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733A - Igfbp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Igfbp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733A
KR20230073733A KR1020210160419A KR20210160419A KR20230073733A KR 20230073733 A KR20230073733 A KR 20230073733A KR 1020210160419 A KR1020210160419 A KR 1020210160419A KR 20210160419 A KR20210160419 A KR 20210160419A KR 20230073733 A KR20230073733 A KR 20230073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fbp5
expression
erectile dysfunction
preventing
inhib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지간
서준규
윤국남
옥지연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60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3733A/ko
Publication of KR20230073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7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Nucle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impoten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GFBP5(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내피세포 및 신경세포 특이적인 단백질의 수준을 증가시켜 음경 해면체 내피세포 및 신경세포의 재생을 유도하고, 음경 발기력을 증가시키는 등 발기부전을 개선함에 따라,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IGFBP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erectile dysfunction comprising an inhibitor of expression or activity of IGFBP5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IGFBP5(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기부전(erectile dysfunction)은 남성 성기능 장애의 일종으로서, 남성의 성기가 발기되지 않거나 발기 상태가 지속되지 않아 성행위를 할 수 없는 현상이다. 발기부전의 원인은 크게 심인성 원인과 기질성 원인으로 구별된다. 심인성 발기부전은 심리적 및 정신적 영향에 의한 교감신경의 과다한 작용으로 인한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e)의 과도한 분비, 음경해면체 평활근 긴장도 증가, 신경 전달물질의 분비 억제 등에 기인한다. 기질성 발기 부전은 그 원인에 따라, 신경인성, 혈관성 및 내분비성 발기부전으로 분류된다. 상기 혈관성 및 신경인성 발기부전은 고지질혈증, 당뇨, 고혈압, 흡연, 전신 심혈관질환, 척수손상, 음경신경손상 등으로 인해서 음경 해면체, 혈관내피세포 및 음경신경세포가 손상되어 이들 세포에서 일산화질소(nitric oxide) 등의 이완성 물질의 분비가 원활하지 않아 생기는 장애이다.
최근 발기부전에 관한 연구는 기질성 원인에 더 비중을 두고 있고, 그의 치료로서 주로 비아그라(viagra, 성분명: 실데나필)를 포함한 경구용 PDE-5 (phosphodiesterase-5) 저해제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구용 약물은 음경해면체에 특이적으로 분포하는 PDE-5의 저해에 의한 cGMP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음경해면체 내 혈류를 증대시켜 발기를 유도하여 발기부전의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비아그라와 같은 PDE-5 저해제 계열의 약물들은 두통, 안면홍조, 소화불량, 심장마비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분자적 수준에서 일시적인 단백질 발현 및 관련 인자들을 조절하는 것으로 근본적인 치료라 할 수 없다. 더욱이 당뇨 또는 음경신경손상에 의한 발기부전의 경우, 이와 같은 치료 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령 효과가 있다 해도 그 효능이 장기간 지속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발기부전 음경 내의 비정상화된 해면체 구조를 근본적으로 치료하고, 그 효능도 장시간 지속되는 발기부전 치료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IGFBP5는 IGF(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family의 일원이며, 다양한 세포 유형에서 발현되어 세포 내 다양한 신호전달 경로에 관여함이 알려져 있다. 특히, IGFBP5는 IGF와 결합하여 IGF의 분열촉진 활성을 조절하기도 하지만 IGFBP5에 대한 특정 수용체와 결합한 IGF 비의존적 방식으로 세포 내 다양한 기능에 관여하기도 한다. 또한, 당뇨성 신경증, 당뇨성 신증, 심근 섬유화 등 여러 다양한 병리학적 조건에서 비정상적인 IGFBP5 발현이 나타남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IGFBP5와 음경발기의 관계 및 이의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전무한 상태이다.
