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560A -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560A
KR20230076560A KR1020210163629A KR20210163629A KR20230076560A KR 20230076560 A KR20230076560 A KR 20230076560A KR 1020210163629 A KR1020210163629 A KR 1020210163629A KR 20210163629 A KR20210163629 A KR 20210163629A KR 20230076560 A KR20230076560 A KR 20230076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group
disease
expression
ad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윙스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윙스타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윙스타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163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6560A/ko
Priority to PCT/KR2022/018703 priority patent/WO2023096367A1/ko
Publication of KR20230076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5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관한 것으로서,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8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Peptides havi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amyloid precursor protein and uses thereof}
본 출원은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은 점진적으로 기억력이 감퇴되고 인지력이 상실되는 증상을 나타내는 병이며 인간의 평균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그 발병률도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알츠하이머 병의 병리학적 특징 중 하나는 신경세포의 외부에 축적되는 노인성 반점(senile plaques)을 들 수 있는데 이의 원인 물질로는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 Aβ)를 들 수 있다.
베타-아밀로이드(Aβ)는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에서 잘려져 나온 단백질 파편이고, 베타-아밀로이드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베타위치 APP 절단 효소(β-site APP-cleaving enzyme: BACE1)이라 명명된 베타-시크리테이즈(β-secretase)이다. 베타-시크리테이즈(BACE1)에 의해 잘려진 APP는 90 kDa 내외의 sAPPβ라 불리는 N 말단 도메인(N-terminal domain)과 CTFβ(C99)라 불리는 세포질 도메인(cytoplasmic domain)으로 나눠지는데 이렇게 생성된 sAPPβ는 세포 밖으로 분비되고, C99는 다시 감마-시크리테이즈(γ-secretase)에 의해 잘려 4 kDa의 베타-아밀로이드가 생성된다.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대사로 인하여 베타-아밀로이드(Aβ)가 다량 생성되어 뇌세포 독성을 일으키고 알츠하이머병이 발병한다. 따라서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은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을 저해하므로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현재 시판 중이거나 개발 중인 약물의 대부분은 알츠하이머 환자의 증상을 개선 시켜 삶의 질을 높이는 약물이며, 콜린성 신경계 가설에 근거하여 개발된 아세틸콜린가수분해효소 (acetylcholinesterase) 억제제인 타크린(tacrine), 도네페질 (donepezil),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갈란타민(galantamine)과, NMDA-글루타메이트(NMDA-glutamate) 수용체 억제 기능을 가지고 있는 메만틴 (memantine)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제들은 발병 초기에 일시적인 임상증상개선 효과에 그치는 것들이 대부분이고 부작용까지 나타나고 있어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2085358호).
본 발명자들은 알츠하이머병 발명 원인에 근거한 근본적인 치료에 목표를 두고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분해할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연구한 끝에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개발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 양상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8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는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상기 펩타이드의 의약적 용도, 또는 개체에 치료학적 유효량의 상기 펩타이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첨부한 청구범위 및 도면과 함께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본 출원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한 기술 분야 내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일 양상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8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펩타이드"는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 아미노산 잔기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선형의 분자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는 당업계에 공지된 화학적 합성 방법, 특히 고상 합성 기술 또는 액상 합성 기술 (US 등록특허 제5,516,891호)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생물학적으로 유효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8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규명하였다. 