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033A - 천연 공융용매로 추출된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공융용매로 추출된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033A
KR20230080033A KR1020210167397A KR20210167397A KR20230080033A KR 20230080033 A KR20230080033 A KR 20230080033A KR 1020210167397 A KR1020210167397 A KR 1020210167397A KR 20210167397 A KR20210167397 A KR 20210167397A KR 20230080033 A KR20230080033 A KR 20230080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utectic solvent
green tea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impr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성
이종우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67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033A/ko
Publication of KR20230080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공융용매로 추출된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 미백 활성, 주름개선 활성, 보습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피부개선 용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공융용매로 추출된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EXTRACTED WITH NATURAL EUTECTIC SOLVENT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천연 공융용매로 추출된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크게 표피, 진피 및 피하 지방조직의 3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부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 중, 표피는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의 순서로 구분되는데 가장 최외각층인 각질층은 브릭 앤 모르타르(brick and mortar)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각질 세포들은 벽돌 역할을 하고, 세포 사이의 지질은 각질 세포들을 단단히 고정하는 모르타르 역할을 함으로써 피부 장벽을 형성하여 체외로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동시에 외부의 물리적 및 화학적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한다.
또한, 각질층에는 수분 보유능력이 있는 친수성의 천연 보습 인자가 존재하여 피부 보습에 기여하고, 피지선 및 땀샘에서 분비되는 피지 및 땀에 의해 형성되는 적절한 유분이 피부의 수분 손실을 최소화한다. 그러나, 건강한 피부라 하더라도 스트레스나, 자외선 등의 외부 환경, 노화, 환경오염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건조해질 수 있다.
또한, 피부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균의 침입을 막는 동시에 체내의 수분 및 체온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은 주로 표피에 의해 수행되며, 표피는 피부 탄력성 및 유연성에 관련된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로 구성되어 있다. 피부 노화는 생리적 노화와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로 구분할 수 있다. 피부 노화와 관련된 진피의 노화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감소와 진피층을 유지하는 단백질 합성능의 감소에 기인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56984호는 삼칠 추출물이 피부 줄기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 NO 생성 억제 효과, PPAR 알파의 활성 촉진 효과 등을 통해 피부 재생, 항염증, 아토피 개선, 보습 등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용도에 사용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5698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공융용매로 추출된 녹차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피부외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 미백 활성, 주름개선 활성, 보습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피부개선 용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양한 비율로 혼합된 염화콜린 및 갈락토즈에 의해 생성된 공융용매를 촬영한 결과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양한 비율로 혼합된 염화콜린 및 아라비노즈에 의해 생성된 공융용매를 촬영한 결과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양한 비율로 혼합된 염화콜린 및 락토오즈에 의해 생성된 공융용매를 촬영한 결과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양한 비율로 혼합된 염화콜린 및 프룩토즈에 의해 생성된 공융용매를 촬영한 결과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양한 비율로 혼합된 염화콜린 및 글루코즈에 의해 생성된 공융용매를 촬영한 결과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양한 비율로 혼합된 염화콜린 및 자일로즈에 의해 생성된 공융용매를 촬영한 결과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양한 비율로 혼합된 염화콜린 및 수크로즈에 의해 생성된 공융용매를 촬영한 결과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양한 비율로 혼합된 염화콜린 및 말토오즈에 의해 생성된 공융용매를 촬영한 결과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양한 비율로 혼합된 염화콜린 및 트레할로즈에 의해 생성된 공융용매를 촬영한 결과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효소처리된 녹차 공융용매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효소처리된 녹차 공융용매 추출물의 AQP3 유전자 발현 증가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효소처리된 녹차 공융용매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녹차(Camellia sinensis)는 동백과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관목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를 중심으로 아프리카, 러시아 등 아열대 및 온대에 걸쳐 광범위하게 재배되고 있다. 상기 녹차는 발효시키지 않고 그대로 볶아 말린 차나무의 잎으로, 카테킨, 카페인, 플로보놀 유도체 등을 주요 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다. 녹차는 예부터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 암 등의 치료 효과를 포함하는 다양한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다.
