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703A - 정수기에 구비된 순간온수모듈 - Google Patents

정수기에 구비된 순간온수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5703A
KR20230075703A KR1020210162154A KR20210162154A KR20230075703A KR 20230075703 A KR20230075703 A KR 20230075703A KR 1020210162154 A KR1020210162154 A KR 1020210162154A KR 20210162154 A KR20210162154 A KR 20210162154A KR 20230075703 A KR20230075703 A KR 20230075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hot water
heat exchange
instantaneous hot
wat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2968B1 (ko
Inventor
강동훈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2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968B1/ko
Publication of KR20230075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10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 F24H1/103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with bare resistance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15Guiding means in wate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8Continuous-flow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28F13/08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by varying the cross-section of the flow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기에 구비된 순간온수모듈은 트라이악 소자가 외측면에 구비된 열교환부; 열교환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유로부; 및 유로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유로부를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변경시키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에 구비된 순간온수모듈{HOTWATER HEATING MODULE INCLUDED IN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구비된 순간온수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전에서 원수를 공급받으면, 직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필터를 통해 찌꺼기 등의 각종 부유 물질과 활성탄의 흡착방식을 이용하여 발암물질(THM), 합성세제, 살충제 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과 염소성분 등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납, 비소와 같은 중금속, 나트륨, 박테리아, 바이러스, 방사성 물질 등을 걸러주며 불쾌한 맛과 냄새, 색소 등도 제거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깨끗한 물 또는 각종 유해환경에 노출된 물을 안전한 상태에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원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직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필터를 경유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 유해물이 걸러진 상태로 정수된 물만 냉수통으로 공급되어 저수된다.
냉수통에 저수되는 정수된 물은 일정 온도 이하에서 저수되는 바, 냉매가 냉수통에 저수된 물과 열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장치는 정수기에서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냉각장치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냉수를 마시고자 한다면, 냉수통에 결합된 냉수관 및 냉수관 끝단에 결합되며 정수기의 하우징에서 노출되도록 설치된 냉수콕크를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음용할 수 있다. 또한, 온수는 냉수통에서 온수관을 통하여 온수통으로 공급된 물이 온수통에서 히터에 의해 가열되고, 하우징에서 노출되도록 설치된 온수콕크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온수통의 온수를 사용 또는 마실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기존의 유체가열장치는 유체를 가열하는 히터를 제어하는 트라이악 소자, 트라이악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방출하도록 트라이악 소자의 일측에 배치되는 방열부재 및 방열부재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부를 포함한다. 이때 트라이악 소자로부터 흡수된 방열부재의 열은 유로부로 전달되고, 유로부로 전달된 열은 유로부의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트라이악 소자는 히터를 제어하기 위해 빈번히 구동되므로, 트라이악 소자에 많은 부하가 발생하게 되며, 트라이악 소자의 파손으로 연결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트라이악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유로부로 방출하도록 유로부와 트라이악 소자 사이에 방열부재가 구비된다.
그러나, 기존의 유체가열장치는 유로부를 유동하는 유체가 유로부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만 흐르기 때문에 방열부재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8-0114430호(유체가열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히터를 제어하는 트라이악 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열교환부를 통해 유로부를 지나가는 물과 효율적으로 열교환하기 위해, 유로부 내에 배치된 돌기형상의 돌기부를 포함한 순간온수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기에 구비된 순간온수모듈은 트라이악 소자가 외측면에 구비된 열교환부; 열교환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유로부; 및 유로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유로부를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변경시키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열교환부는 트라이악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유로부를 유동하는 물에 방출한다.
열교환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복수회 절곡된 것이다.
유로부는 열교환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된다.
유로부는 물이 유동하는 유로를 포함하며, 유로의 일 영역이 개방되어 열교환부의 내측면과 연통한다.
돌기부는 열교환부와 유로부가 접촉하는 접촉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접촉면과 가깝게 지나가는 유량을 증가시킨다.
