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267A - 폴더블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폴더블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267A
KR20230074267A KR1020237014442A KR20237014442A KR20230074267A KR 20230074267 A KR20230074267 A KR 20230074267A KR 1020237014442 A KR1020237014442 A KR 1020237014442A KR 20237014442 A KR20237014442 A KR 20237014442A KR 20230074267 A KR20230074267 A KR 20230074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mounting bracket
rotation
along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4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밍 린
하이창 톈
웨이펑 우
타오 황
상윈 왕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74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폴더블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폴더블 장치는 장착 브래킷과 회전 브래킷 조립체를 포함한다. 회전 브래킷 조립체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 브래킷의 2개의 측면에 배열되는 제1 회전 브래킷 및 제2 회전 브래킷을 포함한다. 제1 회전 브래킷은 제1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회전 브래킷은 제2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이 서로를 향해 회전할 때, 제1 회전 샤프트와 제2 회전 샤프트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폴더블 장치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절첩된 상태로 전환되는 프로세스에서,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를 향해 회전할 때,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은 제1 회전 샤프트 및 제2 회전 샤프트의 구동 하에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 회전 샤프트와 제2 회전 샤프트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절첩된 상태에서 폴더블 장치의 수용 공간이 증가될 수 있고, 폴더블 장치에 의한 가요성 스크린의 압착이 완화될 수 있으며, 가요성 스크린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
본 출원은 2020년 9월 30일자로 중국 국가 지적 재산권 관리국에 출원되고 명칭이 "FOLDABLE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2011061519.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은 그 전문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출원은 전자 디바이스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더블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폴더블 전자 디바이스는 하우징, 절첩 구성요소, 및 가요성 스크린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별개로 배치된 좌측 하우징과 우측 하우징을 포함하고, 절첩 구성요소는 좌측 하우징과 우측 하우징 사이에 위치되며, 가요성 스크린은 좌측 하우징과 우측 하우징 상에 장착된다. 절첩 구성요소의 구동 하에 좌측 하우징과 우측 하우징이 절첩되는 경우, 가요성 스크린이 절첩되도록 구동되어, 전자 디바이스가 절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절첩된 상태에서는, 전자 디바이스의 체적이 작아, 보관이 용이하다. 절첩 구성요소의 구동 하에 좌측 하우징과 우측 하우징이 펼쳐지는 경우, 가요성 스크린이 펼쳐지도록 구동되어, 전자 디바이스가 펼쳐진 상태가 된다. 펼쳐진 상태에서는,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가 커져,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킬 수 있다.
현재, 기존 폴더블 전자 디바이스의 절첩 프로세스에서는, 절첩 구성요소의 절첩 위치에서 가요성 스크린이 당겨지거나 압착된다. 결과적으로, 가요성 스크린의 신뢰성 및 서비스 수명이 감소된다.
본 출원은, 절첩된 상태에서, 가요성 스크린이 펼침 및 절첩 프로세스에서 당겨지거나 압착되는 위험을 감소시키고, 가요성 스크린의 보안성 및 신뢰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폴더블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제1 양태는 폴더블 장치를 제공한다. 폴더블 장치는: 장착 브래킷; 및 회전 브래킷 조립체를 포함하고, 회전 브래킷 조립체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 브래킷의 2개의 측면에 배열되는 제1 회전 브래킷 및 제2 회전 브래킷을 포함하며; 제1 회전 브래킷은 제1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회전 샤프트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 브래킷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제2 회전 브래킷은 제2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회전 샤프트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 브래킷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이 서로를 향해 회전할 때, 제1 회전 샤프트와 제2 회전 샤프트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폴더블 장치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절첩된 상태로 전환되는 프로세스에서,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를 향해 회전할 때,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은 제1 회전 샤프트 및 제2 회전 샤프트의 구동 하에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더 이동 가능하다. 제1 회전 샤프트와 제2 회전 샤프트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절첩된 상태에서 폴더블 장치의 수용 공간이 증가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폴더블 장치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 브래킷의 2개의 측면에 위치되는 제1 스윙 아암 및 제2 스윙 아암을 포함하는 스윙 아암 조립체로서, 회전 브래킷 조립체는 스윙 아암 조립체를 사용하여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스윙 아암의 일 단부는 제1 회전 브래킷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회전 브래킷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다른 단부는 제1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스윙 아암의 일 단부는 제2 회전 브래킷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회전 브래킷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다른 단부는 제2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윙 아암 조립체; 및
전달 그룹 및 푸시 그룹을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를 포함하고, 전달 그룹은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 브래킷의 2개의 측면에 위치되는 제1 전달 커넥팅 로드 및 제2 전달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며; 제1 전달 커넥팅 로드는 제1 회전 브래킷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며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전달 커넥팅 로드는 제2 회전 브래킷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며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푸시 그룹은 제1 푸시 부재 및 제2 푸시 부재를 포함하고, 제1 푸시 부재는 제2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제2 스윙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푸시 부재는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에 추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푸시 부재는 제1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제1 스윙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푸시 부재는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에 추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전달 커넥팅 로드가 장착 브래킷에 대해 회전하는 축과 제1 전달 커넥팅 로드가 제1 푸시 부재에 대해 회전하는 축은 상이한 축이며, 제2 전달 커넥팅 로드가 장착 브래킷에 대해 회전하는 축과 제2 전달 커넥팅 로드가 제2 푸시 부재에 대해 회전하는 축은 상이한 축이며; 제1 전달 커넥팅 로드는 제1 회전 브래킷의 이동을 전달하고, 제1 푸시 부재를 구동하여 제2 회전 샤프트를 푸시하여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제2 전달 커넥팅 로드는 제2 회전 브래킷의 이동을 전달하고, 제2 푸시 부재를 구동하여 제1 회전 샤프트를 푸시하여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해결책에서, 제1 스윙 아암의 2개의 단부는 제1 회전 브래킷 및 제2 푸시 부재에 각각 연결되고, 제2 스윙 아암의 2개의 단부는 제2 회전 브래킷 및 제1 푸시 부재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은 제1 전달 커넥팅 로드, 제1 푸시 부재, 및 제2 스윙 아암을 사용하여 연결되며, 또한 제2 전달 커넥팅 로드, 제2 푸시 부재, 및 제1 스윙 아암을 사용하여 연결된다. 이 경우, 제1 전달 커넥팅 로드, 제1 푸시 부재, 제2 스윙 아암, 제2 전달 커넥팅 로드, 제2 푸시 부재, 및 제1 스윙 아암은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 사이에 연동 장치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제1 전달 커넥팅 로드는 제1 회전 브래킷의 이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제2 전달 커넥팅 로드는 제2 회전 브래킷의 이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이 서로를 향해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제1 회전 브래킷은, 제1 전달 커넥팅 로드를 사용함으로써, 제1 푸시 부재를 구동하여 제2 회전 샤프트를 푸시하여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 회전 브래킷은, 제2 전달 커넥팅 로드를 사용함으로써, 제2 푸시 부재를 구동하여 제1 회전 샤프트를 푸시하여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폴더블 장치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폴더블 장치의 수용 공간을 증가시킨다. 또한, 제1 스윙 아암이 제1 회전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폴더블 장치의 절첩 또는 펼침 프로세스에서 제1 스윙 아암과 제1 회전 브래킷 사이에 끼임의 위험이 감소될 수 있으며, 제2 스윙 아암이 제2 회전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폴더블 장치의 절첩 또는 펼침 프로세스에서 제2 스윙 아암과 제2 회전 브래킷 사이에 끼임의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전달 조립체는 제한 그룹을 더 포함하고, 제한 그룹은 제1 제한 부재 및 제2 제한 부재를 포함하며; 제1 제한 부재의 일 단부는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제1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제1 스윙 아암 및 제2 푸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제한 부재의 일 단부는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제2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제2 스윙 아암 및 제1 푸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제한 부재는 제1 미리 설정된 트랙을 따라 제1 푸시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제2 제한 부재는 제2 미리 설정된 트랙을 따라 제2 푸시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이 해결책에서,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의 제1 로커, 제1 푸시 부재, 제2 제한 부재, 및 장착 브래킷은 제1 이중 로커 메커니즘을 형성하고,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의 제2 로커, 제2 푸시 부재는, 제1 제한 부재, 및 장착 브래킷은 제2 이중 로커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이 경우, 폴더블 장치가 제1 이중 로커 메커니즘과 제2 이중 로커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 사이의 전달을 구현하는 경우, 이중 로커 메커니즘의 모든 이동 부재가 동일한 평면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폴더블 장치의 복잡도가 감소될 수 있고 폴더블 장치의 구성요소의 이동이 단순화되며, 제1 회전 브래킷 및 제2 회전 브래킷의 이동 안정성 및 신뢰성이 개선된다. 또한, 폴더블 장치의 전달 조립체가 이중 로커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구현되는 경우, 제1 회전 샤프트와 제2 회전 샤프트는 이중 로커 메커니즘의 커넥팅 로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커넥팅 로드가 평면형 이동을 수행하는 경우, 제1 회전 샤프트와 제2 회전 샤프트가 구동되어 평면형 이동을 수행하고, 제1 회전 샤프트와 제2 회전 샤프트를 추가로 구동시켜 장착 브래킷(랙)에 대해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미리 설정된 트랙 및 제2 미리 설정된 트랙 모두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 해결책에서, 제1 이중 로커 메커니즘에서, 제1 로커와 제2 제한 부재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 제1 이중 로커 메커니즘의 2개의 측면 링크의 길이가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1 이중 로커 메커니즘의 커넥팅 로드(제1 푸시 부재)의 이동은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병진이고, 즉, 제1 미리 설정된 트랙은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이다. 유사하게, 제2 이중 로커 메커니즘에서, 제2 로커와 제1 제한 부재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 제2 이중 로커 메커니즘의 2개의 측면 링크의 길이가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2 이중 로커 메커니즘의 커넥팅 로드(제2 푸시 부재)의 이동은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병진이고, 즉, 제2 미리 설정된 트랙은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이다. 제1 푸시 부재와 제2 푸시 부재의 이동 트랙이 모두 폭 방향을 따라 직선인 경우, 제1 푸시 부재와 제2 푸시 부재의 이동 안정성이 추가로 개선될 수 있어,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제1 회전 샤프트와 제2 회전 샤프트의 이동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미리 설정된 트랙 및 제2 미리 설정된 트랙은 모두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 브래킷의 두께 방향을 향해 틸트되고; 또한, 제1 미리 설정된 트랙과 제2 미리 설정된 트랙의 경사 방향은 반대이고, 제1 푸시 부재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프로세스에서 장착 브래킷의 두께 방향을 따라 틸트되며; 제2 푸시 부재는 제2 미리 설정된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프로세스에서 장착 브래킷의 두께 방향을 따라 틸트된다. 이 해결책에서, 제1 로커와 제2 제한 부재의 길이가 상이한 경우, 제1 푸시 부재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장착 브래킷의 두께 방향을 따라 틸트된다. 제2 로커와 제1 제한 부재의 길이가 상이한 경우, 제2 푸시 부재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장착 브래킷의 두께 방향을 따라 틸트된다. 이 경우, 제1 로커, 제2 제한 부재, 제2 로커, 및 제1 제한 부재의 길이에 대한 요건이 감소되어, 가공 난이도가 감소된다. 또한, 제1 푸시 부재와 제2 푸시 부재가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장착 브래킷의 두께 방향을 따라 틸트되는 경우, 제1 푸시 부재와, 제1 푸시 부재 및 제2 스윙 아암에 연결된 제1 전달 커넥팅 로드 사이의 끼임이 추가로 방지될 수 있으며, 제2 푸시 부재와, 제2 푸시 부재 및 제1 로커에 연결된 제2 전달 커넥팅 로드 사이의 끼임이 방지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푸시 부재는 장착 브래킷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푸시 부재는 장착 브래킷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해결책에서, 제1 푸시 부재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 브래킷에 대해 활주 가능하여, 제2 회전 샤프트를 푸시하여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 또한, 제2 푸시 부재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 브래킷에 대해 활주 가능하여, 제1 회전 샤프트를 푸시하여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전달 조립체는 제한 그룹을 더 포함하고, 제한 그룹은 제1 제한 부재 및 제2 제한 부재를 포함하며; 제1 제한 부재와 제2 제한 부재 모두는 장착 브래킷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제한 부재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 브래킷에 대해 활주 가능하고, 제1 제한 부재는 제1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제2 푸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푸시 부재는 장착 브래킷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제1 제한 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제1 제한 부재는 제1 스윙 아암에 추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제한 부재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 브래킷에 대해 활주 가능하고, 제2 제한 부재는 제2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제1 푸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푸시 부재는 장착 브래킷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제2 제한 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제2 제한 부재는 제2 스윙 아암에 추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제한 부재는 제3 미리 설정된 트랙을 따라 제1 푸시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제2 제한 부재는 제4 미리 설정된 트랙을 따라 제2 푸시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이 해결책에서,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의 제1 크랭크, 제1 푸시 부재, 제2 제한 부재, 및 장착 브래킷은 제1 크랭크-슬라이더 메커니즘을 형성하고,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의 제2 크랭크, 제2 푸시 부재, 제1 제한 부재, 및 장착 브래킷은 제2 크랭크-슬라이더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이 경우, 폴더블 장치가 제1 크랭크-슬라이더 메커니즘과 제2 크랭크-슬라이더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 사이의 전달을 구현하는 경우, 크랭크-슬라이더 메커니즘의 모든 이동 부재가 동일한 평면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폴더블 장치의 복잡도가 감소될 수 있고 폴더블 장치의 구성요소의 이동이 단순화되며, 제1 회전 브래킷 및 제2 회전 브래킷의 이동 안정성 및 신뢰성이 개선된다. 또한, 제1 크랭크-슬라이더 메커니즘에서, 제1 푸시 부재의 이동은 제1 크랭크-슬라이더 메커니즘이 위치되는 평면에서 곡선 이동일 수 있고, 즉, 제1 푸시 부재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 브래킷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장착 브래킷의 두께 방향을 따라 추가로 이동 가능하여, 제2 회전 샤프트를 구동하여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또한, 제2 크랭크-슬라이더 메커니즘에서, 제2 푸시 부재의 이동은 제2 크랭크-슬라이더 메커니즘이 위치되는 평면에서 곡선 이동일 수 있고, 즉, 제2 푸시 부재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 브래킷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장착 브래킷의 두께 방향을 따라 추가로 이동 가능하여, 제1 회전 샤프트를 구동하여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제한 부재에 제1 장착 홈이 제공되고, 제1 제한 부재에 제2 장착 홈이 제공되며, 제1 장착 홈과 제2 장착 홈 모두는 장착 브래킷의 두께 방향을 따라 만입되며; 제1 푸시 부재는 제1 장착 홈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푸시 부재는 제2 장착 홈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해결책에서, 제1 푸시 부재의 곡선 이동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2 제한 부재에 제1 장착 홈이 제공되고, 제1 푸시 부재는 제1 장착 홈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 푸시 부재가 제2 제한 부재에 대한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곡선 이동). 유사하게, 제2 푸시 부재의 곡선 이동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1 제한 부재에 제2 장착 홈이 제공되고, 제2 푸시 부재는 제2 장착 홈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2 푸시 부재가 제1 제한 부재에 대한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곡선 이동). 또한, 제1 장착 홈과 제2 장착 홈 모두는 장착 브래킷의 두께 방향을 따라 만입되어, 제1 장착 홈에 장착될 때 제1 푸시 부재의 두께와 제2 장착 홈에 장착될 때 제2 푸시 부재의 두께가 감소되어, 장착 브래킷의 두께 방향을 따라 폴더블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폴더블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의 소형화 및 가볍고 얇은 설계를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슈트가 제1 제한 부재 및 제2 제한 부재에 대한 장착 브래킷의 측벽에 제공되고, 제1 제한 부재 및 제2 제한 부재는 각각 대응 슈트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해결책에서, 서로 끼워지는 제1 제한 부재와 슈트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제1 제한 부재의 활주를 구현하여, 제1 푸시 부재의 이동 트랙을 제한하고 제1 푸시 부재의 이동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유사하게, 서로 끼워지는 제2 제한 부재와 슈트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제2 제한 부재의 활주를 구현하여, 제2 푸시 부재의 이동 트랙을 제한하고 제2 푸시 부재의 이동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회전 샤프트는 제1 푸시 부재 상에 배치되고, 제1 스윙 아암은 제1 회전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회전 샤프트는 제2 푸시 부재 상에 배치되고, 제2 스윙 아암은 제2 회전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슈트가 장착 브래킷에 제공되고, 제1 회전 샤프트는 대응 슈트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회전 샤프트는 대응 슈트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해결책에서, 서로 끼워지는 제1 회전 샤프트와 슈트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제2 회전 샤프트의 활주를 구현할 수 있고, 제1 푸시 부재의 이동 트랙을 제한하고 제1 푸시 부재의 이동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회전 샤프트, 슈트, 및 제1 회전 샤프트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활주되며, 제2 푸시 부재의 이동 트랙을 제한하고 제1 푸시 부재의 이동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슈트는 장착 브래킷의 두께 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배치되거나 아치형 구조로 되어 있고, 즉, 장착 브래킷의 두께 방향을 따라, 슈트의 높이가 상이하여,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따라 제1 푸시 부재 및 제2 푸시 부재의 이동을 구현하고, 그에 따라 제1 푸시 부재 및 제2 푸시 부재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장착 브래킷의 두께 방향을 따라 틸트될 수 있어, 제1 푸시 부재와, 제1 푸시 부재 및 제2 스윙 아암에 연결된 제1 전달 커넥팅 로드 사이의 끼임을 방지하고, 제2 푸시 부재와, 제2 푸시 부재 및 제1 스윙 아암에 연결된 제2 전달 커넥팅 로드 사이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폴더블 장치는 지지 플레이트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지지 플레이트 조립체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 브래킷의 2개의 측면에 배열된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제1 회전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제2 회전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해결책에서, 폴더블 장치의 절첩 또는 펼침 프로세스에서, 제1 회전 브래킷이 제1 지지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하고, 제2 회전 브래킷이 제2 지지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제1 회전 브래킷 사이의 끼임이 방지될 수 있고,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제2 회전 브래킷 사이의 끼임이 방지될 수 있어, 폴더블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 있어서,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이 서로를 향해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제1 전달 커넥팅 로드는 장착 브래킷에 가까운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 단부를 구동시켜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 전달 커넥팅 로드는 장착 브래킷에 가까운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일 단부를 구동시켜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그에 따라 제1 회전 브래킷 및 제2 회전 브래킷은 제1 위치로 회전되고, 이 경우, 제1 지지 플레이트, 장착 브래킷,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인클로저를 통해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장착 브래킷에 가까운 제2 단부를 갖고,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장착 브래킷에 가까운 제4 단부를 가지며;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이 서로를 향해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제1 전달 커넥팅 로드는 제2 단부를 구동시켜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 전달 커넥팅 로드는 제2 단부를 구동시켜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해결책에서, 제1 회전 브래킷은 제1 지지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제2 회전 브래킷은 제2 지지 플레이트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회전 브래킷의 회전 및 이동 프로세스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가 이동 및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고, 제2 회전 브래킷의 회전 및 이동 프로세스에서, 제2 지지 플레이트가 이동 및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으며,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이 서로를 향해 회전할 때,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제2 단부와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제4 단부가 서로 멀어지게 구동되어, 폴더블 장치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절첩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폴더블 장치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제1 지지 플레이트, 제2 지지 플레이트, 제1 전달 커넥팅 로드, 제2 전달 커넥팅 로드, 및 장착 브래킷은 인클로저를 통해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수용 공간은 가요성 스크린의 절첩 부분을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 제1 회전 브래킷이 제1 지지 플레이트를 오직 회전 구동하고, 제2 회전 브래킷이 제2 지지 플레이트를 오직 회전 구동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제1 회전 브래킷이 제1 지지 플레이트를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및 이동시키도록 구동하고, 제2 회전 브래킷이 제2 지지 플레이트를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및 이동시키도록 구동하는 경우, 폴더블 장치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장착 브래킷 사이의 거리 및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장착 브래킷 사이의 거리가 더 커지고, 그에 따라 폴더블 장치의 수용 공간의 윤곽의 제2 길이(L2)가 증가되어, 절첩 프로세스에서 폴더블 장치에 의한 절첩 부분의 압착 및 당김을 추가로 완화하며, 가요성 스크린의 신뢰성 및 구조적 강도를 개선하고, 가요성 스크린의 재료의 성능에 대한 요건을 낮춤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은 충분한 공간을 갖고, 그에 따라 가요성 스크린의 절첩 부분이 수용 공간 내에서 아치형이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절첩된 상태에서 가요성 스크린의 평탄도가 개선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전달 커넥팅 로드는 제1 아치형 섹션을 포함하고, 제1 아치형 섹션은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전달 커넥팅 로드는 제2 아치형 섹션을 포함하고, 제2 아치형 섹션은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이 서로를 향해 제1 위치까지 회전되는 경우, 제1 지지 플레이트, 제1 아치형 섹션, 장착 브래킷, 제2 아치형 섹션,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인클로저를 통해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이 해결책에서, 폴더블 장치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제1 지지 플레이트, 제2 지지 플레이트,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의 제1 아치형 섹션,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의 제2 아치형 섹션, 및 장착 브래킷은 인클로저를 통해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수용 공간은 제3 아치형 섹션, 제3 직선 섹션, 및 제4 직선 섹션을 포함하고, 제3 아치형 섹션은 제3 직선 섹션과 제4 직선 섹션 사이에 위치된다.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의 제1 아치형 섹션과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의 제2 아치형 섹션은 인클로저를 통해 수용 공간의 제3 아치형 섹션을 형성하고,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제1 직선 섹션은 수용 공간의 제3 직선 섹션을 형성하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제2 직선 섹션은 수용 공간의 제4 직선 섹션을 형성하고, 제3 아치형 섹션은 절첩 부분의 제5 부분을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 이 경우, 수용 공간이 모두 슬래브 구조인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제2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인클로저를 통해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제1 아치형 섹션과 제2 아치형 섹션은 절첩 부분에 대한 압착을 완화하여, 절첩 프로세스에서 폴더블 장치(제1 전달 커넥팅 로드 및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에 의한 가요성 스크린의 압착을 완화하고, 가요성 스크린의 신뢰성 및 구조적 강도를 추가로 개선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에는 활주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트랙과 제1 슬라이더가 제공되고,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에는 활주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트랙과 제2 슬라이더가 제공되며;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이 서로를 향해 회전되는 프로세스에서, 제1 슬라이더는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트랙의 단부로부터 장착 브래킷에 가까운 제1 트랙의 단부까지 활주되고, 제2 슬라이더는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제2 트랙의 단부로부터 장착 브래킷에 가까운 제2 트랙의 단부까지 활주된다. 제1 트랙은 대향 배치된 제5 단부 및 제6 단부를 갖고, 제2 트랙은 대향 배치된 제7 단부 및 제8 단부를 가지며, 제6 단부 및 제8 단부는 장착 브래킷에 가깝고;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이 서로를 향해 회전되는 프로세스에서, 제1 슬라이더는 제5 단부로부터 제6 단부까지 활주 가능하고, 제2 슬라이더는 제7 단부로부터 제8 단부까지 활주 가능하며;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이 서로 멀어지게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제1 슬라이더는 제6 단부로부터 제5 단부까지 활주 가능하고, 제2 슬라이더는 제8 단부로부터 제7 단부까지 활주 가능하다.
