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9788A -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9788A
KR20230079788A KR1020210166916A KR20210166916A KR20230079788A KR 20230079788 A KR20230079788 A KR 20230079788A KR 1020210166916 A KR1020210166916 A KR 1020210166916A KR 20210166916 A KR20210166916 A KR 20210166916A KR 20230079788 A KR20230079788 A KR 20230079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face
wheel adjustment
shape
opt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6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9788A/ko
Priority to US17/970,939 priority patent/US11858546B2/en
Publication of KR20230079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1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power actuated adjustment, e.g. with position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3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etween in-use and out-of-use positions, e.g. to improve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G06V20/597Recognising the driver's state or behaviour, e.g. attention or drowsi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얼굴의 형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의 상하가 잘리지 않고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하여, 최적 얼굴 형태가 아닌 경우, 지정된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ADJUSTING STEERING WHEE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에 설치된 카메라(In-Cabin Camera 포함)를 통한 운전자의 얼굴 모니터링 시, 운전자의 얼굴이 최적 촬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카메라(In-Cabin Camera 또는 ICC 카메라 포함)는 차량 실내에 장착돼 탑승객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는 자율 주행 차량의 핵심 부품 중 하나이다.
한편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적외선 카메라 및 적외선 조명을 사용하여 운전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촬영된 운전자의 얼굴 영상을 처리하여, 눈 감음, 얼굴 각도 등을 분석한 후, 졸음 및 전방 주시 태만 여부 등 부주의 운전을 감지한다.
이 때 상기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카메라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클러스터, C-Pad 상단, 또는 스티어링 컬럼의 커버 상단부에 장착된다.
그런데 상기 카메라가 스티어링 휠 컬럼의 커버 상단부에 장착되는 경우 스티어링 휠의 높낮이에 따라 운전자의 얼굴을 최적으로 촬영하는 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가령 스티어링 휠의 각도에 따라 얼굴의 이마 혹은 턱이 잘릴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운전자의 얼굴이 최적(즉, 운전자의 얼굴에서 이마나 턱이 잘리지 않고 얼굴 전체가 촬영되는 상태) 촬영되지 않을 경우 운전자의 상태 정보(예 : 하품 및 대화 인식 등)를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운전자의 얼굴 전체를 최적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을 위/아래(상/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21092호(2009.10.01. 등록,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는 운전자 상태 감시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차량 내에 설치된 카메라(In-Cabin Camera 포함)를 통한 운전자의 얼굴 모니터링 시, 운전자의 얼굴이 최적 촬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얼굴의 형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의 상하가 잘리지 않고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하여, 최적 얼굴 형태가 아닌 경우, 지정된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얼굴의 형태를 결정하는 눈, 코, 입, 이마, 및 턱이 가려지거나 잘리지 않고 화면 내에 모두 촬영되는 얼굴 형태를 최적 얼굴 형태로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차량 내부의 스티어링 컬럼의 커버 상단부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출력하는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지정된 출력 대상 장치에 적합한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대상 장치는, 스티어링 휠의 높낮이를 전동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 구동부; 또는 오디오, 비디오,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정보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얼굴이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한 결과, 얼굴의 이마 부분이 잘리거나 가려져 촬영되었을 경우, 스티어링 휠을 높게 조정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얼굴이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한 결과, 얼굴의 턱 부분이 잘리거나 가려져 촬영되었을 경우, 스티어링 휠을 낮게 조정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스티어링 휠 조정 방법은, 제어부가 카메라부를 통해 운전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얼굴의 형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검출된 얼굴의 상하가 잘리지 않고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결과 최적 얼굴 형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가 지정된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얼굴의 형태를 결정하는 눈, 코, 입, 이마, 및 턱이 가려지거나 잘리지 않고 화면 내에 모두 촬영되는 얼굴 형태를 최적 얼굴 형태로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차량 내부의 스티어링 컬럼의 커버 