여기서, 상기 생물학적으로 유효한 활성은 (a)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발현 저해; (b) ADAM 10 (A Disintegrin And Metalloproteinase-containing protein 10) 또는 ADAM 17 (A Disintegrin And Metalloproteinase-containing protein 17) 단백질의 발현 증가; (c) IDE (insulin degrading enzyme) 단백질의 발현 증가; (d)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증가; 및 (e) 신경돌기의 성장 촉진과 같은 특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펩타이드는 퇴행성 신경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는 화학적 안정성, 강화된 약리 특성 (반감기, 흡수성, 역가, 효능 등), 변경된 특이성 (예를 들어, 광범위한 생물학적 활성 스펙트럼), 감소된 항원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펩타이드의 N- 또는 C-말단에 보호기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의 N-말단은 아세틸기(acetyl group), 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기(fluoreonylmethoxycarbonyl group), 포르밀기(formyl group), 팔미토일기(palmitoyl group), 미리스틸기(myristyl group), 스테아릴기(stearyl group)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보호기와 결합될 수 있고; 및/또는 상기 펩타이드의 C-말단은 아미노기(amino group, -NH2), 및 아자이드(azide, -NHNH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보호기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선택적으로, 표적화 서열, 태그 (tag), 표지된 잔기, 반감기 또는 펩타이드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특정 목적으로 제조된 아미노산 서열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안정성"은 생체 내 단백질 절단효소의 공격으로부터 상기 펩타이드를 보호하는 생체 내 안정성뿐만 아니라, 저장 안정성 (예컨대, 상온 저장 안정성)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8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펩타이드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용어 또는 요소 중 이미 언급된 것과 동일한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은 상기 조성물의 투여로 질병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질병을 앓거나 또는 질병이 발병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게, 상기 개체의 상태(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증상)의 개선, 질병 진행의 지연, 증상 발생의 지연 또는 증상 진행의 둔화 등을 포함한 효과를 제공하는 임의의 형태의 치료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치료" 및 "예방"은 증상의 치유 또는 완전한 제거를 의미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상기 "개체"는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mouse),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대상 질병인, "퇴행성 신경 질환"은 신경계의 신경세포에 점진적이고 꾸준한 사멸로 인한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면서 여러 가지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을 지칭할 수 있다. 상기 퇴행성 질환으로는 예를 들어,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파킨슨 병, 헌팅턴 병, 다발성경화증(multiple sclerosis),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증, 아밀로이드성 뇌졸증(stroke), 전신성 아밀로이드병, 더취(Dutch) 형 아밀로이드증, 니만-픽병, 노인성 치매,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Spinocerebellar Atrophy), 뚜렛 증후군(Tourette`s Syndrome), 프리드리히 보행실조(Friedrich`s Ataxia), 마차도-조셉 병 (Machado-Joseph`s disease), 루이 소체 치매(Lewy Body Dementia), 근육긴장이상(Dystonia), 진행핵위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전두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말초신경손상(peripheral neuropathy), 및 다발성신경병증(polyneuropath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츠하이머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펩타이드는 알츠하이머병 등 퇴행성 신경 질환의 주요 원인 물질인 APP의 발현을 억제함과 동시에, 기 생성된 세포막 표면의 APP를 절단하여 sAPPa의 형태로 유리시키는 ADAM 10 및 ADAM 17의 발현, 그리고, 기 생성된 노인반을 분해하는 IDE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및 3).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주요 병인 중 하나인 신경 염증 반응을 완화하고, 손상된 신경계를 재생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펩타이드는 퇴행성 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펩타이드의 약제학적 유효량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및/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퇴행성 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바람직하게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근육 주입, 정맥 내 주입, 피하 주입, 복강 주입, 국소 투여,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1일당 0.0001 내지 1000 ug(마이크로그램, 0.001 내지 1000 ug, 0.01 내지 1000 ug, 0.1 내지 1000 ug, 또는 1.0 내지 1000 