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8105A -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 - Google Patents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8105A
KR20230078105A KR1020210165537A KR20210165537A KR20230078105A KR 20230078105 A KR20230078105 A KR 20230078105A KR 1020210165537 A KR1020210165537 A KR 1020210165537A KR 20210165537 A KR20210165537 A KR 20210165537A KR 20230078105 A KR20230078105 A KR 20230078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rm
gripping
coupled
side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403B1 (ko
Inventor
허일도
Original Assignee
허일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일도 filed Critical 허일도
Priority to KR1020210165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403B1/ko
Publication of KR20230078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8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18Placing by vibr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유압 시스템을 구비하는 중장비에 결합되는 브라켓부재; 상기 브라켓부재에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고 진동을 발생시키는 몸체부재; 및 파일에 상기 진동이 가해지도록 파일을 파지하는 사이드 그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그립부재는, 일단부에 그리퍼부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그리퍼부가 돌출되도록 몸체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쌍이 결합되어 듀얼타입으로 구비되는 아암모듈과, 상기 파일의 외측면의 형태에 따라 교체되며 각각의 그리퍼부와 결합되는 파지모듈과, 상기 아암모듈을 구동하며 파지력을 제공하는 아암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The vibro hammer with side gripper}
본 발명은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에 관한 것으로, 파지하고자 하는 대상의 형상에 상관 없이 파지가 가능하고, 파지된 영역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파지력이 향상될 수 있는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에 관한 것이다.
교량이나 콘크리트 건축물과 같은 건설 분야에서 지반이 구조물의 중량을 견딜 수 있도록 기초 공사를 하는데, 콘크리트 파일, 강관 파일, H빔 등을 지반에 박는 항타 작업을 포함하는 기초 공사를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연약지반일수록 항타 작업을 통한 기초 공사는 매우 중요한 구조물 건설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인 항타기기는 드롭 해머, 디젤해머 또는 바이브로 해머 등이 결합되어 구비되는데, 최근의 항타 작업은 상대적으로 소음이 적고 파일과 지반 간의 마찰력을 줄여줄 수 있는 바이브로 해머를 이용하는 것이 점점 늘고 있다. 바이브로 해머를 이용하는 항타 작업은 바이브로 해머로 파일을 고정시킨 후 진동을 가하여 척을 항타 방향(파일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지반에 파일을 박는 방식이다. 상기 바이브로 해머는 굴삭기, 쇼벨 등과 같은 건설기계의 붐에 설치되어 파일 근입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바이브로 해머에 대해 한국등록특허 제10-2067301호 '파워 도구에 부착될 수 있는 몸체(1), 상기 몸체(1)에 댐핑 쿠션(9)들에 의하여 부착되는 진동 장치(6), 및 상기 진동 장치(6)에 적용되어서 유압 실린더(16)와 같은 조절 유니트에 의하여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그립 턱(10)의 그립 요소(10)의 측면 그립으로 해머링되는 물체를 잡기 위하여 이동할 수 있는 그립 턱(10)들을 포함한다. 상기 그립 턱(10)들이 이동하는 동안에 그립 턱(10)들의 상호 대칭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그립 턱들의 회전 조인트(8)들의 위치에서 견고하게 부착되는 아암(2, 3)들이 아암(2, 3)들의 단부들이 서로 간에 옆으로 위치되는 방향을 가지며, 상기 그립 턱(10)이 회전 동작을 하는 동안에 서로 간에 옆에 위치하며, 상기 아암(2, 3)들의 단부들은 서로 피봇 장착되는 숏 아암(4)에 의하여 서로 간에 연결되는 해머링 장치'에 대해 공지된 바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2259106호에서는'파일(Pile)의 일측에 접촉되는 제1 그립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진동 장치에 제1 피봇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그립부재, 상기 파일의 타측에 접촉되는 제2 그립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진동장치에 제2 피봇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그립부재와, 상기 제1 그립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제3 피봇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그립부재의 타단에 타단이 제4 피봇부를 통해 연결되어 작동 시 상기 제1 그립부 및 상기 제2 그립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실린더장치와, 상기 제1 