이 해결책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제2 지지 플레이트가 제1 회전 브래킷 및 제2 회전 브래킷의 구동 하에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에 대해 활주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며, 여기서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활주 트랙이 제1 트랙이고,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에 대해 활주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며, 여기서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활주 트랙은 제2 트랙이다. 따라서, 제1 트랙은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제1 전달 커넥팅 로드 사이의 상대적인 활주를 안내하는 데 사용되고, 제2 트랙은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제2 전달 커넥팅 로드 사이의 상대적인 활주를 안내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트랙은 비스듬히 배치되거나 아치형 구조로 되어 있고, 제2 트랙은 비스듬히 배치되거나 아치형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트랙은 제1 지지 플레이트가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에 대해 활주할 때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여,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제1 전달 커넥팅 로드 사이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트랙은 제2 지지 플레이트가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에 대해 활주할 때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여,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제2 전달 커넥팅 로드 사이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폴더블 장치는 장착 브래킷에 연결되는 제1 댐핑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제1 댐핑 조립체 및 전달 조립체는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제1 댐핑 조립체는 제1 회전 아암, 제2 회전 아암, 서로 맞물리는 적어도 2개의 제1 기어, 제1 탄성 부재, 및 제1 탄성 부재와 제1 기어 사이에 배치된 캠을 포함하고, 캠은 제1 요철 표면을 갖고;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제1 회전 아암의 일 단부는 제1 회전 브래킷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회전 브래킷에 대해 활주 가능하고, 다른 단부에는 제1 치형부가 제공되며, 제2 회전 아암의 일 단부는 제2 회전 브래킷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회전 브래킷에 대해 활주 가능하며, 다른 단부에는 제2 치형부가 제공되고, 제1 치형부 및 제2 치형부 모두는 제1 기어와 맞물리며,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기어의 표면이자 제1 요철 표면에 상대적인 표면에 제2 요철 표면이 배치되며; 캠과 제1 기어는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제1 탄성 부재의 2개의 단부는 장착 브래킷과 캠에 대해 각각 탄성적으로 맞접하며; 제1 회전 아암과 제2 회전 아암이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제1 치형부와 제2 치형부는 캠에 대해 회전 가능하여, 제1 요철 표면은 제2 요철 표면과 맞물릴 수 있다.
이 해결책에서, 폴더블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제1 댐핑 조립체는 제1 감쇠력을 제공할 수 있고, 제1 감쇠력은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에 작용하여,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의 서로를 향한 회전에 대해 저항을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폴더블 장치가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폴더블 장치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절첩된 상태로 전환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는,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에, 제1 감쇠력을 극복할 수 있는 구동력을 인가하면 되고, 그에 따라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이 제1 감쇠력을 극복할 수 있음으로써, 폴더블 장치가 절첩된 상태로 전환하게 할 수 있다. 폴더블 장치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제1 댐핑 조립체는 제2 감쇠력을 제공할 수 있고, 제2 감쇠력은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에 작용하여,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의 서로 멀어지는 회전에 대해 저항을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폴더블 장치가 절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폴더블 장치가 절첩된 상태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전환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는,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에, 제2 감쇠력을 극복할 수 있는 구동력을 인가하면 되고, 그에 따라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이 제2 감쇠력을 극복할 수 있음으로써, 폴더블 장치가 펼쳐진 상태로 전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폴더블 장치의 절첩 또는 펼침 프로세스에서, 제1 댐핑 조립체는 제3 감쇠력을 추가로 제공하여, 펼침 및 절첩 프로세스에서 전자 디바이스에 토크를 제공하고, 펼침 및 절첩 프로세스에서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킬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댐핑 조립체는 장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장착 부재는 장착 공간을 가지며, 캠과 제1 탄성 부재는 장착 공간에 위치되고; 제1 기어는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핀 샤프트에 연결되고, 캠과 제1 탄성 부재는 핀 샤프트 상에 슬리빙되며, 제1 탄성 부재의 2개의 단부는 장착 부재와 캠에 대해 각각 탄성적으로 맞접하며; 장착 부재에는 회전 구멍이 제공되고, 핀 샤프트는 회전 구멍을 통해 연장되어 장착 부재 밖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제1 댐핑 조립체는 클램핑 부재를 더 포함하고, 장착 부재 밖으로 돌출되는 핀 샤프트의 일부에 클램핑 슬롯이 제공되며, 클램핑 부재는 클램핑 슬롯과 클램핑된다.
이 해결책에서, 장착 부재는 장착 공간을 가지며, 장착 공간은 제1 탄성 부재와 캠을 장착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클램핑 부재는 클램핑 부재를 사용하여 제1 탄성 부재와 제1 댐핑 조립체의 캠을 클램핑하도록 배치되어, 제1 탄성 부재와 캠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폴더블 장치는 제2 댐핑 조립체 및 제3 댐핑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제1 전달 커넥팅 로드는 제1 장착 공동을 갖고, 제2 댐핑 조립체는 제1 장착 공동에 장착되며, 제2 전달 커넥팅 로드는 제2 장착 공동을 갖고, 제3 댐핑 조립체는 제2 장착 공동에 장착되며; 제2 댐핑 조립체는 제1 이동 부재 및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 탄성 부재는 제1 이동 부재에 연결되며, 제1 이동 부재는 제2 탄성 부재를 사용하여 제1 회전 브래킷에 탄성적으로 맞접하고, 제2 탄성 부재는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형 가능하며, 제1 이동 부재는 제1 롤러를 사용하여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에 연결되며; 제3 댐핑 조립체는 제2 이동 부재 및 제3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3 탄성 부재는 제2 이동 부재에 연결되고, 제2 이동 부재는 제3 탄성 부재를 사용하여 제2 회전 브래킷에 탄성적으로 맞접하며, 제3 탄성 부재는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형 가능하고, 제2 이동 부재는 제2 롤러를 사용하여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에 연결된다.
이 해결책에서, 폴더블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제2 댐핑 조립체는 제1 회전 브래킷에 작용하는 제4 감쇠력을 제공하여, 제1 회전 브래킷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고, 제3 댐핑 조립체는 제2 회전 브래킷에 작용하는 제5 감쇠력을 제공하여, 제2 회전 브래킷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은 제2 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 즉, 폴더블 장치는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폴더블 장치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절첩된 상태로 전환되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회전 브래킷에, 제4 감쇠력을 극복할 수 있는 구동력을 인가하면 되고, 제2 회전 브래킷에, 제5 감쇠력을 극복할 수 있는 구동력을 인가하면 되며, 그에 따라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이 서로를 향해 회전할 수 있음으로써, 폴더블 장치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절첩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한다.
폴더블 장치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제2 댐핑 조립체는 제1 회전 브래킷에 대해 제6 감쇠력을 제공하여, 제1 회전 브래킷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고, 제3 댐핑 조립체는 제2 회전 브래킷에 대해 제7 감쇠력을 제공하여, 제2 회전 브래킷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은 제1 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 즉, 폴더블 장치는 절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폴더블 장치가 절첩된 상태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전환되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회전 브래킷에, 제6 감쇠력을 극복할 수 있는 구동력을 인가하면 되고, 제2 회전 브래킷에, 제7 감쇠력을 극복할 수 있는 구동력을 인가하면 되며, 그에 따라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이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회전할 수 있음으로써, 폴더블 장치가 절첩된 상태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폴더블 장치의 절첩 또는 펼침 프로세스에서, 제2 댐핑 조립체는 제1 회전 브래킷에 제8 감쇠력을 인가할 수 있고, 제3 댐핑 조립체는 제2 회전 브래킷에 제9 감쇠력을 인가할 수 있어, 펼침 및 절첩 프로세스에서 전자 디바이스에 토크를 제공하고, 절첩 및 펼침 프로세스에서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킬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회전 브래킷은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1 만입부 및 제2 만입부를 포함하고; 제2 회전 브래킷은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3 만입부 및 제4 만입부를 포함하며; 제1 회전 브래킷이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제1 이동 부재는 제1 만입부와 제2 만입부 사이의 벽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제1 이동 부재는 제1 만입부 또는 제2 만입부에 끼워질 수 있고; 제2 회전 브래킷이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제2 이동 부재는 제3 만입부와 제4 만입부 사이의 벽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제2 이동 부재는 제3 만입부 또는 제4 만입부에 끼워질 수 있다. 이 해결책에서, 제1 이동 부재가 제1 만입부 또는 제2 만입부에 끼워질 때, 제1 회전 브래킷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제한될 수 있고, 그 위치에서 제1 회전 브래킷의 안정성 및 신뢰성이 개선된다. 유사하게, 제2 이동 부재가 제3 만입부 또는 제4 만입부에 끼워질 때, 제2 회전 브래킷이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제한될 수 있고, 그 위치에서 제2 회전 브래킷의 안정성 및 신뢰성이 개선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만입부와 장착 브래킷 사이의 거리는 제2 만입부와 장착 브래킷 사이의 거리보다 작고, 제3 만입부와 장착 브래킷 사이의 거리는 제4 만입부와 장착 브래킷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이 해결책에서, 폴더블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즉,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이 제2 위치에 위치될 때, 제2 댐핑 조립체의 제1 이동 부재가 제1 만입부에 끼워지고, 제3 댐핑 조립체의 제2 이동 부재가 제3 만입부에 끼워진다. 폴더블 장치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즉,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이 제1 위치에 위치될 때, 제2 댐핑 조립체의 제1 이동은 제2 만입부에 끼워지고, 제3 댐핑 조립체의 제2 이동 부재는 제4 만입부에 끼워진다. 또한, 제1 만입부와 장착 브래킷 사이의 거리가 제2 만입부와 장착 브래킷 사이의 거리보다 작고, 제3 만입부와 장착 브래킷 사이의 거리가 제4 만입부와 장착 브래킷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경우, 제1 회전 브래킷과 상기 제2 회전 브래킷이 서로를 향해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제1 전달 커넥팅 로드는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회전 브래킷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제2 전달 커넥팅 로드는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 회전 브래킷에 대해 이동 가능하여,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와 제1 회전 브래킷 사이의 끼임을 방지하고,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와 제2 회전 브래킷 사이의 끼임을 방지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이동 부재는 제1 만입부와 제2 만입부 사이의 벽 표면을 따라 활주 가능하고, 제2 이동 부재는 제3 만입부와 제4 만입부 사이의 벽 표면을 따라 활주 가능하다. 이 해결책에서, 제1 회전 브래킷과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의 상대 이동 프로세스에서, 제1 이동 부재는 제1 회전 브래킷을 따라 활주하고, 제2 회전 브래킷과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의 상대 이동 프로세스에서, 제2 이동 부재는 제2 회전 브래킷을 따라 활주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이동 부재는 제1 만입부와 제2 만입부 사이의 벽 표면을 따라 롤링 가능하고, 제2 이동 부재는 제3 만입부와 제4 만입부 사이의 벽 표면을 따라 롤링 가능하다. 이 해결책에서, 제1 회전 브래킷과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의 상대 이동 프로세스에서, 제1 이동 부재는 제1 회전 브래킷을 따라 롤링하고, 제2 회전 브래킷과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의 상대 이동 프로세스에서, 제2 이동 부재는 제2 회전 브래킷을 따라 롤링하여, 제1 이동 부재와 제1 회전 브래킷 사이의 마모 및 제2 이동 부재와 제2 회전 브래킷 사이의 마모를 감소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장착 공동에는 제1 관통 구멍이 제공되고, 제1 롤러는 제1 관통 구멍에서 회전 가능하며, 제1 롤러는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관통 구멍에서 이동 가능하고; 제2 장착 공동에는 제2 관통 구멍이 제공되고, 제2 롤러는 제2 관통 구멍에서 회전 가능하며, 제2 롤러는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 관통 구멍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 해결책에서,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에는 제1 관통 구멍이 제공되고,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른 제1 관통 구멍의 크기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른 제1 관통 구멍의 크기보다 크며, 즉, 제1 관통 구멍은 세장형 구멍이다. 제1 이동 부재의 제1 롤러는 제1 관통 구멍에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제1 롤러는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더 이동 가능하며,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의 제1 이동 부재의 이동을 구현하여, 제2 탄성 부재의 변형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제1 회전 브래킷에 대한 제1 이동 부재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에는 제2 관통 구멍이 제공되고,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른 제2 관통 구멍의 크기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른 제2 관통 구멍의 크기보다 크며, 즉, 제2 관통 구멍은 세장형 구멍이다. 제2 이동 부재의 제2 롤러는 제2 관통 구멍에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제2 롤러는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더 이동 가능하며,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의 제2 이동 부재의 이동을 구현하여, 제3 탄성 부재의 변형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제2 회전 브래킷에 대한 제2 이동 부재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전달 조립체는 동기식 기어 세트를 더 포함하고, 동기식 기어 세트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2 기어, 제3 기어, 제4 기어, 및 제5 기어를 포함하고, 제4 기어는 제2 기어와 맞물리며, 제5 기어는 제3 기어와 맞물리고, 제4 기어는 제5 기어와 맞물리며; 제2 기어는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에 연결되고, 제3 기어는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에 연결된다.
이 해결책에서, 제2 기어와 제1 전달 커넥팅 로드는 동일한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3 기어와 제2 전달 커넥팅 로드는 동일한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기어와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의 동기식 회전 및 제3 기어와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의 동기식 회전을 구현하며, 제1 전달 커넥팅 로드는 제1 회전 브래킷에 연결되고, 제2 전달 커넥팅 로드는 제2 회전 브래킷에 연결되어, 제1 회전 브래킷과 제2 회전 브래킷의 동기식 회전을 추가로 구현한다. 또한, 동기식 기어 세트에 대한 제2 기어 및 제3 기어와 맞물리는 제4 기어 및 제5 기어를 추가함으로써, 제2 기어가 제3 기어와 맞물릴 때 제2 기어 및 제3 기어의 직경이 추가로 감소될 수 있어,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과 두께 방향을 따라 동기식 기어 세트가 점유하는 공간을 감소시킴으로써, 폴더블 장치의 소형화 및 가볍고 얇은 설계를 구현하는 데 도움을 준다.
본 출원의 제2 양태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전자 디바이스는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가요성 스크린, 및 제1 양태의 폴더블 장치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폴더블 장치의 2개의 측면에 위치된다. 제1 하우징은 동일 측면에 위치된 제1 회전 브래킷에 체결되고, 제2 하우징은 동일 측면에 위치된 제2 회전 브래킷에 체결된다. 가요성 스크린은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및 폴더블 장치에 덮이고,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에 체결된다.
