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602A - Bet 단백질을 저해하는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 리독스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Bet 단백질을 저해하는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 리독스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602A
KR20230081602A KR1020220130737A KR20220130737A KR20230081602A KR 20230081602 A KR20230081602 A KR 20230081602A KR 1020220130737 A KR1020220130737 A KR 1020220130737A KR 20220130737 A KR20220130737 A KR 20220130737A KR 20230081602 A KR20230081602 A KR 20230081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methyl
formula
compound
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0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9331B1 (ko
Inventor
이인현
손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노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노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노바이오
Publication of KR20230081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602A/ko
Priority to KR1020230173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9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4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imozide, domper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or sparflox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heu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망막병증, 녹내장, 포도막염, 습성 및 건성 황반변성증, 연령관련 황반변성 등의 각종 안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신규한 저분자 화합물은 BET 단백질을 억제하여 후성유전학적 변화로 발생하는 망막손상으로 인한 염증을 개선함으로써 망막변성으로 인한 각종 안구질환을 예방하고 개선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BET 단백질을 저해하는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 리독스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Novel carboxamide redox derivative of inhibiting BET protein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phthalmic diseas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BET(Bromodomain Extra-Terminal) 단백질 저해능을 나타내는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BET 저해 효과를 갖고, 염증반응 억제하여 망막변성을 억제함으로써 당뇨병성 망막병증, 습성 및 건성 황반변성증, 녹내장, 포도막염 등 각종 안과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히스톤의 번역 후 변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PTM)은 진핵 세포에서 유전자의 발현 및 염색질 체계화의 조절에 관여한다. 특정 라이신 잔기에서의 히스톤 아세틸화는 히스톤 아세틸라아제 및 히스톤 탈아세틸라아제에 의해 조절되는 PTM이다. 히스톤 아세틸화는 브로모도메인이라 불리는 잘 보존된 단백질이 히스톤 및 다른 단백질에서 아세틸화 라이신에 직접 결합하여 단백질 복합체를 동원함으로써 유전자 발현을 제어한다. 인간 게놈에서 60개를 초과하는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이 존재한다.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가운데 BET(Bromodomain Extra-Terminal) 패밀리는 BRD2, BRD3, BRD4, 및 BRDT를 포함하며, 정소에 국재하는 BRDT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백질들은 다양한 조직에서 넓게 발현된다. 또한, BET 단백질 패밀리가 암, 대사 질환 및 염증을 비롯한 각종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예를 들어, 염색체 전위에 의해 유발되는 BRD4 또는 BRD3, 및 고환 내 핵 단백질(NUT) 유전자의 종양원성 융합은 NUT 정중선 암종으로 명명되는 공격성 암을 초래한다(French et al., J Clin Oncol, 22 (2004), 4135-9; French et al., J Clin Pathol, 63 (2008), 492-6). BRD3/4 브로모도메인은 이들 융합 단백질에서 보존되고, 녹다운(knockdown) 또는 선택적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인 JQ1가 시험관내 및 동물 종양 모델 둘다에서 이들 암세포의 사멸을 야기한다(Filippakopoulos et al., Nature, 468 (2010), 1067-73). JQ1 및 다른 선택적 BET 억제제는 BET 브로모도메인에 결합하여 아세틸-리신 결합을 방지하며, 이는 BET 단백질이 염색질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의해 전사를 조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RD4는 RNAi 스크린으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에서 표적으로서 확인되었다(Zuber et al., Nature, 478 (2011), 524-8). 이러한 발견은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BET 억제제 JQ1 및 I-BET151를 사용하여 검증되었다(Dawson et al., Nature, 478(2011), 529-33). 또한, BET 억제제가 급성 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및 다른 혈액 악성종양에서 광범위한 항암 활성을 갖는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여러 암 모델에서 BET 억제시 종양원성 전사 인자 Myc의 급성 하향조절이 관찰되었다(Delmore et al., Cell, 146 (2011), 904-17; Mertz et al., Proc Natl Acad Sci US A, 108 (2011), 16669-74). 최근의 연구로부터 BET 억제제가 폐 및 뇌암 등의 다른 암종에 적용될 수 있는 확장 가능성을 시사한다.
화학구조 및 BET 결합 방식에 있어서 JQ1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다른 BET 억제제인 I-BET762는 마우스 모델에서 주요 염증성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고, 내독소성 쇼크 및 박테리아-유발 패혈증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Nicodeme et al., Nature, 468 (2010), 1119-23). 또한, 이러한 결과들은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관상 동맥 질환, 이상지혈증, 당뇨병 및 다른 심혈관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의 임상 시험에서 BET 억제제 RVX-208의 임상 평가를 지지하는데 사용되어 왔다(McNeill, Curr Opin Investig Drugs, 3 (2010), 357-64 및 www.clinicaltrials.gov).
RVX-208 및 I-BET762는 모두 콜레스테롤의 조직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아포지단백질 A-I를 상향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BET 단백질은 여러 바이러스의 증식 및 전사 조절과 관련되어, BET 억제제가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Weidner-Glunde, Frontiers in Bioscience 15 (2010), 537-549).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후성유전학적 인식자인 BET 단백질에 대한 우수한 저해능을 나타내는 신규 BET 저해 저분자 합성물질이 망막변성 등으로 인한 안구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우수한 망막변성 억제 효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몇 가지 브로모도메인 저해제가 임상 및 전 임상에서 알려져 있지만, 질병의 재발 및 치료제에 대한 내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부작용을 줄인 새로운 브로모도메인 저해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산화환원 반응은 많은 생리학적 과정에 존재하고, 산소 분자는 생명에 필요하지만 질병으로 이어지는 반응성 분자를 생성할 수 있다. 자유 라디칼을 포함하여 다른 반응성 화학종도 병리학적 상태를 초래한다. 이전부터 조직 손상과 관련된 호기성 대사가 활성산소종(ROS)에 의해서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었다. ROS 및 최근에 알려진 반응성질소종(RNS)은 호르몬과 마찬가지로 세포 신호 전달의 메신저로서 효소의 화학적 변형 등을 야기하고 산화제 수준의 변화를 일으킨다.
또한, 20 가지 필수 아미노산 중 시스테인, 메티오닌, 티로신 및 트립토판은 특히 산화되기 쉽다. 따라서, 인체 내에서 대사작용을 하는 이러한 단백질성 물질들은 금속 결합(metal binding), 다이설파이드 결합(disulfide bond) 형성, 메틸화(methylation), 아세틸화(acetylation) 등 다양한 변형을 야기한다.
현재까지 세포의 신호조절 메카니즘에 대한 연구가 인산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만, 본 발명은 산화 및 질산화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에 대하여 "리독스 상태(redox state)"에 따른 산화(oxidation), 니트로실화(S-nitrosylation) 등 리독스 조절 메카니즘을 고려한 리독스 화학(redox chemistry) 기술을 적용하여 완성되었다. 즉, 본 발명자들은 BET 저해제가 히스톤 단백질의 라이신 잔기를 인식하는데 있어서 리독스 상태에 따른 신호전달 물질 간의 결합 정도가 달라지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리독스 상태를 고려하여 새로운 브로모도메인 저해제를 연구 및 개발하였다.
눈(eye)은 외막, 중막, 내막 및 굴절매질 등으로 구성되는데, 외막은 까만 눈동자를 덮고 있는 앞표면인 각막과 그 뒤에 이어진 공막으로 되어 있고, 중막은 홍채, 섬모체 및 맥락막 등으로 구성되며, 내막은 망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정체와 유리체 및 안방수는 굴절매질에 포함된다. 눈의 기능적 장애 또는 상실은 생활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요인 중 하나가 되며, 노화, 질환 및 시력 등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요인으로 인해 눈의 건강이 나빠지기 때문에 이를 유지 보호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안과 질환으로는 망막변성 질환 및 녹내장을 포함하는 망막 질환, 백내장, 각결막 상피 장애 또는 각막 상피 창상 등 다양한 질환이 존재한다.
현재, 이러한 안과 질환에 대한 치료법으로는 레이저 치료, 광응고술, 냉동응고술, 및 광역학치료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치료법은 모두 수술에 기반한 치료방법으로, 약물에 의한 치료법은 아직 개발 단계 수준에 머물고 있다. 수술에 의한 치료는 모든 환자들에게 적용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성공률이 낮고 그 비용이 고가여서 사회적, 경제적으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수술을 할 수 없는 대부분의 환자는 현재 특별한 치료약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불행히도 실명에 이르게 되는 실정이다.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면서 이런 안과 질환들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제 개발이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개발 중인 안과 질환 치료제는 스테로이드류, matrix metalloproteinase(MMP) 억제제, 혈관신생 억제제, 맥관형성 성장 인자에 대한 항체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황반은 망막의 중심부에 위치한 신경조직으로 시세포의 대부분이 이곳에 모여 있으며, 물체의 상이 맺히는 부위로서 주로 중심시력을 담당한다. 황반변성은 나이가 들면서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인 안구질환으로 황반 부위에 변성이 일어나 시력장애를 일으킨다. 발병 초기에는 시야가 흐려지고 가까운 곳의 시력이 뒤틀려서 보이다가 나중에는 실명을 야기하는 치료가 어려운 안구질환 중 하나이다.