1. 한국공개특허 10-2014-0142202호(2014.12.1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음경해면체 내압, 음경압력 및 음경해면체 내피세포의 이동능을 증가시키고, 혈소판-내피세포 부착 분자-1(Platelet endo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1;PECAM-1), NG2(Neuron-Glial 2) 및 신경성산화질소생성효소(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nNOS)를 발현하며, 내피세포 내 혈관 또는 해면체 형성을 유도함으로써,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IGFBP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IGFBP5(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GFBP5(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GFBP5(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GFBP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는 내피세포 및 신경세포 특이적인 단백질의 수준을 증가시켜 음경 해면체 내피세포 및 신경세포의 재생을 유도하고, 음경 발기력을 증가시키는 등 발기부전을 개선함에 따라,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고혈당 처리된 마우스의 음경해면체 내피세포 및 당뇨 마우스의 음경해면체 조직에서 IGFBP5 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고혈당으로 당뇨조건을 유도한 마우스 음경해면체 내피세포에서 IGFBP5 재조합 단백질 또는 IGFBP5 발현 억제제(siIGFBP5; 항-IGFBP5 small interfering RNA) 처리에 따른 내피세포의 튜브 형성 정도 및 이동성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당뇨성 발기부전 마우스 모델에서 IGFBP5 발현 억제제(shIGFBP5; 항-IGFBP5 shRNA) 투여에 의한 음경신경 전기 극에 따른 음경해면체 내압(발기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당뇨성 발기부전 마우스 모델의 음경해면체 조직에서 IGFBP5 발현 억제제(shIGFBP5; 항-IGFBP5 shRNA) 투여에 의한 혈관내피세포 특이적 단백질인 혈소판-내피세포 부착 분자-1(Platelet/Endothelial Cell Adhesion Molucule-1; PECAM-1) 및 혈관주위세포 특이적인 단백질인 NG2 (Neuron-Glial 2)의 발현 정도를 공초점 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당뇨성 발기부전 마우스 모델 음경 조직의 배부신경에서 IGFBP5 발현 억제제(shIGFBP5; 항-IGFBP5 shRNA) 투여에 의한 신경성산화질소생성효소(nNOS;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의 발현 정도를 공초점 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기존의 발기부전에 대한 치료가 일시적인 치료 효과가 있으나,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지 못하고, 부작용을 유발하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발기부전 치료제 개발에 예의 노력한 결과, IGFBP5(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기반으로 하여, 당뇨성 발기부전 마우스 군에서 발기부전에 대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IGFBP5(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발현 억제제는 IGFBP5의 m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miRNA, siRNA, shRNA 및 안티센스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활성 억제제는 IGFBP5의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 IGFBP5(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는 음경해면체 내압, 음경압력 또는 음경해면체 내피세포의 이동능을 증가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IGFBP5(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는 혈소판-내피세포 부착 분자-1(Platelet endo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1), NG2(Neuron-Glial 2) 및 신경성산화질소생성효소(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갖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IGFBP5(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는 내피세포 내 혈관 또는 해면체 형성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IGFBP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는 “IGFBP5 억제제”와 동일한 의미로서 IGFBP5의 mRNA 발현 또는 단백질 활성을 감소시키는 물질을 통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IGFBP5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거나 그의 수용체에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 IGFBP5의 발현 또는 활성을 감소시키는 모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GFBP5 발현을 저해하는 물질은 IGFBP5를 표적으로 하여 IGFBP5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 핵산, 펩타이드, 바이러스 또는 상기 핵산을 포함하는 벡터 등 그 형태에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IGFBP5 발현을 저해하는 물질의 예로, IGFBP5의 m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IGFBP5 mRNA의 발현을 저해하는 siRNA, shRNA, miRNA,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리보자임(ribozyme), DNAzyme, PNA(peptide nucleic acids) 등이 포함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IGFBP5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의 예로, IGFBP5의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IGFBP5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앱타머, 화합물 등이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항체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siRNA(small interference RNA)”는 RNA 방해 또는 유전자 사일런싱을 매개할 수 있는 핵산 분자로서, 21 내지 25 뉴클레오티드 크기의 작은 RNA 조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siRNA는 센스 가닥(mRNA서열에 상응하는(corresponding) 서열)과 안티센스 가닥(mRNA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이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여 이중쇄를 이루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자기-상보성 (self-complementary) 센스 및 안티센스 가닥을 가지는 단일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siRNA는 RNA끼리 짝을 이루는 이중사슬 RNA 부분이 완전히 쌍을 이루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미스매치(대응하는 염기가 상보적이지 않음), 벌지(일방의 사슬에 대응하는 염기가 없음) 등에 의하여 쌍을 이루지 않는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shRNA(short hairpin RNA)”는 siRNA의 고가의 생합성 비용, 낮은 세포 형질감염 효율로 인한 RNA 간섭 효과의 단시간 유지 등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RNA 중합효소 Ⅲ의 프로모터로부터 아데노바이러스, 렌티 바이러스 및 플라스미드 발현 벡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를 세포 내로 도입하여 발현시키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러한 shRNA는 세포 내에 존재하는 siRNA 프로세싱 효소(Dicer or Rnase Ⅲ)에 의해 정확한 구조를 갖는 siRNA로 전환되어 목적 유전자의 사일런싱을 유도함이 널리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miRNA(microRNA)”는 21-25 뉴클레오타이드의 단일 가닥 RNA 분자로써, 타겟 mRNA의 파쇄 또는 해독단계에서의 억제를 통하여 진핵생물의 유전자 발현을 제어하는 조절물질이다. 이러한 miRNA는 두 단계의 프로세싱으로 이루어진다. 최초의 miRNA 전사체(primary miRNA)가 핵 안에서 Drosha라는 RNaseⅢ 타입효소에 의해 70 ~ 90 염기 정도의 스템-루프 구조, 즉 pre-miRNA로 만들어지고, 이후 세포질로 이동하여 다이서(Dicer)라는 효소에 의해 절단되어 21 ~ 25 염기의 성숙한 miRNA로 만들어진다. 