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9790A - 커뮤니케이션 차량등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커뮤니케이션 차량등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9790A
KR20230079790A KR1020210166918A KR20210166918A KR20230079790A KR 20230079790 A KR20230079790 A KR 20230079790A KR 1020210166918 A KR1020210166918 A KR 1020210166918A KR 20210166918 A KR20210166918 A KR 20210166918A KR 20230079790 A KR20230079790 A KR 20230079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urned
light sources
inner lens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찬호
김도형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6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9790A/ko
Publication of KR20230079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7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5Strips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7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개시된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은, 평면형의 렌즈로서, 배면에 두께 방향으로 파이고 선 경로를 따라 연장된 복수의 선형 홈이 형성된 제1 내측 렌즈, 제1 내측 렌즈의 후방에서 복수의 선형 홈과 정렬되게 배열된 복수의 제1 광원, 복수의 제1 광원이 탑재되는 베이스, 제1 내측 렌즈를 보호하도록 제1 내측 렌즈의 전방에 배치된 외측 렌즈, 및 복수의 제1 광원의 점멸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한다. 복수의 제1 광원 중 적어도 하나가 점등되면, 제1 내측 렌즈의 전면에서 볼 때 점등된 제1 광원과 정렬된 선형 홈의 내부 영역은 밝으나, 점등된 제1 광원과 정렬된 선형 홈의 외부 영역은 내부 영역에 비해 나안으로 구별되게 어둡다.

Description

커뮤니케이션 차량등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COMMUNICATION VEHICLE LAMP AND METHOD FOR DISPLAYING LIGHTING IMA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부착되는 차량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의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차량의 진행 방향이나 현재 상태를 알려주는 커뮤니케이션 차량등과, 이를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등은 차량의 내측에 설치되는 차량등과 차량의 외측에 설치되는 차량등으로 구분되며, 차량의 외측에 설치되는 차량등에는 전조등, 방향 지시등, 안개등, 비상등 등이 포함된다. 그런데, 자율 주행차, 전기차, 수소 연료전지차와 같이 새로운 컨셉(concept)의 차량들이 도로를 주행하는 새로운 운전 환경에서 기존에 설치된 방향 지시등, 안개등, 비상등만으로는 자신의 차량 주변의 다른 차량의 운전자들이나 보행자에게 차량의 현재 상태나 운전자의 의도를 직관적으로 알려주기 어렵다.
부연하면, 현재의 차량등만으로는 예컨대, 현재 자율 주행 모드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 전기차가 현재 충전중인 경우, 급하게 끼어들기해야 하는 상황에서 주변 차량에게 양보를 요청하는 경우, 목적지에 도착하여 운행을 종료하는 경우 등에서 각각 다른 발광 이미지(image)가 표현되도록 구현할 수 없어서, 주변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자신의 차량의 현재 상태나 운전자의 의도를 직관적으로 알려주기 어렵다.