연령관련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은 최근 노인에게서 가장 흔한 실명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계적으로 약 3천만명 정도가 본 질병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매년 약 50만명의 환자가 이 질병으로 인해 시력을 잃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녹내장, 당뇨망막 병증과 함께 3대 실명을 야기하는 병으로써, 고령인구의 증가와 함께 유병율이 점차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 발병 시기 또한 60대에서 40대, 50대의 중장년층으로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연령관련 황반변성은 삼출성(습성) 황반변성과 위축성(건성) 황반변성 등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는데 삼출성은 연령관련 황반변성의 10% 정도를 차지하며 맥락막혈관신생, 망막색소상피박리, 감각망막박리, 망막색소상피 파열 등의 안저소견을 동반하며, 연령관련 황반변성으로 인한 실명의 70~90%가 삼출성 병변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개발된 삼출성 노인성 황반변성의 치료법인 유리체강내 항혈관형성 성장인자 항체 주사법으로 인해 환자들의 시력이 향상되고 질병의 예후가 좋아졌으나, 상기 치료법은 비용이 고가이고, 약효의 반감기가 짧아서 한 달마다 반복적으로 주입술을 받아야 하는 불편함과 유리체강내 직접 약물을 전달해야 하는 시술방법으로 인해 백내장, 안내염, 유리체출혈, 망막박리 등의 합병증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어, 치료 시 나타나는 이러한 부작용들을 해결하고 환자들의 편리성을 고려한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녹내장은 망막의 신경절 세포의 소실을 유발하는 질환으로써 망막질환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
망막변성 질환은 유전적 또는 산화적 스트레스와 같은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의해 진행성이 되면서 광수용세포의 변성이 일어나 시력의 손상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고, 대부분의 경우 질환의 초기부터 야맹증과 같은 주변 시야의 감소를 호소하는데 중심시력은 상대적으로 잘 보존되다가 말기에 시력이 감퇴된다. 또한, 녹내장은 다양한 임상소견과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보이는 여러 가지 양상으로 이루어진 질환군으로, 시신경유두(optic disc)의 변화와 망막 신경절 세포의 손상, 그리고 이에 따른 시야결손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망막은 중추신경조직에 속하는 안구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조직이다. 망막변성은 연령관련 황반변성증, 망막색소변성증 등 망막질환이 동반되어 광수용세포가 사멸됨으로써 결국 실명에 이르게 되는 병리현상으로 신경퇴행성질환의 특성을 나타낸다. 다른 신경퇴행성질환과 같이 현재 망막변성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은 없으며, 따라서 망막변성을 동반한 망막질환은 난치성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망막변성에 있어서 염증반응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신경염증을 제어함으로써 망막변성을 억제할 수 있다는 보고가 나오고 있다. 신경퇴행성질환을 비롯한 많은 질병에 후성유전학적 변화가 동반되며 이를 제어함으로써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하고자 하는 시도가 최근 이루어지고 있다. 한 예로써, 광범위한 BET 단백질 저해제 중 하나로 알려진 JQ라는 물질이 색소성 망막염 마우스모델에서 미세아교세포(microglial cell) 활성화를 통해 퇴행성 망막질환 치료 가능성을 나타냈다 (Zhao et al, 2017, Photoreceptor protection via blockade of BET epigenetic readers in a murine model of inherited retinal degeneration. Journal of Neuroinflammation (2017) 14:14, 1-15).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후성유전학적 인식자인 BET 단백질에 대한 우수한 저해능을 나타내는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가 망막변성 등으로 인한 안구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우수한 망막변성 억제 효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Zhao et al, 2017, Photoreceptor protection via blockade of BET epigenetic readers in a murine model of inherited retinal degeneration. Journal of Neuroinflammation (2017) 14:14, 1-15
본 발명은 BET 단백질 저해능을 보유한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를 제공하고, 또한 후성유전학적 변화를 통해 염증감소 등 망막변성을 억제하는 본 발명의 신규한 저분자 화합물의 효과를 이용하여 당뇨병성 망막병증, 녹내장, 포도막염, 습성 및 건성 황반변성증, 연령관련 황반변성 등의 안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X는 수소, C1-6알킬 및 카보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Y는 수소, C1-6알킬, -NH2, -NH(C1-6알킬), -N(C1-6알킬)(C1-6알킬), -NH(C1-6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다.
본 발명은 화학식 I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I]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X는 수소 또는 C1-6알킬이고,
Y는 수소, C1-6알킬, -NH2, -NH(C1-6알킬), -N(C1-6알킬)(C1-6알킬),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수소, -OH, =O, -C1-6알킬, -C(=O)Ra, -C(=O)N(Ra)(Rb), -C1-6알킬C(=O)N(Ra)(Rb), 및 수소 또는 탄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할로겐으로 치환된 벤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메틸 피페라지닐, 모르폴리닐 및 피페라지노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6알킬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안과질환은, 안구내염, 각막염, 결막염, 각결막염, 포도막염, 안검염, 공막염, 홍채염, 녹내장, 망막변성증, 망막색소변성증, 망막 박리, 망막색소상피박리, 망막 열공, 당뇨병성 망막병증, 미숙아망막증, 결절맥락막혈관병증(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허혈성증식망막증(ischemic proliferative retinopathy), 원추세포 이영양증(cone dystrophy), 증식성 유리체망막증, 망막동맥폐색증, 망막정맥폐색증, 레버씨 시신경위축증, 각막 신혈관신생, 망막맥락막 신혈관신생, 습성 및 건성 황반변성증, 또는 연령관련 황반변성을 포함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안과질환은 당뇨병성 망막병증, 녹내장, 포도막염, 습성 및 건성 황반변성증, 또는 연령관련 황반변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망막변성으로 인해 유도된 염증반응을 BET 단백질을 억제하는 후성유전학 작용으로 완화시켜 망박변성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 효능을 갖는다. 이러한 망막변성을 억제하는 효능은 신경염증 제어를 통한 망막변성 및 다른 중추신경질환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당뇨병성 망막병증, 녹내장, 포도막염, 습성 및 건성 황반변성증, 연령관련 황반변성 등 각종 안구질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합물 투여군과 아일리아 투여군에 대한 FFA 촬영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합물 투여군과 아일리아 투여군에 대한 OCT 촬영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대해 한정되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신규한 하기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BET 단백질에 대하여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BET 단백질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at00003
[화학식 II]
Figure pat00004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한, 본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하기에 개시되는 의미를 가진다.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관습에 따라, 본원의 화학식에서 "
Figure pat00005
"은 잔기 또는 치환기 "R"이 골격 구조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알킬"은 1차, 2차, 3차 및/또는 4차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이며, 직쇄형, 분지형 또는 환형,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는 포화 지방족 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알킬 기는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즉, C1-C20 알킬),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즉, C1-C10 알킬),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즉, C1-C6 알킬)를 가질 수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알킬은 C1-C6 알킬을 지칭한다. 적합한 알킬 기의 예로는 메틸 (Me, -CH3), 에틸 (Et, -CH2CH3), 1-프로필 (n-Pr, n-프로필, -CH2CH2CH3), 2-프로필 (i-Pr, i-프로필, -CH(CH3)2), 1-부틸 (n-Bu, n-부틸, -CH2CH2CH2CH3), 2-메틸-1-프로필 (i-Bu, i-부틸, -CH2CH(CH3)2), 2-부틸 (s-Bu, s-부틸, -CH(CH3)CH2CH3), 2-메틸-2-프로필 (t-Bu, t-부틸, -C(CH3)3), 1-펜틸 (n-펜틸, -CH2CH2CH2CH2CH3), 2-펜틸 (-CH(CH3)CH2CH2CH3), 3-펜틸 (-CH(CH2CH3)2), 2-메틸-2-부틸 (-C(CH3)2CH2CH3), 3-메틸-2-부틸 (-CH(CH3)CH(CH3)2), 3-메틸-1-부틸 (-CH2CH2CH(CH3)2), 2-메틸-1-부틸 (-CH2CH(CH3)CH2CH3), 1-헥실 (-CH2CH2CH2CH2CH2CH3), 2-헥실 (-CH(CH3)CH2CH2CH2CH3), 3-헥실 (-CH(CH2CH3)(CH2CH2CH3)), 2-메틸-2-펜틸 (-C(CH3)2CH2CH2CH3), 3-메틸-2-펜틸 (-CH(CH3)CH(CH3)CH2CH3), 4-메틸-2-펜틸 (-CH(CH3)CH2CH(CH3)2), 3-메틸-3-펜틸 (-C(CH3)(CH2CH3)2), 2-메틸-3-펜틸 (-CH(CH2CH3)CH(CH3)2), 2,3-디메틸-2-부틸 (-C(CH3)2CH(CH3)2), 3,3-디메틸-2-부틸 (-CH(CH3)C(CH3)3), 및 옥틸 (-(CH2)7CH3)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명세서, 실시예 및 청구항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 "알킬"은 비치환된 및 치환된 알킬 기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이들 중 후자는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2,2,2-트리플루오로에틸과 같은 할로알킬 기 등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골격의 1개 이상의 탄소 상의 수소를 대체하는 치환기를 갖는 알킬 잔기를 지칭한다.