상단부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출력하는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스티어일 휠 조정 정보 출력부를 통해 지정된 출력 대상 장치에 적합한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대상 장치는, 스티어링 휠의 높낮이를 전동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 구동부; 또는 오디오, 비디오,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정보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얼굴이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한 결과, 얼굴의 이마 부분이 잘리거나 가려져 촬영되었을 경우, 스티어링 휠을 높게 조정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얼굴이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한 결과, 얼굴의 턱 부분이 잘리거나 가려져 촬영되었을 경우, 스티어링 휠을 낮게 조정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 내에 설치된 카메라(In-Cabin Camera 포함)를 통한 운전자의 얼굴 모니터링 시, 스티어링 휠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얼굴에서 이마나 턱 부분이 잘리지 않고 얼굴 전체가 최적으로 촬영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 출력부가 정보 출력부를 통해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보다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얼굴 형태에 따른 출력되는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는, 카메라부(110), 제어부(120), 및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차량 내부의 스티어링 컬럼의 커버 상단부 중앙에 설치(장착)된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CCD 또는 CMOS 타입의 디지털 카메라, 또는 인캐빈 카메라(In-Cabin Camera 또는 ICC 카메라 포함)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얼굴을 검출한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얼굴의 형태(즉, 눈, 코, 입, 이마, 턱 등)를 검출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카메라부(110)가 차량 내부의 스티어링 컬럼의 커버 상단부 중앙에 설치(장착)됨에 따라, 촬영 시 얼굴이 화면의 좌우 어느 한 쪽으로 편향되지 않고(일부 편향 오차는 포함됨) 화면의 중심에 촬영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영상에서 검출된 얼굴의 상하(즉, 이마, 턱)가 잘리지 않고 최적 얼굴 형태(즉, 얼굴의 형태를 결정하는 눈, 코, 입, 이마, 및 턱이 가려지거나 잘리지 않고 화면 내에 모두 촬영되는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한 결과, 얼굴의 이마 부분이 잘리거나 가려져 촬영되었을 경우, 스티어링 휠을 높게 조정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한 결과, 얼굴의 턱 부분이 잘리거나 가려져 촬영되었을 경우, 스티어링 휠을 낮게 조정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카메라부(110)가 차량 내부의 스티어링 컬럼의 커버 상단부 중앙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최적 얼굴 형태(즉, 얼굴의 형태를 결정하는 눈, 코, 입, 이마, 및 턱이 가려지거나 잘리지 않고 화면 내에 모두 촬영되는 형태)로 촬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한 결과, 최적 얼굴 형태(즉, 얼굴의 형태를 결정하는 눈, 코, 입, 이마, 및 턱이 가려지거나 잘리지 않고 화면 내에 모두 촬영되는 형태)로 촬영된 경우, 스티어링 휠의 높낮이가 적정한(또는 최적)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예 : Good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 출력부(130)는,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출력하는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지정된 출력 대상 장치(예 : 스티어링 휠 구동부(140), 정보 출력부(150))에 적합한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 대상 장치(예 : 스티어링 휠 구동부(140), 정보 출력부(150))는 대상 차량에 설치된 장치로서, 차량의 종류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높낮이를 전동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 구동부(140), 또는 오디오, 비디오,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정보 출력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참고로 최근 출시되고 있는 차량(자율 주행 차량 포함)에는 정보 출력부(150)가 기본으로 장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 출력부(130)는, 대상 차량에 포함(장착)된 출력 대상 장치(예 : 스티어링 휠 구동부(140), 정보 출력부(150))에 대응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지정된 출력 대상 장치(예 : 스티어링 휠 구동부(140), 정보 출력부(150))에 적합한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 출력부가 정보 출력부를 통해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형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 2의 (a)와 같이 카메라에 촬영된 얼굴 형태와 조정할 높이(상하 방향)에 정보(예 : GOOD, HIGH, LOW)를 결합하여 보여주거나, 도 2의 (b)와 같이 스티어링 휠의 레벨이 높은지, 낮은지, 아니면 적정(좋은)한지를 게이지 바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시된 것이며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20)는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미도시)와 통신하여 상기 출력 대상 장치(예 : 스티어링 휠 구동부(140), 정보 출력부(150))의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보다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얼굴 형태에 따른 출력되는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다(S101).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받은 영상을 처리하여 얼굴의 형태(즉, 눈, 코, 입, 이마, 턱 등)를 검출한다(S102).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검출한 얼굴의 형태가 상하(즉, 이마, 턱)가 잘리지 않은 최적 얼굴 형태(즉, 얼굴의 형태를 결정하는 눈, 코, 입, 이마, 및 턱이 가려지거나 잘리지 않고 화면 내에 모두 촬영되는 형태)인지 체크한다(S103).
