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0029A - 밸브 장치를 구비한 기상 매체의 저장을 위한 탱크 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장치를 구비한 기상 매체의 저장을 위한 탱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0029A
KR20230070029A KR1020237013260A KR20237013260A KR20230070029A KR 20230070029 A KR20230070029 A KR 20230070029A KR 1020237013260 A KR1020237013260 A KR 1020237013260A KR 20237013260 A KR20237013260 A KR 20237013260A KR 20230070029 A KR20230070029 A KR 20230070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valve
valve element
tank device
inn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도 샤이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70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ure containers
    • F16K1/304Shut-off valves with additional means
    • F16K1/306Shut-off valves with additional means with a valve member, e.g. stem or shaft, passing through the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 F16K31/08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using a electromagnet and a permanent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3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 F16K31/36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4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by means of electrically-actuated members in the supply or discharge conduits of the fluid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장치(100) 및 탱크 용기(200)를 구비한, 기상 매체, 특히 수소의 저장을 위한 탱크 장치(1)에 관한 것이고, 밸브 장치(100)는 내부에 파일럿 밸브 요소(24)가 이동 가능한 밸브 하우징(102)을 포함한다. 파일럿 밸브 요소는 제1 밀봉 시트(18)와 상호 작용하고, 이와 같이 파일럿 밸브(240)를 형성하고, 밸브 장치는 파일럿 밸브 요소의 이동을 위한 자석 코일(32)을 포함한다. 또한, 밸브 하우징 내에는 주 밸브 요소(12)가 배열된다. 또한, 파일럿 밸브 요소(24)의 일 단부(42)에는 영구 자석(17)이 배열되고, 영구 자석(17)은, 영구 자석(17)의 양극 요소(170)가 밸브 장치(100)의 하우징 커버(28)의 방향으로 배열되고 영구 자석(17)의 음극 요소(171)가 탱크 용기(200)의 방향으로 배열되는 방식으로 밸브 장치(100) 내에 배열되고, 영구 자석(17)은, 자석 코일(32)에 전류가 공급될 때 자석 코일(32)에 의해 생성된 영구 자석 필드(52)의 양극 영역(51) 내에 배열된다.

Description

밸브 장치를 구비한 기상 매체의 저장을 위한 탱크 장치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연료 전지 구동부를 구비한 차량들에 또는 수소 연소기를 구동부로서 구비한 차량들에 사용하기 위한, 특히 수소의 저장을 위한 밸브 장치를 구비한 탱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 10 2018 201 055 A1호는, 각각 제어 밸브를 포함하고, 라인 시스템을 통해 출구 라인과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저장 유닛들을 구비한 탱크 장치를 설명한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저장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가 주 밸브로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저장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가 보조 밸브로서 형성되고, 주 밸브와 보조 밸브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탱크 장치를 위한 안전 장치들은 표준화되어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탱크 장치가 이러한 차단 밸브를 포함해야 한다. 이와 같이, 차단 밸브는 예를 들어 연료 전지 구동부를 구비한 차량의 사고로 인해 야기되는 탱크 장치의 손상 시에 또는 탱크 장치의 라인 파손 시에 탱크 용기를 폐쇄할 수 있으므로, 탱크 장치로부터 기체가 배출될 수 없다.
