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516A - 압력감지와 전기적 특성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 - Google Patents

압력감지와 전기적 특성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516A
KR20230081516A KR1020210169602A KR20210169602A KR20230081516A KR 20230081516 A KR20230081516 A KR 20230081516A KR 1020210169602 A KR1020210169602 A KR 1020210169602A KR 20210169602 A KR20210169602 A KR 20210169602A KR 20230081516 A KR20230081516 A KR 20230081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nductive layer
sensing material
pressure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0222B1 (ko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하이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이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9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222B1/ko
Publication of KR20230081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 G01L1/14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using capacitors
    • G01L1/146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using capacitors for measuring force distributions, e.g. using force arr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감지와 전기적 특성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압력감지재 단위모듈이 상하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압력감지재 단위모듈 중 제1단위모듈은,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어 전극으로 작용하는 도전층; 및 상기 도전층상에 형성되어 감지부로 작용하는 접촉층;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감지재 단위모듈 중 제2단위모듈은, 기판; 및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어 전극으로 작용하는 도전층; 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층은 각각 기판상에 나란한 복수의 띠형상으로 구현되고, 상기 도전층은 상하 교차하도록 구성되되, 제1단위모듈 또는 제2단위모듈 중 압력수단에 의하여 가압되는 기판의 상부에는 제2도전층이 더 부착되어 상기 압력수단이 상기 제2도전층 상부를 가압할 때, 압력수단에 의한 가압력, 압력수단의 가압 특성, 전기적 특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압력감지와 전기적 특성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력감지와 전기적 특성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Pressure sensor being able to measure the pressure and electrical properties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압력감지와 전기적 특성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감지재의 상부에 금속층을 형성함으로써, 압력수단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압력수단의 통전특성, 압력수단에 의하여 인가되는 압력을 모두 측정 가능하도록 하는 압력감지와 전기적 특성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를 제공한다.
압자는 피가압체에 압력을 가하는 개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압자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가압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형성된 투명 전극에 오류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압력수단(압자)의 고장여부나 복수로 배열된 압력수단의 높낮이 균일성 등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압력감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편평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일련의 압력감지재 시트를 거치하고, 개별적 압력감지재를 압력수단으로 가압하여 각 압력수단으로부터 측정되는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편평한 정도를 가늠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감지재는 압력수단에 의하여 작용하는 압력을 제어부에 전달하고 이를 제어부에서 연산하여 압력값을 도출함으로써 해당 압력감지재가 초기에 설정된 압력을 나타내는지, 고장은 아닌지 측정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압력수단이 배열된 경우에는 각 압력수단의 위치가 높낮이 면에서 균일하게 배열되어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압력수단이 압력감지재를 가압할 때, 압력감지만으로 압력수단의 이상여부를 확정하는 경우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압력감지만으로 압력수단의 이상여부를 확정하였을 때, 추후 재측정시 압력수단에 이상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도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압력감지재의 접촉층 내부에 필러가 분산되어 존재하는 경우, 압자의 단부가 첨예하게 제조되어 있으므로 압자가 압력을 가하는 영역이 국소부에 집중되어 있고, 해당 국소부에 필러 입자가 존재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압력의 측정값에 차이가 존재한다. 