입홀(121)의 형성 지점과 토출홀(122)의 형성 지점의 사이의 지점일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2)의 후측면의 제2 지점에는 배수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점은 상기한 제1 지점의 상측에 위치하는 지점일 수 있다. 배수홀(124)은 에어 가이드(123)의 상부에 위치하는 물 등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3)는 아우터 케이스(12)의 전측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3)는 아우터 케이스(12)의 전측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너 케이스(13)는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된 내부 격벽(13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물 탱크 모듈(20)에서 저장된 물은 배관 등의 물 유로를 통해 출수 모듈(50)로 전달되어 드리퍼 모듈(60)로 출수된다. 이 때, 물 유로가 파손되거나 서브 물 유로가 제대로 결합되지 않는 경우, 물 유로에서 물이 누수될 수 있으며, 누수된 물이 회로 기판(80)에 떨어져서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1)는 내부 격벽(131)에 의해 아우터 케이스(12)의 내부를 제1 내부 공간(126)과 제2 내부 공간(127)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제1 내부 공간(126)은 물 유로 영역과 대응될 수 있고, 제2 내부 공간(127)는 회로 기판 배치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제1 내부 공간(126)에는 누수된 물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출수 모듈(50)의 일부 및 드리퍼 모듈(60)의 일부가 설치될 수 있고, 제2 내부 공간(127)에는 누수된 물에 의해 영향을 받는 회로 기판(8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너 케이스(13)는 회로 기판 서포터(19)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 부재(132)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132)는 제2 내부 공간(127)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너 케이스(13)에는 물 탱크 모듈(20)의 물 출수부(24)와 연결되는 연결관(134)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134)은 제3 내부 공간(128)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4)는 이너 케이스(13)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4)의 일부는 아우터 케이스(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프론트 케이스(14)의 나머지 일부는 아우터 케이스(12)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4)는 아우터 케이스(12)의 개방된 전방면을 덮을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4)는 제1 프론트 케이스(141)와, 제1 프론트 케이스(141)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2 프론트 케이스(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퍼 케이스(15) 및 제2 어퍼 케이스(16)는 아우터 케이스(12)의 개방된 상부면을 덮을 수 있다.
제1 커버(17)는 물 탱크 모듈(20)의 입구를 덮을 수 있으며, 물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2 커버(18)는 호퍼(30)의 입구를 덮을 수 있으며, 커피 원두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회로 기판 서포터(19)는 아우터 케이스(12)의 내부 공간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 서포터(19)는 회로 기판(8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고, 회로 기판(80)을 지지할 수 있다.
케이스 모듈(10)의 구조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물 탱크 모듈(20)은 물을 수용할 수 있고,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물 탱크 모듈(20)을 다양한 방식으로 물을 수용할 수 있고,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물 탱크 모듈(20)은 물 탱크 바디(21), 가열판(22) 및 가열 모듈(23)을 포함할 수 있다.
물 탱크 바디(21)는 내부 공간이 비어 있으며, 상측 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물 탱크 바디(21)는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 탱크 바디(21)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 탱크 바디(21)의 내부 공간에는 물이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수용된 물의 온도는 상온수일 수 있다. 물 탱크 바디(21)의 입구는 제1 커버(17)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물 탱크 바디(21)의 전측에는 물 출수구(24)가 형성될 수 있다. 물 출수구(24)는 물 탱크 바디(21)에 저장된 물을 출수할 수 있다. 물 출수구(24)는 이너 케이스(13)에 형성된 연결관(134)과 연결될 수 있다.
가열판(22)은 물 탱크 바디(21)의 내측 하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판(22)은 물 탱크 바디(21)의 외측 하부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가열판(22)은 금속 재질일 수 있다. 물 탱크 바디(21)가 직육면체 형상인 경우, 가열판(22)은 직사각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열 모듈(23)은 물 탱크 바디(21)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기 위해 설치된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서, 가열 모듈(23)은 유도 가열(IH: 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열 모듈(23)은 워킹 코일, 페라이트, 알루미늄 쉴드,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 가열 방식에 따르면, 소정 크기의 고주파 전력이 워킹 코일에 인가되어 워킹 코일 주변에 자계가 발생된다. 발생된 자계에 기초하여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피가열 물체, 즉 가열판(22)에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된다. 발생된 와전류에 기초하여 피가열 물체, 즉 물이 가열된다.
유도 가열 방식으로 물을 가열함으로써, 빠른 속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고, 자기장의 출력을 제어하여 원하는 온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물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가열 모듈(23)의 가열 방식은 상기에서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가열 방식이 커피 메이커(1)에 적용될 수 있다.
호퍼(30)는 커피 원두를 수용할 수 있다. 호퍼(30)는 충분한 양의 커피 원두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일정량의 커피 원두를 그라인더 모듈(40)에 제공할 수 있다.
호퍼(3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로서, 호퍼(30)의 대체적으로 깔때기(funne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라인더 모듈(40)은 호퍼(30)에 의해 제공된 커피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 분말을 생성할 수 있다. 그라인더 모듈(40)은 호퍼(3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고, 드리퍼 모듈(6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라인더 모듈(40)에 의해 생성된 커피 분말은 중력에 의해 드리퍼 모듈(60)로 제공되어 드리퍼 모듈(6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라인더 모듈(40)은 미리 설정된 분쇄도에 따라 커피 원두를 분쇄할 수 있다. 분쇄도는 커피 분말의 입자 크기와 대응될 수 있다. 분쇄도가 높으면 커피 분말의 입자 크기는 작아질 수 있고, 분쇄도가 낮으면 커피 분말의 입자 크기는 커질 수 있다. 즉, 분쇄도는 커피 분말의 입자 크기와 반비례하는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분쇄도는 커피 레시피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분쇄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커피 메이커(1)는 복수의 커피 레시피를 구현할 수 있고, 사용자는 복수의 커피 레시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커피 레시피에 기초하여 분쇄도가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커피 메이커(1)는 커피 분말의 입자 크기를 감지하는 센서(일례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분쇄도는 감지된 커피 분말의 입자 크기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분쇄도는 커피 분말의 입자 크기의 감지를 통해 사용자의 관여 없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커피 원두를 분쇄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의 그라인더 모듈(40)이 커피 메이커(1)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인더 모듈(40)는 분쇄 모터(41), 전달 기어(42), 로테이터(Rotator)(43), 분쇄 기어(44) 및 지지 하우징(45)을 포함할 수 있다.
분쇄 모터(41)는 회전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분쇄 모터(41)의 동력은 전달 기어(42)를 통해 로테이터(43)로 전달될 수 있다.
전달 기어(42)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기어 중 어느 하나의 기어는 분쇄 모터(41)의 구동축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어 각각이 맞물림으로써 분쇄 모터(41)의 동력을 로테이터(43)로 전달할 수 있다.
로테이터(43)의 내측에는 커피의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 기어(44)가 설치될 수 있다. 로테이터(43)가 회전하면서 분쇄 기어(44)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퍼(30)의 하측으로 배출되는 커피 원두가 분쇄될 수 있다.
지지 하우징(45)은 그라인더 모듈(4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하우징(45)의 내측에 로테이터(43)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로테이터(43)의 외주면에는 치형이 형성되며, 전달 기어(42)가 로테이터(530)의 외주면에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하우징(45)은 호퍼(30)를 고정할 수 있다.