차단 밸브들에 대한 까다로운 안전 요건들과, 예를 들어 800바아 이상의 높은 시스템 압력으로 인해 이러한 차단 밸브들은 구조적으로 까다로운 도전 과제이며, 큰 구조 공간을 차지한다. 이는 다시, 전체 탱크 장치의 총 중량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예를 들어 연료 전지 구동부를 구비한 차량의 사고 시에 높은 발생 가속력과, 밸브 장치 또는 탱크 장치의 가능한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장치는, 낮은 개방력을 갖는 콤팩트하게 형성된 안전 밸브를 포함하는 탱크 장치가,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를 위해, 탱크 장치는 기상 매체, 특히 수소의 저장을 위해 밸브 장치 및 탱크 용기를 포함한다. 밸브 장치는 밸브 하우징을 포함하고, 이러한 밸브 하우징 내에는 탱크 장치의 종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파일럿 밸브 요소가 배열된다. 이러한 파일럿 밸브 요소는 관통 개구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해 제1 밀봉 시트와 상호 작용하고, 이와 같이 파일럿 밸브를 형성한다. 또한, 밸브 장치는 자석 코일을 포함하고, 이러한 자석 코일을 통해 파일럿 밸브 요소는 탱크 장치의 종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밸브 하우징 내에는 주 밸브 요소가 배열되고, 이러한 주 밸브 요소는 관통 개구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해 제2 밀봉 시트와 상호 작용하고, 이와 같이 주 밸브를 형성하고, 제2 밀봉 시트는 원추형 견부로서 밸브 하우징에 형성된다. 또한, 파일럿 밸브 요소의 일 단부에는 영구 자석이 배열되고, 이러한 영구 자석은, 영구 자석의 양극 요소가 밸브 장치의 하우징 커버의 방향으로 배열되고 영구 자석의 음극 요소가 탱크 용기의 방향으로 배열되는 방식으로 밸브 장치 내에 배열된다. 또한, 영구 자석은, 자석 코일에 전류가 공급될 때 자석 코일에 의해 생성된 영구 자석 필드의 양극 영역 내에 배열된다.
이와 같이, 간단한 방식으로 최적의 자속 형성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2단계의 개방 과정은 밸브 장치의 개방을 위해 작은 자기력만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낮은 전류- 및 에너지 요구량과, 이에 따라 긍정적인 에너지 균형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개선예에서, 밸브 장치는 자석 코일에 전류가 공급될 때 탱크 용기의 방향으로 개방 가능한 것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저렴한 탱크 장치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주 밸브 요소의 성형 가공부와 밸브 하우징 사이에는 스로틀 채널이 형성되고, 이러한 성형 가공부는 관통 개구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해 제2 밀봉 시트와 상호 작용하고, 이러한 스로틀 채널은 제2 밀봉 시트의 방향과 반대로 원추형 확장부를 가짐으로써, 스로틀 효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밸브 하우징 내의 관통 개구는 스로틀 채널의 높이에 형성되고, 스로틀 채널로 이어지는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밸브 하우징 내에는 챔버가 형성되고, 이러한 챔버는 관통 개구에 의해 스로틀 채널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밸브 장치의 개방 과정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밸브 장치는 탱크 장치의 목 영역 내에 배열되고, 목 영역 내부에서 탱크 바닥에 대해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목 영역 내부에서의 밸브 장치의 구조적 구성으로 인하여, 더 작은 압력 작용면이 달성되는데, 이로 인해 더 낮은 축방향 압력이 나타난다. 고압 시에, 더 작은 압력 작용면들은 부품 부하에 있어 큰 경감을 나타내는데, 이는 전체 탱크 장치 및 밸브 장치의 더 적은 변형, 더 적은 마모 및 밀봉의 영향, 그리고 증가된 수명에 반영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탱크 바닥 내에는 추출 개구가 형성되고, 이러한 추출 개구는 탱크 용기 내부 챔버와 채널을 서로 유체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밸브 장치의 내부는 탱크 장치의 탱크 내부 챔버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파일럿 밸브 요소는 견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견부에는 스프링이 지지되고, 파일럿 밸브 요소에는 파일럿 밸브 요소의 일 단부의 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제1 밀봉 시트는 주 밸브 요소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주 밸브 요소에는 스프링에 의해 탱크 용기 내부 챔버의 방향으로 힘이 인가됨으로써, 주 밸브 요소에는 제1 밀봉 시트의 방향으로 그리고 제2 밀봉 시트의 방향과 반대로 힘이 인가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밸브 하우징 내에는 내부 챔버가 형성되고, 이러한 내부 챔버는 주 밸브 요소를 통해 제1 부분 내부 챔버 및 제2 부분 내부 챔버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제1 부분 내부 챔버는 밸브 하우징 내에 형성된 제어 채널에 의해 유입 라인과 연결되고, 이러한 유입 라인은 사용자 장치 시스템의 유입 영역과 연결 가능한 것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밸브 장치의 개방 과정이 용이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개방 과정은 밸브 장치의 구조적 구성으로 인하여 개방 과정이 공압력을 통해 보조되기 때문에 작은 자기력만 요구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제1 부분 내부 챔버와 제2 부분 내부 챔버는 제1 밀봉 시트 및/또는 제2 밀봉 시트에 의해 유체 연결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상술한 탱크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연료 전지의 작동을 위한 수소를 저장하기 위한 연료 전지 시스템에 적합하다.