이 해결책에서, 폴더블 장치의 구동 하에, 전자 디바이스는 펼쳐진 상태 또는 절첩된 상태에 있도록 가능하게 될 수 있으며, 폴더블 장치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절첩된 상태로 전환되는 프로세스에서,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에 연결된 제1 회전 브래킷 및 제2 회전 브래킷은 서로를 향해 회전할 때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절첩된 상태에서 폴더블 장치의 수용 공간이 증가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폴더블 장치에 의한 가요성 스크린의 압착이 감소됨으로써, 가요성 스크린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은 충분한 공간을 갖고, 가요성 스크린은 수용 공간 내에서 아치형이 되는 것이 추가로 방지될 수 있으며, 절첩된 상태에서 가요성 스크린의 평탄도가 개선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폴더블 장치가 지지 플레이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경우, 가요성 스크린은 지지 플레이트 조립체의 적어도 일 부분에 추가로 체결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가요성 스크린은 제3 영역, 제4 영역, 및 제5 영역을 포함하고, 제5 영역은 제3 영역과 제4 영역 사이에 위치되며; 지지 플레이트 조립체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3 영역은 제1 지지 플레이트에 체결되지 않으며, 제4 영역은 제2 지지 플레이트에 체결되지 않고, 제5 영역은 폴더블 장치에 체결되지 않는다. 이 해결책에서, 전자 디바이스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제3 영역, 제4 영역, 및 제5 영역은 절첩된 후 액적 형상의 구조를 형성하고, 즉, 절첩 부분은 액적 형상이고, 제5 영역은 절첩된 후 반원형 아치형이다. 또한, 가요성 스크린의 제3 영역, 제4 영역, 및 제5 영역은 폴더블 장치에 체결되지 않기 때문에, 폴더블 장치가 절첩 또는 펼침 프로세스에서 가요성 스크린을 신장시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가요성 스크린의 신뢰성이 개선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가요성 스크린은 제3 영역, 제4 영역, 및 제5 영역을 포함하고, 제5 영역은 제3 영역과 제4 영역 사이에 위치되며; 지지 플레이트 조립체는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3 영역은 제1 지지 플레이트에 체결되며, 제4 영역은 제2 지지 플레이트에 체결되고, 제5 영역은 지지 장치에 체결되지 않는다. 이 해결책에서, 전자 디바이스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제5 영역은 인클로저를 통해 반원형 원호 형상을 형성하고, 제3 영역이 제1 지지 플레이트에 체결되고, 제4 영역이 제2 지지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의 절첩 또는 펼침 프로세스에서, 제3 영역은 제1 지지 플레이트와 함께 이동하도록 가능하게 될 수 있고, 제4 영역은 제2 지지 플레이트와 함께 이동하도록 가능하게 될 수 있으며, 즉, 제3 영역과 제1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상대 이동이 없고, 그에 따라 펼침 및 절첩 프로세스에서 가요성 스크린의 절첩 부분의 평탄도가 개선되고, 가요성 스크린의 고장 위험이 감소된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일 뿐이며, 본 출원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특정 실시예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가요성 스크린의 일부를 펼치고 절첩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고;
도 4는 가요성 스크린이 제거된 도 2의 구조의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절첩된 상태의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절취도이며;
도 7은 도 6의 부분 I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4의 절취도이며;
도 9는 도 8의 부분 II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수용 공간의 형상의 개략도이며;
도 11은 폴더블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 있는 제1 특정 실시예의 도 3의 폴더블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해도이며;
도 13은 제1 특정 실시예에서 도 11의 회전 브래킷 조립체, 장착 브래킷, 및 전달 조립체 사이의 끼워맞춤의 개략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부분 분해도이며;
도 15는 제1 특정 실시예에서 도 14의 회전 브래킷 조립체 및 전달 조립체의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16은 제1 특정 실시예에서 도 15의 제1 회전 브래킷과 제1 전달 커넥팅 로드 사이의 끼워맞춤 구조의 개략도이며;
도 17은 제1 특정 실시예에서 도 15의 제2 회전 브래킷과 제2 전달 커넥팅 로드 사이의 끼워맞춤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18은 폴더블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 있는 제2 특정 실시예에서 도 3의 폴더블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며;
도 19는 도 18의 분해도이고;
도 20은 제2 특정 실시예에서 도 19의 회전 브래킷 조립체, 전달 조립체, 및 장착 브래킷 사이의 끼워맞춤 구조의 개략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분해도이고;
도 22는 제3 특정 실시예에서 도 19의 회전 브래킷 조립체, 전달 조립체, 장착 브래킷, 및 제1 댐핑 조립체 사이의 끼워맞춤 구조의 개략도이며;
도 23은 도 22의 분해도이고;
도 24는 도 2의 단면도이며;
도 25는 도 24의 부분 III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26은 동기식 기어 세트에서 도 18의 폴더블 장치의 절취도로서, 지지 플레이트 조립체는 폴더블 장치로부터 제거되어 있으며;
도 27은 도 11의 부분 IV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28은 도 12의 부분 V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29는 도 27의 부분 VI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0은 도 18의 폴더블 장치의 절취도이며;
도 31은 절첩된 상태에서 도 18의 폴더블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2는 특정 실시예에서 도 23의 제1 댐핑 조립체의 구조의 개략도이며;
도 33은 도 32의 분해도이고;
도 34는 제1 댐핑 조립체에서 도 18의 절취도이며;
도 35는 도 33의 부분 VII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6은 특정 실시예에서 도 23의 제1 회전 브래킷 및 제2 댐핑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37은 도 36의 제2 댐핑 조립체의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38은 도 36의 제1 회전 브래킷의 평면도이며;
도 39는 도 23의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의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40은 도 13의 부분 VIII의 부분 확대도이다.
참조 번호:
1'-가요성 스크린;
1-폴더블 장치, 11-회전 브래킷 조립체, 111-제1 회전 브래킷, 111a-제1 만입부, 111b-제2 만입부, 111c-제3 볼록부; 112-제2 회전 브래킷, 112a-제3 만입부, 112b-제4 만입부, 112c-제4 볼록부; 113-제3 트랙, 114-제3 회전 브래킷, 114a-제1 활주 공간, 115-제4 회전 브래킷, 115a-제2 활주 공간;
12-스윙 아암 조립체, 121-제1 스윙 아암, 121a-제9 회전 샤프트, 122-제2 스윙 아암, 122a-제10 회전 샤프트;
13-푸시 그룹, 131-제1 푸시 부재, 132-제2 푸시 부재, 133-제1 제한 부재, 133a-제1 볼록부, 134-제2 제한 부재, 134a-제2 볼록부;
14-전달 그룹, 141-제1 전달 커넥팅 로드, 141a-제1 로커, 141b-제1 장착 공동, 141c-제1 관통 구멍, 141d-제1 슬라이더, 141e-제1 크랭크, 141f-제1 아치형 섹션, 141g-제1 직선 섹션, 142-제2 전달 커넥팅 로드, 142a-제2 로커, 142b-제2 장착 공동, 142c-제2 관통 구멍, 142d-제2 슬라이더, 142e-제2 크랭크, 142f-제2 아치형 섹션, 142g-제2 직선 섹션, 143-제3 슬라이더;
151-제1 회전 샤프트, 152-제2 회전 샤프트, 153-제3 회전 샤프트, 154-제4 회전 샤프트, 155-제5 회전 샤프트, 156-제6 회전 샤프트, 157-제8 회전 샤프트, 158-제11 회전 샤프트, 159-제12 회전 샤프트;
16-동기식 기어 세트, 161-제2 기어, 162-제3 기어, 163-제4 기어, 164-제5 기어;
17-지지 플레이트 조립체, 171-제1 지지 플레이트, 1711-제1 본체 부분, 1712-제1 연장 부분, 1713-제1 트랙, 1713a-제5 단부, 1713b-제6 단부, 1714-제1 단부, 1715-제1 아치형 홈, 1716-제2 단부, 172-제2 지지 플레이트, 1721-제2 본체 부분, 1722-제2 연장 부분, 1723-제2 트랙, 1723b-제8 단부; 1724-제3 단부, 1726-제4 단부, 173-제3 지지 플레이트, 174-수용 공간, 174a-제3 아치형 섹션, 174b-제3 직선 섹션, 174c-제4 직선 섹션;
18-장착 브래킷, 181-회전 샤프트 커버, 181a-수용 공동, 182-고정 블록, 182a-슈트;
191-제1 댐핑 조립체, 1911-캠, 1911a-제1 요철 표면, 1912-제1 탄성 부재, 1913-제1 기어, 1913a-제2 요철 표면, 1914-제1 회전 아암, 1914a-제1 치형부, 1914b-제13 회전 샤프트, 1915-제2 회전 아암, 1915a-제2 치형부, 1915b-제14 회전 샤프트, 1916-장착 부재, 1916a-장착 공간, 1916b-가압판, 1917-클램핑 부재, 1918-핀 샤프트, 1918a-클램핑 슬롯;
192-제2 댐핑 조립체, 1921-제1 이동 부재, 1921a-제1 롤러, 1922-제2 탄성 부재;
193-제3 댐핑 조립체;
2-가요성 스크린, 21-제1 영역, 22-제2 영역, 23-제3 영역, 24-제4 영역, 25-제5 영역, 26-절첩 부분; 및
31-제1 하우징, 311-제1 홈, 32-제2 하우징, 321-제2 홈.
본 명세서의 첨부 도면은 본 명세서에 통합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출원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명세서와 함께 본 출원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기술 해결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가요성 스크린(1')의 부분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부분 구조는 가요성 스크린(1')의 부분이자 절첩 구성요소에 끼워지는 부분이다. 폴더블 전자 디바이스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부분의 가요성 스크린(1')의 외측면의 길이는 L1이고, 부분의 가요성 스크린(1')의 내측면의 길이는 L2이다. 이 경우, L1=L2이고, 즉, 펼쳐진 상태에서, 가요성 스크린(1')의 모든 부분의 길이는 동일하며, 가요성 스크린(1')은 신장되거나 압축되지 않는다. 가요성 스크린(1')이 절첩 구성요소의 구동 하에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를 따라 절첩된 후, 가요성 스크린(1')의 내측면의 길이(L2)는 L4로 변경되고, 외측면의 길이(L1)는 L3으로 변경되며, 여기서 L4<L2이고 L3>L1이다. 즉, 절첩 프로세스에서, 가요성 스크린(1')의 내측면은 압축되고 외측면은 신장된다. 가요성 스크린(1')의 두께 방향을 따른 중간층의 길이는 절첩 프로세스에서 변경되어, 복수 회의 신장 및 압축으로 인해 복수 회의 절첩 동안 가요성 스크린(1')의 손상 위험을 초래한다.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전자 디바이스는 폴더블 스크린 기능을 갖는 임의의 디바이스,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노트북 컴퓨터, 차량 탑재형 컴퓨터,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폴더블 디스플레이,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의 특정 형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전자 디바이스가 휴대폰인 예를 설명을 위해 사용한다. 다음은 특정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출원의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는 폴더블 장치(1), 스크린,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을 포함한다. 스크린은 가요성 스크린(2)일 수 있으며, 가요성 스크린(2)은 이미지, 비디오 등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에서 가요성 스크린(2)의 특정 유형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요성 스크린(2)은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또는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MOLED)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자발광 디스플레이로서 AMOLED 디스플레이는 백라이트 모듈(back light module, BLM)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AMOLED 디스플레이의 기판이 가요성 수지 재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 제조되는 경우, AMOLED 디스플레이는 굽힘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요성 스크린(2)은 대안적으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미니 발광 다이오드(mini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micro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micro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QLED)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2)은 이격되어 있으며,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2)은 대안적으로 전자 디바이스의 중간 프레임 구조일 수 있다.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2)은 전자 디바이스의 배터리, 회로 보드, 카메라, 이어폰, 이어피스, 버튼, 및 배터리와 같은 구성요소를 장착하도록 구성되며,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2)은 가요성 스크린(2)을 지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즉, 가요성 스크린(2)은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2)에 체결(예를 들어, 부착)되어, 가요성 스크린(2)은 사용 프로세스에서 가장 큰 크기로 평탄하게 유지되고, 가요성 스크린(2)의 비-디스플레이 표면이 보호된다. 폴더블 장치(1)는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2) 사이에 위치되며,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2)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31)에는 제1 홈(311)이 제공되고, 제2 하우징(32)에는 제2 홈(321)이 제공된다. 폴더블 장치(1)의 일 부분은 제1 홈(311)에 장착되고, 다른 부분은 제2 홈(321)에 장착된다. 몇몇 가능한 구현예에서, 폴더블 장치(1)는 나사를 사용하여 또는 또 다른 방식으로 제1 홈(311)과 제2 홈(321)에 연결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 프로세스에서, 폴더블 장치(1)는 적어도 도 4에 도시된 펼쳐진 상태와 도 5에 도시된 절첩된 상태를 포함한다. 펼쳐진 상태에서,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2)은 대략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고, 그에 따라 가요성 스크린(2)은 대략 평면이다. 이 경우, 가요성 스크린(2)이 노출되어, 사용자가 가요성 스크린(2)을 조작할 수 있으며, 가요성 스크린(2)은 이미지 또는 비디오와 같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대형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고 사용자의 시청 경험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폴더블 장치(1)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2)이 도면의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여, 폴더블 장치(1)를 중심선(O)을 따라 절첩 가능하도록 구동한다. 절첩 프로세스에서, 폴더블 장치(1)로부터 멀어지는 제1 하우징(31)의 일 단부와 제2 하우징(32)의 일 단부는 서로 접근하여, 전자 디바이스는 도 5에 도시된 절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가요성 스크린 접힘 구조이다. 절첩된 상태에서, 가요성 스크린(2)은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2)이 절첩된 후 인클로저를 통해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된다. 이 경우, 가요성 스크린(2)이 노출되지 않고, 사용자가 가요성 스크린(2)을 조작할 수 없으며, 전자 디바이스의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2)은 회전 가능하여(회전 방향은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반대임), 폴더블 장치(1)를 중심선(O)을 따라 펼쳐지도록 구동하고, 그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는 도 4에 도시된 펼쳐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 폴더블 장치(1)는 전자 디바이스의 절첩 및 펼침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도시된 구조가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특정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가능한 구현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일부 구성요소를 조합하거나, 일부 구성요소를 분할하거나, 상이한 구성요소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장치(1)는 절첩되어 수용 공간(174)을 형성하고, 가요성 스크린(2)의 절첩 부분(26)은 수용 공간(174)에 수용되며, 나머지 부분은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에 수용된다. 가요성 스크린(2)의 서비스 수명 및 신뢰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펼침 및 절첩 프로세스에서 절첩 부재(26)의 당김 및 압착이 완화되거나 제거될 필요가 있고, 즉, 절첩 부재(26)는 펼침 프로세스에서 외력에 의한 당김이 없고 절첩 프로세스에서 외력에 의한 압착이 없도록 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장치(1)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폴더블 장치(1)의 부분이자 가요성 스크린(2)의 절첩 부분(26)에 끼워지는 부분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제1 길이(L1)를 갖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폴더블 장치(1)는 가요성 스크린(2)의 절첩 부분(26)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174)을 형성하고, 수용 공간(174)의 윤곽 길이(둘레)는 제2 길이(L2)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길이(L1)와 제2 길이(L2)는 L1<L2를 만족한다. 따라서, 폴더블 장치(1)가 도 9에 도시된 펼쳐진 상태로부터 도 10에 도시된 절첩된 상태로 전환되는 프로세스에서, 폴더블 장치(1)의 부분이자 절첩 부분(26)에 끼워지는 부분의 윤곽 길이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폴더블 장치(1)는 절첩된 상태에서 가요성 스크린(2)의 절첩 부분(26)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여, 폴더블 장치(1)의 절첩 프로세스에서 절첩 부분(26)의 당김 및 압착을 완화함으로써, 가요성 스크린(2)의 기능적 고장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구체적으로, 폴더블 장치(1)는 절첩 프로세스에서 절첩 부재(26)가 외력에 의해 압착되거나 신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장치(1)는 장착 브래킷(18)을 포함하고, 장착 브래킷(18)은 전자 디바이스의 제1 하우징(31) 및 제2 하우징(32)(도 3 참조)에 대해 고정되며, 폴더블 장치(1)의 절첩 및 펼침 프로세스에서, 중심선(O)은 장착 브래킷(18)의 중심선일 수 있으며, 중심선(O)의 연장 방향은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으로서 정의된다. 펼쳐진 상태(도 3 참조)의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1 하우징(31)과 제2 하우징(32)의 배열 방향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으로서 정의되고,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 및 폭 방향(Y) 모두에 직교하는 방향은 장착 브래킷(18)의 높이 방향(Z)으로서 정의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장치(1)는 회전 브래킷 조립체(11)를 더 포함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브래킷 조립체(11)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장착 브래킷(18)의 2개의 측면에 배열된 제1 회전 브래킷(111) 및 제2 회전 브래킷(112)을 포함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브래킷(111)은 제1 회전 샤프트(151)를 사용하여 장착 브래킷(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회전 브래킷(112)은 제2 회전 샤프트(152)를 사용하여 장착 브래킷(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회전 브래킷(111)은 장착 브래킷(18)에 대해 제1 회전 샤프트(15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2 회전 브래킷(112)은 장착 브래킷(18)에 대해 제2 회전 샤프트(15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 15에 도시된 참조 번호 151에 의해 나타낸 위치는 제1 회전 샤프트(151)의 축 위치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 152에 의해 나타낸 위치는 제2 회전 샤프트(152)의 축 위치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 모두가 장착 브래킷(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은 서로를 향해 회전할 수 있고, 서로 멀어지게 회전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이 서로를 향해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폴더블 장치(1)는 도 4에 도시된 펼쳐진 상태로부터 도 5에 도시된 절첩된 상태로 전환되며,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이 서로 멀어지게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폴더블 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절첩된 상태로부터 도 4에 도시된 펼쳐진 상태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장치(1)의 절첩 프로세스에서, 즉,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이 서로를 향해 회전할 때, 제1 회전 샤프트(151)와 제2 회전 샤프트(152)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장착 브래킷(1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폴더블 장치(1)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절첩된 상태로 전환되는 프로세스에서, 서로를 향해 회전할 때,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은 제1 회전 샤프트(151)와 제2 회전 샤프트(152)의 구동 하에 장착 브래킷(1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더 이동 가능하다. 제1 회전 샤프트(151)와 제2 회전 샤프트(152)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폴더블 장치(1)의 수용 공간(174)은 증가될 수 있다. 즉, L1<L2이면 폴더블 장치(1)의 절첩 프로세스에서 절첩 부분(26)의 압착 및 신장을 완화하고, 가요성 스크린(2)의 신뢰성 및 구조적 강도를 개선시키고, 가요성 스크린(2)의 재료 성능에 대한 요건을 낮추며,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이 서로를 향해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제1 회전 샤프트(151)와 제2 회전 샤프트(152)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장착 브래킷(18)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 폴더블 장치(1)는,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의 이동을 전달하고,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의 연동 장치를 구현하며, 폭 방향(Y)을 따른 제1 회전 샤프트(151)와 제2 회전 샤프트(152)의 이동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전달 조립체와 스윙 아암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달 조립체와 스윙 아암 조립체의 특정 구조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2, 도 13, 도 14, 도 21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아암 조립체(12)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장착 브래킷(18)의 2개의 측면에 위치되는 제1 스윙 아암(121) 및 제2 스윙 아암(122)을 포함한다. 제1 스윙 아암(121)의 일 단부는 제1 회전 브래킷(111)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회전 브래킷(111)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다른 단부는 제1 회전 샤프트(151)를 사용하여 장착 브래킷(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스윙 아암(122)의 일 단부는 제2 회전 브래킷(112)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회전 브래킷(112)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다른 단부는 제2 회전 샤프트(151)를 사용하여 장착 브래킷(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21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윙 아암(121)은 제9 회전 샤프트(121a)를 사용하여 제1 회전 브래킷(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스윙 아암(122)은 제10 회전 샤프트(122a)를 사용하여 제2 회전 브래킷(1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9 회전 샤프트(121a)는 제1 스윙 아암(121)에 배치된 원통형 돌출부이고, 제10 회전 샤프트(122a)는 제2 스윙 아암(122)에 배치된 원통형 돌출부이다.