즉, 접촉층 내부에 필러를 분산시킬 때 랜덤하게 분산되므로 압자와 필러가 만나는지 아니면 압자와 접촉부 매트릭스가 만나는지 확신할 수 없고, 큰 필러와 만나는지 아니면 작은 필러와 만나는지도 알 수 없으며, 압자가 필러를 만나게하거나 매트릭스를 만나게 하도록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도 없는 바, 결국 측정된 압력값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히, 압자가 좌우 탄성 유동이 가능하게 제작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압자가 라운드형인 경우, 압자가 압력센서를 가압할 때 단부가 압력센서상에서 미끄러지면서 여러개의 압자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운용될 때, 각 압자에 의하여 측정되는 압력간 편차가 커서 측정된 압력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1420호(2017.04.2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압력수단에 의하여 압력감지재를 가압함으로써 압력을 측정할 때, 동시에 금속성분을 포함하는 압력수단의 전기적 특성도 동시에 측정하도록 압력수단이 접촉하는 압력감지부의 상부에 도전층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압력감지와 전기적 특성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력감지부에서 압력을 측정함과 동시에 전기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을 압력감지재에 더 부가함으로써, 압력수단의 장애여부를 복합적으로 확인하여 확인상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감지와 전기적 특성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자에 의한 가압력이 압자에 의하여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것이 아닌 스페이서에 의하여 균일하게 분산되면서 전달되도록 압력감지재의 상부에 스페이서를 포함하도록 하는 압자에 의하여 균일한 압력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러와 압자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도 압력감지부에 대한 균일한 압력 측정이 가능하므로 압력감지재의 압력측정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도록 하는 압자에 의하여 균일한 압력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러의 접촉층에 대한 상대적 부피비를 일정수준 이상으로 과도하게 사용되지 않도록 유지함으로써, 압력감지재 내 접촉층의 적정한 변형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압자에 의한 가압시 측정되는 압력값을 의미있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압자에 의하여 균일한 압력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두 개의 압력감지재 단위모듈이 상하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압력감지재 단위모듈 중 제1단위모듈은,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어 전극으로 작용하는 도전층; 및 상기 도전층상에 형성되어 감지부로 작용하는 접촉층;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감지재 단위모듈 중 제2단위모듈은, 기판; 및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어 전극으로 작용하는 도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층은 각각 기판상에 나란한 복수의 띠형상으로 구현되고, 상기 도전층은 상하 교차하도록 구성되되, 제1단위모듈 또는 제2단위모듈 중 압력수단에 의하여 접촉되면서 가압되는 기판의 상부에는 제2도전층이 더 형성되어 상기 압력수단이 상기 제2도전층의 상부를 가압할 때, 압력수단의 도전 특성을 측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지와 전기적 특성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를 제공한다.
상기 압력감지재가 시트형인 경우, 상기 도전층은 압력감지재의 각 압력감지부에 독립적으로 작용하도록 단일 도전층이 여러 부분으로 구획되거나, 각 도전층이 독립된 형태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층의 내부에는 필러가 포함되고, 제1단위모듈 또는 제2단위모듈 중 압자에 의하여 가압되는 제2도전층의 상부에는 스페이서가 더 부착되어 상기 압력수단이 상기 스페이서를 가압함으로써 압력감지부로부터 압력이 센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수단에 의하여 압력감지재를 가압함으로써 압력을 측정할 때, 압력수단이 접촉하는 압력감지부의 상부에 도전층을 더 포함하도록 하여 동시에 금속성분을 포함하는 압력수단의 전기적 특성도 동시에 측정하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압력감지부에서 압력을 측정함과 동시에 전기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을 압력감지재에 더 부가함으로써, 압력수단의 장애여부를 복합적으로 확인하여 확인상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압력수단에 의한 가압력이 압자에 의하여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것이 아닌 스페이서에 의하여 균일하게 분산되면서 전달되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필러와 압자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도 압력감지부에 대한 균일한 압력 측정이 가능하므로 압력감지재의 압력측정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필러의 접촉층에 대한 상대적 부피비를 일정수준 이상으로 과도하게 사용되지 않도록 유지함으로써, 압력감지재 내 접촉층의 적정한 변형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압자에 의한 가압시 측정되는 압력값을 의미있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도전층이 결합되지 않은 압력감지재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도전층이 결합되지 않은 압력감지재에 대하여 압력감지부를 표시하기 위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도전층이 결합된 압력감지재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도전층이 결합된 압력감지재에 대하여 압력감지부를 표시하기 위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표면에 함몰부를 형성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표면에 함몰부를 형성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형 압력감지재의 각 압력감지부에 제2도전층이 독립적으로 각각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도 7의 평면 투영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도전층이 구획된 상태로 압력감지재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7의 제2도전층 상부에 스페이서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도전층상에 스페이서가 결합되지 않은 압력감지재를 압자가 가압하기 전과 가압한 후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제2도전층상에 스페이서가 결합된 압력감지재를 압자가 가압하기 