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9987A -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 Google Patents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9987A
KR20230079987A KR1020210167305A KR20210167305A KR20230079987A KR 20230079987 A KR20230079987 A KR 20230079987A KR 1020210167305 A KR1020210167305 A KR 1020210167305A KR 20210167305 A KR20210167305 A KR 20210167305A KR 20230079987 A KR20230079987 A KR 20230079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xypropionic acid
less
recovery process
crystals
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호
정우철
한상원
조아라
방용주
김정은
최재훈
강동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210167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9987A/ko
Publication of KR20230079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98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51/4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liquid-liquid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51/47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solid-liquid treatment; by chemi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4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ing Peroxycarboxylic acids
    • C12P7/52Propionic acid; Butyr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칼리 금속염 존재 하에,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농축액에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농축액에서 분리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포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포함 용액에 암모니아를 투입하여 침전물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침전물을 여과한 여과액을 농축하여 농축된 여과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PROCESS OF RECOVERING 3-HYDROXYPROPIONIC ACID}
본 발명은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에 관한 것이다.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3-hydroxypropionic acid; 3HP)은 아크릴산(acrylic acid), 아크릴산메틸(methyl acrylate),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등의 다양한 화학 물질로 전환 가능한 플랫폼 화합물이다. 2004년 미국 Department of Energy(DOE)로부터 Top 12 value-added bio-chemical로 선정된 이후 학계와 산업계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생산은 크게 화학적 방법과 생물학적 방법의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지나, 화학적 방법의 경우 초기 물질이 고가인 점, 생산 과정 중 독성 물질이 생성되는 점 등에 의해 비친환경적이라는 지적이 있어, 친환경적인 바이오 공정이 각광받고 있다.
미생물 발효에 의한 유기산의 제조시, 미생물을 발효하는 과정에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등의 유기산 이외에 다른 부산물도 함께 생성되기 때문에, 발효액으로부터 유기산을 추출 및 분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미생물 발효액으로부터 유기산을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전기 투석법, 역삼투막법, 유기산을 함유하는 용액-유기용매 반응 추출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수산화나트륨(NaOH)를 이용한 역추출법이 수율이 높아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의 경우 생성물이 유기산염 형태이므로 이를 유기산으로 전환하기 위한 공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순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은 발효 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다른 유기산들과는 달리, 높은 친수성을 나타내고, 물에 대한 용해도 및 반응성이 높다. 이에 따라 침전 또는 추출과 같은 종래 유기산 분리 정제 공정을 적용하기 어렵다.
반응 추출법은, 유기산과 반응성이 좋은 아민 또는 알코올과 같은 활성 희석액(active diluent)을 이용하여, 유기산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유기산의 선택적 추출이 가능하고, 추출 효율이 비교적 높다. 이에 따라, 3HP의 분리 정제 시에도 상기 반응 추출법을 적용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일례로, 상기 아민으로서 트리옥틸아민(trioctylamine; TOA)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3HP의 추출 효율이 낮고, 또 다량의 유기 용매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아민으로서 트리데실아민(tridecylamine)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TOA 보다 3HP의 추출 효율은 높지만, 추출 시 유기상과 수상이 분리되지 않는 에멀젼(emulsion)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미생물 발효액 등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포함 원료액으로부터 고순도 및 고수율의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회수하는 공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 결정 포함 용액에 암모니아를 투입하여 고수율 및 고순도의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회수하고, 재활용 가능한 알칼리 금속염의 수산화물을 회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알칼리 금속염 존재 하에,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농축액에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농축액에서 분리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포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포함 용액에 암모니아를 투입하여 침전물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침전물을 여과한 여과액을 농축하여 농축된 여과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이 제공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제조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은 순차적 또는 연속적임을 명시하거나 다른 특별한 급이 있는 경우가 아니면, 하나의 제조 방법을 구성하는 하나의 단계와 다른 단계가 명세서 상에 기술된 순서로 제한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제조 방법의 구성 단계의 순서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그에 부수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화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알칼리 금속염은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알칼리 금속염 존재 하에,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농축액에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농축액에서 분리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포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포함 용액에 암모니아를 투입하여 침전물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침전물을 여과한 여과액을 농축하여 농축된 여과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알칼리 금속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농축하여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형성하고, 분리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포함하는 용액에 암모니아를 투입하는 경우, 고순도 및 고수율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회수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암모니아 투입을 통해 제조된 침전물을 슬러리로부터 여과한 이후, 여과액을 농축하고 가열하는 경우, 상기 슬러리에 포함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을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및 암모니아로 분해하고 각각 회수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온 교환 수지 이용 방법 및 석고(Gypsum)을 침전 방법을 이용하여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회수하였으나, 상기 이온 교환 수지 이용 방법 방법은 폐수가 다량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상업적인 적용이 용이하지 않으며, 상기 석고(Gypsum)를 침전 방법은 상기 석고(Gypsum)의 판매가 불가능할 경우 폐기물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은, 상기 여과된 침전물에 알카리 금속염의 수산화물이 포함됨에 따라, 이러한 침전물을 분리하여 중화제로서 재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미생물 발효를 통해 생물학적 방법으로 생산하는 경우 발효 공정의 중화제로서 상기 침전물을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농축액에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알칼리 금속염으로 상기 침전물을 재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침전물은 폐기되지 않고 공정 중에 재사용 가능하므로, 폐기물 발생이 억제되어 친환경적인 회수 공정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회수된 상기 암모니아는 분리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포함하는 용액에 암모니아를 투입하는 공정에 재사용되거나, 비료 제조 등의 분야에서 재활용될 수 있음으로 인해, 폐기물 발생이 억제되어 친환경적인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회수 공정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은,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포함 용액에 암모니아를 투입하여 침전물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포함 용액에 암모니아를 투입하는 경우 침전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이 Mg(3HP)2인 경우,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Mg(OH)2 침전물과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 등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슬러리 조성물로부터 Mg(OH)2 침전물을 여과하여, 마그네슘 원소(Mg) 또는 마그네슘 양이온을 대부분 제거할 수 있다.