한편, 다양한 차량의 현재 상태나 운전자의 의도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개수로 차량등을 추가 설치하는 방안은 설치 공간 부족, 차량 원가 상승, 및 차량 외관의 심미감 저하를 초래하므로 채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24291호(2019.09.17. 등록, 발명의 명칭: 램프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도 다양한 모드(mode)에 대응하는 다양한 이미지 표현이 가능하고, 제조 원가가 절감되는 커뮤니케이션 차량등,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평면형의 렌즈(lens)로서, 배면(背面)에 두께 방향으로 파이고 선(line) 경로를 따라 연장된 복수의 선형 홈(line groove)이 형성된 제1 내측 렌즈; 상기 제1 내측 렌즈의 후방에서 상기 복수의 선형 홈과 정렬되게 배열된 복수의 제1 광원; 상기 복수의 제1 광원이 탑재되는 베이스(base); 상기 제1 내측 렌즈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1 내측 렌즈의 전방에 배치된 외측 렌즈; 및, 상기 복수의 제1 광원의 점멸(點滅)을 제어하는 콘트롤러(controller):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광원 중 적어도 하나가 점등되면, 상기 제1 내측 렌즈의 전면(前面)에서 볼 때 상기 점등된 제1 광원과 정렬된 선형 홈의 내부 영역은 밝으나, 상기 점등된 제1 광원과 정렬된 선형 홈의 외부 영역은 상기 내부 영역에 비해 나안(裸眼)으로 구별되게 어두운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선형 홈은 레이저 에칭(laser etch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선형 홈은 서로 교차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측 렌즈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내측 렌즈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본 발명의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은, 선(line) 경로를 따라 연장된 선형의 렌즈로서, 상기 이격된 복수의 제1 내측 렌즈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내측 렌즈; 및, 상기 제2 내측 렌즈의 후방에서 상기 제2 내측 렌즈와 정렬되게 배열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탑재되고,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점멸이 제어되는 복수의 제2 광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은, 상기 복수의 제1 내측 렌즈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내측 렌즈를 에워싸도록 선(line) 경로를 따라 연장된 제3 내측 렌즈; 및, 상기 제3 내측 렌즈의 후방에서 상기 제3 내측 렌즈와 정렬되게 배열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탑재되고,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점멸이 제어되는 복수의 제3 광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 탑재되는 광원은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은, 상기 베이스에 탑재되는 광원에서 발산(發散)하는 빛의 경로를 전방을 향하도록 전환시키는 반사판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을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제1 광원을 상기 제1 광원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은 N개(N은 1보다 큰 자연수)의 그룹(group)으로 분류하는 광원 그룹핑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광원 모두가 소등된 상태에서, 상기 N개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속한 제1 광원부터 제N 그룹에 속한 제1 광원까지 순차적으로 점등하는 순차 점등 단계;를 구비하는,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을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순차 점등 단계에서, 상기 N개의 그룹 중에서 상대적으로 먼저 점등된 그룹에 속한 제1 광원은, 상대적으로 나중에 점등되는 그룹에 속한 제1 광원이 점등되면 소등될 수 있다.
상기 순차 점등 단계에서, 상기 제N 그룹에 속한 제1 광원이 점등되기 전에 점등된 제1 광원은, 상기 제N 그룹에 속한 제1 광원이 점등될 때까지 소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을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제1 광원을 상기 제1 광원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은 N개(N은 1보다 큰 자연수)의 그룹(group)으로 분류하는 광원 그룹핑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광원 모두가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N개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속한 제1 광원부터 제N 그룹에 속한 제1 광원까지 순차적으로 소등하는 순차 소등 단계;를 구비하는,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을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순차 소등 단계에서, 상기 N개의 그룹 중에서 상대적으로 먼저 소등된 그룹에 속한 제1 광원은, 상대적으로 나중에 소등되는 그룹에 속한 제1 광원이 소등되면 점등될 수 있다.
상기 순차 소등 단계에서, 상기 제N 그룹에 속한 제1 광원이 소등되기 전에 소등된 제1 광원은, 상기 제N 그룹에 속한 제1 광원이 소등될 때까지 점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은,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도 운전자의 의도 또는 차량의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다양한 모드(mode)의 발광 이미지(lighting image)의 표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복수의 모드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개수의 차량등을 차량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차량의 원가 상승 및 차량 외관의 심미감 저하를 막을 수 있으며, 단순한 구성과 적은 개수의 광원을 사용하므로 차량등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2의 내측 렌즈 조립체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을 III-III에 따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을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의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에 의해 표현되는 모드(mode)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차량등,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의 내측 렌즈 조립체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을 III-III에 따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차량등(10)은 차량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차량등(10)은 복수의 제1 광원(15), 복수의 제2 광원(18), 및 복수의 제3 광원(19)이 탑재되는 베이스(base)(11), 복수의 제1 내측 렌즈(23), 복수의 제2 내측 렌즈(30), 및 복수의 제3 내측 렌즈(33)를 구비하는 내측 렌즈 조립체(21), 외측 렌즈(40), 및 콘트롤러(controller)(45)를 구비한다.