또한, 연료 전지의 작동을 위한 수소를 저장하기 위한 상술한 탱크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연료 전지 구동식 차량에 적합하다.
또한, 수소를 저장하기 위한 상술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구동식 차량, 즉 수소 연소기를 구동부로서 구비한 차량에 적합하다.
도면에는 기상 매체, 특히 수소의 저장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장치의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밸브 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장치를 자석 코일의 영역에서 확대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1은 종축(48)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장치(1)의 일 실시예를 종단면도로 그리고 단순화된 도면으로 도시하고, 탱크 장치(1)는 종축(48)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탱크 장치(1)는 탱크 용기(200) 및 밸브 장치(100)를 포함하고, 밸브 장치(100)는 부분적으로 탱크 용기(200) 내에 수용된다. 탱크 용기(200)는, 탱크 용기 내부 챔버(201)가 내부에 형성된 탱크 용기 하우징(202)을 포함한다.
또한, 탱크 용기(200)는 밸브 장치(100)가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목 영역(203)을 포함한다. 이 경우, 밸브 장치(100)는 탱크 바닥(140)에 지지되고, 이러한 탱크 바닥은 목 영역(203)과 탱크 용기 내부 챔버(201) 사이에 배열되고, 이와 같이 탱크 용기 내부 챔버(201)는 목 영역(203)에 의해 제한된다.
밸브 장치(100)는, 전기 접속부(30)에 의해 전류가 공급 가능한 자석 코일(32)이 내부에 배열된 밸브 하우징(102)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전기 접속부(30)의 피드스루는 자화 가능한 하우징 커버(28) 내에 형성된다.
파일럿 밸브 요소(24)의 일 단부(42)에는, 양극 요소(170) 및 음극 요소(171)를 포함하는 영구 자석(17)이 배열된다. 이 경우, 영구 자석(17)의 양극 요소(170)는 밸브 장치(100)의 하우징 커버(28) 방향을 가리키고, 영구 자석(17)의 음극 요소(171)는 탱크 용기(200)의 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영구 자석(17)은, 자석 코일(32)에 전류가 공급될 때 자석 코일(32)에 의해 생성된 영구 자석 필드(52)의 양극 영역(51) 내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밸브 장치(100) 내에 배열된다.
또한, 이 경우 하우징 커버(28)는, 자석 코일(32)에 전류가 공급될 때 자기력 필드와, 이에 따라 파일럿 밸브 요소(24)의 이동 방향을 탱크 용기 내부 챔버(201)의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비자성 재료로 제조된다.
또한, 밸브 하우징(102) 내에는 내부 챔버(45)가 형성되고, 이러한 내부 챔버 내에는 파일럿 밸브 요소(24) 및 주 밸브 요소(12)가 배열된다.
파일럿 밸브 요소(24)는 종축(48)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되고, 계단형의 오목부들 및 라운딩된 견부(43)를 포함하고, 이러한 라운딩된 견부는 반대편 단부에서 계단부(430)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계단부(430)에는 스프링(16)이 지지되고, 이러한 스프링은 마찬가지로 탱크 바닥(140)에 지지되고, 파일럿 밸브 요소(24)에 자석 코일(32)의 방향으로(도 1에서 윗쪽을 향해) 힘을 인가한다.
파일럿 밸브 요소(24)에 대해 평행하게 주 밸브 요소(12)가 배열되고, 이러한 주 밸브 요소는 실질적으로 L자형으로 성형 가공부(37)를 갖도록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주 밸브 요소(12)는 관통 개구(20)를 포함하고, 이러한 관통 개구를 통해서는 제1 부분 내부 챔버(450)와 제2 부분 내부 챔버(451)가 유체 연결 가능하다. 내부 챔버(45)는 주 밸브 요소(12)를 통해 제1 부분 내부 챔버(450) 및 제2 부분 내부 챔버(451)로 나눠진다.
