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430A - 유체가열장치 - Google Patents

유체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430A
KR20180114430A KR1020170046177A KR20170046177A KR20180114430A KR 20180114430 A KR20180114430 A KR 20180114430A KR 1020170046177 A KR1020170046177 A KR 1020170046177A KR 20170046177 A KR20170046177 A KR 20170046177A KR 20180114430 A KR20180114430 A KR 20180114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heat
power supply
heat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3170B1 (ko
Inventor
이광열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에이치 filed Critical ㈜디에스에이치
Priority to KR1020170046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170B1/ko
Publication of KR20180114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10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 F24H1/103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with bare resistance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8Continuous-flow hea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1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axial ad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Abstract

유체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가열장치는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가열하는 유체가열부; 상기 유체가열부 내에 가열된 유체 온도에 따라 상기 유체가열부 측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원공급제어부; 상기 전원공급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도록 상기 전원공급제어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방열부재; 및 상기 방열부재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유체가열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체유입관;을 포함하되, 상기 전원공급제어부로부터 흡수된 상기 방열부재의 열은 상기 유체유입관으로 전달되고, 상기 유체유입관으로 전달된 열은 상기 유체유입관의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상기 유체의 온도를 상승시키며, 온도가 상승된 상기 유체가 상기 유체가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가열장치{Fluid heating device}
본 발명은 유체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가열장치는 주택이나 산업시설 또는 농업용 난방을 위해 이용되거나, 정수기의 온수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체가열장치는 유체를 가열하는 유체가열부와, 유체가열부 내의 가열부재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체가열부로 유입된 유체는 유체가열부 내에 배치되는 가열부재에 의해 가열된다. 이때, 유체가열부에는 가열부재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유체의 온도가 설정되어 있다. 이에, 유체가열부로 유입된 유체는 유체가열부에 설정된 온도가 될 때까지 가열부재에 의해 가열된다.
그러나, 유체가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온도는 계절에 따라 차이가 있다. 즉, 겨울에는 영하 날씨에 영향으로 유체의 온도가 봄, 여름, 가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저온이다.
이러한 저온의 유체가 유체가열부로 유입되면, 유체가열부 내의 가열부재는 설정된 온도까지 유체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전원공급부로부터 많은 전력을 공급받게 되고, 가열부재는 유체를 가열하는데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된다.
또한, 전원공급부는 가열부재로 많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다른 계절과 비교하여 더 많이 구동되므로, 전원공급부에 많은 부하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전원공급부의 부하는 전원공급부의 파손으로 연결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부재의 전력량을 낮춤으로써 전원공급부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유체가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가열하는 유체가열부; 상기 유체가열부 내에 가열된 유체 온도에 따라 상기 유체가열부 측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원공급제어부; 상기 전원공급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방출하도록 상기 전원공급제어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방열부재; 및 상기 방열부재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유체가열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체유입관;을 포함하되, 상기 전원공급제어부로부터 흡수된 상기 방열부재의 열은 상기 유체유입관으로 전달되고, 상기 유체유입관으로 전달된 열은 상기 유체유입관의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상기 유체의 온도를 상승시키며, 온도가 상승된 상기 유체가 상기 유체가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유체가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체유입관에는 상기 유체가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측정하는 유체유량계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유량계는 상기 방열부재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방열부재의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부재 및 상기 유체유량계 사이에는 상기 방열부재의 열을 상기 유체유량계로 전달하는 열전도패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유량계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날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부재는 상기 전원공급제어부와 접촉되는 제1 판부재; 상기 유체유입관과 접촉되는 제2판부재; 및 상기 제1 판부재와 상기 제2판부재를 연결하는 제3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판부재와 상기 제2판부재 사이에는 상기 전원공급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제어부는 트라이악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가열부는 하부측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측에는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되,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유체를 가열하는 복수 개의 가열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가열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복수 개의 유로가 형성되는 유동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가열부재는 상기 전원공급제어부를 통하여 전원공급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공급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유체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유체가열부로 내로 