용어 "Cx-y" 또는 "Cx-Cy"는, 아실, 아실옥시, 알킬, 알케닐, 알키닐 또는 알콕시와 같은 화학적 잔기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사슬 내에 x 내지 y개의 탄소를 함유하는 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C0알킬은 기가 말단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수소,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 결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C1-C6)알킬 기는 사슬 내에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알콕시"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 기가 산소 원자를 통해 모 화합물에 부착된 것인 화학식 -O-알킬을 갖는 기를 지칭한다. 알콕시 기의 알킬 잔기는 예를 들어,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즉, C1-C20 알콕시),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즉, C1-C12 알콕시),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즉, C1-C10 알콕시),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즉, C1-C6 알콕시)를 가질 수 있다. 적합한 알콕시 기의 예로는 메톡시 (-O-CH3 또는 -OMe), 에톡시 (-OCH2CH3 또는 -OEt), 및 t-부톡시 (-OC(CH3)3 또는 -O-tBu)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알케닐"은 1차, 2차, 3차 및/또는 4차 탄소 원자를 갖고, 직쇄형, 분지형 및 환형 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1개 이상의 불포화 영역, 즉, 탄소-탄소 sp2 이중 결합을 갖는 탄화수소이다. 예를 들어, 알케닐기는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즉, C2-C20 알케닐),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즉, C2-C12 알케닐),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즉, C2-C10 알케닐), 또는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즉, C2-C6 알케닐)를 가질 수 있다. 적합한 알케닐 기의 예로는 비닐 (-CH=CH2), 알릴 (-CH2CH=CH2), 사이클로펜테닐 (-C5H7), 및 5-헥세닐 (-CH2CH2CH2CH2CH=CH2)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알키닐"은 1차, 2차, 3차 및/또는 4차 탄소 원자를 갖고, 직쇄형, 분지형 및 환형 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1개 이상의 탄소-탄소 sp 삼중 결합을 갖는 탄화수소이다. 예를 들어, 알키닐 기는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즉, C2-C20 알키닐),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즉, C2-C12 알키닐),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즉, C2-C10 알키닐), 또는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즉, C2-C6 알키닐)를 가질 수 있다. 적합한 알키닐 기의 예로는 아세틸레닐(-C≡CH) 및 프로피닐(-CH2C≡CH)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릴"은 고리의 원자 각각이 탄소인, 모노사이클릭, 바이사이클릭 또는 폴리사이클릭인,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1가 또는 2가 방향족 탄화수소 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아릴 고리는 6- 내지 20-원 고리, 6- 내지 14-원 고리, 6- 내지 10-원 고리,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6-원 고리이다. 아릴 기는 2개 이상의 탄소가 2개의 인접한 고리에 공통인 2개 이상의 사이클릭 고리를 갖는 폴리사이클릭 고리계일 수 있으며, 여기서 고리 중 1개 이상은 방향족이고, 예를 들어, 다른 사이클릭 고리는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케닐, 사이클로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일 수 있다. 아릴 기로는 벤젠, 나프탈렌, 페난트렌, 안트라센, 인덴, 인단, 페놀, 아닐린 등을 들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카르보사이클릴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알킬"은 카르보사이클 기 또는 사이클로알킬 기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카르보사이클", "카르보사이클릴", "카르보사이클릭" 또는 "사이클로알킬"은 모노사이클릭, 바이사이클릭 또는 폴리사이클릭일 수 있고 고리의 원자 각각이 탄소인 비방향족 포화 또는 불포화, 1가 또는 2가 고리를 지칭한다. 사이클로알킬 기는 모노사이클로서 3 내지 7개의 탄소 원자, 바이사이클로서 7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및 폴리사이클로서 약 2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다. 모노사이클릭 사이클로알킬은 3 내지 7개의 고리 원자, 보다 전형적으로 5 또는 6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다. 바이사이클릭 사이클로알킬은 7 내지 12개의 고리 원자를 가질 수 있고, 융합 고리계, 스피로사이클릭 고리계 또는 다리 고리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사이클로알킬기에서, 원자는 바이사이클로[4,5], [5,5], [5,6], 또는 [6,6] 시스템으로 배열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사이클로알킬은 3 내지 20개의 원자, 또는 3 내지 10개의 원자,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개의 원자를 함유한다. 사이클로알킬의 예로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사이클로옥틸 등을 들 수 있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사이클로알킬은 본원에 기재된 1개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사이클릭",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고리 구조가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1가 또는 2가, 포화 또는 부분 포화 비방향족 고리 구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원 고리,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원 고리를 지칭한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사이클릭,"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또한 2개 이상의 탄소가 2개의 인접한 고리에 공통인 2개 이상의 사이클릭 고리를 갖는 폴리사이클릭 고리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고리 중 1개 이상은 헤테로사이클릭이고, 예를 들어 다른 사이클릭 고리는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케닐, 사이클로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일 수 있다. 바이사이클릭 및 폴리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릭 고리계는 융합, 다리, 또는 스피로 고리계일 수 있다. 치환된 헤테로사이클은 예를 들어, 카보닐기를 포함하여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치환기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포함한다. 헤테로사이클릴 기는 예를 들어, 피페리딘, 피페라진, 피롤리딘, 모르폴린, 락톤, 락탐 등을 포함한다. 추가로 예시적인 헤테로사이클로는 디히드로피리딜, 디히드로인돌릴, 테트라히드로피리딜(피페리딜), 테트라히드로티오페닐, 황-산화된 테트라히드로티오페닐, 인돌레닐, 피페리디닐, 4-피페리디닐, 피롤리디닐, 2-피롤리도닐, 피롤리닐, 테트라히드로푸라닐, 테트라히드로퀴놀리닐,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 데카히드로퀴놀리닐, 옥타히드로이소퀴놀리닐, 6H-1,2,5-티아디아지닐, 2H,6H-1,5,2-디티아지닐, 피라닐, 크로메닐, 크산테닐, 페녹사티닐, 2H-피롤릴, 3H-인돌릴, 4H-퀴놀리지닐, 프탈라지닐, 나프티리디닐, 퀴녹살리닐, 퀴나졸리닐, 신놀리닐, 프테리디닐, 4aH-카르바졸릴, 카르바졸릴, B카르볼리닐, 페난트리디닐, 아크리디닐, 페난트롤리닐, 페나지닐, 페노티아지닐, 푸라자닐, 페녹사지닐, 이소크로마닐, 크로마닐, 이미다졸리디닐, 이미다졸리닐, 피라졸리디닐, 피라졸리닐, 피페라지닐, 메틸 피페라지닐, 퀴누클리디닐, 모르폴리닐, 및 옥사졸리디닐 (이들 각각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것일 수 있음)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헤테로아릴"은 고리 내에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모노사이클릭, 바이사이클릭 또는 폴리사이클릭인,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1가 또는 2가 방향족 기를 지칭한다. 방향족 고리에 함유될 수 있는 적합한 헤테로원자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산소, 황 및 질소를 들 수 있다. 폴리사이클릭 헤테로아릴 고리계에서, 고리계는 2개 이상의 탄소가 2개의 인접한 고리에 공통인 2개 이상의 사이클릭 고리를 가지며, 여기서 고리 중 1개 이상은 헤테로방향족이고, 예를 들어 다른 사이클릭 고리는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케닐, 사이클로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일 수 있다. 헤테로기는 예를 들어, 벤조푸란, 벤조티오펜, 피롤, 푸란, 티오펜, 이미다졸, 인돌, 이소인돌, 이속사졸, 이소티아졸, 옥사졸, 티아졸, 퀴놀린, 이소퀴놀린, 피라졸, 피리딘, 피라진, 피리다진, 및 피리미딘 등 (이들 각각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것일 수 있음)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할로" 및 "할로겐"은 할로겐을 의미하고, 클로로, 플루오로, 브로모, 및 요오도를 포함한다.
"아미노"는 -NH2기를 나타낸다.
"카복시"는 -C(O)OH기를 나타낸다.
"알데하이드"는 -CHO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at00006
상기 식에서
X는 수소, C1-6알킬 및 카보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Y는 수소, C1-6알킬, -NH2, -NH(C1-6알킬), -N(C1-6알킬)(C1-6알킬), -NH(C1-6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상기 -NH(C1-6알킬), -N(C1-6알킬)(C1-6알킬), -NH(C1-6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의 수소 결합부분은 수소, 할로겐, -OH, =O, -OC1-6알킬, -C1-6알킬, -C(=O)Ra, -C(=O)N(Ra)(Rb), -C1-6알킬C(=O)N(Ra)(Rb), -C3H4C(=O)N(Ra)(Rb), -C≡CH, -C3-6사이클로알킬, -N(C1-6알킬)(C1-6알킬), -SO2(C1-6알킬), 페닐, 수소 또는 탄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 메틸 피페라지닐, 수소 중 어느 하나가 C1-6알킬 치환된 피라조일, 수소 중 어느 하나가 할로겐화 페닐로 치환된 피롤리도닐, 수소 중 어느 하나가 할로겐화 페닐로 치환된 메틸 피롤리도닐, 벤질, 수소 또는 탄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질소로 치환된 벤질 및 수소 또는 탄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할로겐으로 치환된 벤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6알킬, C3-6사이클로알킬, 벤질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Y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메틸 피페라지닐, 모르폴리닐 및 피페라지노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X는 메틸 또는 카보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I]
Figure pat00007
상기 식에서
X는 수소 또는 C1-6알킬이고,
Y는 수소, C1-6알킬, -NH2, -NH(C1-6알킬), -N(C1-6알킬)(C1-6알킬),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수소, -OH, =O, -C1-6알킬, -C(=O)Ra, -C(=O)N(Ra)(Rb), -C1-6알킬C(=O)N(Ra)(Rb), 및 수소 또는 탄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할로겐으로 치환된 벤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메틸 피페라지닐, 모르폴리닐 및 피페라지노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6알킬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X는 메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표 1]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 1]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표 2]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학식 I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 2]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안과질환은 안구내염, 각막염, 결막염, 각결막염, 포도막염, 안검염, 공막염, 홍채염, 녹내장, 망막변성증, 망막색소변성증, 망막 박리, 망막색소상피박리, 망막 열공, 당뇨병성 망막병증, 미숙아망막증, 결절맥락막혈관병증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허혈성증식망막증 (ischemic proliferative retinopathy), 원추세포 이영양증 (cone dystrophy), 증식성 유리체망막증, 망막동맥폐색증, 망막정맥폐색증, 레버씨 시신경위축증, 각막 신혈관신생, 망막맥락막 신혈관신생, 습성 및 건성 황반변성증, 및 연령관련 황반변성를 포함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당뇨병성 망막병증, 녹내장, 포도막염, 습성 및 건성 황반변성증, 또는 연령관련 황반변성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질환을 억제하는 것, 예를 들어, 질환, 병태 또는 장애의 병리 또는 징후를 경험하거나 또는 나타내는 개체에서 질환, 병태 또는 장애를 억제하는 것 즉, 병리 및/또는 징후의 추가적인 발생을 막는 것, 또는 질환을 개선시키는 것, 예를 들어, 질환, 병태 또는 장애의 병리 또는 징후를 경험하거나 또는 나타내는 개체에서 질환, 병태 또는 장애를 개선시키는 것 즉, 병리 및/또는 징후를 반전시키는 것, 예컨대 질환 중증도를 감 소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하는" 또는 "예방"은 질환을 예방하는 것, 예를 들어 질환, 병태 또는 장애의 성향이 있을 수 있지만 질환의 병리 또는 징후를 아직 경험하지 않았거나 나타내지 않는 개체에서 질환, 병태 또는 장애를 예방하는 것을 말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으며, 정제, 환제, 산제, 캅셀제, 시럽, 에멀젼, 마 이크로에멀젼 등의 다양한 경구 투여 형태 또는 근육내, 정맥내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 제형의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사용되는 첨가제 또는 담체의 예로는 셀룰로오스, 규산칼슘, 옥수수전분, 락토오스, 수크 로스, 덱스트로스, 인산칼슘,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젤라틴, 탈크, 계면활성제, 현탁제, 유화제, 희석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주사제의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상기 첨가제 또는 담체로는 물, 식염수, 포도당 수용액, 유사 당수용액, 알콜, 글리콜, 에테르(예: 폴리에틸렌글리 콜 400), 오일, 지방산, 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라이드, 계면활성제, 현탁제, 유화 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개체 또는 환자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효한 양으로서, 목적하는 바에 따라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시는 활성성분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3 내지 20 mg, 보다 구 체적으로는 5 내지 1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비경구 투여시는 활성성분을 기 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3 내지 20 mg, 보다 구체적으로는 5 내지 1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특정 개체 또는 환자에 대한 투여 용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 상태, 식이, 투여 시간, 투여 방법, 질환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이고 전문가에 의해 적절하 가감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갖는 의사 또는 수의사는 요구되는 제약 조성물의 유효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 또는 수의사는 제약 조성물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량을 목적하는 치료효과를 달성하는데 요구되는 것보다 낮은 수준에서 출발하여, 목적하는 효과가 달성될 때까지 투여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안구의 신생혈관형성을 억제하여 황반변성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으며, 상기 황반변성은 습성 및 건성 황반변성, 노인성 황반변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뇨병성 망막병증, 녹내장, 포도막염 등 각종 안과질환에도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실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신규한 화합물은 BET 단백질을 억제하는 등 다양한 후성유전학적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염증을 완화시키고 망막변성을 억제하여 당뇨병성 망막병증, 녹내장, 포도막염, 연령관련 노인성 황반변성, 습성 및 건성 황반변성증 등 각종 안구질환에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신규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망막병증, 녹내장, 포도막염, 습성 및 건성 황반변성증, 연령관련 황반변성 등 각종 안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본 발명에서 화합물의 구조는 핵자기공명(NMR) 및 질량분석법(MS)으로 확인되었다. NMR은 Bruker Avance-400 또는 Bruker Avance 300 기기로 측정되었다. 측정을 위한 용매는 중수소 치환된-다이메틸 설폭사이드(DMSO-d6), 중수소 치환된-클로로포름(CDCl3) 및 중수소 치환된-메탄올(CD3OD)였으며, 내부 표준은 테트라메틸실란(TMS)이었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수행되었다.