전달 조립체는 전달 그룹(14)과 푸시 그룹(13)을 포함한다. 도 13 내지 도 15 및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그룹(14)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장착 브래킷(18)의 2개의 측면에 위치되는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와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를 포함한다.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는 제1 회전 브래킷(111)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며 장착 브래킷(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는 제2 회전 브래킷(112)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며 장착 브래킷(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5, 도 16, 도 21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는 제3 회전 샤프트(153)를 사용하여 장착 브래킷(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5, 도 17, 도 21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는 제4 회전 샤프트(154)를 사용하여 장착 브래킷(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5, 도 16, 도 21, 및 도 23에 도시된 참조 번호 153은 장착 브래킷(18)에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후 제3 회전 샤프트(153)의 축 위치를 나타낸다. 도 15, 도 17, 도 21, 및 도 23에 도시된 참조 번호 154는 장착 브래킷(18)에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후 제4 회전 샤프트(154)의 축 위치를 나타낸다.
도 13 내지 도 15 및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그룹(13)은 제1 푸시 부재(131) 및 제2 푸시 부재(132)를 포함하고, 제1 푸시 부재(131)는 제2 회전 샤프트(152)를 사용하여 제2 스윙 아암(1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푸시 부재(131)는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에 추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푸시 부재(132)는 제1 회전 샤프트(151)를 사용하여 제1 스윙 아암(1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푸시 부재(132)는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에 추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푸시 부재(131)는 제5 회전 샤프트(155)를 사용하여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푸시 부재(132)는 제6 회전 샤프트(156)를 사용하여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5, 도 16, 도 21, 및 도 23에 도시된 참조 번호 155는 제1 푸시 부재(131)가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에 연결된 후 제5 회전 샤프트(155)의 축 위치이다. 도 15, 도 17, 도 21, 및 도 23에 도시된 참조 번호 156은 제2 푸시 부재(132)가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에 연결된 후 제6 회전 샤프트(156)의 축 위치이다. 제3 회전 샤프트(153)와 제5 회전 샤프트(155)는 상이한 축이고, 제4 회전 샤프트(154)와 제6 회전 샤프트(156)는 상이한 축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는 제1 회전 브래킷(111)의 이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는 제2 회전 브래킷(112)의 이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이 서로를 향해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제1 회전 브래킷(111)은,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를 사용함으로써, 제1 푸시 부재(131)를 구동하여 제2 회전 샤프트(152)를 푸시하여 장착 브래킷(1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 회전 브래킷(112)은,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를 사용함으로써, 제2 푸시 부재(132)를 구동하여 제1 회전 샤프트(151)를 푸시하여 장착 브래킷(1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폴더블 장치(1)의 수용 공간(174)을 증가시킨다. 또한, 폴더블 장치(1)에서, 제1 스윙 아암(121)의 2개의 단부는 제1 회전 브래킷(111) 및 제2 푸시 부재(132)에 각각 연결되고, 제2 스윙 아암(122)의 2개의 단부는 제2 회전 브래킷(112) 및 제1 푸시 부재(131)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은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 제1 푸시 부재(131), 및 제2 스윙 아암(122)을 사용하여 연결되며, 또한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 제2 푸시 부재(132), 및 제1 스윙 아암(121)을 사용하여 연결된다. 이 경우,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 제1 푸시 부재(131), 제2 스윙 아암(122),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 제2 푸시 부재(132), 및 제1 스윙 아암(121)은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 사이에 연동 장치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달 조립체는 도 15, 도 21, 및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를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은 3개의 실시예에서 전달 조립체의 특정 구조를 별개로 설명한다.
또한, 전달 조립체의 각각의 구성요소의 이동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전달 조립체는 제한 그룹을 더 포함한다. 도 13 내지 도 17은 제한 그룹의 구현 방식을 도시한다. 제한 그룹은 제1 제한 부재(133) 및 제2 제한 부재(134)를 포함한다. 제1 제한 부재(133)의 일 단부는 장착 브래킷(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제1 회전 샤프트(151)를 사용하여 제1 스윙 아암(121) 및 제2 푸시 부재(1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제한 부재(134)의 일 단부는 장착 브래킷(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제2 회전 샤프트(152)를 사용하여 제2 스윙 아암(122) 및 제1 푸시 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제한 부재(134)는 제8 회전 샤프트(157)를 사용하여 장착 브래킷(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1 제한 부재(133)는 제7 회전 샤프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장착 브래킷(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제한 부재(133)는 제1 미리 설정된 트랙을 따른 제1 푸시 부재(131)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제2 제한 부재(134)는 제2 미리 설정된 트랙을 따른 제2 푸시 부재(132)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푸시 부재(131)와 제2 푸시 부재(132)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에서, 제3 회전 샤프트(153)와 제5 회전 샤프트(155)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은 제1 로커(141a)이고, 제1 로커(141a)는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의 일부이다. 즉, 제1 로커(141a)는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의 다른 부분에 체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유사하게,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에서, 제4 회전 샤프트(154)와 제6 회전 샤프트(156)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은 제2 로커(142a)이고, 제2 로커(142a)는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의 일부이다. 즉, 제2 로커(142a)는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의 다른 부분에 체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의 제1 로커(141a), 제1 푸시 부재(131), 제2 제한 부재(134), 및 장착 브래킷(18)은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을 형성하고, 제2 로커(142a), 제2 푸시 부재(132), 제1 제한 부재(133), 및 장착 브래킷(18)은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은 동일한 평면에서 이동하는 4개의 강성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메커니즘이다. 구체적으로,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은 랙, 측면 링크, 및 커넥팅 로드를 포함한다. 랙은 고정된 상태에 있다. 랙에 직접 연결된 이동 부재는 측면 링크이고, 랙에 연결되지 않은 부재는 커넥팅 로드이다.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은 특히 이중 로커 메커니즘 또는 크랭크-슬라이더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중 로커 메커니즘의 2개의 측면 링크는 모두 로커이며, 커넥팅 로드는 평면형 4-바아가 위치되는 평면에서 평면형 이동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중 로커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이 구현되는 경우, 장착 브래킷(18)은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의 랙이 된다. 제1 로커(141a)와 제2 제한 부재(134) 모두는 장착 브래킷(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로커(141a)와 제2 제한 부재(134)는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의 측면 링크이고, 제1 로커(141a)와 제2 제한 부재(134)는 특정 각도 범위 내에서 스윙한다. 따라서, 제1 로커(141a)와 제2 제한 부재(134)는 로커이다. 제1 푸시 부재(131)는 장착 브래킷(18)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제1 푸시 부재(131)는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의 커넥팅 로드이다. 따라서, 제1 로커(141a), 제1 푸시 부재(131), 제2 제한 부재(134), 및 장착 브래킷(18)은 제1 이중 로커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유사하게, 제2 로커(142a), 제2 푸시 부재(132), 제1 제한 부재(133), 및 장착 브래킷(18)은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을 형성하고, 장착 브래킷(18)은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의 랙이다. 제2 로커(142a)와 제1 제한 부재(133) 모두는 장착 브래킷(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로커(142a)와 제1 제한 부재(133)는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의 측면 링크이며, 제2 로커(142a)와 제1 제한 부재(133)는 특정 각도 범위 내에서 스윙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로커(142a)와 제1 제한 부재(133)는 로커이다. 제2 푸시 부재(132)는 장착 브래킷(18)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제2 푸시 부재(132)는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의 커넥팅 로드이다. 제2 로커(142a), 제2 푸시 부재(132), 제1 제한 부재(133), 및 장착 브래킷(18)은 제2 이중 로커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의 이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폴더블 장치(1)의 전달 조립체인 전달 조립체가 이중 로커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구현되는 경우, 이중 로커 메커니즘의 모든 이동 부재가 동일한 평면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폴더블 장치(1)의 복잡도가 감소될 수 있고 폴더블 장치(1)의 구성요소의 이동이 단순화되며, 제1 회전 브래킷(111) 및 제2 회전 브래킷(112)의 이동 안정성 및 신뢰성이 개선된다. 또한, 폴더블 장치(1)의 전달 조립체가 이중 로커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구현되는 경우, 제1 회전 샤프트(151)와 제2 회전 샤프트(152)는 이중 로커 메커니즘의 커넥팅 로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커넥팅 로드가 평면형 이동을 수행하는 경우, 제1 회전 샤프트(151)와 제2 회전 샤프트(152)가 구동되어 평면형 이동을 수행하고, 제1 회전 샤프트(151)와 제2 회전 샤프트(152)를 추가로 구동시켜 장착 브래킷(18)(랙)에 대해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동시킨다.
제1 이중 로커 메커니즘에서, 제1 푸시 부재(131)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의 2개의 단부를 따라 각각 제1 로커(141a) 및 제2 제한 부재(134)에 연결된다. 또한, 제1 로커(141a)와 제2 제한 부재(134)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배열되고, 그에 따라 제1 푸시 부재(131)는 제1 로커(141a)와 제2 제한 부재(134)의 구동 하에 평면형 이동을 수행한다. 또한, 제1 푸시 부재(131)의 이동은 적어도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른 서브-이동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제1 푸시 부재(131)에 연결된 제2 회전 샤프트(152)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동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푸시 부재(131)의 제1 미리 설정된 트랙은 제1 이중 로커 메커니즘이 위치되는 평면에서 곡선 이동 또는 직선 이동일 수 있다. 또한, 제1 미리 설정된 트랙은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Y)을 따른 서브-트랙을 갖고,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른 서브-트랙도 갖는다. 즉, 제1 푸시 부재(131)는 장착 브래킷(18)에 대해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라 또한 이동 가능하다.
유사하게, 제2 이중 로커 메커니즘에서, 제2 푸시 부재(132)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의 2개의 단부를 따라 각각 제2 로커(142a) 및 제1 제한 부재(133)에 연결된다. 또한, 제2 로커(142a)와 제1 제한 부재(133)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배열되고, 그에 따라 제2 푸시 부재(132)는 제2 로커(142a)와 제1 제한 부재(133)의 구동 하에 평면형 이동을 수행한다. 또한, 제2 푸시 부재(132)의 이동은 적어도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른 서브-이동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제2 푸시 부재(132)에 연결된 제1 회전 샤프트(151)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동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푸시 부재(132)의 제2 미리 설정된 트랙은 제2 이중 로커 메커니즘이 위치되는 평면에서 곡선 이동 또는 직선 이동일 수 있다. 또한, 제2 미리 설정된 트랙은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Y)을 따른 서브-트랙을 갖고,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른 서브-트랙도 갖는다. 즉, 제2 푸시 부재(132)는 장착 브래킷(18)에 대해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라 또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이중 로커 메커니즘에서, 제1 푸시 부재(131)의 이동의 제1 미리 설정된 트랙은 제1 로커(141a)와 제2 제한 부재(134) 사이의 크기 관계와 관련되고, 제2 푸시 부재(132)의 이동의 제2 미리 설정된 트랙은 제2 로커(142a)와 제1 제한 부재(133) 사이의 크기 관계와 관련된다. 제1 미리 설정된 트랙 및 제2 미리 설정된 트랙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제1 구현예에서, 제1 이중 로커 메커니즘에서, 제1 로커(141a)와 제2 제한 부재(134)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 제1 이중 로커 메커니즘의 2개의 측면 링크의 길이가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1 이중 로커 메커니즘의 커넥팅 로드(제1 푸시 부재(131))의 이동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병진이고, 즉, 제1 미리 설정된 트랙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이다. 유사하게, 제2 이중 로커 메커니즘에서, 제2 로커(142a)와 제1 제한 부재(133)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 제2 이중 로커 메커니즘의 2개의 측면 링크의 길이가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2 이중 로커 메커니즘의 커넥팅 로드(제2 푸시 부재(132))의 이동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병진이고, 즉, 제2 미리 설정된 트랙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이다.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제1 이중 로커 메커니즘에서, 제1 로커(141a)와 제2 제한 부재(134)의 길이가 상이하면, 이는 제1 이중 로커 메커니즘의 2개의 측면 링크의 길이가 상이함을 나타낸다. 이 경우,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동할 때, 제1 이중 로커 메커니즘의 커넥팅 로드(제1 푸시 부재(131))는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라 추가로 틸트된다. 즉, 제1 푸시 부재(131)의 제1 미리 설정된 트랙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과 두께 방향(Z)이 위치되는 평면에서 직선 이동 또는 곡선 이동이다(즉, 제1 미리 설정된 트랙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른 서브-트랙 및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른 서브-트랙을 가짐). 유사하게, 제2 이중 로커 메커니즘에서, 제2 로커(142a)와 제1 제한 부재(133)의 길이가 상이하면, 이는 제2 이중 로커의 2개의 측면 링크의 길이가 상이함을 나타낸다. 이 경우,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동할 때, 제2 이중 로커 메커니즘의 커넥팅 로드(제2 푸시 부재(132))는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라 추가로 틸트된다. 즉, 제2 푸시 부재(132)의 제2 미리 설정된 트랙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과 두께 방향(Z)이 위치되는 평면에서 직선 이동 또는 곡선 이동이다(즉, 제2 미리 설정된 트랙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른 서브-트랙 및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른 서브-트랙을 가짐).
구체적으로, 제1 이중 로커 메커니즘에서, 제1 로커(141a)와 제2 제한 부재(134)의 길이가 상이한 것은 구체적으로 제1 로커(141a)의 길이가 제2 제한 부재(134)의 길이보다 크거나, 제1 로커(141a)의 길이가 제2 제한 부재(134)의 길이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로커(134a) 및 제2 제한 부재(134)의 길이에 대한 요건이 감소되어, 가공 난이도가 감소된다. 또한, 제1 푸시 부재(131)와 제2 푸시 부재(132)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동할 때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라 틸트되는 경우, 제1 푸시 부재(131)와, 제1 푸시 부재(131) 및 제2 스윙 아암(122)에 연결된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 사이의 끼임이 추가로 방지될 수 있으며, 제2 푸시 부재(132)와, 제2 푸시 부재(132) 및 제1 로커(121)에 연결된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 사이의 끼임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중 로커 메커니즘에서, 제1 푸시 부재(131)가 제1 미리 설정된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제1 푸시 부재(131)의 일 단부이자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른 일 단부가 상향 이동하고, 다른 단부는 하향 이동한다. 즉, 제1 푸시 부재(131)의 일 단부이자 제1 로커(141a)에 연결되는 일 단부와 제1 푸시 부재(131)의 일 단부이자 제2 제한 부재(134)에 연결되는 일 단부에서, 일 단부는 상향 이동하고, 다른 단부는 하향 이동한다. 유사하게, 제2 이중 로커 메커니즘에서, 제2 푸시 부재(132)가 제2 미리 설정된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제2 푸시 부재(132)의 일 단부이자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른 일 단부는 상향 이동하고, 다른 단부는 하향 이동한다. 즉, 제2 푸시 부재(132)의 일 단부이자 제2 로커(142a)에 연결되는 일 단부와 제2 푸시 부재(132)의 일 단부이자 제1 제한 부재(133)에 연결되는 일 단부에서, 일 단부는 상향 이동하고, 다른 단부는 하향 이동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폴더블 장치(1)는 제1 이중 로커 메커니즘과 제2 이중 로커 메커니즘을 배치함으로써 제1 미리 설정된 트랙을 따른 제1 푸시 부재(131)의 이동 및 제2 미리 설정된 트랙을 따른 제2 푸시 부재(13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어,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른 제1 회전 샤프트(151)와 제2 회전 샤프트(152)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제한 그룹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그에 따라 장착 브래킷(18)에 대한 제1 푸시 부재(131) 및 제2 푸시 부재(132)의 활주가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푸시 부재(131)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장착 브래킷(18)에 대해 활주 가능하여, 제1 푸시 부재(131)에 연결된 제2 회전 샤프트(152)를 구동하여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동시키고, 제2 푸시 부재(132)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장착 브래킷(18)에 대해 활주 가능하여, 제2 푸시 부재(132)에 연결된 제1 회전 샤프트(151)를 구동하여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동시킨다. 다음은 이 실시예에서 제한 그룹의 특정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 그룹의 제1 제한 부재(133)는 장착 브래킷(18)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제한 부재(133)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장착 브래킷(18)에 대해 활주 가능하다. 제1 제한 부재(133)는 제1 회전 샤프트(151)를 사용하여 제2 푸시 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제한 부재(133)는 제1 스윙 아암(121)에 추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한 부재(133)는 제1 회전 샤프트(151)를 사용하여 제1 스윙 아암(1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한 그룹의 제2 제한 부재(134)는 장착 브래킷(18)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제한 부재(134)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장착 브래킷(18)에 대해 활주 가능하다. 제2 제한 부재(134)는 제2 회전 샤프트(152)를 사용하여 제1 푸시 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제한 부재(134)는 제2 회전 샤프트(152)를 사용하여 제2 스윙 아암(1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제한 부재(133)는 제3 미리 설정된 트랙을 따라 제1 푸시 부재(131)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제2 제한 부재(134)는 제4 미리 설정된 트랙을 따라 제2 푸시 부재(132)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푸시 부재(131)와 제2 푸시 부재(132)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에서, 제3 회전 샤프트(153)와 제5 회전 샤프트(155)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은 제1 크랭크(141e)이고, 제1 크랭크(141e)는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의 일부이다. 즉, 제1 크랭크(141e)는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의 다른 부분에 체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유사하게,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에서, 제4 회전 샤프트(154)와 제6 회전 샤프트(156)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은 제2 크랭크(142e)이고, 제2 크랭크(142e)는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의 일부이다. 즉, 제2 크랭크(142e)는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의 다른 부분에 체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의 제1 크랭크(141e), 제1 푸시 부재(131), 제2 제한 부재(134), 및 장착 브래킷(18)은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을 형성하고,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의 제2 크랭크(142e), 제2 푸시 부재(132), 제1 제한 부재(133), 및 장착 브래킷(18)은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은 또한 크랭크-슬라이더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음은 크랭크-슬라이더 메커니즘의 특정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의 제1 크랭크(141e), 제1 푸시 부재(131), 제2 제한 부재(134), 및 장착 브래킷(18)에서, 장착 브래킷(18)은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의 랙이다. 제1 크랭크(141e)는 장착 브래킷(18)(랙)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제한 부재(134)는 장착 브래킷(18)(랙)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제1 크랭크(141e)는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의 크랭크이고, 제2 제한 부재(134)는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의 슬라이더이다. 제1 푸시 부재(131)는 장착 브래킷(18)(랙)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제1 푸시 부재(131)는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의 커넥팅 로드이다. 제1 크랭크(141e), 제1 푸시 부재(131), 제2 제한 부재(134), 및 장착 브래킷(18)은 제1 크랭크-슬라이더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유사하게, 제2 전달 메커니즘(142)의 제2 크랭크(142e), 제2 푸시 부재(132), 제1 제한 부재(131), 및 장착 브래킷(18)에서, 장착 브래킷(18)은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의 랙이다. 제2 크랭크(142e)는 장착 브래킷(18)(랙)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제한 부재(133)는 장착 브래킷(18)(랙)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제2 크랭크(142e)는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의 크랭크이고, 제1 제한 부재(133)는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의 슬라이더이다. 제2 푸시 부재(132)는 장착 브래킷(18)(랙)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제2 푸시 부재(132)는 평면형 4-바아 메커니즘의 커넥팅 로드이다. 제2 크랭크(142e), 제2 푸시 부재(132), 제1 제한 부재(131), 및 장착 브래킷(18)은 제2 크랭크-슬라이더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제1 크랭크-슬라이더 메커니즘에서, 제1 푸시 부재(131)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의 2개의 단부를 따라 각각 제1 크랭크(141e) 및 제2 제한 부재(134)에 연결된다. 또한, 제1 크랭크(141e)와 제2 제한 부재(134)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배열되고, 그에 따라 제1 푸시 부재(131)는 제1 크랭크(141e)와 제2 제한 부재(134)의 구동 하에 평면형 이동을 수행한다. 또한, 제1 푸시 부재(131)의 이동은 적어도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른 서브-이동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제1 푸시 부재(131)에 연결된 제2 회전 샤프트(152)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동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푸시 부재(131)의 제3 미리 설정된 트랙은 제1 크랭크-슬라이더 메커니즘이 위치되는 평면에서 곡선 이동일 수 있다. 또한, 제3 미리 설정된 트랙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른 서브-트랙을 갖고,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른 서브-트랙도 갖는다. 즉, 제1 푸시 부재(131)는 장착 브래킷(18)에 대해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라 또한 이동 가능하다.