제1 내측 렌즈(23)는 평면형의 렌즈(lens)로서, 제1 내측 렌즈(23)의 배면(背面)(26)에 두께 방향으로 파이고 선(line) 경로를 따라 연장된 복수의 선형 홈(line groove)(27)이 형성된다. 상기 선형 홈(27)은 서로 수평한 일직선 경로를 따라 연장되며 서로 교차하지 않고 이격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선형 홈(27)의 연장 경로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제1 내측 렌즈에 형성된 선형 홈은 사선, 수직선, 절곡된 선, 또는 곡선 경로를 따라 연장될 수도 있으며, 서로 교차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선형 홈(27)은 레이저 에칭(laser etching)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측 렌즈(23)는 예컨대,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olycarbonate resin)와 같은 광확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측 렌즈(23)의 전면(前面)(24)에는 예컨대, 반사 방지, 광확산 촉진 등의 기능을 하는 시트(sheet) 또는 코팅층(coating layer)이 적층될 수 있다.
제2 내측 렌즈(30)는 수평한 일직선 경로를 따라 연장된 선형의 렌즈이다. 복수의 제1 내측 렌즈(23)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의 제2 내측 렌즈(30)는 이격된 복수의 제1 내측 렌즈(23)의 사이사이에 하나씩 배치된다. 제1 내측 렌즈(23)의 상하 방향의 폭은 제2 내측 렌즈(30)의 상하 방향의 폭보다 크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2 내측 렌즈(30)의 연장 경로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제2 내측 렌즈는 사선, 수직선, 절곡된 선, 또는 곡선 경로를 따라 연장될 수도 있다. 제1 내측 렌즈(23)와 마찬가지로 제2 내측 렌즈(30)는 예컨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같은 광확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내측 렌즈(30)의 전면에 예컨대, 반사 방지, 광확산 촉진 등의 기능을 하는 시트 또는 코팅층이 적층될 수 있다.
제3 내측 렌즈(33)는 복수의 제1 내측 렌즈(23)와 복수의 제2 내측 렌즈(30)를 에워싸도록 절곡된 선(line) 경로를 따라 연장된 렌즈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 내측 렌즈(33)는 한 쌍이 구비된다. 한 쌍의 제3 내측 렌즈(33)는 각각, 커뮤니케이션 차량등(10)의 중앙부에 위치한 제1 내측 렌즈(23)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한 복수의 제1 내측 렌즈(23)와 복수의 제2 내측 렌즈(30)를 에워싸는, 한글 자음'ㄷ'자 형상의 렌즈이다. 다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3 내측 렌즈(33)의 형상과 배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제1 내측 렌즈(23) 및 제2 내측 렌즈(30)와 마찬가지로 제3 내측 렌즈(33)는 예컨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같은 광확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내측 렌즈(33)의 전면에 예컨대, 반사 방지, 광확산 촉진 등의 기능을 하는 시트 또는 코팅층이 적층될 수 있다.
