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002B1 - 마을 방송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을 방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002B1
KR102011002B1 KR1020190034865A KR20190034865A KR102011002B1 KR 102011002 B1 KR102011002 B1 KR 102011002B1 KR 1020190034865 A KR1020190034865 A KR 1020190034865A KR 20190034865 A KR20190034865 A KR 20190034865A KR 102011002 B1 KR102011002 B1 KR 102011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ing
information
terminal device
terminal
central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일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034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8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V or radio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을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을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단말장치에 방송정보를 음성이나 문자메세지로 송신하며, 상기 단말장치에 일정한 주기로 장애관리용 신호를 전송하여 USN망을 통하여 회신되는 신호를 통하여 장애 유무를 판단하고, 장애라고 판단되면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중앙방송장치 및 상기 중앙방송장치로부터 상기 방송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중앙방송장치로부터 상기 장애관리용 신호를 수신받아 확인하여 상기 USN망을 통하여 상기 중앙방송장치에게 피드백을 송출하는 여러 대의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마을 방송시스템 {Wireless village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마을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마을방송시스템 등에 장애진단으로 장애가 의심되거나 긴급한 상황 등이 발생할 때 조치할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알릴 수 있는 무선 송수신 장치를 갖춘 마을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을회관에서 마이크 방송을 하면 마을 곳곳에 배치된 유선형 나팔 스피커에서 마을 전체로 음향 방송이 된다.
기존의 시스템은 노후화로 인하여 성능 저하가 일어나며 우천 시 난청과 메아리 현상 등으로 가청권내 부재중일 경우 방송정보를 들을 수가 없다 그리고 방송 녹음을 할 수 없는 장치로 인하여 다시 듣기를 할 수 없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보통 교외의 마을은 자연으로 형성된 부락이므로 각 가구간 거리가 상당히 먼 경우가 많다. 이러한 환경이 마을 업무를 보는 책임자에게는 매우 불편하고 화재나 한겨울의 동파, 위급 상황이 발생되면 위급상황에 대한 전파가 늦어지게 될 수 있어 시간과 인력낭비가 많았다 기존에 마을 단위로 방송시설을 갖추고 있는 마을들이 많은데 이러한 방송시설은, 마을회관에 방송용 앰프를 설치하고 다수의 스피커를 각각 떨어진 장소에 유선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다수의 스피커를 방송용 앰프에 유선으로 연결해야 하므로 설치비용도 부담되지만, 그 유지 관리의 부담이 매우 커지게 된다. 그리고, 다수의 스피커를 여러개 연결하여 사용하다 보니 앰프에 걸리는 부하가 커져서 앰프 출력단의 고장이 잦은 편이며, 유선 선로 또한 대기 중에 노출되기 때문에 비, 눈, 동물, 공해 등에 의해 그 수명이 크게 단축될 뿐만 아니라, 타업체의 작업(전기공사, 통신공사 등)으로 인한 부주의로 선로가 파손되고 끊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여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관리기관에서 방송정보를 송신하였으나, 관계인의 부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등으로 인하여 방송정보의 전송으로 인한 소기의 효과를 거둘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9-0023570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8-0045443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8-0015877호
따라서, 본 발명은 무선 송수신 통신방식 중의 하나인 USN(Unibiquitous Sensor Network)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혁신적인 방송정보를 실시할 수 있는 마을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또한, 자동적으로 중앙방송장치에서 단말장치의 장애를 인식하여 적절한 조치나 액션을 취할 수 있으며, 주변에 설치된 센서와 연동하여 기후 상황이나 비상상황등을 감지하여 마을 사람들에게 알려줄 수 있는 마을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또한, 마을사람들이 옆집과 소통할 수 있어 비상이나 장애상황이 발생하였다는 사실을 알게 됨으로 신속한 조치와 해결이 가능한 개선된 마을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을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단말장치에 방송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단말장치에 일정한 주기로 장애관리용 신호를 전송하여 USN망을 통하여 회신되는 신호를 통하여 장애 유무를 판단하고, 장애라고 판단되면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중앙방송장치 및 상기 중앙방송장치로부터 상기 방송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중앙방송장치로부터 상기 장애관리용 신호를 수신받아 확인하여 상기 USN망을 통하여 상기 중앙방송장치에게 피드백을 송출하는 여러 대의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방송장치의 GPIO 또는 통신포트에 연결된 센서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정보와 관련된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방송장치는 상기 단말장치의 GPIO 또는 통신포트에 연결된 센서가 상기 단말장치에 비상상황 또는 화재발생을 감지하면,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를 USN망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방송장치에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상기 중앙방송장치는 알림부를 통하여 관리자 또는 이해관계인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말장치에는 GPIO 또는 통신포트에 연결된 센서의 알람신호를 USN망을 통하여 다른 상기 중앙방송장치 또는 다른 단말장치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을 방송을 청취하는 주민들이 소지하는 단말장치의 장애 상태를 신속 정확하게 알 수 있으며, 기후상황이나 비상상황을 단말장치를 통해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어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으므로 가성비와 효율성이 높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마을방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중앙방송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단말장치의 블록도.
