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653A - 신규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요 우울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요 우울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653A
KR20230074653A KR1020220152551A KR20220152551A KR20230074653A KR 20230074653 A KR20230074653 A KR 20230074653A KR 1020220152551 A KR1020220152551 A KR 1020220152551A KR 20220152551 A KR20220152551 A KR 20220152551A KR 20230074653 A KR20230074653 A KR 20230074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ol
dcm
formula
reaction mixture
dissol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2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영주
이신영
하현수
함병주
황종익
허성훈
푸엉 란 응우옌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22/01810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90853A1/ko
Publication of KR20230074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6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7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amic or thiocarbamic acids, meprobamate, carbachol, neostig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961,2,4-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06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only substituted in position 3, e.g. zimel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cyclohexim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08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10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14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to carbon atoms of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halogen atoms or by nitro or nitros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32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71/34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40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71/42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44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radicals containing only carbon and hydroge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radicals containing only carbon and hydroge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3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40Oxygen atoms
    • C07D211/44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4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54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56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1/18One oxygen or sulfur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8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은 P2X7R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이용하여 주요 우울 장애를 근본적으로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신규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요 우울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Novel urea- or carbamate-based antagonists of P2X7 receptor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2X7R 활성을 억제하여 주요 우울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능을 나타내는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요 우울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울증(Depression)은 의욕 저하와 우울감을 주요 증상으로 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신체적 증상을 일으켜 일상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우울감, 무기력감, 불안, 흥미의 저하, 식욕장애, 수면장애, 자살 충동, 무가치감, 부적절한 죄책감, 집중력, 및 기억력 감퇴 등이 있다. 또한, 우울증은 비만, 심혈관질환, 퇴행성 신경질환 등 많은 합병증을 수반하는 매우 복잡한 장애로서, 근본적인 발병 메커니즘은 여전히 불분명하다.
우울증 치료에는 여러 가지 옵션이 있지만 지난 30년 동안 혁신적인 치료법이 승인되지 않았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억 6천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우울증을 앓고 있으며, 특히 선진국 인구의 8~12%가 일생에 한 번 이상 우울증에 시달린 적이 있다.
현재 우울증 환자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 또는 삼환계 항우울제(tricyclic antidepressants, TCA)를 사용하여 임상적으로 치료하고 있다. 그러나 우울증 진단을 받은 환자의 10~30%는 이러한 SSRI 및 TCA에 반응하지 않아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미세아교세포는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아교세포계의 한 종류로 뇌와 척수의 신경기능을 보조하거나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신경-미세아교세포의 상호작용은 신경-면역계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대표적인 기전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 상태를 조절하는 것은 신경-면역계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신경-면역계의 불균형은 곧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주요우울장애 등 여러 신경정신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우울증의 발병기전에서 ATP-게이트 양이온 채널인 퓨린성 P2X7 수용체(P2X7R)의 기전이 보고되었다. P2X7R-NLRP3-인터루킨 경로를 억제하는 것은 신경-면역 염증을 조절하는 옵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R 10-2018-0116316 A1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P2X7R 활성 억제제를 식별하기 위해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기반 유사체를 설계, 합성 후 평가하여 강력한 P2X7R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신규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요 우울 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능을 나타내는 신규한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 또는 이의 라세미체,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신규한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 또는 이의 라세미체,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요 우울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2X7 수용체 길항제가 우울증을 유도하는 핵심적인 기전인 P2X7R-NLRP3-인터루킨 경로를 효과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요 우울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능을 나타내는 신규한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 또는 이의 라세미체,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요 우울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X, Y 및 Z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F3, 및 탄소수 1 내지 2의 알킬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R은 수소, 및 탄소수 1 내지 2의 알킬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R'는
Figure pat00002
,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
Figure pat00005
,
Figure pat00006
,
Figure pat00007
,
Figure pat00008
,
Figure pat00009
,
Figure pat00010
,
Figure pat00011
,
Figure pat00012
,
Figure pat00013
,
Figure pat00014
,
Figure pat00015
,
Figure pat00016
, 및
Figure pat00017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은 이에 의해서 그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9]로 표시되는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9]로 표시되는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은 우수한 P2X7R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9]로 표시되는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합성과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하기 [1]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의 합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1]
Figure pat00023
[2]
Figure pat00024
[3]
Figure pat00025
[4]
Figure pat00026
본 발명에 따른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의 약제학적 허용 가능한 염은 염산염, 브롬산염, 황산염, 인산염, 구연산염, 아세트산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젖산염, 주석산염, 말레인산염, 푸마린산염, 글루콘산염, 메탄설폰산염, 글리콘산염, 숙신산염, 4-톨루엔설폰산염, 글루투론산염, 엠본산염, 글루탐산염, 또는 아스파트산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무기산 및 유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염이 모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의 라세미체는 (R)-배열((R)-configuration) 또는 (S)-배열((S)-configuration)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 또는 이의 라세미체,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요 우울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P2X7R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주요 우울 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는 기분 장애(mood disorder) 또는 불안 장애(anxiety disorder)를 포함한다.
상기 기분장애는 우울증(Depressive Disorders), 조울증(Bipolar Disorders) 및 기타 기분 장애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불안장애는 공포 장애(Panic Disorders), 공포성 불안 장애(Phobic Disorders), 강박 장애(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급성 스트레스 장애(Acute Stress Disorder), 범 불안 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및 기타 불안 장애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주요 우울 장애를 억제시키거나 이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주요 우울 장애에 대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유효성분으로 포함"은 원하는 생물학적 효과를 실현하는데 필요하거나 또는 충분한 양으로 해당 성분이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적용에 있어서 유효 성분으로 포함되는 양의 결정은 대상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양으로서, 다른 독성을 야기하지 않는 사항을 고려해서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치료되는 질병 또는 병태, 투여되는 조성물의 형태, 피험체의 크기, 또는 질병 또는 병태의 심각도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지닌 기술자라면 과도한 실험을 동반하지 않고 개별적 조성물의 유효량을 경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염산, 브롬화수소, 황산, 황산수소나트륨, 인산, 탄산 등의 무기산과의 염, 또는 개미산, 초산, 옥살산, 벤조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글루콘산, 게스티스산, 푸마르산, 락토비온산, 살리실릭산 또는 아세틸살리실릭산(아스피린)과 같은 유기산과 함께 산의 염을 형성하거나, 또는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이온과 반응하여 이들의 금속염을 형성하거나, 또는 암모늄 이온과 반응하여 또 다른 형태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라 함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성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사이클로덱스트린,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리포좀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화에 관해서는 레밍턴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제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주사제, 흡입제, 피부 외용제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얄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배설속도, 질병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kg 당 0.001 내지 150m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 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신규한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은 P2X7R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이용하여 주요 우울 장애를 근본적으로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P2X7R 길항제 화합물 2d(KB 3140)의 Ca2+ Assay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P2X7R 길항제 화합물 3d(KB 3141)의 Ca2+ Assay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P2X7R 길항제 화합물 4a(KB 3101)의 Ca2+ Assay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P2X7R 길항제 화합물 4e(KB 3120)의 Ca2+ Assay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P2X7R 길항제 화합물 4i(KB 3145)의 Ca2+ Assay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P2X7R 길항제 화합물 4j(KB 3146)의 Ca2+ Assay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P2X7R 길항제 화합물 5h(KB 3166)의 Ca2+ Assay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P2X7R 길항제 화합물 7a(KB 3167)의 Ca2+ Assay 결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P2X7R 길항제 화합물 8d(KB 3142)의 Ca2+ Assay 결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P2X7R 길항제 화합물 9b(KB 3118)의 Ca2+ Assay 결과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P2X7R 길항제 화합물 9d(KB 3143)의 Ca2+ Assay 결과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P2X7R 길항제 화합물 13a(KB 3147)의 Ca2+ Assay 결과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P2X7R 길항제 화합물 13a(KB 3147)의 IL-1β secretion assay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합성예. 본 발명예 따른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의 합성
상술한 화합물의 합성과정 흐름도 [1], [2], [3], [4]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9]의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들을 하기 방법에 의해서 합성하였다.
반응에 사용된 모든 화학물질 및 용매는 Sigma-Aldrich, TCI 및 Acros에서 구입하였고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반응 과정은 실리카 겔 60F254(Merck, Germany) 플레이트에서 TLC로 모니터링하고, UV254 빛 및/또는 KMnO4 염색으로 시각화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 겔(Silica gel 60; 230-400 mesh ASTM, Merck)에서 수행되었다. NMR 스펙트럼은 Bruker Ultrashield 600MHz Plus(1H, 600 MHz; 13C, 150 MHz) 분광계에서 기록되었다. 모든 화학적 이동은 테트라메틸실란(δ=0)으로부터 백만분율(ppm)로 기록되었으며, 샘플이 분석된 용매(CDCl3: δ 7.26 for 1H NMR, δ 77.0 for 13C NMR; MeOH-d 4: δ 3.31 for 1H NMR, δ 49.0 for 13C NMR)에 대해 측정되었다. 1H NMR 이동 값은 chemical shift(δ), corresponding integral, multiplicity(s = singlet, br = broad, d = doublet, t = triplet, q = quartet, m = multiplet, dd = doublet of doublets, td = triplet of doublets, qd = quartet of doublets), coupling constant(J in Hz) 및 assignments로 기록되었다. HRMS는 Agilent 6530 Accurate Mass Q-TOF LC/MS 분광계에서 기록되었다.
(ⅰ) 우레아 커플링(urea coupling) 반응:
적절한 벤질아민 (1.0 eq)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3.0 eq)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0.34 eq)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에 용해된 적절한 아민 (1.2 eq) 및 트리에틸아민 (2.0 eq)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 용액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메탄올을 사용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1) [화학식 2] N-(2-Chloro-3-(trifluoromethyl)benzyl)-3-hydroxypyrrolidine-1-carboxamide ( 2a ) (KB 3103)
2-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탄아민 (1a) (400 mg, 1.8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15.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8 mL, 5.4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180 mg, 0.6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피롤리딘-3-올 (0.18 mL, 2.16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56 mL, 3.6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a를 68% 수율 (396 mg, 1.23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MeOD) δ 7.67 (d, J = 7.9 Hz, 1H), 7.65 (d, 1H), 7.46 (t, J = 7.7 Hz, 1H), 4.84 - 4.75 (m, 1H), 4.52 (d, J = 2.8 Hz, 2H), 4.44 (s, 1H), 3.55 - 3.48 (m, J = 9.9, 5.7 Hz, 3H), 3.39 (d, J = 10.7 Hz, 1H), 2.11 - 2.03 (m, J = 9.3 Hz, 1H), 2.01 - 1.93 (m, 1H).
2) [화학식 3] N-(2,6-Dichlorobenzyl)-3-hydroxypyrrolidine-1-carboxamide ( 2b ) (KB 3113)
2,6-(디클로로페닐)메탄아민 (1b) (400 mg, 2.27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15.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1.04 mL, 6.81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228 mg, 0.77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피롤리딘-3-올 (0.22 mL, 2.72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8 mL, 5.44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b를 53% 수율 (345 mg, 1.19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MeOD) δ 7.39 (d, J = 8.0 Hz, 2H), 7.26 (t, 1H), 4.70 - 4.61 (m, J = 13.7, 4.6 Hz, 2H), 4.40 - 4.36 (m, 1H), 3.46 - 3.40 (m, 3H), 3.31 - 3.28 (m, 1H), 2.04 - 1.97 (m, J = 13.4, 9.1, 4.5 Hz, 1H), 1.93 - 1.87 (m, J = 3.4 Hz, 1H).
3) [화학식 4] N-(2,6-Difluorobenzyl)-3-hydroxypyrrolidine-1-carboxamide ( 2c ) (KB 3122)
(2,6-다이플루오로페닐)메탄아민 (1c) (0.33 mL, 2.79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15.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1.3 mL, 8.37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 ℃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282 mg, 0.95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피롤리딘-3-올 (0.27 mL, 3.35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85 mL, 5.58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c를 41% 수율 (295 mg, 1.15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24 - 7.18 (m, J = 7.5 Hz, 1H), 6.90 - 6.85 (m, J = 7.2 Hz, 2H), 4.59 (s, 1H), 4.53 (d, J = 3.7 Hz, 2H), 4.49 - 4.45 (m, 1H), 3.50 - 3.48 (m, 1H), 3.44 - 3.36 (m, 2H), 2.04 - 1.99 (m, 1H), 1.97 (s, 1H).
