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352B1 -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352B1
KR102016352B1 KR1020180067617A KR20180067617A KR102016352B1 KR 102016352 B1 KR102016352 B1 KR 102016352B1 KR 1020180067617 A KR1020180067617 A KR 1020180067617A KR 20180067617 A KR20180067617 A KR 20180067617A KR 102016352 B1 KR102016352 B1 KR 102016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theft device
unit
support member
telephone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훈범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67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신주 등에 설치된 저압전선에 대한 도난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는 전신주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전신주에 설치된 전력선의 소실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전송된 소실 신호에 따라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동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Protection Device from Theft of Power Cables}
본 발명은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신주 등에 설치된 저압전선에 대한 도난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고압으로 송전된 전력은 변전소나 변압기에 의해 저압으로 감압되어 수용가에 배분된다. 각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신주에 저압 전력선이 설치된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전신주가 도시되어 있다. 전신주(1)에는 변압기(2) 등의 전력기기가 설치된다. 또한, 전신주(1)에는 지지부재(3)가 구비되어, 전선(4)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전력선은 주로 구리(Cu) 케이블로 제조된다. 그런데, 원자재 가격 상승 등에 의해 상대적으로 전력선의 가격이 증대하고 이러한 전력선의 구리 재료에 대한 거래를 목적으로 한 절도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농어촌 및 인적이 드문 야외지역 및 야간시간대에 이러한 전력선 절도가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이와 같은 전력선 절도에 대비하여 구리 케이블을 알루미늄 케이블로 대체하는 등의 절도 회피 방법이 있으나, 이미 설치된 전력선에 대해 적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기 설치된 전신주의 전력선에 대한 도난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경보나 경광등 등 알림 장치가 구비되어 현장 퇴치 기능을 갖는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신주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접근 방지 기능을 갖는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는 전신주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전신주에 설치된 전력선의 소실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전송된 소실 신호에 따라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동작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신주를 둘러싸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을 결합시켜 상기 전신주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감지부가 설치되는 제1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동작부가 설치되는 제2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전력선의 일부에 연결되는 a접점과 상기 감지부의 회로에 연결되는 b접점 및 상기 a접점과 b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전력선의 중량을 측정하는 하중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 또는 동작부에 전류 또는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작부는 음향 발생 수단 또는 발광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작부의 동작 시간, 빈도수, 작동 강도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신주를 오르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전력선으로의 접근을 방지하는 접근 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접근 방지부는, 상기 전신주에 형성되는 이동홈에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디딤부재; 및 상기 발디딤부재를 전,후진 이동시키는 전동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에 의하면 전력선이 도난 등에 의해 소실되는 경우 발광 수단이나 음향 수단에 의해 즉각적으로 인접한 지역에 경보 신호가 발생하므로 도난 예방이 가능하다.
또한,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는 전신주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는 전신주의 직경에 대응하여 변경이 용이하다.
또한, 동작부는 동작 시간, 빈도수, 작동 강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신주를 오르는 행위를 차단하여 전력선에 대한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신주와 전력선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의 개략 구성도 및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구성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의 개략 구성도 및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의 개략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의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는 전신주(15)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20); 상기 전신주(15)에 설치된 전력선(10)의 소실을 감지하는 감지부(30); 상기 감지부(30)에서 전송된 소실 신호에 따라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동작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20)는 전신주(15) 또는 전신주(15)의 부속된 전력기기(예를 들면 변압기)(16)에 고정되는 부분 또는 고정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고정부(20)는 전신주(15)를 둘러싸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을 결합하는 체결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20)의 일 실시예로 도 4를 참조하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21)가 한 쌍 마련된다. 지지부재(21)는 전신주(15) 또는 전력기기(16)를 둘러쌓을 수 있는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각 지지부재(21)에는 결합부(22)가 마련된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21)는 양단에 평판으로 연장되는 결합부(22)를 갖는다. 결합부(22)에는 결합홀(22a)이 형성된다.