박막 크로마토그래피(TLC)는 실리카 겔 플레이트상에서 수행하였다. 1000 메쉬 실리카겔이 박막 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되었다. 또한, TLC에 사용된 실리카겔 프레이트의 치수는 20-25μm였고, 생성물 정제에 사용된 실리카겔 플레이트의 치수는 40 내지 45μm였다.
시각화를 위해 수중에서 자외선, 요오드, 과망간산칼륨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공지된 출발 물질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합성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는 Sigma-Aldrich, TCI, Wako, Kanto, Fluorchem, Acros, Alfa, Fluka, Combi-Blocks, Dae-Jung 등으로부터 구입될 수 있다.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2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 5-(2-(2-메틸-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퓨란-2-카르보알데하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17
제조예 1-1) 5-(2-브로모페닐)퓨란-2-카르보알데하이드의 제조
2-브로모아닐린(3.36g, 35.0mmol)을 2N-HCl 수용액(50ml)에 녹이고 요오드화제1구리(666mg, 3.50mmol)를 적가하여 0℃에서 교반하였다. 동일 온도에서 아질산나트륨(4.83g, 70.0mmol)을 천천히 적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 후, 퓨란-2-카바알데히드(5.04g, 52.5mmol)를 투입하고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200ml)를 가하고 물(200ml, 2회)로 세척한후, 무수황산마그네슘로 건조한 다음 필터한 여액을 감압증류하였다.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이하의 화합물들을 얻었다(2.00g, 7.96mmol).
1H-NMR (400MHz, DMSO-d6) δ 9.68(s, 1H), 7.66(m, 2H), 7.73(d, 1H), 7.52(t, 1H), 7.44(t, 1H), 7.32(s, 1H)
제조예 1-2) 5-(2-(2-메틸-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퓨란-2-카르보알데하이드의 제조
제조예 1-1)에서 얻은 화합물(2.00g, 7.96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40ml)에 녹이고 탄산수소나트륨(669mg, 7.96mmol), 물(10ml)을 가하여 교반하였다. (1,1'-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클로라이드(0.796mmol, 582.4mg), 2-메틸-4-(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란-2-일)아이소인돌린-1-원(2.61g, 9.55mmol)을 넣고, 80~9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물을 첨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100ml)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은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농축하여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잔여물은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이하의 화합물들을 얻었다(1.40g, 4.41mmol).
1H-NMR (400MHz, DMSO-d6) δ 9.69(s, 1H), 8.05(d, 1H), 7.96(d, 2H), 7.94(d, 1H), 7.69(t, 1H), 7.66(d, 1H), 7.61(t, 1H), 7.32(d, 1H), 4.22(brs, 2H), 3.26(s, 3H)
<제조예 2> 4-(2-(5-(클로로메틸)퓨란-2-일)페닐)-2-메틸이소인돌린-1-원의 제조
Figure pat00018
제조예 2-1) 4-(2-(5-(하이드록시메틸)퓨란-2-일)페닐)-2-메틸이소인돌린-1-원의 제조
<제조예 1>에서 합성한 5-(2-(2-메틸-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퓨란-2-카르보알데하이드(10.0g, 31.5mmol) 무수에탄올(100ml)에 가하여 녹이고, 수소화붕소나트륨(1.79g, 47.2mmol)을 0℃에서 적가하면서 교반하였다. 동일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고 10% 수산화나트륨용액으로 반응을 종결하였다. 에탄올을 감압농축하고 잔여물에 디클로로메탄과 물을 가하여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은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농축하여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2) 4-(2-(5-(클로로메틸)퓨란-2-일)페닐)-2-메틸이소인돌린-1-원의 제조
제조예 2-1)에서 합성한 4-(2-(5-(하이드록시메틸)퓨란-2-일)페닐)-2-메틸이소인돌린-1-원 (7.0g, 21.9mmol)을 디클로로메탄(100ml)에 용해하고 0℃에서 염화티오닐(2.38ml, 32.8mmol)을 천천히 적가하고 동일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물(30ml)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디클로로메탄과 물을 가하여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은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농축하여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69(t, 1H), 7.66(d, 1H), 7.61(t, 1H), 7.32(d, 1H), 4.49(s, 2H), 4.22(brs, 2H), 3.27(s, 3H)
<제조예 3> 3-메틸-5-(2-(2-메틸-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퓨란-2-카르보알데하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19
3-메틸-2-퓨란카르복알데히드를 사용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메틸-5-(2-(2-메틸-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퓨란-2-카르보알데히드를 제조하였다.
1H-NMR (400MHz, DMSO-d6) δ 9.68(s, 1H), 8.05(d, 1H), 7.96(d, 2H), 7.94(d, 1H), 7.69(t, 1H), 7.60(d, 2H), 4.22(s, 2H), 3.27(s, 3H), 2.33(s, 3H)
실시예
실시예 1: 2-메틸-4-(2-(5-((메틸아미노)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20
제조예 1-2)에서 얻어진 5-(2-(2-메틸-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퓨란-2-카르보알데하이드(80mg, 0.252mmol)을 디클로로메탄(5ml)에 넣고, 소듐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80.1mg, 0.378mmol), 아세트산(10μl), 메틸아민염산염(25.5mg, 0.378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디클로로메탄 (20ml)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은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농축하여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잔여물은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2-메틸-4-(2-(5-((메틸아미노)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을 얻었다(16.3mg, 0.478mmol).
1H-NMR (400MHz, DMSO-d6) δ 8.04(d, 1H), 7.97(d, 2H), 7.94(d, 1H), 7.70(t, 1H), 7.66(d, 1H), 7.61(t, 1H), 7.32(d, 1H), 6.29(d, 1H), 4.16(m, 1H), 4.22(brs, 2H), 3.65(d, 2H), 3.27(s, 3H), 3.25(d, 3H)
MS(ESI+) m/z 333 (M+H)+
이하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26 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거나, 제조하고자 하는 화합물의 구조를 고려하여 적절한 반응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2-메틸-4-(2-(5-((에틸아미노)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21
1H-NMR (400MHz, DMSO-d6) δ 8.03(d, 1H), 7.95(d, 2H), 7.94(d, 1H), 7.70(t, 1H), 7.65(d, 1H), 7.61(t, 1H), 7.32(d, 1H), 6.29(d, 1H), 4.16(m, 1H), 4.22(brs, 2H), 3.65(d, 2H), 3.27(s, 3H), 2.66(m, 2H), 1.12(t, 3H)
MS(ESI+) m/z 347 (M+H)+
실시예 3: 2-메틸-4-(2-(5-((프로필아미노)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22
1H-NMR (400MHz, DMSO-d6) δ 8.03(d, 1H), 7.95(d, 2H), 7.94(d, 1H), 7.70(t, 1H), 7.65(d, 1H), 7.61(t, 1H), 7.32(d, 1H), 6.29(d, 1H), 4.22(brs, 2H), 4.16(m, 1H), 3.65(d, 2H), 3.27(s, 3H), 2.66(m, 2H), 1.12(t, 3H)
MS(ESI+) m/z 361 (M+H)+
실시예 4: 2-메틸-4-(2-(5-((메톡시메틸아미노)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23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70(t, 1H), 7.65(d, 1H), 7.61(t, 1H), 7.32(d, 1H), 6.29(d, 1H), 4.63(d, 2H), 4.16(m, 1H), 4.21(brs, 2H), 3.65(d, 2H), 3.30(s, 3H), 3.27(s, 3H)
MS(ESI+) m/z 363 (M+H)+
실시예 5: 2-메틸-4-(2-(5-((다이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24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70(t, 1H), 7.65(d, 1H), 7.61(t, 1H), 7.32(d, 1H), 6.28(d, 1H), 4.22(brs, 2H), 4.16(m, 1H), 3.66(d, 2H), 3.27(s, 3H), 2.50(m, 2H), 2.39(d, 2H), 2.21(s, 6H)
MS(ESI+) m/z 390 (M+H)+