주 밸브 요소(12)는 스프링(22)을 통해 초기 응력이 가해지고, 이를 통해 라운딩된 견부(43)에 대해 가압되고, 스프링(22)은 밸브 하우징(102)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주 밸브 요소(12)에는 제1 밀봉 시트(18)가 형성되고, 이러한 밀봉 시트는 제1 부분 내부 챔버(450)와 제2 부분 내부 챔버(451) 사이의 연결부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해, 그리고 관통 개구(20)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해 주 밸브 요소(12)와 함께 상호 작용하고, 이와 같이 파일럿 밸브(240)를 형성한다.
파일럿 밸브 요소(24)를 통해, 주 밸브 요소(12)에는 스프링(22)의 힘에 반대되는 힘이 인가되고, 이와 같이 이러한 주 밸브 요소의 성형 가공부(37)는 밸브 하우징(102)에 원추형으로 형성된 제2 밀봉 시트(6)에 대해 가압된다. 이 경우, 폐쇄력은 탱크 용기 내부 챔버(201) 내의 압력과 스프링(16)의 힘을 통해 보조된다. 폐쇄력은, 스위치 오프되고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주 밸브 요소(12)가 확실히 폐쇄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주 밸브 요소(12)는 밸브 하우징(102) 내에 형성된 관통 개구(8)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해 제2 밀봉 시트(18)와 상호 작용하고, 이와 같이 주 밸브(120)를 형성한다.
주 밸브 요소(12)의 성형 가공부(37)와 밸브 하우징(102) 사이에는 스로틀 채널(38)이 형성되고, 이러한 스로틀 채널은 제2 밀봉 시트(6)의 방향과 반대로 원추형 확장부를 가짐으로써, 스로틀 효과가 형성된다.
관통 개구(8)는 스로틀 채널(38)의 높이에 형성되고, 스로틀 채널(38)로 이어진다. 또한, 관통 개구(8)는 밸브 하우징(102) 내에 형성된 챔버(35)로 이어지고, 이러한 챔버는 탱크 바닥(140) 내에 형성된 추출 개구(14)들을 통해 탱크 용기 내부 챔버(201)와 연결된다.
제1 부분 내부 챔버(450)는, 밸브 하우징(102) 내에 형성된 제어 채널(2)에 의해 유입 라인(40)과 연결되고, 이러한 유입 라인은 사용자 장치 시스템의 유입 영역과 연결 가능하다. 제어 채널(2) 내에는 시스템 압력(p1)이 형성된다.
탱크 장치(1)의 기능은, 자석 코일(32)의 전류 미공급 상태에서, 제1 밀봉 시트(18) 및 제2 밀봉 시트(6)가 폐쇄됨으로써, 기상 매체, 이 경우 수소가 탱크 용기 내부 챔버(202)로부터 밸브 장치(100)를 거쳐 유입 라인(40) 내로,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 시스템의 유입 영역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전기 접속부(30)를 통해 자석 코일(32)에 전류가 공급될 때, 양극 영역(51) 및 음극 영역(50)을 포함하는 영구 자석 필드(52)가 형성된다. 이 경우, 영구 자석(17)은, 자석 코일(32)에 의해 생성된 영구 자석 필드(52)의 양극 영역(51) 내에 위치한다. 영구 자석 필드(52) 내에서의 영구 자석(17)의 상호 반발하는 자기력들로 인하여, 파일럿 밸브 요소(24)는 하우징 커버(28)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고, 이와 같이 스프링(16)을 압축한다. 파일럿 밸브 요소(24)의 이러한 종방향 이동을 통해, 이러한 파일럿 밸브 요소는 제1 밀봉 시트(18)로부터 들어 올려지고, 이와 같이 제2 부분 내부 챔버(451)로부터 제1 부분 내부 챔버(450) 및 관통 개구(20) 내로 개구 단면을 개방한다.
추출 개구(14), 챔버(35), 관통 개구(8) 및 스로틀 채널(38)을 거쳐, 제2 부분 내부 챔버(451)는 탱크 용기 내부 챔버(201)와 유체 연결됨으로써, 수소에 의해 충전된다. 제어 채널(2)의 방향으로 그리고 이에 따라 유입 라인(40) 내로 수소가 유출됨으로써, 압력 시스템을 통한 매체 감소에 따라 주 밸브 요소(12) 주위에 균형을 이룬 압력 레벨이 형성된다.
