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527A - 가연성가스를 활용한 숯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가연성가스를 활용한 숯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527A
KR20230081527A KR1020210172195A KR20210172195A KR20230081527A KR 20230081527 A KR20230081527 A KR 20230081527A KR 1020210172195 A KR1020210172195 A KR 1020210172195A KR 20210172195 A KR20210172195 A KR 20210172195A KR 20230081527 A KR20230081527 A KR 20230081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storage unit
unit
combustible gas
char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6393B1 (ko
Inventor
신근영
신동진
Original Assignee
신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근영 filed Critical 신근영
Publication of KR20230081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1/00Heating of coke ovens with combustible gases
    • C10B21/10Regulating and controlling the combustion
    • C10B21/18Recirculating the flu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7/00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with indirect heating, e.g. by external combustion
    • C10B47/02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with indirect heating, e.g. by external combustion with stationary 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2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cellulose-contain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연성가스를 활용한 숯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숯 재료인 목재를 가열하여 탄화시키고, 목재가 탄화할 때 발생하는 가연성가스를 가열원을 통해 화염으로 변화시킴과 동시에 목재에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목재를 탄화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가열원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연성가스를 활용한 숯 제조장치는, 목재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일측이 상기 저장부의 내부 일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저장부의 내부 타면을 관통하여 가열원과 마주하며, 상기 저장통 내의 목재가 가열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가연성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가열원을 향해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연성가스를 활용한 숯 제조장치{CHARCOAL PRODUCTION EQUIPMENT USING COMBUSTIBLE GAS}
본 발명은 가연성가스를 활용한 숯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숯 재료인 목재를 가열하여 탄화시키고, 목재가 탄화할 때 발생하는 가연성가스를 가열원을 통해 화염으로 변화시킴과 동시에 목재에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목재를 탄화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가열원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가연성가스를 활용한 숯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은 목재를 탄화시킨 것으로 재연소시 불꽃이 작고 그을음이 없으며 연소시간이 긴 데다가 부피에 비해 많은 열량이 발산하고 무엇보다 살균 및 탈취효과가 탁월하여 예전부터 고기 등을 굽는 연료로 많이 사용 되고 있다.
숯은 그 원료가 되는 목재에 따라 종류가 구분되는 바 그 중에서도 참나무를 탄화시켜 만든 참나무 숯이 여러 가지의 면에서 질적으로 가장 우수하여 가장 널리 이용되어 왔었다.
그러나, 참나무 숯의 경우 참나 무 공급량이 적어 경제적이지 못 할 뿐만 아니라 형상의 성형이 불가능한데다 그 강도도 취약하고 또 연소 시간이 짧아 가용시간도 매우 짧기 때문에 최근에는 참나무 숯 보다는 가구 등을 제작할 때 파생되는 톱밥 이나 폐목재를 파쇄하여 만든 톱밥 또는 야자껍질을 탄화하여 만든 야자 숯가루 등을 점결제 등과 혼합한 다음 그 혼합물을 소정의 형상으로 압착 성형하여 만든 성형숯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숯 제조장치를 살펴보면, 내부에 연소실이 형성된 숯 재료인 목재를 드럼통에 일정량 투입하고, 드럼통을 챔버의 내부에 투입한 후, 연소실의 가열원으로 드럼통을 가열하여 목재를 탄화시킴으로써 숯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숯 제조장치는 단순히 드럼통을 가열하여 목재를 탄화시켰기 때문에 숯을 제조하기 위한 가열원의 소비량이 많고, 목재를 탄화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챔버의 내부에 드럼통을 여러 개 투입하는 경우, 드럼통 모두를 가열하여야 하기 때문에 숯을 가열원의 소비량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가열원의 소비량을 단축하고, 목재를 탄화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1515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숯 재료인 목재를 가열하여 탄화시키고, 목재가 탄화할 때 발생하는 가연성가스를 가열원을 통해 화염으로 변화시킴과 동시에 목재에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목재를 탄화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가열원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가연성가스를 활용한 숯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연성가스를 활용한 숯 제조장치는, 목재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일측이 상기 저장부의 내부 일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저장부의 내부 타면을 관통하여 가열원과 마주하며, 상기 저장통 내의 목재가 