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216A -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전선도난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전선도난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5216A
KR20090105216A KR1020080030539A KR20080030539A KR20090105216A KR 20090105216 A KR20090105216 A KR 20090105216A KR 1020080030539 A KR1020080030539 A KR 1020080030539A KR 20080030539 A KR20080030539 A KR 20080030539A KR 20090105216 A KR20090105216 A KR 20090105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theft
carrier
distribution lin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순구
Original Assignee
서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순구 filed Critical 서순구
Priority to KR1020080030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5216A/ko
Publication of KR20090105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6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power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장치는 최근 비금속류의 원자재 가격의 상승에 따라 전선도난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배전 선로의 도난을 감시하기 위한 장치로 배전 선로 상의 시작 점과 종단 지점에 본 발명장치를 부착하여 배전선로의 단선 유무를 감시하고, 만약 도난발생시 통신장치에 의해 도난위치코드를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관리자가 즉각적인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현장에서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도난 경보를 하여 전선도난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장치이다.
배전선 도난 감시장치

Description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전선도난 감시장치. {Electric a wire robbery watch device which uses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전선의 단선 유무를 감시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다. 그중에 본 발명장치는 전력선통신을 이용하여 도난 감시를 하는 시스템이다. 전력선통신 기술은 이미 오래전부터 많이 사용하는 통신방식으로 특별히 별도의 통신선로 없이 통신을 할 수 있음은 잘 알고 있는 공지된 기술이다.
본 발명에서 'PLC' 또는 '전력선통신'이라는 용어는 동일한 내용임을 명시하기로 한다.
이 전력선 통신을 활용하여 전선의 도난을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 배전선로 시작점에 PLC 수신장치를 부착하고, 종단 점에 PLC 송신장치를 부착한다. 여기서 종단 점에 부착된 PLC 송신장치에서 특정한 코드를 일정 시간간격으로 송신하고 시작 점에 있는 PLC 수신장치에서는 송신장치로 부터 송신된 특정한 코드를 접수하게 되면 정상 상태이고 만약 코드를 접수하지 못했을 경우는 전선이 도난(단선)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경보 하기 위해 정해진 통신장치로 관리자에게 연락을 하기 위한 수단과 현장에서 경보 발생하기 위한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 이 경보를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는 강렬한 불빛이나 매우 큰 사이렌 소리를 내도록 증폭장치를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도난 감시를 위한 발명장치이다.
본 발명장치는 이미 시설되어 있는 배전선로의 전선의 도난을 감시하기 위한 발명장치로서 그 기술적 장치나 방법으로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다. 예를 들면 카메라를 시설하여 감시하는 방법, 카메라를 시설하고 카메라의 영상자료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감시하는 한 단계 진보된 방법이 있을 수 있겠다. 이 방법은 사람이 항상 지켜보고 있어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강하여 배전선로 종단에 전압감지 회로를 부착하여 경보를 울리는 방법도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것과는 달리 무인감시가 가능하도록 발명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전선의 전선에 대한 실시간 도난감시를 위해서 별도의 통신선로를 시설하지 않고도 감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력선 통신 장치를 배전선 양단에 설치하고 송신장치로 부터 특별한 ID CODE나 반송파가 검출되지 않으면 배전선이 단선 된 것으로 간주하고 도난을 통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난 통보를 위해서는 FRTU 또는 인터넷 회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도난 사실을 통보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배전선의 단선 유무는 PLC에 의해 감시하도록 하고, 배전선의 길이가 상당수 길기 때문에 원거리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야 하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력선 통신장치 간에 중계기능을 구비하여 각 구간별 도난 여부를 송신하여 최종 수신단 까지 전달하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도난이 발생했을 경우 이를 경보 사항을 통보할 수 있는 통신수단을 구비하여야 하고 도난 위치 등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난발생시 경보음이나 불빛으로 더 이상 배전선 탈취작업을 하지 못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어 강력한 경보음 발생장치와 강렬한 불빛을 노출할 수 장치가 필요하다.
중앙 감시소에서는 각각의 PLC 수신 단계에서 보내오는 정보를 수집하여 도난 감시를 할 수 있는 서버가 필요하고 이 서버에서는 도난발생시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통보장치로는 핸드폰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안내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장치는 배전선의 도난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여러 가지 복합 적인 기술들을 사용하여 좀더 효과적으로 도난을 사전 예방 및 감시하기 위한 목적이다.