유사하게, 제2 크랭크-슬라이더 메커니즘에서, 제2 푸시 부재(132)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의 2개의 단부를 따라 각각 제2 크랭크(142e) 및 제1 제한 부재(133)에 연결된다. 또한, 제2 크랭크(142e)와 제1 제한 부재(133)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배열되고, 그에 따라 제2 푸시 부재(132)는 제2 크랭크(142e)와 제1 제한 부재(133)의 구동 하에 평면형 이동을 수행한다. 또한, 제2 푸시 부재(132)의 이동은 적어도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른 서브-이동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제2 푸시 부재(132)에 연결된 제1 회전 샤프트(151)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동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푸시 부재(132)의 제4 미리 설정된 트랙은 제2 크랭크-슬라이더 메커니즘이 위치되는 평면에서 곡선 이동일 수 있다. 또한, 제4 미리 설정된 트랙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른 서브-트랙을 갖고,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른 서브-트랙도 갖는다. 즉, 제2 푸시 부재(132)는 장착 브래킷(18)에 대해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라 또한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푸시 부재(131)의 곡선 이동을 구현하기 위해, 제2 제한 부재(134)에 제1 장착 홈이 제공되고, 제1 장착 홈에 제1 푸시 부재(131)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에 따라 제1 푸시 부재(131)는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라 제2 제한 부재(134)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제2 제한 부재(134)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동하는 프로세스에서, 제1 푸시 부재(131)를 구동하여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동시킨다. 유사하게, 제2 푸시 부재(132)의 곡선 이동을 구현하기 위해, 제1 제한 부재(133)에 제2 장착 홈이 제공되고, 제2 장착 홈에 제2 푸시 부재(132)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에 따라 제2 푸시 부재(132)는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라 제1 제한 부재(133)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제1 제한 부재(133)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동하는 프로세스에서, 제2 푸시 부재(132)를 구동하여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동시킨다.
또한, 제1 장착 홈과 제2 장착 홈 모두는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라 만입되어, 제1 장착 홈에 장착될 때 제1 푸시 부재(131)의 두께와 제2 장착 홈에 장착될 때 제2 푸시 부재(132)의 두께가 감소되어,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라 폴더블 장치(1)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폴더블 장치(1) 및 전자 디바이스의 소형화 및 가볍고 얇은 설계를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랙(장착 브래킷(18))에 대한 제1 크랭크-슬라이더 메커니즘의 슬라이더(제2 제한 부재(134)) 및 제2 크랭크-슬라이더 메커니즘의 슬라이더(제1 제한 부재(133))의 활주는 다음의 구조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브래킷(18)은 별개로 배치된 복수의 고정 블록(182)을 포함하고, 복수의 고정 블록(182)은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전술한 2개의 크랭크-슬라이더 메커니즘에서 제1 제한 부재(133) 및 제2 제한 부재(134)는 인접한 고정 블록(182)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고정 블록에는 슈트(182a)가 제공되며, 슈트(182a)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연장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한 부재(133)에는 제1 볼록부(133a)가 배치되고, 제1 볼록부(133a)는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제1 제한 부재(133)의 2개의 측면에 배치된다. 제1 볼록부(133a)는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제1 제한 부재(133)의 2개의 측면에 위치되는 고정 블록(182)의 슈트(182a)에 각각 끼워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제한 부재(133)는 제1 볼록부(133a)와 슈트(182a) 사이의 끼워맞춤에 의해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활주 가능하다. 또한, 제2 제한 부재(134)에는 제2 볼록부(134a)가 배치되고, 제2 볼록부(134a)는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제2 제한 부재(134)의 2개의 측면에 배치된다. 제2 볼록부(134a)는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제2 제한 부재(134)의 2개의 측면에 위치되는 고정 블록(182)의 슈트(182a)에 각각 끼워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제한 부재(134)는 제2 볼록부(134a)와 슈트(182a) 사이의 끼워맞춤에 의해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활주 가능하다.
물론, 제1 제한 부재(133)와 제2 제한 부재(134)에는 또한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슈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고정 블록(182)에는 또한 제1 볼록부 및 제2 볼록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일부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푸시 부재(131)가 장착 브래킷(18)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푸시 부재(132)가 장착 브래킷(18)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될 때, 폴더블 장치(1)의 전달 조립체는 대안적으로 제1 제한 부재 및 제2 제한 부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회전 샤프트(151) 및 제2 회전 샤프트(152)는 제2 푸시 부재(132) 및 제1 푸시 부재(131)의 이동을 제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 샤프트(152)는 제1 푸시 부재(131)에 배치되고, 즉, 제2 회전 샤프트(152)는 제1 푸시 부재(131)에 체결되고, 제1 스윙 아암(121)은 제2 회전 샤프트(15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즉, 제1 스윙 아암(121)은 제2 회전 샤프트(152)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제1 회전 샤프트(151)는 제2 푸시 부재(132)에 배치되고, 제2 스윙 아암(122)은 제1 회전 샤프트(1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즉, 제2 스윙 아암(122)은 제1 회전 샤프트(151)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제1 푸시 부재(131)와 장착 브래킷(18) 사이의 활주 가능한 연결 및 제2 푸시 부재(132)와 장착 브래킷(18) 사이의 활주 가능한 연결을 구현하기 위해, 장착 브래킷(18)은 별개로 배치된 복수의 고정 블록(182)을 포함하고, 복수의 고정 블록(182)은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고정 블록(182)에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슈트(182a)가 제공된다. 제1 푸시 부재(131)에 배치된 제2 회전 샤프트(152)는 대응하는 슈트(182a)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에 따라 제2 회전 샤프트(152)는 슈트(182a)를 따라 활주 가능하여,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른 제2 회전 샤프트(152)의 이동을 구현한다. 제2 푸시 부재(132)에 배치된 제1 회전 샤프트(151)는 대응하는 슈트(182a)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에 따라 제1 회전 샤프트(151)는 슈트(182a)를 따라 활주 가능하여,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른 제1 회전 샤프트(151)의 이동을 구현한다.
이 실시예에서, 서로 끼워지는 제1 회전 샤프트(151)와 슈트(182a)는 제2 푸시 부재(13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2 푸시 부재(132)는 제5 미리 설정된 트랙을 따라 이동한다. 제2 푸시 부재(132)의 제5 미리 설정된 트랙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과 두께 방향(Z)이 위치되는 평면에서 곡선 이동 또는 직선 이동일 수 있다. 제5 미리 설정된 트랙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른 서브-트랙을 포함하고,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른 서브-트랙을 또한 포함한다. 즉, 제2 푸시 부재(132)는 장착 브래킷(18)에 대해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될 수 있고,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라 또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서로 끼워지는 제2 회전 샤프트(152)와 슈트(182a)는 제1 푸시 부재(13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푸시 부재(131)는 제6 미리 설정된 트랙을 따라 이동한다. 제1 푸시 부재(131)의 제6 미리 설정된 트랙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과 두께 방향(Z)이 위치되는 평면에서 곡선 이동 또는 직선 이동일 수 있다. 제6 미리 설정된 트랙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른 서브-트랙을 포함하고,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른 서브-트랙을 또한 포함한다. 즉, 제1 푸시 부재(131)는 장착 브래킷(18)에 대해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될 수 있고,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라 또한 이동 가능하다.
이에 기초하여,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슈트(182a)는 비스듬히 배치되거나 아치형일 수 있다. 슈트(182a)가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라 비스듬히 배치되거나 아치형일 때, 슈트(182a)의 높이가 상이하고, 그에 따라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 및 두께 방향(Z)을 따라 제1 푸시 부재(131)와 제2 푸시 부재(132)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푸시 부재(131)와 제2 푸시 부재(132)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동할 때 장착 브래킷(18)의 두께 방향(Z)을 따라 틸트되는 경우, 제1 푸시 부재(131)와, 제1 푸시 부재(131) 및 제2 스윙 아암(122)에 연결된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 사이의 끼임이 추가로 방지될 수 있으며, 제2 푸시 부재(132)와, 제2 푸시 부재(132) 및 제1 로커(121)에 연결된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 사이의 끼임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도 21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장치(1)는 동기식 기어 세트(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기식 기어 세트(16)는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 사이의 이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절첩 및 펼침 프로세스에서, 제1 전달 부분(141)과 제2 전달 부분(142)이 동기식으로 이동하여, 펼침 및 절첩 프로세스에서 폴더블 장치(1)와 전자 디바이스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개선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21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식 기어 세트(16)는 서로 맞물리는 제2 기어(161)와 제3 기어(162)를 포함한다. 제2 기어(161)는 제3 회전 샤프트(153)를 사용하여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에 연결된다. 제2 기어(161)의 회전 프로세스에서,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는 제3 회전 샤프트(153)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 21의 참조 번호 153은 제3 회전 샤프트(153)의 축 위치를 나타낸다. 유사하게, 도 21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기어(162)는 제4 회전 샤프트(154)를 사용하여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에 연결된다. 제3 기어(162)의 회전 프로세스에서,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는 제4 회전 샤프트(154)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 21의 참조 번호 154는 제4 회전 샤프트(154)의 축 위치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제2 기어(161)와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는 동일한 회전 샤프트(제3 회전 샤프트(153))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3 기어(162)와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는 동일한 회전 샤프트(제4 회전 샤프트(154))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기어(161)와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의 동기식 회전 및 제3 기어(162)와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의 동기식 회전을 구현하며,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는 제1 회전 브래킷(111)에 연결되고,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는 제2 회전 브래킷(112)에 연결되어,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의 동기식 회전을 추가로 구현한다.
도 21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식 기어 세트(16)는 서로 맞물리는 제4 기어(163)와 제5 기어(164)를 더 포함한다. 제4 기어(163)는 제2 기어(161)와 맞물리고, 제5 기어(164)는 제3 기어(162)와 맞물리며, 제2 기어(161), 제4 기어(163), 제5 기어(164), 및 제3 기어(162)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배열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기어(161) 및 제3 기어(162)와 맞물리는 제4 기어(163) 및 제5 기어(164)를 추가함으로써, 제2 기어(161)가 제3 기어(162)와 맞물릴 때 제2 기어(161) 및 제3 기어(162)의 직경이 추가로 감소될 수 있어,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과 두께 방향(Z)을 따라 동기식 기어 세트(16)가 점유하는 공간을 감소시킴으로써, 폴더블 장치(1)의 소형화 및 가볍고 얇은 설계를 구현하는 데 도움을 준다.
도 11, 도 12,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장치(1)는 복수의 회전 브래킷 조립체(11), 복수의 스윙 아암 조립체(12), 복수의 푸시 그룹(13), 및 복수의 전달 그룹(14)을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복수의 회전 브래킷 조립체(11)는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분포되고, 복수의 스윙 아암 조립체(12)는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분포되며, 복수의 푸시 그룹(13)은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분포되고, 복수의 전달 그룹(14)은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분포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도 9,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장치(1)는 지지 플레이트 조립체(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 조립체(17)는 전자 디바이스의 가요성 스크린(2)에 연결되어, 가요성 스크린(2)이 폴더블 장치(1)의 구동 하에 절첩되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지지 플레이트 조립체(17)의 특정 구조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지지 플레이트 조립체(17)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장착 브래킷(18)의 2개의 측면에 배열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17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72)를 포함한다. 제1 지지 플레이트(171)와 제2 지지 플레이트(172)는 전자 디바이스의 가요성 스크린(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 플레이트(171)와 제2 지지 플레이트(172)는 가요성 스크린(2)의 절첩 부분(26)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연결 방식은 접착일 수 있음). 제1 지지 플레이트(171)는 제1 회전 브래킷(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즉, 제1 지지 플레이트(171)는 제1 회전 브래킷(111)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또한, 제1 지지 플레이트(171)는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제2 지지 플레이트(172)는 제2 회전 브래킷(1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즉, 제2 지지 플레이트(172)는 제2 회전 브래킷(112)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또한, 제2 지지 플레이트(172)는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 조립체(17)는 제3 지지 플레이트(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 플레이트(173)는 장착 브래킷(18)에 체결되며,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제3 지지 플레이트(173)는 제1 지지 플레이트(171)와 제2 지지 플레이트(172) 사이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1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플레이트(171)는 제11 회전 샤프트(158)를 사용하여 제1 회전 브래킷(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171)와 제1 회전 브래킷(111) 사이의 상대 회전을 구현하고; 제2 지지 플레이트(172)는 제12 회전 샤프트(159)를 사용하여 제2 회전 브래킷(1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 지지 플레이트(172)와 제2 회전 브래킷(112) 사이의 상대 회전을 구현한다. 이 실시예에서, 폴더블 장치(1)의 절첩 또는 펼침 프로세스에서, 제1 회전 브래킷(111)이 제1 지지 플레이트(171)에 대해 회전하고, 제2 회전 브래킷(112)이 제2 지지 플레이트(172)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 제1 지지 플레이트(171)와 제1 회전 브래킷(111) 사이의 끼임이 방지될 수 있고, 제2 지지 플레이트(172)와 제2 회전 브래킷(112) 사이의 끼임이 방지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플레이트(171)는 제1 본체 부분(1711)을 포함하고, 제1 본체 부분(1711)에는 제1 아치형 홈(1715)이 제공된다. 이에 대응하여, 도 15, 도 16,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브래킷(111)은 제3 볼록부(111c)를 포함한다. 제3 볼록부(111c)의 적어도 일 부분은 제1 아치형 홈(1715)에 위치되며, 제1 아치형 홈(1715)에 대해 회전 가능하여, 제1 지지 플레이트(171)와 제1 회전 브래킷(111) 사이의 상대 회전을 구현한다. 유사하게, 제2 지지 플레이트(172)는 제2 본체 부분(제2 본체 부분 구조는 제1 본체 부분(1711)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음)을 포함하고, 제2 본체 부분에는 제2 아치형 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된다. 이에 대응하여, 도 15, 도 17,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 브래킷(112)은 제4 볼록부(112c)를 포함한다. 제4 볼록부(112c)의 적어도 일 부분은 제2 아치형 홈에 위치되며, 제2 아치형 홈에 대해 회전 가능하여, 제2 지지 플레이트(172)와 제2 회전 브래킷(112) 사이의 상대 회전을 구현한다.
또한, 폴더블 장치(1)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171)와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 사이의 활주 가능한 연결 및 상대 회전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72)와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 사이의 활주 가능한 연결 및 상대 회전은 다음의 구조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도 29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플레이트(171)는 제1 연장 부분(1712)을 더 포함하고, 제1 연장 부분(1712)은 제1 본체 부분(1711)에 체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며, 제1 연장 부분(1712)은 제1 본체 부분(1711)에 대해 제1 회전 브래킷(111)의 방향을 향해 연장된다.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와 제1 지지 플레이트(171)의 제1 연장 부분(1712) 중 하나에는 제1 트랙(1713)이 제공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1 슬라이더(141d)가 제공된다. 제1 슬라이더(141d)는 제1 트랙(1713)을 따라 활주 가능하여, 제1 지지 플레이트(171)와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 사이의 상대 활주를 구현한다. 또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 플레이트(172)는 제2 본체 부분(1721)과 제2 연장 부분(1722)을 포함한다. 제2 연장 부분(1722)은 제2 본체 부분(1721)에 체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며, 제2 연장 부분(1722)은 제2 본체 부분(1721)에 대해 제2 회전 브래킷(112)의 방향을 향해 연장된다. 제2 지지 플레이트(172)의 제2 연장 부분(1722) 중 하나에는 제2 트랙(1723)이 제공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2 슬라이더(142d)가 제공된다. 제2 슬라이더(142d)는 제2 트랙(1723)을 따라 활주 가능하여, 제2 지지 플레이트(172)와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 사이의 상대 활주를 구현한다.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171)의 제1 연장 부분(1712)에 제1 트랙(1713)이 배치되고,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에 제1 슬라이더(141d)가 배치된다. 물론, 제1 트랙은 대안적으로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슬라이더는 대안적으로 제1 지지 플레이트(171)의 제1 연장 부분(171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3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트랙(1723)은 제2 지지 플레이트(172)의 제2 연장 부분(1722)에 배치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에 제2 슬라이더(142d)가 배치된다. 물론, 제2 트랙은 대안적으로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슬라이더는 대안적으로 제2 지지 플레이트(172)의 제2 연장 부분(1722)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제1 지지 플레이트(171)에는 복수의 제1 트랙(1713)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에는 복수의 제1 슬라이더(141d)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슬라이더(141d)는 제1 트랙(1713)에 대응하여 끼워지고, 그에 따라 제1 지지 플레이트(171)와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 사이의 활주 가능한 연결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제2 지지 플레이트(172)에는 복수의 제2 트랙(1723)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에는 복수의 제2 슬라이더(142d)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슬라이더(142d)는 제2 트랙(1723)에 대응하여 끼워지고, 그에 따라 제2 지지 플레이트(172)와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 사이의 활주 가능한 연결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제1 지지 플레이트(171)는 대향 배치된 제1 단부(1714) 및 제2 단부(1716)를 갖는다. 제1 단부(1714)는 장착 브래킷(18)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제2 단부(1716)는 장착 브래킷(18)에 가깝다. 유사하게, 제2 지지 플레이트(172)는 대향 배치된 제3 단부(1724) 및 제4 단부(1726)를 갖는다. 제3 단부(1724)는 장착 브래킷(18)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제4 단부(1726)는 장착 브래킷(18)에 가깝다. 폴더블 장치(1)가 도 9에 도시된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은 제2 위치(펼침 위치)에 위치되며, 제1 지지 플레이트(171)의 제2 단부(1716)와 제2 지지 플레이트(172)의 제4 단부(1726)는 서로 맞접하거나 그 사이에 미리 설정된 간극이 있고, 제1 지지 플레이트(171)의 제1 단부(1714)와 제2 지지 플레이트(172)의 제3 단부(1724) 사이의 거리는 폴더블 장치(1)가 가요성 스크린(2)의 절첩 부분(26)에 끼워지는 제1 길이(L1)이다.
폴더블 장치(1)의 절첩 프로세스(도 30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31에 도시된 상태로의 전환)에서,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은 서로를 향해 회전하고, 제1 회전 브래킷(111)은 제1 회전 샤프트(151)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2 회전 브래킷(112)은 제2 회전 샤프트(152)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전달 조립체를 배치함으로써, 제1 회전 샤프트(151)와 제2 회전 샤프트(152)는 장착 브래킷(1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의 이동은 회전과 이동을 포함한다. 즉, 제1 회전 브래킷(111)은 제1 회전 샤프트(151)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장착 브래킷(1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더 이동하고, 제2 회전 브래킷(112)은 제2 회전 샤프트(152)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장착 브래킷(1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더 이동한다.
