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909B1 -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909B1
KR102079909B1 KR1020180026460A KR20180026460A KR102079909B1 KR 102079909 B1 KR102079909 B1 KR 102079909B1 KR 1020180026460 A KR1020180026460 A KR 1020180026460A KR 20180026460 A KR20180026460 A KR 20180026460A KR 102079909 B1 KR102079909 B1 KR 102079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fluid
heat exchanger
low temperature
high temperatur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5848A (ko
Inventor
신유환
신동호
강상우
박진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26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909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18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pplying coatings, e.g. radiation-absorbing, radiation-reflecting; by surface treatment, e.g. poli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45/00Coatings; Surface trea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0/00Arrangements for modifying the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e.g. flow guiding means; Particular flow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 방향으로 유입된 고온의 유체로부터 상기 고온의 유체와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저온의 유체로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고온 유체관로와, 상기 고온 유체관로의 열교환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면을 통해 열전달이 이루어지고 상기 고온 유체관로와 반대 방향의 유체 흐름을 갖는 저온 유체 관로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하우징; 및 상기 저온 유체관로에서 상기 열교환면에 대향하는 대향 측면을 따라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저온 유체관로를 따라 흐르는 저온의 유체의 온도 상승에 대응하여 상기 열교환면을 향해 굴절하여 상기 저온 유체관로 내의 유로 단면적을 감소시키도록 형성되며, 서로 다른 열팽창율을 갖는 이종의 금속시트의 접합으로 형성된 금속시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HEAT EXCHANGER CAPABLE OF INSULATION USING FLOW RATE CONTROL}
본 발명은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의 유체로부터 저온의 유체로의 열전달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이루어지는,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고온의 유체로부터 저온의 유체에 열을 전달하는 장치로써, 난방수 및 급탕수와 같은 온수 생산을 위한 보일러와, 엔진의 배기가스나 바이오 가스의 폐수열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폐수열회수설비 등에서 사용된다.
예컨대, 폐수열회수설비는 고온의 유체가 저장된 고온유체저장조와, 저온의 유체가 저장된 저온유체저장조와, 고온의 유체로부터 회수된 열에 의해 저온의 유체가 변환하여 된 변환유체가 저장된 변환유체저장조를 각각 배관으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배관에는 열교환기와 고온의 유체와 저온의 유체를 펌핑하는 펌프를 설치하여 각각의 유체를 열교환기로 압송하여 열교환기 내에서 폐수의 열을 회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열교환기 내에서 고온의 유체와 저온의 유체가 유동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데, 필요로 하는 전열량 및 설치 공간 등을 고려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내부 배관은 코일형, 지그재그형 등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즉, 저온의 유체가 상기 열교환기를 지나면서 고온의 유체와의 열전달이 발생되어 고온 난방용으로 급수되는 것이다. 상기 급수 및 환수를 위하여 펌프가 가동될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에서는 고온의 유체로부터 저온의 유체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열교환율과 외부로의 열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열 성능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저온 유체가 흐르는 배관의 유로 단면적을 조절하여 유체의 유속과 외부 벽면과의 열전달율을 제어함으로써, 유체의 온도에 따른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열교환기 배관의 단열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 방향으로 유입된 고온의 유체로부터 상기 고온의 유체와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저온의 유체로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고온 유체관로와, 상기 고온 유체관로의 열교환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면을 통해 열전달이 이루어지고 상기 고온 유체관로와 반대 방향의 유체 흐름을 갖는 저온 유체 관로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하우징; 및 상기 저온 유체관로에서 상기 열교환면에 대향하는 대향 측면을 따라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저온 유체관로를 따라 흐르는 저온의 유체의 온도 상승에 대응하여 상기 열교환면을 향해 굴절하여 상기 저온 유체관로 내의 유로 단면적을 감소시키도록 형성되며, 서로 다른 열팽창율을 갖는 이종의 금속시트의 접합으로 형성된 금속시트를 포함하는,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금속시트는 상기 대향 측면을 향해 눕혀진 상태에서 저온의 유체의 온도에 따라 상기 열교환면을 따라 굴절되며, 상기 금속시트 사이에 유체의 순환흐름이 형성되어 대향 측면을 향한 열전달율이 감소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열교환기 하우징의 상기 고온 유체관로 및 상기 저온 유체관로는 사각형 단면의 관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열교환기 하우징은, 상기 고온 유체관로가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저온 유체관로는 상기 고온 유체관로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사각형 단면의 상기 열교환기 하우징의 내부가 세 개의 칸으로 분할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기는 행 또는 열, 또는 행과 열의 복합으로 다수의 열교환기 하우징이 배치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열교환기 하우징의 외부 벽면이 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낮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금속시트는 상기 저온 유체관로의 대향 측면을 향한 측에 열팽창계수가 큰 금속이 구비되고, 상기 저온 유체관로의 내측에 열팽창계수가 작은 금속이 구비되어 서로 부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금속시트는, 상기 대향 측면에서 상기 열교환면을 향하여 상기 저온 유체관로의 출구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에 의하면, 별도의 파워 없이 온도에 따라 유체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유체의 유량 제어를 통해 열 교환 성능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기에서 단열 성능이 대폭 개선되므로 단열재의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금속시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흐르는 유체의 맴돌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열교환 성능 및 단열 성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00)는, 금속시트(150)를 구비한 저온 유체관로(120, 130)와 고온 유체관로(140)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 하우징(110)은 외부 벽면이 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낮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하우징(110) 내부에는 상기 고온 유체관로(140) 및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130)에 해당하는 사각형 단면의 유로구조가 세 개의 칸으로 분할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온 유체관로(140)는 상기 열교환기 하우징(110) 내에서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130)는 상기 고온 유체관로(140)를 기준으로 상, 하측에 각각 위치한다.