ug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및/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8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펩타이드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용어 또는 요소 중 이미 언급된 것과 동일한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일 양상에 따른 펩타이드에 의하면,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하고, 상기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의 분해와 연관 유전자인 ADAM 10, ADAM 17 및 IDE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양상에 따른 펩타이드에 의하면,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증가시켜 신경 염증 반응을 완화 또는 개선할 수 있고, 신경돌기의 성장과 같은 신경세포 재생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양상에 따른 펩타이드는 퇴행성 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인간 신경 세포주에 첨가한 후,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APP)의 발현 저해를 확인한 결과로서, 도 1의 A는 Peptide-1, 도 1의 B는 Peptide-4, 도 1의 C는 Peptide-5, 도 1의 D는 Peptide-7, 도 1의 E는 Peptide-8, 및 도 1의 F는 비교군 펩타이드를 첨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인간 신경 세포주에 첨가한 후, ADAM 10의 발현 증가를 확인한 결과로서, 도 2의 A는 Peptide-3, 도 2의 B는 Peptide-4, 도 2의 C는 Peptide-5, 도 2의 D는 Peptide-7, 및 도 2의 E는 Peptide-8을 첨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인간 신경 세포주에 첨가한 후, ADAM 17의 발현 증가를 확인한 결과로서, 도 3의 A는 Peptide-1, 및 도 3의 B는 Peptide-4를 첨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인간 신경 세포주에 첨가한 후, sAPPa 및 ADAM 17의 발현 증가를 확인한 결과로서, 도 4의 A는 Peptide-1, 도 4의 B는 Peptide-4, 및 도 4의 C는 Peptide-7를 첨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 첨가에 의한 신경세포막 표면의 APP의 분포를 유세포분석법 (Flow-cytometric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인간 신경 세포주에 첨가한 후, IDE의 발현 증가를 확인한 결과로서, 도 6의 A는 Peptide-1, 도 6의 B는 Peptide-2, 도 6의 C는 Peptide-3, 및 도 6의 D는 Peptide-4를 첨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인간 신경 세포주에 첨가한 후, IDE의 발현 증가를 확인한 결과로서, 도 7의 A는 Peptide-5, 도 7의 B는 Peptide-6, 도 7의 C는 Peptide-7, 및 도 7의 D는 Peptide-8을 첨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의 첨가에 의한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증가를 확인한 결과로서, 도 8의 A는 Peptide-1, 도 8의 B는 Peptide-3, 도 8의 C는 Peptide-4, 및 도 8의 D는 Peptide-5, 도 8의 E는 Peptide-7을 첨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를 인간 신경 세포주에 첨가한 후, 신경돌기의 성장 촉진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도 9의 A는 Peptide-1, 도 9의 B는 Peptide-2, 및 도 9의 C는 Peptide-6을 첨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펩타이드의 합성
자동 펩타이드 합성기 (Milligen 9050, Millipore, 미국)를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합성하고, C18 역상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Waters Associates, 미국)를 이용하여 이들 합성된 펩타이드를 순수 분리하였다. 컬럼은 ACQUITY UPLC BEH300 C18 (2.1 ㎜ Х 100 ㎜, 1.7㎛, Waters Co, 미국)을 이용하였다.
명명 아미노산 서열 (N’-> C’) 서열번호
Peptide-1 LKLKALAALIKKIL 1
Peptide-2 IKLLSIVAWAKKKI 2
Peptide-3 INLKALAAKIKIL 3
Peptide-4 INIKVLIAKKIL 4
Peptide-5 LNIRGLGAKKKI 5
Peptide-6 LNLRGLAKKKL 6
Peptide-7 KALAALAKKIL 7
Peptide-8 KALAALAKK 8
실시예 2: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발현 저해 효과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펩타이드의 처리에 의한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의 발현 저해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신경모세포종(neuroblastoma)을 가진 인간의 골수에서 분리 및 증식시켜 수득된 인간 신경 세포주인 SH-SY5Y에 상기 제조된 펩타이드를 0.001, 0.01, 0.1, 또는 1 mM 농도로 첨가하고, 이를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배양물로부터 total RNA를 추출하여 cDNA합성 한 뒤, 하기 표 2의 APP 프라이머를 이용한 real-time qPCR 을 수행하여,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APP)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한편, 대조군으로 펩타이드를 첨가하지 않은 군, 비교군으로 임의의 펩타이드를 첨가한 군 (NRP1: AFMVDNEAIY DICR(서열번호 9))을 사용하였다.
명명 서열 (5’-> 3’) 서열번호
APP Forward CCGAGGGGTAGAGTTTGTGT 10
APP Reverse ACCTCAGCCACTTCTTCCTC 11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 (Peptide-1, Peptide-4, Peptide-5, Peptide-7, 또는 Peptide-8)의 첨가에 의해,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주요 원인 단백질인 APP의 발현이 저해되었다. 특히, 상기 APP의 발현 저해 효과는 대조군 대비 80-90%의 낮은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것으로 매우 현저한 것이었다.