스로틀 채널(38)이 스로틀로서의 구조적 구성을 가짐으로써, 개방 과정 중에 스로틀 채널(38)을 통해 추가 유동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매체, 이 경우 수소가 관통 개구(20)를 통해 유출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 밸브 요소(12)에 추가적인 개방력이 작용한다. 또한, 제2 부분 내부 챔버(451) 내의 압력은 강하된다.
제1 밀봉 시트(18)의 짧은 개방 시간 이후, 파일럿 밸브 요소(24)는 압력 균형을 이루는데, 이는 주 밸브 요소(12)의 압력 균형을 유도한다.
스프링(22)의 힘은 제2 밀봉 시트(6)의 개방을 보조하는데, 이는 이러한 스프링이 개방력으로 주 밸브 요소(12)를 가압함으로써, 주 밸브 요소(12)가 제2 밀봉 시트(6)로부터 들어 올려지도록 하고, 관통 개구(8)와 제1 부분 내부 챔버(450) 사이의 개구 단면을 개방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이제 수소는 탱크 용기 내부 챔버(201)로부터 관통 개구(8)를 거쳐 제어 채널(2)의 방향으로 바로 제1 부분 내부 챔버(450) 내로 그리고 이에 따라 유입 라인(40) 내로 유동한다.
이와 같이, 이제 제1 밀봉 시트(18) 및 제2 밀봉 시트(6)는 개방되고, 2개의 개구 단면들을 통해 수소가 탱크 용기 내부 챔버(201)로부터 밸브 장치(1)를 거쳐 유입 라인(40) 내로,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 시스템의 유입 영역의 방향으로 유동한다.
제1 밀봉 시트(18)에서의 개구 단면이 제2 밀봉 시트(6)에서의 개구 단면보다 더 작은 경우, 제1 밀봉 시트(18)에서의 파일럿 밸브 요소(24)의 개방 과정을 위해 단지 작은 자기력만 요구된다.
자석 코일(32)의 전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자석 코일(32)의 영구 자석 필드(52), 그리고 이에 따라 영구 자석 필드(52)와 영구 자석(17)의 반발하는 자기력들은 중단되고, 파일럿 밸브 요소(24) 및 주 밸브 요소(12)에 대한 폐쇄력이 스프링(16)을 통해 도입된다. 탱크 용기 내부 챔버(201) 내의 예를 들어 15 내지 1000바아와 같은 발생 압력(p2)에 따라, 폐쇄력은 제1 밀봉 시트(18)를 구비한 파일럿 밸브 요소(24)를 통한 탱크 장치(1)의 목 영역(203) 내의 압력과 함께, 제2 밀봉 시트(6)를 구비한 주 밸브 요소(12)를 향해 도입된다.
이제, 제1 밀봉 시트(18) 뿐만 아니라 제2 밀봉 시트(6)도 다시 차단되므로, 수소가 더 이상 탱크 용기 내부 챔버(201)로부터 밸브 장치(100)를 거쳐,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 시스템의 유입 영역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없다. 이러한 자주적 폐쇄의 원리는, 전류 공급이 중단될 때의 비상 상황에서도 작동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원하는 힘 흐름에 반대로 작용하는 스프링(22)의 힘이 너무 높게 선택되어서는 안되고, 그에 상응하게 매칭되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와 같이, 비상 상황에서 탱크 장치(1)로부터 수소가 누출될 수 없도록 보장된다.
탱크 충전의 경우, 제어 채널(2)에는 연결된 탱크 유닛, 예를 들어 충전소를 통해 압력이 공급된다. 이 경우, 제어 채널(2) 내의 발생 압력은 나머지 밸브 장치(100) 내의 발생 압력보다 더 크다. 상이한 압력 레벨을 통해, 제 2 밀봉 시트(6)에서의 압력 비율은 나머지 밸브 장치(100) 내의 압력 비율보다 더 크므로, 주 밸브 요소(12)는 스프링(16)의 힘에 반대로 파일럿 밸브 요소(24)를 탱크 용기 내부 챔버(201)의 방향으로 가압한다. 탱크 장치(1)는 이제, 탱크 충전 과정이 완료될 때까지, 개방된 제2 밀봉 시트(6) 및 관통 개구(8)를 통해 충전될 수 있다. 탱크 충전 과정이 종료되면, 더 이상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주 밸브 요소(12) 주변의 압력은 균형을 이룬다. p2 > p1로부터의 설정 차압과 함께 스프링(16)의 힘은, 다시 제1 밀봉 시트(18) 및 제2 밀봉 시트(6)가 폐쇄되도록 한다.