상기 녹차는 녹차의 줄기, 잎, 꽃, 뿌리 및 종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녹차는 종자일 수 있다.
상기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1) 녹차에 천연 공융용매를 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된 여과물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공융용매(eutectic solvent)"는 수소결합 받개와 수소결합 주개(hydrogen bond donor, HBD)가 수소결합으로 공융되면서 형성되는 용매를 의미하며, 염과 수소결합 주개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천연 공융용매를 사용하여 녹차로부터 유용한 생리활성을 추출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일 수 있다.
상기 수소결합 받개는 염화콜린(choline chloride), 베타인(betaine), 테느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tetrabutylammonium bromide, TBAB) 및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etramethylammonium chloride, TMAC)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소결합 주개는 당류일 수 있다. 상기 당류는 단당류, 이당류 및 다당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당류는 프룩토즈, 아라비노즈, 글루코즈, 갈락토즈, 자일로즈, 락토오즈, 수크로즈, 말토오즈 및 트레할로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융용매의 제조에 사용되는 수소결합 받개 및 수소결합 주개의 혼합비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공융용매는 수소결합 받개 및 수소결합 주개가 0.5 내지 10:1, 0.5 내지 8:1, 0.5 내지 5:1, 0.5 내지 4:1, 0.5 내지 3:1, 1 내지 10:1, 1 내지 8:1, 1 내지 5:1, 1 내지 4:1 및 1 내지 3:1의 몰비로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천연 공융용매는 녹차 질량의 1 내지 20배, 1 내지 15배, 1 내지 10배, 3 내지 20배, 3 내지 15배 또는 3 내지 10배로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추출방법으로서 진탕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추출이 사용될 수 있고, 추출은 1 내지 70시간, 1 내지 50시간, 1 내지 40시간, 1 내지 30시간 또는 1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1회 이상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동결건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은 추출 후, 전분 분해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될 수 있다. 상기 전분 분해효소는 통상의 기술분야에 알려진 모든 종류의 전분 분해효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분 분해효소는 알파아밀레이즈(α-amylase), 셀룰레이즈(cellulase), 펙티네이즈(pectinase), 헤미셀룰레이즈(hemicellulase), 아라비네이즈(arabianse), 베타글루카네이즈(β-glucanase) 및 자일라네이즈(xylanas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분 분해효소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개선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이는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항염증 활성을 통해 피부를 개선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이의 유효성분인 본 발명에 따른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 구체적으로 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개선을 목적으로 피부에 직접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화장료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크림,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하이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로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로서 용매, 용매화제, 유탁화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가칸트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설페이트, 알칼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담체 성분 이외에도, 보조제로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보습제, 안료, 향료,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계면활성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이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피부외용제를 제공한다.