도 2는 본 발명장치에서 기본 구성수단으로 도난감시센서(201)는 PLC 송신기 및 수신장치로 구성되고 만약 도난이 감지되었을 경우 도난감시센서(201)의 PLC수신장치에서는 감시통보장치(202)로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감시통보장치에서는 도난 감시 서버(204)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유/무선 전송장치(203)를 이용한다. 여기서 유/무선 전송장치로는 유선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겠다.
통보장치(205)는 만약 도난신호 정보가 발생했을 경우 관리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휴대폰 문자전송 또는 자동음성 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도난감시 시스템이다.
최근 비철금속의 가격상승에 따른 구리와 같은 금속류의 도난사건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이로 인한 피해가 심각한 수준까지 오게 되었다.
배전선을 도난당하게 되면 배전선만 피해를 입는 것이 아니고 선로를 다시 공사하기 위한 공사비용이 많이 소요되게 된다. 따라서 관련업계에서는 적은 시설비용으로 배전선 도난을 감시하기 위한 장치를 부착하여 둔다면 금전적 물질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어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장치는 배전선 도난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발명장치이다.
본 발명장치에서 사용하는 배전선 도난 감시 시스템은 당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손쉽게 응용 또는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으로 생각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핵심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본 발명장치의 구체적 실시 예를 설명하겠다.
실시 예 1) 배전선 단선 감지 원리
본 발명장치에서는 주로 전주에 가설된 배전선이 도난당할 경우 반듯이 배전선을 잘라야만 훔칠 수 있다. 따라서, 배전선로의 양단에 전력선 통신 장치를 부착하여 도난을 감지하도록 한다. 좀더 구체적 설명을 돕기 위해 도 1에서 전주 종단에 종단 송신장치(105)를 부착하고, 배전선 감시 시작부분에 PLC 수신장치(102)를 부착한다. 여기서 중계장치(104)는 실시 예 2)에서 설명하기로 하고, 중계기가 없는 경우를 먼저 설명하기로 하겠다.
종단 송신장치(105)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자신의 ID CODE를 송출하여 수신장치(102)에 전송한다. 수신장치(102)에서는 송신장치로 부터 전송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정상으로 판단하고, 만약 수신장치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도록 송신장치의 ID CODE를 접수하지 못했을 경우는 배전선이 단선 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한다. 즉 배전선이 도난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기로 한다.
여기서 송/수신 장치들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배전선이 단선 되었을 경우 통신두절이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또 다른 배전선의 도난 감지방법으로는 상술한 것보다는 좀더 단순한 방법으로서 전력선 통신에 데이터 통신을 하지 않고, 송신장치(105)에서 반송파만 보내고 수신장치(102)에서는 반송파가 검출되는지 그 여부를 확인하여 만약 반송파가 검출되지 않으면 배전선이 단선 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 당 업자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를 할 수 있겠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실시 예 1)의 내용을 도난 감지 센서(201)라 표현하기로 하겠다.
실시 예 2) 배전선로의 구역별 감시 및 원거리 통신방법
본 발명장치를 시설함에 있어서 경우에 따라서는 배전선로가 상당수 길거나 구역별 감시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전력선 통신에 있어서 배전선이 길 경우 변조신호 또는 반송파가 감쇄되어 수신 불가능 할 경우도 발생한다. 이럴 경우 전력선 통신의 중계기가 필요하다.
중계방법으로는 도 1에서 수신장치(102)와 송신장치(105)의 거리가 상당수 먼 경우에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중계장치(104)가 필요하게 된다.
간략한 동작 예를 제시한다면 송신장치(105)에서 중계장치(104)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ID CODE를 전송하고, 중계장치(104)는 수신장치(102)로 송신장치로 부터 받은 ID CODE를 전송한다.
만약 반송파로만 중계를 할 경우라면 송신기(105)의 반송파 주파수(가)와 중계기(104)의 반송파 주파수(나)를 다르게 한다. 먼저, 송신기 반송파 주파수(가)를 송출하면 중계기에서 반송파 신호가 감지되면 중계기에서는 반송파 주파수(나)를 수신장치(102)로 송출하고, 수신장치에서는 중계기로 부터 송출된 반송파 주파수(나)가 검출이 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만약 검출이 되지 않을 경우는 배전선이 도난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한다.