4) [화학식 5] 3-Hydroxy-N-((S)-1-phenylethyl)pyrrolidine-1-carboxamide ( 2d ) (KB 3140)
(S)-1-페닐에탄아민 (0.26 mL, 3.30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10.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1.5 mL, 9.9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332 mg, 1.12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피롤리딘-3-올 (0.34 mL, 3.96 mmol) 및 트리에틸아민 (1.1 mL, 6.6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d를 58% 수율 (448 mg, 1.91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MeOD) δ 7.34 (d, J = 7.1 Hz, 2H), 7.29 (t, J = 6.9 Hz, 2H), 7.19 (d, J = 7.1 Hz, 1H), 4.96 - 4.90 (m, J = 14.6 Hz, 1H), 4.40 (s, 1H), 3.50 - 3.41 (m, 3H), 3.36 - 3.34 (m, 1H), 2.05 - 1.97 (m, 1H), 1.94 - 1.89 (m, 1H), 1.46 (d, J = 6.7 Hz, 3H).
5) [화학식 6] N-(2-Chloro-3-(trifluoromethyl)benzyl)-3-oxopyrrolidine-1-carboxamide ( 3a ) (KB 3104)
DCM (5.0 mL) 중 화합물 2a (200 mg, 0.62 mmol, 1.0 eq)의 용액에 Dess-Martin periodinane (0.3 M in CH2Cl2, 4.2 mL, 1.24 mmol, 2.0 eq)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 겔에 직접 부은 후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ane/EtOAc, 5:1 to 1:1)로 정제하였다. 화합물 3a (107 mg, 0.33 mmol)를 5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69 (d, J = 7.6 Hz, 1H), 7.65 (d, J = 7.8 Hz, 1H), 7.36 (t, J = 7.8 Hz, 1H), 4.93 (s, 1H), 4.60 (d, J = 6.1 Hz, 2H), 3.81 - 3.76 (m, 4H), 2.66 (t, J = 7.8 Hz, 2H).
6) [화학식 7] N-(2,6-Chlorobenzyl)-3-oxopyrrolidine-1-carboxamide ( 3b ) (KB 3114)
DCM (5.0 mL) 중 화합물 2b (200 mg, 0.69 mmol, 1.0 eq)의 용액에 Dess-Martin periodinane (0.3 M in CH2Cl2, 4.6 mL, 1.38 mmol, 2.0 eq)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 겔에 직접 부은 후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ane/EtOAc, 5:1 to 1:1)로 정제하였다. 화합물 3b (152 mg, 0.53 mmol)를 7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33 (d, J = 8.0 Hz, 2H), 7.18 (t, 1H), 4.77 (d, J = 4.3 Hz, 2H), 3.80 - 3.74 (m, J = 15.1, 7.4 Hz, 4H), 2.63 (t, J = 7.8 Hz, 2H).
7) [화학식 8] N-(2,6-Difluorobenzyl)-3-oxopyrrolidine-1-carboxamide ( 3c ) (KB 3123)
DCM (5.0 mL) 중 화합물 2c (101 mg, 0.33 mmol, 1.0 eq)의 용액에 Dess-Martin periodinane (0.3 M in CH2Cl2, 2.2 mL, 0.66 mmol, 2.0 eq)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 겔에 직접 부은 후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ane/EtOAc, 5:1 to 1:1)로 정제하였다. 화합물 3c (48 mg, 0.18 mmol)를 4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25 - 7.20 (m, J = 14.8, 8.0 Hz, 1H), 6.88 (t, J = 7.7 Hz, 2H), 4.76 (s, 1H), 4.55 (d, J = 5.6 Hz, 2H), 3.78 - 3.73 (m, J = 15.0, 7.2 Hz, 4H), 2.62 (t, J = 7.8 Hz, 2H).
8) [화학식 9] (S)-3-Oxo-N-(1-phenylethyl)pyrrolidine-1-carboxamide ( 3d ) (KB 3141)
DCM (5.0 mL) 중 화합물 2d (217 mg, 0.93 mmol, 1.0 eq)의 용액에 Dess-Martin periodinane (0.3 M in CH2Cl2, 6.2 mL, 1.86 mmol, 2.0 eq)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 겔에 직접 부은 후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ane/EtOAc, 5:1 to 1:1)로 정제하였다. 화합물 3d (144 mg, 0.62 mmol)를 6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34 (t, J = 6.5 Hz, 4H), 7.28 - 7.26 (m, J = 7.4, 3.1 Hz, 1H), 5.10 - 5.04 (m, J = 7.0 Hz, 1H), 4.46 (d, J = 6.9 Hz, 1H), 3.80 - 3.75 (m, 4H), 2.64 (t, J = 7.7 Hz, 2H), 1.53 (d, J = 6.9 Hz, 3H).
9) [화학식 10] (R)-1-((2-chloro-3-(trifluoromethyl)benzyl)carbamoyl)pyrrolidine-2-carboxylic acid ( 4a ) (KB 3101)
2-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탄아민 (1a) (400 mg, 1.91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10.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9 mL, 5.73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193 mg, 0.65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R)-피롤리딘-2-카복시산 (264 mg, 2.29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6 mL, 3.82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4a를 65% 수율 (438 mg, 1.25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MeOD) δ 7.67 (t, J = 7.7 Hz, 2H), 7.45 (t, J = 7.8 Hz, 1H), 4.51 (q, J = 16.7 Hz, 2H), 4.43 - 4.40 (m, 1H), 3.60 - 3.55 (m, 1H), 3.50 - 3.45 (m, J = 16.5, 7.4 Hz, 1H), 2.31 - 2.23 (m, 1H), 2.10 - 2.01 (m, 3H).
10) [화학식 11] (S)-1-((2-Chloro-3-(trifluoromethyl)benzyl)carbamoyl)pyrrolidine-2-carboxylic acid ( 4b ) (KB 3102)
2-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탄아민 (1a) (400 mg, 1.8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10.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8 mL, 5.4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180 mg, 0.6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S)-피롤리딘-2-카복시산 (248 mg, 2.16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56 mL, 3.6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4b를 49% 수율 (327 mg, 0.93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MeOD) δ 7.67 (t, J = 8.2 Hz, 2H), 7.45 (t, J = 7.8 Hz, 1H), 4.51 (q, J = 16.7 Hz, 2H), 4.43 - 4.40 (m, J = 8.7, 2.5 Hz, 1H), 3.60 - 3.55 (m, J = 12.5, 6.3 Hz, 1H), 3.48 - 3.45 (m, J = 7.0, 5.3 Hz, 1H), 2.31 - 2.22 (m, 1H), 2.09 - 2.01 (m, 3H).
11) [화학식 12] (R)-1-((2,6-Dichlorobenzyl)carbamoyl)pyrrolidine-2-carboxylic acid ( 4c ) (KB 3111)
2,6-(디클로로페닐)메탄아민 (1b) (400 mg, 2.27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10.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1.04 mL, 6.81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228 mg, 0.77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R)-피롤리딘-2-카복시산 (313 mg, 2.72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8 mL, 5.44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4c를 13% 수율 (97 mg, 0.31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MeOD) δ 7.37 (d, J = 8.0, 3.1 Hz, 2H), 7.25 (t, J = 10.6, 5.5 Hz, 1H), 4.72 - 4.60 (m, J = 33.3, 13.3 Hz, 2H), 4.25 - 4.17 (m, 1H), 3.45 - 3.41 (m, 1H), 3.35 - 3.32 (m, 1H), 2.12 - 2.06 (m, J = 6.2 Hz, 2H), 2.04 - 1.97 (m, 1H), 1.91 - 1.84 (m, J = 4.6 Hz, 1H).
12) [화학식 13] (S)-1-((2,6-Dichlorobenzyl)carbamoyl)pyrrolidine-2-carboxylic acid ( 4d ) (KB 3112)
2,6-(디클로로페닐)메탄아민 (1b) (0.23 mL, 1.7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10.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78 mL, 5.1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172 mg, 0.58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S)-피롤리딘-2-카복시산 (235 mg, 2.04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52 mL, 3.4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4d를 12% 수율 (66 mg, 0.21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MeOD) δ 7.38 (d, J = 8.1 Hz, 2H), 7.25 (t, J = 8.0 Hz, 1H), 4.73 - 4.60 (m, J = 47.9, 13.6 Hz, 2H), 4.33 - 4.24 (m, 1H), 3.47 - 3.42 (m, J = 12.0, 8.5 Hz, 1H), 3.23 - 3.19 (m, J = 7.3 Hz, 1H), 2.18 - 2.10 (m, 1H), 2.09 - 1.95 (m, 2H), 1.94 - 1.87 (m, 1H).
13) [화학식 14] (R)-1-((2,6-Difluorobenzyl)carbamoyl)pyrrolidine-2-carboxylic acid ( 4e ) (KB 3120)
(2,6-다이플루오로페닐)메탄아민 (1c) (300 mg, 2.1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10.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96 mL, 6.3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211 mg, 0.71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R)-피롤리딘-2-카복시산 (290 mg, 2.52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64 mL, 4.2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4e를 14% 수율 (85 mg, 0.30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MeOD) δ 7.33 - 7.27 (m, 1H), 6.93 (t, J = 7.9 Hz, 2H), 4.51 (d, J = 14.4 Hz, 1H), 4.38 (d, J = 14.3 Hz, 1H), 4.32 - 4.28 (m, J = 6.6 Hz, 1H), 3.47 - 3.41 (m, J = 8.8, 4.4 Hz, 1H), 3.36 - 3.32 (m, 1H), 2.20 - 2.11 (m, J = 20.2, 8.4 Hz, 1H), 2.05 - 1.99 (m, 2H), 1.96 - 1.90 (m, 1H).
14) [화학식 15] (S)-1-((2,6-Difluorobenzyl)carbamoyl)pyrrolidine-2-carboxylic acid ( 4f ) (KB 3121)
(2,6-다이플루오로페닐)메탄아민 (1c) (0.33 mL, 2.79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10.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1.3 mL, 8.37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22 mg, 0.95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S)-피롤리딘-2-카복시산 (386 mg, 3.35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85 mL, 5.58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4f를 12% 수율 (66 mg, 0.21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MeOD) δ 7.33 - 7.27 (m, 1H), 6.93 (t, J = 7.9 Hz, 2H), 4.51 (d, J = 14.4 Hz, 1H), 4.38 (d, J = 14.3 Hz, 1H), 4.33 - 4.28 (m, J = 6.6 Hz, 1H), 3.47 - 3.42 (m, 1H), 3.25 - 3.16 (m, J = 7.4 Hz, 1H), 2.21 - 2.12 (m, J = 20.0, 8.3 Hz, 1H), 2.06 - 1.99 (m, 2H), 1.97 - 1.90 (m, J = 10.3 Hz, 1H).
15) [화학식 16] (R)-1-(((S)-1-Phenylethyl)carbamoyl)pyrrolidine-2-carboxylic acid ( 4g ) (KB 3138)
(S)-1-페닐에탄아민 (0.26 mL, 3.30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10.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1.5 mL, 9.9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332 mg, 1.12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R)-피롤리딘-2-카복시산 (456 mg, 3.96 mmol) 및 트리에틸아민 (1.1 mL, 6.6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4g를 44% 수율 (384 mg, 1.46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MeOD) δ 7.36 (d, J = 7.5 Hz, 2H), 7.29 (t, J = 10.5, 4.9 Hz, 2H), 7.19 (t, J = 7.3 Hz, 1H), 4.95 - 4.91 (m, J = 7.0 Hz, 1H), 4.39 - 4.36 (m, J = 8.7, 2.5 Hz, 1H), 3.54 - 3.49 (m, 1H), 3.44 - 3.39 (m, J = 9.3, 7.3 Hz, 1H), 2.26 - 2.17 (m, 1H), 2.07 - 1.97 (m, 4H), 1.46 (d, J = 7.0 Hz, 3H).
16) [화학식 17] (S)-1-(((S)-1-Phenylethyl)carbamoyl)pyrrolidine-2-carboxylic acid ( 4h ) (KB 3139)
(S)-1-페닐에탄아민 (0.26 mL, 3.30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10.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1.5 mL, 9.9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332 mg, 1.12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S)-피롤리딘-2-카복시산 (456 mg, 3.96 mmol) 및 트리에틸아민 (1.1 mL, 6.6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4h를 43% 수율 (374 mg, 1.43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MeOD) δ 7.33 (d, J = 7.3 Hz, 2H), 7.28 (t, J = 10.5, 4.9 Hz, 2H), 7.20 - 7.16 (m, 1H), 4.93 - 4.89 (m, 1H), 4.35 - 4.32 (m, J = 8.6, 2.8 Hz, 1H), 3.55 - 3.49 (m, J = 10.3, 5.2 Hz, 1H), 3.46 - 3.40 (m, J = 9.4, 5.1 Hz, 1H), 2.23 - 2.16 (m, 1H), 2.05 - 1.99 (m, 3H), 1.46 (d, J = 6.8 Hz, 3H).