상기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은 수소결합 받개 및 수소결합 주개의 혼합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때, 수소결합 받개 및 수소결합 주개는 0.5 내지 10:1의 몰비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은 추출 후, 전분 분해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및 부형제는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및 완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형제는 유당, 덱스트린, 전분, 만니톨, 소르비톨, 글루코스, 사카로스, 미세결정 셀룰로스,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적절히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파우더, 젤, 연고, 크림, 액체 및 에어로졸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은 수소결합 받개 및 수소결합 주개의 혼합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때, 수소결합 받개 및 수소결합 주개는 0.5 내지 10:1의 몰비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은 추출 후, 전분 분해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첨가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은 목적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90 중량부일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의 형태 및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추가성분으로서 여러 가지 향미제, 감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천연 또는 합성 감미제일 수 있고, 천연 감미제의 예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이 있다. 한편, 합성 감미제의 예로는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 디사카라이드, 폴리사카라이드, 올리고당 및 당알코올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서술한 추가성분 외에,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스탄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100 중량부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은 수소결합 받개 및 수소결합 주개의 혼합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때, 수소결합 받개 및 수소결합 주개는 0.5 내지 10:1의 몰비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은 추출 후, 전분 분해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인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을 10 내지 9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생물학적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조성물을 생체 내에 전달하는데 적합한 것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체는 Merck Index, 13th ed., Merck & Co. Inc.에 기재된 화합물,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덱스트로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과 같은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하는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용 제제 또는 비경구용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용 제제로는 고형 제제 및 액상 제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형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또는 트로키제일 수 있고,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첨가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 제제는 윤활제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예로는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등이 있다. 한편, 상기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상 제제에는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과 같은 부형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용 제제는 주사제, 좌제, 호흡기 흡입용 분말, 스프레이용 에어로졸제, 파우더 및 크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수성용제 또는 현탁용제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이나, 에틸올레이트와 같이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는 복강내, 직장내, 피하, 정맥, 근육내 또는 흉부내 주사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는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환자의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0.0001 내지 1,000 ㎎/㎏, 구체적으로 0.001 내지 500 ㎎/㎏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1회 수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 또는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병용 투여시, 투여는 순차적 또는 동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제조예 1. 갈락토즈를 사용한 천연 공융용매의 제조
수소결합 받개(hydrogen bond acceptor, HBA)로서 염화콜린(choline chloride, CC)을 수소결합 주개(hydrogen bond donor, HBD)로서 갈락토즈(galactose, Gal)를 사용하여 천연 공융용매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염화콜린 및 갈락토즈를 1:0, 3.5:1, 3:1, 2.5:1, 2:1, 1.5:1 또는 0:1의 몰비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액상이 될때까지 가열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천연 공융용매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화콜린 및 갈락토즈를 다양한 혼합비율로 혼합한 경우에 천연 공융용매가 생성되었다. 특히, 염화콜린 및 갈락토즈를 3.5:1, 3:1 또는 2.5:1의 몰비로 혼합한 경우에 잔류물이 적게 형성되어 공융용매의 제조에 더 적합하였다.
제조예 2. 아라비노즈를 사용한 천연 공융용매의 제조
갈락토즈 대신 아라비노즈(arabinose, Ara)를 사용하고, 염화콜린 및 아라비노즈의 혼합비를 1:0, 3:1, 2:1, 1:1, 1:2, 1:3 또는 0:1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천연 공융용매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천연 공융용매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화콜린 및 아라비노즈를 다양한 혼합비율로 혼합한 경우에 천연 공융용매가 생성되었다. 특히, 염화콜린 및 아라비노즈를 2:1 또는 1:1의 몰비로 혼합한 경우에 잔류물이 적게 형성되어 공융용매의 제조에 더 적합하였다.
제조예 3. 락토오즈를 사용한 천연 공융용매의 제조
갈락토즈 대신 락토오즈(lactose, Lac)를 사용하고, 염화콜린 및 락토오즈의 혼합비를 1:0, 6:1, 5:1, 4:1, 3:1, 2:1 또는 0:1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천연 공융용매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천연 공융용매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화콜린 및 락토오즈를 다양한 혼합비율로 혼합한 경우에 천연 공융용매가 생성되었다. 특히, 염화콜린 및 락토오즈를 6:1, 5:1 또는 4:1의 몰비로 혼합한 경우에 잔류물이 적게 형성되어 공융용매의 제조에 더 적합하였다.
제조예 4. 프룩토즈를 사용한 천연 공융용매의 제조
갈락토즈 대신 프룩토즈(fructose, Fru)를 사용하고, 염화콜린 및 프룩토즈의 혼합비를 1:0, 3:1, 2:1, 1:1, 1:2, 1:3 또는 0:1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천연 공융용매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천연 공융용매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화콜린 및 프룩토즈를 다양한 혼합비율로 혼합한 경우에 천연 공융용매가 생성되었다. 특히, 염화콜린 및 프룩토즈를 1:1, 1:2 또는 1:3의 몰비로 혼합한 경우에 잔류물이 적게 형성되어 공융용매의 제조에 더 적합하였다.