제1 내측 렌즈(23), 제2 내측 렌즈(30), 및 제3 내측 렌즈(33)가 각각 별개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고, 상기 3 종류의 내측 렌즈(23, 30, 33)가 모두 함께 하나의 금형에서 동시에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3 종류의 내측 렌즈(23, 30, 33) 중 두 종류의 내측 렌즈가 하나의 금형에서 함께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3 종류의 내측 렌즈(23, 30, 33) 중 적어도 두 종류의 내측 렌즈가 하나의 금형에서 사출 성형되는 경우에, 커뮤니케이션 차량등(10)의 조립의 편의를 위하여 함께 성형되는 내측 렌즈들은 금형 내에 형성된 연결 런너(runner)에 주입된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된 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광원(15), 제2 광원(18), 및 제3 광원(19)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여 패키징(packaging)된 LED 패키지일 수 있다. LED 패키지에 R(red), G(green), B(blue) 중 한 가지 색상의 빛을 발(發)하는 한 종류의 LED만 포함되면, 상기 LED 패키지는 포함된 LED에 대응되는 한 가지 색상의 빛만을 방출할 수 있다. 그러나, LED 패키지에 R 색상의 빛을 발하는 LED R, G 색상의 빛을 발하는 LED G, 및 B 색상의 빛을 발하는 LED가 포함되면, 상기 LED 패키지는 다양한 자연 색상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광원(15)은 제1 내측 렌즈(23)의 후방에서 복수의 선형 홈(27)과 전후 방향으로 정렬되게 배열된다. 임의의 하나의 선형 홈(27)과 겹쳐지게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제1 광원(15)은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광원(15)이 LED 패키지이면 임의의 하나의 선형 홈(27)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제1 광원(15)은 LED PCB(printed circuit board)(16)에 통전 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LED PCB(16)는 베이스(11)의 전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홈(27)의 폭의 크기는 이와 평행한 제1 광원(15)의 폭의 크기보다 크다. 선형 홈(27)의 폭의 방향은 선형 홈(27)의 길이 방향과 깊이 방향에 모두 직교하는 방향이다. 복수의 제1 광원(15)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15)이 점등되면 상기 점등된 제1 광원(15)에서 방출된 빛이 상기 제1 광원(15)과 겹쳐진 선형 홈(27)으로 입사하면서 굴절되고 제1 내측 렌즈(23)의 전면(24)으로 출사(出射)된다. 이에 따라, 제1 내측 렌즈(23)의 전면(24)에서 볼 때 상기 점등된 제1 광원(15)과 정렬된, 다시 말해 상기 점등된 제1 광원(15)과 겹쳐진 선형 홈(27)의 내부 영역은 밝으나, 상기 선형 홈(27)의 외부 영역은 상기 선형 홈(27)의 내부 영역에 비해 나안(裸眼)으로 구별 가능하게 확연히 어둡다.
복수의 제2 광원(18)은 제2 내측 렌즈(30)의 후방에서 상기 제2 내측 렌즈(30)와 정렬되게 상기 제2 내측 렌즈(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다. 임의의 하나의 제2 내측 렌즈(30)와 겹쳐지게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제2 광원(18)은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 광원(1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광원(18)이 LED 패키지이면 임의의 하나의 제2 내측 렌즈(30)를 따라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제2 광원(18)은 LED PCB(미도시)에 통전 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LED PCB(미도시)는 베이스(11)의 전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광원(18)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18)이 점등되면, 상기 점등된 제2 광원(18)에서 방출된 빛이 상기 제2 광원(18)과 정렬된 제2 내측 렌즈(30)를 투과하여 상기 제2 내측 렌즈(30)의 전면(前面)으로 출사(出射)된다.
