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331A - 부싱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부싱 장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76331A KR20230076331A KR1020210163156A KR20210163156A KR20230076331A KR 20230076331 A KR20230076331 A KR 20230076331A KR 1020210163156 A KR1020210163156 A KR 1020210163156A KR 20210163156 A KR20210163156 A KR 20210163156A KR 20230076331 A KR20230076331 A KR 202300763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hing
- collet
- mounting
- unit
- mount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8—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the parts being continuously transported through the machine dur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상의 부싱을 작업물의 장착공에 장착하기 위한 부싱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착프레임과, 부싱에 삽입되는 부싱파지부를 가진 긴 막대상의 형상을 가지고 장착프레임에 지지되며,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부싱을 파지하는 확장상태와 반경방향으로 수축되어 부싱으로부터 이탈 가능한 수축상태 간을 이동가능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조합된 셋 이상의 콜릿부분을 갖는 콜릿유니트와, 복수의 콜릿부분을 수축상태의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조으는 적어도 하나의 수축스프링과, 선단에 테이퍼부를 가지고 콜릿유니트의 축선을 따라 콜릿부분들 사이에 출입하여 콜릿부분들을 확장상태와 수축상태 간을 이동시키는 작동핀 및, 작동핀을 콜릿유니트에 대해 작동시키는 핀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관상의 부싱을 작업물의 장착공에 장착하는 부싱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각종 부품들에 형성된 체결홀에는 회전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관상의 부싱이 끼워진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부품의 체결홀에 부싱을 끼워 넣고 부품에 마킹을 하여 부싱의 누락여부는 확인방식으로 작업을 하였다. 이에 따라 작업성이 낮았고, 부싱이 누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의 체결홀에 부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끼워 넣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및 부싱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부싱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관상의 부싱을 작업물의 장착공에 장착하기 위한 부싱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착프레임과, 상기 부싱에 삽입되는 부싱파지부를 가진 긴 막대상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장착프레임에 지지되며,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부싱을 파지하는 확장상태와 반경방향으로 수축되어 상기 부싱으로부터 이탈 가능한 수축상태 간을 이동가능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조합된 셋 이상의 콜릿부분을 갖는 콜릿유니트와, 상기 복수의 콜릿부분을 상기 수축상태의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조으는 적어도 하나의 수축스프링과, 선단에 테이퍼부를 가지고 상기 콜릿유니트의 축선을 따라 콜릿부분들 사이에 출입하여 상기 콜릿부분들을 상기 확장상태와 상기 수축상태 간을 이동시키는 작동핀 및, 상기 작동핀을 상기 콜릿유니트에 대해 작동시키는 핀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콜릿유니트는 축선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멈춤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멈춤플램지 사이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멈춤플랜지는 각 콜릿부분들에 부속된 플랜지부분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멈춤플랜지에는 고리상의 스프링그루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축스프링은 상기 스프링그루브에 고리상으로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핀은 적어도 일부 길이구간에 걸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콜릿부분들과 반경방향에서 맞물리는 물림그루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프레임을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상기 축선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작업위치와 부싱수령위치 간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작업구동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의 체결홀에 부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끼워 넣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및 부싱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싱 장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싱 장착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콜릿유니트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릿유니트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VI-VI'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싱 장착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싱 장착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콜릿유니트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릿유니트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VI-VI'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싱 장착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싱 장착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부싱 장착장치(100)는 관상의 부싱(20)을 작업물(10)의 장착공(12)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내 도 5를 참조하면, 부싱 장착장치(100)는 장착프레임(110), 작업물 안착지그(120), 부싱공급부(130), 콜릿유니트(140), 수축스프링(150), 작동핀(160), 핀구동부(170)로 이루어진다.
장착프레임(110)은 콜릿유니트(140), 핀구동부(170)를 지지한다.
또한 장착프레임(110)은 콜릿유니트(140)의 축선방향을 따라 장착프레임(110)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112)과, 베이스프레임(112)을 축선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작업위치와 부싱수령위치 간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작업구동부(114)를 가진다.