이렇게 생성된 miRNA는 표적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전사 후 유전자 억압자(post-transcriptional gene suppressor)로써 작용하며, 번역 억제와 mRNA 불안정화를 유도한다. miRNAs는 다양한 생리학적 현상 및 질환에 관여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특정 mRNA의 서열에 상보적인 핵산 서열을 함유하고 있는DNA 또는 RNA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의미하는데, mRNA 내의 상보적인 서열에 결합하여 mRNA의 단백질로의 번역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체"는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용어로서 항원성 부위에 대해서 지시되는 특이적인 단백질 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항체는 IGFBP5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의미하며, 이러한 항체는 각 유전자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발현벡터에 클로닝하여 상기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을 얻고, 얻어진 단백질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에는 상기 단백질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부분 펩티드도 포함되며, 본 발명의 부분 펩티드로는, 최소한 7개 아미노산, 바람직하게는 9개 아미노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개 이상의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체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폴리클로날 항체,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항원 결합성을 갖는 것이면 그것의 일부도 본 발명의 항체에 포함되고 모든 면역글로불린 항체가 포함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항체에는 인간화 항체 등의 특수항체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항체는2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 및 2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를 가지는 완전한 형태뿐만 아니라 항체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을 포함한다. 항체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이란 적어도 항원 결합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단편을 뜻하며 Fab, F(ab'), F(ab') 2 및 Fv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앱타머"는 소정의 표적 분자에 대한 결합 활성을 갖는 핵산 분자를 의미한다. 상기 앱타머는 RNA, DNA, 수식(modified) 핵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직쇄상 또는 환상의 형태일 수 있는데, SELEX(systematic evolution of ligands by exponential enrichment)라 불리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oligonucleotide)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진화적인 방법에 의해 특정 화학 분자나 생물학적 분자에 높은 친화력과 선별력을 갖고 결합하는 올리고머를 분리하여 수득되는 물질이다. 상기 앱타머는 표적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표적의 활성을 조정할 수 있는데, 예컨대, 결합을 통하여 표적이 기능한 능력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발기부전"이란 성생활에 충분한 발기가 되지 않거나 유지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상태가 3개월 이상 지속되었을 경우 발기부전으로 정의한다. 상기 발기부전은 심리적인 요인에 기인하는 심인성 발기부전과 육체적인 장애에 기인하는 기질성 발기부전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상기 기질성 발기부전은 당뇨병, 음경조직손상, 관상동맥질환, 신장병증, 신경병증, 고혈압, 동맥경화 또는 고지혈증 등의 질병에 의한 것일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발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질병이라면 제한 없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해면체"란 포유류의 음경이나 음핵의 주체를 이루는 발기조직으로, 주위가 탄성섬유를 함유하는 두껍고 튼튼한 결합조직의 막으로 쌓여있으며, 이 막이 내부로 들어가 있어 해면상의 작은 방을 이루고 있다. 남성의 음경 내부에는 좌우에 2개의 음경 해면체와 그 아래쪽에 1개의 요도 해면체가 있고, 여성에게는 음경 해면체와 비슷한 구조를 가진 음핵 해면체와 요도 해면체가 있다. 해면체에 정맥혈이 가득 차게 되면 음경이 발기하게 된다. 음경 해면체 평활근과 음경 혈관은 평상시 아드레날린성 교감 신경에 의해 수축 상태에 있으며, 이완에 의한 발기 반응 후, 아드레날린성 교감 신경계의 자극에 의해 다시 수축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렇듯 발기조직은 평상시 수축 상태를 유지하지만, 성적 각성 시 뇌 중추에서 보내는 신호와 신경계의 자극, 체 내 및 발기조직 내의 여러 신경 전달 물질 및 호르몬 등에 의해 발기조직이 이완되고, 발기가 시작되며, 발기가 유지된다. 이러한 발기반응이 끝난 후, 다시 발기조직은 수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주사제, 과립제, 산제, 정제, 환제,캡슐제, 좌제, 겔,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대상체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대상체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일 투여량이 0.01mg/kg ~ 200mg/kg, 구체적으로는 0.1mg/kg ~ 200mg/kg, 보다 구체적으로는 0.1mg/kg ~ 100mg/kg 일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IGFBP5(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식품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 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 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 형태의 건강기능 식품 중 경질 캡슐제는 통상의 경질 캡슐에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 및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캡슐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하고 젤라틴 등 캡슐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캡슐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의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개선"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거나 섭취시켜 질환의 나쁜 상태를 좋게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IGFBP5(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른 의약외품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IGFBP5(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발기부전 예방 또는 개선용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청결제, 연고제 또는 코팅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은 IGFBP5(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함께 발기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발기부전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또는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준비예 1] 당뇨 세포 모델 및 동물 모델 디자인
당뇨 조건에서 IGFBP5 발현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당뇨 세포 모델 및 동물 모델을 준비했다. 당뇨와 유사한 환경의 세포 모델은 마우스 음경해면체 내피세포(Mouse Cavernous Endothelial Cells;MCECs)를 정상 범위의 혈당 수치와 유사한 5mM 글루코스(Normal glucose;NG) 및 고혈당 수치에 해당하는 30mM 글루코스(High glucose;HG) 조건에서 48시간 동안 노출시킨 후 사용하였다. 당뇨 마우스 모델의 경우, 생후 2개월 된 수컷 마우스(C57BL/6)에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을 50mg/kg 농도로 5일 연속으로 복강 내 투여 후 8주째 실험에 사용하였다.