복수의 제3 광원(19)은 제3 내측 렌즈(33)의 후방에서 상기 제3 내측 렌즈(33)와 정렬되게 상기 제3 내측 렌즈(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제3 내측 렌즈(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영역과 겹쳐지는 복수의 제3 광원(19)은 일렬로 배열되고,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영역과 겹쳐지는 복수의 제3 광원(19)은 2열로 배열된다. 같은 열에 배치된 복수의 제3 광원(19)은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 광원(15) 및 제2 광원(1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3 광원(19)이 LED 패키지이면 임의의 하나의 제3 내측 렌즈(33)를 따라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제3 광원(19)은 LED PCB(미도시)에 통전 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LED PCB(미도시)는 베이스(11)의 전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3 광원(19) 중 적어도 하나의 제3 광원(19)이 점등되면, 상기 점등된 제3 광원(19)에서 방출된 빛이 상기 제3 광원(19)과 정렬된 제3 내측 렌즈(33)를 투과하여 상기 제3 내측 렌즈(33)의 전면(前面)으로 출사(出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뮤니케이션 차량등(10)에 속한 모든 광원(15, 18,19)이 점등되면, 상기 커뮤니케이션 차량등(10)의 전방에서 볼 때 모든 선형 홈(27)의 내부 영역, 모든 제2 내측 렌즈(30)의 내부 영역, 및 모든 제3 내측 렌즈(33)의 내부 영역이 밝아지고, 그 외의 영역은 어둡게 보인다. 제1 내측 렌즈(23)의 내부 영역 중에서 상기 선형 홈(27)의 외부 영역은 상기 선형 홈(27)의 내부 영역에 비해 어둡지만, 제1 내측 렌즈(23)의 경계와 제2 내측 렌즈(30)의 경계 사이의 영역, 제1 내측 렌즈(23)의 경계와 제3 내측 렌즈(33)의 경계 사이의 영역, 및 제2 내측 렌즈(30)의 경계와 제3 내측 렌즈(33)의 경계 사이의 영역보다는 밝게 보일 수 있다.
외측 렌즈(40)는 내측 렌즈 조립체(21),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제1 내측 렌즈(23), 복수의 제2 내측 렌즈(30), 및 복수의 제3 내측 렌즈(33)를 보호하도록 상기 내측 렌즈 조립체(21)의 전방에 배치된다. 외측 렌즈(40)는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렌즈(40)의 외주부는 상기 베이스(11)의 외주부에 체결될 수 있다. 콘트롤러(45)는 복수의 제1 광원(15), 복수의 제2 광원(18), 및 복수의 제3 광원(19)의 점멸(點滅)을 제어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커뮤니케이션 차량등(10)은 중앙부의 제1 내측 렌즈(23)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는 평면 형상을 구비하나, 이는 예시적인 형상에 불과하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차량등(10)은 내측 렌즈 조립체(21)와 베이스(11) 사이에 상기 제1 광원(15), 제2 광원(18), 및 제3 광원(19)에서 발산(發散)하는 빛의 경로를 전방을 향하도록 전환시키는 반사판(reflection plate)을 구비하지 않는다. 반사판이 없더라도 LED 패키지인 제1 광원(15), 제2 광원(18), 및 제3 광원(19)을 각각 선형 홈(27), 제2 내측 렌즈(30), 및 제3 내측 렌즈(33)에 가깝게 접근시키고, 제1 광원(15)은 선형 홈(27)과, 제2 광원(18)은 제2 내측 렌즈(30)와, 제3 광원(19)은 제3 내측 렌즈(33)와 정확히 정렬되게 배치함으로써, 제1 광원(15), 제2 광원(18), 및 제3 광원(19)에서 방출된 빛이 큰 광량 손실 없이 선형 홈(27), 제2 내측 렌즈(30), 및 제3 내측 렌즈(33)에 입사될 수 있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차량등(10)은, 제1 내측 렌즈(23)를 대신하여 제2 내측 렌즈(30)와 같은 선형 렌즈를 추가로 더 배열하는 차량등보다, 좁은 설치 공간에 적합한 콤팩트(compact)한 설계가 용이하고, 조립이 용이하며, 광원을 점등했을 때 차별적인 느낌을 줄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을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의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에 의해 표현되는 모드(mode)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4에 도시된 커뮤니케이션 차량등(10)의 점등 이미지 모드(image mode)는 전기차가 충전중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차량등(10)을 전방에서 볼 때 충전중 모드에서는 제1 내측 렌즈(23)의 선형 홈(27)의 내부 영역만 밝아지고, 그 외의 영역은 밝아지지 않는다. 복수의 제1 내측 렌즈(23) 중에서 중앙 부분의 제1 내측 렌즈(23)에 속한 선형 홈(27)의 내부 영역이 먼저 밝아지고, 상기 중앙 부분의 제1 내측 렌즈(23)에 위아래로 인접한 제1 내측 렌즈(23)에 속한 선형 홈(27)의 내부 영역이 이어서 밝아진다. 그리고, 도 4에 상향 화살표 및 하향 화살표을 따라 밝아지는 선형 홈(27)의 내부 영역이 상측 및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확산된다.