출수 모듈(50)은 드리퍼 모듈(60)에 수용된 커피 분말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출수 모듈(50)은 그라인더 모듈(4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고, 드리퍼 모듈(6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출수 모듈(50)이 그라인더 모듈(40)의 상방에 배치되면 물의 공급이 그라인더 모듈(40)에 의해 방해 받을 수 있으므로, 출수 모듈(50)은 그라인더 모듈(40)과 드리퍼 모듈(6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력에 의해 물을 자연스럽게 공급하기 위해, 출수 모듈(50)은 드리퍼 모듈(60)의 입구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출수 모듈(50)은 물 탱크 모듈(20)에 수용된 물을 드리퍼 모듈(60)로 공급할 수 있다. 출수 모듈(50)은 상온수 또는 온수를 드리퍼 모듈(60)로 공급할 수 있다. 물 탱크 모듈(20)의 가열 모듈(23)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출수 모듈(50)은 상온수를 드리퍼 모듈(60)로 공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핫 브루(hot brew) 방식이 커피가 추출될 수 있다. 물 탱크 모듈(20)의 가열 모듈(23)이 동작하는 경우, 출수 모듈(50)은 온수를 드리퍼 모듈(60)로 공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콜드 브루(cold brew) 방식이 커피가 추출될 수 있다.
출수 모듈(50)은 핸드 드립 동작과 유사하게 출수 모듈(50)은 스파이럴 형상으로 물을 출수하여 커피 분말로 공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 모듈(50)의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일부 구성이 생략된 출수 모듈(50)의 후방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 모듈(5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출수 모듈(50)은, 출수 모듈 하우징(51, 52), 제1 액츄에이터(actuator)(53), 제2 액츄에이터(54), 출수 노즐(56) 및 출수 노즐 이동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액츄에이터(53) 및 제2 액츄에이터(54)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58, 59)가 출수 모듈(5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출수 모듈 하우징(51, 52)은 제1 출수 모듈 하우징(51) 및 제2 출수 모듈 하우징(5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액츄에이터(53)는 제1 링 기어(531), 제1 아이들러 기어(idler gear)(532), 제1 구동 기어(533) 및 제1 모터(53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액츄에이터(54)는 제2 링 기어(541), 제2 아이들러 기어(542), 제2 구동 기어(543) 및 제2 모터(54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수 노즐 이동부(55)는 힌지(551), 제1 암(552) 및 제2 암(553)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수 노즐(56)은 노즐(561), 제1 파이프(562), 제2 파이프(563), 제3 파이프(564) 및 워터 펌프(56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수 모듈 하우징(51, 52)은 출수 모듈(50)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구성 요소를 보호할 수 있다. 출수 모듈 하우징(51, 52)은 적층되어 배치된 제1 출수 모듈 하우징(51) 및 제2 출수 모듈 하우징(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수 모듈 하우징(51)의 제1 부분(511)은 내부가 관통된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출수 모듈 하우징(51)의 제1 부분(511)의 내부 공간에 제1 및 제2 링 기어(531, 541) 및 출수 노즐 이동부(55)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출수 모듈 하우징(51)의 제1 부분(511)의 외부면에는 제1 및 제2 링 기어(531, 541)에 부착된 자석과 반응하여 제1 및 제2 링 기어(531, 541)의 위치를 감지하는 홀 센서(58)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출수 모듈 하우징(52)의 제1 부분(521)은 내부가 관통된 형상일 수 있다. 제2 출수 모듈 하우징(52)의 제1 부분(521)은 제1 출수 모듈 하우징(51)의 제1 부분(51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출수 모듈 하우징(51)의 제2 부분(512)은 내부가 비어 있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출수 모듈 하우징(52)의 제2 부분(522)은 제1 출수 모듈 하우징(51)의 제2 부분(512)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출수 모듈 하우징(51)의 제2 부분(512) 및 제2 출수 모듈 하우징(52)의 제2 부분(522)은 제1 아이들러 기어(532), 제2 아이들러 기어(542), 제1 구동 기어(533), 제2 구동 기어(543), 제1 모터(534), 제2 모터(544) 및 포토 인터럽터(59)의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모터(534)는 제1 출수 모듈 하우징(51)의 제2 부분(512)의 하측에서 제1 출수 모듈 하우징(51)의 제2 부분(512)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2 모터(544)는 제2 출수 모듈 하우징(52)의 제2 부분(522)의 상측에서 제2 출수 모듈 하우징(52)의 제2 부분(522)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아이들러 기어 샤프트(57)는 제1 아이들러 기어(532) 및 제2 아이들러 기어(542)를 동일한 축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포토 인터럽터(59)는 제1 구동 기어(533) 및 제2 구동 기어(543)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출수 노즐(56)은 물 탱크 모듈(20)에 수용된 물을 드리퍼 모듈(60)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출수 노즐(56)은, 노즐(561), 제1 파이프(562), 제2 파이프(563), 제3 파이프(564) 및 워터 펌프(565)를 포함할 수 있다.
워터 펌프(565)는 물 탱크 모듈(20)에 수용된 물을 펌핑할 수 있다. 워터 펌프(565)는 상부면에 구비되는 입구 및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워터 펌프(565)의 입구는 제1 배관(미도시)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워터 펌프(565)의 출구는 제2 배관(미도시)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배관의 타단은 이너 케이스(13)의 연결관(134)과 연결될 수 있고, 제2 배관의 타단은 제3 파이크(564)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파이프(564)는 워터 펌프(565)의 출구에서 펌핑된 물을 제2 파이프(563)로 제공할 수 있고, 제2 파이프(563)는 제1 파이프(56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파이프(562) 및 제2 파이프(563)는 제3 파이프(564)에서 제공된 물의 유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파이프(562)에 노즐(561)이 연결될 수 있고, 제1 파이프(562)를 통해 유동된 물은 노즐(561)에서 출수될 수 있다. 노즐(561)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561)에서 출수된 물은 중력에 의해 드리퍼 모듈(60)에 수용된 커피 분말로 공급될 수 있다.
노즐(561)은 출수 모듈 하우징(51, 52)의 관통된 내부 공간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파이프(564)의 일단은 워터 펌프(565)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파이프(563)의 일단은 제3 파이프(564)의 타단과 축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1 파이프(562)의 일단은 제2 파이프(563)의 타단과 축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1 파이프(562)의 타단은 노즐(561)과 연결될 수 있다.
출수 노즐 이동부(55)는 출수 모듈 하우징(51, 52)의 관통된 내부 공간에서 수평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출수 노즐 이동부(55)의 이동에 의해 출수 노즐(56), 정확하게는 노즐(561)이 상기한 내부 공간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노즐(561)의 이동은 수평면에서의 스파이럴 이동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출수 노즐 이동부(55)는 노즐(561)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출수 노즐 이동부(55)는 힌지(551), 제1 암(552) 및 제2 암(553)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551)는 제1 링 기어(531)의 제1 지점에서 결합될 수 있고, 제1 링 기어(531)의 제1 지점에서 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암(552)은 힌지(551)에서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노즐(561)은 제1 암(552)에 형성된 슬리브(5521)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제2 암(553)은 힌지(551)를 중심으로 제1 암(552)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암(553)의 타단에는 피니언 기어(5531)가 형성될 수 있고, 피니언 기어(5531)은 제2 링 기어(541)의 내접 기어(5413)와 맞물려서 회동할 수 있다.
제1 액츄에이터(53) 및 제2 액츄에이터(54)는 상기한 내부 공간에서 출수 노즐 이동부(55)를 회전, 즉 공전 및 자전시키기 위해 위해 설치되는 구성 요소이다. 출수 노즐 이동부(55)의 공전 및 자전에 따라 출수 노즐(56), 즉 노즐(561)이 스파이럴 이동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액츄에이터(53)는 제1 링 기어(531), 제1 아이들러 기어(532), 제1 구동 기어(533) 및 제1 모터(5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제2 액츄에이터(54)는 제2 링 기어(541), 제2 아이들러 기어(542), 제2 구동 기어(543) 및 제2 모터(54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링 기어(531, 541)은 상기한 내부 공간에서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한 내부 공간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공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링 기어(531)의 외부면에는 제1 외접 기어(5311)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링 기어(541)의 외부면에는 제2 외접 기어(54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 기어(531)의 내부면의 제1 지점에는 힌지(551)를 결합하는 힌지 결합부(53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아이들러 기어(532)는 제1 외접 기어(5311) 및 제1 구동 기어(533) 각각과 맞물릴 수 있다. 제2 아이들러 기어(542)는 제2 외접 기어(5411) 및 제2 구동 기어(543) 각각과 맞물릴 수 있다.