제조예 5. 글루코즈를 사용한 천연 공융용매의 제조
갈락토즈 대신 글루코즈(glucose, Glu)를 사용하고, 염화콜린 및 글루코즈의 혼합비를 1:0, 4:1, 3:1, 2:1, 1:1, 1:2 또는 0:1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천연 공융용매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천연 공융용매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화콜린 및 글루코즈를 다양한 혼합비율로 혼합한 경우에 천연 공융용매가 생성되었다. 특히, 염화콜린 및 글루코즈를 4:1, 3:1, 2:1 또는 1:1의 몰비로 혼합한 경우에 잔류물이 적게 형성되어 공융용매의 제조에 더 적합하였다.
제조예 6. 자일로즈를 사용한 천연 공융용매의 제조
갈락토즈 대신 자일로즈(xylose, Xyl)를 사용하고, 염화콜린 및 자일로즈의 혼합비를 1:0, 4:1, 3:1, 2:1, 1:1, 1:2 또는 0:1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천연 공융용매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천연 공융용매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화콜린 및 자일로즈를 다양한 혼합비율로 혼합한 경우에 천연 공융용매가 생성되었다. 특히, 염화콜린 및 자일로즈를 3:1, 2:1 또는 1:1의 몰비로 혼합한 경우에 잔류물이 적게 형성되어 공융용매의 제조에 더 적합하였다.
제조예 7. 수크로즈를 사용한 천연 공융용매의 제조
갈락토즈 대신 수크로즈(sucrose, Suc)를 사용하고, 염화콜린 및 수크로즈의 혼합비를 1:0, 3:1, 2:1, 1:1, 1:2, 1:3 또는 0:1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천연 공융용매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천연 공융용매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화콜린 및 수크로즈를 다양한 혼합비율로 혼합한 경우에 천연 공융용매가 생성되었다. 특히, 염화콜린 및 수크로즈를 3:1, 2:1 또는 1:1의 몰비로 혼합한 경우에 잔류물이 적게 형성되어 공융용매의 제조에 더 적합하였다.
제조예 8. 말토오즈를 사용한 천연 공융용매의 제조
갈락토즈 대신 말토오즈(maltose, Mal)를 사용하고, 염화콜린 및 말토오즈의 혼합비를 1:0, 5:1, 4:1, 3:1, 2:1, 1:1 또는 0:1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천연 공융용매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천연 공융용매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화콜린 및 말토오즈를 다양한 혼합비율로 혼합한 경우에 천연 공융용매가 생성되었다. 특히, 염화콜린 및 말토오즈를 4:1, 3:1 또는 2:1의 몰비로 혼합한 경우에 잔류물이 적게 형성되어 공융용매의 제조에 더 적합하였다.
제조예 9. 트레할로즈를 사용한 천연 공융용매의 제조
갈락토즈 대신 트레할로즈(trehalose, Tre)를 사용하고, 염화콜린 및 트레할로즈의 혼합비를 1:0, 4:1, 3:1, 2:1, 1:1, 1:2 또는 0:1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천연 공융용매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천연 공융용매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화콜린 및 말토오즈를 다양한 혼합비율로 혼합한 경우에 천연 공융용매가 생성되었다. 특히, 염화콜린 및 말토오즈를 4:1, 3:1 또는 2:1의 몰비로 혼합한 경우에 잔류물이 적게 형성되어 공융용매의 제조에 더 적합하였다.