도 4에 예시된 점등 이미지 모드를 나타내는 방법, 다시 말해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은, 복수의 제1 광원(15)을 상기 제1 광원(15)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은 N개(N은 1보다 큰 자연수)의 그룹(group)으로 분류하는 광원 그룹핑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광원(15) 모두가 소등된 상태에서, 상기 N개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속한 제1 광원(15)부터 제N 그룹에 속한 제1 광원(15)까지 순차적으로 점등하는 순차 점등 단계를 구비한다. 다만, 상기 순차 점등 단계에서 상기 제N 그룹에 속한 제1 광원(15)이 점등되기 전에 점등된 제1 광원(15)은, 상기 제N 그룹에 속한 제1 광원(15)이 점등될 때까지 소등되지 않는다.
한편, 도 4에 예시된 바와 반대로 상기 커뮤니케이션 차량등(10)을 통해 제1 광원(15)이 순차적으로 모두 소등되는 발광 이미지 표시도 가능하다. 이러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은, 복수의 제1 광원(15)을 상기 제1 광원(15)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은 N개(N은 자연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광원 그룹핑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광원(15) 모두가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N개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속한 제1 광원(15)부터 제N 그룹에 속한 제1 광원(15)까지 순차적으로 소등하는 순차 소등 단계를 구비한다. 다만, 상기 순차 소등 단계에서 상기 제N 그룹에 속한 제1 광원(15)이 소등되기 전에 소등된 제1 광원(15)은, 상기 제N 그룹에 속한 제1 광원(15)이 소등될 때까지 점등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커뮤니케이션 차량등(10)의 점등 이미지 모드는 급하게 끼어들기해야 하는 상황 등에서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양보를 요청하는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차량등(10)을 전방에서 볼 때 양보 모드에서는 제1 내측 렌즈(23)의 선형 홈(27)의 내부 영역과, 제3 내측 렌즈(33)의 내부 영역이 밝아지고, 그 외의 영역은 밝아지지 않는다. 상기 제3 내측 렌즈(33)의 내부 영역은 점멸의 변화 없이 계속 밝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1 내측 렌즈(23)의 선형 홈(27)의 내부 영역은 화살표를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밝아지는 영역이 이동할 수 있다. 선형 홈(27)과 정렬되게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제1 광원(15)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가면서 파도타기하듯이 순차적으로 점멸함으로써 이와 같은 시각적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점등 이미지 모드 중에서 제1 광원(15)에 의해 표시되는 점등 이미지를 나타내는 방법, 다시 말해 제1 광원(15)에 의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은, 복수의 제1 광원(15)을 상기 제1 광원(15)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은 N개(N은 1보다 큰 자연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광원 그룹핑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광원(15) 모두가 소등된 상태에서, 상기 N개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속한 제1 광원(15)부터 제N 그룹에 속한 제1 광원(15)까지 순차적으로 점등하는 순차 점등 단계를 구비한다. 다만, 상기 순차 점등 단계에서 상기 N개의 그룹 중에서 상대적으로 먼저 점등된 그룹에 속한 제1 광원(15)은, 상대적으로 나중에 점등되는 그룹에 속한 제1 광원(15)이 점등되면 소등된다.