상기 고온 유체관로(140)의 일측 면이 일측 상기 저온유체관로(140) 일측 면이 되고, 상기 고온 유체관로(140)의 타측 면이 타측 상기 저온 유체관로(140)의 일측 면이 된다. 본 명세서에 상기 고온 유체관로(140)와 상기 저온 유체관로(140) 사이의 면은 열교환면(142)으로 정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고온 유체관로(140)는 상, 하측의 열교환면(142)을 경계로 상, 하측의 상기 저온 유체관로(140)와 접하여 형성된다.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열교환기 하우징(110) 내에서 상기 고온 유체관로(140)의 상, 하측 양측으로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 140)가 배치되어 있으나,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130)는 상기 고온 유체관로(140)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고온 유체관로(140)의 상하좌우 측 모두에 상기 저온 유체관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열교환기(100)는 상기 열교환기 하우징(110)이 복합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컨대, 복수개의 상기 열교환기 하우징(110)이 행 또는 열을 이루어나 또는 행과 열을 동시에 복합하여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열교환기 하우징(110) 각각이 중앙에 위치하는 상기 고온유체관로(140)와 상기 고온 유체관로(140)를 중심으로 상하측 또는 좌우측와 같이 서로 반대편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 130)를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열교환기에서 유동하는 유체 용량을 증가시켜 전열량을 증가시키면서 향상된 열교환 성능 및 단열 성능을 갖는 형태로 열교환기를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온 유체관로(140)와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130)는 유체의 유동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역류형 관로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00)를 기준으로 서로 대응하는 반대 위치에 설치된 고온유체저장조와 저온유체저장조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열교환기(100)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100)는 보일러 등과 같은 온수를 생산하는 시스템의 열교환기 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온 유체관로(140)는 상기 고온유체저장조로부터 온도가 높은 고온의 유체가 일측으로 흐르는 배관이다. 여기서, 고온의 유체는 폐열 고온수, 바이오가스, 배기가스 등의 유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130)은 상기 고온 유체관로(140)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으며 저온의 유체가 저온유체저장조로부터 흐르는 타측으로 배관이다. 여기서, 저온의 유체는 저온의 물, 공기 등의 유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00)는 에어컨 등과 같은 냉각 시스템의 열교환기 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온 유체관로(140)에서는 냉방을 위한 물 또는 공기가 유동되며,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 130)에서는 냉매가 유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온 및 저온의 유체는 서로 열교환이 될 수 있도록 물리적 특성이 다른 유체이기만 하면 되고 반드시 특정한 조건의 유체가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 130)의 내부에는 상기 열교환면(142)에 대향하는 대향 측면(122, 132)에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130)를 따라 복수의 금속시트(150)가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시트(150)는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 130)의 대향 측면(122, 132)에서 상기 고온 유체관로(140)의 상기 열교환면(142)의 향하여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 130)의 출구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금속시트(150)는 열팽창계수, 즉 온도의 변화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는 정도가 다른 두 종류의 금속시트가 서로 부착된 금속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종 금속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시트(150)는 이종 금속시트로 형성되어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130) 내부의 대향 측면(122, 132)에 유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포개어져 있다. 금속시트(150)를 열교환면(142)에서 대향 측면(122, 132)으로 바라볼 때 부분적으로 중첩된 형태로 배치된다. 이로 인해 금속시트(150)가 열교환면(142)을 향해 굴절될 때, 유체 흐름이 상기 금속시트(150) 사이에 갇히면서 순환흐름이 형성되는 데 유리하다.