제1 구동 기어(533)는 제1 모터(534)의 구동축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모터(534)는 제1 링 기어(531)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구동 기어(543)는 제2 모터(544)의 구동축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모터(544)는 제2 링 기어(541)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출수 노즐 이동부(55)가 출수 노즐(56)를 스파이럴 이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모터(534)의 구동축은 제1 회전수로 구동될 수 있다. 제1 모터(534)에서 생성된 동력은 제1 구동 기어(533) 및 제1 아이들러 기어(532)를 통해 제1 외접 기어(5311)로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링 기어(531)가 상기한 내부 공간에서 회전(공전)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터(544)의 구동축은 제2 회전수로 구동될 수 있다. 제2 모터(544)에서 생성된 동력은 제2 구동 기어(543) 및 제2 아이들러 기어(542)를 통해 제2 외접 기어(5411)로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링 기어(541)가 상기한 내부 공간에서 회전(공전)할 수 있다. 이 때, 제1 링 기어(531)의 회전 방향과 제2 링 기어(541)의 회전 방향은 동일할 수 있으며, 제1 회전수와 제2 회전수는 다를 수 있다.
또한, 제2 링 기어(541)가 회전함으로써 내접 기어(5413)도 제2 링 기어(541)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내접 기어(5413)와 피니언 기어(5531)가 맞물림으로써 제2 암(553)이 힌지(551)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결국, 출수 노즐 이동부(55)는 제1 링 기어(531)와 제2 링 기어(541)의 회전 속도 차이에 기초하여 제1 링 기어(531)의 제1 지점을 중심으로 자전할 수 있다. 따라서, 출수 노즐 이동부(55)의 공전 및 자전에 기초하여 출수 노즐 이동부(55)에 결합된 노즐(561)이 스파이럴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드리퍼 모듈(60)은 그라인더 모듈(40) 및 출수 모듈(50) 각각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드리퍼 모듈(60)은 그라인더 모듈(40)에서 제공되어 출수 모듈(50)을 통과한 커피 분말을 수용할 수 있고, 출수 모듈(50)에서 제공된 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물 및 커피 분말로부터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드리퍼 모듈(60)의 입구를 통해 커피 분말 및 물이 드리퍼 모듈(60)의 수용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드리퍼 모듈(60)의 출구는 드리퍼 모듈(60)의 하측에 형성되며, 추출된 커피를 커피 서버(70)로 공급할 수 있다. 드리퍼 모듈(60)의 출구는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드리퍼 모듈(60)의 제1 부분이 드리퍼 모듈(60)의 제2 부분에서 탈착되는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드리퍼 모듈(60)의 제1 부분이 드리퍼 모듈(60)의 제2 부분에 장착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리퍼 모듈(6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도 5, 도 9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드리퍼 모듈(60)은, 드리퍼(61) 및 드리퍼 밸브 모듈(6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리퍼(61)는 그라인더 모듈(40)에서 제공된 커피 분말을 수용하며, 출수 모듈(50)에서 제공된 물을 수용할 수 있다. 드리퍼(61)의 내부면에는 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드리퍼(61)는, 상측에 형성된 드리퍼(61)의 개방된 입구와, 하부면에 형성된 드리퍼(61)의 출구, 즉 추출홀(612)을 포함할 수 있다. 드리퍼(61)는 전체적으로 깔때기의 상측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드리퍼(61)의 외부면에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614)가 형성될 수 있다.
커피 메이커(1)가 커피를 추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드리퍼(61)는 고정되며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추출홀(612)은, 추출홀(612)의 상측에 형성된 제1 추출홀(6121)과, 추출홀(612)의 하측에 형성된 제2 추출홀(6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추출홀(6121)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추출홀(6121)은 깔때기의 상측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추출홀(6121)의 내부면에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613)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613)는 드리퍼 캡(622)의 상측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6221)와 결합되어 드리퍼 캡(622)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드리퍼 밸브 모듈(62)은 추출홀(612)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추출홀(612)의 개방 시, 드리퍼 밸브 모듈(62)은 추출홀(612)의 개방도를 조절할 수 있다.
드리퍼 밸브 모듈(62)은 제1 드리퍼 밸브 모듈(62a) 및 제2 드리퍼 밸브 모듈(6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드리퍼 밸브 모듈(62a)은 드리퍼(61)의 하방에서 드리퍼(61)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드리퍼 밸브 모듈(62b)은 케이스 모듈(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드리퍼 밸브 모듈(62a)과 결합된 드리퍼(61)(즉, 드리퍼 모듈(60)의 제1 부분)은 제2 드리퍼 밸브 모듈(62b)(즉, 드리퍼 모듈(60)의 제2 부분)과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드리퍼 밸브 모듈(62a)은 드리퍼 베이스(621), 드리퍼 캡(622), 드리퍼 실러(623) 및 드리퍼 윙(6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드리퍼 밸브 모듈(62b)은 드리퍼 서포터(625, 626), 제1 풀리(627), 제2 풀리(628), 벨트(629) 및 제3 모터(63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리퍼 베이스(621)는 드리퍼(61)의 하부면(즉, 바닥면)과 결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드리퍼 밸브 모듈(62b)에 의해 드리퍼 베이스(621)는 드리퍼(6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 회전할 수 있으므로, 드리퍼 베이스(621)는 축 회전 가능하도록 드리퍼(61)의 하부면과 결합될 수 있다.
드리퍼 베이스(621)에는 연결홀(6211)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홀(6211)은 추출홀(612)과 연통되도록 드리퍼 베이스(621)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드리퍼(61)에서 추출된 커피는 서로 연통된 추출홀(612) 및 연결홀(6211)을 통해 커피 서버(70)로 제공될 수 있다.
연결홀(6211)의 내부면에는 제1 나사(6212)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나사(6212)는 드리퍼 캡(622)의 외부면의 하측에 형성된 제2 나사(6222)와 맞물릴 수 있다.