또한, 제1 회전 브래킷(111)은 제1 지지 플레이트(171)에 연결되고, 제2 회전 브래킷(112)은 제2 지지 플레이트(171)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회전 브래킷(111)의 회전 및 이동 프로세스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171)는 이동 및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고, 즉, 제1 지지 플레이트(171)는 제11 회전 샤프트(158)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2 회전 브래킷(112)의 회전 및 이동 프로세스에서, 제2 지지 플레이트(172)는 제12 회전 샤프트(159)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의 이동 구동 하에, 제1 지지 플레이트(171)의 제2 단부(1716)와 제2 지지 플레이트(172)의 제4 단부(1726)가 서로 멀어지게 되어, 폴더블 장치(1)는 도 30에 도시된 펼쳐진 상태로부터 도 31에 도시된 절첩된 상태로 전환한다. 절첩된 상태에서,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은 제1 위치(절첩 위치)에 위치된다. 유사하게, 제1 지지 플레이트(171)는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지지 플레이트(172)는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72)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제1 지지 플레이트(171)와 제2 지지 플레이트(172)가 제1 회전 브래킷(111) 및 제2 회전 브래킷(112)의 구동 하에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171)는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에 대해 활주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며, 여기서 제1 지지 플레이트(171)의 활주 트랙이 제1 트랙(1713)이고, 제2 지지 플레이트(172)는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에 대해 활주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며, 여기서 제2 지지 플레이트(172)의 활주 트랙은 제2 트랙(1723)이다. 따라서, 제1 트랙(1713)은 제1 지지 플레이트(171)와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 사이의 상대적인 활주를 안내하는 데 사용되고, 제2 트랙(1723)은 제2 지지 플레이트(172)와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 사이의 상대적인 활주를 안내하는 데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이 제1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제1 지지 플레이트(171), 제2 지지 플레이트(172),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 및 장착 브래킷(18)은 수용 공간(174)을 형성한다. 도 7 및 도 31을 참조하면, 수용 공간(174)은 가요성 스크린(2)의 절첩 부분(26)을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 제1 회전 브래킷(111)이 제1 지지 플레이트(171)를 오직 회전 구동하고, 제2 회전 브래킷(112)이 제2 지지 플레이트(172)를 오직 회전 구동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제1 회전 브래킷(111)이 제1 지지 플레이트(171)를 장착 브래킷(1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및 이동시키도록 구동하고, 제2 회전 브래킷(112)이 제2 지지 플레이트(172)를 장착 브래킷(1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및 이동시키도록 구동하는 경우, 폴더블 장치(1)가 도 31에 도시된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제1 지지 플레이트(171)와 장착 브래킷(18) 사이의 거리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72)와 장착 브래킷(18) 사이의 거리가 더 커지고, 그에 따라 폴더블 장치(1)의 수용 공간(174)의 윤곽의 제2 길이(L2)가 증가되어, L1<L2를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되고, 절첩 프로세스에서 폴더블 장치(1)에 의한 절첩 부분(26)의 압착 및 당김을 완화하며, 가요성 스크린(2)의 신뢰성 및 구조적 강도를 개선하고, 가요성 스크린(2)의 재료의 성능에 대한 요건을 낮춤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와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 모두는 인클로저를 통해 수용 공간(174)을 형성하는 데 참여한다.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와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의 특정 구조는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다.
구체적으로, 도 26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는 제1 아치형 섹션(141f)과 제1 직선 섹션(141g)을 포함하고, 제1 아치형 섹션(141f)과 제1 직선 섹션(141g)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분포되고, 서로 체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제1 아치형 섹션(141f)은 제3 회전 샤프트(153)를 사용하여 장착 브래킷(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직선 섹션(141g)은 제1 지지 플레이트(171)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는 제2 아치형 섹션(142f)과 제2 직선 섹션(142g)을 포함하며, 제2 아치형 섹션(142f)과 제2 직선 섹션(142g)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분포되고, 서로 체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제2 아치형 섹션(142f)은 제4 회전 샤프트(154)를 사용하여 장착 브래킷(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직선 섹션(142g)은 제2 지지 플레이트(172)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제1 지지 플레이트(171), 제2 지지 플레이트(172),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의 제1 아치형 섹션(141f),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의 제2 아치형 섹션(142f), 및 장착 브래킷(18)(또는 제3 지지 플레이트(173))은 인클로저를 통해 수용 공간(174)을 형성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공간(174)은 제3 아치형 섹션(174a), 제3 직선 섹션(174b), 및 제4 직선 섹션(174c)을 포함하고, 제3 아치형 섹션(174a)은 제3 직선 섹션(174b)과 제4 직선 섹션(174c) 사이에 위치된다.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의 제1 아치형 섹션(141f)과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의 제2 아치형 섹션(142f)은 인클로저를 통해 수용 공간(174)의 제3 아치형 섹션(174a)을 형성하고, 제1 지지 플레이트(171)의 제1 직선 섹션(141g)은 수용 공간(174)의 제3 직선 섹션(174b)을 형성하며, 제2 지지 플레이트(172)의 제2 직선 섹션(142g)은 수용 공간(174)의 제4 직선 섹션(174c)을 형성하여, 인클로저를 통해 "액적 형상" 수용 공간(174)을 형성한다. 이 경우, L2와 L1 사이의 차이는 제1 아치형 섹션(141f)의 둘레와 제2 아치형 섹션(142f)의 둘레를 더한 값이다.
또한, 수용 공간(174)에서, 제3 아치형 섹션(174a)은 절첩된 반원형 아치형 제5 부분(25)에 끼워지고, 제3 직선 섹션(174b)은 절첩된 평면형 제3 부분(23)에 끼워지며, 제4 직선 섹션(174c)은 절첩된 평면형 제4 부분(24)에 끼워진다.
폴더블 장치(1)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절첩된 상태로 전환되는 프로세스, 즉, 제1 회전 브래킷(111)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전환되는 프로세스에서, 서로를 향해 회전할 때,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은 제1 지지 플레이트(171)를 구동하여 장착 브래킷(1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의 제1 아치형 섹션(141f)을 노출시킬 수 있고, 제2 지지 플레이트(172)를 구동하여 장착 브래킷(1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의 제2 아치형 섹션(142f)을 노출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아치형 섹션(141f)과 제2 아치형 섹션(142f)은 인클로저를 통해 수용 공간(174)의 제3 아치형 섹션(174a)을 형성하여, 절첩 부분(26)의 제5 부분(25)을 수용한다. 이 경우, 수용 공간(174)이 모두 슬래브 구조인 제1 지지 플레이트(171)와 제2 지지 플레이트(172)에 의해 인클로저를 통해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제1 아치형 섹션(141f)과 제2 아치형 섹션(142f)은 절첩 부분(26)의 제5 부분(25)에 대한 압착을 완화하여, 절첩 프로세스에서 폴더블 장치(1)(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 및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에 의한 가요성 스크린(2)의 압착을 완화하고, 가요성 스크린(2)의 신뢰성 및 구조적 강도를 추가로 개선할 수 있다.
제1 아치형 섹션(141f) 및 제2 아치형 섹션(142f)의 라디안과 길이는 구체적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가요성 스크린(2)의 제5 부분(25)의 형상 및 크기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아치형 섹션(141f) 및 제2 아치형 섹션(142f)은 제5 부분(25)에 끼워져, 절첩 프로세스에서 폴더블 장치(1)에 의한 가요성 스크린(2)의 절첩 부분(26)의 압착을 추가로 완화하고, 절첩된 상태에서 절첩 부분(26)의 평탄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펼쳐진 상태와 절첩된 상태에서 폴더블 장치(1)와 가요성 스크린(2) 사이의 끼워맞춤 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도 24, 도 25,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장치(1)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전자 디바이스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제1 지지 플레이트(171)의 상부 단부 표면, 장착 브래킷(18)의 상부 단부 표면(또는 제3 지지 플레이트(173)의 상부 단부 표면), 제2 지지 플레이트(173)의 상부 단부 표면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된다. 이 경우,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을 따라, 제1 지지 플레이트(171)의 제2 단부(1716)는 장착 브래킷(18)에 랩 조인트되고, 제2 지지 플레이트(172)의 제4 단부(1726)는 장착 브래킷(18)에 연결된다. 이 경우, 제1 지지 플레이트(171)의 상부 단부 표면, 제2 지지 플레이트(172)의 상부 단부 표면, 및 장착 브래킷(18)의 상부 단부 표면(또는 제3 지지 플레이트(173)의 상부 단부 표면)은 가요성 스크린(2)의 절첩 부분(26)(제3 영역(23), 제4 영역(24), 제5 영역(25)을 포함)을 평탄한 형상으로 공동 지지하여, 가요성 스크린(2)의 절첩 부분(26)은 평탄한 상태로 유지된다. 가요성 스크린(2)의 절첩 부분(26)이 외력을 받는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요성 스크린(2)의 절첩 부분(26)을 가압하거나 터치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거나,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잡고 가요성 스크린(2)의 절첩 부분(26)에 작용하는 힘을 인가하는 경우), 가요성 스크린(2)이 접히거나 만입될 위험이 낮다. 가요성 스크린(2)은 높은 신뢰성과 긴 서비스 수명을 갖는다. 또한, 가요성 스크린(2)의 외관과 손맛이 또한 개선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에 있는 경우(전자 디바이스가 절첩된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지지 플레이트(171)는 제1 회전 브래킷(111)의 구동 하에 회전하고 활주하며, 제2 지지 플레이트(172)는 제2 회전 브래킷(112)의 구동 하에 회전하고 활주한다. 또한, 제1 지지 플레이트(171)와 제2 지지 플레이트(172)의 이동 프로세스에서,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의 제1 아치형 섹션(141f)과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의 제2 아치형 섹션(142f)이 노출되어, 가요성 스크린(2)의 절첩 부분(26)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174)을 형성한다. 또한, 제1 아치형 섹션(141f)과 제2 아치형 섹션(142f)은 가요성 스크린(2)의 제5 부분(25)을 수용하고 제5 부분(25)과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제5 부분(25)은 자연스럽게 굽힘된 반원형 아치형 구조를 가지며, 즉, 제5 부분(25)은 압착되거나 당겨지지 않아, 절첩 프로세스에서 제5 부분(25)의 신뢰성이 개선된다. 또한, 수용 공간(174)은 또한 충분한 공간을 갖고, 그에 따라 가요성 스크린(2)의 절첩 부분(26)이 수용 공간(174) 내에서 아치형이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절첩된 상태에서 가요성 스크린(2)의 평탄도가 개선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와 제1 지지 플레이트(171) 사이의 활주 가능한 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제1 트랙(1713) 및 제1 슬라이더(141a)의 특정 구조 및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와 제2 지지 플레이트(172) 사이의 활주 가능한 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제2 트랙(1723) 및 제2 슬라이더(142a)의 특정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29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랙(1713)은 대향 배치된 제5 단부(1713a) 및 제6 단부(1713b)를 갖고, 제2 트랙(1723)은 대향 배치된 제7 단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및 제8 단부(1723b)를 갖는다. 폴더블 장치(1)가 도 30에 도시된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의 제1 슬라이더(141d)는 제5 단부(1713a)에서 제1 트랙(1713)에 끼워지고,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의 제2 슬라이더(142d)는 제7 단부에서 제2 트랙(1723)에 끼워진다. 폴더블 장치(1)가 도 31에 도시된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의 제1 슬라이더(141d)는 제6 단부(1713b)에서 제1 트랙(1713)에 끼워지고,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의 제2 슬라이더(142d)는 제8 단부(1723b)에서 제2 트랙(1723)에 끼워진다.
폴더블 장치(1)가 도 30에 도시된 펼쳐진 상태로부터 도 31에 도시된 절첩된 상태로 전환될 때, 즉,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이 서로를 향해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의 제1 슬라이더(141d)는 제1 트랙(1713)의 제5 단부(1713a)로부터 제6 단부(1713b)로 활주 가능하고,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의 제2 슬라이더(142d)는 제2 트랙(1723)의 제7 단부로부터 제8 단부(1723b)로 활주 가능하다. 폴더블 장치(1)가 도 31에 도시된 절첩된 상태로부터 도 30에 도시된 펼쳐진 상태로 전환될 때, 즉,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이 서로 멀어지게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의 제1 슬라이더(141d)는 제1 트랙(1713)의 제6 단부(1713b)로부터 제5 단부(1713a)로 활주 가능하고,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의 제2 슬라이더(142d)는 제2 트랙(1723)의 제8 단부(1723b)로부터 제7 단부로 활주 가능하다.
또한, 제1 트랙(1713)의 제6 단부(1713b)는 제5 단부(1713a)보다 장착 브래킷(18)에 더 가깝고, 제2 트랙(1723)의 제8 단부(1723b)는 제7 단부보다 장착 브래킷(18)에 더 가깝다. 따라서, 폴더블 장치(1)가 도 30에 도시된 펼쳐진 상태로부터 도 31에 도시된 절첩된 상태로 전환되는 프로세스, 즉,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이 서로를 향해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171)는 장착 브래킷(1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에 대해 활주 가능하고, 즉, 제1 지지 플레이트(171)의 제2 단부(1716)는 장착 브래킷(1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의 제1 아치형 섹션(141f)을 노출시킨다. 또한, 제2 지지 플레이트(172)는 장착 브래킷(1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에 대해 활주 가능하고, 즉, 제2 지지 플레이트(172)의 제4 단부(1726)는 장착 브래킷(1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의 제2 아치형 섹션(142f)을 노출시킨다. 이 경우, 제1 지지 플레이트(171), 제1 아치형 섹션(141f), 장착 브래킷(18), 제2 아치형 섹션(142f),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72)는 인클로저를 통해 수용 공간(174)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제1 트랙(1713)과 제2 트랙(1723)을 배치함으로써, 폴더블 장치(1)의 절첩 프로세스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171)와 제2 지지 플레이트(172)는 장착 브래킷(1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9 내지 도 3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트랙(1713)은 아치형 구조 또는 비스듬한 구조로 되고, 제2 트랙(1723)은 아치형 구조 또는 비스듬한 구조로 된다. 이 경우, 제1 트랙(1713)은 제1 지지 플레이트(171)가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에 대해 활주할 때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여, 제1 지지 플레이트(171)와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 사이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트랙(1723)은 제2 지지 플레이트(172)가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에 대해 활주할 때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여, 제2 지지 플레이트(172)와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 사이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장치(1)는 회전 샤프트 커버(1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브래킷(18)은 회전 샤프트 커버(181)의 수용 공간(181a)에 장착되며, 회전 브래킷(11)의 적어도 일 부분은 회전 샤프트 커버(181) 밖으로 돌출된다.
이 실시예에서, 폴더블 장치(1)가 도 2에 도시된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회전 샤프트 커버(181)는 장착 브래킷(18)과 같은 구성요소를 랩핑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외관 효과를 개선시키고, 회전 샤프트 커버(18)는 폴더블 장치(1)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폴더블 장치(1)가 도 3에 도시된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회전 샤프트 커버(3)는 제1 하우징(21) 및 제2 하우징(22) 내부에 숨겨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폴더블 장치(1)를 펼쳐진 상태 또는 절첩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폴더블 장치(1)에는 또한 제1 회전 브래킷(111) 및 제2 회전 브래킷(112)에 감쇠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댐핑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댐핑 조립체의 특정 구조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구체적으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장치(1)는 장착 브래킷(18)에 연결되는 제1 댐핑 조립체(191)를 더 포함한다. 제1 댐핑 조립체(191)와 전달 조립체는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배열되며, 제1 댐핑 조립체(191)는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에 연결된다(직접 연결 또는 간접 연결을 포함함).
폴더블 장치(1)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제1 댐핑 조립체(191)는 제1 감쇠력을 제공할 수 있고, 제1 감쇠력은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에 작용하여,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의 서로를 향한 회전에 대해 저항을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폴더블 장치(1)가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폴더블 장치(1)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절첩된 상태로 전환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는,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에, 제1 감쇠력을 극복할 수 있는 구동력을 인가하면 되고, 그에 따라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이 제1 감쇠력을 극복할 수 있음으로써,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로 전환하게 할 수 있다.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제1 댐핑 조립체(191)는 제2 감쇠력을 제공할 수 있고, 제2 감쇠력은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에 작용하여,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의 서로 멀어지는 회전에 대해 저항을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전환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는,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에, 제2 감쇠력을 극복할 수 있는 구동력을 인가하면 되고, 그에 따라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이 제2 감쇠력을 극복할 수 있음으로써, 폴더블 장치(1)가 펼쳐진 상태로 전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폴더블 장치(1)의 절첩 또는 펼침 프로세스(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이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 멀어지게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제1 댐핑 조립체(191)는 제3 감쇠력을 추가로 제공하여, 펼침 및 절첩 프로세스에서 전자 디바이스에 토크를 제공하고, 펼침 및 절첩 프로세스에서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킬 수 있다.
폴더블 장치(1)는 복수의 제1 댐핑 조립체(19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댐핑 조립체(191)는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제1 댐핑 조립체(191)는 인접한 동기식 기어 세트(16) 사이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댐핑 조립체(191)의 특정 구조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도 32 내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댐핑 조립체(191)는 제1 회전 아암(1914)과 제2 회전 아암(1915)을 포함하고, 제1 회전 아암(1914)과 제2 회전 아암(1915)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분포된다. 폴더블 장치(1)의 회전 브래킷 조립체(11)는 제3 회전 브래킷(114)과 제4 회전 브래킷(115)을 더 포함하고, 제3 회전 브래킷(114)과 제4 회전 브래킷(115)은 폭 방향(Y)을 따라 장착 브래킷(18)의 2개의 측면에 위치되고, 제3 회전 브래킷(114)은 제1 회전 브래킷(111)에 체결된다. 제3 회전 브래킷(114)과 제1 회전 브래킷(111)은 서로 직접 체결될 수 있거나, 제1 지지 플레이트(171)를 사용하여 서로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4 회전 브래킷(115)은 제2 회전 브래킷(112)에 체결된다. 제4 회전 브래킷(115)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은 서로 직접 체결될 수 있거나, 제2 지지 플레이트(172)를 사용하여 서로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감쇠력과 제2 감쇠력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제3 감쇠력은 제1 감쇠력과 제2 감쇠력보다 작을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아암(1914)에는 제13 회전 샤프트(1914b)가 배치되고, 제1 회전 아암(1914)은 제13 회전 샤프트(1914b)를 사용하여 제3 회전 브래킷(1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회전 브래킷(114)은 제1 활주 공간(114a)을 갖고, 제1 회전 아암(1914)의 일 단부이자 제13 회전 샤프트(1914b)가 제공된 일 단부는 제1 활주 공간(114a) 내로 연장되며 제1 활주 공간(114a)에서 활주 가능하다. 즉, 제1 회전 아암(1914)은 제3 회전 브래킷(114)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3 회전 브래킷(114)에 대해 회전 가능하여, 제3 회전 브래킷(114)의 구동 하에 제1 회전 아암(1914)이 제1 회전 브래킷(111)과 함께 회전 가능하다.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 아암(1915)에는 제15 회전 샤프트(1915b)가 배치되고, 제2 회전 아암(1915)은 제14 회전 샤프트(1915b)를 사용하여 제4 회전 브래킷(11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회전 브래킷(115)은 제2 활주 공간(115a)을 갖고, 제2 회전 아암(1915)의 일 단부이자 제14 회전 샤프트(1915b)가 제공된 일 단부는 제2 활주 공간(115a) 내로 연장되며 제2 활주 공간(115a)에서 활주 가능하다. 즉, 제2 회전 아암(1915)은 제4 회전 브래킷(115)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4 회전 브래킷(115)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그에 따라 제2 회전 아암(1915)은 제4 회전 브래킷(115)의 구동 하에 제2 회전 브래킷(112)과 함께 회전 가능하여, 제1 회전 아암(1914)과 제2 회전 아암(1915)이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의 상대 회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댐핑 조립체(191)는 서로 맞물리는 적어도 2개의 제1 기어(1913)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2개의 제1 기어(1913)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분포되어 서로 맞물린다. 또한, 제1 회전 아암(1914)의 일 단부이자 제13 회전 샤프트(1914b)로부터 멀어지는 일 단부에는 제1 치형부(1914a)가 배치되고, 제2 회전 아암(1915)의 일 단부이자 제14 회전 샤프트(1915b)로부터 멀어지는 일 단부에는 제2 치형부(1915a)가 배치된다. 제1 치형부(1914a) 및 제2 치형부(1915a)는 각각 대응하는 제1 기어(1913)와 맞물린다. 이 실시예에서, 제1 기어(1913), 및 제1 기어(1913)와 맞물리는 제1 치형부(1914a)와 제2 치형부(1915a)를 배치함으로써, 제1 회전 아암(1914)과 제2 회전 아암(1915)의 동기식 회전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댐핑 조립체(191)는 캠(1911)을 더 포함하고, 캠(1911)과 제1 기어(1913)는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분포되며, 캠(1911)은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제1 기어(1913)의 2개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캠(1911)과 제1 캠(1913)은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대향 배치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1911)의 단부 부분이자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제1 기어(1913)를 향하는 단부 부분은 제1 요철 표면(1911a)을 갖는다. 이에 대응하여,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1913)의 단부 부분이자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캠(1911)을 향하는 단부 부분은 제2 요철 표면(1913a)을 갖는다. 제1 요철 표면(1911a)은 제2 요철 표면(1913a)과 맞물릴 수 있다.