17) [화학식 18] (R)-1-(((R)-1-Phenylethyl)carbamoyl)pyrrolidine-2-carboxylic acid ( 4i ) (KB 3145)
(R)-1-페닐에탄아민 (0.26 mL, 3.30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10.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1.5 mL, 9.9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332 mg, 1.12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R)-피롤리딘-2-카복시산 (456 mg, 3.96 mmol) 및 트리에틸아민 (1.1 mL, 6.6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4i를 39% 수율 (340 mg, 1.30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MeOD) δ 7.33 (d, 2H), 7.28 (t, J = 10.4, 5.0 Hz, 2H), 7.18 (t, 1H), 4.93 - 4.88 (m, J = 14.2, 7.1 Hz, 1H), 4.36 - 4.33 (m, J = 8.6, 2.8 Hz, 1H), 3.56 - 3.50 (m, 1H), 3.46 - 3.39 (m, J = 9.4, 7.3 Hz, 1H), 2.25 - 2.16 (m, 1H), 2.06 - 1.99 (m, 3H), 1.46 (d, J = 7.1 Hz, 3H).
18) [화학식 19] (S)-1-(((R)-1-Phenylethyl)carbamoyl)pyrrolidine-2-carboxylic acid ( 4j ) (KB 3146)
(R)-1-페닐에탄아민 (0.26 mL, 3.30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10.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1.5 mL, 9.9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332 mg, 1.12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S)-피롤리딘-2-카복시산 (456 mg, 3.96 mmol) 및 트리에틸아민 (1.1 mL, 6.6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4j를 39% 수율 (339 mg, 1.29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MeOD) δ 7.35 (d, 2H), 7.29 (t, 2H), 7.19 (t, 1H), 4.95 - 4.91 (m, J = 7.0 Hz, 1H), 4.40 - 4.36 (m, J = 8.6, 2.9 Hz, 1H), 3.54 - 3.50 (m, J = 9.2, 7.7, 4.7 Hz, 1H), 3.44 - 3.40 (m, 1H), 2.25 - 2.17 (m, 1H), 2.07 - 2.00 (m, 3H), 1.46 (d, J = 7.1 Hz, 3H).
19) [화학식 20] (R)-N 1 -(2-Chloro-3-(trifluoromethyl)benzyl)-N 2 -(pyridin-3-ylmethyl)pyrrolidine-1,2-dicarboxamide ( 5a ) (KB 3159)
화합물 4a (215 mg, 0.61 mmol, 1.0 eq), HOBt (132 mg, 0.98 mmol, 1.6 eq) 및 EDCI·HCl (188 mg, 0.98 mmol, 1.6 eq)을 아르곤 기체 하에 30분 동안 디클로로메탄 (DCM, 10.0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디클로로메탄 (DCM, 10.0 mL) 중 피리딘-3-일메탄아민 (0.77 mL, 0.73 mmol, 1.2 eq)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DCM, 물 및 염수로 추출한 다음, 결합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thanol, 100:1 to 20:1)로 정제하여 화합물 3b (114 mg, 0.26 mmol)를 전체 4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8.50 (d, J = 4.9 Hz, 2H), 7.71 (s, 1H), 7.63 (d, J = 7.7 Hz, 1H), 7.58 (t, 2H), 7.35 - 7.31 (m, J = 14.7, 7.0 Hz, 1H), 7.23 - 7.20 (m, J = 7.7, 4.8 Hz, 1H), 5.04 - 5.00 (m, J = 5.8 Hz, 1H), 4.56 (d, J = 6.1 Hz, 2H), 4.52 - 4.48 (m, J = 7.9 Hz, 1H), 4.46 - 4.38 (m, 2H), 3.44 - 3.38 (m, J = 7.5 Hz, 1H), 3.30 - 3.24 (m, J = 16.9, 8.0 Hz, 1H), 2.51 - 2.45 (m, J = 12.2, 6.4 Hz, 1H), 2.14 - 2.04 (m, J = 26.5 Hz, 2H), 1.94 - 1.84 (m, 1H).
20) [화학식 21] (S)-N 1 -(2-Chloro-3-(trifluoromethyl)benzyl)-N 2 -(pyridin-3-ylmethyl)pyrrolidine-1,2-dicarboxamide ( 5b ) (KB 3160)
화합물 4b (75 mg, 0.21 mmol), HOBt (46 mg, 0.34 mmol) 및 EDCI·HCl (65 mg, 0.34 mmol)을 아르곤 기체 하에 30분 동안 디클로로메탄 (DCM, 5.0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디클로로메탄 (DCM, 5.0 mL) 중 피리딘-3-일메탄아민 (0.25 mL, 0.25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DCM, 물 및 염수로 추출한 다음, 결합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thanol, 100:1 to 20:1)로 정제하여 화합물 5b (80 mg, 0.18 mmol)를 전체 7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8.50 (d, 2H), 7.70 (s, 1H), 7.64 (d, J = 7.5 Hz, 1H), 7.60 - 7.55 (m, 2H), 7.32 (t, J = 7.7 Hz, 1H), 7.23 - 7.19 (m, J = 5.7 Hz, 1H), 5.01 (s, 1H), 4.56 (d, J = 6.0 Hz, 2H), 4.51 - 4.49 (m, J = 7.9 Hz, 1H), 4.46 - 4.38 (m, 2H), 3.43 - 3.38 (m, J = 7.1 Hz, 1H), 3.30 - 3.24 (m, J = 16.3, 8.1 Hz, 1H), 2.51 - 2.44 (m, 1H), 2.14 - 1.99 (m, J = 27.6 Hz, 2H), 1.94 - 1.84 (m, 1H).
21) [화학식 22] (R)-N 1 -(2,6-Dichlorobenzyl)-N 2 -(pyridin-3-ylmethyl)pyrrolidine-1,2-dicarboxamide ( 5c ) (KB 3161)
화합물 4c (67 mg, 0.21 mmol), HOBt (46 mg, 0.34 mmol) 및 EDCI·HCl (65 mg, 0.34 mmol)을 아르곤 기체 하에 30분 동안 디클로로메탄 (DCM, 5.0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디클로로메탄 (DCM, 5.0 mL) 중 피리딘-3-일메탄아민 (0.25 mL, 0.25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DCM, 물 및 염수로 추출한 다음, 결합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thanol, 100:1 to 20:1)로 정제하여 화합물 5c (46 mg, 0.11 mmol)를 전체 5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8.49 (d, 2H), 7.84 (s, 1H), 7.59 (d, J = 7.8 Hz, 1H), 7.31 (d, J = 8.0 Hz, 2H), 7.24 - 7.20 (m, J = 7.6, 4.9 Hz, 1H), 7.18 (t, J = 8.0 Hz, 1H), 4.84 (t, J = 5.4 Hz, 1H), 4.79 - 4.68 (m, J = 40.7, 13.9, 5.6 Hz, 2H), 4.53 - 4.49 (m, J = 8.1 Hz, 1H), 4.45 - 4.38 (m, 2H), 3.34 (t, J = 7.4 Hz, 1H), 3.23 - 3.18 (m, J = 16.9, 8.2 Hz, 1H), 2.49 - 2.42 (m, J = 12.2, 6.1 Hz, 1H), 2.08 - 1.94 (m, 2H), 1.91 - 1.82 (m, 1H).
22) [화학식 23] (S)-N 1 -(2,6-Dichlorobenzyl)-N 2 -(pyridin-3-ylmethyl)pyrrolidine-1,2-dicarboxamide ( 5d ) (KB 3162)
화합물 4d (60 mg, 0.19 mmol), HOBt (41 mg, 0.3 mmol) 및 EDCI·HCl (58 mg, 0.3 mmol)을 아르곤 기체 하에 30분 동안 디클로로메탄 (DCM, 5.0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디클로로메탄 (DCM, 5.0 mL) 중 피리딘-3-일메탄아민 (0.31 mL, 0.23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DCM, 물 및 염수로 추출한 다음, 결합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thanol, 100:1 to 20:1)로 정제하여 화합물 5d (48 mg, 0.12 mmol)를 전체 6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8.50 (d, 2H), 7.85 (s, 1H), 7.59 (d, J = 7.7 Hz, 1H), 7.32 (d, J = 8.0 Hz, 2H), 7.25 - 7.21 (m, J = 7.5, 4.9 Hz, 1H), 7.18 (t, J = 8.0 Hz, 1H), 4.86 (t, J = 5.1 Hz, 1H), 4.80 - 4.68 (m, J = 41.3, 14.0, 5.6 Hz, 2H), 4.52 (d, J = 8.0 Hz, 1H), 4.46 - 4.39 (m, 2H), 3.35 (t, J = 7.5 Hz, 1H), 3.25 - 3.19 (m, J = 16.8, 8.2 Hz, 1H), 2.49 - 2.43 (m, J = 12.1, 6.1 Hz, 1H), 2.08 - 1.96 (m, 2H), 1.91 - 1.84 (m, 1H).
23) [화학식 24] (R)-N 1 -((S)-1-Phenylethyl)-N 2 -(pyridin-3-ylmethyl)pyrrolidine-1,2-dicarboxamide ( 5e ) (KB 3163)
화합물 4g (130 mg, 0.5 mmol), HOBt (108 mg, 0.8 mmol) 및 EDCI·HCl (153 mg, 0.8 mmol)을 아르곤 기체 하에 30분 동안 디클로로메탄 (DCM, 5.0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디클로로메탄 (DCM, 5.0 mL) 중 피리딘-3-일메탄아민 (0.61 mL, 0.6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DCM, 물 및 염수로 추출한 다음, 결합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thanol, 100:1 to 20:1)로 정제하여 화합물 5e (112 mg, 0.32 mmol)를 전체 6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8.49 - 8.45 (m, 2H), 7.84 (s, 1H), 7.48 (d, J = 7.8 Hz, 1H), 7.33 - 7.26 (m, 5H), 7.16 - 7.12 (m, J = 7.4, 5.1 Hz, 1H), 5.02 - 4.96 (m, J = 6.7 Hz, 1H), 4.60 (d, J = 7.3 Hz, 1H), 4.52 (d, J = 8.1 Hz, 1H), 4.37 (d, J = 6.0 Hz, 2H), 3.36 (t, J = 7.3 Hz, 1H), 3.28 - 3.22 (m, J = 16.9, 8.1 Hz, 1H), 2.53 - 2.47 (m, J = 12.1, 5.9 Hz, 1H), 2.08 - 2.00 (m, 2H), 1.92 - 1.83 (m, 1H), 1.49 (d, J = 6.9 Hz, 3H).
24) [화학식 25] (S)-N 1 -((S)-1-Phenylethyl)-N 2 -(pyridin-3-ylmethyl)pyrrolidine-1,2-dicarboxamide ( 5f ) (KB 3164)
화합물 4h (107 mg, 0.4 mmol), HOBt (86 mg, 0.64 mmol) 및 EDCI·HCl (123 mg, 0.64 mmol)을 아르곤 기체 하에 30분 동안 디클로로메탄 (DCM, 5.0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디클로로메탄 (DCM, 5.0 mL) 중 피리딘-3-일메탄아민 (0.49 mL, 0.48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DCM, 물 및 염수로 추출한 다음, 결합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thanol, 100:1 to 20:1)로 정제하여 화합물 5f (120 mg, 0.34 mmol)를 전체 8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8.51 (d, J = 9.3 Hz, 2H), 7.88 (s, 1H), 7.60 (d, J = 7.4 Hz, 1H), 7.36 - 7.28 (m, 4H), 7.26 - 7.22 (m, 2H), 5.01 - 4.94 (m, J = 13.8, 6.8 Hz, 1H), 4.61 (d, J = 7.5 Hz, 1H), 4.49 (d, J = 8.4 Hz, 1H), 4.44 (t, J = 6.9 Hz, 2H), 3.38 (t, J = 8.0 Hz, 1H), 3.26 - 3.20 (m, J = 16.5, 8.0 Hz, 1H), 2.50 - 2.44 (m, 1H), 2.13 - 1.97 (m, 2H), 1.90 - 1.81 (m, 1H), 1.49 (d, J = 6.9 Hz, 3H).