드리퍼 베이스(621)의 외부면에는 복수 개의 제1 결합 부재(62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6213)는 드리퍼 베이스(621)를 제1 풀리(627)에 결합시키기 위해 드리퍼 베이스(62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6213)는 제1 풀리(627)의 내부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결합 부재(6271)와 엇갈림 결합될 수 있다. 즉, 구체적으로,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결합 부재(6271)의 사이에는 갭(cap)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결합 부재(6213)는 상기 캡을 통과할 수 있다. 이 때, 드리퍼(61)가 축 방향으로 소량 이동할 수 있고, 제1 결합 부재(6213) 역시 소량 이동할 수 있다. 소량 이동된 제1 결합 부재(6213)의 상부면은 제2 결합 부재(6271)의 하부면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 부재(6213)와 제2 결합 부재(6271)의 접촉으로 의해 드리퍼 베이스(621)는 제1 풀리(627)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드리퍼 캡(622)은 추출홀(612)을 개폐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드리퍼 캡(622)은 추출홀(612)의 내부 및 연결홀(62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드리퍼 캡(622)의 상측은 추출홀(612)과 결합될 수 있다. 드리퍼 캡(622)은 추출홀(612)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출홀(612)이 개폐될 수 있다. 이 때, 드리퍼(61)가 축 회전하지 않으므로, 추출홀(612)과 결합된 드리퍼 캡(622) 역시 축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드리퍼 캡(622)은 축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드리퍼 캡(622)의 상측 단부에는 복수의 가이드 부재(622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6221)의 외측 단부에는 가이드 홀(6221a)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613)는 가이드 홀(6221a)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홀(6221a)의 내부로 가이드 돌기(613)가 삽입됨으로써, 추출홀(612)의 내부에서의 드리퍼 캡(622)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드리퍼 실러(623)는 추출홀(612)이 폐쇄되는 경우, 커피가 추출홀(612)(즉, 제2 추출홀(6122))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드리퍼 실러(623)는 가이드 부재(622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드리퍼 윙(624)은 드리퍼 베이스(621)의 축 회전을 지지하기 위해 드리퍼 베이스(621)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드리퍼 윙(624)은 드리퍼 베이스(621)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드리퍼 윙(624)인 베어링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드리퍼 서포터(625, 626)는 드리퍼 모듈(60)의 제1 부분을 지지할 수 있으며, 제1 풀리(627)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드리퍼 서포터(625, 626)는 적층되어 배치된 제1 드리퍼 서포터(625) 및 제2 드리퍼 서포터(62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드리퍼 서포터(625)에는 드리퍼 베이스(621)의 연결홀(6211)과 연통되는 제1 관통홀(625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드리퍼 서포터(626)에는 드리퍼 베이스(621)를 삽입하기 위한 제2 관통홀(626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관통홀(6261)을 통해 드리퍼(61)와 결합된 드리퍼 베이스(621)가 드리퍼 서포터(625, 626)에 삽입되고, 드리퍼 베이스(621)의 연결홀(6211)에서 추출된 커피가 제1 관통홀(6251)을 통해 커피 서버(70)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드리퍼 서포터(626)에는 고정홀(6262)이 형성될 수 있다. 드리퍼(61)의 외부면에는 고정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고정 돌기는 고정홀(6262)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 돌기가 고정홀(6262)에 삽입됨으로써 드리퍼(61)는 축 회전하지 않고, 드리퍼 베이스(621)만이 축 회전할 수 있다.
제1 풀리(627)는 드리퍼 서포터(625, 626)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드리퍼 베이스(621)는 제1 풀리(627)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풀리(627)의 외부면은 벨트(629)의 일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풀리(628)는 드리퍼 서포터(625, 626)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풀리(628)의 중앙에는 제3 모터(630)의 구동축과의 결합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풀리(628)의 외부면은 벨트(629)의 타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풀리(628)는 제3 모터(630)의 구동력을 제1 풀리(627)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벨트(629)는 제1 풀리(627)와 제2 풀리(628)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벨트(629)는 제2 풀리(628)의 회전에 따른 운동을 제1 풀리(627)로 전달할 수 있다. 제3 모터(630)는 드리퍼 베이스(621)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드리퍼 밸브 모듈(62)이 드리퍼(61)의 추출홀(612)을 개폐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 모터(630)의 구동축이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풀리(628)가 일 방향으로 축 회전할 수 있고, 벨트(629)에 의해 제1 풀리(627)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풀리(627)와 고정 결합된 드리퍼 베이스(621)도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드리퍼(61)는 제2 드리퍼 서포터(626)에 고정되어 축 회전하지 않을 수 있고, 드리퍼 베이스(621)만이 일 방향으로 축 회전할 수 있다. 드리퍼 베이스(621)의 일 방향으로의 축 회전에 따라 연결홀(6211) 및 제1 나사(6212)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1 추출홀(6121)의 가이드 돌기(613)은 드리퍼 캡(622)의 가이드 부재(6221)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드리퍼(61)가 축 회전하지 않으므로, 드리퍼 캡(622) 역시 축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나사(6212)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으로 인해, 드리퍼 캡(622)의 제2 나사(6222)는 제1 나사(6212)에서 풀어질 수 있다(unscrew). 풀어진 제2 나사(6222)는 상방으로 직선 이동하고, 이에 따라 드리퍼 캡(622) 자체가 추출홀(612)의 내부에서 상방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드리퍼 캡(622)이 상방으로 직선 이동함으로써 추출홀(612) 내부에 개방된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출홀(612)이 개방될 수 있다.
이 후, 제3 모터(630)의 구동축이 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풀리(628)가 타 방향으로 축 회전할 수 있고, 벨트(629)에 의해 제1 풀리(627)가 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풀리(627)와 결합된 드리퍼 베이스(621)도 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드리퍼 베이스(621)의 타 방향으로의 축 회전에 따라 연결홀(6211)이 타 방향으로 축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결홀(6211)에 형성된 제1 나사(6212)가 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나사(6222)의 타 방향으로의 회전으로 인해 드리퍼 캡(622)의 제2 나사(6222)는 제1 나사(6212)에 조여질 수 있다(screw). 조여진 제2 나사(6222)는 하방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드리퍼 캡(622) 자체가 추출홀(612)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드리퍼 캡(622)이 하방으로 직선 이동함으로써 드리퍼 캡(622)의 상측은 제1 추출홀(6121)과 밀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출홀(612)이 폐쇄될 수 있다.
커피 서버(70)는 케이스 모듈(10)로부터 착탈 가능하며, 사용자는 커피 서버(70)에 수용된 커피를 커피 용기에 담아 커피를 음용할 수 있다.
회로 기판(80)은 드리퍼 모듈(60)의 커피 추출 동작, 출수 모듈(50)의 물 공급 동작 및 물 탱크 모듈(20)의 가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 요소일 수 있다.
회로 기판(80)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의 회로 기판(80)은, 커피 메이커(1)의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메인 회로 기판, 물 탱크 모듈(20)의 가열 동작을 제어하는 인버터 회로 기판, 전기적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EMI 회로 기판,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경하는 SMPS 회로 기판, 그라인더 모듈(40), 출수 모듈(50) 및 드리퍼 모듈(60)의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회로 기판, 송풍 팬(90)을 제어하는 송풍 팬 회로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등을 참조하여, 케이스 모듈(1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모듈(10)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모듈(1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커버(17), 제2 커버(18)는 도 13 및 도 14에서 생략하였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케이스 모듈(10)은 바디 케이스 및 베이스 케이스(1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케이스는 아우터 케이스(12), 이너 케이스(13), 프론트 케이스(14), 제1 어퍼 케이스(15), 제2 어퍼 케이스(16) 및 회로 기판 서포터(19)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케이스(11)는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일 수 있되, 베이스 케이스(11)의 전측은 반원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 케이스(11)는 케이스 바디 및 커피 서버(70)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 케이스(11)는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설치홈(111) 및 제2 설치홈(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설치홈(111)은 베이스 케이스(11)의 전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커피 서버(7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설치홈(111)의 형상은 커피 서버(70)의 바닥면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일례로, 커피 서버(70)의 바닥면은 원 형상이므로, 제1 설치홈(111)의 형상은 원 형상일 수 있다.