유입시키고, 온도가 상승된 상태로 유체가열부로 유입된 유체를 목표 온도로 가열하기 때문에 유체가열부의 가열부재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가열부재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의 부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전력공급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유체가열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유체가열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열장치의 유체유입관에 유체유량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유체가열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서 A-A'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유체가열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유체가열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열장치의 유체유입관에 유체유량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유체가열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에서 A-A'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열장치(100)는 유체가열부(110), 전원공급제어부(120), 방열부재(130) 및 유체유입관(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유체가열부(11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공급제어부(120) 및 방열부재(130)가 배치되는 하우징(190)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유체가열부(110)는 본체(111), 가열부재(112) 및 유동로(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1)의 내부에는 유동로(113) 및 가열부재(112)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111)의 외부에는 유입구(111a) 및 유출구(111b)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11a) 및 유출구(111b)는 본체(111)의 내부에 형성된 유동로(113)로 유체를 유출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입구(111a) 및 유출구(111b)는 각각 본체(111)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구(111a)는 본체(111)의 하부측에 형성되며, 유입구(111a)는 유체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체유입관(140)과 연결된다. 그리고 유출구(111b)는 본체(111)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배출부(191)와 연결된다.
배출부(191)는 내부에 유출구(111b)와 연결되는 배출관이 형성되며, 배출관은 가열된 유체가 배출되는 외부 유동관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유체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펌프부재(170)에 의해 유체유입관(140)을 따라 유입구(111a)를 통하여 유동로(113)로 유동된다.
그리고, 유입구(111a)를 통하여 본체(111)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유동로(113)를 따라 이동하며 상부측에 배치되는 유출구(111b)를 통하여 난방관 또는 온수관으로 배출된다.
가열부재(112)는 본체(111)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동로(113)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가열부재(112)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며, 후술되는 유동로(113)에 배치되어 유동로(113)를 유동하는 유체를 가열한다.
또한, 가열부재(11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가열부재(112)는 유동로(113)에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가열부재(112)가 서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유동로(113)가 복수 개의 유로로 분리될 수 있다. 특히, 복수 개의 유로는 복수 개의 가열부재(112)에 의하여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유동로(113)로 유입된 유체는 복수 개의 유로를 따라서 하부에서 상부로 지그재그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유체는 복수 개의 유로를 따라 지그재그로 유동하면서, 가열부재(112)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발생하는 기포를 상부측 유로로 유동시켜 유출구(111b)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재(112)는 세라믹 히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체(1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체를 가열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을 사용해도 좋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재(112)는 전원공급부(1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가열부재(112)의 일단에는 전류를 공급받는 단자(11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자(112a)는 본체(111)의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가열부재(112)의 단자(112a)는 전원공급제어부(120)를 통하여 전원공급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공급제어부(120)는 전원공급부(150)와 가열부재(112)의 단자(112a)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전원공급제어부(12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공급부(150)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가열부재(112)로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유체가열부(110)에는 유체가 가열부재(112)에 의해서 가열됨으로써 도달해야 하는 목표 온도(T1)가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로(113)로 유입된 유체가 가열부재(112)에 의해 목표 온도(T1)로 가열되어 가열 목표 온도(T1)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제어부(120)는 가열부재(112)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본체(111)의 유체의 목표 온도(T1)가 90 ~ 95도를 유지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전원공급제어부(120)는 가열부재(112)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유동로(113)로 유입된 유체가 가열부재(112)에 의해 가열되며, 가열된 유체의 온도가 90 내지 95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전원공급제어부(120)는 고속의 스위치 제어가 가능한 트라이악(TRlode Alternating Current switch, TRIAC)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이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전원공급제어부(120)는 트라이악 이외에도 가열부재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소자라면 어떠한 소자든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제어부(120)는 도 2에서와 같이 하우징(19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어회로(160) 상에 실장될 수 있으며, 제어회로(160)는 전원공급부(150), 유체가열부(110)의 가열부재(112), 전원공급제어부(120)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회로(160)은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은 일면에 전원공급제어부(120) 이외에 다수의 소자가 배열되어 실장된다.