실시예 3: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의 분해와 연관된 유전자의 발현 증가 효과 확인
3-1. ADAM 10 (A Disintegrin And Metalloproteinase-containing protein 10) 유전자의 발현
ADAM 10은 APP를 비독성 단편으로 절단하여 베타-아밀로이드(b-amyloid, Ab1-42, 1-40)의 생성을 억제하는 alpha-secretase이다. 따라서, 상기 ADAM 10의 발현 증가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간 신경 세포주인 SH-SY5Y에 상기 제조된 펩타이드를 0.001, 0.01, 0.1, 또는 1 mM 농도로 첨가하고, 이를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배양물로부터 total RNA를 추출하여 cDNA합성 한 뒤, 하기 표 3의 ADAM 10 프라이머를 이용한 real-time qPCR을 수행하여, ADAM 10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한편, 대조군으로 펩타이드를 첨가하지 않은 군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 (Peptide-3, Peptide-4, Peptide-5, Peptide-7, 또는 Peptide-8)의 첨가에 의해, ADAM 10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명명 서열 (5’-> 3’) 서열번호
ADAM 10 Forward ACCACAGACTTCTCCGGAATC 12
ADAM 10 Reverse GGTCTGTGAAGACATAGGCCA 13
3-2. ADAM 17 (A Disintegrin And Metalloproteinase-containing protein 17) 유전자의 발현
ADAM 17은 APP를 비독성 단편인 sAPPa로 절단하여 세포막 표면에서 APP를 제거하는 효소이다. 따라서, 상기 ADAM 17의 발현 증가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경 세포주인 SH-SY5Y에 상기 제조된 펩타이드를 0.001, 0.01, 0.1, 또는 1 mM 농도로 첨가하고, 이를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배양물로부터 total RNA를 추출하여 cDNA합성 한 뒤, 하기 표 4의 ADAM 17 프라이머를 이용한 real-time qPCR을 수행하여, ADAM 10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또한, 인간 신경 세포주인 SH-SY5Y에 상기 제조된 펩타이드를 0.001, 0.01, 0.1, 또는 1 mM 농도로 첨가하고, 이를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배양물로부터 ADAM 17 단백질의 발현과 상기 ADAM 17 및 ADAM 10에 의해 APP로부터 절단되어 유리된 sAPPa의 발현을 각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웨스턴-블로팅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유세포분석법 (Flow-cytometric analysis)를 이용하여 신경세포막 표면의 APP의 분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편, 대조군으로 펩타이드를 첨가하지 않은 군을 사용하였다.
명명 서열 (5’-> 3’) 서열번호
ADAM 17 Forward TCGCTTCTACAGCATGGGC 14
ADAM 17 Reverse TGAGAATGCGAATCTGCTCT 15
그 결과,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 (Peptide-1, Peptide-4, 및 Peptide-7)의 첨가에 의해 sAPPa 및 ADAM 17의 발현이 증가되었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발현 변화는 신경세포막 표면에 존재하는 APP의 수준을 감소시킴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3-3. IDE (Insulin degrading enzyme) 유전자의 발현
IDE는 베타-아밀로이드 (b-amyloid, Ab1-42, 1-40)에 의해 생성 및 응집된 노인반 (senile plaque)을 분해하는 효소이다. 따라서, 상기 IDE의 발현 증가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간 신경 세포주인 SH-SY5Y에 상기 제조된 펩타이드를 0.01, 0.1, 또는 1 mM 농도로 첨가하고, 이를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배양물로부터 total RNA를 추출하여 cDNA합성 한 뒤, 하기 표 5의 IDE 프라이머를 이용한 real-time qPCR을 수행하여, IDE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한편, 대조군으로 펩타이드를 첨가하지 않은 군을 사용하였다.