[반응식 1]
Mg(3HP)2 + 2NH3 + 2H2O -> Mg(OH)2 + 2NH4 + + 2(3HP-)
또한, 여과된 침전물, 예를 들어 Mg(OH)2 침전물은 공정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발효 공정의 중화제로서 사용되거나,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농축액에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알칼리 금속염으로 재사용할 수 있으나,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포함 용액에는 암모니아 또는 암모니아가 용해된 암모니아수가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모니아는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에 포함된 양이온 대비 2 당량 이상 70 당량 이하, 5 당량 이상 65 당량 이하, 10 당량 이상, 60 당량 이하의 함량으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모니아는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100 중량부에 대해 30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1000 중량부 이하, 900 중량부 이하, 800 중량부 이하, 70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투입되는 상기 암모니아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은 경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에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으로의 전환율이 적어 회수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함량이 적을 수 있고, 상기 암모니아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수용액 상에 잔류하는 미반응 암모니아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PLH (Poly-lactate-hydracrylate) 제조 공정 또는 바이오-아크릴산(Bio-AA) 제조 공정 등과 같은 후단 공정 진행에 약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포함 용액에 암모니아를 투입하는 단계는, 상기 암모니아를 투입한 이후 교반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고, 교반은 상온에서 5 시간 이상, 10 시간 이상, 13 시간 이상, 15 시간 이상 수행될 수 있고, 40 시간 이하, 30 시간 이하, 25 시간 이하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침전물은 하기 구조식 3으로 표시되는 알카리 금속염의 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식 3]
Cation(OH)P
상기 구조식 3에서 Cation는 상기 알카리 금속염의 양이온이고, 상기 p는 상기 양이온과 결합하는 수산화 이온(OH-)의 수로, 1 이상의 정수이다.
상기 양이온은, 예를 들어, Na+, Mg2+ 또는 Ca2+일 수 있으나, Mg2+ 또는 Ca2+인 경우 침전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전물의 입경은 1.0 ㎛ 이상, 1.5 ㎛ 이상, 10.0 ㎛ 이상, 13.0 ㎛ 이상, 15.0 ㎛ 이상일 수 있고, 300.0 ㎛ 이하, 250.0 ㎛ 이하, 200.0 ㎛ 이하, 150.0 ㎛ 이하, 100.0 ㎛ 이하, 50.0 ㎛ 이하, 30.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침전물이 상술한 입경을 만족함으로 인해 슬러리로부터 여과 분리가 매우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침전물은 각상, 구상, 판상, 침상의 다양한 입자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전물의 입경은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이때 침전물의 입경은 침전물에 포함된 결정면 간의 직선거리 중 거리가 가장 긴 결정면 간의 직선거리를 기준으로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알카리 금속염의 수산화물은 상기 회수 공정에 재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농축액에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형성하고 분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알카리 금속염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 공정은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생산능을 갖는 균주를 발효하여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발효액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액을 농축하여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농축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알카리 금속염의 수산화물은 상기 발효시 투입 내지 재사용되어 중성 발효가 이루어질 수 있다.
중화제로서 재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미생물 발효를 통해 생물학적 방법으로 생산하는 경우 발효 공정의 중화제로서 상기 침전물을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농축액에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알칼리 금속염으로 상기 침전물을 재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침전물은 폐기되지 않고 공정 중에 재사용 가능하므로, 폐기물 발생이 억제되어 친환경적인 회수 공정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은, 상기 침전물을 여과한 여과액을 농축하여 농축된 여과액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포함 용액에 암모니아를 투입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된 슬러리 조성물에는, 상기 침전물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 등을 포함하고, 상기 슬러리 조성물을 여과하여 상기 침전물을 분리 제거함에 따라 여과액에는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액에는 상기 침전물을 세척한 후 여과한 세척 후 여과액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액을 농축하여 농축된 여과액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농축은 고온의 감압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온도 조건은 20 ℃ 이상, 30 ℃ 이상, 35 ℃ 이상, 40 ℃ 이상, 50 ℃ 이상, 55 ℃ 이상, 60 ℃ 이상, 65 ℃ 이상일 수 있고, 90 ℃ 이하, 80 ℃ 이하, 75 ℃ 이하, 70 ℃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압 조건은 10 mbar 이상, 30 mbar 이상, 50 mbar 이상, 100 mbar 이상, 130 mbar 이상일 수 있고, 500 mbar 이하, 400 mbar 이하, 300 mbar 이하, 250 mbar 이하, 200 mbar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온도 및 감압 조건 등에서 여과액의 농축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여과액에서 암모니아가 탈기(stripping)될 수 있다. 상기 암모니아는 기체 상태로 회수할 수 있고, 농축 이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암모니아가 제거된 농축된 여과액을 회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암모니아는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포함 용액에 암모니아를 투입하는 공정에서 재사용되거나, 비료 제조 등의 분야에서 재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회수 공정은 폐기물 발생이 억제되어 친환경적인 공정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농축된 여과액에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의 농도는 10 g/L 이상, 20 g/L 이상, 또는 30 g/L 이상일 일 수 있다.