실시예 1. 갈락토즈를 포함하는 공융용매를 이용한 녹차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염화콜린 및 갈락토즈를 2.5: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공융용매를 이용하여 녹차 추출물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2 ㎏의 녹차 종자에 6 ℓ의 헥산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3회 교반 추출하여 녹차 종자를 탈지시켰다. 이후, 1 ㎏의 탈지된 녹차 종자에 4 ℓ의 제조예 1에서 제조된 공융용매를 첨가하고 3회 환류 추출뒤, 15℃에서 침적시켰다. 1일 후, 침적된 추출물을 여과포로 여과하고 원심분리하여 추출액만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추출액을 감압농축하여 250 g의 녹차 종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1 g의 녹차 종자 추출물을 100 ㎖의 0.1M 초산완충용액(pH 5)에 용해시키고, 0.1 g의 자일라네이즈(xylase, Sigma) 및 0.1 g의 알파아밀레이즈(α-amylase, Sigma)를 첨가하여 37℃의 항온수조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며 반응시켰다. 반응에 의해 성분을 HPLC로 확인하면서 녹차 종자 추출물의 성분이 완전히 소실되면 전체 반응물 부피 5배의 에탄올을 첨가하였다. 이를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상등액을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건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공융용매로 추출 후, 효소처리된 녹차 종자 추출물을 0.13 g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아라비노즈를 포함하는 공융용매를 이용한 녹차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의 공융용매 대신 제조예 2의 공융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녹차 종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락토오즈를 포함하는 공융용매를 이용한 녹차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의 공융용매 대신 제조예 3의 공융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녹차 종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프룩토즈를 포함하는 공융용매를 이용한 녹차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의 공융용매 대신 제조예 4의 공융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녹차 종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글루코즈를 포함하는 공융용매를 이용한 녹차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의 공융용매 대신 제조예 5의 공융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녹차 종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자일로즈를 포함하는 공융용매를 이용한 녹차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의 공융용매 대신 제조예 6의 공융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녹차 종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수크로즈를 포함하는 공융용매를 이용한 녹차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의 공융용매 대신 제조예 7의 공융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녹차 종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말토오즈를 포함하는 공융용매를 이용한 녹차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의 공융용매 대신 제조예 8의 공융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녹차 종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트레할로즈를 포함하는 공융용매를 이용한 녹차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의 공융용매 대신 제조예 9의 공융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녹차 종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정제수를 이용한 녹차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의 공융용매 대신 정제수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녹차 종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효소처리된 녹차 공융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확인
상기 제조된 효소처리된 녹차 공융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통해 확인하였다.
먼저, 70% 에탄올 수용액에 100 μM의 농도가 되도록 DPPH(Sigma-Aldrich, 미국)를 용해시켜 DPPH 라디칼 용액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DPPH 라디칼 용액에 0.1 ㎕의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효소처리된 녹차 공융용매 추출물을 각각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microplate reader, BKMPR-1096A, Konvision Inc., 중국)를 사용하여 530 ㎚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서 25, 50 또는 100 ppm 농도의 L-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측정된 흡광도 값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여 도 10에 DPPH 라디칼 제거 활성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A: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 변화
B: 음성 대조군의 흡광도 변화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융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녹차 종자 추출물이 유의적인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실시예 6의 녹차 추출물이 가장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효소처리된 녹차 공융용매 추출물의 미백 활성 확인
상기 제조된 효소처리된 녹차 공융용매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먼저, C57BL/6 마우스 유래의 색소세포인 멜란-a(Melan-a) 세포주(St. George's Hospital, 영국)를 10% 우태반혈청, 100 nM 1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빌-13-아세테이트(12-O-tetradecanoyphorbol-13-acetate) 및 1 nM의 콜레라 독소를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양배지로 37℃ 및 5% CO2 조건으로 배양하여 준비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0.25%의 트립신-EDTA를 처리하여 세포를 회수하고, 이를 24-웰 플레이트에 웰당 105개가 되도록 분주하였다. 분주된 세포의 배양 이틀째부터 3일 연속으로 25 ppm의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효소처리된 녹차 공융용매 추출물을 각각 첨가하였다. 배양 3일 후, 배양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PBS로 세척하였다. 여기에 1 N의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세포를 녹이고, 400 ㎚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서 10 ppm 농도의 코지산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측정된 흡광도 값을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여 표 1에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샘플 멜라닌 생성 억제율(%)