[준비예 2] 당뇨성 발기부전 동물 모델의 디자인
IGFBP5 발현억제에 따른 발기부전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당뇨성 발기부전 동물 모델을 준비했다. 생후 2개월 된 수컷 마우스(C57BL/6)에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을 투여하여 당뇨병에 의한 발기부전을 유도하였으며, 총 4개의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N = 5/군).
1) 정상 마우스
2)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을 이용하여 당뇨를 유도(50mg/kg 농도로 5일 연속으로 복강 내 투여 후 8주 경과)한 후, 음경해면체에 PBS(phosphate-buffered solution) 20μL를 투여한 마우스,
3)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을 이용하여 당뇨를 유도(50mg/kg 농도로 5일 연속으로 복강 내 투여 후 8주 경과)한 후, 음경해면체에 scrambled shRNA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lentivirus)를 주사(3일 동안 1x105 IFU/20μL 투여)한 마우스
4)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을 이용하여 당뇨를 유도(50mg/kg 농도로 5일 연속으로 복강 내 투여 후 8주 경과)한 후, 음경해면체에 항-IGFBP5 shRNA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lentivirus)를 주사(3일 동안 1x105 IFU/20μL 투여)한 마우스.
[실시예 1] IGFBP5 발현 수준 확인
상기 준비예 1에서 디자인한 당뇨 세포 및 동물 모델에서 IGFBP5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음경해면체 내피세포의 경우, 4% 파라포름알데히드에서 4℃ 조건으로 10분간 고정 후 세척 버퍼(2% FBS + 0.1% Sodium Azide in PBS)로 3회 세척한 후, 비특이적 단백질 차단 버퍼(5% BSA in PBS)로 1시간 동안 blocking하였다. 그 후, 1차 항체(항-IGFBP5 마우스 항체, 1:100)로 4℃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남아 있는 항체를 제거하기 위해서 세척 버퍼로 3회 세척한 다음, 2차 항체(TRITC-표지된 항-마우스 항, 1:1000)로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남아있는 항체를 제거하기 위해 세척 버퍼로 다시 2회 세척한 후 DAPI (4',6-diamidino-2-phenylindole; 2㎍/㎖)를 넣고 5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켜서 세포 핵을 염색시켰다. 다시 세척 완충액으로 2회 세척한 후에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당뇨 마우스 모델의 경우, 마우스 음경 해면체 조직을 분리한 후, 이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에서 4℃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고정하였다. 상기 조직을 동결용 포매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동결 절편기에서 12㎛ 두께로 잘라 음경조직 절편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준비된 음경조직 절편을 슬라이드 상에 올리고 혈소판-내피세포 부착 분자-1(Platelet endo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1; 이하 PECAM-1이라 함) 및 IGFBP5의 발현 분석을 위해 4% 파라포름알데히드에서 약 5분간 고정시켰다. 고정된 음경조직 절편을 세척 버퍼(2% FBS + 0.1% Sodium Azide in PBS)로 3회 세척한 후, 비특이적 단백질 차단 버퍼(5% BSA in PBS)로 1시간 동안 blocking하였다. 그 후, 1차 항체(항-PECAM-1 햄스터 항체, 항-IGFBP5 마우스 항체, 1:100)로 4℃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남아 있는 항체를 제거하기 위해서 세척 버퍼로 3회 세척한 다음, 2차 항체(FITC-표지된 항-햄스터 항체 또는TRITC-표지된 항-마우스 항체, 1:1000)로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남아있는 항체를 제거하기 위해 세척 버퍼로 다시 2회 세척한 후 DAPI (4',6-diamidino-2-phenylindole; 2㎍/㎖)를 넣고 5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켜서 세포 핵을 염색시켰다. 다시 세척 완충액으로 2회 세척한 후에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농도 글루코스(High glucose;HG)에 노출된 마우스 음경해면체 내피세포(MCECs)에서 정상 농도 글루코스(Normal glucose;NG) 처리군에 비해 IGFBP5 단백질 발현 수준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당뇨를 유도한 마우스의 음경해면체 조직(DM)에서 정상 마우스(Control)에 비해 IGFBP5 단백질 발현 수준이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당뇨와 같은 병리학적 조건에서 IGFBP5 발현이 높은 것을 입증한다.
