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394A - 수신 여부를 집계하여 공지 전달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스마트 마을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신 여부를 집계하여 공지 전달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스마트 마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394A
KR20230076394A KR1020210163266A KR20210163266A KR20230076394A KR 20230076394 A KR20230076394 A KR 20230076394A KR 1020210163266 A KR1020210163266 A KR 1020210163266A KR 20210163266 A KR20210163266 A KR 20210163266A KR 20230076394 A KR20230076394 A KR 20230076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ing
village
home
emergency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아이
Priority to KR1020210163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6394A/ko
Publication of KR20230076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지에서 유무선 통신으로 마을방송장치에 접속해 마을방송을 할 수 있고, 개별가정에 각각 설치되는 무선통신 방식의 가정방송수신기를 통해 집안에서 방송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특히 거동이 불편하거나 장애를 가진 사람 또는 독거노인과 같이 다른 주민과의 왕래가 뜸한 자가 홀로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경우 인근에 위치한 다른 주민들이나 관리자로 하여금 위급 상황을 알리는 응급발생경보가 곧바로 수신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응급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신 여부를 집계하여 공지 전달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스마트 마을 시스템{A smart village system that improves the accuracy of notification delivery by counting whether or not it has been received}
본 발명은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지에서 유무선 통신으로 마을방송장치에 접속해 마을방송을 할 수 있고, 개별가정에 각각 설치되는 무선통신 방식의 가정방송수신기를 통해 집안에서 방송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특히 거동이 불편하거나 장애를 가진 사람 또는 독거노인과 같이 다른 주민과의 왕래가 뜸한 자가 홀로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경우 인근에 위치한 다른 주민들이나 관리자로 하여금 위급 상황을 알리는 응급발생경보가 곧바로 수신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응급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지역이나 섬지역의 마을에서는 해당 마을 주민을 위한 방송을 수시로 하게 되는바, 종래에는 주로 마을회관이나 이장 주거지 등의 특정장소에 방송실을 마련하고, 그에 설비된 방송장비(예를 들면 앰프, 마이크, 스피커 등)를 통해 각종 전달사항을 전달하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마을방송을 하기 위해서는 이장 등의 방송관계자가 반드시 방송시설이 마련된 장소로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방송시설이 설치된 장소까지 직접 가서 방송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안내 방송을 수신자들에게 신속히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마을 방송을 위한 시설은 매우 낙후되어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케이블과 앰프, 스피커 등의장치가 노후되어 정상적인 작동이 어려워지거나, 잡음이나 울림현상, 웅웅거림 등의 문제로 정확한 방송 내용을전달받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마을방송 시스템은 하나의 유선방송 장치와 확성기 또는 하나의 유선방송 장치와 다수개의 확성기가 유선으로 연결된 구성인 까닭에 방음이 잘 되는 수신자의 집안에서는 방송 소리가 작게 들려 방송 내용을 잘알아듣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고, 청취자가 가정에 부재시 또는 스피커 음량이 미치지 못하는 구역에있을시 방송을 듣지 못하게 되는 것은 물론, 어느 특정 수신자들에게만 해당하는 안내 방송임에도 불구하고 전체 수신자들이 방송내용을 불필요하게 청취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독거노인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독거노인들은 신체적으로 매우 약하기때문에 사고에 취약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경제적으로도 약자이기 때문에 돌봐줄 사람을 별도로 고용할 수없다. 국가에서는 사회복지사를 통해 이러한 독거노인들을 보살피려고 하지만 지방의 농촌지역은 밀집되지 않아사회복지사가 찾아다니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독거노인이 집안에서 또는 외출 중에 낙상이나심장 질환 같은 질병에 의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주변에 사람이 없으면 신고가 되지 않아 사망까지 이르게 되는 일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최근에는 마을방송이 직관적으로 와 닿지 않는 방송 음영지역 주민들에게 정보 전달이 어려운 문제점을해결하기 위해 무선통신을 이용한 마을방송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유선 마을방송 대비 무선 마을방송의 장점으로는 선명한 방송청취가 가능하고, 장소의 제약 없이 휴대폰 및 일반전화로 방송이 가능하며, 관리 및 유지보
수 비용의 절감을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 환경에 따른 시설 설치 제약이 거의 없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유선이 노화되거나 낙뢰 등으로 손상이 발생하여 방송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이를 무선으로 대체함으로써 전체적인 방송 시스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나아가 관리가 용이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 등이 있다.
