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949B1 -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 Google Patents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42949B1 KR102642949B1 KR1020220092668A KR20220092668A KR102642949B1 KR 102642949 B1 KR102642949 B1 KR 102642949B1 KR 1020220092668 A KR1020220092668 A KR 1020220092668A KR 20220092668 A KR20220092668 A KR 20220092668A KR 102642949 B1 KR102642949 B1 KR 1026429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space
- fuel tank
- fuel
- pressure valv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828 fuel tank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group [H]* 0.000 claims 2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4043 responsive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4—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ball-shaped valve memb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ure contai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50—Preventing rotation of valve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63—Ball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302—Electromagnetic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09—Tan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fuels
- B60K2015/03315—Tan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fuels for hydrog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10—Energy storage devices
- B60Y2400/102—Energy storage devices for hydrogen fu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5—Valve bodies; Mounting of hydraulic controll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공간과 제2 공간이 형성되는 코어; 상기 제2 공간의 중심과 배출유로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코어의 하부가 결합되는 바디; 상기 제2 공간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배출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1 공간을 따라 승강 작동을 하면서 상기 제1 밸브의 관통 홀을 개폐하는 제2 밸브; 를 포함하는 연료탱크용 고압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료전지차량의 수소저장시스템에서 수소저장탱크 등과 같은 연료탱크에 장착되는 연료탱크용 고압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차량의 수소저장시스템은 수소 충전을 위한 충전구, 고압밸브(솔레노이드 밸브), 연료탱크(수소저장탱크), 압력조절기 및 고압배관류를 포함한다.
고압밸브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내부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자기장에 의해 밸브가 스프링을 밀면서 유로를 개방함에 따라 유로를 통해 수소 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반대로 고압밸브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밸브가 스프링의 힘에 의해 유로를 막음에 따라 수소 가스의 공급 차단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연료탱크용 고압밸브는, 연료탱크에 장착되어 연료탱크 내부 수소 가스의 충전과 방전을 제어하고, 파손 및 화재 발생 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연료탱크용 고압밸브는 구조상 누설에 취약하며, 밸브 및 유로 구조가 복잡하고, 원통 형상의 메인 밸브로 인해 중량이 커져 응답성 향상에 한계가 있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밸브와 제2 밸브의 2중 볼 밸브 구조로 인해 유로 개폐의 응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탱크용 고압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자기력을 생성하는 코일부가 외측을 감싸고, 내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제1 공간과 제2 공간이 형성되는 코어;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유로와 연료가 배출되는 배출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공간의 중심과 상기 배출유로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코어의 하부가 결합되는 바디; 내부의 관통 홀이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배출유로의 상부에 안착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제2 공간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배출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1 공간을 따라 상기 제1 밸브의 상부에서 상승하여 상기 관통 홀을 개방하거나 상기 제1 밸브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관통 홀을 막는 제2 밸브; 를 포함하는 연료탱크용 고압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밸브의 측면은 각형 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제1 밸브의 각형 면과 상기 제2 공간 사이에 연료가 통과할 수 있는 갭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밸브의 각형 면에 대응하는 제1 접촉 곡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밸브의 양측면은 상기 제1 공간에 부합하는 평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밸브의 상부에 상기 제2 밸브가 안착되는 제1 시트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시트부는 상기 관통 홀과 연통된다.
또한, 상기 배출유로의 상부에 상기 제1 밸브가 안착되는 제2 시트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시트부는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제1 밸브를 향하도록 상기 제1 공간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는 볼 밸브이다.
또한,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제2 밸브보다 더 큰 외경 및 더 무거운 중량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코일부에서 생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상승 가능하도록 자성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제1 공간보다 더 큰 구멍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사이의 경계 부위는 경사 내경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입유로와 상기 배출유로의 상부에 상기 코어의 하부가 삽입되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유입유로 및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코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밀폐부재에 의해 상기 코어와 상기 결합부 사이가 밀폐된다.
또한, 상기 코일부는 상기 코어의 외측을 감싸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감기는 코일;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입유로는 경사 유로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제2 공간과 중심이 일치하는 직선 유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료는 상기 배출유로를 따라 연료탱크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연료탱크는 수소저장탱크이다.
또한, 상기 연료는 수소이다.