명명 서열 (5’-> 3’) 서열번호
IDE Forward AAAGAGGCGAGACCATACCC 16
IDE Reverse GCAAGGGGTCCACATAAGCA 17
그 결과,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 (Peptide-1, Peptide-2, Peptide-3, Peptide-4, Peptide-5, Peptide-6, Peptide-7, 및 Peptide-8)의 첨가에 의해, IDE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상기의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는 세포막 표면의 APP를 절단하여 비독성 단편인 sAPPa의 형태로 유리시키는 ADAM 10 및 ADAM 17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병리학적 요인으로부터 기인된 뇌 조직 내 노인반을 분해시키는 IDE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퇴행성 신경 질환의 발병을 방지하거나 관련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증가 효과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펩타이드의 처리에 의한 퇴행성 신경 질환에서 주요 병인 중 하나인 신경 염증 반응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중 하나인 IL-10 발현 증가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신경 세포주인 SH-SY5Y에 상기 제조된 펩타이드를 0.001, 0.01, 0.1, 또는 1 mM 농도로 첨가하고, 이를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배양물로부터 total RNA를 추출하여 cDNA합성 한 뒤, 하기 표 6의 IL-10 프라이머를 이용한 real-time qPCR을 수행하여, IL-10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한편, 대조군으로 펩타이드를 첨가하지 않은 군을 사용하였다.
명명 서열 (5’-> 3’) 서열번호
IL-10 Forward CCCCAAGCTGAGAACCA 18
IL-10 Reverse TCTCAAGGGGCTGGGTCAGC 19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 (Peptide-1, Peptide-3, Peptide-4, Peptide-5, 또는 Peptide-7)의 첨가에 의해, IL-10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실시예 5: 신경돌기의 성장 촉진 효과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펩타이드의 처리에 의한 신경세포의 재생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경돌기의 성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신경 세포주인 SH-SY5Y에 상기 제조된 펩타이드를 0.01, 0.1, 또는 1 mM 농도로 첨가하고, 이를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성장된 신경돌기를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고, 이의 길이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 (Peptide-1, Peptide-2, 또는 Peptide-6)의 첨가에 의해, 신경돌기의 길이가 증가되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튼병, 다발성경화증 등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발생과 진행을 억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wingstarbio <120> Peptides havi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amyloid precursor protein and uses thereof <130> PN141994KR <160> 19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1 <400> 1 Leu Lys Leu Lys Ala Leu Ala Ala Leu Ile Lys Lys Ile Leu 1 5 10 <210> 2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2 <400> 2 Ile Lys Leu Leu Ser Ile Val Ala Trp Ala Lys Lys Lys Ile 1 5 10 <210> 3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3 <400> 3 Ile Asn Leu Lys Ala Leu Ala Ala Lys Ile Lys Ile Leu 1 5 10 <210> 4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4 <400> 4 Ile Asn Ile Lys Val Leu Ile Ala Lys Lys Ile Leu 1 5 10 <210> 5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5 <400> 5 Leu Asn Ile Arg Gly Leu Gly Ala Lys Lys Lys Ile 1 5 10 <210> 6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6 <400> 6 Leu Asn Leu Arg Gly Leu Ala Lys Lys Lys Leu 1 5 10 <210> 7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7 <400> 7 Lys Ala Leu Ala Ala Leu Ala Lys Lys Ile Leu 1 5 10 <210> 8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8 <400> 8 Lys Ala Leu Ala Ala Leu Ala Lys Lys 1 5 <210> 9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RP1 <400> 9 Ala Phe Met Val Asp Asn Glu Ala Ile Tyr Asp Ile Cys Arg 1 5 10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PP Forward <400> 10 ccgaggggta gagtttgtgt 20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PP Reverse <400> 11 acctcagcca cttcttcctc 20 <210> 1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AM 10 Forward <400> 12 accacagact tctccggaat c 21 <210> 1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AM 10 Reverse <400> 13 ggtctgtgaa gacataggcc a 21 <210> 14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AM 17 Forward <400> 14 tcgcttctac agcatgggc 19 <210> 1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AM 17 Reverse <400> 15 tgagaatgcg aatctgctct 20 <210> 1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DE Forward <400> 16 aaagaggcga gaccataccc 20 <210> 1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DE Reverse <400> 17 gcaaggggtc cacataagca 20 <210> 18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0 Forward <400> 18 ccccaagctg agaacca 17 <210> 1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0 Reverse <400> 19 tctcaagggg ctgggtcagc 20