실시예 6: 2-메틸-4-(2-(5-((메틸(프로프-2-인-1-일)아미노)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25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70(t, 1H), 7.65(d, 1H), 7.61(t, 1H), 7.32(d, 1H), 6.29(d, 1H), 4.22(brs, 2H), 3.87(s, 2H), 3.76(s, 2H), 3.27(s, 3H), 3.08(s, 1H), 2.25(s, 3H)
MS(ESI+) m/z 371 (M+H)+
실시예 7: 2-메틸-4-(2-(5-((사이클로펜틸아미노)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26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70(t, 1H), 7.65(d, 1H), 7.61(t, 1H), 7.32(d, 1H), 6.29(d, 1H), 4.22(brs, 2H), 4.16(brs, 1H), 3.66(d, 2H), 3.27(s, 3H), 2.64(m, 1H), 1.72-1.47(m, 4H), 1.73-1.63(m, 4H)
MS(ESI+) m/z 387 (M+H)+
실시예 8: 2-메틸-4-(2-(5-((이소프로필아미노)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27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70(t, 1H), 7.65(d, 1H), 7.61(t, 1H), 7.32(d, 1H), 6.29(d, 1H), 4.22(brs, 2H), 4.15(brs, 1H), 3.65(d, 2H), 3.27(s, 3H), 2.83(m, 1H), 1.06(s, 6H)
MS(ESI+) m/z 361 (M+H)+
실시예 9: 2-메틸-4-(2-(5-(((메틸술포닐)에틸)아미노)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28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70(t, 1H), 7.65(d, 1H), 7.61(t, 1H), 7.32(d, 1H), 6.29(d, 1H), 4.22(brs, 2H), 4.15(brs, 1H), 3.65(d, 2H), 3.53(d, 2H), 3.27(s, 3H), 2.80(s, 3H)
MS(ESI+) m/z 425 (M+H)+
실시예 10: 2-메틸-4-(2-(5-(((2-(4-메틸피페라진-1일)에틸)아미노)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29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70(t, 1H), 7.65(d, 1H), 7.61(t, 1H), 7.32(d, 1H), 6.29(d, 1H), 4.22(brs, 2H), 4.16(brs, 1H), 3.65(d, 2H), 3.27(s, 3H), 2.50(m, 2H), 2.39(t, 2H), 2.27-2.29(m, 4H), 2.29-2.31(m, 4H), 2.14(s, 3H)
MS(ESI+) m/z 445 (M+H)+
실시예 11: 2-메틸-4-(2-(5-((4-메틸술포닐)피페라진-1-일)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30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70(t, 1H), 7.65(d, 1H), 7.61(t, 1H), 7.32(d, 1H), 6.29(d, 1H), 4.22(brs, 2H), 3.76(S, 2H), 3.27(s, 3H), 2.45(m, 4H), 2.34(m, 4H), 2.87(s, 3H)
MS(ESI+) m/z 466 (M+H)+
실시예 12: 2-메틸-4-(2-(5-(피페리딘-1-일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31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70(t, 1H), 7.65(d, 1H), 7.61(t, 1H), 7.32(d, 1H), 6.29(d, 1H), 4.22(brs, 2H), 3.76(s, 2H), 3.27(s, 3H), 2.39-2.41(m, 4H), 1.43-1.42(m, 4H), 1.30(m, 2H)
MS(ESI+) m/z 387 (M+H)+
실시예 13: 2-메틸-4-(2-(5-(몰포리노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32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70(t, 1H), 7.65(d, 1H), 7.61(t, 1H), 7.32(d, 1H), 6.29(d, 1H), 4.22(brs, 2H), 3.76(s, 2H), 3.27(s, 3H), 3.50-3.52(m, 4H), 2.41-2.24(m, 4H)
MS(ESI+) m/z 389 (M+H)+
실시예 14: 2-메틸-4-(2-(5-(((4-(3-플루오르페닐)피페라진-1-일)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33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70(t, 1H), 7.65(d, 1H), 7.61(t, 1H), 7.32(d, 1H), 7.12(t, 1H), 6.83(s, 1H), 6.71(d, 1H), 6.44(d, 1H), 6.29(d, 1H), 4.22(brs, 2H), 3.76(d, 2H), 3.27(s, 3H), 3.20-3.25(m, 4H), 2.45-2.43(m, 4H)
MS(ESI+) m/z 482 (M+H)+
실시예 15: 2-메틸-4-(2-(5-((4-(다이메틸아미노)피페리딘-1-일)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34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70(t, 1H), 7.65(d, 1H), 7.61(t, 1H), 7.32(d, 1H), 6.29(d, 1H), 4.22(brs, 2H), 3.76(s, 2H), 3.27(s, 3H), 2.63(t, 1H), 2.51-2.49(m, 4H), 1.65-1.55(m, 4H), 2.26(S, 6H),
MS(ESI+) m/z 431 (M+H)+
실시예 16: 2-메틸-4-(2-(5-(((4-(피발로아미딜)피페라진-1일)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35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70(t, 1H), 7.65(d, 1H), 7.61(t, 1H), 7.32(d, 1H), 6.94(brs, 2H), 6.29(d, 1H), 4.22(brs, 2H), 3.76(d, 2H), 3.27(s, 3H), 2.32-2.20(m, 8H), 1.54(s, 6H)
MS(ESI+) m/z 473 (M+H)+
실시예 17: 2-메틸-4-(2-(5-((벤질아미노)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36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70(t, 1H), 7.65(d, 1H), 7.61(t, 1H), 7.35(d, 2H), 7.32(m, 3H), 7.29(t, 1H), 6.29(d, 1H), 5.00(brs, 1H), 4.22(brs, 2H), 3.76(d, 2H), 3.66(d, 2H), 3.27(s, 3H)
MS(ESI+) m/z 409 (M+H)+
실시예 18: 2-메틸-4-(2-(5-((((1-메틸-1H-피라졸-4일)메틸)아미노)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37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70(t, 1H), 7.65(d, 1H), 7.61(t, 1H), 7.47(s, 1H), 7.37(s, 1H), 7.32(d, 1H), 6.29(d, 1H), 5.00(brs, 1H), 4.22(brs, 2H), 3.94(s, 3H), 3.76(d, 2H), 3.66(d, 2H), 3.27(s, 3H)
MS(ESI+) m/z 413 (M+H)+
실시예 19: 2-메틸-4-(2-(5-((((4-벤질-4'-메틸 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38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70(t, 1H), 7.65(d, 1H), 7.61(t, 1H), 7.51(t, 1H), 7.32(d, 1H), 7.21(d, 2H), 7.23(m, 2H), 7.19(m, 1H), 6.29(d, 1H), 4.22(brs, 2H), 3.76(s, 2H), 3.27(s, 3H), 2.80(d, 3H), 2.71(s, 2H), 2.45(m, 4H), 1.80-1.67(m, 4H)
MS(ESI+) m/z 534 (M+H)+
실시예 20: 2-메틸-4-(2-(5-((((4-(4-플루오르벤질)-4'-벤질 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39
1H-NMR (400MHz, DMSO-d6) δ 8.87(t, 1H), 8.05(d, 1H), 7.96(d, 2H), 7.70(t, 1H), 7.65(d, 1H), 7.51(t, 1H), 7.23-7.30(m, 5H), 7.32(d, 1H), 7.21(d, 2H), 7.23(m, 2H), 7.19(m, 1H), 6.29(d, 1H), 4.24(t, 2H), 4.22(brs, 2H), 3.76(s, 2H), 3.27(s, 3H), 2.71(s, 2H), 2.51-2.45(m, 4H), 1.80-1.67(m, 4H)
MS(ESI+) m/z 628 (M+H)+
실시예 21: 2-메틸-4-(2-(5-(((4-(4-플루오르벤질)-4'-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40
[단계1] 4-(4-플루오르벤질)-N-메틸피페리딘-4-카르복시아마이드 염산의 제조
Figure pat00041
1-(tert-부톡시카보닐)-4-(4-플루오르벤질)피페리딘-4-카르복실산(5.0g, 14.8mmol)을 무수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에 용해하고 HBTU(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리아졸-1-일)유로니움 헥사플루오르포스페이트 8.42g, 22.2mmol))와 N-디에틸-N-이소프로필아민(48.8mmol)을 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메틸아민염산(59.2mmol)을 상기 반응액에 가하고 7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물을 첨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200ml)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은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농축하여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잔여물은 1N-HCl 수용액(100ml)에 용해하고 40℃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물을 첨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200ml, 2회)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은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농축하여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4-(4-플루오르벤질)-N-메틸피페리딘-4-카르복시아마이드 염산 화합물을 얻었다(3.40g, 11.8mmol).