가열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가연성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가열원을 향해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는 저장통 내의 가연성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연성가스가 이동하게 되는 내부통로 및 상기 내부통로 내의 가연성가스를 상기 가열원을 향해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연성가스를 활용한 숯 제조장치는, 숯 재료인 목재를 가열하여 탄화시키고, 목재가 탄화할 때 발생하는 가연성가스를 가열원을 통해 화염으로 변화시킴과 동시에 목재에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목재를 탄화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가열원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장치에 적용된 투입부를 통해 저장부를 챔버에 내부에 투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장치에 적용된 이송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장치에 적용된 챔버, 투입부 및 배출가이드의 관계를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장치에 적용된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장치에 적용된 활차부들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장치에 적용된 배출가이드를 통해 저장부를 인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장치에 적용된 배출부의 작용을 도시한 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장치에 적용된 투입부를 통해 저장부를 챔버에 내부에 투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장치에 적용된 이송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장치에 적용된 챔버, 투입부 및 배출가이드의 관계를 도시한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장치에 적용된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장치에 적용된 활차부들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장치에 적용된 배출가이드를 통해 저장부를 인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장치(1)는, 숯 재료인 목재를 연속적으로 가열하여 다량의 숯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장치(1)는, 저장부(10), 챔버(20), 배출부(60), 투입부(30) 및 배출가이드(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0)는 가열하고자 하는 목재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저장부(10)는 원통, 다각형 통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저장부(10)는 목재를 투입할 수 있으며, 투입된 목재를 인출할 수 있도록 일면에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저장부(10)의 출입구는 덮개(11)에 의해 개폐된다.
일 예로, 목재는 여러 조각으로 컷팅된 상태로 저장부(10)에 저장될 수 있다.
목재는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숯과 동일한 크기로 컷팅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저장부(10)는 활차부(50)에 탑재된 상태에서 투입부(30), 이송로(20c), 배출가이드(40)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하게 된다.
활차부(50)는 저장부(1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51), 지지부(51)의 양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52) 및 4개로 적용되어 연결부(52)재의 양측 저면에 각각 결합되는 슬라이드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부(53)는 후술되는 투입부(30)의 가이드레일(32) 및 배출가이드(40)의 부가 가이드레일(42)의 상면보다는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레일(32)이 서로 마주하는 면 및 부가 가이드레일(42)이 서로 마주하는 면이 내측면으로 정의되고, 내측면의 반대면이 외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53)가 가이드레일(42) 및 부가 가이드레일(42)의 외측면에 기댄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저장부(10)가 가이드레일(32) 및 부가 가이드레일(42)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거나 이탈되지 아니한다.
챔버(20)는 저장부(10)에 저장되어 있는 목재의 가열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챔버(20)는 일측에 저장부(10)가 투입되는 투입구(20a)가 형성되고, 타측에 저장부(10)가 배출되는 배출구(20b)가 형성된다.
챔버(20)의 내부에는 투입구(20a)와 배출구(20b)의 사이에 위치되며 저장부(10)가 이송되는 이송로(20c)가 형성된다.
즉, 투입구(20a)를 통해 투입된 저장부(10)는 이송로(20c)를 따라 이송되다가 배출구(20b)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투입구(20a) 및 배출구(20b)에는 챔버(20)의 내부공간을 밀폐구조로 만들어주면서 챔버(20)의 내부공간의 내압을 상승시키기 위한 도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는 작업자가 챔버의 내부공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내화성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송로(20c)의 하측에는 저장부(10) 내의 목재를 가열하기 위한 연소실(20d)이 형성된다.
연소실(20d)에는 저장부(10) 내의 목재를 태우기 위한 가열원이 위치하게 된다.
가열원은 별도의 땔감(목재), 가스불꽃(바이오매스 가스) 등 다양한 것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가열원은 목재를 태울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물건이 적용될 수 있다.
연소실(20d)에서 장작을 태우거나 가스불꽃을 발생시키면 이송로(20c)에 위치한 저장부(10)가 가열된다. 따라서, 이송로(20c) 내에 일정시간 동안 저장부(10)를 위치시키면 저장부(10) 내의 목재가 타게 된다. 결국, 목재는 숯으로 변하게 된다.
챔버(20)의 내부에는 이송로(20c)와 연소실(20d)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바(21)가 설치된다.