25) [화학식 26] (R)-N 1 -((R)-1-Phenylethyl)-N 2 -(pyridin-3-ylmethyl)pyrrolidine-1,2-dicarboxamide ( 5g ) (KB 3165)
화합물 4i (100 mg, 0.38 mmol), HOBt (82 mg, 0.61 mmol) 및 EDCI·HCl (117 mg, 0.61 mmol)을 아르곤 기체 하에 30분 동안 디클로로메탄 (DCM, 5.0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디클로로메탄 (DCM, 5.0 mL) 중 피리딘-3-일메탄아민 (0.47 mL, 0.46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DCM, 물 및 염수로 추출한 다음, 결합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thanol, 100:1 to 20:1)로 정제하여 화합물 5g (98 mg, 0.28 mmol)를 전체 7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8.51 (d, J = 8.3 Hz, 2H), 7.89 (s, 1H), 7.60 (d, J = 7.7 Hz, 1H), 7.37 - 7.29 (m, 4H), 7.26 - 7.21 (m, J = 7.8, 4.9 Hz, 2H), 5.00 - 4.95 (m, J = 13.9, 7.0 Hz, 1H), 4.62 (d, J = 7.3 Hz, 1H), 4.49 (d, J = 8.2 Hz, 1H), 4.46 - 4.39 (m, 2H), 3.38 (t, J = 7.5 Hz, 1H), 3.26 - 3.20 (m, J = 17.1, 7.9 Hz, 1H), 2.50 - 2.44 (m, J = 12.4, 6.3 Hz, 1H), 2.12 - 1.96 (m, 2H), 1.90 - 1.81 (m, 1H), 1.49 (d, J = 6.9 Hz, 3H).
26) [화학식 27] (S)-N 1 -((R)-1-Phenylethyl)-N 2 -(pyridin-3-ylmethyl)pyrrolidine-1,2-dicarboxamide ( 5h ) (KB 3166)
화합물 4j (105 mg, 0.40 mmol), HOBt (86 mg, 0.64 mmol) 및 EDCI·HCl (123 mg, 0.64 mmol)을 아르곤 기체 하에 30분 동안 디클로로메탄 (DCM, 5.0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디클로로메탄 (DCM, 5.0 mL) 중 피리딘-3-일메탄아민 (0.49 mL, 0.48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DCM, 물 및 염수로 추출한 다음, 결합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thanol, 100:1 to 20:1)로 정제하여 화합물 5h (55 mg, 0.16 mmol)를 전체 3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8.50 - 8.45 (m, 2H), 7.84 (s, 1H), 7.48 (d, J = 7.8 Hz, 1H), 7.33 - 7.27 (m, 5H), 7.26 - 7.23 (m, J = 2.5 Hz, 1H), 5.03 - 4.97 (m, J = 14.0, 7.0 Hz, 1H), 4.60 (d, J = 7.4 Hz, 1H), 4.52 (d, J = 7.9 Hz, 1H), 4.38 (d, J = 6.0 Hz, 2H), 3.36 (t, J = 7.2 Hz, 1H), 3.25 (dd, J = 17.1, 8.1 Hz, 1H), 2.53 - 2.48 (m, J = 12.2, 6.1 Hz, 1H), 2.11 - 1.99 (m, 2H), 1.91 - 1.84 (m, 1H), 1.49 (d, J = 6.9 Hz, 3H).
27) [화학식 28] (S)-N 1 -(2-Chloro-3-(trifluoromethyl)benzyl)-N 2 -(pyridin-3-yl)pyrrolidine-1,2-dicarboxamide ( 6a ) (KB 3173)
화합물 4b (74 mg, 0.21 mmol), HOBt (46 mg, 0.34 mmol) 및 EDCI·HCl (65 mg, 0.34 mmol)을 아르곤 기체 하에 30분 동안 디클로로메탄 (DCM, 5.0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디클로로메탄 (DCM, 5.0 mL) 중 피리딘-3-일메탄아민 (24 mg, 0.25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DCM, 물 및 염수로 추출한 다음, 결합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thanol, 100:1 to 20:1)로 정제하여 화합물 6a (22 mg, 0.05 mmol)를 전체 2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10.12 (s, 1H), 8.54 (s, 1H), 8.30 (d, J = 4.2 Hz, 1H), 8.08 (d, J = 8.3 Hz, 1H), 7.67 (dd, J = 16.7, 7.8 Hz, 2H), 7.38 (t, J = 7.7 Hz, 1H), 7.24 - 7.20 (m, 1H), 5.14 - 5.10 (m, J = 5.9 Hz, 1H), 4.67 (d, J = 8.1 Hz, 1H), 4.65 - 4.61 (m, J = 6.0, 4.0 Hz, 2H), 3.41 (t, J = 7.5 Hz, 1H), 3.29 - 3.24 (m, 1H), 2.66 - 2.61 (m, J = 12.6, 6.3 Hz, 1H), 2.18 - 2.05 (m, 2H), 1.89 - 1.81 (m, J = 20.1, 12.5, 7.5 Hz, 1H).
28) [화학식 29] (R)-N 1 -((R)-1-Phenylethyl)-N 2 -(pyridin-3-yl)pyrrolidine-1,2-dicarboxamide ( 6b ) (KB 3170)
화합물 4i (99 mg, 0.38 mmol), HOBt (82 mg, 0.61 mmol) 및 EDCI·HCl (117 mg, 0.61 mmol)을 아르곤 기체 하에 30분 동안 디클로로메탄 (DCM, 5.0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디클로로메탄 (DCM, 5.0 mL) 중 피리딘-3-일메탄아민 (117 mg, 0.46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DCM, 물 및 염수로 추출한 다음, 결합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thanol, 100:1 to 20:1)로 정제하여 화합물 6b (20 mg, 0.05 mmol)를 전체 1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10.28 (s, 1H), 8.66 (d, J = 2.0 Hz, 1H), 8.30 (d, J = 4.6 Hz, 1H), 8.08 (d, J = 8.3 Hz, 1H), 7.38 - 7.33 (m, 4H), 7.30 - 7.27 (m, J = 7.6, 5.1 Hz, 1H), 7.23 - 7.20 (m, J = 8.3, 4.7 Hz, 1H), 5.07 - 5.02 (m, J = 13.9, 6.9 Hz, 1H), 4.69 (d, J = 7.1 Hz, 1H), 4.64 (d, J = 8.0 Hz, 1H), 3.40 (t, J = 7.9 Hz, 1H), 3.25 - 3.20 (m, J = 15.2, 7.5 Hz, 1H), 2.61 - 2.55 (m, J = 12.5, 6.4 Hz, 1H), 2.18 - 2.01 (m, 2H), 1.85 - 1.77 (m, J = 19.8, 12.5, 7.5 Hz, 1H), 1.53 (d, J = 6.9 Hz, 3H).
29) [화학식 30] (S)-N 1 -((R)-1-Phenylethyl)-N 2 -(pyridin-3-yl)pyrrolidine-1,2-dicarboxamide ( 6c ) (KB 3171)
화합물 4j (51 mg, 0.19 mmol), HOBt (41mg, 0.30 mmol) 및 EDCI·HCl (58 mg, 0.30 mmol)을 아르곤 기체 하에 30분 동안 디클로로메탄 (DCM, 5.0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디클로로메탄 (DCM, 5.0 mL) 중 피리딘-3-일메탄아민 (22 mg, 0.23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DCM, 물 및 염수로 추출한 다음, 결합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thanol, 100:1 to 20:1)로 정제하여 화합물 6c (28 mg, 0.08 mmol)를 전체 4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10.18 (s, 1H), 8.43 (d, J = 2.3 Hz, 1H), 8.27 (d, J = 4.6 Hz, 1H), 7.87 (d, J = 8.3 Hz, 1H), 7.34 - 7.31 (m, J = 6.1 Hz, 4H), 7.29 - 7.26 (m, J = 8.2, 3.8 Hz, 1H), 7.17 - 7.14 (m, J = 8.3, 4.7 Hz, 1H), 5.08 - 5.01 (m, J = 7.0 Hz, 1H), 4.71 (d, J = 7.3 Hz, 1H), 4.69 (d, J = 8.0 Hz, 1H), 3.37 (t, J = 7.4 Hz, 1H), 3.29 - 3.22 (m, 1H), 2.66 - 2.60 (m, J = 12.4, 6.0 Hz, 1H), 2.14 - 2.03 (m, 2H), 1.89 - 1.79 (m, J = 12.5, 7.6 Hz, 1H), 1.55 (d, J = 6.9 Hz, 3H).
30) [화학식 31] (R)-N 1 -(2-Chloro-3-(trifluoromethyl)benzyl)-N 2 -(thiazol-2-yl)pyrrolidine-1,2-dicarboxamide ( 7a ) (KB 3167)
화합물 4a (186 mg, 0.53 mmol), HOBt (115mg, 0.85 mmol) 및 EDCI·HCl (163 mg, 0.85 mmol)을 아르곤 기체 하에 30분 동안 디클로로메탄 (DCM, 5.0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디클로로메탄 (DCM, 5.0 mL) 중 싸이아졸-2-아민 (64 mg, 0.64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DCM, 물 및 염수로 추출한 다음, 결합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thanol, 100:1 to 20:1)로 정제하여 화합물 7a (78 mg, 0.18 mmol)를 전체 3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11.44 (s, 1H), 7.66 (d, J = 7.5 Hz, 1H), 7.61 (d, J = 7.7 Hz, 1H), 7.44 (d, J = 3.5 Hz, 1H), 7.32 (t, J = 7.7 Hz, 1H), 6.94 (d, J = 3.5 Hz, 1H), 5.23 (s, 1H), 4.72 - 4.63 (m, 2H), 4.54 - 4.48 (m, J = 15.3, 5.5 Hz, 1H), 3.46 - 3.41 (m, J = 8.0, 6.4 Hz, 1H), 3.30 - 3.24 (m, J = 17.0, 7.9 Hz, 1H), 2.56 - 2.49 (m, J = 12.5, 6.1 Hz, 1H), 2.15 - 2.04 (m, 2H), 1.98 - 1.89 (m, J = 14.8, 12.4, 7.8 Hz, 1H).
31) [화학식 32] (R)-N 1 -((S)-1-Phenylethyl)-N 2 -(thiazol-2-yl)pyrrolidine-1,2-dicarboxamide ( 7b ) (KB 3168)
화합물 4g (122 mg, 0.46 mmol), HOBt (99 mg, 0.73 mmol) 및 EDCI·HCl (140 mg, 0.73 mmol)을 아르곤 기체 하에 30분 동안 디클로로메탄 (DCM, 5.0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디클로로메탄 (DCM, 5.0 mL) 중 싸이아졸-2-아민 (55 mg, 0.55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DCM, 물 및 염수로 추출한 다음, 결합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thanol, 100:1 to 20:1)로 정제하여 화합물 7b (85 mg, 0.24 mmol)를 전체 5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11.47 (s, 1H), 7.43 (d, J = 3.4 Hz, 1H), 7.35 - 7.29 (m, 4H), 7.26 - 7.22 (m, J = 6.5 Hz, 1H), 6.92 (d, J = 3.4 Hz, 1H), 5.13 - 5.07 (m, J = 6.9 Hz, 1H), 4.74 (d, J = 8.1 Hz, 1H), 4.71 (d, J = 7.4 Hz, 1H), 3.34 (t, J = 7.7 Hz, 1H), 3.27 - 3.21 (m, J = 16.8, 8.0 Hz, 1H), 2.57 - 2.51 (m, J = 12.3, 5.6 Hz, 1H), 2.11 - 2.04 (m, 2H), 1.98 - 1.89 (m, J = 12.4, 7.7 Hz, 1H), 1.53 (d, J = 6.8 Hz, 3H).
32) [화학식 33] (S)-N 1 -((S)-1-Phenylethyl)-N 2 -(thiazol-2-yl)pyrrolidine-1,2-dicarboxamide ( 7c ) (KB 3169)
화합물 4h (56 mg, 0.21 mmol), HOBt (46 mg, 0.34 mmol) 및 EDCI·HCl (65 mg, 0.34 mmol)을 아르곤 기체 하에 30분 동안 디클로로메탄 (DCM, 5.0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디클로로메탄 (DCM, 5.0 mL) 중 싸이아졸-2-아민 (25 mg, 0.25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DCM, 물 및 염수로 추출한 다음, 결합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thanol, 100:1 to 20:1)로 정제하여 화합물 7c (17 mg, 0.05 mmol)를 전체 2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11.44 (s, 1H), 7.46 (d, J = 3.5 Hz, 1H), 7.36 - 7.32 (m, 4H), 7.28 - 7.26 (m, J = 7.9 Hz, 1H), 6.94 (d, J = 3.5 Hz, 1H), 5.09 (p, J = 7.0 Hz, 1H), 4.70 (d, J = 7.8 Hz, 2H), 3.40 (t, J = 7.7 Hz, 1H), 3.27 - 3.20 (m, J = 17.2, 7.7 Hz, 1H), 2.61 - 2.56 (m, J = 12.6, 6.1 Hz, 1H), 2.15 - 2.02 (m, 2H), 1.93 - 1.85 (m, J = 20.0, 12.5, 7.7 Hz, 1H), 1.51 (d, J = 6.9 Hz, 3H).