또한,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댐핑 조립체(191)는 제1 탄성 부재(19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912)의 탄성 변형 방향은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에 평행하다. 또한, 제1 탄성 부재(1912)는 캠(1911)의 일 측면이자 제1 기어(1913)로부터 멀어지는 일 측면에 위치되며,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Y)을 따른 일 단부는 캠(1911)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장착 브래킷(18)에 연결된다. 즉, 제1 탄성 부재(1912)가 탄성 변형되는 경우,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탄성력이 캠(1911)에 인가될 수 있다. 제1 기어(1913)가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2개의 측면 모두에 캠(1911)을 갖는 경우, 제1 댐핑 조립체(191)는 2개의 제1 탄성 부재(1912)를 포함하고, 2개의 제1 탄성 부재(1912)는 2개의 캠(1911)에 각각 끼워진다. 제1 탄성 부재(1912)는 압축된 상태에 있다.
캠(1911)의 제1 요철 표면(1911a)이 제1 기어(1913)의 제2 요철 표면(1913a)과 맞물리는 프로세스는 적어도 다음의 3개의 경우를 포함함을 이해할 수 있다. 제1 경우, 제1 요철 표면(1911a)의 볼록한 표면이 제2 요철 표면(1913a)의 볼록한 표면에 끼워진다. 이 경우, 캠(1911)은 대응하는 제1 탄성 부재(1912)의 방향을 향해 이동하고, 제1 탄성 부재(1912)를 압축하여, 제1 탄성 부재(1912)가 제1 변형량을 갖게 된다. 이 경우, 압축된 상태의 제1 탄성 부재(1912)는 캠(1911)을 사용하여 제1 기어(1913)에 제1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제2 경우, 제1 요철 표면(1911a)의 볼록한 표면이 제2 요철 표면(1913a)의 오목한 표면에 끼워지거나, 제1 요철 표면(1911a)의 오목한 표면이 제2 요철 표면(1913a)의 볼록한 표면에 끼워진다. 이 경우, 압축된 상태의 제1 탄성 부재(1912)는 캠(1911)을 사용하여 제1 기어(1913)에 제2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912)는 제2 변형량을 갖고, 제2 변형량은 제1 변형량보다 작으며, 제2 탄성력은 제1 탄성력보다 작다. 제3 경우, 제1 요철 표면(1911a)의 오목한 표면이 제2 요철 표면(1913a)의 오목한 표면에 끼워진다. 이 경우, 압축된 상태의 제1 탄성 부재(1912)는 캠(1911)을 사용하여 제1 기어(1913)에 제3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912)는 제3 변형량을 갖는다. 또한, 제3 변형량은 제1 변형량보다 작고 제2 변형량보다 작으며, 제3 탄성력은 제1 탄성력보다 작고 제2 탄성력보다 작다.
이 실시예에서, 제1 댐핑 조립체(191)에 의해 인가되는 감쇠력의 크기는 제1 탄성 부재(1912)의 탄성력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이 제1 회전 아암(1914)과 제2 회전 아암(1915)을 회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에서, 이에 따라 제1 기어(1913)가 회전 가능함으로써, 제1 요철 표면(1911a)과 제2 요철 표면(1913a) 사이의 끼워맞춤 위치가 변경되고, 제1 요철 표면(1911a)과 제2 요철 표면(1913a) 사이의 끼워맞춤 위치가 전술한 3개의 경우에서 전환된다.
제1 특정 실시예에서,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에 있는 경우, 전술한 제1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와 펼쳐진 상태 사이를 전환해야 하는 경우, 인가되는 외력이 제1 탄성 부재(1912)의 제1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와 펼쳐진 상태 사이를 전환하는 프로세스에서, 전술한 제2 경우 또는 제3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절첩 또는 펼침 프로세스에서, 제1 댐핑 조립체(191)는 제2 탄성력 또는 제3 탄성력과 동일한 크기의 감쇠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특정 실시예에서,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에 있는 경우, 전술한 제2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와 펼쳐진 상태 사이를 전환해야 하는 경우, 인가되는 외력이 제1 탄성 부재(1912)의 제2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와 펼쳐진 상태 사이를 전환하는 프로세스에서, 전술한 제3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절첩 또는 펼침 프로세스에서, 제1 댐핑 조립체(191)는 제3 탄성력과 동일한 크기의 감쇠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요철 표면(1911a)이 제2 요철 표면(1913a)과 맞물리는 프로세스에서, 제1 요철 표면(1911a)과 제2 요철 표면(1913a)은 경사면을 사용하여 서로 끼워지고, 즉, 제1 요철 표면(1911a)과 제2 요철 표면(1913a) 사이의 상호 작용력은 제1 요철 표면(1911a)과 제2 요철 표면(1913a)의 경사면(오목한 표면 또는 볼록한 표면)에 직교한다. 이러한 경사면(오목한 표면 또는 볼록한 표면)에 작용하는 상호 작용력은 제1 기어(1913)를 회전 구동시키는 성분력을 발생시켜, 제1 회전 아암(1914) 및 제2 회전 아암(1915)을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 멀어지게 회전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폴더블 장치(1)가 자동으로 절첩되거나 펼쳐질 수 있다.
제1 댐핑 조립체(191)는 복수의 캠(19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캠(1911)의 수량은 제1 기어(1913)의 수량과 동일할 수 있어, 각각의 제1 기어(1913)가 감쇠력을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댐핑 조립체(191)는 장착 부재(19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댐핑 조립체(191)가 2개의 캠(1911)과 2개의 제1 탄성 부재(1912)를 포함하는 경우, 장착 부재(1916)도 2개가 된다. 또한, 2개의 장착 부재(1916)는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분포되며,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제1 기어(1913)의 2개의 측면에 위치된다. 장착 부재(1916)는 장착 공간(1916a)을 갖고, 캠(1911)과 제1 탄성 부재(1912)는 대응하는 장착 공간(1916a)에 위치된다. 이 경우, 장착 부재(1916)는 캠(1911)과 제1 탄성 부재(1912)를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32 내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댐핑 조립체(191)는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핀 샤프트(1918)를 더 포함하고, 핀 샤프트(1918)는 제1 기어(1913)를 통해 연장되며, 그에 따라 제1 기어(1913)는 핀 샤프트(1918)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캠(1911)과 제1 탄성 부재(1912)는 핀 샤프트(1918) 위에 슬리빙된다. 또한,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부재(1916)는 가압판(1916b)을 포함하고, 가압판(1916b)은 인클로저를 통해 장착 공간(1916a)을 형성하는 데 참여한다. 가압판(1916b)에는 회전 구멍이 제공되고, 핀 샤프트(1918)는 회전 구멍을 통해 연장될 수 있으며, 회전 구멍에서 회전 가능하다. 또한, 핀 샤프트(1918)는 회전 구멍을 통해 장착 부재(1916) 밖으로 돌출되며, 핀 샤프트(1918)의 부분이자 장착 부재(1916) 밖으로 돌출되는 부분에는 클램핑 슬롯(1918a)이 제공된다. 클램핑 슬롯(1918a)은 클램핑 부재(1917)와의 클램핑을 위해 사용되고, 그에 따라 제1 댐핑 조립체(193)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클램핑 부재(1917)를 사용하여 타이트하게 클램핑되고, 제1 탄성 부재(1912)는 압축된 상태가 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탄성 부재(1912)의 2개의 단부는 가압판(1916b)과 캠(1911)에 각각 탄성적으로 맞접한다.
또한, 도 32 내지 도 3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치형부(1914a)와 제2 치형부(1915a)에도 핀 샤프트(1918)가 제공되고, 그에 따라 제1 치형부(1914a)가 제1 치형부(1914a)를 통해 연장되는 핀 샤프트(1918)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2 치형부(1915a)는 제2 치형부(1915a)를 통해 연장되는 핀 샤프트(1918)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26 및 도 34를 참조하면, 동기식 기어 세트(16)에서 제2 기어(161)의 제3 회전 샤프트(153)는 제1 댐핑 조립체(191)에서 제1 치형부(1914a)의 핀 샤프트(1918)와 동축이며, 즉, 제2 기어(161)와 제1 치형부(1914a)는 동일한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동기식 기어 세트(16)에서 제3 기어(162)의 제4 회전 샤프트(154)는 제1 댐핑 조립체(191)에서 제2 치형부(1915a)의 핀 샤프트(1918)와 동축이며, 즉, 제3 기어(162)와 제2 치형부(1915a)는 동일한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동기식 기어 세트(16)에서 제4 기어(164)와 제5 기어(165)의 회전 샤프트는 각각 제1 댐핑 조립체(191)에서 2개의 제1 기어(1913)의 핀 샤프트(1918)와 동축이고, 즉, 제4 기어(164)와 제5 기어(165)는 2개의 제1 기어(1913)와 각각 동일한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3 회전 브래킷(114)의 동기식 회전이 구현될 수 있고, 제2 회전 브래킷(112)과 제4 회전 브래킷(115)의 동기식 회전이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폴더블 장치(1)는 제2 댐핑 조립체(192) 및 제3 댐핑 조립체(1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댐핑 조립체(192)는 제1 회전 브래킷(111)에 연결되고, 제1 회전 브래킷(111)에 감쇠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제3 댐핑 조립체(193)는 제2 회전 브래킷(112)에 연결되고, 제2 회전 브래킷(112)에 감쇠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폴더블 장치(1)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제2 댐핑 조립체(192)는 제1 회전 브래킷(111)에 작용할 수 있는 제4 감쇠력을 제공하여, 제1 회전 브래킷(111)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댐핑 조립체(193)는 제2 회전 브래킷(112)에 작용할 수 있는 제5 감쇠력을 제공하여, 제2 회전 브래킷(112)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은 펼침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즉, 폴더블 장치(1)가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폴더블 장치(1)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절첩된 상태로 전환되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회전 브래킷(111)에, 제4 감쇠력을 극복할 수 있는 구동력을 인가하면 되고, 제2 회전 브래킷(112)에, 제5 감쇠력을 극복할 수 있는 구동력을 인가하면 되며, 그에 따라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이 서로를 향해 회전할 수 있음으로써, 폴더블 장치(1)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절첩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한다.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제2 댐핑 조립체(192)는 제1 회전 브래킷(111)에 작용할 수 있는 제6 감쇠력을 제공하여, 제1 회전 브래킷(111)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댐핑 조립체(193)는 제2 회전 브래킷(112)에 작용할 수 있는 제7 감쇠력을 제공하여, 제2 회전 브래킷(112)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은 절첩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즉,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전환되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회전 브래킷(111)에, 제6 감쇠력을 극복할 수 있는 구동력을 인가하면 되고, 제2 회전 브래킷(112)에, 제7 감쇠력을 극복할 수 있는 구동력을 인가하면 되며, 그에 따라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이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회전할 수 있음으로써,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폴더블 장치(1)의 절첩 또는 펼침 프로세스(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이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 멀어지게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제2 댐핑 조립체(192)는 제1 회전 브래킷(111)에 제8 감쇠력을 인가할 수 있고, 제3 댐핑 조립체(193)는 제2 회전 브래킷(112)에 제9 감쇠력을 인가할 수 있어, 펼침 및 절첩 프로세스에서 전자 디바이스에 토크를 제공하고, 절첩 및 펼침 프로세스에서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킬 수 있다.
폴더블 장치(1)는 하나 이상의 제2 댐핑 조립체(192)를 포함할 수 있고, 즉, 제1 회전 브래킷(111) 전체 또는 제1 회전 브래킷(111) 일부에 제2 댐핑 조립체(192)가 제공되며, 하나 이상의 제3 댐핑 조립체(193)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즉, 제2 회전 브래킷(112) 전체 또는 제2 회전 브래킷(112) 일부에 제3 댐핑 조립체(193)가 제공된다. 또한, 폴더블 장치(1)는 대안적으로 제2 댐핑 조립체(192)만을 포함할 수 있거나, 제3 댐핑 조립체(193)만을 포함할 수 있다. 폴더블 장치(1)가 제2 댐핑 조립체(192)와 제3 댐핑 조립체(193)를 포함하는 경우,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 모두가 감쇠력을 받을 수 있어,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의 동기화를 개선시킨다.
제2 댐핑 조립체(192)와 제3 댐핑 조립체(193)의 특정 구조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며, 설명을 위한 예로서 제2 댐핑 조립체(192)의 구조 및 이동 관계만이 사용된다. 제3 댐핑 조립체(193)의 구조 및 이동 관계는 제2 댐핑 조립체(192)와 유사하다. 유일한 차이점은 제3 댐핑 조립체(193)가 제2 회전 브래킷(112)에 끼워지고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에 장착되어, 제2 회전 브래킷(112)에 감쇠력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댐핑 조립체(192)는 제1 이동 부재(1921)와 제2 탄성 부재(1922)를 포함한다.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제2 탄성 부재(1922)는 제1 이동 부재(1921)에 연결된다. 또한, 제2 탄성 부재(1922)는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변형 가능하며, 제2 탄성 부재(1922)의 변형 프로세스에서, 제1 이동 부재(1912)는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제2 탄성 부재(1922)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2 댐핑 조립체(192)는 2개의 제1 이동 부재(19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2개의 제1 이동 부재(1921)는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분포된다. 제2 탄성 부재(1922)는 2개의 제1 이동 부재(1921) 사이에 위치되며, 2개의 제1 이동 부재(1921)에 연결(맞접 또는 체결)된다. 따라서, 제2 탄성 부재(1922)가 변형되는 경우, 2개의 제1 이동 부재(1921)는 서로 접근하거나 서로 멀어질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1922)는 2개의 제1 이동 부재(1921)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에 있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브래킷(111)은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이격된 제1 만입부(111a) 및 제2 만입부(111b)를 포함한다. 제1 만입부(111a)와 장착 브래킷(18) 사이의 거리는 제2 만입부(111b)와 장착 브래킷(18) 사이의 거리보다 작고, 즉, 제2 만입부(111b)는 제1 만입부(111a)보다 장착 브래킷(18)에 가깝다. 또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브래킷(111)은 2개의 제1 만입부(111a)를 포함하고, 2개의 제1 만입부(111a)는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제1 회전 브래킷(111)에 제공된다. 제2 회전 브래킷(111)은 2개의 제2 만입부(111b)를 포함하며, 2개의 제2 만입부(111b)는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제1 회전 브래킷(111)에 제공된다.
폴더블 장치(1)가 펼쳐진 상태에 있는 경우,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은 제2 위치에 위치된다. 이 경우, 제2 댐핑 조립체(192)의 제1 이동 부재(1921)는 제1 만입부(111a)에 끼워진다. 폴더블 장치(1)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제1 회전 브래킷(111)과 제2 회전 브래킷(112)은 제2 위치에 위치된다. 이 경우, 제2 댐핑 조립체(192)의 제1 이동 부재(1921)는 제2 만입부(111b)에 끼워진다. 폴더블 장치(1)가 펼쳐진 상태와 절첩된 상태 사이를 전환할 때, 제1 이동 부재(1921)는 제1 만입부(111a)와 제2 만입부(111b) 사이의 벽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제2 댐핑 조립체(192)의 제1 이동 부재(1921)가 제1 만입부(111a)에 끼워질 때, 제2 탄성 부재(1922)는 제4 변형량을 갖는다. 이 경우, 제2 댐핑 조립체(192)는 제2 탄성 부재(1922)를 사용하여 제1 회전 브래킷(111)에 제4 감쇠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제4 감쇠력의 작용 하에, 제1 회전 브래킷(111)은 제1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제2 댐핑 조립체(192)의 제2 이동 부재(1921)가 제2 만입부(111b)에 끼워질 때, 제2 탄성 부재(1922)는 제5 변형량을 갖는다. 이 경우, 제2 댐핑 조립체(192)는 제2 탄성 부재(1922)를 사용하여 제1 회전 브래킷(111)에 제5 감쇠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제5 감쇠력의 작용 하에, 제1 회전 브래킷(111)은 제2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제2 댐핑 조립체(192)의 제2 이동 부재(1921)가 제1 만입부(111a)와 제2 만입부(111b) 사이에서 이동할 때, 제2 탄성 부재(1922)는 제6 변형량을 갖는다. 이 경우, 제2 댐핑 조립체(192)는 제2 탄성 부재(1922)를 사용하여 제1 회전 브래킷(111)에 제6 감쇠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제6 감쇠력의 작용 하에, 제1 회전 브래킷(111)의 회전 이동을 위한 토크가 제공될 수 있다. 제6 변형량은 제4 변형량 및 제5 변형량보다 작고, 즉, 제6 감쇠력은 제4 감쇠력 및 제5 감쇠력보다 작다. 제1 만입부(111a)와 제2 만입부(111b)의 구조가 동일할 때, 제5 변형량과 제6 변형량은 동일하고(제5 감쇠력과 제6 감쇠력의 크기가 동일함), 물론, 제5 변형량과 제6 변형량은 또한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 부재(1921)는 제1 롤러(1921a)를 갖는다. 제1 이동 부재(1921)는 제1 롤러(1921a)에 대해 롤링 가능하다. 즉, 제1 이동 부재(1921)는 제1 만입부(111a)와 제2 만입부(111b) 사이에서 롤링 가능하여, 제1 이동 부재(1921)와 제1 회전 브래킷(111) 사이의 마모를 감소시킨다.