한편, 전원공급제어부(120)는 고속의 스위치 제어가 가능하므로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전원공급제어부(1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방열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다.
방열부재(130)의 일면에는 전원공급제어부(12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방열부재(130)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열부재(130)는 하우징(190)의 일면에서 타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열부재(130)는 하우징(190)의 상부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하우징(190)의 상부측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방열부재(130)는 하우징(190)의 일면 상부측에 배치되는 제1 판부재(131), 하우징(190)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판부재(132) 및 제1 판부재(131)와 제2판부재(132)을 연결하는 제3판부재(133)으로 구성되며, 제1 판부재(131), 제2판부재(132) 및 제3판부재(13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원공급제어부(120)는 제1 판부재(13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판부재(131)와 제2판부재(13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하우징(190)과 제어회로(160)가 배치된다(도 6 참조).
이에, 전원공급제어부(120)에서 발생되는 열은 방열부재(130)의 제1 판부재(131), 제2판부재(132) 및 제3판부재(13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방열부재(130)로 전달된 열은 유체유입관(140)으로 전달되어 유체유입관(140)을 유동하는 유체를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체유입관(140)은 유체가열부(110)로 유입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이며, 유체유입관(140)의 일단은 유체가열부(110)의 유입구(111a)와 연결되며, 타단은 펌프부재(170)와 연결된다.
여기서, 펌프부재(170)는 유체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된다.
한편, 유체유입관(140)은 방열부재(130)의 일면과 접촉하며 유체가열부(110)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유체유입관(140)가 펌프부재(170)에서 유체가열부(110)의 유입구(111a)로 연결될 때, 유체유입관(140)의 일부가 방열부재(130)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전원공급제어부(120)로부터 방열부재(130)로 흡수된 열이 유체유입관(140)로 전달되어 유체를 가열할 수 있다. 즉, 방열부재(130)는 전원공급제어부(120)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하고, 방열부재(130)에 흡수된 열은 방열부재(130)와 접촉되는 유체유입관(140)로 전달된다.
그러면, 유체유입관(140)로 전달된 열은 유체유입관(140)를 유동하는 유체를 가열하게 되며, 이에 유체의 온도가 상승된 상태로 유체가열부(110)로 유입될 수 있다.
아울러, 방열부재(130)의 열을 유체유입관(140) 측으로 더 빠르게 전달시키기 위하여 방열부재(130)와 유체유입관(140) 사이에 열전도패드(18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유체유입관(140)는 열전도패드(180)와 먼저 결합된 후, 방열부재(13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전원공급제어부(120)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열부재(130)을 통하여 유체유입관(140)를 유동하는 유체를 가열함으로써, 유체의 온도가 상승되어 유체가열부(110)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유체의 온도를 상승시켜 유체가열부(110)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유체가 유동하는 유체유입관(140)가 방열부재(130)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다른 예로 유체유량계(142)가 방열부재(130)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유량계(142)는 유체가열부(110) 내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유체유입관(14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유체유량계(142)는 방열부재(130)의 일면과 접촉되며, 유체유량계(142)의 양단으로 유체유입관(140)이 결합될 수 있다.
유체유량계(142)가 방열부재(130)의 일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방열부재(130)의 열은 유체유량계(142)측으로 전달되고, 유체유량계(142)로 전달된 열은 유체유량계(142)를 통과하는 유체를 가열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방열부재(130)의 일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유체유입관(140)보다 유체유량계(142)가 더 넓기 때문에, 유체유량계(142)가 방열부재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경우, 많은 양의 유체를 가열하여 유체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온도가 상승된 유체가 유체가열부(110)로 유입될 수 있다.