전과 가압한 후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도전층이 구획되지 않은 상태로 스페이서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도전층(170)이 결합되지 않은 압력감지재(100)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도전층(170)이 결합되지 않은 압력감지재(100)에 대하여 압력감지부를 표시하기 위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도전층(170)이 결합된 압력감지재(100)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도전층(170)이 결합된 압력감지재(100)에 대하여 압력감지부를 표시하기 위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160)의 표면에 함몰부를 형성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160)의 표면에 함몰부를 형성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형 압력감지재(100)의 각 압력감지부에 제2도전층(170)이 독립적으로 각각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도 7의 평면 투영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도전층(170)이 구획된 상태로 압력감지재(100)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7의 제2도전층(170) 상부에 스페이서(160)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도전층(170)상에 스페이서(160)가 결합되지 않은 압력감지재(100)를 압자가 가압하기 전과 가압한 후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제2도전층(170)상에 스페이서(160)가 결합된 압력감지재(100)를 압자가 가압하기 전과 가압한 후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도전층(170)이 구획되지 않은 상태로 스페이서(160)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감지재(100)는 두 개의 압력감지재(100) 단위모듈이 상하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압력감지재(100) 단위모듈 중 제1단위모듈은, 기판(110, 140); 상기 기판(110, 140)상에 형성되어 전극으로 작용하는 도전층(120, 150); 및 상기 도전층(120, 150)상에 형성되어 감지부로 작용하는 접촉층(130);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감지재(100) 단위모듈 중 제2단위모듈은, 기판(110, 140); 및 상기 기판(110, 140)상에 형성되어 전극으로 작용하는 도전층(120, 150); 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층(120, 150)은 각각 기판(110, 140)상에 나란한 복수의 띠형상으로 구현되고, 상기 도전층(120, 150)은 상하 교차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의 기판(110, 140) 상부로부터 투영된 상태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와 같이 배열된 금속층의 중첩된 부분이 압력감지부가 된다. 즉, 압력감지부가 압자에 의하여 가압되면 압력이 센싱된다. 본 발명에서는 압자를 이용하여 압력감지부를 가압하면 압자에 의하여 작용되는 압력이 압력감지부를 통하여 센싱된다. 상기 압자는 압력수단의 일 예로서, 압력수단이 압력수단으로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이러한 압력감지재(100)의 상부에 제2도전층(170)을 형성한 것을 나타내었다. 제2도전층(170)을 형성하는 이유는 압력수단이 도전성을 가질 때, 압력수단이 정상적으로 압력을 가하는지 및 압력수단의 도전특성(전기적 특성)이 양호한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제2도전층(170)의 경우, 압력감지부로만 압력수단의 장애여부를 측정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오류를 이중 점검한다는 의미와, 압력수단이 종종 피측정대상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통전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압력수단의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는 두가지의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압력감지재(100)가 압력수단의 장애여부, 피측정대상에 미치는 압력 측정 등을 기본적인 기능으로 수행하면서도 동시에 압력수단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여 그 장애여부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어, 본 발명은 유용한 발명에 해당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수단의 단부가 라운드 형태인 경우에도 국부적으로 집중해서 압력이 입력되는데, 이를 넓게 분산시키고, 분산된 압력의 평균을 측정하여 측정되는 압력값을 보다 객관화할 필요도 존재한다.
이를 위하여 제2도전층(170)의 형태를 변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도전층(170)의 단면이 테이퍼 형태의 측면을 포함하도록 함몰 가공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전층(170)을 가공하는 경우 라운드형 첨부를 갖는 압자와 제2도전층(170)이 두점에서 만나게 된다. 이 경우 두 점에서 각각 압력이 작용하며, 따라서 압력감지재(100)로 출력되는 압력이 가공되지 않은 제2도전층(170)에 대해서 압력을 미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더 넓게 분산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더 많은 압력측정 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평균함으로써 보다 더 객관적인 압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전층(170)을 가공할 수도 있는데, 통상 압력수단이 어느 정도 유동적으로 지지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즉, 압력수단이 그 지지체에 움직이지 않도록 구정된 것이 아니며, 어느 정도 좌우로 유동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제2도전층(170)이 편평한 경우에는 압력수단이 제2도전층(170)을 만날 때 압자와 스페이서(160)의 면이 이루는 각도가 균일하게 90도를 이루기 어려운 경우가 존재한다. 특히 단부가 라운드형인 경우 더욱 그렇다. 이 경우에는 각 압력수단이 최대한 스페이서(160)의 면과 90도를 이루도록 조정해야 한다. 따라서, 스페이서(160)의 면을 국부적으로 라운드 형태가 되도록 홈 가공하여 압력수단의 단부가 홈의 저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복수의 압력수단들 모두 홈 내에서의 위치를 동일하게 조정하면 압력수단별로 균일한 압력을 미치도록 할 수 있다.