33) [화학식 34] N-(2-Chloro-3-(trifluoromethyl)benzyl)-4-hydroxypiperidine-1-carboxamide ( 8a ) (KB 3107)
2-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탄아민 (1a) (400 mg, 1.9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15.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9 mL, 5.7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193 mg, 0.65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피페리딘-4-올 (231 mg, 2.28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6 mL, 3.8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8a를 67% 수율 (420 mg, 1.25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65 (d, J = 7.7 Hz, 1H), 7.62 (d, J = 7.8 Hz, 1H), 7.34 (t, J = 7.7 Hz, 1H), 5.08 - 5.04 (m, 1H), 4.56 (d, J = 6.0 Hz, 2H), 3.92 - 3.86 (m, 1H), 3.77 - 3.70 (m, 2H), 3.12 - 3.06 (m, 2H), 1.92 - 1.86 (m, 2H), 1.54 - 1.48 (m, 2H).
34) [화학식 35] N-(2,6-Dichlorobenzyl)-4-hydroxypiperidine-1-carboxamide ( 8b ) (KB 3117)
2,6-(디클로로페닐)메탄아민 (1b) (0.15 mL, 1.14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15.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52 mL, 3.42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116 mg, 0.39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피페리딘-4-올 (139 mg, 1.37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35 mL, 2.28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8b를 9% 수율 (31 mg, 0.1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MeOD) δ 7.38 (d, J = 8.0 Hz, 2H), 7.25 (t, 1H), 4.63 (s, 2H), 3.82 - 3.77 (m, J = 14.7, 4.6 Hz, 2H), 3.76 - 3.73 (m, 1H), 3.03 - 2.98 (m, J = 13.4, 10.1, 3.1 Hz, 2H), 1.83 - 1.77 (m, J = 12.7, 7.6, 3.7 Hz, 2H), 1.43 - 1.36 (m, 2H).
35) [화학식 36] N-(2,6-difluorobenzyl)-4-hydroxypiperidine-1-carboxamide ( 8c ) (KB 3126)
(2,6-다이플루오로페닐)메탄아민 (1c) (0.32 mL, 2.79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15.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1.3 mL, 8.37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282 mg, 0.95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피페리딘-4-올 (339 mg, 3.35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85 mL, 5.58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8c를 22% 수율 (164 mg, 0.61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24 - 7.20 (m, J = 8.3, 4.2 Hz, 1H), 6.91 - 6.86 (m, 2H), 4.82 (s, 1H), 4.52 (d, J = 5.7 Hz, 2H), 3.89 - 3.83 (m, 1H), 3.75 - 3.69 (m, J = 9.8, 4.4 Hz, 2H), 3.08 - 3.02 (m, J = 13.2, 9.5, 3.3 Hz, 2H), 1.90 - 1.83 (m, 2H), 1.53 - 1.46 (m, 2H).
36) [화학식 37] (S)-4-Hydroxy-N-(1-phenylethyl)piperidine-1-carboxamide ( 8d ) (KB 3142)
(S)-1-페닐에탄아민 (0.26 mL, 3.30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15.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1.5 mL, 9.9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332 mg, 1.12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피페리딘-4-올 (400 mg, 3.96 mmol) 및 트리에틸아민 (1.1 mL, 6.6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8d를 69% 수율 (564 mg, 2.27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33 (d, J = 4.6 Hz, 4H), 7.25 - 7.23 (m, 1H), 5.04 - 4.98 (m, J = 6.8 Hz, 1H), 4.64 (d, J = 6.7 Hz, 1H), 3.90 - 3.83 (m, J = 12.6, 4.2 Hz, 1H), 3.77 - 3.71 (m, 2H), 3.09 - 3.02 (m, J = 13.6, 8.1, 4.2 Hz, 2H), 1.91 - 1.85 (m, 2H), 1.54 - 1.50 (m, 2H), 1.49 (d, J = 6.9 Hz, 3H).
37) [화학식 38] N-(2-Chloro-3-(trifluoromethyl)benzyl)-4-oxopiperidine-1-carboxamide ( 9a ) (KB 3108)
DCM (5.0 mL) 중 화합물 8a (213 mg, 0.63 mmol)의 용액에 Dess-Martin periodinane (0.3 M in CH2Cl2, 4.2 mL, 1.26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 겔에 직접 부은 후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ane/EtOAc, 5:1 to 1:1)로 정제하였다. 화합물 9a (188 mg, 0.56 mmol)를 5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68 (d, J = 7.7 Hz, 1H), 7.65 (d, J = 7.8 Hz, 1H), 7.36 (t, J = 7.8 Hz, 1H), 5.19 - 5.16 (m, 1H), 4.59 (d, J = 6.0 Hz, 2H), 3.71 (t, J = 6.2 Hz, 4H), 2.51 (t, J = 6.2 Hz, 4H).
38) [화학식 39] N-(2,6-Dichlorobenzyl)-4-oxopiperidine-1-carboxamide ( 9b ) (KB 3118)
DCM (5.0 mL) 중 화합물 8b (13 mg, 0.05 mmol)의 용액에 Dess-Martin periodinane (0.3 M in CH2Cl2, 0.33 mL, 0.1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 겔에 직접 부은 후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ane/EtOAc, 5:1 to 1:1)로 정제하였다. 화합물 9b (9.2 mg, 0.03 mmol)를 7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33 (d, J = 8.0 Hz, 4H), 7.19 (t, J = 8.0 Hz, 2H), 4.78 - 4.75 (m, 3H), 3.68 (t, J = 5.2 Hz, 7H), 2.48 (t, J = 5.2 Hz, 7H).
39) [화학식 40] N-(2,6-Difluorobenzyl)-4-oxopiperidine-1-carboxamide ( 9c ) (KB 3127)
DCM (5.0 mL) 중 화합물 8c (89 mg, 0.33 mmol)의 용액에 Dess-Martin periodinane (0.3 M in CH2Cl2, .2 mL, 0.66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 겔에 직접 부은 후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ane/EtOAc, 5:1 to 1:1)로 정제하였다. 화합물 9c (63 mg, 0.23 mmol)를 7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25 - 7.23 (m, 1H), 6.92 - 6.88 (m, J = 14.2, 6.2 Hz, 2H), 4.93 (s, 1H), 4.57 (d, J = 5.7 Hz, 2H), 3.68 (t, J = 6.2 Hz, 4H), 2.48 (t, J = 6.2 Hz, 4H).
40) [화학식 41] (S)-4-Oxo-N-(1-phenylethyl)piperidine-1-carboxamide ( 9d ) (KB 3143)
DCM (5.0 mL) 중 화합물 8d (192 mg, 0.77 mmol)의 용액에 Dess-Martin periodinane (0.3 M in CH2Cl2, 5.1 mL, 1.54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 겔에 직접 부은 후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ane/EtOAc, 5:1 to 1:1)로 정제하였다. 화합물 9d (113 mg, 0.46 mmol)를 6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36 - 7.33 (m, 4H), 7.29 - 7.27 (m, J = 5.5, 3.1 Hz, 1H), 5.08 - 5.01 (m, J = 6.9 Hz, 1H), 4.74 (d, J = 6.4 Hz, 1H), 3.69 (t, J = 6.2 Hz, 4H), 2.49 (t, J = 6.2 Hz, 5H), 1.52 (d, J = 6.9 Hz, 3H).
41) [화학식 42] (R)-Ethyl 1-((2-chloro-3-(trifluoromethyl)benzyl)carbamoyl)pyrrolidine-2-carboxylate ( 10a ) (KB 3148)
2-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탄아민 (1a) (400 mg, 1.8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15.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8 mL, 5.4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180 mg, 0.6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R)-에틸 피롤리딘-2-카복시산염 (0.4 mL, 2.16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56 mL, 3.6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0a를 80% 수율 (553 mg, 1.46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67 (d, J = 7.5 Hz, 1H), 7.61 (d, J = 7.7 Hz, 1H), 7.34 (t, J = 7.8 Hz, 1H), 5.07 (s, 1H), 4.64 - 4.58 (m, J = 15.5, 6.4 Hz, 1H), 4.54 - 4.49 (m, J = 15.5, 5.9 Hz, 1H), 4.42 - 4.37 (m, J = 6.7 Hz, 1H), 4.21 - 4.14 (m, 2H), 3.54 - 3.49 (m, J = 11.4, 7.8, 3.6 Hz, 1H), 3.43 - 3.37 (m, J = 15.4, 7.5 Hz, 1H), 2.21 - 2.13 (m, 1H), 2.10 - 2.02 (m, 2H), 2.02 - 1.96 (m, 1H), 1.24 (t, J = 7.1 Hz, 3H).
42) [화학식 43] N-(2,6-Dichlorobenzyl)-4-hydroxypiperidine-1-carboxamide ( 10b ) (KB 3151)
2,6-(디클로로페닐)메탄아민 (1b) (0.3 mL, 2.27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10.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1.04 mL, 6.81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228 mg, 0.77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R)-에틸 피롤리딘-2-카복시산염 (0.47 mL, 2.72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7 mL, 4.54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0b를 88% 수율 (690 mg, 2.0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31 (d, J = 8.0 Hz, 2H), 7.16 (t, J = 8.0 Hz, 1H), 4.89 - 4.84 (m, 2H), 4.65 - 4.59 (m, J = 14.8, 5.8 Hz, 1H), 4.42 - 4.38 (m, J = 7.6 Hz, 1H), 4.19 - 4.13 (m, J = 7.1 Hz, 2H), 3.50 - 3.43 (m, J = 8.2, 4.2 Hz, 1H), 3.38 - 3.31 (m, J = 15.0, 7.4 Hz, 1H), 2.17 - 2.10 (m, J = 13.5, 7.3 Hz, 1H), 2.07 - 1.99 (m, 2H), 1.97 - 1.91 (m, J = 14.7, 9.3, 5.5 Hz, 1H), 1.23 (t, J = 7.1 Hz, 3H).
43) [화학식 44] (R)-Ethyl 1-(((S)-1-phenylethyl)carbamoyl)pyrrolidine-2-carboxylate ( 10c ) (KB 3154)
(S)-1-페닐에탄아민 (0.2 mL, 2.48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8.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1.14 mL, 7.44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249 mg, 0.84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10.0 mL)에 용해된 (R)-에틸 피롤리딘-2-카복시산염 (0.52 mL, 2.98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76 mL, 4.96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0c를 68% 수율 (491 mg, 1.69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36 - 7.31 (m, 4H), 7.25 - 7.23 (m, J = 5.2, 3.3 Hz, 1H), 5.06 - 5.00 (m, J = 6.9 Hz, 1H), 4.69 (s, 1H), 4.41 - 4.37 (m, J = 6.3 Hz, 1H), 4.18 (q, J = 7.1 Hz, 2H), 3.50 - 3.43 (m, J = 12.4, 8.4, 4.2 Hz, 1H), 3.41 - 3.36 (m, J = 7.8 Hz, 1H), 2.20 - 2.11 (m, 1H), 2.09 - 2.01 (m, 2H), 2.00 - 1.92 (m, 1H), 1.50 (d, J = 6.8 Hz, 3H), 1.25 (t, J = 7.1 Hz, 3H).
44) [화학식 45] (R)-Ethyl 1-(((R)-1-phenylethyl)carbamoyl)pyrrolidine-2-carboxylate ( 10d ) (KB 3157)
(R)-1-페닐에탄아민 (0.2 mL, 2.48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8.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1.14 mL, 7.44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10.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249 mg, 0.84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R)-에틸 피롤리딘-2-카복시산염 (0.52 mL, 2.98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76 mL, 4.96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0d를 14% 수율 (100 mg, 0.34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34 - 7.30 (m, 4H), 7.25 - 7.22 (m, J = 6.3 Hz, 1H), 5.05 - 4.99 (m, J = 7.0 Hz, 1H), 4.67 (s, 1H), 4.40 - 4.36 (m, 1H), 4.16 (q, J = 7.1 Hz, 2H), 3.51 - 3.46 (m, J = 8.3, 4.2 Hz, 1H), 3.39 - 3.34 (m, J = 7.7 Hz, 1H), 2.18 - 2.11 (m, 1H), 2.10 - 2.00 (m, J = 23.0, 17.1, 10.4 Hz, 2H), 2.00 - 1.94 (m, J = 10.8, 7.7, 3.8 Hz, 1H), 1.49 (d, J = 6.9 Hz, 3H), 1.23 (t, J = 7.1 Hz, 3H).