제2 설치홈(112)은 베이스 케이스(11)의 후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디 케이스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설치홈(112)의 형상은 바디 케이스의 바닥면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일례로, 바디 케이스의 바닥면은 개방된 사각 형상이므로, 제2 설치홈(112)의 형상은 사각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 케이스(11)의 후측 단부(113), 좌측 단부(114) 및 우측 단부(115)는 바디 케이스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케이스(11)의 후측 단부(113)는 바디 케이스의 후측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케이스(11)의 좌측 단부(114)는 바디 케이스의 좌측면에서 좌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케이스(11)의 우측 단부(115)는 바디 케이스의 우측면에서 우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2)는 커피 메이커(1)의 실질적인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2)는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2)의 내부는 비어있을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아우터 케이스(12)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케이스(12)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케이스(12)의 후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도 5, 도 13 내지 도 17를 참조하면, 아우터 케이스(12)는 제1 아우터 케이스(12a) 및 제2 아우터 케이스(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우터 케이스(12a)는 아우터 케이스(12)의 전측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아우터 케이스(12a)의 내부에는 제1 내부 공간(126) 및 제3 내부 공간(128)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아우터 케이스(12a)는 제1-1 아우터 케이스(12a-1) 및 제1-2 아우터 케이스(12b-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아우터 케이스(12a-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제1-1 아우터 케이스(12a-1)는 사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1-1 아우터 케이스(12a-1)의 전측면, 후측면, 상측면 및 하측면은 개방될 수 있다. 제1-1 아우터 케이스(12a-1)의 내부에 이너 케이스(13)의 일부 및 프론트 케이스(14)가 배치될 수 있다.
제1-1 아우터 케이스(12a-1)의 내부에는 제1 내부 공간(12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 공간(126)에는 출수 모듈(50)의 제1 부분, 드리퍼 모듈(60)의 제1 부분이 설치될 수 있다.
제1-2 아우터 케이스(12b-1)는 제1-1 아우터 케이스(12a-1)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2 아우터 케이스(12b-1)는 제1-1 아우터 케이스(12a-1)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2 아우터 케이스(12b-1)의 상측면 및 하측면은 개방될 수 있다. 제1-2 아우터 케이스(12b-1)의 상측면의 일부는 제1 어퍼 케이스(15) 및 제2 어퍼 케이스(16)에 의해 덮힐 수 있다. 제1-2 아우터 케이스(12b-1)의 내부에 이너 케이스(13)의 나머지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1-2 아우터 케이스(12b-1)의 내부에는 제3 내부 공간(128)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내부 공간(128)에는 호퍼(30) 및 그라인더 모듈(40)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아우터 케이스(12b)는 제1 아우터 케이스(12a)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제2 아우터 케이스(12b)는 사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2 아우터 케이스(12b)의 전측면, 상측면 및 하측면은 개방될 수 있다.
제2 아우터 케이스(12b)의 내부에는 제2 내부 공간(127)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부 공간(127)에는 회로 기판 서포터(19), 회로 기판(80) 및 송풍 팬(90)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아우터 케이스(12b)의 높이는 제1 아우터 케이스(12a)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으며, 제2 아우터 케이스(12b)의 상방에는 물 탱크 모듈(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아우터 케이스(12b)의 후측면에는 흡입홀(121), 토출홀(122) 및 배수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홀(121)은 복수 개일 수 있다. 흡입홀(121)은 제2 아우터 케이스(12b)의 후측면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내부 공간(127)에 설치된 회로 기판(80)을 냉각하기 위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송풍 팬(90)은 흡입홀(121)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송풍 팬(90)은 유입된 공기를 제2 내부 공간(127)으로 공급할 수 있다.
토출홀(122)은 복수 개일 수 있다. 토출홀(122)은 제2 아우터 케이스(12b)의 후측면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내부 공간(127)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토출홀(122)은 물 탱크 모듈(20)의 가열 모듈(23)의 하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아우터 케이스(12b)의 후측면에는 에어 가이드(123)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123)는 유입된 공기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에어 가이드(123)는 흡입홀(121)로 유입되어 회로 기판(80)을 냉각한 공기가 토출홀(122)로 토출되는 것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제2 내부 공간(127)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123)의 일단은 제2 아우터 케이스(12b)의 후측면의 제1 지점에서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점은 흡입홀(121)의 형성 지점과 토출홀(122)의 형성 지점의 사이의 지점일 수 있다. 에어 가이드(123)의 일단과 대향되는 에어 가이드(123)의 타단은 에어 가이드(123)의 일단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가이드(123)는 제2 내부 공간(127)에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수홀(124)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배수홀(124)은 흡입홀(121)의 형성 지점과 토출홀(122)의 형성 지점의 사이의 제2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4를 참조하면, 제2 지점은 상기한 제1 지점의 상측에 위치하는 지점일 수 있다. 배수홀(124)은 에어 가이드(123)의 상부에 위치하는 물 등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수홀(124)은 토출홀(122)과 함께 제2 내부 공간(127)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제1 아우터 케이스(12a)와 제2 아우터 케이스(12b)의 경계 지점에서는 복수, 일례로 4개의 제3 결합 부재(125)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결합 부재(125)는 아우터 케이스(12)의 내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결합 부재(125)는 후술할 이너 케이스(13)의 제4 결합 부재(133)와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이너 케이스(13)는 아우터 케이스(12)의 전측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너 케이스(13)는 제1 아우터 케이스(12a)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3)는 제1 아우터 케이스(12a)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너 케이스(13)는 아우터 케이스(12)의 내부 공간(126, 127, 128)을 제1 내부 공간(126), 제2 내부 공간(127) 및 제3 내부 공간(128)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이너 케이스(13)는 회로 기판 서포터(19), 호퍼(30) 및 그라인더 모듈(4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이너 케이스(13)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케이스(13)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아우터 케이스(12)와 이너 케이스(13)가 결합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 도 13, 도 14,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이너 케이스(13)는 제1 이너 케이스(13a) 및 제2 이너 케이스(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너 케이스(13a)는 제1 내부 공간(126) 및 제2 내부 공간(127)에서 상하 방항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제1 이너 케이스(13a)는 제1-1 아우터 케이스(12a-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너 케이스(13a)의 후측면은 막혀있을 수 있다. 막혀있는 제1 이너 케이스(13a)의 후측면은 내부 격벽(131)을 구성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2)의 내부 공간(126, 127, 128) 중 제1 내부 공간(126)과 제2 내부 공간(127)은 내부 격벽(131)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특히, 이너 케이스(13)의 내부 격벽(131) 및 제2 아우터 케이스(12b)의 내부에 의해 제2 내부 공간(127)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이너 케이스(13a)의 후측면에는 제2 내부 공간(127)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132)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2개의 연결 부재(132)가 제1 이너 케이스(13a)의 후측면의 중측 및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132)는 회로 기판 서포터(19)를 연결함과 동시에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연결 부재(132)와 회로 기판 서포터(19)는 나사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이너 케이스(13a)의 후측면에는 복수, 일례로 4개의 제4 결합 부재(133)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4 결합 부재(133)는 제1 이너 케이스(13a)의 후측면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20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4 결합 부재(133) 각각은 대응되는 제3 결합 부재(125)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너 케이스(13)가 아우터 케이스(12)에서 탈착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이너 케이스(13b)는 제1 이너 케이스(13a)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이너 케이스(13b)는 제1 이너 케이스(13a)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이너 케이스(13b)는 제1-2 아우터 케이스(12b-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이너 케이스(13b)의 상측면은 개방될 수 있고, 제2 이너 케이스(13b)의 하측면에는 그라인더 모듈(40)을 하방에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너 케이스(13b)의 후측면은 개방될 수 있으며, 물 탱크 모듈(20)의 물 출수관(24)이 제2 이너 케이스(13b)의 후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1 이너 케이스(13a)의 후측면 및 제2 이너 케이스(13b)의 후측면은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이너 케이스(13b)의 후측에는 