도 7내지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형 압력감지재(100)에서 각 압력감지부에 제2도전층(170)이 독립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시트형 압력감지재(100)의 구부러지는 특성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0 내지 12에서는 제2도전층(170) 상부에 스페이서(160)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었다. 도 1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층(130)의 매트릭스 부분을 가압하는 경우와 필러 부분을 가압하는 경우, 매트릭스 부분과 필러 부분의 재질이 상이하기 때문에 접촉층(130)의 압축정도도 달라지고, 따라서 측정된 지점에서의 임피던스 변화도 달라지기 때문에 압력 측정 지점간 압력차가 존재하며, 따라서 측정된 압력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도 1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전층(170)의 상부에 경질의 스페이서(160)를 두면, 경질의 스페이서(160)는 첨부를 갖는 압자가 가압하더라도 가압된 부분으로 압력이 집중되지 않고, 가압 부분으로부터 압력이 접촉층(130)의 방향으로 넓게 퍼지도록 작용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접촉층(130) 내부의 필러에 따른 성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개별 압력감지재(100)간 압자에 의하여 작용하는 압력이 균일해진다고 할 수 있다. 물론, 피가압체 중에서 오류가 발생된 부분에서는 압력의 차이가 클 것으로 예상되나, 여기서는 피가압체가 전체적으로 정상상태라고 가정을 하였다. 여기서 경질의 스페이서(160)는 압자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이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기계적 특성을 갖는 스페이서(160)로 정의된다. 상기 경질의 스페이서(160)는 역시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거나 비도전성 재질인 경우, 표면에 도전층(120, 150)이 코팅되거나 적층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여야 압력수단의 도전적 특성을 측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즉, 압력감지재(100)에 존재하는 기판(110, 140)은 연성기판(FPCB, Flexible PCB)이며, 제1단위모듈 또는 제2단위모듈 중 압자에 의하여 가압되는 기판(110, 140)의 상부에는 제2도전층(170)이 형성되고, 그 위에 경질의 스페이서(160)가 더 부착되어 상기 압자가 상기 스페이서(160)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압력이 센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160)는 경성재질로서 압자에 의하여 압입하더라도 반대면에서 작용하는 압력이 넓게 퍼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스페이서(160)는 상기 접촉층(130)의 크기를 초과하지 않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접촉층(130)에는 필러가 분산되어 있다.
필러는 대개 무기질의 재질이며, 접촉층(130)이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막고, 내구성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대체로 접촉층(130)에 비하여 경질의 것으로 채택한다. 그러므로, 필러에 대한 압력과 접촉층(130)에 대한 압력이 각각 작용할 때 변형되는 정도가 서로 다르다. 이는 첨부를 갖는 압자를 사용할 때 신뢰성 있는 압력의 획득에 큰 변수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며, 경질의 스페이서(160)는 매우 좋은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국부적으로 집중해서 입력되는 압력을 넓게 분산해서 출력하도록 한다는 점에서도 경질의 스페이서(160)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필러는 접촉층(130) 내에 너무 많이 포함되면 압력에 대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없다. 즉, 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므로 실제 압력의 크기 차이 대비 출력값(센싱값)의 차이가 너무 적어 그 센싱된 데이터를 신뢰할 수 없다.
또한, 필러가 접촉층(130) 내에 너무 적게 포함되면 필러를 접촉층(130) 내로 도입하는 의미가 없게 된다. 따라서, 필러는 접촉층(130)의 부피를 100%라고 하였을 때, 필러의 부피는 30~60%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필러의 크기는 0.1~1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한데, 필러의 크기가 위 하한 미만으로 너무 작으면 필러의 접촉층(130)에 대한 내구성 증진의 효과가 적고, 필러의 크기가 위 상한을 초과하여 너무 크면 압력에 따른 접촉층(130)의 적절하고 균일한 변형이 어려우며 측정된 압력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된다. 그러므로, 위 필러의 크기 범위는 그 임계적인 의의가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도전층(170)은 복수의 압력감지부로 구성되는 시트형태의 압력감지재(100) 상부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아니면 상기 압력감지재(100)의 각 압력감지부 각각에 독립적으로 작용되도록 단일의 제2도전층(170)에서 도전층(120, 150)이 서로 구획되거나(예를 들어 각 압력감지부에 대응되도록 도전층(120, 150)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단일의 제2도전층(170)에 커팅에 의하여 형성되는 슬릿을 형성하는 방법), 각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도전층(120, 150)이 각 압력감지부에 각각 부착되도록 하는 등의 변형예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압력감지재 110, 140 : 기판
120, 150 : 도전층 130 : 접촉층
160 : 스페이서 170 : 제2도전층

Claims (3)

  1. 두 개의 압력감지재 단위모듈이 상하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압력감지재 단위모듈 중 제1단위모듈은,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어 전극으로 작용하는 도전층; 및