한편, 종래의 특허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0532호 '마을 방송 시스템의 무선 수신 장치'에서는 송신 장치로부터 각 가정의 수신 장치까지 유선으로 연결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마을 방송 시스템의 무선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마을 단위에서 각 가정의 수신 장치까지의 유선 케이블을 설치하지 않기에, 유선케이블의 노화 및 절단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선행특허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개별가정에 주로 혼자 거주하는 독거노인 등이 위급한상황에 처했을 경우 이를 주변에 알리거나 주변에서 이를 알지 못해 위험한 상황에 빠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각 가정에 위험 상황을 통보할 수 있는 비상호출스위치가 있는 경우 위급한 상황에 있는 사람이 이를 정확하게 작동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 같은 응급상황신호를 수신한 사람이 있다 하더라도 위급한 상황에 처한 사람의 정보와 정확한 위치 및 장소를 신속하게 파악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기존 유선 방송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면서 디지털 무선 방식의 신호 전송으로 깨끗한 음질로 방송 내용을 정확하게 청취할 수 있고, 외출 시에도 원격지에서마을방송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각 개별가정에 설치되는 가정방송수신기를 통해 이미 방송된 내용을 확인하여 청취할 수 있어 사용의 효율성이 높은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위급상황 시 자동 알림 기능을 통해 위급상황에 처한 장소에서 최근거리에위치한 다른 주민들이나 관리자로 하여금 우선적으로 위급 상황을 신속하게 전달함과 동시에 관리자를 통해 위급 상황이 마을 방송을 통해 전체적으로 방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응급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하여 주민의 안전과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은,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마을 방송을 하기 위한 마을방송장치와; 각 개별가정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마을방송장치를 통해 출력된 방송내용을 개별가정에서 청취할 수 있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가정방송수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가정방송수신기는, 일정 거리 내에위치한 각 개별가정의 다른 가정방송수신기들과 상호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어느 하나의 가정방송수신기에서위급신호가 입력되거나 감지된 경우 응급발생신호가 무선으로 송출되어 상기 응급발생신호가 송출된 가정방송수신기의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다른 가정방송수신기에서 기설정된 음성메세지와 개별가정정보를 포함하는 응급발생경보가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은, 상기 마을방송장치와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마을 방송을 실시하고, 일정 거리 내에서 상기 응급발생신호가 송출된 가정방송수신기로부터 상기 응급발생경보를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은, 상기 가정방송수신기는, 사용자의 인위적인 조작으로 상기 위급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응급발생경보를 해제할 수 있는 신호조작부와, 상기 신호조작부의 조작에 따라상기 응급발생신호를 송출하거나 상기 응급발생경보가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은, 상기 신호조작부는, 수신기 본체의 설정된 동작에 따라상기 위급신호를 감지하거나 상기 응급발생경보를 해제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 신호가 입력되어 수신된 경우 일정 시간 대기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대기모드로진입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응급발생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감지수단에서 설정된 다른 동작이 감지된 경우 상기 응급발생경보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은 기존 유선 방송을 그대로 이용할 수있으면서 디지털 무선 방식의 신호 전송으로 깨끗한 음질로 방송 내용을 정확하게 청취할 수 있고, 외출 시에도원격지에서 마을방송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각 개별가정에 설치되는 가정방송수신기를 통해 이미방송된 내용을 확인하여 청취할 수 있어 사용의 효율성이 높은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은 원격지에서 유무선 통신으로 마을방송장치에 접속해 마을방송을 할 수 있고, 개별가정에 각각 설치되는 무선통신 방식의 가정방송수신기를 통해 이미 방송된 내용을 확인하여 청취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은 특히, 어느 개별가정에서의 위급상황 시 자동 알림 기능을 통해 위급상황에 처한 장소에서 최근거리에 위치한 다른 주민들이나 관리자로 하여금 우선적으로 위급 상황을 신속하게 전달함과 동시에 관리자를 통해 위급 상황이 마을 방송을 통해 전체적으로 방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응급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주민의 안전과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의 가정방송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의 가정방송수신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의 가정방송수신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의 가정방송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의 가정방송수신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의 가정방송수신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은,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에있어서, 