만약 상기 체크(S103) 결과, 상기 검출한 얼굴의 형태가 상하(즉, 이마, 턱)가 잘리지 않은 최적 얼굴 형태(즉, 얼굴의 형태를 결정하는 눈, 코, 입, 이마, 및 턱이 가려지거나 잘리지 않고 화면 내에 모두 촬영되는 형태)가 아닌 경우, 지정된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지정된 출력 대상 장치(예 : 스티어링 휠 구동부(140), 정보 출력부(150))에 출력한다(S104).
상기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지정된 출력 대상 장치(예 : 스티어링 휠 구동부(140), 정보 출력부(150))에 출력하는 동작(S104)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방법을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한 결과, 얼굴의 이마 부분이 잘리거나 가려져 촬영되지 않았을 경우(즉, 눈 위치가 지정된 상위 레벨(예 : 레벨 8)보다 높은 경우)(S201의 예), 스티어링 휠을 높게 조정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한다(S202)(도 5의 (a) 참조).
상기 과정(S201 ~ S202)은 얼굴의 이마 부분이 잘리거나 가려져 촬영되지 않을 때까지(즉, 눈 위치가 지정된 상위 레벨(예 : 레벨 8) 이하가 될 때까지)(S201의 아니오) 반복 수행된다.
상기 과정(S201 ~ S202)을 통해 얼굴의 이마 부분이 잘리거나 가려져 촬영되지 않으면(즉, 눈 위치가 지정된 상위 레벨(예 : 레벨 8) 이하가 되면)(S201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한 결과, 얼굴의 턱 부분이 잘리거나 가려져 촬영되지 않았을 경우(즉, 눈 위치가 지정된 상위와 하위 레벨 사이가 아닌 경우)(S203의 아니오), 스티어링 휠을 낮게 조정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한다(S204)(도 5의 (c) 참조).
상기 과정(S203 ~ S204)은 얼굴의 턱 부분이 잘리거나 가려져 촬영되지 않을 때까지(즉, 눈 위치가 지정된 상위(예 : 레벨8)와 하위 레벨(예 : 레벨4) 사이가 될 때까지)(S201의 아니오) 반복 수행된다.
상기 과정(S203 ~ S204)을 통해 얼굴의 턱 부분이 잘리거나 가려져 촬영되지 않으면(즉, 눈 위치가 지정된 상위(예 : 레벨8)와 하위 레벨(예 : 레벨4) 사이가 되면)(S203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스티어링 휠의 높낮이가 적정한(또는 최적)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예 : Good 신호)(즉, 얼굴 최적 위치 판단 신호)를 출력한다(S205)(도 5의 (b) 참조).
이에 따라 대상 차량에 스티어링 휠 구동부(140)가 포함(장착)되어 있을 경우, 상기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 출력부(130)는 상기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상기 스티어링 휠 구동부(140)에 직접 출력하여, 스티어링 휠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대상 차량에 정보 출력부(150)만 포함(장착)되어 있을 경우, 상기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 출력부(130)는 상기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상기 정보 출력부(150)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하여 사용자(운전자)가 매뉴얼 방식으로 스티어링 휠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차량 내에 설치된 카메라(In-Cabin Camera 포함)를 통한 운전자의 얼굴 모니터링 시, 스티어링 휠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얼굴에서 이마나 턱 부분이 잘리지 않고 얼굴 전체가 최적으로 촬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10 : 카메라부
120 : 제어부
130 :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 출력부
140 : 스티어링 휠 구동부
150 : 정보 출력부

Claims (12)

  1.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얼굴의 형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의 상하가 잘리지 않고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하여, 최적 얼굴 형태가 아닌 경우, 지정된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얼굴의 형태를 결정하는 눈, 코, 입, 이마, 및 턱이 가려지거나 잘리지 않고 화면 내에 모두 촬영되는 얼굴 형태를 최적 얼굴 형태로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차량 내부의 스티어링 컬럼의 커버 상단부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출력하는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지정된 출력 대상 장치에 적합한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대상 장치는,
    스티어링 휠의 높낮이를 전동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 구동부; 또는 오디오, 비디오,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정보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얼굴이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한 결과, 얼굴의 이마 부분이 잘리거나 가려져 촬영되었을 경우, 스티어링 휠을 높게 조정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얼굴이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한 결과, 얼굴의 턱 부분이 잘리거나 가려져 촬영되었을 경우, 스티어링 휠을 낮게 조정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
  7. 제어부가 카메라부를 통해 운전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얼굴의 형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검출된 얼굴의 상하가 잘리지 않고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결과 최적 얼굴 형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가 지정된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조정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얼굴의 형태를 결정하는 눈, 코, 입, 이마, 및 턱이 가려지거나 잘리지 않고 화면 내에 모두 촬영되는 얼굴 형태를 최적 얼굴 형태로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조정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차량 내부의 스티어링 컬럼의 커버 상단부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조정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출력하는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스티어일 휠 조정 정보 출력부를 통해 지정된 출력 대상 장치에 적합한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대상 장치는,
    스티어링 휠의 높낮이를 전동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 구동부; 또는 오디오, 비디오,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정보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조정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얼굴이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한 결과, 얼굴의 이마 부분이 잘리거나 가려져 촬영되었을 경우, 스티어링 휠을 높게 조정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조정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얼굴이 최적 얼굴 형태로 촬영되는지 체크한 결과, 얼굴의 턱 부분이 잘리거나 가려져 촬영되었을 경우, 스티어링 휠을 낮게 조정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 조정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조정 방법.