(ⅱ) 카바메이트 합성방법:
벤질아민 (1.0 eq)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3.0 eq)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0.6 eq)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에 용해된 알콜 (1.2 eq) 및 트리에틸아민 (2.0 eq)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 용액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메탄올을 사용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1) [화학식 46] Cyclopentyl 2,6-dichlorobenzylcarbamate ( 11a ) (KB 3130)
2,6-(디클로로페닐)메탄아민 (1b) (0.2 mL, 1.14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8.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6 mL, 3.42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202 mg, 0.68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사이클로펜탄올 (0.1 mL, 1.37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4 mL, 2.28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1a를 30% 수율 (97 mg, 0.34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31 (d, J = 8.0 Hz, 2H), 7.17 (t, J = 8.0 Hz, 1H), 5.14 - 5.09 (m, 1H), 4.97 (s, 1H), 4.68 (d, J = 4.5 Hz, 2H), 1.87 - 1.79 (m, J = 5.1 Hz, 2H), 1.72 - 1.64 (m, 4H), 1.61 - 1.58 (m, J = 5.0 Hz, 1H), 1.56 - 1.52 (m, 1H).
2) [화학식 47] (S)-5-Oxopyrrolidin-3-yl2-chloro-3-(trifluoromethyl)benzylcarbamate ( 12a ) (KB 3133)
2-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탄아민 (1a) (300 mg, 1.35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8.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62 mL, 4.05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240 mg, 0.81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S)-4-하이드록시피롤리딘-2-온 (164 mg, 1.62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41 mL, 2.7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2a를 3% 수율 (10 mg, 0.03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26 (s, 2H), 7.23 - 7.20 (m, J = 3.5, 1.8 Hz, 1H), 6.22 - 6.17 (m, 2H), 5.83 (s, 1H), 5.62 - 5.58 (m, J = 6.2 Hz, 1H), 3.90 - 3.86 (m, J = 11.7, 5.7 Hz, 1H), 3.64 - 3.59 (m, J = 11.7 Hz, 1H), 2.86 - 2.79 (m, J = 18.0, 7.0 Hz, 1H), 2.63 - 2.57 (m, J = 18.0, 1.9 Hz, 1H).
3) [화학식 48] (S)-2-Oxopyrrolidin-3-yl ((S)-1-phenylethyl)carbamate ( 12b ) (KB 3134)
(S)-1-페닐에탄아민 (0.2 mL, 1.65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8.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76 mL, 4.95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297 mg, 1.0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S)-4-하이드록시피롤리딘-2-온 (200 mg, 1.98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5 mL, 3.3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2b를 4% 수율 (14 mg, 0.06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34 (t, J = 7.4 Hz, 2H), 7.31 - 7.26 (m, J = 11.7, 7.7 Hz, 3H), 5.33 - 5.29 (m, 1H), 5.09 (d, J = 7.1 Hz, 1H), 4.85 - 4.78 (m, 1H), 3.78 - 3.69 (m, 1H), 3.44 (d, J = 11.0 Hz, 1H), 2.68 - 2.62 (m, J = 17.8, 7.0 Hz, 1H), 2.40 - 2.31 (m, 1H), 1.49 (d, J = 6.6 Hz, 3H).
4) [화학식 49] (S)-2-Oxopyrrolidin-3-yl2-chloro-3-(trifluoromethyl)benzylcarbamate ( 13a ) (KB 3147)
2-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탄아민 (1a) (40 mg, 0.18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4.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08 mL, 0.54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6.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18 mg, 0.06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S)-3-하이드록시피롤리딘-2-온 (22 mg, 0.22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05 mL, 0.36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3a를 28% 수율 (17 mg, 0.05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MeOD) δ 7.70 (d, J = 7.9 Hz, 2H), 7.48 (t, J = 7.8 Hz, 1H), 5.24 (t, J = 8.4 Hz, 1H), 4.48 (d, J = 3.1 Hz, 2H), 3.43 - 3.35 (m, 3H), 2.61 - 2.54 (m, 1H), 2.12 - 2.05 (m, J = 13.0, 8.7 Hz, 1H).
5) [화학식 50] (S)-2-Oxopyrrolidin-3-yl ((S)-1-phenylethyl)carbamate ( 13b ) (KB 3135)
(S)-1-페닐에탄아민 (0.03 mL, 0.25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4.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1 mL, 0.75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3.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45 mg, 0.15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S)-3-하이드록시피롤리딘-2-온 (30 mg, 0.3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08 mL, 0.5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3b를 15% 수율 (9 mg, 0.04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34 (t, J = 7.5 Hz, 2H), 7.32 - 7.26 (m, J = 19.8, 7.0 Hz, 3H), 5.92 (s, 1H), 5.22 - 5.18 (m, J = 8.5 Hz, 1H), 4.88 - 4.82 (m, J = 7.0 Hz, 1H), 3.41 (t, J = 9.3 Hz, 1H), 3.37 - 3.32 (m, J = 16.4, 8.7 Hz, 1H), 2.67 - 2.60 (m, 1H), 2.11 - 2.01 (m, J = 17.6, 8.8 Hz, 1H), 1.50 (d, J = 6.9 Hz, 3H).
6) [화학식 51] (S)-3-Acetylphenyl (1-phenylethyl)carbamate ( 14a ) (KB 3129)
(S)-1-페닐에탄아민 (0.2 mL, 2.48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4.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1.14 mL, 7.44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3.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249 mg, 0.84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1-(3-하이드록시페닐)에탄온 (406 mg, 2.98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76 mL, 4.96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4a를 10% 수율 (61 mg, 0.22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8.87 (d, J = 7.0 Hz, 1H), 7.39 - 7.36 (m, 4H), 7.36 - 7.34 (m, 4H), 7.32 - 7.28 (m, J = 8.7, 5.8, 2.7 Hz, 1H), 5.10 (p, J = 6.9 Hz, 1H), 2.49 (s, 3H), 1.82 (d, J = 7.0 Hz, 3H).
7) [화학식 52] (S)-Benzyl (1-phenylethyl)carbamate ( 15a ) (KB 3136)
(S)-1-페닐에탄아민 (0.2 mL, 1.65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4.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75 mL, 4.95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3.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293 mg, 0.99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페닐메탄올 (0.2 mL, 1.98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5 mL, 3.3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5a를 36% 수율 (152 mg, 0.6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37 - 7.33 (m, J = 6.3 Hz, 4H), 7.33 - 7.26 (m, J = 31.2, 7.6 Hz, 6H), 5.12 (d, J = 12.3 Hz, 1H), 5.05 (d, 1H), 4.90 - 4.84 (m, 1H), 1.49 (d, J = 6.2 Hz, 3H).
(ⅲ) 합성방법:
적절한 케톤 (1.0 eq)을 무수 에탄올 (10.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티타늄 이소프로폭사이드 (2.0 eq), 염화 암모늄 (2.0 eq), 및 트리에틸아민 (2.0 eq)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수소화붕소 나트륨(1.5 eq)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를 실온에서 추가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성 암모니아(2.0 M, 6.0 mL)로 켄칭하고 무기 침전물을 여과한 후 디에틸 에터 (30.0 mL)를 부어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물과 디에틸 에터 (30.0 mL)로 세척하였다. 결합된 유기층을 염산 (20 mL, 2.1 M)으로 추출하였다. 산성 수용액을 수성 수산화 나트륨 (2.0 M)을 처리하여 pH 11로 만들고 디에틸 에터 (50 mL)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층을 염수 (15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1) 1-(2,3-Dichlorophenyl)ethanamine ( 16a )
1-(2,3-디클로로페닐)에탄온 (0.32 mL, 2.16 mmol)을 무수 에탄올 (10.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티타늄 이소프로폭사이드 (1.3 mL, 4.32 mmol), 염화 암모늄 (232 mg, 4.32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66 mL, 4.32 mmol)을 첨가하였다. 화합물 16a (154 mg)를 앞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3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48 - 7.46 (m, J = 7.8, 1.3 Hz, 1H), 7.36 - 7.34 (m, 1H), 7.22 (t, J = 7.9 Hz, 1H), 4.58 (q, J = 6.6 Hz, 1H), 1.38 (d, J = 6.6 Hz, 3H).
2) 1-(2,5-Dichlorophenyl)ethanamine ( 16b )
1-(2,5-디클로로페닐)에탄온 (0.38 mL, 2.64 mmol)을 무수 에탄올 (10.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티타늄 이소프로폭사이드 (1.5 mL, 5.28 mmol), 염화 암모늄 (282 mg, 5.28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8 mL, 5.28 mmol)을 첨가하였다. 화합물 16b (135 mg)를 앞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2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55 (d, J = 2.4 Hz, 1H), 7.25 (d, J = 4.3 Hz, 1H), 7.15 - 7.12 (m, J = 6.1, 3.1 Hz, 1H), 4.51 (q, J = 6.6 Hz, 1H), 1.37 (d, J = 6.6 Hz, 3H).
3) [화학식 53] Cyclopentyl (1-(2,3-dichlorophenyl)ethyl)carbamate ( 17a ) (KB 3131)
1-(2,3-디클로로페닐)에탄아민 (16a) (130 mg, 0.68 mmol)을 무수 에탄올 (5.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31 mL, 2.04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5.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122 mg, 0.41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사이클로펜탄올 (0.1 mL, 0.82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21 mL, 1.36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7a를 33% 수율 (68 mg, 0.22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39 - 7.34 (m, 1H), 7.26 - 7.22 (m, 1H), 7.22 - 7.17 (m, 1H), 5.23 - 5.10 (m, 1H), 5.08 - 5.01 (m, 2H), 4.34 (s, 1H), 1.80 - 1.75 (m, 3H), 1.71 - 1.66 (m, 2H), 1.59 (d, J = 19.0 Hz, 4H), 1.46 - 1.41 (m, 2H).
4) [화학식 54] (S)-2-oxopyrrolidin-3-yl(1-(2,3-dichlorophenyl)ethyl)carbamate ( 18a ) (KB 3125)
1-(2,3-디클로로페닐)에탄아민 (16a) (37 mg, 0.19 mmol)을 무수 에탄올 (4.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08 mL, 0.57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4.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35 mg, 0.12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S)-3-하이드록시피롤리딘-2-온 (25 mg, 0.23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05 mL, 0.38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8a를 32% 수율 (19 mg, 0.06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39 - 7.34 (m, J = 8.1, 4.1 Hz, 1H), 7.29 - 7.26 (m, 1H), 7.21 - 7.17 (m, J = 7.8, 3.8 Hz, 1H), 5.65 - 5.51 (m, J = 39.9, 6.3 Hz, 1H), 5.25 - 5.15 (m, J = 25.9, 15.7, 7.7 Hz, 2H), 3.46 - 3.37 (m, 1H), 3.37 - 3.31 (m, 1H), 2.72 - 2.57 (m, 1H), 2.17 - 2.01 (m, J = 17.6, 13.1, 8.9 Hz, 1H), 1.46 (t, J = 6.7 Hz, 3H).
5) [화학식 55] (S)-2-oxopyrrolidin-3-yl-(1-(2,5-dichlorophenyl)ethyl)carbamate ( 18b ) (KB 3124)
1-(2,5-디클로로페닐)에탄아민 (16b) (60 mg, 0.31 mmol)을 무수 에탄올 (3.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16 mL, 0.94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3.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35 mg, 0.12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S)-3-하이드록시피롤리딘-2-온 (30 mg, 0.31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10 mL, 0.62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8b를 32% 수율 (19 mg, 0.06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33 - 7.27 (m, 2H), 7.17 (dd, J = 8.4, 2.1 Hz, 1H), 5.65 (s, 1H), 5.35 (s, 1H), 5.20 - 5.05 (m, 2H), 3.42 (d, J = 9.2 Hz, 1H), 3.36 (d, J = 7.8 Hz, 1H), 2.70 - 2.60 (m, 1H), 2.19 - 2.05 (m, 1H), 1.46 (d, J = 6.8, 3.2 Hz, 3H).
(ⅳ) 합성방법:
(S)-(-)-α메틸벤질 이소시아네이트 (1.0 eq) 및 아민 (1.0 eq)을 아르곤 기체 하에 무수 톨루엔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톨루엔에 용해된 팔라듐-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0.1 eq)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였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메탄올을 사용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1) [화학식 56] (R)-5-oxopyrrolidin-3-yl-((R)-1-phenylethyl)carbamate ( 19a ) (KB 3155)
화합물 19a (20 mg. 0.08 mmol)를 앞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16% 수율로 수득하였다.
R f = 0.29 (DCM/MeOH = 50/1, v/v). 1H NMR (600 MHz, CDCl3) δ 8.73 (S, 1H), 7.34 - 7.30 (m, 4H), 7.24 (dd, J = 6.8, 3.0 Hz, 1H), 5.09 - 4.98 (m, 1H), 4.49 (d, J = 2.9 Hz, 1H), 3.90 (d, J = 3.5 Hz, 2H), 2.86 (dd, J = 17.8, 6.1 Hz, 1H), 2.60 (dd, J = 17.8, 1.8 Hz, 1H), 2.27 (s, 1H), 1.53 (d, J = 7.0 Hz, 3H).