마을방송장치(10)와, 가정방송수신기(20)와, 이동통신단말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을방송장치(10)는 입력된 아날로그 유선신호 또는 무선 디지털 신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마을 방송을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마을방송장치(10)는 안내방송을 실시하는 해당 지자체의 담당자나 마을이장 등의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이동통신망을 매개로 연결되는 마을방송송출기(1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에 상기 마을방송송출기(110)는 해당 관리자로부터 전송되는 방송내용을 앰프(111) 및 스피커(112)를 매개로 음성신호로 출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마을방송송출기(110)는 해당 분야의 공지기술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을방송장치(10)는 무선 디지털 방식으로 마을방송용 특정 주파수대역을 사용함으로써 통·반 등마을 단위별, 그룹별로 공지사항을 구분해 전달하거나, 마을방송 지역 또는 개별가정을 선택 지정하여 방송할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을방송장치(10)는 마을 이장의 집, 주민센터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마을의 경조사, 공지사항 등의 소식을 포함하는 안내방송을 송출하거나, 민방위 훈련이나 재난 상황에서 긴급상황을 알리는 싸이렌소리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기 마을방송장치(10)에서 송출되는 방송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이에, 상기 마을방송장치(10)는 상기 마을방송송출기(110)에 연결되는 무선방송출력부(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무선방송출력부(120)는 상기 마을방송송출기(110)에서 출력된 무선 신호를 일정 거리의 원격지까지 무선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가정방송수신기(20)는, 각 개별가정에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마을방송장치(10)를 통해출력된 방송내용을 개별가정에서 청취할 수 있도록 탁상형 또는 벽걸이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수신기 본체(21)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수신기 본체(21)에는 상기 마을방송장치(10)를 통해 송출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위한 수신 안테나(21a)가 설치되어 마을 방송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은 상기 가정방송수신기(20)는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각 개별가정의 다른 가정방송수신기(20a,20b,20n)들과 상호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가정방송수신기(20)는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각 개별가정의 다른 가정방송수신기(20a,20b,20n)들과상호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가정방송수신기에서 위급 신호가 입력되거나 감지된 경우 응급발생신호가 무선으로 송출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응급발생신호가 송출된 가정방송수신기의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다른 가정방송수신기에서는 기설정된 음성메세지와 개별정보를 포함하는 응급발생경보가 수신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2를 참조하면, 가정방송수신기(20)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부(210)와, 상기 수신 안테나(21a)를 통하여 검출된 무선신호를 선택하여 증폭할 수 있는 무선수신부(220)와, 상기 선택 증폭된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음__ 성신호를 분리하는 복조부(230)와, 상기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240)와, 상기 음성신호를 녹음하는 녹음부(250)와, 상기 녹음된 음성을 재생하는 재생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의 무선수신기에서 일반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구성으로, 구체적인 구성으로 굳이 한정되지 않을 것이며, 무선디지털 신호를 통해 방송 내용을 출력할 수 있는 구성들이면 충분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은 상기 마을방송장치( 10)에서 기존 유선 방송을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면서 관리자, 예를 들면 마을 이장 등이 외출 시에도 원격지에서 마을방송을 수행할 수있는 것은 물론, 마을 방송시 상기 가정방송수신기(20)에서 디지털 무선 방식의 신호 전송으로 깨끗한 음질로방송 내용을 정확하게 청취할 수 있고, 청취자가 외출이나 다른 작업 등으로 방송 청취를 하지 못하더라도 언제든지 방송 내용을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정방송수신기(20)는 인근의 다른 가정방송수신기들과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270)와, 사용자의인위적인 조작으로 상기 위급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응급발생경보를 해제할 수 있는 신호조작부(280)와, 상기신호조작부(28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응급발생신호를 송출하거나 상기 응급발생경보가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2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정방송수신기(20)는 상기 마을방송장치(10)로부터 출력된 방송내용을 음성과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재생부(260)가 스피커(261) 및 디스플레이(262)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에 상기 가정방송수신기(20)에서는 상기 재생부(260)를 통해 날짜와 시간, 기상정보 등의 정보를 음성 