베이스프레임(112)은 장착프레임(11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레일(112a)과, 장착프레임(110)을 슬라이딩 구동시키는 실린더(112b)를 가진다.
작업구동부(114)는 상면에 지지레일(115a)이 설치된 지지프레임(115)과, 지지레일(115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베이스프레임(112)의 하부가 결합된 지지슬라이더(116)와, 지지슬라이더(116)를 슬라이딩 구동시키는 구동엑츄에이터(117)로 이루어진다.
구동엑츄에이터(117)에 의해 지지슬라이더(116)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레일(115a)의 내측면에는 래크기어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지지슬라이더(116)의 내부에는 래크기어부와 기어 결합되며, 구동엑츄에이터(117)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기어(미도시)가 설치된다.
지지프레임(115)에는 작업물이 안착되는 작업물 안착지그(120)와, 부싱(20)을 콜릿유니트(140)에 공급하는 부싱공급부(130)가 마련된다.
작업물 안착지그(120)는 작업자 또는 로봇이 작업물을 작업물 안착지그(120)에 안착시키기 위한 작업물 수령위치와 콜릿유니트(140)가 작업물의 장착공에 부싱을 삽입하기 위한 작업위치 간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콜릿유니트(140)는 부싱(20)에 삽입되는 부싱파지부(142)를 가진 긴 막대상의 형상을 가지고 장착프레임(110)에 지지되며,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부싱(20)을 파지하는 확장상태와 반경방향으로 수축되어 부싱으로부터 이탈 가능한 수축상태 간을 이동가능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조합된 셋 이상의 콜릿부분(144)을 갖는다.
부싱파지부(142)의 부싱 파지 및 이탈은 콜릿부분(144)들의 확장상태와 수축상태의 반복에 의해 이루어진다.
콜릿부분(144)들의 각 선단부에는 콜릿부분(144)들이 확장상태일 때 부싱파지부(142)에 삽입된 부싱(20)이 부싱파지부(142)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부싱이탈방지턱(142a)이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또한, 콜릿유니트(140)는 부싱파지부(142)에 삽입된 부싱(20)의 유무를 확인하는 부싱감지센서(146)를 더 포함한다.
부싱감지센서(146)는 콜릿유니트(140)가 부싱수령위치에 위치되었을 때에는 부싱공급부(130)로부터 부싱이 부싱파지부(142)에 정상적으로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부싱파지부(142)에 부싱이 없는 경우에는 경보표시부(미도시)를 통해 경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콜릿유니트(140)가 작업위치에 위치되었을 때에는 부싱파지부(142)에 삽입되어 있는 부싱(20)을 작업물(10)에 장착시킨 후, 부싱파지부(142)에 부싱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부싱파지부(142)에 부싱(2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경보표시부를 통해 경보를 표시한다.
콜릿유니트(140)는 축선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멈춤플랜지(148)를 가지며, 장착프레임(110)은 한 쌍의 멈춤플랜지(148) 사이를 파지하는 파지부(116)를 가진다.
여기서 멈춤플랜지(148)는 각 콜릿부분(144)들에 부속된 플랜지부분들로 이루어지고, 멈춤플랜지(148)에는 고리상의 스프링그루브(148a)가 형성되어 있다.
수축스프링(150)은 복수의 콜릿부분(144)을 수축상태의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조으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된다. 이러한 수축스프링(150)은 멈춤플랜지(148)에 형성된 스프링그루부(148a)에 고리상으로 수용된다.
작동핀(160)은 선단에 테이퍼부(162)를 가지고 콜릿유니트(140)의 축선을 따라 콜릿부분(144)들 사이에 출입하여 콜릿부분(144)들을 확장상태와 수축상태 간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작동핀(160)은 적어도 일부 길이구간에 걸쳐 함몰 형성되어 콜릿부분(144)들과 반경방향에서 맞물리는 물림그루브(164)를 갖는다. 물림그르부(164)는 각 콜릿부분(144)들의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물림돌기(144a)와 물림결합된다.