[단계2] 2-메틸-4-(2-(5-(((4-(4-플루오르벤질)-4'-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단계1]에서 제조한 4-(4-플루오르벤질)-N-메틸피페리딘-4-카르복시아마이드 염산과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5-(2-(2-메틸-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퓨란-2-카르보알데하이드을 사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2-메틸-4-(2-(5-(((4-(4-플루오르벤질)-4'-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60(m, 2H), 7.51(t, 1H), 7.18(d, 2H), 7.16(d, 2H), 6.29(d, 1H), 4.22(brs, 2H), 3.76(s, 2H), 3.27(s, 3H), 2.80(d, 3H), 2.71(s, 2H), 2.51-2.45(m, 4H), 1.80-1.67(m, 4H)
MS(ESI+) m/z 552 (M+H)+
실시예 22: 2-메틸-4-(2-(5-((4-(4-플루오르페닐)-2λ 2 , 8-디아자스피로[4,5]데칸-1-원)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42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60(m, 2H), 7.50(t, 1H), 7.18(d, 2H), 7.16(d, 2H), 6.29(d, 1H), 4.22(brs, 2H), 3.81(m, 2H), 3.76(s, 2H), 3.27(s, 3H), 3.18(d, 2H), 2.71(s, 2H), 2.51-2.45(m, 4H), 1.80-1.67(m, 4H)
MS(ESI+) m/z 549 (M+H)+
실시예 23: 2-메틸-4-(2-(5-(((4-(4-플루오르페닐)-2-메틸)-2λ 2 , 8-디아자스피로[4,5]데칸-1-원)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43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8(d, 2H), 7.94(d, 1H), 7.60(m, 2H), 7.50(t, 1H), 7.18(d, 2H), 7.16(d, 2H), 6.29(d, 1H), 4.22(brs, 2H), 3.81(m, 2H), 3.76(s, 2H), 3.27(s, 3H), 3.19(d, 2H), 2.94(s, 3H), 2.71(s, 2H), 2.51-2.45(m, 4H), 1.80-1.67(m, 4H)
MS(ESI+) m/z 564 (M+H)+
실시예 24: 2-메틸-4-(2-(5-((3-에틸-3'-N-메틸-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44
[단계1] 3-에틸-N-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시아마이드 염산염의 제조
Figure pat00045
1-(tert-부톡시카보닐)-3-에틸피페리딘-3-카르복실산을 이용하여 실시예 23의 [단계1]과 동일한 방법으로 3-에틸-N-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시아마이드 염산염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단계2] 2-메틸-4-(2-(5-((3-에틸-3'-N-메틸-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단계1]에서 제조한 3-에틸-N-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시아마이드 염산염과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5-(2-(2-메틸-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퓨란-2-카르보알데하이드을 사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2-메틸-4-(2-(5-((3-에틸-3'-N-메틸-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69(m, 1H), 7.60(m, 2H), 7.50(t, 1H), 6.29(d, 1H), 4.22(brs, 2H), 3.47(s, 2H), 3.27(s, 3H), 2.80(d, 3H), 2.48-2.40(m, 4H), 1.53-1.43(m,4H), 1.49(m, 2H), 0.89(t, 3H),
MS(ESI+) m/z 472 (M+H)+
실시예 25: 2-메틸-4-(2-(5-(((4-하이드록시)3-메틸-3'-N-메틸-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46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69(m, 1H), 7.60(m, 2H), 7.48(t, 1H), 6.77(d, 1H), 6.29(d, 1H), 4.22(brs, 2H), 3.80(m, 1H), 3.47(s, 2H), 3.27(s, 3H), 2.80(d, 3H), 2.65-2.59(m, 2H), 2.51-2.41(m, 2H), 1.77-1.52(m, 2H), 1.32(s, 3H)
MS(ESI+) m/z 474 (M+H)+
실시예 26: 2-메틸-4-(2-(5-((N-메틸-2-(3-옥소피페라진-2일)아세타아미딜)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47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69(m, 1H), 7.60(m, 2H), 7.50(d, 1H), 7.52(t, 1H), 6.97(d, 1H), 6.29(d, 1H), 4.22(brs, 2H), 3.87(d, 1H), 3.47(s, 2H), 3.31(m, 2H), 3.27(s, 3H), 2.92-2.87(m, 2H), 2.80(s, 3H), 2.65(d, 2H),
MS(ESI+) m/z 473 (M+H)+
실시예 27: 2-메틸-4-(2-(5-((3-벤질-N-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시아미딜)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48
3-벤질-N-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시아미드(1.0g, 4.30mmol) 아세트니트릴(50ml)에 용해하고 탄산칼륨(891mg, 6.45mmol), 요오드화 칼륨(71.38mg, 0.43mmol)을 가하였다. 상기반응액에 제조예 2-2)에서 합성한 4-(2-(5-(클로로메틸)퓨란-2-일)페닐)-2-메틸이소인돌린-1-원( 1.45g, 4.30mmol)을 가하고 7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디클로메탄(150ml)와 물(150ml)를 가하여 추출하고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을 사용하여 감압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실리카겔 관크로마티그래피를 사용하여 분리정제하여 2-메틸-4-(2-(5-((3-벤질-N-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시아미딜)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69(m, 1H), 7.60(m, 2H), 7.50(m, 1H), 7.23(m, 2H), 7.21(d, 2H), 7.19(d, 1H), 4.22(brs, 2H), 3.47(s, 2H), 3.27(s, 3H), 2.84(s, 2H), 2.80(d, 3H), 2.65(s, 2H), 2.48(d, 2H), 1.80-1.72(m, 2H), 1.53-1.50(m, 2H)
MS(ESI+) m/z 534 (M+H)+
실시예 28: 2-메틸-4-(2-(5-((3-벤질-N-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시아미딜)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49
2-벤질-N-메틸피롤리딘-2-카르복시아미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27과 동일한 방법으로 2-메틸-4-(2-(5-((3-벤질-N-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시아미딜)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69(m, 1H), 7.60(m, 2H), 7.50(m, 1H), 7.23(m, 2H), 7.21(d, 2H), 7.19(d, 1H), 4.22(brs, 2H), 3.47(s, 2H), 3.27(s, 3H), 2.96(s, 2H), 2.82(d, 3H), 2.40(d, 2H), 1.90(d, 2H), 1.64(m, 2H)
MS(ESI+) m/z 521 (M+H)+
실시예 29: 2-메틸-4-(2-(5-(((4-벤질-4'-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50
4-(벤질)-4-피페리딘-카르복시아미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27과 동일한 방법으로 2-메틸-4-(2-(5-(((4-벤질-4'-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70(t, 1H), 7.65(d, 1H), 7.61(t, 1H), 7.50(t, 1H), 7.32(d, 1H), 7.21(d, 2H), 7.23(m, 2H), 7.19(m, 1H), 7.12(brs, 2H), 6.29(d, 1H), 4.22(brs, 2H), 3.76(s, 2H), 3.27(s, 3H), 2.71(s, 2H), 2.45(m, 4H), 1.80-1.67(m, 4H)
MS(ESI+) m/z 521 (M+H)+
실시예 30: 2-메틸-4-(2-(5-((3-벤질-N-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시아미딜)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51
(3S)-N-사이클로프로필-3-(벤질)-3-피페리딘카르복시아미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27과 동일한 방법으로 2-메틸-4-(2-(5-((3-벤질-N-메틸피페리딘-3-카르복시아미딜)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400MHz, DMSO-d6) δ 8.20(brs, 1H), 8.05(d, 1H), 7.96(d, 2H), 7.94(d, 1H), 7.69(m, 1H), 7.60(m, 2H), 7.50(m, 1H), 7.23(m, 2H), 7.21(d, 2H), 7.19(d, 1H), 4.22(brs, 2H), 3.47(s, 2H), 3.27(s, 3H), 2.84(s, 2H), 2.69(m, 1H), 2.65(s, 2H), 2.48(d, 2H), 1.80-1.72(m, 2H), 1.53-1.50(m, 2H), 0.82(m, 2H), 0.57(m,2H)
MS(ESI+) m/z 560 (M+H)+
실시예 31: 2-메틸-4-(2-(5-(((4-피리딘일메틸-4'-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52
4-(4-피리딘일메틸)-4-피페리딘-카르복시아미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27과 동일한 방법으로 2-메틸-4-(2-(5-(((4-피리딘일메틸-4'-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400MHz, DMSO-d6) δ 8.55(d, 2H), 8.05(d, 1H), 7.96(d, 2H), 7.94(d, 1H), 7.70(t, 1H), 7.69(d, 1H), 7.23(d, 2H), 7.10(brs, 2H), 6.29(d, 1H), 4.22(brs, 2H), 3.76(s, 2H), 3.27(s, 3H), 2.71(s, 2H), 2.45(m, 4H), 1.80-1.67(m, 4H)
MS(ESI+) m/z 521 (M+H)+
실시예 32: 2-메틸-4-(2-(5-(((4-(4-플루오르벤질)-4'-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카보닐)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53
<제조예1> 에서 합성한 5-(2-(2-메틸-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퓨란-2-카르보알데하이드(1.0g, 3.15mmol)을 아세트니트릴(50ml)에 용해하고 코발트(II)아이오다이드(24.6mg, 0.078mmol), 탄산칼슘(346mg, 3.47mmol), ter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70% in H2O, 1.51 mL, 11.0mmol), 실시예 20의 단계 1에서 제조한 4-(4-플루오르벤질)-N-메틸피페리딘-4-카르복시아마이드 염산(3.47mmol)을 질소기류하에 가하고 교반하였다. 상기반응액을 70°C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실온으로 냉각하고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30ml)을 가하고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200ml, 2회)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은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농축하여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2-메틸-4-(2-(5-(((4-(4-플루오르벤질)-4'-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카보닐)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 화합물을 얻었다.
1H-NMR (400MHz, DMSO-d6) δ 8.06(d, 1H), 7.96(d, 2H), 7.94(d, 1H), 7.60(m, 2H), 7.50(t, 1H), 7.21(d, 1H), 7.18(d, 2H), 7.13(d, 2H), 4.22(brs, 2H), 3.27(s, 3H), 2.80(d, 3H), 2.71(s, 2H), 2.51-2.45(m, 4H), 1.80-1.67(m, 4H)
MS(ESI+) m/z 566 (M+H)+
실시예 33: 2-메틸-4-(2-(5-((메틸아미노)카보닐)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54
메틸아민 염산염을 사용하여 실시예 32과 동일한 방법으로 2-메틸-4-(2-(5-((메틸아미노)카보닐)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 화합물을 얻었다.