구획바(21)는 전도된 상태로 적용되는 것으로, 구획바(21)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챔버(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구획바(21)는 양측이 챔버(20)의 내부 일측벽과 타측벽에 볼트나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구획바(21)는 챔버(20)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분 또는 중앙부분의 조금 위쪽이나 조금 아래쪽에 설치될 수 있다.
이송로(20c)에는 저장부(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내부 가이드레일(32)이 배치된다.
내부 가이드레일(32)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된다.
내부 가이드레일(32)은 저면이 간헐적으로 구획바(21)들의 상면에 안착된다.
내부 가이드레일(32)과 구획바(21)는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내부 가이드레일(32)은 구획바(21)의 상면에 용접 또는 볼팅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내부 가이드레일(32) 간의 간격과 가이드레일(32) 간의 간격 및 부가 가이드레일(42) 간의 간격은 서로 동일한다.
따라서, 내부 가이드레일(32)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가이드레일(32)의 일단 및 부가 가이드레일(42)의 일단과 마주한다.
따라서, 활차부(50)의 슬라이드부(53)는 가이드레일(32)과 내부 가이드레일(32) 및 부가 가이드레일(42)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이상 설명한 챔버(20)는 가열원에서 발생되는 고온을 견딜 수 있도록 내화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장치(1)는 저장부(10), 하우징 및 투입부(3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숯을 연속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숯을 연속으로 생산하기 위해 저장부(10)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이송로(20c)에 동시 투입된다. 이를 위해 챔버(20)도 복수개의 저장부(10)를 동시에 수용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이 길이방향으로 연쇄적으로 배열된다.
챔버(20)들은 서로 마주하는 면이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챔버(20)들의 접촉되는 부분은 마감밴드(23)에 의해 마감될 수 있다.
즉, 마감밴드(23)를 통해 가열원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챔버(20)의 사이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챔버(20)는 2개 이상의 저장부(1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20)가 2개의 저장부(1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된다면, 2개의 챔버(20)를 배열할 경우 한번에 4개의 저장부(10)를 투입하여 목재를 숯으로 만들 수 있다.
이때, 챔버(20)를 2개가 합쳐진 길이와 대응되게 길게 형성하여 한번에 적어도 3개 이상의 저장부(10)를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와 같이 챔버(20)의 크기가 크면 차량 적재 및 이동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챔버(20)의 크기를 1개 또는 2개의 저장부(10)를 수용할 수 있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부(60)는 저장부(10) 내의 목재가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가열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가연성가스를 이용하여 해당 저장부(10)를 가열하여 목재가 탄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배출부(60)는 저장부(10)의 내부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적용되되, 저장부(10)의 출입구와 가까운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배출부(60)는 출입구와 약 3cm 내지 10cm 정도 이격된 위치되 배치될 수 있다.
배출부(60)는 저장부(10)가 전도된 상태를 기준으로 저장부(10)의 내부공간에 수직형태로 적용된다.
배출부(60)는 관이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60)는 상면이 막히고, 저면에 배출구(60b)가 형성된다.
배출부(60)는 상면이 저장부(10)의 천장면에 용접이나 볼팅 결합된다.
배출부(60)의 하측은 저장부(10)의 바닥면에 관통한다.
배출부(60)의 하측은 저장부(10)의 바닥면에 매립되거나 또는, 바닥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배출부(60)의 배출구(60b)는 연소실과 마주한다.
배출부(60)의 상측에는 저장부(10) 내의 목재가 가열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가연성가스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60a)가 형성된다.
도면에는 유입구(60a)가 복수개로 적용되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배출부(60)는 관이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내부에는 가연성가스가 이동하는 내부통로가 형성된다.
배출구(60b)를 통해 배출되는 가연성가스에는 가열원에 의해 발생되는 화염에 의해 불이 점화 되는데, 가열원의 화염은 저장부(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가해짐에 따라, 가연성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불은 저장부(10)를 따라 상승되면서 저장부(10)를 가열하게 된다. 결국, 가열원의 화염과 가연성가스의 화염이 합이 되어 저장부(10)를 신속하게 높은 온도로 가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목재를 신속히 탄화시켜 숯을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구(60b)의 작용에 대해서는 추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투입부(30)는 숯의 연속 제조가 가능하도록 투입구(20a)측에서 저장통을 투입하는 구성이다.