콜릿유니트(140)는 축선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멈춤플랜지(148)를 가지며,
핀구동부(170)는 작동핀(160)을 콜릿유니트(140)에 대해 작동시켜 작동핀(160)이 콜릿부분(144)들 사이에 출입되게 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싱 장착장치의 작동을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최초 작업물 안착지그(120)는 작업물 수령위치에 위치되어 있고, 콜릿유니트(140)는 부싱수령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작업물 안착지그(120)에 작업물(10)이 안착되면 작업물 안착지그(120)는 작업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콜릿유니트(140)는 부싱공급부(130)로부터 부싱(20)을 공급받아 작업위치로 이동된다.
여기서, 작업물 안착지그(120)와 콜릿유니트(140)의 작업위치로의 이동은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물 안착지그(120)와 콜릿유니트(140)가 작업위치에 위치되면, 콜릿유니트(140)를 지지하고 있는 베이스프레임(112)을 콜릿유니트(140)의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부싱파지부(142)가 작업물(10)의 장착공(12)에 삽입되게 한다. 이때 콜릿부분(144)들은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부싱(20)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부싱파지부(142)가 작업물(10)의 장착공(12)에 삽입되면 수축스프링(150)에 의해 콜릿부분(144)들이 반경방향으로 수축되도록 핀구동부(170)가 작동핀(160)을 작동시키면 부싱(20)은 작업물(10)의 장착공(12)에 삽입된 상태이며, 부싱파지부(142)는 부싱(20)으로부터 이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베이스프레임(112)을 작업물(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작업물(10)의 장착공(12)에 삽입된 부싱(20)으로부터 부싱파지부(142)가 자연스럽게 이탈되어 부싱(2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청구범위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작업물
12; 장착공
20; 부싱
110; 장착프레임
120; 작업물 안착지그
130; 부싱공급부
140; 콜릿유니트
150; 수축스프링
160; 작동핀
170; 핀구동부
12; 장착공
20; 부싱
110; 장착프레임
120; 작업물 안착지그
130; 부싱공급부
140; 콜릿유니트
150; 수축스프링
160; 작동핀
170; 핀구동부
Claims (5)
- 관상의 부싱을 작업물의 장착공에 장착하기 위한 부싱장착장치에 있어서,
장착프레임;
상기 부싱에 삽입되는 부싱파지부를 가진 긴 막대상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장착프레임에 지지되며,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부싱을 파지하는 확장상태와 반경방향으로 수축되어 상기 부싱으로부터 이탈 가능한 수축상태 간을 이동가능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조합된 셋 이상의 콜릿부분을 갖는 콜릿유니트;
상기 복수의 콜릿부분을 상기 수축상태의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조으는 적어도 하나의 수축스프링;
선단에 테이퍼부를 가지고 상기 콜릿유니트의 축선을 따라 콜릿부분들 사이에 출입하여 상기 콜릿부분들을 상기 확장상태와 상기 수축상태 간을 이동시키는 작동핀; 및,
상기 작동핀을 상기 콜릿유니트에 대해 작동시키는 핀구동부;를 포함하는 부싱 장착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콜릿유니트는 축선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멈춤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멈춤플램지 사이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싱 장착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멈춤플랜지는 각 콜릿부분들에 부속된 플랜지부분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멈춤플랜지에는 고리상의 스프링그루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축스프링은 상기 스프링그루브에 고리상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싱 장착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핀은 적어도 일부 길이구간에 걸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콜릿부분들과 반경방향에서 맞물리는 물림그루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싱 장착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프레임을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상기 축선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작업위치와 부싱수령위치 간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작업구동부을 더 포함하는 부싱 장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3156A KR102636124B1 (ko) | 2021-11-24 | 2021-11-24 | 부싱 장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3156A KR102636124B1 (ko) | 2021-11-24 | 2021-11-24 | 부싱 장착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6331A true KR20230076331A (ko) | 2023-05-31 |