상기 농축된 여과액에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의 농도가 지나치게 낮은 경우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포함 용액에 암모니아를 투입하여 침전물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을 형성하는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고순도 및 고수율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회수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은, 상기 농축된 여과액을 가열하여,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을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및 암모니아로 분해하는 열 염 분해(TSS; Thermal Salt Splitting)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축된 여과액에는 여전히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을 포함하고 있음에 따라, 이를 가열하여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및 암모니아로 분해하는 열 염 분해(TSS)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수율 및 고순도의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이 회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염 분해(TSS)에 의해 분해된 상기 암모니아가 상기 농축된 여과액으로부터 탈기될 수 있다. 상기 탈기된 암모니아는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포함 용액에 암모니아를 투입하는 공정에서 재사용되거나, 비료 제조 등의 분야에서 재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회수 공정은 폐기물 발생이 억제되어 친환경적인 공정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열 염 분해(TSS)에 의해 상기 농축된 여과액으로부터 암모니아가 탈기됨에 따라,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최종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염 분해의 온도 조건은 90 ℃ 이상, 95 ℃ 이상, 100 ℃ 이상, 105 ℃ 이상일 수 있고, 150 ℃ 이하, 140 ℃ 이하, 130 ℃ 이하, 120 ℃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온도 조건 등에서 상기 열 염 분해 공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이 암모니아 및 유기산 형태의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은 30 분 이상, 40 분 이상, 50 분 이상 이루어지거나, 3 시간 이하, 2시간 이하의 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에 의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회수율은 40% 이상,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또는 90% 이상, 예컨대, 40 내지 99.9%, 50 내지 99.9%, 60 내지 99.9%, 70 내지 99.9%, 80 내지 99.9%, 90 내지 99.9%, 40 내지 99%, 50 내지 99%, 60 내지 99%, 70 내지 99%, 80 내지 99%, 90 내지 99%, 40 내지 97%, 50 내지 97%, 60 내지 97%, 70 내지 97%, 80 내지 97%, 90 내지 97%, 40 내지 95%, 50 내지 95%, 60 내지 95%, 70 내지 95%, 80 내지 95%, 또는 90 내지 95%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회수율은 중량 기준으로 산정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은 알칼리 금속염 존재 하에,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농축액에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농축액은 300 g/L 이상, 350 g/L 이상, 400 g/L 이상, 450 g/L 이상, 500 g/L 이상의 농도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할 수 있고, 900 g/L 이하, 850 g/L 이하, 800 g/L 이하의 농도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결정의 생성 여부는 알칼리 금속염의 존재와 상기 농축액에서의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농도 등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상기 농축액 상에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결정의 농도가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결정의 수 용해도(Water Solubility) 보다 높은 경우,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결정이 보다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결정인 Ca(3HP)2의 수 용해도(Water Solubility)는 상온에서 450 g/L이므로, 상기 농축액에서의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농도가 450 g/L 초과하는 경우 Ca(3HP)2 결정이 생성이 촉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결정인 Mg(3HP)2의 수 용해도(Water Solubility)는 상온에서 250 g/L이므로, 상기 농축액에서의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농도가 250 g/L 초과하는 경우 Mg(3HP)2 결정의 생성이 촉진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염을 포함하면서도, 상술한 농도를 만족하는 농축액으로부터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알칼리 금속염은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형성하기 위한 목적 범위에서 제한 없이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알칼리 금속염은 Na+, Mg2+ 및 Ca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이온을 포함할 수 있으나, Mg2+ 또는 Ca2+의 양이온, 또는 이의 염을 사용하는 경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이 보다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칼리 금속염은 Ca(OH)2, Mg(OH)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염은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발효액을 생산하는 공정에서 첨가되어 잔류하거나,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300 g/L 이상 포함하는 농축액에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형성하는 공정 중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 금속염의 농도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농도의 10% 내지 100%, 또는 30% 내지 90%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 내지 900 g/L, 50 내지 800 g/L, 100 내지 700 g/L 또는 200 내지 600 g/L의 농도로 상기 농축액에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은 하기 구조식 1 또는 구조식 2의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은 하기 구조식 1 또는 구조식 2의 형태의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 구조식 1 및 구조식 2에서 Cation은 양이온을, 상기 3HP는 양이온과 결합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n은 양이온과 결합하는 3HP 수로 1 이상의 정수를 의미하고, 하기 구조식 2에서 m은 수화물에서 Cation(3HP)n과 결합하는 물 분자의 수로, 1이상의 정수이다. 상기 양이온은, 예를 들어, Na+, Mg2+ 또는 Ca2+일 수 있으나, Mg2+ 또는 Ca2+인 경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이 보다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조식 1]