도 4는 송신부의 구조도.
도 5는 수신부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마을방송시스템의 간략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마을방송시스템의 부연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마을방송시스템의 장애관리 방법의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마을방송시스템의 센서 연동방법의 설명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가 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마을방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중앙방송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단말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송신부의 구조도이고, 도 5는 수신부의 구조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마을방송시스템의 간략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마을방송시스템의 부연 설명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마을방송시스템의 장애관리 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마을방송시스템의 센서 연동방법의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 상에서 자주 언급되는 USN(Ubiquitous Senser Network)망 통신방식에 대하여 미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USN 망 방식은 시간과 공간의 제한을 받지 아니하고 언제 어느 어느 곳에서나 지능형 센서들이 자유롭게 상호간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도록 하여, 상기 센서들이 센싱 후에 얻은 데이터를 가공하여 가공한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USN 망은 어느 곳이던지 부착된 태그(미도시) 또는 센서로부터 사물 및 환경의 정보를 감지, 저장, 가공 및 전달하여 생활에 폭넓게 이용하는 네트워크를 총칭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마을 방송시스템(100)은 중앙방송장치(10)와 단말장치(20)로 크게 나뉘어져 이루어진다. 그러면,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중앙방송장치(10)와 단말장치(2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보면, 상기 중앙방송장치(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신부(16)는 동네이장 등 관리자의 스마트폰(미도시)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문자메세지나 음성등과 같은 전달 사항을 LTE 모뎀통신으로 전달받는 것이다.
그러면, 이를 수신받은 수신부(16)는 송신부(12)에 그대로 전송하게 되고, 이를 전달받은 상기 송신부(12)는 단말장치(20)에 방송정보를 음성이나 문자메세지로 송신한다. 상기 송신내용은 마을의 행정정보 또는 전달사항 등과 같은 주민들의 생활의 편의와 참고를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방송장치(10)는 단말장치(20)에 일정한 주기로 장애관리용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장치(20)가 회신하는 신호의 유무를 통해서 장애 유무를 판단하고, 장애라고 판단되면 이 사실을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것이다.
비장애로 즉, 정상적인 상태인 단말장치(20)는 수신부(21)를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10)로부터 상기 방송정보를 수신하게 되며, 상기 중앙방송장치(10)가 전송한 상기 장애관리용 신호를 수신받아 확인하여 USN망을 통하여 상기 중앙방송장치(10)에게 그 피드백을 송출한다. 상기 단말장치(20)는 도 1에 도시된 대로 최소 2개 이상의 여러 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장애관리용 신호란 상기 중앙방송장치(10)의 송신부(12: 도2,도4)에서 송신하는 방송을 단말장치(20)의 소유자가 수신하게 되면 자연히 수신했다는 표시가 상기 단말장치(20)의 상태를 통해 알게 된다.
즉, 소정의 시간이 지나도 상기 단말장치(20)가 방송정보를 수신받았다는 신호가 상기 중앙방송장치(10)에 입력되지 않으면 장애로 간주되어 즉시 조치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중앙방송장치(10)에는 상기 각 단말장치(20)의 고유번호가 입력,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일정한 주기로 상기 중앙방송장치(10)에 장애관리용 신호를 여러번 전송하면, 상기 USN망을 통해 회신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단말장치(20)의 장애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중앙방송장치(10)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대로, 상기 중앙방송장치(10)는 단말장치(20)에 음성 및 문자메세지 등의 정보를 받는 수신부(16)와 상기 정보를 수신부(16)에서 수신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2)와 상기 단말장치(20)의 관리자 또는 관계인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13)과 상기 송신부(12)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20)로 송신된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14)를 포함한다.