배전선로를 구역별 감시할 경우에는 각 구간별 중계장치에 고유 ID CODE를 부여하고, 종단 송신장치에서 한 단계식 데이터 코드를 중계한다. 만약 일정 시간 동안 특정위치에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그 위치에 있는 중계장치에서 도난경보 신호를 전송하여 주면 특정구간의 도난 경보 위치를 손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 3) 배전선 도난 발생시 실시 예
본 발명장치는 배전선이 도난되었을 경우 신속하게 관리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발명되어 있다. 다음과 같은 구체적 방법을 설명한다.
만약 도난 감시 센서(201)로 부터 배전선이 도난되었음이 감지되었을 경우에
신속한 대응을 위해 감시 통보장치(202)에서 직접 관리자에게 감시내용을 전송할 수도 있겠지만 본 발명에서는 좀더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다수의 배전선 감시시스템의 감시 데이터를 하나의 서버로 전송받을 수 있도록 유/무선 전송장치(203)를 구비하여 전송한다. 상기 유/무선 전송장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감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선통신망의 경우 전화모뎀, 인터넷회선 등이 있으며, 무선통신망의 경우 무선모뎀, 무선랜 등을 이용할 수 있겠다.
상기 감시 통보장치(202)에서는 만약 도난이 발생 되었을 경우에는 위치 확 인을 위한 위치 CODE를 함께 전송하여 관리자가 어느 지역에서 도난 감시센서가 작동했는지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도난 감시 서버(204)에 도난 상태가 접수되었다면 이를 관리자에게 신속히 알리기 위해 통보장치(205)를 구비하고, 상기 통보장치로는 휴대전화로 문자전송 또는 자동음성 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자동 음성 전송은 미리 음성을 예약하여 해당 코드가 접수되면 예약된 음성으로 자동 전송이 되도록 한다.
배전선 도난 현장에서는 시스템 설정이 경보음 발생 및 점등이 되도록 설정이 되어 있다면 현장에서 경보음이 발생하게 하고, 또한 강렬한 불빛이나 경광등을 점등하여 더 이상 배전선 절도를 진행하지 못하도록 경고할 수도 있다.
실시 예 4) 전력선 송신장치
도 3은 전력선 통신을 할 수 있는 송신기에 대한 블록도 이며, 마이컴 제어회로(301)는 ID CODE 설정부(302)의 ID CODE를 입력받아 일정시간 간격으로 ID CODE 와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도록 변조회로(303)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변조회로에서 변조된 신호를 전력선 증폭회로(304)로 보내어 신호를 증폭하여 전력선 라인(305)에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306)를 구비하고 마이컴 제어회로 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실시 예 5) 전력선 수신장치
도 4는 전력선 통신을 할 수 있는 수신장치의 블록도 이며, 전력선 라인(405)에 연결된 신호증폭회로(404)에서 송신기로 부터 변조된 변조신호를 증폭하고, 복조 회로(403)에서 신호변환하여 마이컴 제어 회로(401)로 보낸다. 마이컴 제어 회로에서는 송신기로 부터 보내온 ID CODE 및 데이터를 접수하여 정해진 규칙대로 작동 되도록 제어신호 처리부(402)로 보내어 신호처리하도록 한다.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406)를 구비하고 마이컴 제어회로 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장치는 배전선 도난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배전선을 실시간 감시하여 도난 발생시 즉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배전선 도난 감시 시스템이다.
도 1. 배전선 도난 감시 센서 및 경보장치 블록도.
도 2. 배전선 도난 감시 시스템 전체 블록도.
도 3. 전력선 데이터 통신 송신기 블록도.
도 4. 전력선 데이터 통신 수신기 블록도.

Claims (7)

  1. 배전선 도난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배전선 도난 감시할 배전선 양단에 전력선 송신장치와 전력선 수신장치를 부착하고,
    상기 전력선 송신장치는 특정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전력선 수신장치는 전력선 송신장치로 부터 전송된 특정 데이터를 접수하고,
    상기 전력선 수신장치에서 특정 데이터를 일정시간 동안 접수하지 못했을 경우 배전선 도난 경보 신호 발생을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도난 감시 시스템.
  2. 배전선 도난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배전선 도난 감시할 배전선 양단에 전력선 송신장치와 전력선 수신장치를 부착하고,
    상기 전력선 송신장치는 반송파를 전송하고, 상기 전력선 수신장치는 전력선 송신장치로 부터 전송된 반송파를 수신하고,
    상기 전력선 수신장치에서 반송파를 일정시간 동안 접수하지 못했을 경우 배 전선 도난 경보 신호 발생을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도난 감시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 경보 신호가 발생 되었을 경우
    유선 또는 무선으로 도난 경보 발생 위치(장소) CODE를 도난 감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도난 감시 시스템.