그립부재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그립부재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장치의 작동 시 상기 제1 그립부재 및 상기 제2 그립부재를 상호 대칭되게 회전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사이드 그립퍼 및 그것에 포함되는 링크부재'에 대해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들은 그립턱의 파지 작동 시 좌우 그립 부품의 높이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링크부재에 의해 파일을 파지할 수 있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파지력이 약해질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67301호(등록일: 2020년 01월 10일) 한국등록특허 제10-2259106호(등록일: 2021년 05월 26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항타 작업을 위해 파일을 자동으로 파지하고 근입시키며, 파일 근입 작업에 작업자를 배제함으로써 작업의 안전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파일의 형상에 관계없이 항타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파일에 대한 파지력을 균일하게 함과 동시에 파지력을 더 보강할 수 있는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압 시스템을 구비하는 중장비에 결합되는 브라켓부재; 상기 브라켓부재에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고 진동을 발생시키는 몸체부재; 및 파일에 상기 진동이 가해지도록 파일을 파지하는 사이드 그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그립부재는, 일단부에 그리퍼부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그리퍼부가 돌출되도록 몸체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쌍이 결합되어 듀얼타입으로 구비되는 아암모듈과, 상기 파일의 외측면의 형태에 따라 교체되며 각각의 그리퍼부와 결합되는 파지모듈과, 상기 아암모듈을 구동하며 파지력을 제공하는 아암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재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기어박스모듈과, 상기 브라켓부재에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기어박스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은 양측면 내측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 사이 공간에 상기 기어박스 모듈과 상기 기어박스 모듈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아암모듈의 타단부 영역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재는, 상기 격벽과 상기 하우징 모듈의 일측면 사이 및 상기 격벽과 상기 하우징 모듈의 타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진동감소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암구동모듈은 상기 아암모듈의 타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유압부와, 상기 아암모듈 사이에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힌지중심에 실린더 로드가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재에 고정되는 제2 유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암구동모듈은 구동을 위한 유체가 상기 제1 유압부와 제2 유압부에 동시에 제공되어 상기 아암모듈을 구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아암구동모듈은 수직 선상에 위치하는 상부 및 하부의 아암모듈의 타단부를 관통 결합하며 지지하는 아암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모듈은 상기 그리퍼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그리퍼결합부와, 상기 파일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일단면이 형성되어 대상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일의 외측면에 접하고 표면거칠기를 가지는 일단면을 구비하고 타단부는 반구형의 홈을 구비하는 제1 파지체와, 상기 홈에 끼움결합되는 반구형의 돌출구를 구비하는 제2 파지체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는 브라켓부재에 대해 회전가능한 몸체부재로 인해 사이드 그립부재가 적재된 상태의 파일을 자동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항타 작업을 위한 파일의 근입 또한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파일 근입 작업에 작업자를 배제함으로써 작업의 안전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교체 가능한 파지모듈로 인해 하나의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로 파일의 형상에 관계없이 항타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아암구동모듈의 힌지부와 유압부로 인해 파일에 대한 파지력을 균일하게 함과 동시에 파지력을 더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가 시트파일을 파지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가 강관 파일을 파지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의 기어박스 모듈과 사이드 그립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의 기어박스 모듈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의 사이드 그립부재의 