도시된 대로, 송신부(12)를 통한 정보의 전송은 400MHz 대역의 무선통신 방식을 통하여 단말장치(20)로 전송되며, 상기 저장수단(13)은 전송한 방송정보의 내용과 상기 단말장치(20)의 관리자의 정보 등이 저장되어 관리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방송장치(10)에서 각각의 단말장치(20)에 방송정보를 보낸 정확한 시간과 방송정보의 내용을 필요한 경우, 추후에 검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방송장치(10)는 다목적 입출력포트(GPIO: General Purpose Input/ Output) 또는 통신포트(미도시)에 연결, 형성된 센서부(50: 도 1 참조)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단말장치(20)로 상기 기상정보 또는 비상, 재난상황과 관련된 안내방송을 송출한다. 참고로, 상기 다용도 입출력 단자(GPIO)는 외부로부터 전기적 입출력을 수행하며, 신호의 입출력과 통신을 하기 위한 포트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50)는 폭우, 폭설, 온도, 습도,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날씨등의 기상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센서부(50)를 통해 지나치게 춥고 덥거나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게 감지되면, 상기 중앙방송장치(10)에서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내용의 안내 방송이 또는 안내 문자메세지가 송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센서부(50)의 온도 등의 측정을 통하여 아주 고온이거나 아주 추운 날씨일 경우, 폭염주의보나 한파주의보를 방송하고,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마스크 착용을 하라는 안내방송을 단말장치(20)에 전송하여 이를 숙지하도록 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화재 등과 같은 재난상황이나 민방공 등과 같은 훈련상황, 갑작스런 대규모의 폭우등이 올 경우, 홍수경보 등과 같은 재난상황 등의 안내방송을 송출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방송장치(1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15)는 비상 상황시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충전용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원장치(15)는 중앙방송장치(10) 전체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장치(15)는 평상시에 충전된 상태로 사용되며, 정전 등의 비상시에도 방전되기 전까지도 사용이 가능하여 비상 상황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는 것이며 송신부(12)와 제어부(14) 등에도 전원을 공급한다는 것은 분명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단말장치(2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단말장치(20)는 상기 중앙방송장치(10) 송신부(12)를 통해 송출되는 각종 안내를 음성이나 문자메세지로 주민들에게 표출하는 것으로, 상기 중앙방송장치(10)와 통신하여 상기 단말장치(20)의 상태를 점검 체크하여 신호이자 피드백을 USN망으로 상기 중앙방송장치(10)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장치(20)는 도 1에 도시된 대로 최소 2개 이상의 여러 대로 구성되므로, 상기 단말장치(20)는 마을의 각 집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중앙방송장치(10)로부터 수신한 방송정보를 출력하고, 만일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상기 중앙방송장치(10)로 전달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갑자기 집의 가족 중의 한명이 심근경색 등과 같은 질병으로 집안에 불상사 등이 벌어지는 등의 각종 위급 알림 상황을 상기 중앙방송장치(10)로 전송하여 관리자 및 지정된 보호자에게 상황전파가 가능하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장치(20)는 다수개의 여러대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호 간에도 응급상황 발생시에는 각각의 단말장치(20)와 단말장치(20) 사이에서도 알람부(미도시)를 통한 각각의 상호 통보가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신호도 USN망 통신으로 전송된다는 점은 물론이다. (도 7, 도 8 참조)
그리고, 상기 단말장치(20)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중앙방송장치(10)의 송신부(12)로부터 방송정보를 수신받는 수신부(22)와 상기 수신부(22)에서 수신된 방송정보를 외부에 신호로 출력하는 송신부(21)와 상기 수신부(22)에서 수신된 방송정보를 저장해두는 메모리부(23)로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24)는 상기 수신부(21)에서 수신한 방송정보를 송신부(22)를 통해 출력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러(24)를 통하여 방송정보를 듣어야 할 사람이 단말장치(20)의 상기 메모리부(23)를 통하여 다시 한번 출력하여 들어볼수도 있으며, 방송정보의 삭제도 역시 가능한 것이다.