지지부재(21)는 전신주(15) 또는 전력기기(16)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체결부재(23)(예를 들면,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부(22)가 고정된다. 고정부(20)는 전신주(15)에 밀착 고정된다.
고정부(20)의 일부에는 감지부(30) 또는 감지부(30)의 일부를 장착할 수 있는 제1 장착부(24)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0)의 타부에는 동작부(50)를 설치할 수 있는 제2 장착부(25)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20A)의 다른 실시예로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부재(26)는 일자형의 평판으로 형성된다. 지지부재(26)는 유연성(flexibility)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26)의 양단에는 각각 돌기부(26a)와 홈부(26b)가 형성된다. 지지부재(26) 일단의 홈부(26b)에 지지부재(26) 타단의 돌기부(26a)가 끼워짐으로써 고정된다. 여기서, 돌기부(26a)와 홈부(26b)는 다수 개로 형성되어 전신주(15)의 외경에 따라 적절하게 끼워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26)의 외경이 소정 범위 내에서 설정 가능하다. 즉, 전신주(15)의 외경에 대응하여 지지부재(26)의 둘레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전신주(15)의 외경이 다르더라도 이에 적합하게 둘레길이를 설정하여 전신주(15)에 설치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26)가 전신주(15)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재(26)의 양단에는 각각 결합홀(26c)이 형성되어 체결부재(27)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재(26)의 일부에는 감지부(30) 또는 감지부(30)의 일부를 장착할 수 있는 제1 장착부(28)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6)의 타부에는 동작부(50)를 설치할 수 있는 제2 장착부(29)가 마련될 수 있다.
감지부(30)는 도난 등에 의한 전력선(10)의 손실을 감지하고 이를 동작부(5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감지부(30)는 스위치 또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30)의 일 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a)는 전력선 정상 상태, (b)는 전력선 소실 상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감지부(30)는 전력선(10)의 일부에 연결되는 a접점(31)과 감지부(30) 회로에 연결되는 b접점(32), 그리고 a접점(31)과 b접점(32) 사이에 구비되는 스위치(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33)는 접점 스위치 또는 반전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33)는 전력선(10)이 정상적으로 통전되는 경우에는 전력선(10)에 연결된 a접점(31)에 연결되어(도 6의 (a) 참조) 감지부는 개방 회로를 이루고, 전력선(10)이 손실 등에 의해 끊어지는 경우에는 b접점(32)에 연결되어(도 6의 (b) 참조) 감지부는 폐회로를 이룬다.
감지부(30)의 다른 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감지부(30)는 중량 센서 또는 하중 센서(33)를 포함한다. 하중 센서(33)는 전력선(10)의 일부에 설치되어 전력선(10)의 무게를 측정한다. 전력선(10)의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무게가 감소하므로 이를 동작부(50)에 알릴 수 있다.
감지부(3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감지부(30)는 RF 센서(35)를 포함한다. RF 센서(35)는 전력선(10)의 일부에 설치되어 전력선(10)의 이탈 여부를 측정한다. 전력선(10)의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동작부(50)에 알릴 수 있다. RF 센서(35)는 감지부(30)에 포함되는 송(수)신부(36)와 전력선(10)에 구비되는 수(송)신부(37)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송)신부(37)로 태그(tag)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부(36)는 고정부(20)의 제1 장착부(24)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부(40)가 마련된다. 전원부(40)는 감지부(30) 또는 동작부(50)에 전류 또는 전압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전원부(40)는 전신주(15)의 변압기(16)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전원부(40)는 기타 장치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전원부(40)는 A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류 전원을 제공받아 직류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부(50)는 전력선(10)이 절단 혹은 소실(손망실)된 사실을 주변에 알리는 기능을 한다.
동작부(50)는 벨 또는 부저 등의 음향 발생 수단일 수 있다. 동작부(50)는 음향으로 인접한 지역에 소실 경보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동작부(50)는 경광등 등의 발광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동작부(50)는 발광 수단에 의해 인접한 지역에 소실 경보 신호를 발생시킨다.