Cation(3HP)n
[구조식 2]
Cation(3HP)n·mH2O
또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농축액을 교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하는 단계는 섭씨 0 내지 70도, 섭씨 0 내지 60도, 섭씨 0 내지 50도, 섭씨 0 내지 40도, 섭씨 0 내지 35도, 섭씨 0 내지 30도, 섭씨 10 내지 70도, 섭씨 10 내지 60도, 섭씨 10 내지 50도, 섭씨 10 내지 40도, 섭씨 10 내지 35도, 섭씨 10 내지 30도, 섭씨 15 내지 70도, 섭씨 15 내지 60도, 섭씨 15 내지 50도, 섭씨 15 내지 40도, 섭씨 15 내지 35도, 섭씨 15 내지 30도, 섭씨 20 내지 70도, 섭씨 20 내지 60도, 섭씨 20 내지 50도, 섭씨 20 내지 40도, 섭씨 20 내지 35도, 또는 섭씨 20 내지 30 도 (예, 상온)의 온도 및/또는 100 내지 2000rpm, 100 내지 1500rpm, 100 내지 1000rpm, 100 내지 500rpm, 100 내지 400rpm, 또는 200 내지 400rpm (예, 약 300rpm)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은 입자 크기 분포 D50이 20 ㎛ 이상 90 ㎛ 이하, 25 ㎛ 이상 85 ㎛ 이하, 30 ㎛ 이상 80 ㎛ 이하, 35 ㎛ 이상 75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의 입자 크기 분포 D10은 5 ㎛ 이상 40 ㎛ 이하, 8 ㎛ 이상 35 ㎛ 이하, 10 ㎛ 이상 30 ㎛ 이하일 수 있고,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의 입자 크기 분포 D90은 50 ㎛ 이상 200 ㎛ 이하, 60 ㎛ 이상 190 ㎛ 이하, 65 ㎛ 이상 180 ㎛ 이하, 70 ㎛ 이상 175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입자 크기 분포 D50, D10, D90은 입자의 입경 분포 곡선에 있어서, 각각 체적 누적량의 50%, 10%, 90%에 해당하는 입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D50, D10, D90은 예를 들어, 레이저 회절법(laser diffraction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회절법은 일반적으로 서브미크론(submicron) 영역에서부터 수 mm 정도의 입경의 측정이 가능하며, 고 재현성 및 고 분해성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의 입자 크기 분포 D50, D10, D90가 지나치게 크면 결정화시 제거되어야 하는 불순물이 결정 안에 포함되어 정제 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지나치게 작으면 결정을 여과시 통액성이 낮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의 (D90-D10)/D50은 1.00 이상 3.00 이하, 1.20 이상 2.80 이하, 1.40 이상 2.60 이하, 1.60 이상 2.4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은 부피 평균 입경이 30 ㎛ 이상 100 ㎛ 이하, 35 ㎛ 이상 95 ㎛ 이하, 40 ㎛ 이상 90 ㎛ 이하일 수 있고, 개수 평균 입경이 1 ㎛ 이상 30 ㎛ 이하, 3 ㎛ 이상 25 ㎛ 이하, 5 ㎛ 이상 20 ㎛ 이하일 수 있고, 체적 평균 입경이 10 ㎛ 이상 70 ㎛ 이하, 15 ㎛ 이상 60 ㎛ 이하, 20 ㎛ 이상 55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은 부피 평균 입경, 개수 평균 입경 및 체적 평균 입경이 지나치게 크면 결정화시 제거되어야 하는 불순물이 결정 안에 포함되어 정제 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지나치게 작으면 결정을 여과시 통액성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의 입자 크기 분포(D10, D50, D90)서의 종횡비(LW Ratio; Length to width ratio) 및 평균 종횡비는 각각 0.50 이상 3.00 이하, 0.70 이상 2.80 이하, 1.00 이상 2.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의 종횡비가 지나치게 크면 결정을 이송시 흐름성과 막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지나치게 작으면 결정을 여과시 통액성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은 칼 피셔 방법(Karl Fischer method)으로 결정 내에 포함된 수분 함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에 포함된 수분 함량은 200 ppm 이상 5000 ppm 이하, 250 ppm 이상 4800 ppm 이하, 300 ppm 이상 4600 ppm 이하, 350 ppm 이상 4400 ppm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내에 포함된 수분은 결정 수분(예를 들어 Ca(3HP)2·2H2O)이 아닌 결정 사이에 포함된 부착 수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에 포함된 수분 함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결정 고체가 아닌 슬러리 형태로 회수되거나, 수분 내에 불순물이 함유되어 순도 향상 저하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생산능을 갖는 균주를 발효하는 등의 공정을 통해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제조함에 따라,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은 방사성 탄소 동위원소(14C)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성 탄소 동위원소(14C)는 지구 대기 중에 탄소 원자 1012개 당 거의 1개이며, 반감기는 약 5700년이고, 탄소 스톡 (stock)은 우주선 (cosmic ray)과 일반 질소 (14N)가 참여하는 핵 반응으로 인해 대기 상층에 풍부할 수 있다. 한편, 화석 연료에는 방사성 탄소 동위원소 오래전에 붕괴되어 14C 비율이 실질적으로 0일 수 있다.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원료로 바이오 유래 원료를 사용하거나, 이와 함께 화석 연료를 병용할 경우, ASTM D6866-21 규격으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내에 포함된 방사성 탄소 동위원소의 함량(pMC; percent modern carbon)과 바이오 탄소의 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 방법은 예를 들어, 측정 대상 화합물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를 그라파이트 또는 이산화탄소 가스 형태로 만들고 질량 분석기로 측정하거나, 액체 섬광 분광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질량 분석기 등과 함께 14C 이온을 12C 이온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가속기를 함께 사용해 2개의 동위 원소를 분리하여 함량 및 함량비를 질량 분석기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은 ASTM D6866-21 규격으로 측정된 방사성 탄소 동위원소의 함량이 20 pMC (percent modern carbon) 이상, 50 pMC 이상, 90 pMC 이상, 100 pMC 이상일 수 있고, 바이오 탄소의 함량은 20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80 중량%, 90 중량%, 9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방사성 탄소 동위원소 비율(pMC)는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에 포함된 방사성 탄소 동위원소(14C)와 현대의 기준 참고 물질의 방사성 탄소 동위원소(14C)의 비율을 의미하고, 1950년대 핵 실험 프로그램의 효력이 지속되고 있고 소멸되지 않아, 100%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오 탄소의 함량은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에 포함된 전체 탄소 함량에 대한 바이오 탄소의 함량을 의미하고, 이 값이 클수록 친환경성 화합물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의 방사성 탄소 동위원소의 함량(pMC) 및 바이오 탄소 함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친환경성이 감소하며, 바이오 유래 물질이라 볼 수 없을 수 있다.