및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가정방송수신기(20)의 상기 재생부(260)는 노인이나 환자 등의 편의를 위해 조작이 쉽도록 볼륨 조절 다이얼, 재생버튼과 같은 간단한 조작수단만이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정방송수신기(20)는 각 개별가정에서 위급한 상황이 발생된 경우 상기 통신부(270)를 통한 위급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상기 신호조작부(280)에 버튼스위치(281)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수신기 본체(21)에는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버튼스위치(281)가 마련될 수 있는데, 각개별가정에서 위급한 상황에 처한 주민이 상기 버튼스위치(281)를 누르는 경우 해당 가정방송수신기(20)에서는상기 응급발생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이때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다른 가정방송수신기(20a,20b,20n), 예를 들면 무선 통신이 전송되는 범위가 100m ~150m 정도의 거리 내에 위치한 다른 가정방송수신기(20a,20b,20n)에서위급 상황을 알리도록 음성메세지를 포함하는 상기 응급발생경보가 출력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위급 상황에 처한 개별가정에서 인근에 위치한 다른 개별가정들에 우선적으로 상기 응급발생경보가수신되도록 한 경우, 최단거리에 위치한 주민들이 가장 빨리 위급한 상황에 있는 현장에 도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응급 조치가 이루어지고 비상 연락이 취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은 상기 마을방송장치(10)와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마을 방송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일정 거리 내에서 상기 응급발생신호가 송출된 가정방송수신기로부터 상기 응급발생경보를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는 상기와 같이 어느 개별가정에서 상기 응급발생신호가 송출된 경우 상기 인근에 위치한 다른 개별가정들과 함께 상기 응급발생경보가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관리자가 상시 휴대할 수 있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를 통해 위급 상황에 처한 주민의 정보와 세대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급상황정보가 수신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응급발생경보가 수신된 개별가정에서 응급조치가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를 휴대한 특정 관리자가 병원, 소방서, 경찰서와 같은 응급구호기관에 구조 요청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마을방송장치(1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조 요청과 함께 사고 발생지점의 마을 전체에 곧바로 위급 상황을 알리는 마을 방송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응급상황에 따른 구호 조치가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위급 신호가 송출된 가정방송수신기(20)에서는 상기 응급발생신호를 일정 주기로 계속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튼스위치(281)가 눌려짐에 따라 상기 응급발생경보가 인근의 다른 가정방송수신기(20a,20b,20n)에 수신된 경우 이와 같은 응급 상황을 확인한 사람이 직접 상기 위급 신호가 송출된 가정방송수신기(20)를 작동하여 상기 응급발생경보를 해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응급발생경보를 수신하여 인근에 위치한 사람이 응급발생신호가 송출된 장소에 반드시 방문하도록함으로써 위급 상황에 처한 사고발생자의 상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고발생자를 확인한 방문자는 상기 버튼스위치(281)를 다시 누르거나 별도로 마련될 수 있는 해제스위치를 눌러 상기응급발생경보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은 상기 신호조작부(280)는 상기 수신기 본체(21)의 설정된 동작에 따라 위급신호를 감지하거나 상기 응급발생경보를 해제할 수 있는 감지수단(282)이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감지수단(282)은 상기 가정방송수신기(20)의 수신기 본체(21)가 쓰러진 동작이 감지된경우 상기 응급발생신호가 송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상기 감지수단(282)은 자이로센서, 기울기센서, 압력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수신기 본체(21)의 설정된 특정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면 가속도 센서와 같은 다른 센서 또는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조작부(280)는 상기 수신기 본체(21)가 평상시 세워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인위적인 조작을 통해 어느 일방으로 쓰러지는 경우 이를 위급 상황으로 감지하여 상기 응급발생신호를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감지수단(282)에서 설정된 동작 즉, 상기 수신기 본체(21)가 쓰러진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신호조작부(280)에 감지 신호가 입력되어 수신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감지 신호가 수신된경우 상기 제어부(290)는 일정 시간 대기모드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대기모드는 각 개별가정에서 상기 가정방송수신기(2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청소나 보관 위치의이동을 위해 상기 수신기 본체(21)를 실수로 넘어트려 오작동 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감지수단(282)에서 감지 신호가 전송되더라도 일정 시간예를 들면, 10초 내지 60초 동안 대기모드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정해진 일정 시간을 경과한 상태에서 상기 수신기 본체(21)가 쓰러진 상태로 그대로 유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290)에서는 