1H-NMR (400MHz, DMSO-d6) δ 8.04(d, 1H), 7.97(d, 2H), 7.94(d, 1H), 7.70(t, 1H), 7.66(d, 1H), 7.61(t, 1H), 7.56(d, 1H), 7.21(d, 1H), 7.13(d, 1H), 4.22(brs, 2H), 3.27(s, 3H), 2.85(d, 3H)
MS(ESI+) m/z 347 (M+H)+
실시예 34: 2-메틸-4-(2-(5-(((4-하이드록시)3-메틸-3'-N-메틸-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카보닐)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55
4-하이드록시3-메틸-3'-N-메틸-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32과 동일한 방법으로 2-메틸-4-(2-(5-(((4-하이드록시)3-메틸-3'-N-메틸-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카보닐)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 화합물을 얻었다.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69(m, 1H), 7.60(m, 2H), 7.48(t, 1H), 7.21(d, 1H), 7.13(d, 1H), 6.77(d, 1H), 4.22(brs, 2H), 3.80(m, 1H), 3.27(s, 3H), 2.80(d, 3H), 2.65-2.59(m, 2H), 3.59-3.49(m, 2H), 1.93-1.68(m, 2H), 1.32(s, 3H)
MS(ESI+) m/z 488 (M+H)+
실시예 35: 2-메틸-4-(2-(5-((N-메틸-2-(3-옥소피페라진-2일)아세타아미딜)카보닐)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56
N-메틸-2-(3-옥소피페라진-2일)아세타아미딜을 사용하여 실시예 32과 동일한 방법으로 2-메틸-4-(2-(5-((N-메틸-2-(3-옥소피페라진-2일)아세타아미딜)카보닐)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 화합물을 얻었다.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69(m, 1H), 7.60(m, 2H), 7.50(d, 1H), 7.52(t, 1H), 7.21(d, 1H), 7.13(d, 1H), 4.84(m, 1H), 4.22(brs, 2H), 3.47(s, 2H), 3.31-3.28(m, 2H), 3.27(s, 3H), 3.01-2.80(m, 2H), 2.80(d, 3H)
MS(ESI+) m/z 487 (M+H)+
실시예 36: 2-메틸-4-(2-(5-((3-에틸-3'-N-메틸-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카보닐)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57
3-에틸-3'-N-메틸-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32과 동일한 방법으로 2-메틸-4-(2-(5-((3-에틸-3'-N-메틸-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카보닐)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 화합물을 얻었다.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69(m, 1H), 7.60(m, 2H), 7.50(t, 1H), 7.13(d, 1H), 4.22(brs, 2H), 3.56-3.52(m, 4H), 3.27(s, 3H), 2.80(d, 3H), 1.68-1.58(m,4H), 1.48(m, 2H), 0.89(t, 3H),
MS(ESI+) m/z 486 (M+H)+
실시예 37: 2-메틸-4-(2-(5-((((4,4-디플루오르피페리딘-1-일)메톡시)-3-카르복시아미딜)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58
4,4-디플루오르피페리딘-1-일)메탄올(0.53g, 3.50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20ml)에 용해하고 소듐하이드라이드(60%, 154mg, 3.85mmol)를 0℃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동일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제조예 2-2)에서 합성한 4-(2-(5-(클로로메틸)퓨란-2-일)페닐)-2-메틸이소인돌린-1-원(1.29g, 3.85mmol)을 천천히 적가하여 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에틸아세테이트(150ml)와 물(150ml, 2회)를 가하여 추출하고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을 사용하여 감압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실리카겔 관크로마티그래피를 사용하여 분리정제하여 2-메틸-4-(2-(5-((((4,4-디플루오르피페리딘-1-일)메톡시)-3-카르복시아미딜)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69(m, 1H), 7.60(m, 2H), 6.98(d, 1H), 6.59(d, 1H), 4.48(s, 2H), 4.44(s, 2H), 4.22(brs, 2H), 3.27(s, 3H), 2.45(m, 4H), 1.82(m, 4H)
MS(ESI+) m/z 453 (M+H)+
이하 실시예 38 내지 실시예 42 는, <제조예 3>에서 얻어진 3-메틸-5-(2-(2-메틸-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퓨란-2-카르보알데하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거나, 제조하고자 하는 화합물의 구조를 고려하여 적절한 반응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8: 2-메틸-4-(2-(3-메틸-5-((메틸아미노)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59
<제조예 3>에서 합성한 3-메틸-5-(2-(2-메틸-1-옥소이소인돌린-4-일)페닐)퓨란-2-카르보알데하이드와 메틸아민 염산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메틸-4-(2-(3-메틸-5-((메틸아미노)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 화합물을 얻었다.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7(d, 2H), 7.94(d, 1H), 7.70(t, 1H), 7.66(d, 1H), 7.61(t, 1H), 6.33(d, 1H), 4.16(m, 1H), 4.22(brs, 2H), 3.65(d, 2H), 3.27(s, 3H), 3.25(d, 3H), 2.01(s, 3H)
MS(ESI+) m/z 347 (M+H)+
실시예 39: 2-메틸-4-(2-(5-((3-메틸(4-(4-플루오르벤질)-4'-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60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60(m, 2H), 7.51(t, 1H), 7.18(d, 2H), 6.33(d, 1H), 4.22(brs, 2H), 3.76(s, 2H), 3.27(s, 3H), 2.80(d, 3H), 2.71(s, 2H), 2.51-2.45(m, 4H), 2.01(s, 3H), 1.80-1.67(m, 4H)
MS(ESI+) m/z 566 (M+H)+
실시예 40: 2-메틸-4-(2-(5-(3-메틸(3-에틸-3'-N-메틸-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61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69(m, 1H), 7.60(m, 2H), 7.50(t, 1H), 6.29(d, 1H), 4.22(brs, 2H), 3.47(s, 2H), 3.27(s, 3H), 2.80(d, 3H), 2.48-2.40(m, 4H), 2.01(s, 3H), 1.53-1.43(m,4H), 1.49(m, 2H), 0.89(t, 3H),
MS(ESI+) m/z 486 (M+H)+
실시예 41: 2-메틸-4-(2-(5-((3-메틸(4-하이드록시)3-메틸-3'-N-메틸-카르복시아미딜)피페리딘)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62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69(m, 1H), 7.60(m, 2H), 7.48(t, 1H), 6.33(d, 1H), 4.22(brs, 2H), 3.80(m, 1H), 3.47(s, 2H), 3.27(s, 3H), 2.80(d, 3H), 2.65-2.59(m, 2H), 2.51-2.41(m, 2H), 2.01(s, 3H), 1.77-1.52(m, 2H), 1.32(s, 3H)
MS(ESI+) m/z 488 (M+H)+
실시예 42: 2-메틸-4-(2-(5-(3-메틸(N-메틸-2-(3-옥소피페라진-2일)아세타아미딜)메틸)퓨란-2-일)페닐)이소인돌린-1-원의 합성
Figure pat00063
1H-NMR (400MHz, DMSO-d6) δ 8.05(d, 1H), 7.96(d, 2H), 7.94(d, 1H), 7.69(m, 1H), 7.60(m, 2H), 7.50(d, 1H), 7.52(t, 1H), 6.33(d, 1H), 4.22(brs, 2H), 3.87(d, 1H), 3.47(s, 2H), 3.31(m, 2H), 3.27(s, 3H), 2.92-2.87(m, 2H), 2.80(s, 3H), 2.65(d, 2H), 2.01(s, 3H)
MS(ESI+) m/z 487 (M+H)+
[비교예]
하기 [표 3]의 비교예 1 내지 3의 화합물들을 제조하여 BET 억제 효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 3]
Figure pat00064
[시험예 1]
BET 단백질에 대한 결합 억제 효능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화합물의 BET 단백질 패밀리 중 하나인 BRD2(BD1), BRD3(BD1)의 브로모도메인과 테트라아세틸화된 히스톤 H4 펩티드 간의 상호작용 억제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1. BRD2 단백질에 대한 결합 억제 효과
BET 단백질 중 BRD2 단백질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비교예 화합물의 결합 억제 효과를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백색 옵티플레이트(OptiPlate)-384(퍼킨엘머(PerkinElmer))에서 DMSO(100 μM 개시 농도) 중의 10 mM 스톡으로부터의 분석 버퍼에서 화합물을 1 : 5 계대 희석으로 희석시켰다. 100 nM GST-BRD2(BD1) 및 100 nM 바이오티닐화된 아세틸-히스톤 H4(Lys5, 8, 12, 16) 펩티드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분석 버퍼(50mM HEPES pH 7.4; 25mM NaCl; 0,05% 트윈(Tween) 20; 0.1% 소혈청알부민(BSA); 10 mM 다이티오트레이톨(DTT))에서 제조하였다. 6 μl의 혼합물을 상기 희석액에 가한 후, 각각 10 μg/ml 농도의 분석 버퍼 중의 퍼킨엘머로부터의 6 μl의 예비 혼합된 알파리사 글루타티온 억셉터 비즈(AlphaLISA Glutathione Acceptor Beads) 및 알파스크린 스트렙타비딘 도너 비즈(AlphaScreen Streptavidin Donor Beads)를 첨가하고, 샘플들을 어두운 곳에서 실온에서 30분 동안 300 rpm으로 진탕배양하였다. 이후, 퍼킨엘머의 알파스크린 포로토콜을 사용하여 퍼킨엘머 인비전 HTS 멀티라벨 리더(PerkinElmer Envision HTS Multilabel Reader)로 신호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플레이트는 바이오티닐화된 아세틸-히스톤 H4 펩티드 및 GST-BRD2(BD1)가 빠져나가고 분석 버퍼로 대체된 음성 대조군을 함유하였다.
소프트웨어 그래프패드 프리즘(GraphPad Prism)을 계산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낮은 기준 값으로서 음성대조군 값을 입력하였다. 또한, 양성 대조군(단백질/펩티드 혼합물을 갖는 프로브 분자 I-BET762)을 피펫팅하였다. IC50 값의 결정은 그래프패드 프리즘 3.03 소프트웨어(또는 이의 업데이트 버전)를 사용하여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pat00065
Figure pat00066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비교예의 화합물과 비교하여 BRD2(BD1)의 IC50 값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기존의 BET 억제제들보다 BRD2(BD1) 단백질에 대한 억제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1-2. BRD3 단백질에 대한 결합 억제 효과
상기 시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BRD3(BD1) 단백질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비교예 화합물의 결합 억제 효과를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pat00067
Figure pat00068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비교예의 화합물과 비교하여, BRD3(BD1)의 IC50 값이 훨씬 더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기존의 BET 억제제(RVX-208)보다 더 우수한 BRD3(BD1) 단백질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망막변성 마우스 모델에서의 망막변성 억제 효능 평가
망막변성 모델의 제작을 위하여 7주령의 male albino BALB/c 마우스가 사용되었다. 각 시험군별로 3마리씩 무작위적으로 배정하고 12시간 간격으로 명암을 유지하였다. 각 마우스는 24 시간 동안 어둡게 적응한 후 동공을 0.5 % 트로픽아미드(tropicamide)와 0.5 % 페닐에프린 염산염(phenylephrine hydrochloride) 점안액(Santen, Osaka, Japan)으로 청색 LED 노출 30 분 전에 확장되도록 하였다. 마취되지 않은 마우스를 반사 내부(reflective interiors)가 있는 케이지에서 2 시간 동안 2,000 lux의 청색 LED(460 ± 10nm)로 노출하였다. 광도는 LED 광도계(모델 TM-201L, TENMARS Electronics, Taipei, Taiw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청색 LED에 노출시킨 후 24 시간 동안 어둠 속에 두었다가 3 일 동안 12 시간 명암주기를 재개하였다.
시험물질 대조시험은 망막변성 마우스에 식염수(Normal saline) 투여군 및 본 발명의 화합물 투여군(24 nM)으로 나누어 각 시험군별로 3마리씩 무작위적으로 배정하였다. 양성 대조시험은 식염수 투여군 및 아일리아(Eyela)(25 mg/kg 마우스체중) 투여군(비교예 4)으로 나누어 각 시험군별로 3마리씩 무작위적으로 배정하였다.
모든 시험군의 투여는 LED 노출 1시간 후 유리체내 주사로 단회 투여하였다.
망막 전위 조영술(ERG)
망막 전위 조영술(ERG) 기록은 김 등(Kim, G. H., Kim, H. I., Paik, S. S., Jung, S. W., Kang, S., and Kim, I. B. (2016). Functional and morphological evaluation of blue light-emitting diode-induced retinal degeneration in mice.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54, 705-716)이 제시한 실험 절차를 따랐다.
즉, 마우스는 ERG 기록 전에 16 시간 동안 완전히 어두운 방에 보관되었다. 모든 동물은 졸라제팜(zolazepam, 20 mg/kg)과 자일라진(xylazine, 7.5 mg/kg)으로 복강 내 마취하였다. 각막을 하이드록시 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겔(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gel)로 코팅하고 금 고리 접촉 전극으로 덮었다. 접지 전극과 기준 전극을 각각 꼬리와 귀에 피하로 배치했다. 자극은 Ganzfeld 자극기(UTAS-3000; LKC Technologies, Gaithersburg, MD, 미국)를 통해 전달된 짧은 흰색 섬광이었다. 신호를 증폭하고 5 ~ 300 Hz 범위의 디지털 대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a 파 및 b 파를 생성하였다. Scotopic ERG, 막대매개(rod-mediated) 반응은 0.025 및 3.96 cd/s · m2의 증가하는 광 강도에서 얻어졌다. 포토 픽, 원뿔 매개 반응은 배경 광도에 대한 5 분 광 적응 후에 얻어졌다. 기록은 6.28 cd/s · m2의 광도에서 얻어졌다. 각 기록은 15 초 간 자극 간격 내에서 얻은 세 가지 반응의 평균이었다. A 파의 진폭은 기준선에서 최대 a 파 피크까지 측정되었으며, b 파는 최대 a 파 피크에서 최대 b 파 피크까지 측정되었다.