실시예 1 46.2
실시예 2 41.7
실시예 3 56.8
실시예 4 34.8
실시예 5 40.5
실시예 6 82.4
실시예 7 58.2
실시예 8 61.3
실시예 9 64.5
비교예 1 10.4
양성 대조군 31.7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융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녹차 종자 추출물이 유의적인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실시예 6의 녹차 추출물이 가장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공융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녹차 종자 추출물이 미백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효소처리된 녹차 공융용매 추출물의 주름개선 활성 확인
상기 제조된 효소처리된 녹차 공융용매 추출물의 주름개선 활성을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먼저, 인간 섬유아세포(PromoCell, 독일)를 24웰 플레이트에 웰당 105개가 되도록 분주하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배양하였다. 세포가 플레이트의 90% 정도 배양된 후,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지로 배양배지를 교체하고, 50 ppm의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효소처리된 녹차 공융용매 추출물을 각각 첨가하였다. 24시간 후, 세포 배양액의 일부를 취하여 프로콜라겐 I형 ELISA 키트(procollagen type I ELISA kit)를 사용하여 프로콜라겐의 함량의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확인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무처리군을, 음성 대조군은 정제수를, 양성 대조군은 동일한 농도의 토코페롤 및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음성 대조군의 값을 100으로 프로콜라겐의 함량을 백분율로 계산하여 표 2에 콜라겐 합성능(%)을 나타내었다.
샘플 콜라겐 합성능(%)
실시예 1 108.6
실시예 2 108.4
실시예 3 115.4
실시예 4 107.4
실시예 5 107.5
실시예 6 135.4
실시예 7 118.3
실시예 8 121.5
실시예 9 125.4
비교예 1 104.3
대조군 100
양성 대조군(토코페롤) 115
양성 대조군(EGCG) 119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융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녹차 종자 추출물이 유의적인 콜라겐 합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실시예 6의 녹차 추출물이 가장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공융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녹차 종자 추출물이 피부주름 개선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효소처리된 녹차 공융용매 추출물의 보습활성 확인
상기 제조된 효소처리된 녹차 공융용매 추출물의 보습활성을 아쿠아포린3(aquaporins3, AQP3) 단백질의 생성 증가 효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AQP3 단백질은 세포와 세포 사이의 수분 및 글리세롤의 이동을 조절하는 단백질로서, AQP3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된 동물모델에서 표피층 수분유지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각질형성세포(human epidermal keratinocyte neonatal)인 HELn 세포주(Invitrogen, 미국)를 10% FBS(fetal bovine serum, Lonza, 스위스),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HEKn 세포주에 50 ppm의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효소처리된 녹차 공융용매 추출물을 각각 첨가하였다. 12시간 후, 트리졸(Invitrogen, 미국)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세포로부터 R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RNA의 농도는 분광광도법으로, 무결성(integrity)은 바이오아날라이저 2100(BioAnalyzer 2100, Agilent Technologies, 미국)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 ㎍의 RNA를 주형으로 슈퍼스크립트® III(SuperScript® III, Invitrogen, 미국) 역전사효소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를 주형으로 택맨 RT-PCR(TaqMan RT-PCR, 7500Fast, Applied Biosystems, 미국) 기기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RT-PCR을 수행하여 AQP3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증폭은 95℃에서 10분, 95℃에서 15분(50회 반복), 및 60℃에서 1분의 조건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대조군인 RPLPO 유전자의 발현량을 100으로 하여 AQP3 유전자의 발현량을 상대적인 값으로 계산하여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융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녹차 종자 추출물이 유의적인 AQP3 유전자 발현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실시예 6의 녹차 추출물이 가장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공융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녹차 종자 추출물이 피부보습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효소처리된 녹차 공융용매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확인
상기 제조된 효소처리된 녹차 공융용매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먼저, RAW264.7 세포주를 96웰 플레이트에 웰당 4×104개가 되도록 분주 및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50 ppm의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효소처리된 녹차 공융용매 추출물을 상기 세포주에 처리하고, 1시간 후에 염증반응 유발을 위해 2 ㎍/㎖의 LPS(lipopolysaccharide)를 첨가하였다. 이를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의 배양액 내 존재하는 산화질소(NO)의 수준을 그리스(Griess)반응을 기본으로 하는 NO 디텍션 키트(NO detection kit, Intro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100 ㎕의 세포 배양액을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50 ㎕의 N1 완충액(sulfanilamide)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여기에 동량의 N2 완충액(naphthylethylenediamine)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실온에서 더 반응시킨 후, 540 ㎚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NO 생성량은 아질산염 기준(nitrite standard)를 이용하여 얻은 표준 검량곡선을 이용하여 산출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서 퀘르세틴(quercetin)을 사용하였다. 수득된 결과는 t-테스트(paired t-test, 양측검증) 기능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여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융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녹차 종자 추출물이 유의적인 NO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공융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녹차 종자 추출물이 항염증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2)