즉, 중앙방송장치(10)에서 방송정보를 각각의 단말장치(20)로 전송하게 되면, 이를 수신한 상기 단말장치(20)는 각 가정의 처해진 상황(예로서, 부재중일 경우나 주변의 잡음이 심한 경우)에 따라 저장된 방송정보를 메모리부(23)를 통하여 나중에라도 다시 들을수 있으며, 마을 주민 모두에게 방송정보를 빠짐없이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단말장치(20)의 GPIO 또는 통신포트(미도시)에 연결된 센서(미도시)로부터 상기 단말장치(20)가 설치된 곳에 화재 등과 같은 재난이나 비상상황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 상기 단말장치(20)는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를 USN망을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10)에 송신하게 된다. 그러면, 이를 수신한 상기 중앙방송장치(10)는 알람부(미도시)를 통하여 관리자 또는 상기 단말장치(20)의 이해관계인에게 통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앙방송장치(10)에는 이를 통보하는 알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동시에, 상기 단말장치(20)에는 GPIO 또는 통신포트에 연결된 센서의 감지신호를 USN망을 통하여 또 다른 단말장치(20)에 송출하여 이를 알리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말장치(20)에는 단말장치(20)별로 식별이 가능한 개별정보(예를 들어, 홍길동의 집등) 또는 고유 ID를 내장함으로써, 화재등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중앙방송장치(10)는 집주인등 관계자에게 통보하여 신속하게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말장치(20)에도 전원을 공급하여 주는 전원공급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방송정보를 송신하는 중앙방송장치(10)의 송신부(12)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부(12)는 메인 mcu(12a)와 연결되는 RF 디지털프로세스(12b)와 복변조기(12c)와 연결되어 안테나와 연결 설치되는 RF 회로(12d)와 LTE 통신을 위한 RS-232와 외부 통신을 위한 RS485와 외부 센서들과의 입출력 단자인 GPIO(12e)와 USN 통신망(12f)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상기 메인mcu(12a)와 연결되는 장애관리 mcu(12m)와 잡음제거 mcu(12g)와 오디오입력부(Ext input Audio)를 통해 오디오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2h)가 특별히 추가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상기 장애관리 mcu(12m)은 중앙방송장치(10)에서 장애관리 체크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장치(20)로 출력하여 그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밖에, 일반적인 전자통신 장치나 시스템의 구성요소로서 널리 공지된 구성인 키입력부(Key Input), 표시부(Display), 플레쉬메모리(Flash Memory)에 대한 도면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방송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장치(20)의 수신부(22)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신부(22)는 도시된 대로, 메인 mcu(22a)와 연결되는 RF 디지털프로세스(21b)와 복변조기(22c)와 연결되어 안테나와 연결 설치되는 RF회로(22d)와 외부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메인 mcu(22a)와도 각 연결되는 RS-232(도면부호생략)와 RS485(도면부호생략)와 외부 센서들과의 입출력 단자인 GPIO(22e)와 USN 통신망(22f)으로 이루어진다. 부가적으로, 수신된 방송정보를 오디오신호로 인가하여 증폭시키는 증폭기(22g)와 스피커(22h)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도 7 및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마을 방송시스템(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의 참조에 있어서 유의할 점은, 상기 도 6 내지 도 9에서는 주장치가 중앙방송장치(10)에 해당하며, 편의상 도면의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도시된 대로, 마을 방송시스템(100)의 간단한 구성이다. 중앙방송장치(10)를 통하여 방송멘트의 음성신호를 단말장치(20)에 보내게 된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방송장치(10)와 여러 단말장치(20)들 사이의 음성대역은 422MHz이다. 