본 발명은 제1 밸브와 제2 밸브의 2중 볼 밸브 구조로 인해 경량화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밸브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밸브의 측면을 각형 면으로 형성하여 제1 밸브가 제2 공간을 따라 상승하는 과정에서 제1 밸브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밸브 및 제2 밸브에 의한 기밀 구조에 의해 연료의 누설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밸브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2 밸브에 의해 제1 밸브의 기밀을 유지하여 제1 밸브와 제2 밸브 사이로 연료 토출을 방지함으로써 연료 토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의 이동 유로를 단순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용 고압밸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 선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C-C 선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밸브는 제2 시트부에 안착되고 제2 밸브는 제1 밸브의 제1 시트부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밸브가 제1 밸브의 제1 시트부에서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유로를 통해 유입된 연료가 제1 밸브의 관통 홀을 통해 배출유로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밸브가 제2 시트부에서 상승함에 따라 유입유로를 통해 유입된 연료가 배출유로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 선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C-C 선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밸브는 제2 시트부에 안착되고 제2 밸브는 제1 밸브의 제1 시트부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밸브가 제1 밸브의 제1 시트부에서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유로를 통해 유입된 연료가 제1 밸브의 관통 홀을 통해 배출유로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밸브가 제2 시트부에서 상승함에 따라 유입유로를 통해 유입된 연료가 배출유로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용 고압밸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B 선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C-C 선단면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밸브(30)와 제2 밸브(40)의 이중 밸브가 코어(10)의 내부에서 승강 작동을 하면서 바디(20)에 구비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코어(10)의 외측은 자기력을 생성하는 코일부(50)에 의해 감싸지도록 구성된다. 코일부(50)는 코어(10)의 외측을 감싸는 보빈(51) 및 보빈(51)에 감기는 코일(52)을 포함한다.
원통형으로 보빈(51)에 감겨진 코일(52)에 전류를 흘리면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자기장에 의해 제1 밸브(30)와 제2 밸브(40)의 상승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코어(10)는 내부 상부에서 하부로 제1 공간(11)과 제2 공간(12)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간(11)에 탄성부재(60)가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60)를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공간(11)은 제2 공간(12)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공간(11)은 제2 밸브(40)의 승강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2 밸브(40)의 승강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공간(12)은 제1 공간(11)과 연통된다. 제2 공간(12)은 제1 공간(11)의 아래에 구비된다. 제2 공간(12)은 제2 밸브(40)보다 더 큰 외경의 제1 밸브(30)의 승강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하므로 제1 공간(11)보다 더 큰 구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공간(11)과 제2 공간(12) 사이의 경계 부위는 경사 내경부(13)로 구성될 수 있다.
바디(20)는 연료(H)가 유입되는 유입유로(21) 및 유입유로(21)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배출유로(22)를 포함한다. 유입유로(21)를 통해 유입된 연료(H)는 배출유로(2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예컨대, 연료(H)는 수소(hydrogen)일 수 있다.
배출유로(22)를 통해 배출되는 연료(H)는 연료탱크(T)로 공급될 수 있다. 예컨대, 연료탱크(T)는 수소저장탱크일 수 있다.
바디(20)에 결합부(24)가 구비된다. 결합부(24)는 유입유로(21) 및 배출유로(22)와 연통된다. 결합부(24)에 코어(10)의 하부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24)로 인해 코어(10)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코어(10)의 하부에 밀폐부재(O)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밀폐부재(O)는 오링(oring)일 수 있다.
결합부(24)에 코어(10)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부(24)와 코어(10) 사이는 밀폐부재(O)에 의해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유로(22)의 상부에 제2 시트부(23)가 구비된다. 제2 시트부(23)는 결합부(24) 내부에 구비된다. 제2 시트부(23)는 제1 밸브(30)의 하부에 부합하도록 구성된다. 제2 시트부(23)에 제1 밸브(30)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다.
제2 시트부(23)에 제1 밸브(30)가 안착되면 배출유로(22)가 밀폐된다. 이로 인해 연료(H)가 배출유로(22)로 배출될 수 없는 상태가 이루어진다.
연료(H)가 유입되는 유입유로(21)는 경사 유로로 구성될 수 있다. 연료(H)가 배출되는 배출유로(22)는 직선 유로로 구성될 수 있다.
배출유로(22)는 코어(10)의 제1 공간(11) 및 제2 공간(12)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코어(10)의 제1 공간(11), 제2 공간(12) 및 배출유로(22)는 연통된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간(12)을 따라 승강 작동을 하는 제1 밸브(30)는 내부에 연료(H)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 홀(3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관통 홀(31)은 오리피스(orifice)일 수 있다.