KR102636124B1 KR102636124B1 (ko) | 2024-02-14 |
Family
ID=86543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3156A KR102636124B1 (ko) | 2021-11-24 | 2021-11-24 | 부싱 장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6124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56024A (ja) * | 1993-12-02 | 1995-06-20 | Toshiba Ceramics Co Ltd | ノズル挿着装置及びノズル挿着方法 |
KR200283825Y1 (ko) * | 2002-04-22 | 2002-07-27 | 김진웅 | 도어힌지용 부시끝단부 확장장치 |
KR20040107283A (ko) * | 2003-06-13 | 2004-12-20 |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 부시 삽입장치 |
KR20140088598A (ko) * | 2011-11-02 | 2014-07-10 | 마우저-베르케 오베른도르프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 베어링 부시를 삽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KR20180117409A (ko) * | 2017-04-19 | 2018-10-29 | 김종식 | 부시 자동 조립 장치 |
JP2018199176A (ja) * | 2017-05-26 | 2018-12-20 | 株式会社デンソーエアシステムズ | 装着冶具および保持装置 |
-
2021
- 2021-11-24 KR KR1020210163156A patent/KR10263612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56024A (ja) * | 1993-12-02 | 1995-06-20 | Toshiba Ceramics Co Ltd | ノズル挿着装置及びノズル挿着方法 |
KR200283825Y1 (ko) * | 2002-04-22 | 2002-07-27 | 김진웅 | 도어힌지용 부시끝단부 확장장치 |
KR20040107283A (ko) * | 2003-06-13 | 2004-12-20 |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 부시 삽입장치 |
KR20140088598A (ko) * | 2011-11-02 | 2014-07-10 | 마우저-베르케 오베른도르프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 베어링 부시를 삽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KR20180117409A (ko) * | 2017-04-19 | 2018-10-29 | 김종식 | 부시 자동 조립 장치 |
JP2018199176A (ja) * | 2017-05-26 | 2018-12-20 | 株式会社デンソーエアシステムズ | 装着冶具および保持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36124B1 (ko) | 2024-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803316B1 (en) | Clamping apparatus | |
KR101579986B1 (ko) | 관상체용 척 | |
JP6250666B2 (ja) | 連結機構 | |
EP1055474A1 (en) | Clamp apparatus | |
US8601664B2 (en) | Fixture exchange rail system and method of use | |
EP2653263A2 (en) | Tool carrier unit of a tool magazine | |
US20090114702A1 (en) | Device for centering and clamping tubular parts | |
KR20090116645A (ko) | 클램프헤드 | |
KR20230076331A (ko) | 부싱 장착장치 | |
JP4653045B2 (ja) | ナット自動供給装置 | |
JP2705769B2 (ja) | ワークのクランプ装置 | |
JP2018062307A (ja) | スタッドピンの打込み装置およびスタッドタイヤの製造方法 | |
JP2002326130A (ja) | スナップリング取付装置 | |
JP4179549B2 (ja) | スナップリング組付装置 | |
JP2005501751A (ja) | 工作機械用の工具交換装置 | |
JPH06106426A (ja) | ベアリング圧入装置 | |
JP2005138263A (ja) | ブッシュ圧入装置 | |
JP7074669B2 (ja) | 出力装置 | |
WO2019077726A1 (ja) | 溶接装置 | |
JP4648890B2 (ja) | 管内用穿孔装置 | |
KR102428391B1 (ko) | 스폿 용접용 전극 분리장치 | |
JP2016016495A (ja) | 被装着部材の装着装置および装着方法 | |
WO2024106141A1 (en) | Machine tool | |
JPWO2017021999A1 (ja) | ワーク位置決め装置 | |
CN111408893A (zh) | 一种自定心膨胀焊接夹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