돌기부는 삼각형 모양의 단면을 갖는 삼각 기둥의 형태로 형성된다.
돌기부의 단면은 유로부의 종단면에 대하여 삼각형이 되도록 배치된다.
돌기부는 삼각형 단면의 밑변의 길이가 삼각형 단면의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된다.
돌기부는 삼각형 단면의 밑변의 길이가 삼각형 단면의 높이 보다 3.5배 내지 4배 크게 형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유로상에서 열교환 효율을 높여서 트라이악 소자의 온도가 많이 높아지지 않게하여 부품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열교환부와 접촉된 유로부를 지나가는 물에 온수에 공급되는 정수물을 이용함으로써, 정수물이 1차적으로 트라이악 소자의 열을 이용해 소량 가열되고 추후 히터를 지나면서 목표 온도로 가열될 수 있어, 정수기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간온수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간온수모듈이 구비된 정수기의 단면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와 돌기부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유로부의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돌기부의 입체도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기존의 유로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가 배치된 유로부를 흐르는 물과 열교환하는 열교환부에 대하여 열유동해석한 결과를 비교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간온수모듈의 트라이악 소자의 표면 온도를 측정한 표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냉수통에서 온수관을 통하여 온수통으로 공급된 물을 히터에 의해 가열한 후 온수콕크를 통해 사용에게 제공한다. 이때 정수기는 히터를 제어하는 트라이악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는 열교환부, 및 유로부에 흐르는 물과 열교환하도록 열교환부와 접촉면을 갖는 유로부로 구성된 순간온수모듈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순간온수모듈은 유로부의 내부에 물이 유동하도록 형성된 유로가 수평형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로부에서 물의 흐름이 일 방향으로만 흐르는 바, 열교환부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수기에 구비된 순간온수모듈(100)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간온수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간온수모듈이 구비된 정수기의 단면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와 돌기부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유로부의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돌기부의 입체도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기존의 유로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가 배치된 유로부를 흐르는 물과 열교환하는 열교환부에 대하여 열유동해석한 결과를 비교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간온수모듈의 트라이악 소자의 표면 온도를 측정한 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순간온수모듈(100)은 열교환부(10), 유로부(20), 트라이악 소자(110), 및 돌기부(21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순간온수모듈(100)은 트라이악 소자(110)가 외측면에 구비된 열교환부(10), 열교환부(10)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유로부(20) 및 유로부(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유로부(20)를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변경시키는 돌기부(210)를 포함한다.
열교환부(10)는 트라이악 소자(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유로부(20)를 유동하는 물에 방출한다. 예시적으로, 열교환부(10)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부(10)는 트라이악 소자(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여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열교환부(10)는 유로부(20)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부(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복수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열교환부(10)는 제1수평 영역, 제2 수직 영역, 제3 수평 영역 및 제 4 수직 영역으로 구분되도록 3회 절곡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정수기 하우징 내의 다른 모듈과의 배치 관계에 따라 다양한 수직 및 수평 영역으로 구분된 절곡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유로부(20)는 물이 유동하는 유로를 포함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관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부(20)는 열교환부(10)의 내측면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에 도시된 것처럼, 유로부(20)는 제1 내지 제4 영역으로 구분된 열교환부(10)의 제1수평 영역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유로부(20)의 일 영역은 열교환부(10)의 제1수평 영역에서만 접촉면을 갖는다.