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의 결정 상태는 X-선 회절 (XRD) 그래프에서 피크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은 X선 회절(XRD) 분석 시, 2θ값이 8 내지 22°의 범위에서 결정 격자 간의 피크가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농축액에 수산화 마그네슘(Mg(OH)2)이 포함되어 있어, 형성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이 Mg(3HP)2인 경우, Mg(3HP)2에 대한 X선 회절(XRD) 분석 시, 2θ값이 8 내지 15°의 범위에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과 마그네슘 결합에 의한 결정 격자 간의 피크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피크는 수산화 마그네슘(Mg(OH)2) 또는 황산 마그네슘(Mg(SO4))에 대한 X선 회절(XRD) 분석 결과와는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며, X선 회절(XRD) 분석 결과 2θ값이 8 내지 15°의 범위에서 특정 피크가 나타나는 경우 Mg(3HP)2의 결정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g(3HP)2에 대한 X선 회절(XRD) 분석 시, 2θ값이 8 내지 15°의 범위에서 3개 이상, 4개 이상 또는 5개 이상의 피크가 나타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θ값이 8.2 내지 9.3°, 9.5 내지 11.0°, 11.2 내지 12.7°, 12.9 내지 13.3°, 13.5 내지 14.8°인 범위에서 각각 피크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축액에 수산화 칼슘(Ca(OH)2)이 포함되어, 형성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이 Ca(3HP)2인 경우, Ca(3HP)2에 대한 X선 회절(XRD) 분석 시, 2θ값이 10 내지 22°의 범위에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과 칼슘 결합에 의한 결정 격자 간의 피크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피크는 수산화 칼슘(Ca(OH)2) 또는 황산 칼슘(Ca(SO4))에 대한 X선 회절(XRD) 분석 결과와는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며, X선 회절(XRD) 분석 결과 2θ값이 10 내지 22°의 범위에서 특정 피크가 나타나는 경우 Ca(3HP)2의 결정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a(3HP)2에 대한 X선 회절(XRD) 분석 시, 2θ값이 10 내지 22°의 범위에서 3개 이상, 5개 이상, 7개 이상, 9개 이상의 피크가 나타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θ값이 10.0 내지 11.0°, 11.1 내지 11.6°, 11.6 내지 12.5°, 12.7 내지 13.6°, 13.8 내지 16.0°, 17.0 내지 18.0°, 19.0 내지 19.8°, 20.2 내지 21.2°, 21.5 내지 22.0°인 범위에서 각각 피크가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사각(θ)이란 X선이 특정 결정면에 조사될 때, 결정면과 X선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하며, 상기 피크란, x-y 평면에서의 가로축(x축)이 입사되는 X선의 입사각의 2배(2θ)값이고, x-y 평면에서의 세로축(y축)이 회절 강도인 그래프 상에서, 가로축(x축)인 입사되는 X선의 입사각의 2배(2θ)값이 양의 방향으로 증가함에 따라, 세로축(y축)인 회절 강도에 대한 가로축(x축)인 X선의 입사각의 2배(2θ)값의 1차 미분값(접선의 기울기, dy/dx)이 양의 값에서 음의 값으로 변하는, 1차 미분값(접선의 기울기, dy/dx)이 0인 지점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은 X선 회절(XRD) 분석으로 도출된 결정 내 원자들 간의 간격(d값)이 1.00 Å 이상 15.00 Å 이하, 1.50 Å 이상 13.00 Å 이하, 2.00 Å 이상 11.00 Å 이하, 2.50 Å 이상 10.00 Å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이 Mg(3HP)2인 경우, 2θ값이 8 내지 15°의 범위에서 나타나는 피크의 상기 결정 내 원자들 간의 간격(d값)은, 1.00 Å 이상 15.00 Å 이하, 2.00 Å 이상 13.00 Å 이하, 4.00 Å 이상 11.00 Å 이하, 5.50 Å 이상 10.00 Å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이 Ca(3HP)2인 경우, 2θ값이 10 내지 22°의 범위에서 나타나는 피크의 상기 결정 내 원자들 간의 간격(d값)은, 1.00 Å 이상 15.00 Å 이하, 2.00 Å 이상 13.00 Å 이하, 3.00 Å 이상 10.00 Å 이하, 3.40 Å 이상 9.00 Å 이하, 4.00 Å 이상 8.50 Å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은 유리전이 온도가 -55 ℃ 이상 -30 ℃ 이하이고, 융점이 30 ℃ 이상 170 ℃ 이하이고, 결정화 온도가 25 ℃ 이상 17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 융점, 결정화 온도는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시차주사열량계(DSC)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며, 측정시 승온 속도는 1 내지 20 ℃/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은 유리전이 온도가 -55 ℃ 이상 -30 ℃ 이하, -50 ℃ 이상 -35 ℃ 이하, -45 ℃ 이상 -40 ℃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의 융점은 30 ℃ 이상 170 ℃ 이하, 31 ℃ 이상 160 ℃ 이하, 32 ℃ 이상 150 ℃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의 결정화 온도는 25 ℃ 이상 170 ℃ 이하, 27 ℃ 이상 160 ℃ 이하, 30 ℃ 이상 150 ℃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의 결정화 안정구간은 -40 ℃ 내지 150 ℃일 수 있다.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내에 포함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순도는, 회수된 전체 결정의 질량 대비 상기 구조식 1 및/또는 구조식 2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의 질량의 백분율(%)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내에 포함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순도는 70% 이상, 80% 이상, 90% 이상, 70 내지 99.9%, 80 내지 99.9%, 90 내지 99.9%, 70 내지 99%, 80 내지 99%, 또는 90 내지 99%,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은,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생산능을 갖는 균주를 발효하여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발효액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액을 농축하여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300 g/L 이상 포함하는 농축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생산능을 갖는 균주는 글리세롤 탈수효소(glycerol dehydratase) 및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상기 2종의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생산 균주는 추가로 글리세롤 탈수효소 재활성효소(GdrAB)를 암호화하는 유전자(gdrA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생산 균주는 추가로 비타민 B12를 생합성할 수 있는 균주일 수 있다.