이를 위급상황으로 인식하여 상기 통신부(270)를 통한 위급신호 즉, 상기 응급발생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282)에서는 상기 대기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수신기 본체(21)를 정상 상태로 다시세웠을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은 감지 신호가 상기 제어부(290)에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부(290)에서는 이를 오작동으로 인식하여 상기 응급발생경보가 해제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은 각 개별가정에서 위급한 상황에 처한 상태에서 평상시 거동이 불편하거나 갑작스런 신체 이상으로 움직이기 힘든 상태에서 상기 가정방송수신기(20)의 수신기 본체(21)에마련된 상기 버튼스위치(271)를 미처 누르지 못하거나, 쉽게 누르기 힘든 상태에서 굳이 손가락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신체의 다른 부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기 본체(21)를 넘어트리는 간편한 동작으로 위급 상황을 주변에 쉽고 간편하게 알릴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마을 방송을 하기 위한 마을방송장치와;
    각 개별가정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마을방송장치를 통해 출력된 방송내용을 개별가정에서 청취할 수 있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가정방송수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가정방송수신기는,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각 개별가정의 다른 가정방송수신기들과 상호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어느 하나의 가정방송수신기에서 위급신호가 입력되거나 감지된 경우 응급발생신호가 무선으로 송출되어 상기 응급발생신호가 송출된 가정방송수신기의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다른 가정방송수신기에서 기설정된 음성메세지와 개별가정정보를 포함하는 응급발생경보가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KR1020210163266A 2021-11-24 2021-11-24 수신 여부를 집계하여 공지 전달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스마트 마을 시스템 KR202300763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266A KR20230076394A (ko) 2021-11-24 2021-11-24 수신 여부를 집계하여 공지 전달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스마트 마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266A KR20230076394A (ko) 2021-11-24 2021-11-24 수신 여부를 집계하여 공지 전달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스마트 마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394A true KR20230076394A (ko) 2023-05-31

Family

ID=86543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266A KR20230076394A (ko) 2021-11-24 2021-11-24 수신 여부를 집계하여 공지 전달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스마트 마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63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6700A (ko)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KR101581247B1 (ko)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US7671730B2 (en) Automated computerized alarm system
KR101985286B1 (ko)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
US20110281550A1 (en) Location-Based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KR101476778B1 (ko) 마을 방송 시스템
KR102011002B1 (ko) 마을 방송시스템
US20120188067A1 (en) Alarm Sound Activated Module for Remote Notification
KR101602602B1 (ko) 마을방송용 무선 디지털 수신장치
KR101946799B1 (ko) 경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재난정보 공유 시스템
KR101037870B1 (ko) 보안기능을 갖춘 영상전송시스템
KR101767444B1 (ko) 단독 경보형 감지기 연계된 화재 알림 시스템
CA2955697C (en) Improved 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230076394A (ko) 수신 여부를 집계하여 공지 전달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스마트 마을 시스템
US20190340916A1 (en) 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and Method of Use
TW201008159A (en) System using wireless signals to transmit emergency broadcasting messages
KR101190113B1 (ko) 옥내 경보장치
KR20200001754A (ko) 화재 안전용 네트워크 스피커 시스템
KR20220135925A (ko) 마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송 방법
JP2011217133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管理室親機
JP3957627B2 (ja) 携帯電話機利用による防災無線システムの放送方法
JP3134139U (ja) 防災防犯機能付電話機及び非常灯付火災報知器等を利用した住宅用総合防災防犯システム
JP4316006B2 (ja) 無線端末装置
KR102444523B1 (ko) 재난 단계별 마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송 방법
KR101674575B1 (ko) 무인화상폴대 및 이를 이용한 조기 화재 예방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