    상기 도전층상에 형성되어 감지부로 작용하는 접촉층;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감지재 단위모듈 중 제2단위모듈은,
    기판; 및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어 전극으로 작용하는 도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층은 각각 기판상에 나란한 복수의 띠형상으로 구현되고,
    상기 도전층은 상하 교차하도록 구성되되,
    제1단위모듈 또는 제2단위모듈 중 압력수단에 의하여 접촉되면서 가압되는 기판의 상부에는 제2도전층이 더 형성되어 상기 압력수단이 상기 제2도전층의 상부를 가압할 때, 압력수단의 도전 특성을 측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지와 전기적 특성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재가 시트형인 경우, 상기 도전층은 압력감지재의 각 압력감지부에 독립적으로 작용하도록 단일 도전층이 여러 부분으로 구획되거나, 각 도전층이 독립된 형태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지와 전기적 특성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층의 내부에는 필러가 포함되고,
    제1단위모듈 또는 제2단위모듈 중 압자에 의하여 가압되는 제2도전층의 상부에는 스페이서가 더 부착되어 상기 압력수단이 상기 스페이서를 가압함으로써 압력감지부로부터 압력이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자에 의하여 균일한 압력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
KR1020210169602A 2021-11-30 2021-11-30 압력감지와 전기적 특성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 KR102590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602A KR102590222B1 (ko) 2021-11-30 2021-11-30 압력감지와 전기적 특성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602A KR102590222B1 (ko) 2021-11-30 2021-11-30 압력감지와 전기적 특성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516A true KR20230081516A (ko) 2023-06-07
KR102590222B1 KR102590222B1 (ko) 2023-10-17

Family

ID=86761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602A KR102590222B1 (ko) 2021-11-30 2021-11-30 압력감지와 전기적 특성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2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420U (ko) 2015-10-12 2017-04-20 (주) 비전에프에이 시트형 압력센서를 이용한 모빌랙의 안전장치
KR20170142804A (ko) * 2016-06-16 2017-12-2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상호정전용량 기반의 터치센서 및 제조방법
KR20210096703A (ko) * 2019-12-27 2021-08-06 하이비스 주식회사 유효 감지 면적이 확장된 압력감지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420U (ko) 2015-10-12 2017-04-20 (주) 비전에프에이 시트형 압력센서를 이용한 모빌랙의 안전장치
KR20170142804A (ko) * 2016-06-16 2017-12-2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상호정전용량 기반의 터치센서 및 제조방법
KR20210096703A (ko) * 2019-12-27 2021-08-06 하이비스 주식회사 유효 감지 면적이 확장된 압력감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222B1 (ko)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1153C (en) Sensor with a plurality of sensor elements arranged with respect to a substrate
CN102232190B (zh) 探针卡
US7847569B2 (en) Probe device and method of regulating contact pressure between object to be inspected and probe
JP2005502103A (ja) 回転分離された力センサを備えたタッチスクリーン
EP4151970A1 (en) Capacitive pressure sensor
US20110314923A1 (en) Pressure sensor with fixed deformable area
EP3446200B1 (en) Force-sensitive electronic device
JP2005070821A (ja) 位置検出パネルおよびその検査方法
KR20230081516A (ko) 압력감지와 전기적 특성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
KR102590237B1 (ko) 압자에 의하여 균일한 압력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
KR102629176B1 (ko) 압자에 의하여 균일한 압력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
US11346733B2 (en) Measuring element, measuring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measuring element for measurement forces
JP2012112685A (ja) フレキシブルセンサ及びセンサの評価用コントローラ
KR102629181B1 (ko) 비압력감지 영역에 대한 가압에도 압력 측정이 가능한 압력감지재
JP2018004341A (ja) 打点試験装置及び打点試験方法
KR101772003B1 (ko) 테스트 소켓
US20230064769A1 (en) Pressure sensor
JP2006184098A (ja) 感圧センサ
KR102293270B1 (ko) 스퀴지 기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스크린 프린터
CN111504247A (zh) 一种测量装置及测量的方法
KR102442222B1 (ko) 임프린팅 장치
KR102140498B1 (ko) 패널 검사장치
CN113747678B (zh) 绑定装置
CN112475649A (zh) 接合装置
KR200479859Y1 (ko) 광섬유 어레이 블록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