[ 실시예 2] IGFBP5 유무에 따른 마우스 음경해면체 내피세포를 이용한 혈관 형성능 분석
상기 준비예 1에서 디자인한 당뇨 세포 모델 및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IGFBP5 유무에 따른 관형성능(tube formation)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마우스 음경해면체 내피세포(Mouse Cavernous Endothelial Cells; MCECs)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재조합 IGFBP5 단백질(Mybiosource, Cat# MBS 2553533) 또는 항-IGFBP5 siRNA(Dharmacon, L-054834-01)을 사용하였고, 세포는 정상 범위의 혈당 수치와 유사한 5mM 글루코스(Normal glucose; NG) 및 고혈당 수치에 해당하는 30 mM 글루코스(High glucose; HG) 조건에서 48시간 동안 노출시켰다. 마트리겔 (Matrigel)이 코팅된 세포 배양 접시에 정상 농도 글루코스 + PBS, 정상 농도 글루코스 + 재조합 IGFBP5 단백질(0.5㎍/㎖), 고농도 글루코스 + PBS 및 고농도 글루코스 + 재조합 IGFBP5 단백질(0.5㎍/㎖)에 노출시킨 마우스 음경해면체 내피세포를 3 × 105 cells/㎠만큼 넣고, 튜브 형성을 위해 각각 8시간 동안 37℃ 조건으로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또한, 항-IGFBP5 siRNA (100nM) 또는 scrambled siRNA(Sc; 음성대조군)을 transfection한 음경해면체 내피세포에 정상 농도 또는 고농도 글루코스에 노출 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튜브 형성을 확인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농도 글루코스(High glucose; HG)에 노출된 마우스 음경해면체 내피세포(MCECs)는 정상 농도 글루코스(Normal glucose; NG) 처리군에 비해 튜브 형성 정도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재조합 IGFBP5 단백질을 처리하는 경우, 정상 농도 글루코스 군에서도 튜브 형성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항-IGFBP5 siRNA로 IGFBP5 발현을 억제한 군(siIGFBP5)에서는 고농도 글루코스에 의해 감소했던 튜브 형성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IGFBP5 발현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질 경우 해면체 내피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주어 혈관 및 해면체 형성을 억제하고, IGFBP5 발현을 억제할 경우 당뇨로 인해 활성이 저해된 혈관 및 해면체 형성을 유도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 실시예 3] IGFBP5 유무에 따른 마우스 음경해면체 내피세포를 이용한 세포의 이동 속도 분석
상기 준비예 1에서 디자인한 당뇨 세포 모델 및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IGFBP5 유무에 따른 내피세포의 이동능(migration)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 음경해면체 내피세포를 이용한 상처치유 이동 어세이(wound healing assay)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재조합 IGFBP5 단백질(Mybiosource, Cat# MBS 2553533) 또는 항-IGFBP5 siRNA(Dharmacon, L-054834-01)을 사용하였고, 세포는 정상 범위의 혈당 수치와 유사한 5mM 글루코스(Normal glucose; NG) 및 고혈당 수치에 해당하는 30mM 글루코스(High glucose; HG) 조건에서 48시간 동안 노출시켰다. 각각의 정상 농도 글루코스 + PBS, 정상 농도 글루코스 + 재조합 IGFBP5 단백질(0.5㎍/㎖), 고농도 글루코스 + PBS 및 고농도 글루코스 + 재조합 IGFBP5 단백질 (0.5㎍/㎖)에 노출시킨 마우스 음경해면체 내피세포는 이동성 평가를 위해 세포 배양 접시에 부착된 0.5mm두께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두 well 안에 세포를 주입하고 세포가 well을 완전히 채울 때까지 37℃ 및 5% CO2 환경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실리콘 고무를 제거하고 24시간 및 48시간째 well 간 0.5mm의 간극을 이동하는 세포를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또한, 항-IGFBP5 siRNA(100nM) 또는 scrambled siRNA(음성대조군)을 transfection한 음경해면체 내피세포에 정상 농도 또는 고농도 글루코스에 노출 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세포 이동능을 확인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농도 글루코스(High glucose; HG)에 노출된 마우스 음경해면체 내피세포(MCECs)는 정상 농도 글루코스(Normal glucose; NG) 처리군에 비해 세포의 이동능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재조합 IGFBP5 단백질을 처리하는 경우, 정상 농도 글루코스 군에서도 세포 이동능이 현저히 감소되었고, 항-IGFBP5 siRNA로 IGFBP5 발현을 억제한 군에서는 고농도 글루코스에 의해 감소했던 세포 이동능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IGFBP5 발현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질 경우 해면체 내피세포의 이동성이 억제되고, IGFBP5 발현을 억제할 경우 당뇨로 인해 활성이 저해된 해면체 내피세포의 이동성에 영향을 주어 혈관 및 해면체 형성을 유도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실시예 4] 전기 자극에 따른 발기력 측정