파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의 사이드 그립부재의 이완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의 사이드 그립부재의 파지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의 경사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가 시트파일을 파지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가 강관 파일을 파지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의 기어박스 모듈과 사이드 그립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의 기어박스 모듈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의 사이드 그립부재의 파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의 사이드 그립부재의 이완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의 사이드 그립부재의 파지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의 경사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10, 10')는 유압 시스템을 구비하는 중장비에 결합되는 브라켓부재(100); 상기 브라켓부재(100)에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고 진동을 발생시키는 몸체부재(200); 및 파일(1, 3)에 상기 진동이 가해지도록 파일을 파지하는 사이드 그립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그립부재(300)는, 일단부에 그리퍼부(312)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재(200)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그리퍼부(312)가 돌출되도록 몸체부재(2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쌍이 결합되어 듀얼타입으로 구비되는 아암모듈(310)과, 상기 파일의 외측면의 형태에 따라 교체되며 각각의 그리퍼부(312)와 결합되는 파지모듈(320)과, 상기 아암모듈(310)을 구동하며 파지력을 제공하는 아암구동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브라켓부재(100)는 유압 시스템을 구비하는 중장비에 결합되는 것으로, 브라켓부재(100)와 중장비의 결합으로 몸체부재(200)는 중장비의 붐에 지지될 수 있다. 몸체부재(200)의 상부는 브라켓부재(100)와 힌지축(120)에 의해 힌지고정 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1 또는 도2와 같은 수직자세를 취하거나, 상기 힌지축(120)을 중심으로 몸체부재(200)가 소정의 각도(θ)로 회전됨으로써 도10과 같이 브라켓부재(100)에 대해 몸체부재(200)가 소정의 각도(θ)로 경사진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부재(100)에 대한 몸체부재(200)의 경사는 회전용 실린더모듈(110)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써 상기 회전용 실린더모듈(110)은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용 실린더모듈(110)의 로드는 몸체부재(200)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용 실린더모듈(110)이 작동하면, 수직자세로 있던 몸체부재(200)는 상기 힌지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브라켓부재(10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θ)로 경사진 자세를 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파일(1. 3)의 근입 시 수직도를 맞추어 줄 수 있다.
상기 브라켓부재(100)에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고 진동을 발생시키는 몸체부재(200)는, 상기 브라켓부재(100)와 결합되는 영역에 선회베어링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선회베어링모듈(250)은 브라켓부재(100)에 대하여 몸체부재(200)가 360도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유압모터를 통하여 몸체부재(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몸체부재(200)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기어박스모듈(210)과, 상기 브라켓부재(100)에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기어박스모듈(210)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기어박스모듈(210)은 모터(212)의 구동으로 동작되는 구동기어(214) 및 편심 웨이트(216)를 구비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박스형의 기어박스 케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기어(214) 및 편심 웨이트(216)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 케이스에는 한 쌍의 회전축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은 모터(212)와 결합되어 구동될 수 있다. 