기상 매체의 저장을 위한 탱크 장치(1)는 연료 전지 구동식 차량들과 더불어, 예를 들어 수소 연소기를 구동부로서 구비한 차량들 내의 수소 저장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밸브 장치(100) 및 탱크 용기(200)를 구비한, 기상 매체, 특히 수소의 저장을 위한 탱크 장치(1)로서, 밸브 장치(100)는 밸브 하우징(102)을 포함하고, 밸브 하우징(102) 내에는 탱크 장치(100)의 종축(101)을 따라 이동 가능한 파일럿 밸브 요소(24)가 배열되고, 파일럿 밸브 요소(24)는 관통 개구(20)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해 제1 밀봉 시트(18)와 상호 작용하고, 이와 같이 파일럿 밸브(240)를 형성하고, 밸브 장치(2)는 자석 코일(32)을 포함하고, 자석 코일(32)을 통해 파일럿 밸브 요소(24)는 탱크 장치(1)의 종축(101)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밸브 하우징(102) 내에는 주 밸브 요소(12)가 배열되고, 주 밸브 요소(12)는 관통 개구(8)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해 제2 밀봉 시트(6)와 상호 작용하고, 이와 같이 주 밸브(120)를 형성하고, 제2 밀봉 시트(6)는 원추형 견부(36)로서 밸브 하우징(102)에 형성되는, 탱크 장치에 있어서,
    파일럿 밸브 요소(24)의 일 단부(42)에는 영구 자석(17)이 배열되고, 영구 자석(17)은, 영구 자석(17)의 양극 요소(170)가 밸브 장치(100)의 하우징 커버(28)의 방향으로 배열되고 영구 자석(17)의 음극 요소(171)가 탱크 용기(200)의 방향으로 배열되는 방식으로 밸브 장치(100) 내에 배열되고, 영구 자석(17)은, 자석 코일(32)에 전류가 공급될 때 자석 코일(32)에 의해 생성된 영구 자석 필드(52)의 양극 영역(51)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밸브 장치(2)는 자석 코일(32)에 전류가 공급될 때 탱크 용기(200)의 방향으로 개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 밸브 요소(12)의 성형 가공부(37)와 밸브 하우징(102) 사이에는 스로틀 채널(38)이 형성되고, 성형 가공부(37)는 관통 개구(8)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해 제2 밀봉 시트(6)와 상호 작용하고, 스로틀 채널(38)은 제2 밀봉 시트(6)의 방향과 반대로 원추형 확장부를 가짐으로써, 스로틀 효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장치(1).
  4. 제3항에 있어서, 밸브 하우징(102) 내의 관통 개구(8)는 스로틀 채널(38)의 높이에 형성되고, 스로틀 채널(38)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장치(1).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밸브 하우징(102) 내에는 챔버(35)가 형성되고, 챔버(35)는 관통 개구(8)에 의해 스로틀 채널(38)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장치(1).
  6. 제5항에 있어서, 밸브 장치(100)는 탱크 장치(1)의 목 영역(203) 내에 배열되고, 목 영역(203) 내부에서 탱크 바닥(140)에 대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장치(1).
  7. 제6항에 있어서, 탱크 바닥(140) 내에는 추출 개구(14)가 형성되고, 이러한 추출 개구는 탱크 용기 내부 챔버(201)와 채널(35)을 서로 유체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장치(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일럿 밸브 요소(24)는 견부(43)를 포함하고, 견부(43)에는 스프링(16)이 지지되고, 파일럿 밸브 요소(24)에는 파일럿 밸브 요소(24)의 일 단부(42)의 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장치(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밀봉 시트(18)는 주 밸브 요소(12)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장치(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 밸브 요소(12)에는 스프링(22)에 의해 탱크 용기 내부 챔버(201)의 방향으로 힘이 인가됨으로써, 주 밸브 요소(12)에는 제1 밀봉 시트(18)의 방향으로 그리고 제2 밀봉 시트(6)의 방향과 반대로 힘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장치(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 하우징(102) 내에는 내부 챔버(45)가 형성되고, 내부 챔버(45)는 주 밸브 요소(12)를 통해 제1 부분 내부 챔버(450) 및 제2 부분 내부 챔버(451)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장치(1).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부분 내부 챔버(450)는 밸브 하우징(102) 내에 형성된 제어 채널(2)에 의해 유입 라인(40)과 연결되고, 유입 라인(40)은 사용자 장치 시스템의 유입 영역과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장치(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부분 내부 챔버(450)와 제2 부분 내부 챔버(451)는 제1 밀봉 시트(18) 및/또는 제2 밀봉 시트(6)에 의해 유체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장치(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료 전지의 작동을 위한 수소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 장치(1)를 구비한 연료 전지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료 전지의 작동을 위한 수소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 장치(1)를 구비한 연료 전지 구동식 차량.