투입부(30)는 대차부(31), 가이드레일(32) 및 구동부(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대차부(31)는 챔버(20)의 외부에서 투입구(20a)측에 배치된다.
대차부(31)는 다수개의 수직바 및 수평바를 대략 틀 형상으로 조합 및 결합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어느 2개의 수직바에는 지면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롤러(311)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대차부(3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창고나 별도의 보관장소로 이동시켜 보관하면 된다.
가이드레일(32)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대차부(31)의 상면에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도면에는 가이드레일(32)이 대차부(31)의 상면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가이드레일(3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53)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한다.
구동부(33)는 가이드레일(32)에 위치한 저장부(10)에 이송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구동부(33)는 센터 가이드레일(331), 푸쉬부(332) 및 윈치(3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센터 가이드레일(331)은 가이드레일(32)의 사이에 배치되며, 푸쉬부(332)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한다.
센터 가이드레일(331)은 전면과 후면 및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센터 가이드레일(331)은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터 가이드레일(331)의 양 수직벽 상측에는 푸쉬부(33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331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탈방지부(3311)는 센터 가이드레일(331)의 양 수직벽 상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푸쉬부(332)는 센터 가이드레일(331)의 상면에 안착되며, 가이드레일(32)에 위치한 저장부(10)의 후면에 접촉된다.
푸쉬부(332)는 전면과 후면 및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푸쉬부(332)는 센터 가이드레일(331)의 상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송된다.
푸쉬부(332)는 센터 가이드레일(331)의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33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푸쉬부(332)와 이동체(3321)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플러(3322)를 통해 결합된다.
이동체(3321)의 상면에는 이탈방지부(3311) 공간을 통해 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블록(3323)이 형성된다.
푸쉬부(332)와 돌출블록(3323)은 커플러(3322)에 볼팅 결합될 수 있다.
이동체(3321)는 상면 양측이 전술한 이탈방지부(3311)에 걸린다.
따라서, 이동체(3321)가 센터 가이드레일(331)의 상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인출되지 아니하며, 이로 인해 푸쉬부(332)도 센터 가이드레일(331)에서 이탈되지 아니한다.
윈치(333)는 대차부(31)의 하측에 설치된다.
원치(333)의 와이어(3331)는 이동체(3321)에 결합된다.
윈치(333)는 푸쉬부(332)가 저장부(10)를 투입구(20a) 방향으로 푸쉬하도록 푸쉬부(332)를 당긴다.
즉, 윈치(333)가 와이어(3331)를 권취하면 이동체(3321)가 당겨지며, 이로 인해 푸쉬부(332)가 센터 가이드레일(331)을 따라 이동하면서 저장부(10)의 후면을 푸쉬한다. 따라서, 저장부(10)는 가이드레일(32) 따라 점진적으로 이송되다가 투입구(20a)를 통해 이송로(20c)에 투입된다.
그리고, 하나의 저장부(10)를 이송로(20c)에 투입한 다음에는 원치가 와이어(3331)를 권출하도록 작동시킨 후, 투입구(20a) 앞에 위치한 푸쉬부(332)를 후진시킨 다음, 새로운 저장부(10)를 투입구(20a)와 푸쉬부(33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지지부(51)에 안착시킨 후, 윈치(333)를 작동시켜 새로운 저장부(10)를 이송로(20c)에 투입하면 된다.
새로운 저장부(10)가 이송로(20c)에 투입되면 선 투입된 저장부(10)가 후행하여 투입되는 저장부(10)에 밀리게 된다.
따라서, 첫번째 챔버(20)의 투입구(20a)를 통해 제일 먼저 이송로(20c)에 투입된 저장부(10)는 후행하여 투입되는 3개의 저장부(10)에 의해 두번째 챔버(20)의 이송로(20c) 중에서 배출구(20b) 측에 위치된다.
물론, 마지막에 투입된 챔버(20)는 첫번째 챔버(20)의 이송로(20c) 중에서 투입구(20a) 측에 위치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크고 무거운 저장부(10)를 개수에 상관 없이 이송로(20c)에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각각의 챔버(20) 이송로(20c)에 2개의 저장부(10)를 투입할 수 있고, 2개의 챔버(20)를 나란하게 배열한 후 마감밴드(23)로 마감하였다면, 푸쉬부(332)와 원치를 반복적으로 제어하여 각각의 챔버(20) 이송로(20c)에 저장부(10)를 2개씩 투입하면 된다.