  4. 제 1항 있어서,
    상기 배전선 도난 감시할 배전선 양단의 길이가 길어 전력선 통신이 되지 않을 경우 전력선 통신 중계장치를 부착하고,
    상기 전력선 중계장치는 상기 전력선 송신장치의 데이터를 접수하고, 접수된 데이터를 상기 전력선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도난 감시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 도난 감시할 배전선 양단의 길이가 길어 전력선 반송파가 전달되지 않을 경우 전력선 반송파 중계장치를 부착하고, 상기 전력선 반송파 중계장치의 반송파는 수신주파수와 송신주파수를 다르게 하고,
    상기 전력선 수신장치는 전력선 반송파 중계장치의 송신주파수를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전력선 반송파 중계장치는 상기 전력선 송신장치의 반송파를 검출하고, 만약 상기의 전력선 송신장치의 반송파가 검출되면, 상기 전력선 반송파 중계장치에서 반송파를 송출하고,
    상기 전력선 수신장치는 전력선 반송파 중계장치의 반송파를 검출하여 전력선 반송파를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도난 감시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 감시 서버로 접수된 도난 경보 발생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도난 감시 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 감시 서버로 접수된 도난 경보 발생 데이터에 따라 예약된 음성신호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도난 감시 시스템.
KR1020080030539A 2008-04-02 2008-04-02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전선도난 감시장치. KR200901052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539A KR20090105216A (ko) 2008-04-02 2008-04-02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전선도난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539A KR20090105216A (ko) 2008-04-02 2008-04-02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전선도난 감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216A true KR20090105216A (ko) 2009-10-07

Family

ID=41534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539A KR20090105216A (ko) 2008-04-02 2008-04-02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전선도난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521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5762A1 (es) * 2011-06-20 2012-12-27 Iberwave Ingenieria Sll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 protección de tendidos de conductores eléctricos
KR101638117B1 (ko) * 2016-01-07 2016-07-08 주식회사 예스컴 건물 내외 시설물의 전력 케이블 도난방지를 위한 원격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16352B1 (ko) * 2018-06-12 2019-08-30 한국전력공사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5762A1 (es) * 2011-06-20 2012-12-27 Iberwave Ingenieria Sll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 protección de tendidos de conductores eléctricos
ES2397584A1 (es) * 2011-06-20 2013-03-08 Iberwave Ingenieria Sll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 protección de tendidos de conductores eléctricos.
KR101638117B1 (ko) * 2016-01-07 2016-07-08 주식회사 예스컴 건물 내외 시설물의 전력 케이블 도난방지를 위한 원격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16352B1 (ko) * 2018-06-12 2019-08-30 한국전력공사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211B1 (ko) 보안 경보 시스템
US9183731B1 (en) Emergency detection and alert device and system utiliz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30154823A1 (en) Alarm Detection and Notification System
KR19990080778A (ko) 화재경보 무선 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11002B1 (ko) 마을 방송시스템
KR100783712B1 (ko) 지그비를 이용한 도난 감지 시스템
KR101946799B1 (ko) 경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재난정보 공유 시스템
CN100495454C (zh) 无线消防监控报警系统
KR20090105216A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전선도난 감시장치.
KR20010086926A (ko) 인터넷을 이용한 방범시스템 및 방법
CN202662140U (zh) 报警主机
KR102237270B1 (ko) 무선 화재 감지기 시스템
JP2012178653A (ja) 通信システム
US8717161B1 (en) Lockout for hydrogen sulfide monitoring system
JP2010020361A (ja) 異常設備検知システム
JP3159725U (ja) 河川警報装置
KR100215963B1 (ko) 원격 자동 감시 경보 제어 시스템
US20140009281A1 (en) Alarm triggering device for a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an alarm triggering device
JP2015014986A (ja) 警報器及び警報システム
JP2007249775A (ja) ケーブル断線検出システム
CN202816114U (zh) 具有多点位远程报警功能的一体机
KR20020057642A (ko) 무인경비시스템에서 전력선을 이용한 이상감지신호 전송장치
KR101054390B1 (ko) 긴급구난 기능을 가지는 주차시스템 장치 및 방법
CN106404092B (zh) 一种燃气防盗系统
JP4362181B2 (ja) 情報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