상기 금속시트(150)는 이종 금속시트로 형성되므로, 온도가 높아지면 열팽창계수가 큰 쪽이 더 많이 팽창하면서 반대쪽(열팽창계수가 작은 쪽)으로 굴절하게 되고, 온도가 설정 온도까지 내려가 수렴하게 되면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130) 내에 설치되는 금속시트(150)에서 저온 유체관로(120,130)의 내측 방향 즉, 열교환면(142) 방향으로 굴절하도록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130)의 대향 측면을 향한 외측에 열팽창계수가 큰 금속이 구비되고, 상기 열교환면(142)을 향한 내측에 열팽창계수가 작은 금속이 구비된다. 열팽창계수가 작은 금속으로는 니켈 및 철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고, 열팽창계수가 큰 금속으로는 니켈, 망간 및 철의 합금과, 니켈, 몰리브덴 및 철의 합금과, 니켈, 망간 및 구리의 합금 등의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시트(150)가 이종의 금속시트가 서로 접합되어 형성되므로, 금속시트(150)의 굴절을 별도로 제어할 필요 없이 저온 유체관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되고, 이에 따라 온도에 따른 유량 제어 및 이에 따른 단열 효과가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흐르는 유체의 맴돌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종의 금속시트의 접합으로 이루어진 금속시트(150)의 굴절 정도는 유체가 저온 유체관로(120,130)의 출구측 및 고온 유체관로(140)의 입구측에 근접할수록 크게 나타난다. 즉,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130)를 흐르는 유체가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금속시트(150)의 굴절 정도가 크게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금속시트(150)는,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130) 내를 흐르는 유체가 출구측으로 갈수록 굴절율이 증가하여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130)의 유로를 일부 차단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130) 내의 유체의 온도에 따라 유로 단면적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금속시트(150)의 굴절 즉, 휨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 130)에서 상기 금속시트(150)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유로 즉, 열교환면(142)에 인접한 유체의 속도가 베르누이 원리에 의해 국소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 130)의 출구 측에서 상기 열교환면(142)에 인접한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130)를 흐르는 유체의 유속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고온 유체관로(140)와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130)를 흐르는 유체 간의 열교환율이 증가하게 되어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 130)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130)에서 상기 금속시트(150)가 상기 열교환면(142)을 향해 휨에 따라 상기 금속시트(150) 사이가 벌어지면서 상기 금속시트(150) 사이에 유체가 유입되는 데, 상기 금속시트(150) 사이에는 유체가 갇혀 정체되는 순환영역이 형성된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130)를 흐르는 출구 측에서 유체가 상기 금속시트(150)의 사이에 갇히게 되면서 그 내측에서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맴돌이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이종 금속시트의 접합으로 이루어진 금속시트(150)는 유체의 온도가 증가됨에 따라 휨 정도가 증가하는 바,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130)를 흐르는 유체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저온 유체관로(120,130)의 출구 측에서, 대향 측면(122,132)을 따라 일부 유체가 금속시트(150) 사이에서 선회하면서 정체하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 하우징(110)에서 상기 대향 측면(122, 132)은 상기 열교환기 하우징(110)의 외측에 접한 면으로서, 외부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 방출면이다. 그런데, 도 4 및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130)의 출구 측에서 열 방출면에 위치하는 유체가 금속시트(150)의 사이에서 정체함에 따라 유체의 온도가 서서히 하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저온 유체관로(120,130)의 외측 벽면과의 열교환율이 저하됨에 따라 단열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외부와의 열교환 즉, 열의 방출은 열 방출면을 기준으로 내외부의 온도차에 영향 받는데, 열교환기의 저온 유체관로(120, 130)의 출구 측에서 상기 저온 유체관로(120, 130)를 유동하는 유체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열 방출이 상대적으로 크게 일어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저온 유체관로(120, 130) 내부를 따라 저온 유체관로(120, 130)의 유체의 온도에 따라 금속시트(150)가 굴절되면서 외부와의 열교환 즉, 열 방출을 차단하게 되므로 별도의 단열재 없이 유체 제어를 이루면서 벽면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저온 유체관로(120, 130)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온도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금속시트(150)의 휨 정도가 커지고, 이에 따라 상기 금속시트(150)의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면서 유체가 선회하면서 정체하는 영역 역시 증가된다. 이와 같이 저온 유체관로(120, 1300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온도가 증가될 수 도록 단열 효과 역시 증가되므로 전체적으로 벽면 단열 성능 향상이 이루어진다.