연결관(134)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134)의 일단은 물 탱크 모듈(20)의 물 출수부(24)와 연결될 수 있고, 연결관(134)의 타단은 제1 이너 케이스(13a)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물 탱크 모듈(20)에 저장된 물은 되는 서로 연결된 물 출수부(24), 연결관(134) 및 제1 이너 케이스(13a)에 배치된 제1 배관을 통해 출수 모듈(50), 즉 워터 펌프(565)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4)는 아우터 케이스(12)의 개방된 전측면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또한, 출수 모듈(50) 및 드리퍼 모듈(60)은 프론트 케이스(14)에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4)는 이너 케이스(13)의 전방, 보다 정확하게는 제1 이너 케이스(13a)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4)의 후측, 이너 케이스(13)의 내부 격벽(131) 및 제1 아우터 케이스(12a)의 내부에 의해 제1 내부 공간(126)이 정의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프론트 케이스(14)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14)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이너 케이스(13)와 결합된 프론트 케이스(14)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 도 13, 도 14,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4)는 제1 프론트 케이스(141) 및 제2 프론트 케이스(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론트 케이스(141)는 제1-1 프론트 케이스(141a) 및 제1-2 프론트 케이스(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프론트 케이스(141a)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1 프론트 케이스(141a)는 제1 아우터 케이스(12a)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1 프론트 케이스(141a)의 중측에는 설치 홀(1413)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설치 홀(1413)은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설치 홀(1413)을 관통하여 드리퍼 서포터(625, 626)가 배치될 수 있고, 드리퍼 서포터(625, 626)의 내부에 배치된 벨트(629)의 타부분이 제1-1 프론트 케이스(141a)의 후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1 프론트 케이스(141a)의 후측면에는 지지 부재(1411), 제5 결합 부재(1412a) 및 제6 결합 부재(1412b)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1411), 제5 결합 부재(1412a) 및 제6 결합 부재(1412b)는 제1-1 프론트 케이스(141a)의 후측면에서 제1 내부 공간(126)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1411)는 프론트 케이스(14)와 이너 케이스(13)를 미리 설정된 제1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즉, 지지 부재(1411)는 제1-1 프론트 케이스(141a)와 제1 이너 케이스(13a)를 제1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제5 결합 부재(1412a)는 드리퍼 모듈(60)의 일부, 즉 제3 모터(630)를 제1-1 프론트 케이스(141a)에 결합하고, 제3 모터(630)를 지지할 수 있다. 제6 결합 부재(1412b)는 출수 모듈(50)의 일부, 즉 워터 펌프(565)를 제1-1 프론트 케이스(141a)에 결합하고, 워터 펌프(565)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모터(630) 및 워터 펌프(565)는 제1 내부 공간(126)에서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2 프론트 케이스(141b)는 제1-1 프론트 케이스(141a)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2 프론트 케이스(141b)는 제1-1 프론트 케이스(141a)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2 프론트 케이스(141b)는 전체적으로 아우터 케이스(1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 프론트 케이스(141b)에는 출수 모듈(50)을 설치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론트 케이스(142)는 제2-1 프론트 케이스(142a) 및 제2-2 프론트 케이스(14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프론트 케이스(142a)는 제1-2 프론트 케이스(141b)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2 프론트 케이스(141b)와 결합될 수 있다. 제2-1 프론트 케이스(142a)는 전체적으로 아우터 케이스(1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1 프론트 케이스(142a)에는 출수 모듈(50)을 설치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2 프론트 케이스(142b)는 제2-1 프론트 케이스(142a)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2 프론트 케이스(142b)는 제1 아우터 케이스(12a)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2 프론트 케이스(142b)는 제2-1 프론트 케이스(142a)와 제1 이너 케이스(13a)를 제1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프론트 케이스(14)에 따른 출수 모듈(50) 및 드리퍼 모듈(60)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출수 모듈(50)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링 기어(531), 제2 링 기어(541), 제1 아이들러 기어(532)의 일부, 제2 아이들러 기어(542)의 일부, 출수 노즐 이동부(55) 및 출수 노즐(56)의 일부는 결합된 제1-2 프론트 케이스(141b) 및 제2-1 프론트 케이스(142a)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아이들러 기어(532)의 나머지 일부, 제2 아이들러 기어(542)의 나머지 일부, 제1 구동 기어(533), 제2 구동 기어(543), 제1 모터(534) 및 제2 모터(544)는 아우터 케이스(12)의 제1 내부 공간(126)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1 아이들러 기어(532)의 나머지 일부, 제2 아이들러 기어(542)의 나머지 일부, 제1 구동 기어(533), 제2 구동 기어(543), 제1 모터(534) 및 제2 모터(544)는 출수 모듈(50)의 일부와 대응된다.
다음으로, 드리퍼 모듈(60)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드리퍼(61), 제1 드리퍼 밸브 모듈(62a)은 아우터 케이스(12)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드리퍼 밸브 모듈(62b) 중 드리퍼 서포터(625, 626)의 전측, 제1 풀리(627) 및 벨트(629)의 일부분은 아우터 케이스(12)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드리퍼 밸브 모듈(62b) 중 제2 풀리(628), 벨트(629)의 타부분 및 제3 모터(630)는 아우터 케이스(12)의 제1 내부 공간(126)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2 풀리(628), 벨트(629)의 타부분 및 제3 모터(630)는 드리퍼 모듈(60)의 일부와 대응된다.
다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회로 기판 서포터(19)는 아우터 케이스(12)의 제2 내부 공간(127)에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 서포터(19)는 이너 케이스(13)의 연결 부재(132)와 결합될 수 있고, 연결 부재(1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기판 서포터(19)는 이너 케이스(13)의 후측면, 즉 내부 격벽(131)과 미리 설정된 제2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내부 격벽(131) 및 회로 기판 서포터(19)에 의해, 제2 내부 공간(127)은 복수의 내부 서브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내부 서브 공간에 복수의 회로 기판(80)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내부 서브 공간은, 이너 케이스(13)의 후측면인 내부 격벽(131)과 회로 기판 서포터(19)의 전측에 의해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내부 서브 공간과, 회로 기판 서포터(19)의 후측에 의해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내부 서브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회로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회로 기판은 제1 내부 서브 공간에서 내부 격벽(131)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회로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회로 기판은 제2 내부 서브 공간에서 회로 기판 서포터(19)의 후측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송풍 팬(90)은 회로 기판 서포터(19)의 후측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로 기판 서포터(19)에는 제7 결합 부재(19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 서포터(19)에는 유입된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홀(191)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91)을 통해 제1 내부 서브 공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회로 기판으로 공기가 전달될 수 있다.
이하, 도 24 내지 도 29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1)의 방수 구조 및 방열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1)의 방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4에서 그라인더 모듈(40)은 생략하였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1 이너 케이스(13a)는 막혀있는 내부 격벽(1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내부 격벽(131)의 전측, 프론트 케이스(14)의 후측에 의해 아우터 케이스(12)의 제1 내부 공간(126)이 정의될 수 있고, 내부 격벽(131)의 후측에 의해 아우터 케이스(12)의 제2 내부 공간(127)이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제1 내부 공간(126)에는 출수 모듈(5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출수 모듈(50)의 일부는 워터 펌프(565)와, 출수 노즐(56)의 일부와, 출수 노즐(56)을 이동시키는 출수 노즐 이동 모듈로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 노즐 이동 모듈은 제1 및 제2 링 기어(531, 541), 출수 노즐 이동부(55)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동력부는 제1 및 제2 아이들러 기어(532, 542), 제1 및 제2 구동 기어(533, 543), 제1 및 제2 모터(534, 544)를 포함할 있다. 또한, 제1 내부 공간(126)에는 드리퍼 모듈(6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드리퍼 모듈(60)의 일부는 드리퍼(61)의 추출홀(612)를 개폐하는 추출홀 개폐부로 동력을 제공하는 제2 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홀 개폐부는 제1 드리퍼 밸브 모듈(62a)와 제2 드리퍼 밸브 모듈(62b)의 제1 풀리(627)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동력부는 제2 풀리(628) 및 제3 모터(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너 케이스(13b)의 후측면은 개방될 수 있고, 물 탱크 모듈(20)의 물 출수구(24)가 제2 이너 케이스(13b)의 후측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연결관(134)과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 이너 케이스(13a)의 내부 격벽(131)과 제2 이너 케이스(13b)의 후측면은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물 출수구(24)를 통해 물 탱크 바디(21)에서 유출된 물은 제2 이너 케이스(13b)의 연결관(134) 및 제1 내부 공간(126)에 배치된 배관(135)을 통해 워터 펌프(565)로 제공될 수 있다. 워터 펌프(565)는 제1, 제2, 제3 파이프(562, 563, 564)를 통해 노즐(561)로 물을 출수할 수 있다.