상기 준비예 2에서 디자인한 당뇨성 발기부전 동물모델의 음경해면체에 항-IGFBP5 shRNA를 발현하는 lentivirus particles을 주사하고 2주 후에 음경해면체의 신경을 자극하고 발기력을 측정하였다. 발기력 측정을 위하여, 각 마우스의 하복부에서 좌측 표피부분을 개복하고, 전립선의 후외측에 위치한 음경해면체신경 (음경신경)이 잘 보이도록 준비하였다. 음경신경의 전기 자극을 위해서 백금전극을 음경신경에 위치시킨 후, 5볼트 및 12헤르츠의 강도로 약 1분 동안 전기 자극을 가하였다. 이때 발기 시 음경내부의 압력(음경해면체 내압)을 음경해면체에 삽입된 카테터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는 압력 전달기(바이오스팩 시스템, 미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3A에서의 세로축의 ICP(Intracavernous Pressure: 음경해면체내 압력)는 발기 시 음경내부의 압력(음경해면체 내압)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발기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도 3A에서의 가로축은 전기 자극 후의 시간을 나타내며, 1분간의 전기 자극 기간은 가로축에 검정색 막대로 표시하였다. 또한, 도 3B는 최대 음경해면체 내압(Maximal ICP)을 평균 수축기 혈압(MSBP)으로 나눈 값을 나타낸 것이고, 도 3C는 음경해면체 내압 곡선의 면적(Total ICP [area under the curve])을 평균 수축기 혈압(MSBP)으로 나눈 값을 나타낸 것으로 이는 혈압 자체가 음경해면체 내압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발기력을 측정하기 위해 확인하는 값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IGFBP5 shRNA를 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lentivirus)를 투여한 군(L; DM+shIGFBP5)은 PBS 투여군(P; DM+PBS)에 비해 높은 발기력 개선 효과를 보였으며, 정상 대조군(C; Control) 수준으로 발기력이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경발기와 관련한 두 가지 변수, 즉 음경해면체 내압및 음경압력곡선의 면적이 항-IGFBP5 shRNA lentivirus 투여 후 현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항-IGFBP5 shRNA에 대한 음성대조군인 scrambled shRNA lentivirus를 투여한 군(DM+shCon)은 PBS 투여군(P; DM+PBS)과 유사한 수준의 발기력을 나타내었다.
[ 실시예 5] 음경해면체 조직에서 혈관세포 특이적 단백질 및 신경세포 특이적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상기 준비예 2에서 디자인한 당뇨성 발기부전 동물모델의 음경해면체 조직에서 혈관내피세포에 특이적 단백질인 혈소판-내피세포 부착 분자-1(PECAM-1), 혈관주위세포 특이적인 단백질인 NG2(Neuron-Glial 2) 및 신경세포 특이적 단백질인 신경성산화질소생성효소(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이하 nNOS라 함)의 발현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 후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각 세포 마커의 양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각 마우스로부터 음경 해면체 조직을 분리한 후, 이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에서 4℃ 조건으로 24시간 동안 고정하였다. 상기 조직을 동결용 포매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동결 절편기에서 12㎛ 두께로 잘라 음경조직 절편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준비된 음경조직 절편을 슬라이드 상에 올리고 PECAM-1, NG2 및 nNOS의 발현 분석을 위해 4% 파라포름알데히드에서 약 5분간 고정시켰다. 고정된 음경조직 절편을 세척 버퍼(2% FBS + 0.1% Sodium Azide in PBS)로 3회 세척한 후, 비특이적 단백질 차단 버퍼(5% BSA in PBS)로 1시간 동안 blocking하였다. 그 후, 1차 항체 (항-PECAM-1 햄스터 항체, 항-NG2 래빗 항체, 항-nNOS 랫트 항체, 1:100)로 4℃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남아 있는 항체를 제거하기 위해서 세척 버퍼로 3회 세척한 다음, 2차 항체(FITC-표지된 항-햄스터 항체, TRITC-표지된 항-래빗 항체, 또는 TRITC-표지된 항-랫트 항체, 1:1000)로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남아있는 항체를 제거하기 위해 세척 버퍼로 다시 2회 세척한 후 DAPI(4',6-diamidino-2-phenylindole; 2 ㎍/㎖)를 넣고 5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켜서 세포 핵을 염색시켰다. 다시 세척 완충액으로 2회 세척한 후에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PBS 투여군(DM+PBS)의 음경해면체 조직에서는 정상 마우스(Control)에 비해 혈관내피세포 및 혈관주위세포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나, 항-IGFBP5 shRNA lentivirus를 투여한 군(DM+shIGFBP5)의 음경해면체 조직에서는 대조군(DM+PBS)에 비해 혈관내피세포 또는 혈관주위세포 특이적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scrambled shRNA lentivirus를 투여한 군 (DM+shCon)은 대조군(DM+PBS)과 유사한 수준의 발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PBS 투여군(DM+PBS)의 음경해면체 조직에서는 정상 마우스 (Control)에 비해 nNOS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으나, 항-IGFBP5 shRNA lentivirus를 투여한 군(DM+shIGFBP5)의 음경해면체 조직에서는 대조군(DM+PBS)에 비해 nNOS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scrambled shRNA lentivirus를 투여한 군(DM+shCon)은 대조군 (DM+PBS)과 유사한 수준의 발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약학 조성물의 제조
1-1. 캡슐제의 제조
IGFBP5 억제제 10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mg
락토오스 14.8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1-2. 주사제의 제조
IGFBP5 억제제 20mg
만니톨 180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mg
Na₂HPO₄2H₂O 26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1-3. 액제의 제조
IGFBP5 억제제 20mg
이성화당 10g
만니톨 5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