유로부(20)는 유로의 일 영역이 개방되어 열교환부(10)의 내측면과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로부(20)의 개방 영역은 열교환부(10)와 접촉하는 접촉면과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열교환부(10)와 연통하는 유로부(20)의 개방 영역과 마주하는 위치에 돌기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로부(20)의 개방 영역 통해 유로가 열교환부(10)의 내측면과 직접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바, 유로부(20)에서 흐르는 물이 열교환부(10)에서 방출하는 열을 직접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즉, 유로의 개방 영역으로 인해 열교환부(10)의 열을 더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돌기부(210)는 열교환부(10)와 유로부(20)가 접촉하는 접촉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접촉면과 가깝게 지나가는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부(210)는 유로부(20)의 내부 유로에 위치하되, 열교환부(10)와 접촉하는 면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로부(20) 내의 물의 흐름이 진행하고 있던 수평 방향으로 지속하여 흐르지 못하고, 돌기부(210)를 우회하여 변경될 수 있다. 즉, 돌기부(210)로 인해, 유로부(20) 내의 유량이 열교환부(10)를 통과하는 위치에서 열교환부(10)의 접촉면과 가깝게 지나가는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부(10)와 유로부(20)의 접촉면을 지나가는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부(20)의 일단이 냉수통과 연결되고, 타단이 온수통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로부(20)의 내부를 유동하는 물은 냉수통과 연결된 일단에서 냉수(흰색 화살표)로 흐른다가 열교환부(10)와 접촉한 영역을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열교환부(10)와 접촉한 영역에 위치한 돌기부(210)로 인해 열교환부(10)와 가깝게 지나는 냉수의 유량이 증가하면서, 온수(검은색 화살표)로 효율적으로 가열되어, 온수통과 연결된 타단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이로 인해, 정수된 냉수가 1차적으로 트라이악 소자(110)의 열을 방출하는 열교환부(10)를 통해 소량 가열되고, 추후 히터를 지나면서 목표 온도로 가열될 수 있어, 정수기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돌기부(210)는 삼각형 모양의 단면을 갖는 삼각 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돌기부(210)는 돌기부(210)의 단면은 유로부(20)의 종단면에 대하여 삼각형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유로부(20)의 일단에서 흐르던 물의 흐름이 돌기부(210)로 인해 변경되며, 냉수(흰색 화살표)가 삼각 기둥의 측면인 사각형에 의해, 빈틈없이 막혀 위로 밀려 올라 감으로써, 열교환부(10)와 가깝게 지나가는 유량이 증가되며, 열을 흡수한 냉수가 온수(검은색 화살표)로 가열될 수 있다.
도 5(a)는 기존의 유로부(20)와 열교환부(10)의 접촉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돌기부(210)가 구비된 유로부(20)와 열교환부(10)의 접촉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5(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돌기부(210)가 구비된 유로부(20)와 열교환부(10)의 접촉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도 5(b)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돌기부(210)의 삼각형 단면의 밑변(x1)의 길이는 11.5mm, 높이(y1)는 11.5mm이고, 도 5(c)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돌기부(210)의 삼각형 단면의 밑변(x2)의 길이는 18mm, 높이(y2)는 4.8mm이다.
예를 들어, 돌기부(210)의 삼각형 밑변(x1, x2)의 길이는 11.5mm 내지 18mm이고, 높이(y1, y2)가 1.5mm 내지 4.8mm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돌기부(210)는 삼각형 단면의 밑변(x1, x2)의 길이가 삼각형 단면의 높이(y1, y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돌기부(210)는 삼각형 단면의 밑변의 길이가 삼각형 단면의 높이 보다 3.5배 내지 4배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돌기부(210)는 삼각형 단면의 밑변(x2)의 길이가 삼각형 단면의 높이(y2) 보다 3.75배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a)의 기존유로는 물이 흐르면서 유로부(20)내에서 열교환부(10)와 열교환이 잘 되지 않아 온도가 높아진 열유동해석 결과를 나타내고, 도 5(b) 및 도5(c)의 개선유로는 돌기부(210)에 의해서 효율적인 열교환 구조로 인해 온도가 많이 낮아진 열유동해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210)를 적용한 후 트라이악 소자(110)의 표면 온도를 측정한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개선유로(도 5(c) 참조)는 기존 유로대비 18℃정도 낮은 약 99℃ 내외 정도로 온도가 측정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순간온수모듈(도 5(c) 참조)은 기존유로(도 5(a) 참조) 대비 유로부(20) 상에서 열교환부(10)와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순간온수모듈
10: 열교환부
110: 트라이악 소자
20: 유로부
210: 돌기부

Claims (10)

  1. 정수기에 구비된 순간온수모듈에 있어서,
    트라이악 소자가 외측면에 구비된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유로부; 및
    상기 유로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로부를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변경시키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순간온수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트라이악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상기 유로부를 유동하는 물에 방출하는 것인, 순간온수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복수회 절곡된 것인, 순간온수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열교환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된 것인, 순간온수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물이 유동하는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의 일 영역이 개방되어 상기 열교환부의 내측면과 연통하는 것인, 순간온수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유로부가 접촉하는 접촉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접촉면과 가깝게 지나가는 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인, 순간온수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삼각형 모양의 단면을 갖는 삼각 기둥의 형태로 형성된 것인, 순간온수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단면은 상기 유로부의 종단면에 대하여 삼각형이 되도록 배치된 것인, 순간온수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삼각형 단면의 밑변의 길이가 삼각형 단면의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인, 순간온수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삼각형 단면의 밑변의 길이가 삼각형 단면의 높이 보다 3.5배 내지 4배 크게 형성되는 것인, 순간온수모듈.