KR1020237013260A 2020-09-23 2021-08-12 밸브 장치를 구비한 기상 매체의 저장을 위한 탱크 장치 KR202300700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211862.0 2020-09-23
DE102020211862.0A DE102020211862A1 (de) 2020-09-23 2020-09-23 Tankvorrichtung zur Speicherung eines gasförmigen Mediums mit einer Ventilvorrichtung
PCT/EP2021/072516 WO2022063485A1 (de) 2020-09-23 2021-08-12 Tankvorrichtung zur speicherung eines gasförmigen mediums mit einer ventil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029A true KR20230070029A (ko) 2023-05-19

Family

ID=7754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260A KR20230070029A (ko) 2020-09-23 2021-08-12 밸브 장치를 구비한 기상 매체의 저장을 위한 탱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77176A1 (ko)
EP (1) EP4217629A1 (ko)
JP (1) JP2023539904A (ko)
KR (1) KR20230070029A (ko)
CN (1) CN116324238A (ko)
DE (1) DE102020211862A1 (ko)
WO (1) WO20220634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11860A1 (de) 2020-09-23 2022-03-24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Tankvorrichtung mit einer Ventil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44834A1 (fr) * 1983-04-25 1984-10-26 Nepveu Daniel Soupape electromagnetique
US5452738A (en) * 1994-02-22 1995-09-26 Amcast Industrial Corporation Crashworthy solenoid actuated valve for CNG powered vehicle
DE102012210943A1 (de) * 2012-06-27 2014-01-02 Robert Bosch Gmbh Kaltgasgenerator
DE102018201055A1 (de) 2018-01-24 2019-07-25 Robert Bosch Gmbh Gasspeichersystem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Gasspeicher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3485A1 (de) 2022-03-31
US20240077176A1 (en) 2024-03-07
DE102020211862A1 (de) 2022-03-24
EP4217629A1 (de) 2023-08-02
CN116324238A (zh) 2023-06-23
JP2023539904A (ja)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673203B (zh) 用于气态介质的阀装置和用于存储气态介质的箱设备
US9347580B2 (en) Valve device
CN113195964A (zh) 用于存储气态介质的箱设备
US10480677B2 (en) Solenoid valve including independently movable pilot plunger head
CN103180645A (zh) 燃料电池系统的氢气供给装置
KR101759491B1 (ko) 연료 공급용 제어밸브
CA2802182A1 (en) Solenoid on-off valve
KR20230070029A (ko) 밸브 장치를 구비한 기상 매체의 저장을 위한 탱크 장치
KR20130113427A (ko) 릴리프 밸브 및 연료 증기 밸브 조립체
KR20230070030A (ko) 밸브 장치를 구비한 기상 매체의 저장을 위한 탱크 장치
KR102230582B1 (ko)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KR20230070028A (ko) 밸브 장치를 구비한 탱크 장치
KR20230100742A (ko) 기체 매체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 장치
KR20210032739A (ko) 차단밸브 및 그가 적용된 레귤레이터
CN110799784B (zh) 用于控制气态介质的比例阀
US20240068623A1 (en) Solenoid valve for high-pressure container
KR102642949B1 (ko)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KR20240031379A (ko) 압력 탱크로부터의 수소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차단 밸브 및 제어 방법
JP2006065586A (ja) 減圧弁
JP2005240949A (ja) 高圧電磁弁
KR20240022557A (ko) 수소 탱크 시스템용 차단 밸브, 압축 가스 용기, 및 수소 탱크 시스템
KR20220129734A (ko)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탱크용 밸브
KR20220147859A (ko) 연료차단밸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