따라서, 총 4개의 저장부(10)를 통해 한번에 숯을 다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목재의 종류나 개수 크기 등에 따라 가열원에 의해 숯이 되는 시간이 상이할 수 있으나, 작업자가 하나의 저장부(10)에 저장된 목재가 이송로(20c)에서 가열원에 의해 숯이 되는 시간을 알고 있다면 딜레이 되는 시간 없이 다량의 숯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배출가이드(40)는 두번째에 위치한 챔버(20)의 투입구(20a)를 통해 배출되는 저장부(10)들의 배출을 가이드 하는 구성이다.
배출가이드(40)는 부가 대차부(41) 및 부가 가이드레일(42)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 대차부(41)는 챔버(20)의 외부에서 배출구(20b)에 배치된다.
부가 대차부(41)는 다수개의 수직바 및 수평바를 대략 틀 형상으로 조합 및 결합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어느 2개의 수직바에는 지면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롤러(311)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부가 대차부(4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창고나 별도의 보관장소로 이동시켜 보관하면 된다.
부가 가이드레일(42)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부가 대차부(41)의 상면에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도면에는 부가 가이드레일(42)이 대차부(31)의 상면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부가 가이드레일(42)은 내부 가이드레일(32)을 통과한 슬라이드부(53)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한다.
이러한 배출가이드(40)를 통해 두번째에 위치한 챔버(20)의 투입구(20a)를 통해 배출되는 저장부(10)가 지면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고하여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숯 제조장치의 사용 예 및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장치에 적용된 배출부(60)의 작용을 도시한 도이다.
먼저, 챔버(20)의 연소실에 위치된 가열원을 점화시켜 숯의 재료인 목재를 탄화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킨다.
이후, 저장부(10a,10b)의 내부에 목재를 각각 넣은 다음, 덮개(11)로 저장부(10a,10b)의 출입구를 닫아 저장부(10)의 내부공간을 밀폐구조로 만든다.
이후에, 투입부(30)를 통해 하나의 챔버(20) 이송로(20c)에 2개의 저장부(10a,10b)를 순차적으로 투입한다.
이후, 가열원을 점화시켜 저장부를 가열하도록 한 다음, 도어를 폐쇄한다.
이때, 가열원은 2개의 저장부(10a,10b) 모두에 화염을 가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저장부에 집중적으로 화염을 가하도록 적용된다.
도면에는 저장부(10a)에만 화염이 가해지는 예를 도시하였다.
저장부(10a)가 가열되면, 저장부(10a)의 내부 온도는 상승되어, 목재가 탄화 즉, 증기가열된다.
목재가 증기가열되면 가연성가스가 발생된다.
저장부(10a) 내에서 목재에 의해 발생된 가연성가스는 상승되어 배출부(60)의 유입구(60a)를 통해 배출부(60)의 내부로 유입된 후, 하강하여 배출부(60)의 배출구(60b)를 통해 연소실 방향 즉, 가열원의 화염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배출구(60b)를 통해 배출된 가연성가스는 가열원의 화염에 의해 점화되어 화염으로 변환된다.
이때, 가열원의 화염은 저장부(10a)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가연성가스의 화염은 저장부(10a)의 외면을 따라 상승되면서 저장부(10a)를 더욱 가열하게 된다.
즉, 가열원의 화염과 가연성가스의 화염이 저장부(10a)에 그대로 작용하여, 저장부(10a)가 신속하게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다.
가열원의 화염과 가열성가스의 화염으로 저장부(10a)가 더욱 높은 온도로 가열됨으로 인해 목재는 더욱더 많은 가연성가스를 발생시키며, 이와 같이 많이 발생된 가연성가스가 배출부(60)의 유입구(60a)를 통해 내부통로로 유입된 후, 배출구(60b)를 통해 배출되어 전술한 원리에 의해 화염으로 변환되어 저장부(10a)를 더욱 가열하게 된다.