각각의 회전축에는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한 쌍의 구동기어(214)와 편심 웨이트(216)가 결합되어 상기 모터(212)가 작동되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구동기어(214)는 맞물려 돌아갈 수 있으며, 상기 편심 웨이트(216)로 인한 편심 회전력에 의해 진동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진동으로 파일을 타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220)은 양측면 내측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격벽(222)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222) 사이 공간에 상기 기어박스 모듈(210)과 상기 기어박스 모듈의 상부 및 하부에 아암모듈(310)의 타단부 영역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재(200)는, 상기 격벽(222)과 상기 하우징모듈(220)의 일측면 사이 및 상기 격벽(222)과 상기 하우징 모듈의 타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진동감소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박스모듈(210)과 하우징모듈(220)이 접하여 결합되는 경우 기어박스모듈(2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하우징모듈(220)을 타고 브라켓부재(100) 및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10, 10')가 결합된 중장비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감소모듈(230)을 기어박스모듈(210)과 하우징모듈(220) 양측면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브라켓부재(100) 및 상기 중장비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진동감소모듈(230)은 복수개의 방진러버(232)와, 상기 방진러버(232)를 하우징모듈(220)에 결합시키는 방진러버 브라켓(23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방진러버(232)는 외주면이 내측으로 함몰된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파일에 상기 진동이 가해지도록 파일을 파지하는 사이드 그립부재(300)는, 일단부에 그리퍼부(312)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재(200)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그리퍼부(312)가 돌출되도록 몸체부재(2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쌍이 결합되어 듀얼타입으로 구비되는 아암모듈(310)과, 상기 파일(1, 3)의 외측면의 형태에 따라 교체되며 각각의 그리퍼부(312)와 결합되는 파지모듈(320)과, 상기 아암모듈(310)을 구동하며 파지력을 제공하는 아암구동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대칭구조로 서로 마주보며 위치하는 두 쌍의 아암으로 상부 아암모듈 및 하부 아암모듈이 구비되며, 상부 아암모듈 및 하부 아암모듈의 타단부에 각각 결합된 아암구동모듈(330)이 구동하여 상기 아암모듈(310)의 일단부인 그리퍼부(312) 사이를 벌어지게 하거나 오므리게 함으로써, 상기 그리퍼부(312)에 결합된 파지모듈(320)이 파일로(1, 3)부터 이격되거나 파일(1, 3)에 접할 수 있다. 아암모듈(310)은 아암구동모듈(330)로 인한 파지 과정 중 아암의 흔들림이 없도록 아암의 중심영역을 몸체부재(200)와 결합시키는 회전지지축(316)과 상기 회전지지축 사이를 결합하는 회전지지판(314)을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아암구동모듈(330)은 상기 아암모듈(310)의 타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유압부(331)와, 상기 아암모듈(310) 사이에 결합되는 힌지부(335)와, 상기 힌지부(335)의 힌지중심에 실린더 로드가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재에 고정되는 제2 유압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유압부(331)는 상부 및 하부의 아암모듈(310)의 타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파지력을 제공하고, 제2 유압부(332)는 아암모듈(310) 사이에 결합되는 힌지부(335)의 힌지중심과 연결됨으로써 제1 유압부(331)의 파지력에 의한 힌지부(335)의 힌지운동 시 중심을 잡아주며 좌우 아암에 전달되는 파지력이 균일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유압부(332)는 기어박스모듈(210)이 수용된 몸체부재(200)의 상부면(218)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유압부(332)의 실린더 운동 시 흔들리지 않고 힌지부(335)의 힌지중심으로 유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압부(332)는 힌지부(335)의 구동과 함께 제1 유압부(331)의 파지력에 추압이 더 보강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아암모듈(310)의 파지력을 더욱 보강시킬 수 있다.
상기 아암구동모듈(330)은 구동을 위한 유체가 상기 제1 유압부(331)와 제2 유압부(332)에 동시에 제공되어 상기 아암모듈(310)을 구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압부(331)와 제2 유압부(332)가 동시에 구동하므로 아암모듈(310)에 파지력을 제공할 때 좌우 암이 대칭으로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아암구동모듈(330)은 수직 선상에 위치하는 상부 및 하부의 아암모듈(310)의 타단부를 관통 결합하며 지지하는 아암지지부(337)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아암지지부(337)에 수직으로 결합된 상부와 하부의 암으로 인해 아암구동모듈(330)의 동작에 따라 아암모듈(310)은 동시에 작동할 수 있으며, 상부 아암모듈과 하부 아암모듈에 결합된 4개의 파지모듈(320)이 동시에 파일에 접하여 파일을 파지할 수 있다.