한편, 도 5에 예시된 바와 반대로 상기 커뮤니케이션 차량등(10)을 통해 제1 광원(15)이 순차적으로 소등되고 재점등되는 발광 이미지 표시도 가능하다. 이러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은, 복수의 제1 광원(15)을 상기 제1 광원(15)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은 N개(N은 자연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광원 그룹핑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광원(15) 모두가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N개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속한 제1 광원(15)부터 제N 그룹에 속한 제1 광원(15)까지 순차적으로 소등하는 순차 소등 단계를 구비한다. 다만, 상기 순차 소등 단계에서 상기 N개의 그룹 중에서 상대적으로 먼저 소등된 그룹에 속한 제1 광원(15)은, 상대적으로 나중에 소등되는 그룹에 속한 제1 광원(15)이 소등되면 점등된다.
도 6에 도시된 커뮤니케이션 차량등(10)의 점등 이미지 모드는 자율주행 기능을 이용하여 주행하고 있음을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알려주는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차량등(10)을 전방에서 볼 때 자율주행 모드에서는 제1 내측 렌즈(23)의 선형 홈(27)의 내부 영역과, 제2 내측 렌즈(30)의 내부 영역과, 제3 내측 렌즈(33)의 내부 영역이 점멸의 변화 없이 계속 밝게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커뮤니케이션 차량등(10)은 도 4 내지 도 6에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 모드 외에도 차량의 운전자의 의도 또는 차량의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다양한 모드의 발광 이미지 표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복수의 모드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개수의 차량등을 차량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차량의 원가 상승 및 차량 외관의 심미감 저하를 막을 수 있으며, 단순한 구성으로 설계할 수 있고, 적은 개수의 광원 및 적은 개수의 선형 렌즈를 사용하므로 차량등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커뮤니케이션 차량등 11: 베이스
15: 제1 광원 18: 제2 광원
19: 제3 광원 21: 내측 렌즈 조립체
23: 제1 내측 렌즈 27: 선형 홈
30: 제2 내측 렌즈 33: 제3 내측 렌즈
40: 외측 렌즈 45: 콘트롤러

Claims (13)

  1. 평면형의 렌즈(lens)로서, 배면(背面)에 두께 방향으로 파이고 선(line) 경로를 따라 연장된 복수의 선형 홈(line groove)이 형성된 제1 내측 렌즈;
    상기 제1 내측 렌즈의 후방에서 상기 복수의 선형 홈과 정렬되게 배열된 복수의 제1 광원;
    상기 복수의 제1 광원이 탑재되는 베이스(base);
    상기 제1 내측 렌즈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1 내측 렌즈의 전방에 배치된 외측 렌즈; 및,
    상기 복수의 제1 광원의 점멸(點滅)을 제어하는 콘트롤러(controller):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광원 중 적어도 하나가 점등되면, 상기 제1 내측 렌즈의 전면(前面)에서 볼 때 상기 점등된 제1 광원과 정렬된 선형 홈의 내부 영역은 밝으나, 상기 점등된 제1 광원과 정렬된 선형 홈의 외부 영역은 상기 내부 영역에 비해 나안(裸眼)으로 구별되게 어두운 것을 특징을 하는 커뮤니케이션 차량등.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형 홈은 레이저 에칭(laser etching)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차량등.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형 홈은 서로 교차하지 않고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차량등.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렌즈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내측 렌즈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은,
    선(line) 경로를 따라 연장된 선형의 렌즈로서, 상기 이격된 복수의 제1 내측 렌즈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내측 렌즈; 및,
    상기 제2 내측 렌즈의 후방에서 상기 제2 내측 렌즈와 정렬되게 배열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탑재되고,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점멸이 제어되는 복수의 제2 광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차량등.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내측 렌즈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내측 렌즈를 에워싸도록 선(line) 경로를 따라 연장된 제3 내측 렌즈; 및,
    상기 제3 내측 렌즈의 후방에서 상기 제3 내측 렌즈와 정렬되게 배열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탑재되고,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점멸이 제어되는 복수의 제3 광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차량등.