상기 글리세롤 탈수효소(glycerol dehydratase)는 dhaB(GenBank accession no. U30903.1)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dhaB 유전자는 클렙시엘라 뉴모니아(Klebsiella pneumonia)에서 유래한 효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글리세롤 탈수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dhaB1, dhaB2 및/또는 dhaB3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롤 탈수효소 단백질 및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글리세롤을 3-하이드록시프로판알(3-hydroxypropanal, 3-HPA)과 물(H2O)로 분해하는 효소 활성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유전자 및/또는 아미노산 서열의 변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를 암호화하는 유전자(aldH)는, 예를 들어, 대장균(Escherichia coli) 또는 E. coli K12 MG1655 세포주에서 유래한 aldH(GenBank Accession no. U00096.3; EaldH) 유전자, 클렙시엘라 뉴모니아(K. pneumonia)에서 유래한 puuC 유전자, 및/또는 아조스피릴룸 브라실렌스(Azospirillum brasilense) 유래의 KGSADH 유전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단백질 및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3-하이드록시프로판알로부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생산하기 위한 활성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유전자 및/또는 아미노산 서열의 변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액 생산을 위한 배지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생산을 위한 목적 범위에서 제한 없이 선택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배지는 탄소원으로 글리세롤(glycerol)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에서 상기 배지는 폐글리세롤(crude glycerol) 및/또는 전처리된 폐글리세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에서, 상기 생산용 배지는 비타민 B1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생산능을 갖는 균주를 발효하여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발효액을 생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발효액에 포함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농도는 1 내지 200 g/L, 10 내지 150 g/L, 30 내지 130 g/L 또는 40 내지 100 g/L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는 중성 발효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발효시 pH가 6 내지 8, 6.5 내지 8, 6 내지 7.5 또는 6.5 내지 7.5 범위에서 유지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pH 범위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중성 발효를 위해 상기 알칼리 금속염이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염은 Mg2+, Ca2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 금속염은 Ca(OH)2 또는 Mg(OH)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은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발효액을 생산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발효액으로부터 세포를 제거(분리)하는 단계; 상기 발효액 및/또는 세포가 제거된 발효액을 정제 및/또는 탈색(decoloration)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발효액 및/또는 세포가 제거된 발효액을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포의 제거(분리)는 세포(균주) 제거 목적 범위에서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을 제한 없이 선택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세포의 분리는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효액 및/또는 세포가 제거된 발효액을 정제 및/또는 탈색(decoloration)하는 단계는, 발효액의 정제 목적 범위에서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을 제한 없이 선택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활성탄을 상기 발효액과 혼합한 후 활성탄을 제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발효액 및/또는 세포가 제거된 발효액을 여과하는 단계는 고형 불순물의 제거, 단백질 및/또는 소수성 functional group이 있는 물질의 제거, 및/또는 탈색(decoloration) 목적 범위에서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을 제한 없이 선택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필터 여과, 및/또는 활성탄 여과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은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생산능을 갖는 균주를 발효하여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발효액을 생산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발효액을 농축하여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농축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액의 농축은 발효액 (예컨대, 발효액의 액상 성분)을 증발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농축은 발효액의 액상 성분을 증발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모든 수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예컨대, 회전증발농축, 증발 농축, 진공 농축, 감압 농축 등으로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서, 상기 농축 후의 발효액 내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농도는, 농축 전과 비교하여, 2 내지 50배, 2 내지 40배, 2 내지 30배, 2 내지 20배, 2 내지 10배, 5 내지 50배, 5 내지 40배, 5 내지 30배, 5 내지 20배, 또는 5 내지 10배 증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은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농축액에서 분리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포함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과 플라스크 및 진공 펌프 등을 이용하여 상기 농축액으로부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증류수 등의 용매에 용해하여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포함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포함 용액은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100 g/L 이상, 150 g/L 이상, 200 g/L 이상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고, 800 g/L 이하, 750 g/L 이하, 700 g/L 이하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포함 용액에 포함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의 농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최종적으로 회수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농도가 낮아질 수 있고, 또한 정제 비용이 높아질 수 있고,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이 용액에 용해되지 않아 최종적으로 회수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은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화를 통해 발효 부산물 및/또는 첨가물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순도 높은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회수가 가능하고, 회수된 공정에 암모니아를 투입하여 제조된 슬러리로부터 침전물을 분리하는 공정 등으로 고순도 및 고수율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회수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침전물은 중화제로 재사용 가능하고, 침전물을 여과한 여과액으로부터 회수한 암모니아 등의 질소 함유 화합물은 비료 제조 공정 등에 재활용 가능함으로 인해, 폐기물 발생이 억제되어 친환경적인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준비예 1: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생산용 균주의 제조
글리세롤을 기질로 사용하여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3-hydroxypropionic acid, 3HP)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글리세롤 탈수효소(Glycerol dehydratase) 및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도입한 재조합 벡터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재조합 벡터를 대장균(E.coli) W3110 균주에 도입하여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생산 균주를 제작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를 코딩하는 유전자(dhaB), 알데히드 디하이드로게나제를 코딩하는 유전자(aldH) 및 글리세롤 디하이드라타제 리액티바제를 코딩하는 유전자(gdrAB)를 포함하는 플라스미드 pCDF에 아데노실트랜스퍼라제를 코딩하는 BtuR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얻어진 pCDF_J23101_dhaB_gdrAB_J23100_aldH_btuR 벡터를 W3110 균주(KCCM 40219)에 전기 천공 장치 (Bio-Rad, Gene Pulser Xcell)를 사용한 전기천공법으로 도입하여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생산 균주를 제작하였다. 본 준비예 1의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생산 균주 제작 과정 및 사용된 벡터, 프라이머, 및 효소들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51375호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됨)의 실시예 1을 참조하여 수행하였다.