KR1020210162154A 2021-11-23 2021-11-23 정수기에 구비된 순간온수모듈 KR102662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154A KR102662968B1 (ko) 2021-11-23 2021-11-23 정수기에 구비된 순간온수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154A KR102662968B1 (ko) 2021-11-23 2021-11-23 정수기에 구비된 순간온수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703A true KR20230075703A (ko) 2023-05-31
KR102662968B1 KR102662968B1 (ko) 2024-05-03

Family

ID=86542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154A KR102662968B1 (ko) 2021-11-23 2021-11-23 정수기에 구비된 순간온수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9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8010A (ja) * 2010-08-05 2012-02-23 Fujitsu Ltd 受熱器、液冷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KR101544976B1 (ko) * 2014-09-26 2015-08-19 주식회사 나누텍 비데 트라이악의 수냉식 방열장치
KR20180114430A (ko) 2017-04-10 2018-10-18 ㈜디에스에이치 유체가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8010A (ja) * 2010-08-05 2012-02-23 Fujitsu Ltd 受熱器、液冷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KR101544976B1 (ko) * 2014-09-26 2015-08-19 주식회사 나누텍 비데 트라이악의 수냉식 방열장치
KR20180114430A (ko) 2017-04-10 2018-10-18 ㈜디에스에이치 유체가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968B1 (ko) 2024-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1474B2 (ja) オフショア−風力エネルギ装置のための冷却装置
KR102423368B1 (ko) 유도 가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2295457B1 (ko) 수처리 장치용 냉수생성모듈
KR101668017B1 (ko) 정수기의 순간 냉온수 장치
KR20180083393A (ko) 열교환 장치용 플레이트 및 열교환 장치
KR101325569B1 (ko) 공냉식과 수냉식으로 열을 방열시켜 주는 방열싱크 어셈블리
KR101510504B1 (ko) 증류수 제조장치
KR20230075703A (ko) 정수기에 구비된 순간온수모듈
KR20140055284A (ko)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KR102082243B1 (ko) 열전소자 열교환 모듈
KR101019946B1 (ko)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공급장치
CN106943829B (zh) 一种空气净化方法
JPH1034138A (ja) 冷却機能を備えた浄水器
CN209333965U (zh) 一种静电式净化设备的排油加热装置
KR200288720Y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수기
KR101564263B1 (ko) 온수가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20160027722A (ko) 정수기용 온수 가열 장치
GB2391611A (en) A heat exchanger
KR102348104B1 (ko) 특히 연료 연소 히터를 위한 플레이트 열교환기
KR101291269B1 (ko) 열교환 히트싱크를 이용한 냉온시스템
KR102370327B1 (ko) 정수기
KR100292151B1 (ko) 보일러 전열봉
CN218208024U (zh) 龙头结构
CN106196251A (zh) 电暖器及其末端散热片组件
KR102079909B1 (ko)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