Claims (7)

  1.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8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의 N-말단은 아세틸기(acetyl group), 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기(fluoreonylmethoxycarbonyl group), 포르밀기(formyl group), 팔미토일기(palmitoyl group), 미리스틸기(myristyl group), 스테아릴기(stearyl group)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보호기와 결합된 것인, 펩타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의 C-말단은 아미노기(amino group, -NH2), 및 아자이드(azide, -NHNH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보호기와 결합된 것인, 펩타이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하기와 같은 특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것인, 펩타이드:
    (a)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발현 저해;
    (b) ADAM 10 (A Disintegrin And Metalloproteinase-containing protein 10) 또는 ADAM 17 (A Disintegrin And Metalloproteinase-containing protein 17) 단백질의 발현 증가;
    (c) IDE(insulin degrading enzyme) 단백질의 발현 증가;
    (d)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증가; 및
    (e) 신경돌기의 성장 촉진.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신경 질환은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파킨슨 병, 헌팅턴 병, 다발성경화증(multiple sclerosis), 경도인지장애 (mild cognitive impairment),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증, 아밀로이드성 뇌졸증 (stroke), 전신성 아밀로이드병, 더취(Dutch) 형 아밀로이드증, 니만-픽병, 노인성 치매,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Spinocerebellar Atrophy), 뚜렛 증후군(Tourette`s Syndrome), 프리드리히 보행실조 (Friedrich`s Ataxia), 마차도-조셉 병(Machado-Joseph`s disease), 루이 소체 치매(Lewy Body Dementia), 근육긴장이상(Dystonia), 진행핵위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전두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말초신경손상(peripheral neuropathy), 및 다발성신경병증(polyneuropath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신경 질환은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210163629A 2021-11-24 2021-11-24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23007656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629A KR20230076560A (ko) 2021-11-24 2021-11-24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PCT/KR2022/018703 WO2023096367A1 (ko) 2021-11-24 2022-11-24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629A KR20230076560A (ko) 2021-11-24 2021-11-24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560A true KR20230076560A (ko) 2023-05-31

Family

ID=86543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629A KR20230076560A (ko) 2021-11-24 2021-11-24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65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1469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aging-associated conditions
JP6920324B2 (ja) 神経細胞の損失予防及び再生の効能を有するペプチド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CA2698766C (en) Use of gip for the treatment of disorders associated with dysfunctional synaptic transmission
AT508638B1 (de) Verwendung von peptiden und polypeptiden zur behandlung und/oder prävention von synukleinopathien
JP2000506853A (ja) プロサポジン由来のペプチドを使用する神経障害痛の軽減方法
KR102041671B1 (ko) β-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응집을 억제하는 생체친화적 펩타이드
JP2018525337A (ja) 軽度認知障害の処置のためのjnkシグナル伝達経路の細胞透過性ペプチド阻害剤の新規使用
US20180170983A1 (en) New Use of Cell-Permeable Peptide Inhibitors of the JNK Signal Transduction Pathway for the Treatment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WO2020094002A1 (zh) 抗癫痫的毒素Martentoxin及其应用
KR20230076560A (ko)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230076561A (ko)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JP2017526644A5 (ko)
JP2018506506A (ja) 神経変性障害
KR20220127877A (ko) 퇴행성 뇌질환 치료용 개선된 세포-투과성 변형 Parkin 재조합 단백질 및 이의 용도
KR101645654B1 (ko) Rage로부터 유래된 폴리펩티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076375A (ko) 신규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3096367A1 (ko)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292480B1 (ko) 척수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03232B1 (ko) 타우 과인산화를 저해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54235A (ko) 퇴행성 뇌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496997B2 (ja) 神経変性疾患治療用の改善された細胞透過性を有する変形パーキン組換えタンパク質及びその用途
WO2022212268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lysosomal storage disorders
KR101943852B1 (ko) 신규 펩타이드 및 그 용도
KR20150035906A (ko) 타우 과인산화를 저해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