또한, 제2 댐핑 조립체(192)는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에 추가로 연결된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는 제1 장착 공동(141b)을 갖고, 제2 댐핑 조립체(192)는 제1 장착 공동(141b)에 장착되며, 즉, 제2 댐핑 조립체(192)는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에 연결된다. 또한,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제1 장착 공동(141b)의 2개의 측벽 모두는 개구를 갖고, 제2 댐핑 조립체(192)의 2개의 제1 이동 부재(1921)는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제1 회전 브래킷(111)에 끼워질 수 있다.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에서, 제1 장착 공동(141b)의 상단 벽에는 제1 관통 구멍(141c)이 제공되고,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른 제1 관통 구멍(141c)의 크기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른 제1 관통 구멍(141c)의 크기보다 크며, 즉, 제1 관통 구멍(141c)은 세장형 구멍이다. 제1 이동 부재(1921)의 제1 롤러(1921a)는 제1 관통 구멍(141c)에서 회전 가능하다. 제1 롤러(1921a)의 회전 프로세스에서, 제1 이동 부재(1921)는 장착 브래킷(18)의 폭 방향(Y)을 따라 롤링될 수 있다. 또한, 제1 롤러(1921a)는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더 이동 가능하며, 장착 브래킷(18)의 길이방향(X)을 따라 2개의 제1 이동 부재(1921)의 이동을 구현하여, 제2 탄성 부재(1922)의 변형량을 변경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는 제1 회전 브래킷(111)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는 제2 회전 브래킷(121)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 브래킷(112)이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된 예가 사용된다. 제2 회전 브래킷(112)에는 제3 트랙(113)이 제공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2 전달 커넥팅 로드(142)에는 제3 슬라이더(143)가 제공되고, 제3 슬라이더(143)는 제3 트랙(113)을 따라 활주 가능하다. 제1 전달 커넥팅 로드(141)와 제1 회전 브래킷(111) 사이의 활주 가능한 연결 구조는 이와 유사하므로,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디바이스를 추가로 제공한다. 전자 디바이스는 전술한 구현예의 폴더블 장치 중 어느 하나와 2개의 하우징을 포함한다. 폴더블 장치의 2개의 측면에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위치된다. 제1 하우징은 동일 측면에 위치된 제1 회전 브래킷에 체결된다. 제2 하우징은 동일 측면에 위치된 제2 회전 브래킷에 체결된다. 2개의 하우징에 체결된 가요성 스크린(2)이 더 포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스크린(2)은 제1 영역(21), 제2 영역(22), 제3 영역(23), 제4 영역(24), 및 제5 영역(25)을 포함한다. 제1 영역(21)은 제1 하우징(31)에 연결된다(구체적으로 접착일 수 있음). 제2 영역(22)은 제2 하우징(32)에 연결된다(구체적으로 접착일 수 있음). 제3 영역(23), 제4 영역(24), 및 제5 영역(25)은 폴더블 장치(1)에 대응하며, 즉, 폴더블 장치(1)의 수용 공간(174)은 제3 영역(23), 제4 영역(24), 및 제5 영역(25)을 수용하는 데 사용되고, 즉, 제3 영역(23), 제4 영역(24), 및 제5 영역(25)은 가요성 스크린(2)의 절첩 부분(26)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역(23)은 제1 지지 플레이트(171)에 대응하고, 제4 영역(24)은 제2 지지 플레이트(172)에 대응하며, 제5 영역(25)은 제3 지지 플레이트(173)에 대응한다.
지지 플레이트(17)와 가요성 스크린(2) 사이의 특정 연결 방식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3 영역(23)은 제1 지지 플레이트(171)에 체결되지 않고, 제4 영역(24)은 제2 지지 플레이트(172)에 체결되지 않으며, 제5 영역(25)은 제3 지지 플레이트(176)에 체결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제3 영역(23), 제4 영역(24), 및 제5 영역(25)은 절첩된 후 액적 형상의 구조를 형성하고, 즉, 절첩 부분(26)은 액적 형상이고, 제5 영역(25)은 절첩된 후 반원형 아치형이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제3 영역(23)은 제1 지지 플레이트(171)에 체결되고(구체적으로 접착일 수 있음), 제4 영역(24)은 제2 지지 플레이트(172)에 체결되며(구체적으로 접착일 수 있음), 제5 영역(25)은 제3 지지 플레이트(173)에 체결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전자 디바이스가 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 제5 영역(25)은 인클로저를 통해 반원형 원호 형상을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3 영역(23)이 제1 지지 플레이트(171)에 체결되고, 제4 영역(24)이 제2 지지 플레이트(172)에 체결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의 절첩 또는 펼침 프로세스에서, 제3 영역(23)은 제1 지지 플레이트(171)와 함께 이동하도록 가능하게 될 수 있고, 제4 영역(24)은 제2 지지 플레이트(172)와 함께 이동하도록 가능하게 될 수 있으며, 즉, 제3 영역(23)과 제1 지지 플레이트(171) 사이에 상대 이동이 없고, 그에 따라 펼침 및 절첩 프로세스에서 가요성 스크린(2)의 절첩 부분(26)의 평탄도가 개선되고, 가요성 스크린(2)의 고장 위험이 감소된다.
전술한 설명은 본 출원의 특정 구현예일 뿐이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쉽게 파악된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따른다.

Claims (19)

  1. 폴더블 장치이며, 상기 폴더블 장치는:
    장착 브래킷; 및
    회전 브래킷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브래킷 조립체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장착 브래킷의 2개의 측면에 배열되는 제1 회전 브래킷 및 제2 회전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 브래킷은 제1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상기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 샤프트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 브래킷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 회전 브래킷은 제2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상기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 샤프트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 브래킷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회전 브래킷과 상기 제2 회전 브래킷이 서로를 향해 회전할 때,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와 상기 제2 회전 샤프트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폴더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장치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장착 브래킷의 2개의 측면에 위치되는 제1 스윙 아암과 제2 스윙 아암을 포함하는 스윙 아암 조립체로서, 상기 회전 브래킷 조립체는 상기 스윙 아암 조립체를 사용하여 상기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스윙 아암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회전 브래킷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 브래킷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다른 단부는 상기 제1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상기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윙 아암의 일 단부는 상기 제2 회전 브래킷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 브래킷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다른 단부는 상기 제2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상기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윙 아암 조립체; 및
    전달 그룹과 푸시 그룹을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달 그룹은 상기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장착 브래킷의 2개의 측면에 위치되는 제1 전달 커넥팅 로드 및 제2 전달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달 커넥팅 로드는 상기 제1 회전 브래킷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달 커넥팅 로드는 상기 제2 회전 브래킷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푸시 그룹은 제1 푸시 부재 및 제2 푸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푸시 부재는 상기 제2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스윙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푸시 부재는 상기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에 추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푸시 부재는 상기 제1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스윙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푸시 부재는 상기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에 추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달 커넥팅 로드가 상기 장착 브래킷에 대해 회전하는 축과 상기 제1 전달 커넥팅 로드가 상기 제1 푸시 부재에 대해 회전하는 축은 상이한 축이며, 상기 제2 전달 커넥팅 로드가 상기 장착 브래킷에 대해 회전하는 축과 상기 제2 전달 커넥팅 로드가 상기 제2 푸시 부재에 대해 회전하는 축은 상이한 축이며;
    상기 제1 전달 커넥팅 로드는 상기 제1 회전 브래킷의 이동을 전달하고, 상기 제1 푸시 부재를 구동하여 상기 제2 회전 샤프트를 푸시하여 상기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전달 커넥팅 로드는 상기 제2 회전 브래킷의 이동을 전달하고, 상기 제2 푸시 부재를 구동하여 상기 제1 회전 샤프트를 푸시하여 상기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폴더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조립체는 제한 그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한 그룹은 제1 제한 부재 및 제2 제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한 부재의 일 단부는 상기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상기 제1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스윙 아암 및 제2 푸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제한 부재의 일 단부는 상기 장착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상기 제2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스윙 아암 및 제1 푸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제한 부재는 제1 미리 설정된 트랙을 따른 상기 제1 푸시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제한 부재는 제2 미리 설정된 트랙을 따른 상기 제2 푸시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폴더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트랙 및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트랙 모두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장착 브래킷의 두께 방향을 향해 틸트되며;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트랙과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트랙의 틸트 방향은 반대인, 폴더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조립체는 제한 그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한 그룹은 제1 제한 부재 및 제2 제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한 부재와 제2 제한 부재 모두는 상기 장착 브래킷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제한 부재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장착 브래킷에 대해 활주 가능하고, 상기 제1 제한 부재는 상기 제1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2 푸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푸시 부재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제한 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제한 부재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장착 브래킷에 대해 활주 가능하고, 상기 제2 제한 부재는 상기 제2 회전 샤프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1 푸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푸시 부재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제한 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제한 부재는 제3 미리 설정된 트랙을 따라 상기 제1 푸시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제한 부재는 제4 미리 설정된 트랙을 따라 상기 제2 푸시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폴더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슈트가 상기 제1 제한 부재 및 상기 제2 제한 부재에 대한 장착 브래킷의 측벽에 제공되고, 상기 제1 제한 부재 및 상기 제2 제한 부재는 각각 대응 슈트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블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한 부재에 제1 장착 홈이 제공되고, 상기 제1 제한 부재에 제2 장착 홈이 제공되며, 상기 제1 장착 홈과 상기 제2 장착 홈 모두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두께 방향을 따라 만입되며;
    상기 제1 푸시 부재는 상기 제1 장착 홈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푸시 부재는 상기 제2 장착 홈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블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샤프트는 상기 제1 푸시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 샤프트는 상기 제2 푸시 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슈트가 상기 제1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제2 회전 샤프트에 대한 장착 브래킷의 측벽에 제공되고, 상기 제1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제2 회전 샤프트는 각각 대응 슈트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블 장치.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장치는 지지 플레이트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 조립체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장착 브래킷의 2개의 측면에 배열된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회전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회전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 회전 브래킷과 상기 제2 회전 브래킷이 서로를 향해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1 전달 커넥팅 로드는 상기 장착 브래킷에 가까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 단부를 구동시켜 상기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전달 커넥팅 로드는 상기 장착 브래킷에 가까운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일 단부를 구동시켜 상기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그에 따라 상기 제1 회전 브래킷 및 상기 제2 회전 브래킷은 제1 위치로 회전되고, 이 경우, 제1 지지 플레이트, 장착 브래킷,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인클로저를 통해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폴더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 커넥팅 로드는 제1 아치형 섹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달 커넥팅 로드는 제2 아치형 섹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 브래킷과 상기 제2 회전 브래킷이 서로를 향해 제1 위치까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제1 아치형 섹션, 장착 브래킷, 제2 아치형 섹션,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인클로저를 통해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폴더블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에는 활주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트랙과 제1 슬라이더가 제공되고,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에는 활주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트랙과 제2 슬라이더가 제공되며;
    상기 제1 회전 브래킷과 상기 제2 회전 브래킷이 서로를 향해 회전되는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상기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트랙의 단부로부터 상기 장착 브래킷에 가까운 제1 트랙의 단부까지 활주되고, 상기 제2 슬라이더는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멀어지는 제2 트랙의 단부로부터 장착 브래킷에 가까운 제2 트랙의 단부까지 활주되는, 폴더블 장치.
  12.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장치는 상기 장착 브래킷에 연결되는 제1 댐핑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댐핑 조립체 및 전달 조립체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제1 댐핑 조립체는 제1 회전 아암, 제2 회전 아암, 서로 맞물리는 적어도 2개의 제1 기어,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1 기어 사이에 배치된 캠을 포함하고, 상기 캠은 제1 요철 표면을 갖고;
    상기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회전 아암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회전 브래킷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 브래킷에 대해 활주 가능하고, 다른 단부에는 제1 치형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2 회전 아암의 일 단부는 상기 제2 회전 브래킷에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 브래킷에 대해 활주 가능하며, 다른 단부에는 제2 치형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치형부 및 상기 제2 치형부 모두는 제1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기어의 표면이자 상기 제1 요철 표면에 상대적인 표면에 제2 요철 표면이 배치되며;
    상기 캠과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2개의 단부는 상기 장착 브래킷과 상기 캠에 대해 각각 탄성적으로 맞접하며;
    상기 제1 회전 아암과 상기 제2 회전 아암이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1 치형부와 상기 제2 치형부는 캠에 대해 회전 가능하여, 제1 요철 표면은 제2 요철 표면과 맞물릴 수 있는, 폴더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핑 조립체는 장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 부재는 장착 공간을 가지며, 상기 캠과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장착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핀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캠과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핀 샤프트 상에 슬리빙되며,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2개의 단부는 상기 장착 부재와 상기 캠에 대해 각각 탄성적으로 맞접하며;
    상기 장착 부재에는 회전 구멍이 제공되고, 상기 핀 샤프트는 회전 구멍을 통해 연장되어 장착 부재 밖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댐핑 조립체는 클램핑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 부재 밖으로 돌출되는 상기 핀 샤프트의 일부에 클램핑 슬롯이 제공되며, 상기 클램핑 부재는 상기 클램핑 슬롯과 클램핑되는, 폴더블 장치.
  14.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장치는 제2 댐핑 조립체 및 제3 댐핑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달 커넥팅 로드는 상기 제2 댐핑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장착 공동을 갖고, 상기 제2 전달 커넥팅 로드는 상기 제2 댐핑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장착 공동을 가지며;
    상기 제2 댐핑 조립체는 제1 이동 부재 및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제1 이동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이동 부재는 상기 제2 탄성 부재를 사용하여 제1 회전 브래킷에 탄성적으로 맞접하고, 상기 제1 이동 부재는 제1 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3 댐핑 조립체는 제2 이동 부재 및 제3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3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이동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이동 부재는 상기 제3 탄성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제2 회전 브래킷에 탄성적으로 맞접하며, 상기 제2 이동 부재는 제2 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에 연결되는, 폴더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브래킷은 상기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1 만입부 및 제2 만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 브래킷은 상기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3 만입부 및 제4 만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 브래킷이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1 이동 부재는 상기 제1 만입부와 상기 제2 만입부 사이의 벽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이동 부재는 상기 제1 만입부 또는 상기 제2 만입부에 끼워질 수 있고;
    상기 제2 회전 브래킷이 회전하는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2 이동 부재는 상기 제3 만입부와 상기 제4 만입부 사이의 벽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 이동 부재는 상기 제3 만입부 또는 상기 제4 만입부에 끼워질 수 있는, 폴더블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 공동에는 제1 관통 구멍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제1 관통 구멍에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관통 구멍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장착 공동에는 제2 관통 구멍이 제공되고,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제2 관통 구멍에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관통 구멍에서 이동 가능한, 폴더블 장치.
  17. 제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조립체는 동기식 기어 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기식 기어 세트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2 기어, 제3 기어, 제4 기어, 및 제5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4 기어는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제5 기어는 상기 제3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4 기어는 상기 제5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제2 기어는 제1 전달 커넥팅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3 기어는 상기 제2 전달 커넥팅 로드에 연결되는, 폴더블 장치.
  18. 전자 디바이스이며,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가요성 스크린, 및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더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폴더블 장치의 2개의 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동일 측면에 위치된 제1 회전 브래킷에 체결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동일 측면에 위치된 제2 회전 브래킷에 체결되며;
    상기 가요성 스크린은 상기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및 폴더블 장치에 덮이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에 체결되는, 전자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장치가 지지 플레이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가요성 스크린은 지지 플레이트 조립체의 적어도 일 부분에 추가로 체결되는, 전자 디바이스.
KR1020237014442A 2020-09-30 2021-05-11 폴더블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 KR202300742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061519.2A CN114333566A (zh) 2020-09-30 2020-09-30 一种折叠装置及电子设备
CN202011061519.2 2020-09-30
PCT/CN2021/092958 WO2022068211A1 (zh) 2020-09-30 2021-05-11 一种折叠装置及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267A true KR20230074267A (ko) 2023-05-26

Family

ID=8094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442A KR20230074267A (ko) 2020-09-30 2021-05-11 폴더블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44274A1 (ko)
EP (1) EP4207142A4 (ko)
JP (1) JP2023544715A (ko)
KR (1) KR20230074267A (ko)
CN (1) CN114333566A (ko)
WO (1) WO20220682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4507124U (zh) * 2021-02-08 2021-10-26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CN116123207A (zh) * 2021-11-12 2023-05-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折叠铰链和电子设备
CN116168602A (zh) * 2021-11-24 2023-05-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连接装置和终端设备
CN116928201A (zh) * 2022-03-31 2023-10-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转轴装置及折叠式电子设备
CN217761887U (zh) * 2022-05-13 2022-11-08 华为技术有限公司 阻尼机构、铰链装置以及可折叠电子设备
CN117461305A (zh) * 2022-05-24 2024-01-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折叠机构、显示模组及电子设备
WO2024007200A1 (zh) * 2022-07-06 2024-0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折叠转轴、显示装置和弯折测试治具
CN114893494B (zh) * 2022-07-12 2022-11-11 荣耀终端有限公司 阻尼机构及终端
WO2024016138A1 (zh) * 2022-07-19 2024-0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支撑模组、显示模组及显示装置
CN117515016A (zh) * 2022-07-30 2024-02-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转轴机构及电子设备
CN117823519A (zh) * 2022-09-29 2024-04-05 华为终端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7327B2 (ja) * 2013-03-27 2017-09-20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US10126785B2 (en) * 2016-08-11 2018-11-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m lock hinge for determinant movement
US9677308B1 (en) * 2016-08-18 2017-06-13 Lianhong Art Co., Ltd. Hinge having movable shaft
CN208268222U (zh) * 2018-04-02 2018-12-21 富世达股份有限公司 连动定位结构及可挠式电子装置
TWI695665B (zh) * 2018-06-21 2020-06-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鉸鏈模組及電子裝置
EP3809678B1 (en) * 2018-08-07 2023-05-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Rotating shaft connection mechanism and foldable device
CN209070886U (zh) * 2018-11-08 2019-07-05 富世达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设备及支撑装置
CN111692196B (zh) * 2019-03-15 2021-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转轴机构及移动终端
TWM582540U (zh) * 2019-04-12 2019-08-21 宏碁股份有限公司 轉軸模組與電子裝置
TWM587285U (zh) * 2019-04-12 2019-12-0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N111911524B (zh) * 2019-05-09 2022-03-08 宏碁股份有限公司 转轴模块与电子装置
CN210380956U (zh) * 2019-11-22 2020-04-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壳体组件及可折叠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44715A (ja) 2023-10-25
US20230244274A1 (en) 2023-08-03
CN114333566A (zh) 2022-04-12
WO2022068211A1 (zh) 2022-04-07
EP4207142A1 (en) 2023-07-05
EP4207142A4 (en) 202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74267A (ko) 폴더블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
US11336759B2 (en) Rotating shaft mechanism and mobile terminal
KR102611811B1 (ko) 힌지 기구 및 폴더블 이동 단말기
TWI714385B (zh) 同動式鉸鏈
WO2021209001A1 (zh) 折叠装置及电子设备
CN113542456B (zh) 折叠装置及电子设备
KR101941584B1 (ko)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N113314037B (zh) 柔性显示面板、电子装置以及铰链
WO2022218147A1 (zh) 一种折叠装置及电子设备
GB2603253A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20230209752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CN112153174A (zh) 一种终端
CN211123830U (zh) 转动机构、折叠显示终端
CN115539490A (zh) 转轴机构和电子设备
CN114170909A (zh) 可折叠显示装置
US11953950B2 (en) Articulated hing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13314036B (zh) 柔性显示面板、电子装置以及铰链
CN217682778U (zh) 转动机构和可折叠电子设备
CN117419098B (zh) 转动机构和可折叠电子设备
CN115883693B (zh) 可折叠电子设备和转轴机构
CN117351844B (zh) 转动机构和可折叠电子设备
CN116838702A (zh) 转动机构和可折叠电子设备
US20230032306A1 (en) Flexible display panel, electronic device, and hinge
WO2023138380A1 (zh) 一种转轴机构、支撑装置和折叠屏设备
EP4246840A1 (en) Turn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