제1 밸브(30)가 제2 시트부(23)에 안착된 상태에서 관통 홀(31)은 배출유로(22)의 중심과 일치 한다. 연료(H)는 관통 홀(31)을 통해 배출유로(22)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밸브(30)의 상부에 제1 시트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시트부(33)는 제2 밸브(40)의 하부가 안착 가능하도록 제2 밸브(40)의 하부에 부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시트부(33)는 관통 홀(31)과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밸브(30)의 제1 시트부(33)에 제2 밸브(40)가 안착되고, 제1 밸브(30)가 제2 시트부(23)에 안착 시 관통 홀(31)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관통 홀(31)이 밀폐된 상태에서 유입유로(21)를 통해 유입되는 연료(H)는 관통 홀(31)로 배출될 수 없다.
제1 밸브(30)는 자성체일 수 있다. 제1 밸브(30)는 볼 밸브(ball valve)일 수 있다. 제1 밸브(30)는 코일부(50)에서 자기력 생성 시 제2 공간(12)을 따라 상승 할 수 있다.
제1 밸브(30)는 제2 밸브(40)보다 더 큰 외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밸브(30)는 제2 밸브(40)보다 더 무거운 중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밸브(30)는 탄성부재(6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제2 밸브(40)에 의해 제2 시트부(23)에 밀착될 수 있다.
도 2, 3과 같이 제1 밸브(30)의 측면은 각형 면(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밸브(30)의 측면이 각형 면(32)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1 밸브(30)가 제2 공간(12)을 따라 승강 작동 시 회전하지 않고 안정적인 승강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밸브(30)의 각형 면(32)과 마주하는 제2 공간(12)은 제1 접촉 곡면(12a) 및 제2 접촉 곡면(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30)의 각형 면(32)과 마주하는 제2 공간(12)이 제1 접촉 곡면(12a)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1 밸브(30)의 각형 면(32)과 제2 공간(12)의 제1 접촉 곡면(12a) 사이에 연료(H)가 통과할 수 있는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촉 곡면(12b)은 제1 접촉 곡면(12a)을 연결하는 곡면으로 구성된다. 제2 접촉 곡면(12b)은 제1 밸브(30)의 각형 면(32)의 모서리부(34)에 접촉하도록 모서리부(34)에 부합하는 오목한 곡면으로 구성된다.
제2 접촉 곡면(12b)은 제1 접촉 곡면(12a)을 연결하는 곡면으로 구성된다. 제2 접촉 곡면(12b)은 제1 밸브(30)의 각형 면(32)의 모서리부(34)에 접촉하도록 모서리부(34)에 부합하는 오목한 곡면으로 구성된다.
제2 밸브(40)가 제1 밸브(30)의 제1 시트부(33)에서 상승하여 제1 시트부(33)가 개방된 상태에서 유입유로(21)로 유입되는 연료(H)는 갭(G)을 통해 제1 밸브(30)의 관통 홀(31)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밸브(40)는 자성체일 수 있다. 제2 밸브(40)는 볼 밸브(ball valve)일 수 있다. 제2 밸브(40)는 제1 밸브(30)의 상부에 위치한다. 제2 밸브(40)는 제1 공간(11)을 따라 승강 작동을 할 수 있다.
제1 밸브(30)의 제1 시트부(33)에 안착되어 있던 제2 밸브(40)가 상승하면 제1 공간(11) 내부의 탄성부재(60)는 제2 밸브(40)에 밀리면서 압축된다. 탄성부재(60)를 가압하던 제2 밸브(40)가 하강하여 제1 밸브(30)의 제1 시트부(33)에 안착되면 탄성부재(60)는 길이가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예컨대, 탄성부재(60)는 스프링(spring)일 수 있다.
제2 밸브(40)는 자성체이기 때문에 코일부(50)에서 생성되는 자기력에 제1 공간(11)을 따라 상승할 수 있다.
제2 밸브(40)는 제1 밸브(30)보다 작은 외경으로 구성된다. 제2 밸브(40)는 제1 밸브(30)보다 가벼운 중량으로 구성된다.