2-1.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IGFBP5 억제제 100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μg
비타민 E 1.0mg
비타민 B1 0.13mg
비타민 B2 0.15mg
비타민 B6 0.5mg
비타민 B12 0.2μg
비타민 C 10mg
비오틴 10μg
니코틴산아미드 1.7mg
엽산 50μg
판토텐산 칼슘 0.5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mg
산화아연 0.82mg
탄산마그네슘 25.3mg
제1인산칼륨 15mg
제2인산칼슘 55mg
구연산칼륨 90mg
탄산칼슘 100mg
염화마그네슘 24.8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한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INHA-INDUSTRY PARTNERSHIP INSTITUTE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erectile dysfunction comprising an inhibitor of expression or activity of IGFBP5 as an active ingredient <130> ADP-2021-0823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72 <212> PRT <213> Unknown <220> <223> Amino acid of Human IGHBP5 precursor <400> 1 Met Val Leu Leu Thr Ala Val Leu Leu Leu Leu Ala Ala Tyr Ala Gly 1 5 10 15 Pro Ala Gln Ser Leu Gly Ser Phe Val His Cys Glu Pro Cys Asp Glu 20 25 30 Lys Ala Leu Ser Met Cys Pro Pro Ser Pro Leu Gly Cys Glu Leu Val 35 40 45 Lys Glu Pro Gly Cys Gly Cys Cys Met Thr Cys Ala Leu Ala Glu Gly 50 55 60 Gln Ser Cys Gly Val Tyr Thr Glu Arg Cys Ala Gln Gly Leu Arg Cys 65 70 75 80 Leu Pro Arg Gln Asp Glu Glu Lys Pro Leu His Ala Leu Leu His Gly 85 90 95 Arg Gly Val Cys Leu Asn Glu Lys Ser Tyr Arg Glu Gln Val Lys Ile 100 105 110 Glu Arg Asp Ser Arg Glu His Glu Glu Pro Thr Thr Ser Glu Met Ala 115 120 125 Glu Glu Thr Tyr Ser Pro Lys Ile Phe Arg Pro Lys His Thr Arg Ile 130 135 140 Ser Glu Leu Lys Ala Glu Ala Val Lys Lys Asp Arg Arg Lys Lys Leu 145 150 155 160 Thr Gln Ser Lys Phe Val Gly Gly Ala Glu Asn Thr Ala His Pro Arg 165 170 175 Ile Ile Ser Ala Pro Glu Met Arg Gln Glu Ser Glu Gln Gly Pro Cys 180 185 190 Arg Arg His Met Glu Ala Ser Leu Gln Glu Leu Lys Ala Ser Pro Arg 195 200 205 Met Val Pro Arg Ala Val Tyr Leu Pro Asn Cys Asp Arg Lys Gly Phe 210 215 220 Tyr Lys Arg Lys Gln Cys Lys Pro Ser Arg Gly Arg Lys Arg Gly Ile 225 230 235 240 Cys Trp Cys Val Asp Lys Tyr Gly Met Lys Leu Pro Gly Met Glu Tyr 245 250 255 Val Asp Gly Asp Phe Gln Cys His Thr Phe Asp Ser Ser Asn Val Glu 260 265 270 <210> 2 <211> 271 <212> PRT <213> Unknown <220> <223> Amino acid of Mouse IGHBP5 precursor <400> 2 Met Val Ile Ser Val Val Leu Leu Leu Leu Ala Ala Tyr Ala Val Pro 1 5 10 15 Ala Gln Gly Leu Gly Ser Phe Val His Cys Glu Pro Cys Asp Glu Lys 20 25 30 Ala Leu Ser Met Cys Pro Pro Ser Pro Leu Gly Cys Glu Leu Val Lys 35 40 45 Glu Pro Gly Cys Gly Cys Cys Met Thr Cys Ala Leu Ala Glu Gly Gln 50 55 60 Ser Cys Gly Val Tyr Thr Glu Arg Cys Ala Gln Gly Leu Arg Cys Leu 65 70 75 80 Pro Arg Gln Asp Glu Glu Lys Pro Leu His Ala Leu Leu His Gly Arg 85 90 95 Gly Val Cys Leu Asn Glu Lys Ser Tyr Gly Glu Gln Thr Lys Ile Glu 100 105 110 Arg Asp Ser Arg Glu His Glu Glu Pro Thr Thr Ser Glu Met Ala Glu 115 120 125 Glu Thr Tyr Ser Pro Lys Val Phe Arg Pro Lys His Thr Arg Ile Ser 130 135 140 Glu Leu Lys Ala Glu Ala Val Lys Lys Asp Arg Arg Lys Lys Leu Thr 145 150 155 160 Gln Ser Lys Phe Val Gly Gly Ala Glu Asn Thr Ala His Pro Arg Val 165 170 175 Ile Pro Ala Pro Glu Met Arg Gln Glu Ser Glu Gln Gly Pro Cys Arg 180 185 190 Arg His Met Glu Ala Ser Leu Gln Glu Phe Lys Ala Ser Pro Arg Met 195 200 205 Val Pro Arg Ala Val Tyr Leu Pro Asn Cys Asp Arg Lys Gly Phe Tyr 210 215 220 Lys Arg Lys Gln Cys Lys Pro Ser Arg Gly Arg Lys Arg Gly Ile Cys 225 230 235 240 Trp Cys Val Asp Lys Tyr Gly Met Lys Leu Pro Gly Met Glu Tyr Val 245 250 255 Asp Gly Asp Phe Gln Cys His Ala Phe Asp Ser Ser Asn Val Glu 260 265 270

Claims (8)