요컨대, 제1 내부 공간은 물 탱크 모듈(20)에 저장된 물이 출수 모듈(50)로 전달되는 물 유로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이 때, 연결관(134)과 배관(135)이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거나 배관(135)이 파손되는 경우, 물이 누수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파이프(562, 563, 564) 각각은 다른 파이프에 결합되는데, 파이프 각각이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거나 파손되는 경우, 물이 누수될 수 있다.
이 경우, 누수된 물은 내부 격벽(131)에 의해 제1 내부 공간(126)으로만 떨어지며 제2 내부 공간(127)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회로 기판(80)에 물이 떨어지지 않아 회로 기판(80)이 물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전기 안전 사고의 발생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더불어, 연결관(134)은 내부 격벽(131)의 전측에 구비되므로, 여분의 물이 회로 기판(80)에 떨어지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1)의 방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5에서는 에어 가이드(123)가 구비되지 않는 커피 메이커(1)의 제2 내부 공간(127)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5에서 송풍 팬(90)은 생략하였다.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물 탱크 모듈(20)의 가열 모듈(23)은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이 때, 가열 모듈(23)의 가열 동작에 의해 아우터 케이스(12)의 후측의 온도, 즉 제2 내부 공간(127)의 온도는 증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로 기판(80)의 온도가 증가될 수 있다. 회로 기판(80)의 온도가 내열 온도를 초과하면 커피 메이커(1)가 고장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기판(80)을 냉각시키기 위해, 아우터 케이스(12)의 후측면의 하부에 형성된 흡입홀(121)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공기가 회로 기판(80)을 냉각할 수 있다. 회로 기판(80)과 접촉하여 뜨거워진 공기는 토출홀(122)로 토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로 기판(80)의 냉각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제2 내부 공간(127) 중 가열 모듈(23)와 인접한 제2 내부 공간(127)의 상부의 온도가 더욱 많이 증가될 수 있다. 즉, 제2 내부 공간(127)의 상부의 온도는 제2 내부 공간(127)의 하부의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이 때, 제2 내부 공간(127)의 상부 온도 및 하부 온도의 차이에 의해, 흡입홀(121)에서 유입된 공기가 자연적으로 제2 내부 공간(127)의 하부에서 제2 내부 공간(127)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내부 공간(127)에서 자연적인 냉각 공기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제2 내부 공간(127)에 송풍 팬(90)이 설치되는 경우, 외부 공기의 유입 속도가 증가될 수 있으며, 제2 내부 공간(127)에서 공기의 강제 대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욱 빠른 속도로 회로 기판(80)이 냉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6에서는 에어 가이드(123)가 구비된 커피 메이커(1)의 제2 내부 공간(127)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6에서 송풍 팬(90)은 생략하였다.
흡입홀(121)로 유입된 공기는 회로 기판(80) 모두와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공기는 유동 저항이 적은 경로를 따라 흐른다. 따라서, 도 25의 실시예에서, 제2 내부 공간(127)의 상측에 설치된 회로 기판(80)의 일부 및 가열 모듈(23)은 공기와 접촉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측에 설치된 회로 기판(80) 및 가열 모듈(23)이 제대로 냉각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2 내부 공간(127)에 에어 가이드(123)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 가이드(123)는 제2 내부 공간(127)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경사지도록 설치된 에어 가이드(123)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제2 내부 공간(127)의 좌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좌측으로 유도된 공기의 흐름에 따라, 상측에 설치된 회로 기판(80)의 전부 및 가열 모듈(23)이 공기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회로 기판(80)과 함께 가열 모듈(23)이 함께 냉각될 수 있다. 더불어, 배수홀(124)이 공기를 더 토출하므로, 냉각 성능이 더욱 상승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벽과 인접하여 커피 메이커(1)를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벽과 인접하여 아우터 케이스(12)가 위치하는 경우, 외부의 공기가 제2 내부 공간(127)으로 제대로 유입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회로 기판(80)이 냉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케이스(11)의 크기가 케이스 바디의 크기보다 크도록 베이스 케이스(1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7을 참조하면, 베이스 케이스(11)의 후측 단부(113), 좌측 단부(114) 및 우측 단부(115)는 아우터 케이스(12)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베이스 케이스(11)의 후측 단부(113)는 아우터 케이스(12)의 후측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케이스(11)의 좌측 단부(114)는 아우터 케이스(12)의 좌측면에서 좌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케이스(11)의 우측 단부(115)는 아우터 케이스(12)의 우측면에서 우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우터 케이스(12)의 후측면이 벽(1000)과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으며, 외부의 공기가 제2 내부 공간(127)으로 효율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제2 내부 공간(127)으로 효율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아우터 케이스(12)의 후측면에는 아우터 케이스(12)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129)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돌출부(129)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흡입홀(121)과 배수홀(12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9)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우터 케이스(12)의 후측면이 벽(1000)과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으며, 외부의 공기가 제2 내부 공간(127)으로 효율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1)는, 커피의 출수를 위해 물이 유동되는 케이스 모듈(10)의 제1 내부 공간과 회로 기판이 설치되는 케이스 모듈(10)의 제2 내부 공간을 이너 케이스(13)의 내부 격벽(131)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부 공간에서 물이 누수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누수된 물이 제2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결국, 물이 회로 기판(80)과 접촉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으며, 전기 안전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1)는, 제2 내부 공간의 상부에 가열 모듈(23)을 배치하고, 케이스 모듈(10)의 하부에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홀(121)을 형성하고, 케이스 모듈(10)의 상부에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홀(12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홀(121)에서 유입된 공기가 자연적으로 제2 내부 공간의 하부에서 제2 내부 공간의 상부로 이동하여 토출될 수 있다. 결국, 공기가 효율적으로 유동될 수 있으며, 회로 기판(80) 및 가열 모듈(23)의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메이커(1)는 제2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에어 가이드(123)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내부 공간의 전 영역에서 공기가 유동되어 토출홀(122로 토출될 수 있다. 결국, 제2 내부 공간의 전 영역에서 공기가 유동될 수 있으며, 회로 기판(80) 및 가열 모듈(23)의 냉각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0)

  1. 커피 분말로부터 커피를 추출하는 드리퍼 모듈;
    물을 저장하고, 상기 물을 가열하는 물 탱크 모듈;
    상기 저장된 물을 상기 드리퍼 모듈로 공급하는 출수 모듈;
    상기 드리퍼 모듈, 상기 출수 모듈 및 상기 물 탱크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 및
    아우터 케이스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드리퍼 모듈, 상기 출수 모듈, 상기 물 탱크 모듈 및 상기 회로 기판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은 제1 내부 공간 및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케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내부 공간 및 상기 제2 내부 공간이 구분되며,
    상기 저장된 물은 상기 제1 내부 공간에서 상기 출수 모듈로 전달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커피 메이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이너 케이스와, 상기 제1 이너 케이스의 상방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이너 케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이 구분되는,
    커피 메이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 탱크 모듈은, 상기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 바디와, 상기 물 탱크 바디의 전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물 출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물 탱크 바디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상방 및 상기 제2 이너 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물 출수구는, 상기 제2 이너 케이스의 후측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내부 공간에 배치된 배관을 통해 상기 출수 모듈과 연결되는,
    커피 메이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너 케이스의 후측에는 연결관이 형성되되,
    상기 연결관의 일단은 상기 물 출수구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의 타단은 상기 배관과 연결되는,
    커피 메이커.