도 2, 3과 같이, 제2 밸브(40)의 양측면은 평면(4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밸브(40)의 평면(41)에 대응하는 제1 공간(11) 부위도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밸브(40)의 양측면이 평면(41)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2 밸브(40)는 제1 공간(11)을 따라 승강 작동 시 회전하지 않고 안정적인 승강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밸브(40)는 탄성부재(60)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로 제1 밸브(30)의 제1 시트부(33)에서 상승하여 제1 밸브(30)의 관통 홀(31)을 개방하거나, 제1 밸브(30)의 제1 시트부(33)에 안착되어 제1 밸브(30)의 관통 홀(31)을 밀폐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연료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밸브는 제2 시트부에 안착되고 제2 밸브는 제1 밸브의 제1 시트부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제1 밸브(30)가 제2 시트부(23)에 안착되어 배출유로(22)를 밀폐하고, 제2 밸브(40)가 제1 밸브(30)의 제1 시트부(33)에 안착되어 관통 홀(31)을 밀폐한 상태에서 유입유로(21)를 통해 연료(H)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유로(21)를 통해 유입된 연료(H)는 제1 밸브(30)와 제2 공간(12) 사이의 캡(G)을 통과하여 제2 공간(12)으로 유입될 수 있으나, 제2 밸브(40)가 제1 밸브(30)의 제1 시트부(33)에 안착되어 관통 홀(31)이 밀폐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1 밸브(30)의 관통 홀(31)로 배출될 수 없다.
유입유로(21)를 통해 유입된 연료(H)는 제1 밸브(30)와 제2 공간(12) 사이의 캡(G)을 통과하여 제2 공간(12)으로 유입될 수 있으나, 제1 밸브(30)가 제2 시트부(23)에 안착되어 배출유로(22)가 밀폐된 상태이기 때문에 배출유로(22)로 배출될 수 없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밸브가 제1 밸브의 제1 시트부에서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코일부(50)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기력이 생성되어 제1 밸브(30)의 제1 시트부(33)에 안착되어 있던 자성체의 제2 밸브(40)가 탄성부재(60)의 탄성 지지력을 극복하면서 제2 공간(12)을 따라 상승함에 따라 제1 밸브(30)의 관통 홀(31)이 개방된다. 이때, 탄성부재(60)는 상승하는 제2 밸브(40)에 밀려 압축된다.
코일부(50)에서 자기력 생성 시 제2 밸브(40)는 제1 밸브(30)보다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제1 밸브(30)보다 먼저 상승할 수 있다.
제2 밸브(40)의 상승으로 인해 제1 밸브(30)의 관통 홀(31)이 개방된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유입유로(21)를 통해 유입된 연료(H)는 제2 공간(12)과 제1 밸브(30) 사이의 갭(G)을 거쳐 제1 밸브(30)의 관통 홀(3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유로를 통해 유입된 연료가 제1 밸브의 관통 홀을 통해 배출유로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연료(H)는 제1 밸브(30)의 관통 홀(31)을 거쳐 배출유로(22)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유로(22)로 배출되는 연료(H)는 연료탱크(T)로 공급될 수 있다.
연료(H)가 연료탱크(T)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연료탱크(T) 측의 압력이 상승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밸브가 제2 시트부에서 상승함에 따라 유입유로를 통해 유입된 연료가 배출유로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연료(H)가 연료탱크(T)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연료탱크(T) 측의 압력이 상승하고 상승 압력이 제1 밸브(30)에 작용할 수 있다.
제2 시트부(23)에 안착되어 있던 제1 밸브(30)에 코일부(50)에서 생성되는 자기력과 연료탱크(T) 측의 상승 압력이 작용하여 제1 밸브(30)가 제2 공간(12)을 따라 상승할 수 있다.
제1 밸브(30)가 제2 공간(12)을 따라 상승함에 따라 제1 밸브(30)에 의해 밀폐되어 있던 배출유로(22)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배출유로(22)가 개방됨에 따라 유입유로(21)로 유입되는 연료(H)가 배출유로(22)로 바로 배출되는 메인 유량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연료(H)의 배출 유량은 제1 밸브(30)의 상승(lift) 정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밸브(30)가 최대로 상승하면 연료(H)의 배출 유량이 최대가 될 수 있다. 제1 밸브(30)가 최소로 상승하면 연료(H)의 배출 유량이 최소로 될 수 있다.
코일부(50)에 전원이 차단되면 자기력이 사라지게 된다. 자기력이 사라짐에 따라 제1 밸브(30)는 하강하여 제2 시트부(23)에 안착되고, 제2 밸브(40)는 하강하여 제1 밸브(30)의 제1 시트부(33)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2 밸브(40)의 하강에 따라 제2 밸브(40)의 상승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60)는 제2 밸브(40)의 가압력이 사라짐에 따라 원상태로 신장할 수 있다.