  6. 제1 항, 제4 항, 및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탑재되는 광원은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차량등.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탑재되는 광원에서 발산(發散)하는 빛의 경로를 전방을 향하도록 전환시키는 반사판을 구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차량등.
  8. 제1 항의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을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제1 광원을 상기 제1 광원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은 N개(N은 1보다 큰 자연수)의 그룹(group)으로 분류하는 광원 그룹핑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광원 모두가 소등된 상태에서, 상기 N개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속한 제1 광원부터 제N 그룹에 속한 제1 광원까지 순차적으로 점등하는 순차 점등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을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 점등 단계에서, 상기 N개의 그룹 중에서 상대적으로 먼저 점등된 그룹에 속한 제1 광원은, 상대적으로 나중에 점등되는 그룹에 속한 제1 광원이 점등되면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을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 점등 단계에서, 상기 제N 그룹에 속한 제1 광원이 점등되기 전에 점등된 제1 광원은, 상기 제N 그룹에 속한 제1 광원이 점등될 때까지 소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을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
  11. 제1 항의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을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제1 광원을 상기 제1 광원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은 N개(N은 1보다 큰 자연수)의 그룹(group)으로 분류하는 광원 그룹핑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광원 모두가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N개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속한 제1 광원부터 제N 그룹에 속한 제1 광원까지 순차적으로 소등하는 순차 소등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을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 소등 단계에서, 상기 N개의 그룹 중에서 상대적으로 먼저 소등된 그룹에 속한 제1 광원은, 상대적으로 나중에 소등되는 그룹에 속한 제1 광원이 소등되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을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 소등 단계에서, 상기 제N 그룹에 속한 제1 광원이 소등되기 전에 소등된 제1 광원은, 상기 제N 그룹에 속한 제1 광원이 소등될 때까지 점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차량등을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
KR1020210166918A 2021-11-29 2021-11-29 커뮤니케이션 차량등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 KR20230079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918A KR20230079790A (ko) 2021-11-29 2021-11-29 커뮤니케이션 차량등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918A KR20230079790A (ko) 2021-11-29 2021-11-29 커뮤니케이션 차량등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790A true KR20230079790A (ko) 2023-06-07

Family

ID=86760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918A KR20230079790A (ko) 2021-11-29 2021-11-29 커뮤니케이션 차량등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97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8704B2 (en) Vehicle lighting display system
US20200278100A1 (en) Lighting device for a vehcile, in particular an electric vehcile
CN103629613A (zh) 用于机动车的照明单元
JP2011150887A (ja) 面発光体を備えた車両用灯具
CN103765084B (zh) 用于车辆的具有多层光板的照明装置
US9746351B2 (en) Light conductor device and meter device including the same
JP4290607B2 (ja) 車両用灯具
JP2007094088A (ja) 表示装置
US20130051050A1 (en) Vehicle lighting device
EP2781827B1 (en) Vehicle lamp
CN115052783A (zh) 车辆用灯具
JPH07335002A (ja) 車両用表示灯
CN112136171B (zh) 用于车辆踏板的电气装置
JP2019192432A (ja) 車両用照明装置、車両用灯具、車両用灯具付きウィンドウパネル、車載ディスプレイ
US20230304644A1 (en) Cluster of lighting devices,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230079790A (ko) 커뮤니케이션 차량등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이미지 표시 방법
KR100990323B1 (ko) 자동차 계기장치의 그래픽 인쇄시트 및 이를 이용한 도파로필름을 가진 자동차 계기장치
JP2005091218A (ja) 車両用表示装置
JP7453806B2 (ja) 車両用ランプ
CN212637315U (zh) 一种车用内饰灯
JP2005317348A (ja) 表示装置及び信号灯
JP6566415B2 (ja) 車両用灯具
KR20210079943A (ko) 차량용 램프 시스템
JP6297801B2 (ja) 信号灯器
JP2019036399A (ja) 車両用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