  5. 제2항에 있어서,
    커피 원두를 분쇄하여 상기 커피 분말을 생성하고, 상기 커피 분말을 상기 드리퍼 모듈로 제공하는 그라인더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그라인더 모듈은 상기 제2 이너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커피 메이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모듈은 미리 설정된 제1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케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내부 공간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전측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후측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2 내부 공간은 상기 이너 케이스의 후측 및 상기 물 탱크 모듈의 하측에 의해 정의되는
    커피 메이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퍼 모듈의 일부 및 상기 출수 모듈의 일부는 상기 제1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후측면에는 지지 부재 및 결합 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이너 케이스를 상기 제1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내부 공간에서 상기 드리퍼 모듈의 일부 및 상기 출수 모듈의 일부를 지지하는,
    커피 메이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모듈은, 제1 배관을 통해 상기 물 탱크 모듈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는 워터 펌프와, 제2 배관을 통해 상기 워터 펌프에서 펌핑된 물을 상기 커피 분말로 공급하는 출수 노즐과, 상기 출수 노즐을 이동시키는 출수 노즐 이동 모듈과, 상기 출수 노즐 이동 모듈로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동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 펌프, 상기 출수 노즐의 일부 및 상기 제1 동력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출수 모듈의 일부와 대응되고,
    상기 출수 노즐의 나머지 일부 및 상기 출수 노즐 이동 모듈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수용되는,
    커피 메이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퍼 모듈은, 상기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출수홀이 하부면에 형성되는 드리퍼와, 상기 드리퍼를 지지하고 상기 추출홀을 개폐하는 드리퍼 벨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드리퍼 벨브 모듈은, 상기 드리퍼의 하부면과 결합하는 드리퍼 베이스와, 상기 드리퍼 베이스와 결합된 드리퍼를 지지하는 드리퍼 서포터와, 상기 드리퍼 베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추출홀을 개폐하는 추출홀 개폐부와, 상기 추출홀 개폐부로 동력을 제공하는 제2 동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동력부는 상기 드리퍼 모듈의 일부와 대응되고,
    상기 드리퍼 서포터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전측에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되는,
    커피 메이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전측과 대응되고, 상기 제1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제1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후측과 대응되고, 상기 제2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제2 아우터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아우터 케이스의 상방에 상기 물 탱크 모듈이 배치되는,
    커피 메이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후측면의 하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2 내부 공간으로 유입하기 위한 흡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후측면의 상부에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후측의 상방에는 상기 물 탱크 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물 탱크 모듈의 물 가열 동작에 따라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후측의 상부 온도는 증가하고,
    상기 유입된 공기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후측의 상부 온도 및 하부 온도의 차이에 의해 상기 제2 내부 공간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는,
    커피 메이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홀과 인접하여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2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송풍 팬;을 더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모듈은,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을 설치하기 위한 회로 기판 서포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로 기판 서포터에는 상기 유입된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커피 메이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복수 개이고,
    상기 이너 케이스의 후측면에는 연결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회로 기판 서포터는 상기 연결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의 후측면과 미리 설정된 제2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내부 공간은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회로 기판 서포터에 의해 복수의 내부 서브 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복수의 내부 서브 공간에 상기 복수의 회로 기판이 설치되는,
    커피 메이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서브 공간은, 상기 이너 케이스의 후측 및 상기 회로 기판 서포터의 전측에 의해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내부 서브 공간과, 상기 회로 기판 서포터의 후측에 의해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내부 서브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회로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내부 서브 공간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의 후측면과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회로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회로 기판은 상기 제2 내부 서브 공간에서 상기 회로 기판 서포터의 후측과 결합하는,
    커피 메이커.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 공간에서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에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후측면의 제1 지점에서 상기 에어 가이드의 일단이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후측면과 결합하고,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흡입홀과 상기 토출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 가이드의 일단과 대향되는 상기 에어 가이드의 타단은 상기 에어 가이드의 일단보다 높이가 높은,
    커피 메이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후측면의 제2 지점에는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1 지점의 상측에 위치하는,
    커피 메이커.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모듈은 상기 아우터 케이스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베이스 케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케이스의 후측 단부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후측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커피 메이커.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후측면에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커피 메이커.
  20. 커피 분말로부터 커피를 추출하는 드리퍼 모듈;
    상기 드리퍼 모듈로 물을 공급하는 출수 모듈;
    상기 물을 저장하고, 상기 물을 가열하는 물 탱크 모듈;
    상기 드리퍼 모듈, 상기 출수 모듈 및 상기 물 탱크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 및
    상기 드리퍼 모듈, 상기 출수 모듈, 상기 물 탱크 모듈 및 상기 회로 기판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 모듈의 후측에는 상기 회로 기판이 설치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상방에는 상기 물 탱크 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모듈의 후측면의 하부에는 외부 공기를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하는 흡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모듈의 후측면의 상부에는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물 탱크 모듈의 물 가열 동작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 온도는 상기 내부 공간의 하부 온도보다 높고, 상기 유입된 공기는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 온도 및 하부 온도의 차이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는,
    커피 메이커.
KR1020210171542A 2021-12-03 2021-12-03 커피 메이커 KR20230083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542A KR20230083502A (ko) 2021-12-03 2021-12-03 커피 메이커
PCT/KR2021/018840 WO2023101082A1 (ko) 2021-12-03 2021-12-13 커피 메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542A KR20230083502A (ko) 2021-12-03 2021-12-03 커피 메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502A true KR20230083502A (ko) 2023-06-12

Family

ID=86612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542A KR20230083502A (ko) 2021-12-03 2021-12-03 커피 메이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83502A (ko)
WO (1) WO202310108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241A (ja) * 1996-05-14 1997-1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給茶機
KR101324817B1 (ko) * 2013-04-24 2013-11-01 정윤진 커피 핸드드립 장치
KR101676011B1 (ko) * 2015-03-04 2016-11-16 주식회사 더치프레소 더치커피 제조장치
KR20160121202A (ko) * 2015-04-10 2016-10-19 주식회사 황금나무 커피 드립 장치
KR20210136550A (ko) * 2020-05-08 202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 메이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1082A1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89731B (zh) 水分配器
AU2017279774B2 (en) Coffee-Making Machine With Semi-External High Voltage Halogen or Infrared Heating Element
US10238230B2 (en) Centrifugal brewing machine with flow collecting assembly
EP3166456B1 (en) Accessory for supplying automatically a beverage machine with liquid from a distribution network
BR112016011606B1 (pt) Montagem de preparação para preparação de café
CA2931062C (en)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KR101926095B1 (ko) 정수기
US20100218687A1 (en) Coffee machine
KR20080079975A (ko) 다기능 두유기
KR102042575B1 (ko) 정수기
KR20180121396A (ko) 냉각 그라인더
RU2455915C2 (ru) Приготавл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всасывающим каналом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из порошкообразного вещества и горячей жидкости
KR20230083502A (ko) 커피 메이커
KR102295444B1 (ko) 출수장치
CA2930643C (en)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US20170273497A1 (en)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CN105581649A (zh) 电热水壶及其壶盖组件
KR20130001194U (ko)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
US20210330115A1 (en) Fountain-type Brewing Device with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KR20230083500A (ko) 커피 메이커
TWI790397B (zh) 咖啡製造機
KR20230083501A (ko) 커피 메이커 및 이의 제어 방법
JP5722918B2 (ja) 急速湯沸かし器およびその湯沸かし器を備える家庭電化製品
KR20230085306A (ko)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
CN220832684U (zh) 饮品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