  1.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은 수소결합 받개 및 수소결합 주개의 혼합으로 제조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결합 받개 및 수소결합 주개는 0.5 내지 10:1의 몰비로 혼합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결합 받개는 염화콜린(choline chloride), 베타인(betaine), 테느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tetrabutylammonium bromide, TBAB) 및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etramethylammonium chloride, TMAC)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결합 주개는 당류인,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당류는 단당류, 이당류 및 다당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개선은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항염증 활성을 통해 피부를 개선시키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 후, 전분 분해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된 것인,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 분해효소는 알파아밀레이즈(α-amylase), 셀룰레이즈(cellulase), 펙티네이즈(pectinase), 헤미셀룰레이즈(hemicellulase), 아라비네이즈(arabianse), 베타글루카네이즈(β-glucanase) 및 자일라네이즈(xylanas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피부외용제.
  11.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2. 녹차의 천연 공융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210167397A 2021-11-29 2021-11-29 천연 공융용매로 추출된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80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397A KR20230080033A (ko) 2021-11-29 2021-11-29 천연 공융용매로 추출된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397A KR20230080033A (ko) 2021-11-29 2021-11-29 천연 공융용매로 추출된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033A true KR20230080033A (ko) 2023-06-07

Family

ID=8676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397A KR20230080033A (ko) 2021-11-29 2021-11-29 천연 공융용매로 추출된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003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984A (ko) 2020-05-11 2021-05-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984A (ko) 2020-05-11 2021-05-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234B1 (ko)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항산화, 보습,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재생 활성을 갖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10043194A (ko) 마테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077229B1 (ko) 마테차로부터 분리한 메가스티그만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484422B1 (ko) 사막 선인장 추출물 및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15455A (ko)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425562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12811B1 (ko)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30080033A (ko) 천연 공융용매로 추출된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2355B1 (ko) 감귤류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조직 재생용 조성물
KR102198589B1 (ko) 바위돌꽃, 바위손, 맨드라미 및 쑥 혼합추출물과 피톨(phytol)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30114486A (ko) 유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8448B1 (ko) 살비아놀릭산 b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80114783A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130123490A (ko) 다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644047B1 (ko) 찔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452582B1 (ko) 테트라하이드로팔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9748A (ko)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86125B1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피부 항노화 조성물
JP2011184354A (ja) ケラチノサイトへのメラニンの取り込みを抑制する美白剤
KR102481996B1 (ko) 로스팅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34300B1 (ko) 새머루 또는 낙지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500750B1 (ko) 산뽕나무 및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보호용 조성물
WO2024096604A1 (ko) 발효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4646B1 (ko) 골담초 유래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93781B1 (ko)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나트륨 또는 피탄트리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