동작부(50)는 전원부(40)로부터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동작부(50)는 이미지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저장 수단의 예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폐쇄회로 텔레비전)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동작부(50)는 이미지 저장 수단에 의해 전력선(10)의 소실이 감지부(30)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이를 영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동작부(50)는 신호 전송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전송 수단의 예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을 이용한 문자 전송 등이 있다. 동작부(50)는 신호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전력선(10)의 소실 사항 및 소실 전력선의 위치 등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동작부(50)의 작동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0)는 동작부(50)의 동작 시간, 빈도수, 작동 강도(예를 들면 음향 수단인 경우는 볼륨, 발광 수단인 경우 조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60)는 마이크로 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타임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부(20), 감지부(30), 전원부(40), 동작부(50)에 관한 것은 이전 실시예와 다르지 않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는 접근 방지부(70)를 포함한다.
접근 방지부(70)는 작업자 외에는 전신주(15)의 전력선(10)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접근 방지부(70)는 전신주(15)에 구비되는 발디딤부재(71) 및 발디딤부재(71)를 전,후진 운동시키는 전동부재(72)로 구비될 수 있다.
발디딤부재(71)는 전신주(15)를 올라가기 위해 작업자가 발로 딛는 부분이다. 발디딤부재(71)는 전신주(15)에 형성된 이동홈(17)에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발디딤부재(71)의 단부에는 이동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전동부재(72)는 예를 들어 전동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전동부재(72)는 발디딤부재(71)를 전후진 이동시켜 작업자가 발디딤부재(71)를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즉, 전동부재(72)가 작동하여 발디딤부재(71)가 이동홈(17)에 삽입되면 작업자는 발디딤부재(71)를 디딜 수 없으므로 전신주(15)을 올라 전력선(10)에 대한 접근이 차단된다.
이와 반대로, 전동부재(72)가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발디딤부재(71)가 이동홈(17)으로부터 돌출되면 작업자는 발디딤부재(71)를 디딜 수 있으므로 전신주(15)을 올라 전력선(10)에 대한 접근이 허용된다.
작업자는 접근 장치 또는 접근 암호를 입력하여 전동부재(7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암호 입력 및 판단 과정은 감지부(30) 및 제어부(60)에서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접근 장치는 RF 태그나 마그네틱 카드 등의 인식 장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동부재(72)는 발디딤부재(71)와의 이동 결합을 위하여 웜 및 웜기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전동부재(72)는 이외에도 발디딤부재(71)를 이동시킬 수 있는 다른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에 의하면 전력선이 도난 등에 의해 소실되는 경우 발광 수단이나 음향 수단에 의해 즉각적으로 인접한 지역에 경보 신호가 발생하므로 도난 예방이 가능하다.
또한,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는 전신주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는 전신주의 직경에 대응하여 변경이 용이하다.