준비예 2: Mg(3HP) 2 결정 제조
준비예 1에서 준비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생산용 균주를 비정제 글리세롤을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5 L 발효기에서 35 ℃에서 발효 배양하여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생산하였다.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생성으로 인한 pH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알칼리 금속염인 수산화 마그네슘(Mg(OH)2)을 투입하여 발효 수행 동안의 pH를 중성으로 유지하였다.
발효배양 후 원심분리(4000 rpm, 10 분, 4 ℃)하여 세포를 제거하고, 활성탄을 이용해 1차 발효액 정제 (1차 정제)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원심 분리하여 균체가 제거된 발효액에 활성탄을 첨가하여 잘 섞어준 후 다시 원심 분리하여 활성탄을 분리하였다. 이후 활성탄이 분리된 발효액을 0.7 um의 여과지를 통해 진공 펌프(vaccum pump)로 여과하여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발효액을 정제하였다.
상기 1차 정제를 마친 발효액의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농도는 50 내지 100 g/L 수준이며, 상기 발효액은 Rotary evaporator(50 ℃, 50 mbar)를 이용하여 농축 농도 800 g/L로 농축하여 농축액을 제조하고, 상온에서 교반(300 rpm)하여 Mg(3HP)2 결정을 생성하였다. 이때, 상기 농축액에서 상기 알칼리 금속염의 농도는 493.3 g/L (Mg(OH)2 기준) 이었다. 상기 생성된 결정을 에탄올(EtOH)을 이용해 3번 세척(washing)하고, 50 ℃의 오븐에서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결정을 회수하였다.
실시예 1
증류수 89.1 ml에 상기 준비예 2에서 회수한 Mg(3HP)2 결정 22.2 g을 투입하고 20분 동안 교반하여 Mg(3HP)2 수용액(용액 A)을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 A에 28 % 농도의 암모니아수 400 g을 투입하고 16 시간 동안 밀폐 용기에서 상온 교반하여, Mg(OH)2 침전물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이후, 여과 플라스크 및 진공펌프를 이용해 상기 슬러리를 여과하여, 상기 Mg(OH)2 침전물 및 여과액1로 분리하였다. 이후, 여과된 Mg(OH)2 침전물을 증류수 700 ml를 이용해 세척하고, 세척수를 여과하여 여과된 세척수2를 회수하였다. 이때, 상기 여과액1과 여과된 세척수2는 용액 B이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용액 B를 회수하였다. 또한, 상기 용액 B 250 g을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플라스크 내부를 100 mbar 조건으로 감압하였다. 이후 플라스크 내부 온도를 60 ℃로 상승시키면서 1 시간 동안 교반시켜, 암모니아를 기체 형태(기체X)로 회수하였다. 이후, 상기 플라스크를 상온으로 냉각시켜 용액 C 66.5 g을 회수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용액 C를 회수하였다. 또한, 상기 용액 C 66.5 g을 250 ml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110 ℃의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하면서, 질소 가스를 버블링하였다. 이로 인해, 상기 용액 C에 존재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이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및 암모니아로 전환되고, 상기 암모니아는 기체 형태(기체Y)로 회수하고,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포함 용액(용액 D)을 회수하였다.
<시험예>
1. 마그네슘 원소(Mg) 및 질소 원소(N)의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에서 용액(A, B, C, D)에 포함된 마그네슘 원소(Mg)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함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마그네슘 원소(Mg)의 함량은 유도결합 플라즈마 분광 분석(ICP-OES)로 분석하고, 질소 원소(N)의 함량은 NSX 원소 분석(Element Analysis)로 분석하였다.
2.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으로의 전환율 측정
실시예 2 및 3에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의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으로의 전환율, 즉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이 분리되어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유기산으로 분리되는 비율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의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으로의 전환율’에 나타내었다.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유기산의 함량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측정하였다.
3.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율 측정
실시예 3에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율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Mg(3HP)2 결정이 포함된 수용액에서의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절대량(X)과 실시예 2의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포함 용액(용액 D) 내의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절대량(Y)를 측정하고, 아래 일반식 2를 통해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회수율을 계산하였다.