즉, 저장부(10a)에서 발생 및 배출되는 가연성가스를 화염으로 변환시켜 해당 저장부(10a)를 가열하면서 가열원의 화염으로도 저장부(10a)를 가열하는 작용을 통해 종래보다 빠른 시간에 목재를 탄화시켜 숯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B의 저장부(10b)의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챔버(20)의 내부는 밀폐구조이기 때문에 가열원으로 저장부(10a)를 가열할때 저장부(10b)도 가열된다.
저장부(10b)가 가열되면, 저장부(10b)의 내부 온도도 상승되어, 목재가 탄화 즉, 증기가열된다.
따라서, 저장부(10b) 내의 목재도 가열되어 가연성가스를 발생시킨다.
이때, A의 저장부(10a) 및 B의 저장부(10b)는 서로 접촉되기 때문에, 가열원의 화염 중 일부는 B의 저장부(10b)에도 가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부(60)는 저장부(10a,10b)의 출입구와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에 가열원의 화염은 저장부(10b)의 배출부(60)에서 배출되는 가연성가스도 화염으로 변환시킨다.
따라서, 저장부(10b) 또한 저장부(10a)와 같은 원리로 가열되어, 목재를 탄화시킨다.
그리고, 저장부(10a,10b) 내의 목재가 완전히 탄화되면 숯이 되는데, 이 경우 더 이상 가연성가스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는 저장부(10a,10b)에서 가연성가스 즉, 화염이 배출되지 않을 경우, 투입부(30)를 작동시켜 해당 저장부(10a,10b)를 인출시킨 다음, 저장부(10a,10b)에서 숯을 꺼내 포장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제조장치는, 가연성가스를 통해 목재를 신속하게 탄화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숯을 제조하는 장치에 비해 숯을 생산하기 위한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가열원으로 A의 저장부(10a)만 가열하여도 B의 저장부(10b)도 가열됨으로, 저장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의 땔감(목재), 가스 사용량을 종래에 비해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가연성가스를 활용한 숯 제조장치
10 : 저장부 11 : 덮개
20 : 챔버 20a : 투입구
20b,60b : 배출구 20c : 이송로
20d : 연소실 21 : 구획바
22 : 내부 가이드레일 23 : 마감밴드
30 : 투입부 31 : 대차부
311 : 롤러 32 : 가이드레일
33 : 구동부 331 : 센터 가이드레일
3311 : 이탈방지부 332 : 푸쉬부
3321 : 이동체 3322 : 커플러
333 : 윈치 3331 : 와이어
40 : 배출가이드 41 : 부가 대차부
411 : 부가 롤러 42 : 부가 가이드레일
50 : 활차부 51 : 지지부
52 : 연결부 53 : 슬라이드부
60 : 배출부 60a : 유입구

Claims (2)

  1. 숯 재료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일측이 상기 저장부의 내부 일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저장부의 내부 타면을 관통하여 가열원과 마주하며, 상기 저장통 내의 숯 재료가 가열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가연성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가열원을 향해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가연성가스를 활용한 숯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저장통 내의 가연성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연성가스가 이동하게 되는 내부통로 및 상기 내부통로 내의 가연성가스를 상기 가열원을 향해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가연성가스를 활용한 숯 제조장치.