  1. IGFBP5(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현 억제제는 IGFBP5의 m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miRNA, siRNA, shRNA 및 안티센스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성 억제제는 IGFBP5의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IGFBP5(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는 음경해면체 내압, 음경압력 또는 음경해면체 내피세포의 이동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GFBP5(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는 혈소판-내피세포 부착 분자-1(Platelet endo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1), NG2(Neuron-Glial 2) 및 신경성산화질소생성효소(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GFBP5(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는 내피세포 내 혈관 또는 해면체 형성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IGFBP5(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IGFBP5(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KR1020210160419A 2021-11-19 2021-11-19 Igfbp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30073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419A KR20230073733A (ko) 2021-11-19 2021-11-19 Igfbp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419A KR20230073733A (ko) 2021-11-19 2021-11-19 Igfbp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733A true KR20230073733A (ko) 2023-05-26

Family

ID=8653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419A KR20230073733A (ko) 2021-11-19 2021-11-19 Igfbp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373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2202A (ko) 2012-10-09 2014-12-1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헤파린 결합 도메인을 포함하는 igfbp-5의 c-말단 도메인의 신생 혈관 생성 억제제로서의 신규한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2202A (ko) 2012-10-09 2014-12-1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헤파린 결합 도메인을 포함하는 igfbp-5의 c-말단 도메인의 신생 혈관 생성 억제제로서의 신규한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8390B2 (en) Uses of NOGO-A inhibitors and related methods
US20140147440A1 (en) Uses of nanog inhibitors and related methods
CN112089835B (zh) 包含非编码rna分子和靶向肿瘤抗原的抗体的药物组合物
KR20230073733A (ko) Igfbp5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20140323549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diseases, disorders or injury of the nervous system
KR101384360B1 (ko) Scf 또는 이의 수용체를 억제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혈관 투과성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US10036016B2 (en) Methods for inducing glucose uptake
KR101652957B1 (ko) ATF3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신규 siRNA 및 이의 용도
KR101481709B1 (ko) Sac-1004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028782A1 (zh) 脑源性神经营养因子前体蛋白用作治疗情感障碍的靶点
KR102100341B1 (ko) proNGF 억제제를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97306A (ko) 암전이 억제 및 항암제 감수성 증진용 조성물
AU2014247979B2 (en) Inhibitors of metastasis
KR20150016816A (ko) Ubb 넉­다운에 의한 암의 예방 또는 치료
KR102113090B1 (ko) p38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제제가 함유된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00155638A1 (en) Enhancing Oxytocin Receptor Expression Using an Oxytocin Receptor Agonist and an Alk5 Antagonist
KR20230067418A (ko) Lcn2 단백질 또는 그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0142646A1 (en) Co-administration of inhibitors to produce insulin producing gut cells
KR101974944B1 (ko) 페로포틴-1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철대사 이상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04408A (ko) 인테그린 알파3 베타1 저해제를 유효량 포함하는 당뇨병성 망막병증 치료용 조성물 및 치료용 조성물 탐색 방법
CA3069179A1 (en) Targeting the hdac2-sp3 complex to enhance synaptic function
KR101099705B1 (ko) CANu1 단백질 조절을 통한 암세포 생장 억제 및 항암제 민감성 증진제
KR102389898B1 (ko) Fgf11 발현을 억제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14661A (ko) VEGFR-3 발현 조절을 통한 mTOR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KR101088764B1 (ko) Nk1r 단백질 억제제를 포함하는 알코올 의존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