참고로, 바람직한 음성대역의 범위는 400~440MHz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마을 방송시스템(100)의 중앙방송장치(10)와 단말장치(20)와의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대로, 상기 중앙방송장치(10)가 방송정보를 음성이나 메세지를 통해 전송하고, 장애관리용 신호를 2차례 이상 전송하였으나 상기 단말장치(20)가 회신이 없고 무응답일 경우, 잡음이 생기거나 장애가 발생한 경우로 간주하여 체크요청의 신호를 생성시켜 해당되는 단말장치(20)를 체크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마을 방송시스템(100)의 장애관리 방법의 설명도이다. 상기 중앙방송장치(10)에서 일정한 주기로 정기적인 장애관리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단말장치(20)는 이에 USN 망을 통한 피드백을 상기 중앙방송장치(10)에 회신 송출하게 되고, 피드백이 없으면 장애 발생을 한 것으로 보아 중앙방송장치(10)의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마을방송시스템(100)의 센서부(50)를 통한 연동방법의 설명도이다. 도시된 대로, 센서부(도 9에서는 외부센서라고 표시됨, 도면 부호는 생략)를 통한 온도와 습도, 미세먼지 농도 등을 감지하여 그 기준치가 높으면 상기 중앙방송장치(10)는 단말장치(20)에 상황을 전송하여 상기 단말장치(20)의 각 소유자들, 다시 말해서 마을 주민들이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서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중앙방송장치 12 : 송신부
13 : 저장수단 14 : 제어부
15 : 전원장치 16 : 수신부
20 : 단말장치 21 : 수신부
22 : 송신부 23 : 메모리부
24 : 컨트롤러
40 : 오디오 앰프
50 : 센서부
100 : 마을 방송시스템

Claims (4)

  1. 음성 및 문자메세지 등의 정보를 받는 수신부와 상기 정보를 수신부에서 수신하여 송신하는 송신부와 단말장치의 관리자 또는 관계인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 송신된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중앙방송장치; 및
    상기 중앙방송장치로부터 수신부를 통해 정기적인 장애관리용 신호 및 방송정보를 수신하며, USN망을 통하여 상기 중앙방송장치에게 피드백을 송출하는 다수개의 단말장치로 이루어지는 마을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방송장치의 송신부는 메인 mcu와 연결되는 RF 디지털프로세스와 복변조기와 연결되어 안테나와 연결 설치되는 RF 회로와 LTE 통신을 위한 RS-232와 외부 통신을 위한 RS485와 외부 센서들과의 입출력 단자인 GPIO와 USN 통신망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상기 메인mcu와 연결되는 장애관리 mcu와 잡음제거 mcu와 오디오입력부를 통해 오디오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말장치의 수신부는 mcu와 연결되는 RF 디지털프로세스와 복변조기와 연결되어 안테나와 연결 설치되는 RF회로와 외부 센서들과의 입출력 단자인 GPIO와 USN 통신망 및 수신된 방송정보를 오디오신호로 인가하여 증폭시키는 증폭기와 스피커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방송장치는 상기 단말장치에 방송정보를 송신하며, 일정 주기로 상기 단말장치에 장애관리용 신호를 전송하여 USN망을 통하여 회신되는 신호를 통하여 장애 유무를 판단하고, 장애라고 판단되면 관리자에게 통보하며,
    상기 중앙방송장치와 상기 단말장치들 사이의 음성대역의 범위는 400~440MHz이며, 상기 중앙방송장치가 방송정보를 음성이나 메세지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장애관리용 신호를 2차례 이상 전송하였으나 상기 단말장치가 회신이 없고 무응답일 경우, 잡음이 생기거나 음성이나 장애가 발생한 경우로 간주하여 체크요청의 신호를 생성시켜 해당되는 단말장치를 체크하고,
    상기 중앙방송장치의 GPIO 또는 통신포트에 연결된 센서부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기상정보 또는 비상, 재난상황과 관련된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을 방송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방송장치는 상기 단말장치의 GPIO 또는 통신포트에 연결된 센서가 상기 단말장치에 비상상황 또는 화재발생을 감지하면,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를 USN망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방송장치에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상기 중앙방송장치는 알림부를 통하여 관리자 또는 이해관계인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을 방송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에는 GPIO 또는 통신포트에 연결된 센서의 감지신호를 USN망을 통하여 다른 단말장치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을 방송시스템.