KR1020210172195A 2021-11-30 2021-12-03 가연성가스를 활용한 숯 제조장치 KR102586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841 2021-11-30
KR20210167841 2021-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527A true KR20230081527A (ko) 2023-06-07
KR102586393B1 KR102586393B1 (ko) 2023-10-10

Family

ID=8676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195A KR102586393B1 (ko) 2021-11-30 2021-12-03 가연성가스를 활용한 숯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3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844B1 (ko) * 2023-08-23 2023-12-06 주식회사 카본텍 숯 제조 공정시스템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1547A (ko) * 1992-04-28 1993-11-22 박용대 활성탄 제조 장치
JPH0699688B2 (ja) * 1990-01-10 1994-12-07 北陸電力株式会社 電気炉を利用した連続式木材炭化装置
KR950000839A (ko) * 1993-06-30 1995-01-03 박양웅 숯 제조장치
KR960007728A (ko) * 1994-08-26 1996-03-22 윤종용 적색 형광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3342584A (ja) * 2002-05-29 2003-12-03 Asahi Breweries Ltd 木材や有機性廃棄物を素材とする炭の製造システムと製造方法
JP2005179407A (ja) * 2003-12-17 2005-07-07 Shimazu Tekko Seisakusho:Kk 炭製造機
JP2006342301A (ja) * 2005-06-10 2006-12-21 Yamamoto Co Ltd 炭化装置
KR20100007445U (ko) * 2009-01-13 2010-07-22 곽영적 백탄 제조장치
KR101315150B1 (ko) 2012-09-04 2013-10-14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열풍 및 알칼리수의 회수가 가능한 숯 제조장치
KR101973092B1 (ko) * 2017-11-08 2019-04-26 김동희 숯 재가공 장치
KR102277400B1 (ko) * 2019-11-28 2021-07-14 (주)대호테크 메인 롤러를 구비한 대면적 성형 장치
KR20220096285A (ko) * 2020-12-30 2022-07-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속식 바이오 숯 제조 및 고품위화 장치와,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688B2 (ja) * 1990-01-10 1994-12-07 北陸電力株式会社 電気炉を利用した連続式木材炭化装置
KR930021547A (ko) * 1992-04-28 1993-11-22 박용대 활성탄 제조 장치
KR950000839A (ko) * 1993-06-30 1995-01-03 박양웅 숯 제조장치
KR960007728A (ko) * 1994-08-26 1996-03-22 윤종용 적색 형광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3342584A (ja) * 2002-05-29 2003-12-03 Asahi Breweries Ltd 木材や有機性廃棄物を素材とする炭の製造システムと製造方法
JP2005179407A (ja) * 2003-12-17 2005-07-07 Shimazu Tekko Seisakusho:Kk 炭製造機
JP2006342301A (ja) * 2005-06-10 2006-12-21 Yamamoto Co Ltd 炭化装置
KR20100007445U (ko) * 2009-01-13 2010-07-22 곽영적 백탄 제조장치
KR101315150B1 (ko) 2012-09-04 2013-10-14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열풍 및 알칼리수의 회수가 가능한 숯 제조장치
KR101973092B1 (ko) * 2017-11-08 2019-04-26 김동희 숯 재가공 장치
KR102277400B1 (ko) * 2019-11-28 2021-07-14 (주)대호테크 메인 롤러를 구비한 대면적 성형 장치
KR20220096285A (ko) * 2020-12-30 2022-07-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속식 바이오 숯 제조 및 고품위화 장치와,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844B1 (ko) * 2023-08-23 2023-12-06 주식회사 카본텍 숯 제조 공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393B1 (ko)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789B1 (ko) 열분해 가스화로
KR20230081527A (ko) 가연성가스를 활용한 숯 제조장치
US7648615B2 (en) Method of smoking/burning type volume reduction treatment and apparatus therefor
CN206543877U (zh) 一种新型保护气氛的连续排胶烧结炉
CN106670468B (zh) 一种新型保护气氛的连续排胶烧结炉
JP3174493U (ja) 燃焼装置
US20200407643A1 (en) Pyrolysis device
CH694696A5 (it)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la produzione di idrogeno e anidride carbonica da gassificazione di materie prime.
KR102586386B1 (ko) 숯 제조장치
KR20190086063A (ko) 폐플라스틱 열분해장치
ITUD20110095A1 (it) Apparecchiatura e procedimento per la decomposizione termochimica a ciclo continuo di una biomassa
KR100967906B1 (ko) 바이오매스 열분해 가스 발생 시스템 및 그 발생 방법
US3779183A (en) Tire incinerator
HU176252B (en) Continuous furnace for burning particularly ceramic articles
JPH0796271A (ja) 廃タイヤから活性炭を製造する方法とその装置
KR101722880B1 (ko) 열분해 가스화로 및 열분해 가스화로의 제어 방법
KR20170017278A (ko) 연소로에서 이동가능한 클린커 제거장치
RU2567959C2 (ru) Мобильный углевыжиг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увк-м)
CN116241880B (zh) 一种火电厂用高效便捷燃烧器
JP3684465B2 (ja) 破砕ごみ選別装置
US3326150A (en) Incinerator
CN203116023U (zh) 一种利用工业热风排放管道余热的垃圾焚烧炉
JP6711532B2 (ja) 車載式炭化処理装置
CN219530855U (zh) 一种双驱动固定排燃烧装置
WO2018025410A1 (ja) 間接加熱方式炭化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