2) [화학식 57] (R)-1-(1-phenylethyl)-3-(1H-1,2,4-triazol-3-yl)urea ( 20a ) (KB 3156)
화합물 20a (40 mg. 0.17 mmol)를 앞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35% 수율로 수득하였다.
R f = 0.35 (DCM/MeOH = 50/1, v/v). 1H NMR (600 MHz, CDCl3) δ 7.70 (s, 5H), 7.55 (s, 3H), 7.41 - 7.29 (m, 21H), 7.05 (d, J = 6.7 Hz, 4H), 6.34 (s, 6H), 5.07 (p, J = 7.0 Hz, 4H), 1.63 (d, J = 6.9 Hz, 13H).
3) [화학식 58] (S)-(1H-1,2,4-triazol-1-yl)methyl-(1-phenylethyl)carbamate ( 21a ) (KB 3144)
(S)-1-페닐에탄아민 (0.1 mL, 0.82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4.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37 mL, 2.46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3.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145 mg, 0.49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1H-1,2,4-트리아졸-1-와일)메탄올 (97 mg, 1.20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25 mL, 1.64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1a를 59% 수율 (120 mg, 0.48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8.59 (s, 1H), 8.01 (s, 1H), 7.33 - 7.24 (m, 4H), 7.20 (M, J = 9.3, 4.3 Hz, 1H), 6.09 (d, J = 11.2 Hz, 1H), 6.03 (d, J = 11.1 Hz, 1H), 4.75 - 4.70 (m, 1H), 1.40 (d, J = 7.0 Hz, 3H).
4) [화학식 59] (R)-(1H-1,2,4-triazol-1-yl)methyl-(1-phenylethyl)carbamate ( 21b ) (KB 3178)
(R)-1-페닐에탄아민 (0.1 mL, 0.82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4.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37 mL, 2.46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3.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145 mg, 0.49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1H-1,2,4-트리아졸-1-와일)메탄올 (97 mg, 1.20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25 mL, 1.64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1b를 85% 수율 (172 mg, 0.7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8.58 (s, 1H), 8.01 (s, 1H), 7.31 - 7.24 (m, 4H), 7.22 - 7.18 (m, 1H), 6.08 (d, J = 11.2 Hz, 1H), 6.02 (d, J = 11.2 Hz, 1H), 4.74 - 4.70 (m, J = 7.0 Hz, 1H), 1.40 (d, J = 7.1 Hz, 3H).
5) [화학식 60] (1H-1,2,4-triazol-1-yl)methyl-2-chloro-3-(trifluoromethyl)benzylcarbamate ( 21c ) (KB 3179)
2-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탄아민 (1a) (100 mg, 0.48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4.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20 mL, 1.44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3.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86 mg, 0.29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1H-1,2,4-트리아졸-1-와일)methanol (57 mg, 0.58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10 mL, 0.96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1c를 38% 수율 (61 mg, 0.18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8.38 (s, 1H), 7.95 (s, 1H), 7.65 (d, J = 7.7 Hz, 1H), 7.54 (d, J = 7.6 Hz, 1H), 7.35 (t, J = 7.7 Hz, 1H), 6.04 (s, 2H), 4.50 (s, 2H).
6) [화학식 61] (S)-pyridin-3-ylmethyl-(1-phenylethyl)carbamate ( 22a ) (KB 3174)
(R)-1-페닐에탄아민 (100 mg, 0.82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4.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37 mL, 2.46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3.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145 mg, 0.49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피리딘-3-와일메탄올 (0.1 ml, 0.98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25 mL, 1.64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2a를 63% 수율 (133 mg, 0.60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8.60 (s, 1H), 8.55 (s, 1H), 7.67 (s, 1H), 7.33 (dd, J = 15.0, 7.8 Hz, 4H), 7.27 (d, J = 3.9 Hz, 1H), 5.13 (d, J = 12.7 Hz, 1H), 5.06 (d, J = 12.6 Hz, 1H), 4.85 (s, 1H), 1.49 (d, J = 5.8 Hz, 3H).
7) [화학식 62] (R)-pyridin-3-ylmethyl-(1-phenylethyl)carbamate ( 22b ) (KB 3175)
(S)-1-페닐에탄아민 (100 mg, 0.82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4.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37 mL, 2.46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3.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145 mg, 0.49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피리딘-3-와일메탄올 (0.1 ml, 0.98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25 mL, 1.64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2b를 46% 수율 (96 mg, 0.38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8.59 (s, 1H), 8.54 (s, 1H), 7.66 (s, 1H), 7.33 (dd, J = 14.5, 7.3 Hz, 4H), 7.27 (s, 1H), 5.12 (d, J = 12.6 Hz, 1H), 5.06 (d, J = 12.6 Hz, 1H), 4.91 - 4.79 (m, 1H), 1.49 (d, J = 5.8 Hz, 3H).
8) [화학식 63] (S)-1-methyl-1H-pyrazol-3-yl-(1-phenylethyl)carbamate ( 23a ) (KB 3176)
(R)-1-페닐에탄아민 (100 mg, 0.82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4.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37 mL, 2.46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3.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145 mg, 0.49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1-메틸-1H-피라졸-3-올 (96 mg, 0.98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25 mL, 1.64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3a를 46% 수율 (96 mg, 0.38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 δ 7.35 (dd, J = 9.6, 2.8 Hz, 5H), 7.28 (dt, J = 9.2, 4.5 Hz, 1H), 7.21 (d, J = 2.2 Hz, 1H), 6.06 (d, J = 1.4 Hz, 1H), 5.43 (d, J = 6.1 Hz, 1H), 4.90 (p, J = 7.0 Hz, 1H), 3.78 (s, 4H), 1.55 (d, J = 6.9 Hz, 4H).
9) [화학식 64] (R)-1-methyl-1H-pyrazol-3-yl-(1-phenylethyl)carbamate ( 23b ) (KB 3177)
(S)-1-페닐에탄아민 (100 mg, 0.82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4.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37 mL, 2.46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3.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145 mg, 0.49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1-메틸-1H-피라졸-3-올 (96 mg, 0.98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25 mL, 1.64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3b를 34% 수율 (70 mg, 0.28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38 - 7.33 (m, 4H), 7.28 (dd, J = 6.7, 3.3 Hz, 1H), 7.22 (d, J = 2.2 Hz, 1H), 6.07 (d, J = 1.7 Hz, 1H), 5.37 (d, J = 5.8 Hz, 1H), 4.90 (p, J = 7.0 Hz, 1H), 3.79 (s, 3H), 1.55 (d, J = 6.9 Hz, 3H).
10) [화학식 65] (R)-1-methylpyrrolidin-3-yl-2-chloro-3-(trifluoromethyl)benzylcarbamate ( 24a ) (KB 3180)
2-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탄아민 (100 mg, 0.45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4.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26 mL, 1.35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3.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82 mg, 0.60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R)-1-메틸피롤리딘-3-올 (0.1 mL, 0.54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17 mL, 0.54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4a를 5% 수율 (8 mg, 0.03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63 (d, J = 7.8 Hz, 1H), 7.60 (d, J = 7.6 Hz, 1H), 7.35 (t, J = 7.8 Hz, 1H), 5.43 (s, 1H), 5.21 - 5.14 (m, 1H), 4.49 (d, J = 6.4 Hz, 2H), 3.00 - 2.91 (m, 1H), 2.87 (d, J = 11.1 Hz, 1H), 2.59 (dd, J = 10.8, 5.3 Hz, 1H), 2.40 (s, 3H), 2.35 - 2.25 (m, 2H), 1.91 (dd, J = 12.8, 6.4 Hz, 1H).
11) [화학식 66] (S)-1-methylpyrrolidin-3-yl2-chloro-3-(trifluoromethyl)benzylcarbamate ( 25a ) (KB 3181)
2-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탄아민 (100 mg, 0.45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4.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26 mL, 1.35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3.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82 mg, 0.60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S)-1-메틸피롤리딘-3-올 (0.1 mL, 0.54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17 mL, 0.54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5a를 5% 수율 (8 mg, 0.03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72 - 7.50 (m, 2H), 7.37 (d, J = 15.1, 7.5 Hz, 1H), 5.41 - 5.32 (m, J = 36.8 Hz, 1H), 4.49 (d, J = 5.2 Hz, 2H), 4.11 (d, J = 47.8 Hz, 1H), 3.92 (d, J = 11.6 Hz, 1H), 2.94 (s, 3H), 2.50 - 2.20 (m, 2H).
12) [화학식 67] (S)-1-methylpyrrolidin-3-yl-2,3-dichlorobenzylcarbamate ( 25b ) (KB 3184)
2-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탄아민 (0.1 mL, 0.52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4.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26 mL, 1.70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3.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56 mg, 0.19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S)-1-메틸피롤리딘-3-올 (0.1 mL, 0.54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17 mL, 0.54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5b를 7% 수율 (15 mg, 0.07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39 (d, J = 7.9 Hz, 1H), 7.30 (d, J = 7.4 Hz, 1H), 7.18 (t, J = 7.8 Hz, 1H), 5.34 (s, 1H), 5.20 - 5.15 (m, J = 7.4, 5.5 Hz, 1H), 4.45 (d, J = 6.4 Hz, 2H), 3.00 - 2.91 (m, J = 4.1 Hz, 1H), 2.86 (d, J = 11.0 Hz, 1H), 2.63 - 2.57 (m, 1H), 2.41 (s, 3H), 2.34 - 2.23 (m, J = 20.8, 13.5, 9.0 Hz, 2H), 1.96 - 1.86 (m, 1H).
13) [화학식 68] (S)-pyrrolidin-3-yl-2-chloro-3-(trifluoromethyl)benzylcarbamate ( 26a ) (KB 3182)
2-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탄아민 (100 mg, 0.45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4.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26 mL, 1.35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3.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82 mg, 0.60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S)-피롤리딘-3-올 (47 mg, 0.54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17 mL, 0.54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6a를 7% 수율 (10 mg, 0.03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66 (d, J = 7.6 Hz, 1H), 7.61 (d, J = 7.8 Hz, 1H), 7.33 (t, J = 7.8 Hz, 1H), 4.90 - 4.86 (m, J = 5.9 Hz, 1H), 4.58 - 4.51 (m, 2H), 4.47 (s, 1H), 3.54 - 3.43 (m, 3H), 3.43 - 3.35 (m, J = 11.4 Hz, 1H), 2.04 - 1.95 (m, 2H).
14) [화학식 69] (R)-pyrrolidin-3-yl-2-chloro-3-(trifluoromethyl)benzylcarbamate ( 27a ) (KB 3183)
2-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탄아민 (100 mg, 0.45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DCM, 4.0 m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기체 하에 트리에틸아민 (0.26 mL, 1.35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DCM (3.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82 mg, 0.60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DCM (3.0 mL)에 용해된 (R)-피롤리딘-3-올 (47 mg, 0.54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17 mL, 0.54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3 N HCl을 이용하여 산도를 pH 6으로 떨어뜨렸다. 수집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DCM-메탄올 (100:1 to 20:1, v/v)을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7a를 10% 수율 (15 mg, 0.05 mmol)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7.63 - 7.55 (m, 2H), 7.30 (t, J = 7.8 Hz, 1H), 5.07 (s, 1H), 4.54 - 4.45 (m, 2H), 4.43 - 4.37 (m, 1H), 4.31 (s, 1H), 3.47 (dd, J = 16.8, 9.1 Hz, 1H), 3.43 - 3.34 (m, 3H), 2.01 - 1.90 (m, 2H).
실험예 1. 세포-기반 Ca 2+ assay
상기 합성예에서 합성된 본 발명에 따른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에 대하여, 칼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NanoBiT 기술을 사용한 구조적 보완 분석을 수행하였다. NanoBiT 분석 시스템은 Promega (Madison, USA)에서 구입하였다. NanoBiT 벡터는 calmodulin-SmBiT 및 LgBiT-MYLK2s (미오신 경쇄 키나아제 2의 Ca2+-Calmodulin 결합 모티프)로 구성되었다. P2X7R 유전자는 Sino Biological Inc (Shanhai, China)에서 구입하였다.