KR1020190034865A 2019-03-27 2019-03-27 마을 방송시스템 KR102011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865A KR102011002B1 (ko) 2019-03-27 2019-03-27 마을 방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865A KR102011002B1 (ko) 2019-03-27 2019-03-27 마을 방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002B1 true KR102011002B1 (ko) 2019-08-14

Family

ID=67622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865A KR102011002B1 (ko) 2019-03-27 2019-03-27 마을 방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0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814B1 (ko) * 2020-06-29 2021-05-17 이건수 산업현장 스마트무선방송장치
KR102277724B1 (ko) * 2021-05-26 2021-07-14 박금희 자동으로 구동하여 다색의 인쇄층을 연속적으로 프린팅하는 실크스크린 프린터기
KR102329980B1 (ko) * 2020-12-04 2021-11-24 (주)미래컴퍼니 패턴 인쇄 장치 및 패턴 인쇄 방법
KR102507953B1 (ko) * 2022-07-19 2023-03-08 박진효 자가통신망을 통해 재난 및 환경 정보의 전파가 가능한 마을·특정지역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414B1 (ko) * 2012-11-20 2013-04-03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 마을경보 방송방법 및 마을경보 방송시스템
KR20180015877A (ko) 2016-08-04 2018-02-14 (주)맵시전자 무선 마을 방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가정용수신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831603B1 (ko) * 2017-09-13 2018-03-16 주식회사 코맥스 비가청 주파수에 기초하여 다중 전송을 수행하는 전관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45443A (ko) 2016-10-25 2018-05-04 강남일 인터넷 프로토콜망을 이용한 유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KR101909745B1 (ko) * 2018-02-14 2018-10-18 (주)뉴빌텍 긴급호출에 의한 상황전파가 가능한 무선 동보방송시스템
KR20190023570A (ko) 2017-08-29 2019-03-08 (주)맵시전자 재난방송이 가능한 무선 마을 방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414B1 (ko) * 2012-11-20 2013-04-03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 마을경보 방송방법 및 마을경보 방송시스템
KR20180015877A (ko) 2016-08-04 2018-02-14 (주)맵시전자 무선 마을 방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가정용수신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80045443A (ko) 2016-10-25 2018-05-04 강남일 인터넷 프로토콜망을 이용한 유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KR20190023570A (ko) 2017-08-29 2019-03-08 (주)맵시전자 재난방송이 가능한 무선 마을 방송 시스템
KR101831603B1 (ko) * 2017-09-13 2018-03-16 주식회사 코맥스 비가청 주파수에 기초하여 다중 전송을 수행하는 전관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09745B1 (ko) * 2018-02-14 2018-10-18 (주)뉴빌텍 긴급호출에 의한 상황전파가 가능한 무선 동보방송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814B1 (ko) * 2020-06-29 2021-05-17 이건수 산업현장 스마트무선방송장치
KR102329980B1 (ko) * 2020-12-04 2021-11-24 (주)미래컴퍼니 패턴 인쇄 장치 및 패턴 인쇄 방법
KR102277724B1 (ko) * 2021-05-26 2021-07-14 박금희 자동으로 구동하여 다색의 인쇄층을 연속적으로 프린팅하는 실크스크린 프린터기
KR102507953B1 (ko) * 2022-07-19 2023-03-08 박진효 자가통신망을 통해 재난 및 환경 정보의 전파가 가능한 마을·특정지역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002B1 (ko) 마을 방송시스템
US7683792B2 (en) In home multi disaster alarm system
US8687630B2 (en) Emergency alerting device
US201802475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lert based on noise
US20140225731A1 (en) 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Satellite Modules
KR102252814B1 (ko) 산업현장 스마트무선방송장치
US11736208B2 (en) Antenna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monitoring for wireless and telecommunications for private, public, and first responders
KR101946799B1 (ko) 경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재난정보 공유 시스템
KR101164572B1 (ko)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마을방송/재난방송 시스템
JP2009218707A (ja) 警報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警報システム
KR101325160B1 (ko) 무전기를 이용한 원격 안내방송 시스템
CN107306212B (zh) 智能家居告警方法、装置、智能防控终端及家庭智能网关
JP2012187089A (ja) 有害動物撃退装置
JP6495515B1 (ja) 音声報知装置
KR102017579B1 (ko) 자가 점검 기능이 내장된 무선수신장치
KR101395262B1 (ko) 발신자 신호를 이용하여 동시 다중 방송이 가능한 주택침수감시 시스템
US11043110B2 (en) Interconnecting detector and method providing locating capabilities
CN102598076A (zh) 用于识别和传达特定于周围环境和设备的状态的警报装置
CN108347288A (zh) 一种灾害预警广播的故障检测方法及检测系统
US20160171858A1 (en) Alarm systems for detecting and communicating anomalous events
KR20090105216A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전선도난 감시장치.
TW201344426A (zh) 雲端電源區域監控管理系統
US10917733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t least one loudspeaker line
JP2010140395A (ja) 緊急地震通報システム
JP2015014986A (ja) 警報器及び警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