상기 파지모듈(320)은 상기 그리퍼부(312)에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그리퍼결합부(322)와, 상기 파일(1, 3)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일단면이 형성되어 상기 대상을 파지하는 파지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일(1, 3)의 종류에 따라 파지모듈(320)을 선택하여 그리퍼결합부(322)와 아암모듈(310)의 그리퍼부(312)를 결합고정 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324)는 상기 파일의 외측면에 접하고 표면거칠기를 가지는 일단면(3241a)을 구비하고 타단부는 반구형의 홈(3241b)을 구비하는 제1 파지체(3241)와, 상기 홈(3241b)에 끼움결합되는 반구형의 돌출구(3242b)를 구비하는 제2 파지체(3242)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파지체(3242)의 타단면(3242a)은 그리퍼결합부(322)에 고정될 수 있다. 예로써 제1 파지체(3241)의 일단면(3241a)은 다수의 쐐기형 돌기 모양이 형성되어 소정의 표면거칠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이드 그립부재(300)가 파일을 잡을 때 파일(1, 3)의 미끄러짐의 문제를 방지하고 견고하게 파일을 파지할 수 있다. 나아가서, 제1 파지체(3241)와 제2 파지체(3242)가 반구형의 결합을 구비함으로써, 임의의 방향으로 꺽임과 약간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파지 시 다양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제1 파지체의 일단면(3241a)과 파일면이 완벽이 접하도록 하여 파일(1, 3)의 휨을 방지하며 파지할 수 있고, 파일의 규격에 따라 발생하는 두께의 편차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제1 파지체의 일단면(3241a)에 형성된 표면겨칠기로 파일과의 마찰력을 높여 밀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 파지체(3241)와 제2 파지체(3242)의 반구형의 결합으로 파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10, 10')는 상기 몸체부재(200)의 하부에 결합된 수직그립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일 근입이 거의 마무리 되었을 때, 별도의 장치 없이도 근입 중인 파일을 수직방향으로 항타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수직그립부재(400)는 고정그립모듈(420)과 이동그립모듈(410)이 서로 대향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파일(1, 3)의 상단부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그랩부재(400)는 이동그립모듈(410)의 구동을 위한 모터, 실린더 등과 같은 액추에이터부가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액추에이터부의 구동에 의해 이동그립모듈(410)의 전면에 결합된 파지부는 고정그립모듈(420)의 전면에 결합된 파지부를 향해 이동하며 파일(1, 3)을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10, 10')는 브라켓부재(100)에 대해 회전가능한 몸체부재(200)로 인해 사이드 그립부재(300)가 적재된 상태의 파일(1, 3)을 자동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항타 작업을 위한 파일의 근입 또한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파일 근입 작업에 작업자를 배제함으로써 작업의 안전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교체가능한 파지모듈(320)로 인해 하나의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10, 10')로 파일의 형상과 관계없이 항타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아암구동모듈(330)의 힌지부와 유압부로 인해 파일에 대한 파지력을 균일하게 함과 동시에 파지력을 더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10';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
100; 브라켓부재
110; 회전용 실린더모듈
120; 힌지축
200; 몸체부재
210; 기어박스모듈
212; 모터
214; 구동기어
216; 편심 웨이트
220; 하우징모듈
222; 격벽
230; 진동감소부재
232; 방진러버
234; 방진러버 브라켓
250; 선회베어링모듈
300; 사이드 그립부재
310; 아암모듈
312; 그리퍼부
320; 파지모듈
322; 그리퍼 결합부
324; 파지부
330; 아암구동모듈
331; 제1 유압부
332; 제2 유압부
335; 힌지부
337; 아암지지부
400; 수직그립부재
410; 이동그립모듈
420; 고정그립모듈

Claims (9)

  1. 유압 시스템을 구비하는 중장비에 결합되는 브라켓부재;
    상기 브라켓부재에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고 진동을 발생시키는 몸체부재; 및
    파일에 상기 진동이 가해지도록 파일을 파지하는 사이드 그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그립부재는, 일단부에 그리퍼부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그리퍼부가 돌출되도록 몸체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쌍이 결합되어 듀얼타입으로 구비되는 아암모듈과, 상기 파일의 외측면의 형태에 따라 교체되며 각각의 그리퍼부와 결합되는 파지모듈과, 상기 아암모듈을 구동하며 파지력을 제공하는 아암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기어박스모듈과, 상기 브라켓부재에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기어박스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모듈은 양측면 내측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 사이 공간에 상기 기어박스 모듈과 상기 기어박스 모듈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아암모듈의 타단부 영역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는, 상기 격벽과 상기 하우징 모듈의 일측면 사이 및 상기 격벽과 상기 하우징 모듈의 타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진동감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구동모듈은 상기 아암모듈의 타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유압부와, 