10% FBS (Invitrogen, Carlsbad, USA)와 항생제(100U/ml penicillin G, and 100μg/ml streptomycin)가 든 DMEM 배지(Wellgene, Korea)에서 배양한 HEK293 세포(ATCC, USA)를 PLL 코팅된 96-웰 플레이트에 2 x 104 cells/well로 접종하고 리포펙타민 2000 (Invitrogen, USA)을 사용하여 각 3개의 자체제작 플라스미드(P2X7R, camodulin-SmBiT 및 LgBiT-MYLK2s)(Invitrogen, USA) 30 ng으로 형질감염시켰다. 24시간 후 배지를 적절한 농도의 각 화학물질을 함유한 Opti-MEM(Invitrogen, USA) 100 μL로 교체하였다. 세포를 37℃에서 30분 동안 배양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안정화시킨 후 발광성을 측정하였다. 그 다음 각 웰에 Nano-Glo Live Cell Reagent (furimazine) 25 μL를 첨가하고 처음 10분 동안 루미노미터 (BioTek Inc., USA)를 사용하여 기초 발광을 측정하였다. 끝으로 각 웰에 BzATP 10 μL (최종 농도가 50 μM)를 첨가하여 세포를 자극하고 30분 동안 세포 플레이트 발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 내지 도 52에 나타내었다.
Comp. IC 50 (nM) 분자량 ClogP
KB 3103 2a [화학식 2] N/A 322.7107 2.19
KB 3113 2b [화학식 3] N/A 289.1578 2.22
KB 3122 2c [화학식 4] N/A 256.2486 1.08
KB 3140 2d [화학식 5] 79.9 234.2942 1.03
KB 3104 3a [화학식 6] 14.1 320.6948 2.90
KB 3114 3b [화학식 7] N/A 287.1538 2.93
KB 3123 3c [화학식 8] N/A 254.2327 1.79
KB 3141 3d [화학식 9] 90.2 232.1212 1.74
KB 3101 4a [화학식 10] 16.0 289.1578 3.15
KB 3102 4b [화학식 11] 468 289.1578 3.15
KB 3111 4c [화학식 12] N/A 317.1679 3.18
KB 3112 4d [화학식 13] N/A 317.1679 3.18
KB 3120 4e [화학식 14] 80.5 284.2587 2.04
KB 3121 4f [화학식 15] N/A 284.2587 2.04
KB 3138 4g [화학식 16] N/A 262.3043 1.98
KB 3139 4h [화학식 17] N/A 262.3043 1.98
KB 3145 4i [화학식 18] 78.6 262.3043 1.98
KB 3146 4j [화학식 19] 38.8 262.3043 1.98
KB 3159 5a [화학식 20] N/A 440.8466 2.99
KB 3160 5b [화학식 21] N/A 440.8466 2.99
KB 3161 5c [화학식 22] N/A 407.2937 3.02
KB 3162 5d [화학식 23] N/A 406.3056 3.02
KB 3163 5e [화학식 24] N/A 352.1899 1.82
KB 3164 5f [화학식 25] N/A 352.1899 1.82
KB 3165 5g [화학식 26] N/A 352.4302 1.82
KB 3166 5h [화학식 27] 90.1 352.4302 1.82
KB 3173 6a [화학식 28] N/A 426.8200 3.79
KB 3170 6b [화학식 29] N/A 338.4036 2.62
KB 3171 6c [화학식 30] N/A 338.4036 2.62
KB 3167 7a [화학식 31] 18.2 432.0635 3.70
KB 3168 7b [화학식 32] 80.6 344.1307 2.53
KB 3169 7c [화학식 33] N/A 344.1307 2.53
KB 3107 8a [화학식 34] 92.4 336.7372 1.78
KB 3117 8b [화학식 35] N/A 303.1843 1.81
KB 3126 8c [화학식 36] N/A 270.1180 0.67
KB 3142 8d [화학식 37] 40.2 248.1525 0.61
KB 3108 9a [화학식 38] 57.8 334.7214 2.71
KB 3118 9b [화학식 39] 432 301.1685 2.74
KB 3127 9c [화학식 40] N/A 268.2593 1.60
KB 3143 9d [화학식 41] 15.0 246.1368 1.60
KB 3148 10a [화학식 42] N/A 378.7739 1.54
KB 3151 10b [화학식 43] N/A 345.2210 4.02
KB 3154 10c [화학식 44] N/A 290.3575 2.82
KB 3157 10d [화학식 45] N/A 290.3575 2.82
KB 3130 11a [화학식 46] N/A 288.1697 4.51
KB 3133 12a [화학식 47] N/A 336.6942 2.62
KB 3134 12b [화학식 48] N/A 248.2777 1.53
KB 3147 13a [화학식 49] 272 336.6942 2.04
KB 3135 13b [화학식 50] N/A 248.2777 0.95
KB 3129 14a [화학식 51] N/A 283.3218 3.03
KB 3136 15a [화학식 52] N/A 255.3117 3.35
KB 3131 17a [화학식 53] N/A 302.1963 4.70
KB 3124 18b [화학식 55] N/A 317.1679 2.38
KB 3125 18a [화학식 54] N/A- 317.1679 2.26
KB 3144 21a [화학식 58] N/A 246.2652 1.00
KB 3155 19a [화학식 56] N/A 248.2777 1.53
KB 3156 20a [화학식 57] N/A 231.2538 1.87
KB 3178 21b [화학식 59] N/A 246.2652 1.00
KB 3179 21c [화학식 60] N/A 334.6816 2.09
KB 3174 22a [화학식 61] N/A 256.2997 1.85
KB 3175 22b [화학식 62] N/A 256.2997 1.85
KB 3176 23a [화학식 63] N/A 245.2771 1.68
KB 3177 23b [화학식 64] N/A 245.2771 1.68
KB 3180 24a [화학식 65] N/A 336.7372 3.38
KB 3181 25a [화학식 66] N/A 336.7372 3.38
KB 3182 25b [화학식 67] N/A 322.0696 2.83
KB 3183 26a [화학식 68] N/A 322.7107 2.83
KB 3184 27a [화학식 69] N/A 303.1843 2.29
N/A: 1 μM에서 억제 유의미한 활성이 관찰되지 않음CLogP: ChemDraw (Ver. 12.0)에서 계산된 값
상기 표 1, 및 도 1 내지 도 12에 따르면, 농도-의존적 용량 곡선을 나타내고 IC50 값과 최고 농도에서의 절대 Luciferase 활성을 낮추는 정도가 클수록 활성이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카바메이트 유사체 중에서 화합물 13a, 유레아 화합물 중에서 화합물 7b가 P2X7R 억제활성이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화합물 13a (KB 3147)은 고농도 (1 μM)에서 Luciferase 활성을 50% 이상 억제하였다.
실험예 2. IL-1β 분비 확인 (KB 3147, 화합물 13a)
10% FBS 및 항생제를 함유하는 RPMI (Wellgene(ATCC, USA), Daegu, Korea) 배지 중의 THP-1 세포를 인간 P2X7 유전자를 보유하는 렌티바이러스로 감염시켰다. 세포를 무혈청 배지에서 50 nM PMA (phorbol myristate acetate)(Sigma, USA)로 48시간 동안 분화시켰다.
(IL-1β) 인간 P2X7-발현 THP-1 세포를 잠재적 억제제 (각 10 μM의 KB 3110, KB 3147, KB 3167, KB 3113, 및 KB 3157)(또는 0, 0.08, 0.4, 2, 10, 및 40 μM의 KB 3147)로 처리한 다음 30분 동안 300 μM Bz-ATP로 자극하였다. 배양 상청액을 2,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집하고 펠렛화된 세포를 RIPA (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완충액으로 용해시켰다. 단백질을 SDS-PAGE에서 분리하고 anti-IL-1β 항체 (Cell Signaling, USA) 및 HRPO-conjugate 2차 항체 (KPL, USA)로 블롯팅 하였다.
(pERK) 인간 P2X7-발현 THP1 세포를 30분 동안 잠재적 억제제 (각 10 μM의 KB 3110, KB 3147, KB 3167, KB 3113, 및 KB 3157)(또는 0, 0.08, 0.4, 2, 10, 및 40 μM의 KB 3147)로 처리한 다음 10분 동안 300 μM Bz-ATP로 자극하였다. 세포를 RIPA 완충액으로 용해하고 세포 추출물을 15,000 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정화시켰다. 단백질을 SDS-PAGE에서 분리하고 anti-pERK 항체 (Cell Signaling, USA) 및 HRPO-conjugate 2차 항체 (KPL, USA)로 블롯팅 하였다.
도 1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KB 3147은 IL-1β 방출을 억제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P2X7R의 관련성을 의미한다. 즉, ATP가 세포막의 P2X7R에 작용하여 IL-1β의 발현 및 성숙을 촉진하여 세포외부로 분비되게 함으로써 염증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는데, IL-1β의 방출억제효과는 P2X7R의 활성이 억제되었음을 의미한다.

Claims (4)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 또는 이의 라세미체,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pat00027

    상기 [화학식 1]에서,
    X, Y 및 Z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F3, 및 탄소수 1 내지 2의 알킬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R은 수소, 및 탄소수 1 내지 2의 알킬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R'는
    Figure pat00028
    ,
    Figure pat00029
    ,
    Figure pat00030
    ,
    Figure pat00031
    ,
    Figure pat00032
    ,
    Figure pat00033
    ,
    Figure pat00034
    ,
    Figure pat00035
    ,
    Figure pat00036
    ,
    Figure pat00037
    ,
    Figure pat00038
    ,
    Figure pat00039
    ,
    Figure pat00040
    ,
    Figure pat00041
    ,
    Figure pat00042
    , 및
    Figure pat00043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9]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 또는 이의 라세미체,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pat00044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6

    Figure pat00047

    Figure pat00048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은 P2X7 수용체 활성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
  4. 제1항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P2X7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 또는 이의 라세미체,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요 우울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20152551A 2021-11-19 2022-11-15 신규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요 우울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300746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8104 WO2023090853A1 (ko) 2021-11-19 2022-11-16 신규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요 우울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60690 2021-11-19
KR1020210160690 2021-1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653A true KR20230074653A (ko) 2023-05-31

Family

ID=8654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2551A KR20230074653A (ko) 2021-11-19 2022-11-15 신규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요 우울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465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316A (ko) 2016-03-10 2018-10-24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오렉신-2 수용체 길항제를 사용한 우울증의 치료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316A (ko) 2016-03-10 2018-10-24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오렉신-2 수용체 길항제를 사용한 우울증의 치료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4073B2 (en) NMDA receptor modulators and uses thereof
US11753397B2 (en) Cereblon binders for the degradation of ikaros
US11739086B2 (en) Substituted pyrrolopyridine JAK inhibito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EP4365179A2 (en) Novel rapamycin derivatives
CA3025227A1 (en) 3-oxo-2,6-diphenyl-2,3-dihydropyridazine-4-carboxamides
AU2017306158B2 (en) Spiro-lactam and bis-spiro-lactam NMDA receptor modulators and uses thereof
KR20150110787A (ko) 스피로-락탐 nmda 수용체 조절인자 및 그의 용도
HUT65771A (en) Process for producing substituted 3-amino-quinuclidi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CA2934247A1 (en) Tetrahydropyridopyrazine modulators of gpr6
EA032138B1 (ru) СОЕДИНЕНИЯ ИЗОКСАЗОЛГИДРОКСАМИНОВОЙ КИСЛОТЫ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LpxC
EP1856032A1 (en) Heterocyclic-substituted alkanamides useful as renin inhibitors
US20150018340A1 (en) Pipecolate-diketoamides for treatment of psychiatric disorders
UA122222C2 (uk) Сполуки 1-гетероцикліл-ізохроманілу і аналоги для лікування розладів цнс
US6255286B1 (en) Depsipeptides and drugs containing the same as the active ingredient
JP2020176124A (ja) N−メチル−d−アスパラギン酸受容体モジュレーター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BR112021009428A2 (pt) Esteroides neuroativos substituídos na posição 10 por um grupo cíclico para uso no tratamento de distúrbios do cns
CA3172841A1 (en) Substituted macrocyclic compounds and related methods of treatment
EP3576743B1 (en) 5-(7h-pyrrolo[2,3-d]pyrimidin-4-yl)-5-azaspiro[2 5]octane-8-carboxylic acid derivatives as jak kinase inhibitors
EP4089102A1 (en) Modulators of sortilin activity
KR20230074653A (ko) 신규 우레아계 또는 카바메이트계 p2x7 수용체 길항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요 우울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TW201249795A (en) New IKACh blockers
UA123836C2 (uk) Аліфатичні похідні пролінаміду
AU2020421654A1 (en) RORγt inhibitor,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e thereof
WO2021064077A1 (en) Substituted pyrazolopyrimidines as irak4 inhibitors
DE602004012572T2 (de) Makrozyklische verbindungen mit asparaginproteasehemmender wirkung und deren pharmazeutische verwend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