KR1020210166916A 2021-11-29 2021-11-29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230079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916A KR20230079788A (ko) 2021-11-29 2021-11-29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 및 방법
US17/970,939 US11858546B2 (en) 2021-11-29 2022-10-21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steering wh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916A KR20230079788A (ko) 2021-11-29 2021-11-29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788A true KR20230079788A (ko) 2023-06-07

Family

ID=8650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916A KR20230079788A (ko) 2021-11-29 2021-11-29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858546B2 (ko)
KR (1) KR20230079788A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092B1 (ko) 2008-07-04 2009-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는 운전자 상태 감시시스템
US20120002028A1 (en) * 2010-07-05 2012-01-05 Honda Motor Co., Ltd. Face image pick-up apparatus for vehicle
CN104724157A (zh) * 2013-12-20 2015-06-24 青岛盛嘉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对人眼位置准确定位的方法
DE102016002289A1 (de) * 2016-02-25 2016-08-11 Daimler Ag Verfahren zur Beobachtung eines Fahrers eines Fahrzeugs
GB2558653A (en) * 2017-01-16 2018-07-18 Jaguar Land Rover Ltd Steering wheel assembly
JP6950346B2 (ja) * 2017-08-10 2021-10-13 オムロン株式会社 運転者状態把握装置、運転者状態把握システム、及び運転者状態把握方法
KR101994439B1 (ko) * 2017-09-12 2019-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630368B1 (ko) * 2018-10-25 2024-01-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자 감시 카메라의 보정장치 및 그 방법
CN110775140B (zh) * 2019-11-22 2023-08-18 浙江梵隆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带自动微调结构的汽车方向盘及其操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66786A1 (en) 2023-06-01
US11858546B2 (en)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6314B2 (ja) 車線認識装置
US85528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driving state of a driver in a vehicle
JP2007299048A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及び、脇見状態検出装置
WO2020031873A1 (ja) 脇見運転検出装置
JP2010245821A (ja) 車両用画像表示装置
WO2019058611A1 (ja) 携帯端末及び遠隔操作方法
JP6810589B2 (ja) 車載用投影装置
KR102630368B1 (ko) 운전자 감시 카메라의 보정장치 및 그 방법
JP2007045217A (ja) 車両用電動ミラーの制御システム
JP5136315B2 (ja) 運転支援装置
JP2019159193A (ja) 視覚障がい者用行動支援装置
KR101692532B1 (ko) 졸음운전 검출장치 및 방법
KR20230079788A (ko) 스티어링 휠 조정 장치 및 방법
CN110733423A (zh) 用于显示车辆后方图像的装置和方法
WO2016121406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車両、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23133535A (ja) 撮影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045628B2 (ja) 車線逸脱防止装置
JP2004271250A (ja) 車間距離検出装置
JP2009297321A (ja) 視線方向認識エラー検出装置
JP7001038B2 (ja) 運転状態判定方法
KR20200060651A (ko) 혼합 현실을 이용한 운전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20117843A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20090126086A (ko) 에이브이 시스템용 모니터 제어시스템
KR101684032B1 (ko) 운전자상태감시장치 및 그의 카메라 위치 보정 방법
WO2020189182A1 (ja) 運転者の状態監視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