[일반식 2]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회수율 (%) = (Y / X ) * 100
마그네슘 원소 함량 (mmol) 질소 원소함량 (mmol)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으로의 전환율(%)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회수율 (%)
실시예1 용액 A 109.9 - - -
용액 B 20.9 3200 - -
실시예2 용액 C 23.7 90.9 15.7 -
실시예3 용액 D 23.7 51.9 44.0 99
상기 표 1를 참고하면, 실시예 1에서 용액 B에 포함된 마그네슘 원소(Mg)의 81.0%는 침전물로서 제거되었다는 점을 확인했고, 실시예2의 열처리를 통해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의 15.7%가 유기산 형태의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으로 전환되었다는 점을 확인했고, 실시예3의 TSS 공정을 통해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의 44.0%가 유기산 형태의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으로 전환되었다는 점을 확인했다.

Claims (17)

  1. 알칼리 금속염 존재 하에,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농축액에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농축액에서 분리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포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포함 용액에 암모니아를 투입하여 침전물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침전물을 여과한 여과액을 농축하여 농축된 여과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은 하기 구조식 3으로 표시되는 알카리 금속염의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구조식 3]
    Cation(OH)P
    상기 Cation는 상기 알카리 금속염의 양이온이고,
    상기 p는 상기 양이온과 결합하는 수산화 이온(OH-)의 수로, 1 이상의 정수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농축은 20 ℃ 이상 내지 90 ℃ 이하 온도 및 10 mbar 이상 500 mbar 이하의 감압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은 감압 조건에서 이루어져 상기 여과액으로부터 암모니아가 탈기(stripping)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된 여과액에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의 농도는 10 g/L 이상인,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된 여과액을 가열하여,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을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및 암모니아로 분해하는 열 염 분해(TSS; Thermal Salt Splitting) 단계를 더 포함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 염 분해 단계에서 상기 농축된 여과액으로부터 암모니아가 탈기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90 ℃ 이상 150 ℃ 이하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9.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니아는,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포함 용액에 암모니아를 투입하여 침전물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암모늄염을 형성하는 단계에 재사용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카리 금속염의 수산화물은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농축액에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을 형성하고 분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알카리 금속염으로 재사용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11. 제1항에 있어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생산능을 갖는 균주를 발효하여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발효액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액을 농축하여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농축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카리 금속의 수산화물은 상기 발효시 재사용되어 중성 발효가 이루어지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농축액은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300 g/L 이상 포함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은 하기 구조식 1 또는 구조식 2로 표시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구조식 1]
    Cation(3HP)n
    [구조식 2]
    Cation(3HP)n·mH2O
    상기 Cation는 알칼리 금속염의 양이온이고,
    상기 3HP는 양이온과 결합하는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이고,
    상기 n은 양이온과 결합하는 3HP 수로, 1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m은 수화물에서의 물 분자 수로, 1 이상의 정수이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금속염은 Ca(OH)2, Mg(OH)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은 입자 크기 분포 D50이 20 ㎛ 이상 90 ㎛ 이하이고, (D90-D10)/D50이 1.00 이상 3.00 이하인,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17. 제1항에 있어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회수율이 40% 이상인,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KR1020210167305A 2021-11-29 2021-11-29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KR202300799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305A KR20230079987A (ko) 2021-11-29 2021-11-29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305A KR20230079987A (ko) 2021-11-29 2021-11-29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987A true KR20230079987A (ko) 2023-06-07

Family

ID=86762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305A KR20230079987A (ko) 2021-11-29 2021-11-29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99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336B1 (ko) 젖산의 정제 방법
JP2005139156A (ja) コハク酸モノアンモニウム塩の製造法
TW201610164A (zh) 製備琥珀酸及琥珀酸酯之方法
KR101286158B1 (ko) 발효액에서 1,4-디아미노부탄의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
KR20230079987A (ko)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US20240141394A1 (en) Process of recovering 3-hydroxypropionic acid and slurry composition comprising 3-hydroxypropionic acid
KR20230080328A (ko)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포함 슬러리 조성물
KR20230080329A (ko)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포함 슬러리 조성물
US20230250044A1 (en) Crystals of 3-hydroxypropionate and process of recovering 3-hydroxypropionic acid
KR20230080327A (ko)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포함 슬러리 조성물
KR20230079821A (ko)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KR20230080323A (ko)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포함 슬러리 조성물
KR20230079988A (ko) 인산염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KR20230080064A (ko) 알카리 금속의 수산화물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KR20230080065A (ko) 알카리 금속의 수산화물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KR20230080063A (ko) 알카리 금속의 탄산염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KR20230080037A (ko)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EP4324816A1 (en) Process for recovery of 3-hydroxypropionic acid and 3-hydroxypropionic acid-containing slurry composition
KR20220103611A (ko)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결정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CN117295708A (zh) 回收3-羟基丙酸的工艺和包含3-羟基丙酸的浆料组合物
KR20230079989A (ko) 알카리 토금속의 수산화물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
EP4328215A1 (en) Method for collecting alkali metal salt hydrate and 3-hydroxypropionic acid
EP4328216A1 (en) Crystal of 3-hydroxypropionic acid salt,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process for recovering 3-hydroxypropionic acid
CN117321024A (zh) 回收3-羟基丙酸的工艺和包含3-羟基丙酸的浆料组合物
KR20230080344A (ko) 알카리 금속염의 수화물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회수 공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