또한, 동작부는 동작 시간, 빈도수, 작동 강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신주를 오르는 행위를 차단하여 전력선에 대한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전력선 15 전신주
16 전력기기 17 이동홈
20 고정부 21,26 지지부재
22 결합부 22a,26c 결합홀
23,27 체결부재 24,28 제1 장착부
25,29 제2 장착부 26a 돌기부
26b 홈부 26c 결합홀
30 감지부 31 a접점
32 b접점 33 스위치
33 하중 센서 35 RF 센서
40 전원부 50 동작부
60 제어부 70 접근 방지부
71 발디딤부재 72 전동부재

Claims (13)

  1. 전신주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전신주에 설치된 전력선의 소실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전송된 소실 신호에 따라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전력선의 일부에 연결되는 a접점과 상기 감지부의 회로에 연결되는 b접점 및 상기 a접점과 b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신주를 오르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전력선으로의 접근을 방지하는 접근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근 방지부는,
    상기 전신주에 형성되는 이동홈에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디딤부재; 및
    상기 발디딤부재를 전,후진 이동시키는 전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신주를 둘러싸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을 결합시켜 상기 전신주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감지부가 설치되는 제1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동작부가 설치되는 제2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전력선의 중량을 측정하는 하중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 또는 동작부에 전류 또는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음향 발생 수단 또는 발광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의 동작 시간, 빈도수, 작동 강도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067617A 2018-06-12 2018-06-12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 KR102016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617A KR102016352B1 (ko) 2018-06-12 2018-06-12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617A KR102016352B1 (ko) 2018-06-12 2018-06-12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352B1 true KR102016352B1 (ko) 2019-08-30

Family

ID=67776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617A KR102016352B1 (ko) 2018-06-12 2018-06-12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3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0990A (zh) * 2019-08-22 2021-01-08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力线路计量仪表装置防盗设备
CN115234074A (zh) * 2022-06-30 2022-10-25 广东电力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杆塔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0066A (ja) * 1993-02-02 1994-08-1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非接触サージ検出センサおよび非接触サージ検出センサを用いた事故区間標定方法
KR20090105216A (ko) * 2008-04-02 2009-10-07 서순구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전선도난 감시장치.
KR20100003479A (ko) * 2008-07-01 2010-01-11 안상휘 단선감지장치 및 그제어방법
KR20130039827A (ko) * 2011-10-13 2013-04-23 양용기 실시간 전신주 전력선도난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0066A (ja) * 1993-02-02 1994-08-1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非接触サージ検出センサおよび非接触サージ検出センサを用いた事故区間標定方法
KR20090105216A (ko) * 2008-04-02 2009-10-07 서순구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전선도난 감시장치.
KR20100003479A (ko) * 2008-07-01 2010-01-11 안상휘 단선감지장치 및 그제어방법
KR20130039827A (ko) * 2011-10-13 2013-04-23 양용기 실시간 전신주 전력선도난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0990A (zh) * 2019-08-22 2021-01-08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力线路计量仪表装置防盗设备
CN115234074A (zh) * 2022-06-30 2022-10-25 广东电力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杆塔装置
CN115234074B (zh) * 2022-06-30 2023-07-14 广东电力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杆塔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71220B2 (ja) 自己給電型電力線センサ
US6009148A (en) Phone-activated emergency visual signaling system with low power consumption signal light
KR102016352B1 (ko) 전력선 도난 방지 장치
US8149128B2 (en) Ground potential rise monitor
KR101477209B1 (ko) 전류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08820B1 (ko) 모바일 앱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격감시장치 및 방법
JP2013089210A (ja) 商品オーダーシステムにおける電気機器の充電及び盗難防止システム
JP2003515285A (ja) 電力線路搬送通信を用いたホーム・ネットワーク
KR20100052725A (ko) 수배전반 감전 예보 장치
KR101957505B1 (ko) 공가선 원격 감시 장치 및 공가선 원격 감시 시스템
KR100874981B1 (ko)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
KR20010064587A (ko) 무선 보안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50114579A (ko) 가로등용 개별제어 무선시스템 및 그 단말기 제어박스 구조
KR101885865B1 (ko) 원방설비의 감시 및 제어 시스템
KR101140987B1 (ko) 원격지로부터 전기 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KR101132388B1 (ko) 지중배전 케이블의 절연형 접속커넥터
JP2009159732A (ja) 直流配電システム
KR20090105216A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전선도난 감시장치.
CN104143243A (zh) 一种输电线防盗装置
US20210366669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lectrical notification system
KR100991363B1 (ko) 케이블의 훼손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훼손감지 방법
KR200360257Y1 (ko) 가로등용 개별제어 무선장치 및 그 단말기 제어박스 구조
FR2584215A1 (fr) Dispositif de sonnerie commande a distance par radio-emetteur.
US11861995B2 (en) Gate-connector system for intrusion-detection fencing system
KR101225592B1 (ko) 지중송배전선로 훼손 경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