상기 아암모듈 사이에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힌지중심에 실린더 로드가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재에 고정되는 제2 유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구동모듈은 구동을 위한 유체가 상기 제1 유압부와 제2 유압부에 동시에 제공되어 상기 아암모듈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구동모듈은 수직 선상에 위치하는 상부 및 하부의 아암모듈의 타단부를 관통 결합하며 지지하는 아암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모듈은 상기 그리퍼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그리퍼결합부와, 상기 파일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일단면이 형성되어 대상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일의 외측면에 접하고 표면거칠기를 가지는 일단면을 구비하고 타단부는 반구형의 홈을 구비하는 제1 파지체와, 상기 홈에 끼움결합되는 반구형의 돌출구를 구비하는 제2 파지체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

KR1020210165537A 2021-11-26 2021-11-26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 KR102640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537A KR102640403B1 (ko) 2021-11-26 2021-11-26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537A KR102640403B1 (ko) 2021-11-26 2021-11-26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105A true KR20230078105A (ko) 2023-06-02
KR102640403B1 KR102640403B1 (ko) 2024-02-22

Family

ID=86755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5537A KR102640403B1 (ko) 2021-11-26 2021-11-26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4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7439A (ja) * 2008-06-27 2010-01-14 Chowa Kogyo Kk 杭打抜機用の把持装置
WO2013132138A1 (en) * 2012-03-07 2013-09-12 Raunisto Yrjoe Hammering device meant for hammering poles and other longish objects into the ground
KR102067301B1 (ko) 2012-01-27 2020-01-16 모박스 오와이 지반 내로 기둥을 해머링하는 해머링 장치
KR102259106B1 (ko) 2019-05-23 2021-06-01 주식회사 세이브 사이드 그립퍼 및 그것에 포함되는 링크부재
KR102265056B1 (ko) * 2020-11-27 2021-06-15 스털링테크놀로지(주) 사이드그립을 갖는 바이브로 해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7439A (ja) * 2008-06-27 2010-01-14 Chowa Kogyo Kk 杭打抜機用の把持装置
KR102067301B1 (ko) 2012-01-27 2020-01-16 모박스 오와이 지반 내로 기둥을 해머링하는 해머링 장치
WO2013132138A1 (en) * 2012-03-07 2013-09-12 Raunisto Yrjoe Hammering device meant for hammering poles and other longish objects into the ground
KR102259106B1 (ko) 2019-05-23 2021-06-01 주식회사 세이브 사이드 그립퍼 및 그것에 포함되는 링크부재
KR102265056B1 (ko) * 2020-11-27 2021-06-15 스털링테크놀로지(주) 사이드그립을 갖는 바이브로 해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403B1 (ko)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03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piles
KR100962081B1 (ko) 바이브로 해머장치
KR102265056B1 (ko) 사이드그립을 갖는 바이브로 해머
JP2012229589A (ja) 把持装置
KR20180080066A (ko) 진동 파일 드라이버
KR101472251B1 (ko) 순차 제어 슬라이딩 그립퍼를 구비한 바이브로 해머
KR100851430B1 (ko) 굴절식 바이브로 햄머장치
KR101178276B1 (ko) 진폭 가변형 바이브로 햄머와 이를 이용한 파일시공 시스템 및 미진동 정밀제어 파일 시공방법
KR20230078105A (ko)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
KR20180018241A (ko) 진동 파일 드라이버
KR20170077074A (ko) 진동파일 드라이버의 클램프 유닛
EP4026951A1 (en) Vibratory hammer having side grip
JP5624401B2 (ja) 地中障害物の吊上げ装置
CN216379523U (zh) 一种混凝土板桩的打桩系统
KR102623214B1 (ko) 파일의 수직시공이 가능한 파일 드라이버와 이를 이용한 파일의 수직 시공 공법
JP2024058785A (ja) 振動補助装置及び施工方法
KR102332269B1 (ko) 틸팅 타입 바이브로 해머
KR102640544B1 (ko) 건설시공용 파일 핸들링을 위한 틸팅 오퍼레이팅 시스템
KR102433855B1 (ko) 파지력을 향상시킨 측면 파지식 진동 파일 드라이버
KR102185754B1 (ko) 측면타입 바이브로 해머용 굴착기 결속장치
JPS5848690B2 (ja) 振動式杭打杭抜機
KR102477996B1 (ko) 측면 파지식 진동 파일 드라이버
JP7473425B2 (ja) 打設機
RU2808206C1 (ru) Свайный молот, приспособленный для вертикальной установки свай
KR20240058806A (ko) 사이드 그립을 가진 파일 드라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