아울러, 방열부재(130)의 열을 유체유량계(142) 측으로 더 빠르게 전달시키기 위하여 방열부재(130)와 유체유량계(142) 사이에 열전도패드(18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유체유량계(142)는 열전도패드(180)와 먼저 결합된 후, 방열부재(13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전원공급제어부(120)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열부재(130)을 통하여 유체유량계(142)를 유동하는 유체를 가열함으로써, 유체의 온도가 상승되어 유체가열부(110)로 유입될 수 있다.
아울러,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유량계(142)는 프로펠러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유체유량계(142)를 통과한 유체의 유량을 측정한다.
이를 위하여 유체유량계(142)의 내부에는 회전축(142a)과 회전축(142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날개부재(142b)가 구비된다. 그리고, 유체유량계(142)는 제어회로(160)와 배선(미도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유체유량계(142)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회전축(142a)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날개부재(142b)가 회전하게 되며, 복수 개의 날개부재(142b)의 회전수를 제어회로(160)에서 감지하여 유체의 유량을 측정한다.
한편, 본원발명에서는 유체유량계가 프로펠러의 회전수로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본원발명이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유체유량계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으면서, 방열부재(130)로 흡수된 열을 전달받을 수 있는 재질을 갖는 유체유량계라면 어떠한 형태든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유체유입관(140) 또는 유체유량계(142)를 유동하는 유체가 방열부재(130)의 열에 의하여 대략 2 내지 4도 정도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2 내지 4도 정도로 상승된 유체는 유체가열부 내로 유입되고, 유체가열부 내로 유입된 유체는 가열부재(112)에 의하여 유체가열부(110)에 설정된 목표 온도(T1)로 가열된다.
이때, 유체가열부 내로 유입된 유체가 방열부재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상태이므로, 목표 온도(T1)로 상승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가열부재의 전력량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작다. 이에 따라서, 유체가열부 내로 유입된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재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체 가열을 위해 사용되는 가열부재의 전력 소모가 낮아짐에 따라 가열부재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의 부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전력공급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유체가열장치 110 : 유체가열부
111 : 본체 112 : 가열부재
113 : 유동로 120 : 전원고급제어부
130 : 방열부재 140 : 유체유입관
142 : 유체유량계 150 : 전원공급부
160 : 제어회로 170 : 펌프부재
180 : 열전도패드

Claims (10)

  1.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가열하는 유체가열부;
    상기 유체가열부 내에 가열된 유체 온도에 따라 상기 유체가열부 측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원공급제어부;
    상기 전원공급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방출하도록 상기 전원공급제어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방열부재; 및
    상기 방열부재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유체가열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체유입관;을 포함하되,
    상기 전원공급제어부로부터 흡수된 상기 방열부재의 열은 상기 유체유입관으로 전달되고, 상기 유체유입관으로 전달된 열은 상기 유체유입관의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상기 유체의 온도를 상승시키며, 온도가 상승된 상기 유체가 상기 유체가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유체가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입관에는 상기 유체가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측정하는 유체유량계가 설치되는 유체가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량계는 상기 방열부재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방열부재의 열을 전달받는 유체가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 및 상기 유체유량계 사이에는 상기 방열부재의 열을 상기 유체유량계로 전달하는 열전도패드가 배치되는 유체가열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량계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날개부재;를 포함하는 유체가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상기 전원공급제어부와 접촉되는 제1 판부재;
    상기 유체유입관과 접촉되는 제2판부재; 및
    상기 제1 판부재와 상기 제2판부재를 연결하는 제3판부재;를 포함하는 유체가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부재와 상기 제2판부재 사이에는 상기 전원공급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배치되는 유체가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제어부는 트라이악인 유체가열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열부는
    하부측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측에는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되,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유체를 가열하는 복수 개의 가열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가열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복수 개의 유로가 형성되는 유동로;를 포함하는 유체가열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열부재는 상기 전원공급제어부를 통하여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유체가열장치.