상기 ERG 분석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pat00069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염수 처리군 대비 증가된 파장을 증진된 배수로 나타내었을 때, 본 발명의 화합물 투여군은 황반변성 치료제로 시판되고 있는 아일리아(Eyela) 투여군과 비교하여 파장의 증가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기존의 황반변성 치료제(아일리아)보다 우수한 망막변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황반변성 마우스 모델에서의 황반변성 억제 효능 평가
마우스를 전신 마취시킨 후, 마취 점안제를 안구에 점안하여 추가 국소 마취시키고 산동을 추가 유도하였다. 황반변성 유도조건에 따라 laser burn을 유도하여 brunch membrane을 파괴시켜 황반변성 동물모델을 준비하였다. 시험물질(화합물 1 내지 42; 0.022 μg/eye) 및 대조물질(aflibercept(아일리아(Eylea)); 20 μg/eye), 음성대조물질(부형제)은 황반변성 유도 직후에 36G needle을 scleral puncture로 자입시킨 후 1 uL/eye의 volume으로 양안에 투여하였다. 황반변성 유도 11일 째에 마우스를 전신 마취시킨 후, 형광 조영제를 복강 주사하였다. 마우스를 제물대 위에 올려 놓고 해당 안구에 윤활젤을 점안한 뒤 OCT의 렌즈를 마우스의 각막과 접촉시켰다. 형광안저혈관조영술(FFA) 및 OCT에 대한 이미지 분석은 Image-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상기 FFA 촬영을 통한 분석 결과를 하기 [표 7]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7]
Figure pat00070
상기 [표 7]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반변성 병변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 투여군은 음성대조군 대비 황반변성 병변의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조물질인 아일리아(Eylea) 투여군 대비 본 발명의 화합물 투여군에서 CTF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OCT 촬영을 통한 분석 결과를 하기 [표 8]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8]
Figure pat00071
상기 [표 8]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반변성 병변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 투여군은 음성대조군 대비 황반변성 병변의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반변성 병변의 부피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투여군에서 대조물질인 아일리아(Eylea) 투여군보다 더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기존의 황반변성 치료제(아일리아)보다 우수한 황반변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
    Figure pat00072

    상기 식에서
    X는 수소, C1-6알킬 및 카보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Y는 수소, C1-6알킬, -NH2, -NH(C1-6알킬), -N(C1-6알킬)(C1-6알킬), -NH(C1-6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H(C1-6알킬), -N(C1-6알킬)(C1-6알킬), -NH(C1-6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의 수소 결합부분은 수소, 할로겐, -OH, =O, -OC1-6알킬, -C1-6알킬, -C(=O)Ra, -C(=O)N(Ra)(Rb), -C1-6알킬C(=O)N(Ra)(Rb), -C3H4C(=O)N(Ra)(Rb), -C≡CH, -C3-6사이클로알킬, -N(C1-6알킬)(C1-6알킬), -SO2(C1-6알킬), 페닐, 수소 또는 탄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 메틸 피페라지닐, 수소 중 어느 하나가 C1-6알킬 치환된 피라조일, 수소 중 어느 하나가 할로겐화 페닐로 치환된 피롤리도닐, 수소 중 어느 하나가 할로겐화 페닐로 치환된 메틸 피롤리도닐, 벤질, 수소 또는 탄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질소로 치환된 벤질 및 수소 또는 탄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할로겐으로 치환된 벤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6알킬, C3-6사이클로알킬, 벤질인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Y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메틸 피페라지닐, 모르폴리닐 및 피페라지노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X는 메틸 또는 카보닐 중 어느 하나인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5.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I]
    Figure pat00073

    상기 식에서
    X는 수소 또는 C1-6알킬이고,
    Y는 수소, C1-6알킬, -NH2, -NH(C1-6알킬), -N(C1-6알킬)(C1-6알킬),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수소, -OH, =O, -C1-6알킬, -C(=O)Ra, -C(=O)N(Ra)(Rb), -C1-6알킬C(=O)N(Ra)(Rb), 및 수소 또는 탄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할로겐으로 치환된 벤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메틸 피페라지닐, 모르폴리닐 및 피페라지노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6알킬이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X는 메틸인 것인 화학식 I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7. 청구항 1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pat00074

    Figure pat00075

    Figure pat00076

    Figure pat00077

    Figure pat00078

    Figure pat00079

    Figure pat00080

    Figure pat00081

    Figure pat00082

  8. 청구항 5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학식 I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pat00083

    Figure pat00084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안과질환은 안구내염, 각막염, 결막염, 각결막염, 포도막염, 안검염, 공막염, 홍채염, 녹내장, 망막변성증, 망막색소변성증, 망막 박리, 망막색소상피박리, 망막 열공, 당뇨병성 망막병증, 미숙아망막증, 결절맥락막혈관병증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허혈성증식망막증 (ischemic proliferative retinopathy), 원추세포 이영양증 (cone dystrophy), 증식성 유리체망막증, 망막동맥폐색증, 망막정맥폐색증, 레버씨 시신경위축증, 각막 신혈관신생, 망막맥락막 신혈관신생, 습성 및 건성 황반변성증, 또는 연령관련 황반변성인 것인 안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안과질환은 당뇨병성 망막병증, 녹내장, 포도막염, 습성 및 건성 황반변성증, 또는 연령관련 황반변성인 것인 안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220130737A 2021-11-30 2022-10-12 Bet 단백질을 저해하는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 리독스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619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3714A KR20230169049A (ko) 2021-11-30 2023-12-04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카르복스아마이드 리독스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68689 2021-11-30
KR1020210168689 2021-11-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3714A Division KR20230169049A (ko) 2021-11-30 2023-12-04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카르복스아마이드 리독스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602A true KR20230081602A (ko) 2023-06-07
KR102619331B1 KR102619331B1 (ko) 2023-12-29

Family

ID=8676115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737A KR102619331B1 (ko) 2021-11-30 2022-10-12 Bet 단백질을 저해하는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 리독스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220130738A KR102619332B1 (ko) 2021-11-30 2022-10-12 Bet 단백질을 저해하는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 리독스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230173714A KR20230169049A (ko) 2021-11-30 2023-12-04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카르복스아마이드 리독스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738A KR102619332B1 (ko) 2021-11-30 2022-10-12 Bet 단백질을 저해하는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 리독스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230173714A KR20230169049A (ko) 2021-11-30 2023-12-04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카르복스아마이드 리독스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6193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5378A (ko) * 2010-12-02 2013-11-18 콘스텔레이션 파마슈티칼스, 인크. 브로모도메인 억제제 및 이의 용도
KR20210080373A (ko) * 2018-09-13 2021-06-30 제니쓰 에피제네틱스 리미티드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의 고체 형태를 제조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4001576A1 (en) * 1982-10-07 1984-04-26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Fused pyrrolinone derivatives
CN108484510B (zh) * 2018-05-18 2020-05-05 东南大学 一种基于brd4抑制剂rvx-208的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127887B1 (ko) 2019-03-21 2020-06-2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5378A (ko) * 2010-12-02 2013-11-18 콘스텔레이션 파마슈티칼스, 인크. 브로모도메인 억제제 및 이의 용도
KR20210080373A (ko) * 2018-09-13 2021-06-30 제니쓰 에피제네틱스 리미티드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의 고체 형태를 제조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Zhao et al, 2017, Photoreceptor protection via blockade of BET epigenetic readers in a murine model of inherited retinal degeneration. Journal of Neuroinflammation (2017) 14:14, 1-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049A (ko) 2023-12-15
KR102619332B1 (ko) 2024-01-02
KR20230081959A (ko) 2023-06-08
KR102619331B1 (ko)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30994B (zh) 用于调节cftr的化合物、组合物和方法
KR101851810B1 (ko) 아밀로이드 또는 아밀로이드-유사 단백질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를 위한 신규 화합물
WO2018081378A1 (en)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ng cftr
AU2017348186A1 (en) Pyridazine derivative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ng CFTR
KR20070097441A (ko) 11-β 하이드록실 스테로이드 데하이드로게나제 유형 1의억제제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JP2013532689A (ja) プロドラッグ形態のキナーゼ阻害剤化合物を使用して眼疾患を治療する方法
MX2013000664A (es) Compuestos bifuncionales inhibidores de quinasa de rho, composicion y usos.
TW201326138A (zh) 犬尿胺酸-3-單氧化酶抑制劑、其醫藥組成物及其使用方法
AU2006216713A1 (en) PGD2 receptor antagonist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JP6276289B2 (ja) ベンジリデングアニジン誘導体、及びタンパク質ミスフォールディング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治療的使用
WO2014166386A1 (zh) 抗新生血管的化合物、其中间体及其用途
WO2021227897A1 (zh) 一种一氧化氮供体型netarsudil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AU2019234858A1 (en) Amino-benzoisothiazole and amino-benzoisothiadiazole amide compounds
WO2018219204A1 (zh) 一类新型苯氧乙酸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作为药物的用途
KR101821593B1 (ko) 안질환 치료제
US20130303539A1 (en) Compounds with trpv4 activity, compositions and associated methods thereof
JP6621815B2 (ja) O−アルキル−ベンジリデングアニジン誘導体、及びミスフォールドタンパク質の蓄積と関連する障害の処置のための治療的使用
KR102333863B1 (ko) 신규한 피라졸 유도체
KR102619331B1 (ko) Bet 단백질을 저해하는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 리독스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안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73680B1 (ko) 신규한 피라졸 유도체
TW201446761A (zh) 蕈毒鹼(muscarinic)激動劑
CN109734712A (zh) 芳基或杂芳基取代的吡咯烷酰胺衍生物及其用途
WO2022184111A1 (zh) 与tau蛋白结合的小分子化合物
US11999718B2 (en) Pyrazole derivatives
TW202334109A (zh) 新穎吡唑衍生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