도 6은 공지의 단열이 필요한 일반 유체관로(a)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저온 유체관로(b)의 열교환에 따른 온도 분포를 해석한 것으로, 본 발명의 열교환기의 저온 유체관로(b)에서는 출구 상부 측(B1) 즉, 고온 유체관로와 접하는 열교환면에서는 유속 증가로 열전달률이 상승함에 따라 온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상기 금속시트가 부착된 저온 유체관로의 출구 하부 측(B2)에는 유체 정체로 열전달률이 감소하면서 온도가 서서히 하강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의 유로 단면적을 탄력적으로 조절하여 유체의 유속과 외부 벽면과의 열전달율을 제어함으로써, 유체의 온도에 따른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단열재 없이도 열교환기의 단열 성능을 대폭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열교환기 110 : 열교환기 하우징
120,130 : 저온 유체관로 140 : 고온 유체관로
150 : 금속시트

Claims (7)

  1. 일측 방향으로 유입된 고온의 유체로부터 상기 고온의 유체와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저온의 유체로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고온 유체관로와, 상기 고온 유체관로의 열교환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면을 통해 열전달이 이루어지고 상기 고온 유체관로와 반대 방향의 유체 흐름을 갖는 저온 유체 관로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하우징; 및
    상기 저온 유체관로에서 상기 열교환면에 대향하는 대향 측면을 따라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저온 유체관로를 따라 흐르는 저온의 유체의 온도 상승에 대응하여 상기 열교환면을 향해 굴절하여 상기 저온 유체관로 내의 유로 단면적을 감소시키도록 형성되며, 서로 다른 열팽창율을 갖는 이종의 금속시트의 접합으로 형성된 금속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시트는 상기 대향 측면을 향해 눕혀진 상태에서 저온의 유체의 온도에 따라 상기 열교환면을 따라 굴절되며,
    상기 금속시트들 사이에 유체의 순환흐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하우징의 상기 고온 유체관로 및 상기 저온 유체관로는 사각형 단면의 관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하우징은,
    상기 고온 유체관로가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저온 유체관로는 상기 고온 유체관로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기는 행 또는 열, 또는 행과 열의 복합으로 다수의 상기 열교환기 하우징이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하우징의 외부 벽면은 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낮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시트는, 상기 저온 유체관로의 대향 측면을 향한 측에 열팽창계수가 큰 금속이 구비되고, 상기 저온 유체관로의 내측에 열팽창계수가 작은 금속이 구비되어 서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시트는, 상기 대향 측면에서 상기 열교환면을 향하여 상기 저온 유체관로의 출구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
KR1020180026460A 2018-03-06 2018-03-06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 KR102079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460A KR102079909B1 (ko) 2018-03-06 2018-03-06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460A KR102079909B1 (ko) 2018-03-06 2018-03-06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848A KR20190105848A (ko) 2019-09-18
KR102079909B1 true KR102079909B1 (ko) 2020-02-19

Family

ID=6807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460A KR102079909B1 (ko) 2018-03-06 2018-03-06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9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79242A1 (en) * 2011-05-06 2012-1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ntrollable heat exchanger for a motor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79242A1 (en) * 2011-05-06 2012-1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ntrollable heat exchanger for a motor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848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2369B1 (en) Heat absorbing or dissipating device with multi-pipe reversely transported temperature difference fluids
KR100645734B1 (ko) 난방/온수 겸용 콘덴싱 보일러의 열교환기
US8622116B2 (en) Heat absorbing or dissipating device with multi-pipe reversely transported temperature difference fluids
US20110024080A1 (en) Heat Exchanger
JP4916857B2 (ja) 耐圧性熱交換器
KR102079909B1 (ko) 유량 제어에 의해 단열이 가능한 열교환기
KR101729238B1 (ko) 축열탱크 내장형 컴팩트 하이브리드 열교환기
KR100868521B1 (ko) 보일러시스템용 열증폭기
JP5046748B2 (ja) 給湯システムのガスクーラ
CN109075244B (zh) 车用能量回收单元
CN103097847A (zh) 热交换器
KR101793134B1 (ko) 용융염 열교환기
KR20200033054A (ko) 관내 유체 열교환용 납작 배관 및 관내 유체 가열 장치
KR100993035B1 (ko) 열교환기용 주름관 및 그를 포함한 열교환기
Deshpande et al. Design and performance study of shell and tube heat exchanger with single segmental baffle having perpendicular & parallel-cut orientation
KR100680556B1 (ko) 열교환 장치
JP5751447B2 (ja) 熱交換器、並びに、熱源装置
KR102348104B1 (ko) 특히 연료 연소 히터를 위한 플레이트 열교환기
US4815526A (en) Central space heating apparatus
CN221098991U (zh) 换热器
KR102114863B1 (ko) Pcm적용 판형 열교환기
CN106061217A (zh) 一种水冷散热器
KR200444685Y1 (ko) 플레이트형 열교환 유닛
TR2023008358A2 (tr) Bi̇r plakali eşanjör
KR20220026291A (ko) 수직 수평 하이브리드 모듈형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