KR1020170046177A 2017-04-10 2017-04-10 유체가열장치 KR101933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177A KR101933170B1 (ko) 2017-04-10 2017-04-10 유체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177A KR101933170B1 (ko) 2017-04-10 2017-04-10 유체가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430A true KR20180114430A (ko) 2018-10-18
KR101933170B1 KR101933170B1 (ko) 2019-02-01

Family

ID=64132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177A KR101933170B1 (ko) 2017-04-10 2017-04-10 유체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1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703A (ko) 2021-11-23 2023-05-31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에 구비된 순간온수모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8009B2 (ja) * 1992-02-07 1999-05-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湯沸器
KR200260589Y1 (ko) * 2001-09-10 2002-01-10 주식회사 일성전자 유량감지기
JP2004144446A (ja) * 2002-10-28 2004-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給湯装置
JP2005337564A (ja) * 2004-05-26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体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KR100880773B1 (ko) * 2008-01-23 2009-02-02 (주) 씨엠테크 유체 가열장치
KR20150089190A (ko) * 2014-01-27 2015-08-05 이장우 기둥형 발열유닛이 구비되는 순간온수기
KR101546923B1 (ko) * 2012-05-02 2015-08-24 베바스토 에스이 차량용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전자 제어 유닛의 냉각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8009B2 (ja) * 1992-02-07 1999-05-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湯沸器
KR200260589Y1 (ko) * 2001-09-10 2002-01-10 주식회사 일성전자 유량감지기
JP2004144446A (ja) * 2002-10-28 2004-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給湯装置
JP2005337564A (ja) * 2004-05-26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体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KR100880773B1 (ko) * 2008-01-23 2009-02-02 (주) 씨엠테크 유체 가열장치
KR101546923B1 (ko) * 2012-05-02 2015-08-24 베바스토 에스이 차량용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전자 제어 유닛의 냉각방법
KR20150089190A (ko) * 2014-01-27 2015-08-05 이장우 기둥형 발열유닛이 구비되는 순간온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703A (ko) 2021-11-23 2023-05-31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에 구비된 순간온수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170B1 (ko) 201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923B1 (ko) 차량용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전자 제어 유닛의 냉각방법
CN103796488B (zh) 用于电基板的冷却装置
ES2491219T3 (es) Calentador de líquido por resistencia eléctrica directa
CN105407684B (zh) 机车电气柜冷却装置及机车电气柜
KR20100011514A (ko) 차량용 프리히터
KR101933170B1 (ko) 유체가열장치
KR20060118822A (ko) 스크류관을 내장한 전기온수장치
CN208075344U (zh) 一种igbt模块的散热装置及磁能热水器
JP5283495B2 (ja) 航空機搭載用給湯装置
KR100918936B1 (ko)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TW201348664A (zh) 電加熱裝置
CN207622253U (zh) 一种新型ptc液体加热器
KR20050090031A (ko) 중형 전기보일러
KR101551874B1 (ko) 전력 사이리스터 장치 냉각 시스템
KR101511180B1 (ko) 판형 발열체를 이용한 온풍기
JP2016536197A (ja) 自動車両用の電気的な流体温度調節装置及び対応する加熱及び/又は空調設備
CN204377727U (zh) 小型半导体水族箱恒温机
US20160345546A1 (en) Water heater with mounting error protection
CN202428839U (zh) 带有散热液体通道的热敏打印头
CN208332651U (zh) 一种可控硅装置及液体加热设备
CN106132170B (zh) 电控装置及具有其的空调器
EP3108748B1 (en) Aquarium thermostat using plurality of peltier elements and method for adjusting breeding water temperature
CN110667257A (zh) 墨水恒温控制装置、循环墨路双加热模组及打印机
KR101215519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공기 공급 장치
CN216114181U (zh) 一种具有保温功能的电陶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