탄성부재(60)는 원상태로 신장하여 제2 밸브(40)가 제1 밸브(30)의 제1 시트부(33)에 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제2 밸브(4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도 5 참조).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밸브와 제2 밸브의 2중 볼 밸브 구조로 인해 경량화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밸브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밸브의 측면을 각형 면으로 형성하여 제1 밸브가 제2 공간을 따라 상승하는 과정에서 제1 밸브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밸브 및 제2 밸브에 의한 기밀 구조에 의해 연료의 누설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밸브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2 밸브에 의해 제1 밸브의 기밀을 유지하여 제1 밸브와 제2 밸브 사이로 연료 토출을 방지함으로써 연료 토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의 이동 유로를 단순화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코어 11 : 제1 공간
12 : 제2 공간 12a : 제1 접촉 곡면
13 : 경사 내경부 20 : 바디
21 : 유입유로 22 : 배출유로
23 : 제2 시트부 24 : 결합부
30 : 제1 밸브 31 : 관통 홀
32 : 각형 면 33 : 제1 시트부
40 : 제2 밸브 41 : 평면
50 : 코일부 51 : 보빈
52 : 코일 60 : 탄성부재
G : 갭 H : 연료
O : 밀폐부재 T : 연료탱크
12 : 제2 공간 12a : 제1 접촉 곡면
13 : 경사 내경부 20 : 바디
21 : 유입유로 22 : 배출유로
23 : 제2 시트부 24 : 결합부
30 : 제1 밸브 31 : 관통 홀
32 : 각형 면 33 : 제1 시트부
40 : 제2 밸브 41 : 평면
50 : 코일부 51 : 보빈
52 : 코일 60 : 탄성부재
G : 갭 H : 연료
O : 밀폐부재 T : 연료탱크
Claims (19)
- 자기력을 생성하는 코일부가 외측을 감싸고, 내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제1 공간과 제2 공간이 형성되는 코어;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유로와 연료가 배출되는 배출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공간의 중심과 상기 배출유로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코어의 하부가 결합되는 바디;
내부의 관통 홀이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배출유로의 상부에 안착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제2 공간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배출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1 공간을 따라 상기 제1 밸브의 상부에서 상승하여 상기 관통 홀을 개방하거나 상기 제1 밸브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관통 홀을 막는 제2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의 측면은 각형 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제1 밸브의 각형 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 밸브의 각형 면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으로 구성되는 제1 접촉 곡면; 및
상기 제1 접촉 곡면을 연결하는 곡면으로서, 상기 제1 밸브의 각형 면의 모서리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모서리부에 부합하는 오목한 곡면으로 구성되는 제2 접촉 곡면;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밸브의 각형 면과 상기 제1 밸브의 각형 면에 접촉하지 않는 상기 제1 접촉 곡면 부위 사이에 연료가 통과할 수 있는 갭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밸브의 양측면은 상기 제1 공간에 부합하는 평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의 상부에 상기 제2 밸브가 안착되는 제1 시트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시트부는 상기 관통 홀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의 상부에 상기 제1 밸브가 안착되는 제2 시트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시트부는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제1 밸브를 향하도록 상기 제1 공간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는,
볼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제2 밸브보다 더 큰 외경 및 더 무거운 중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코일부에서 생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상승 가능하도록 자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제1 공간보다 더 큰 구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사이의 경계 부위는 경사 내경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유로와 상기 배출유로의 상부에 상기 코어의 하부가 삽입되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유입유로 및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밀폐부재에 의해 상기 코어와 상기 결합부 사이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상기 코어의 외측을 감싸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감기는 코일;
을 포함하는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유로는 경사 유로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제2 공간과 중심이 일치하는 직선 유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는,
상기 배출유로를 따라 연료탱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는,
수소저장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는,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2668A KR102642949B1 (ko) | 2022-07-26 | 2022-07-26 |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2668A KR102642949B1 (ko) | 2022-07-26 | 2022-07-26 |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4915A KR20240014915A (ko) | 2024-02-02 |
KR102642949B1 true KR102642949B1 (ko) | 2024-02-29 |
Family
ID=89900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92668A KR102642949B1 (ko) | 2022-07-26 | 2022-07-26 |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42949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31393A (ja) * | 2013-08-07 | 2015-02-16 | 愛三工業株式会社 | 流量制御弁 |
KR101759491B1 (ko) * | 2015-12-21 | 2017-07-19 | (주)모토닉 | 연료 공급용 제어밸브 |
JP2017219136A (ja) * | 2016-06-08 | 2017-12-14 |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 流量制御弁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血圧情報測定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6015926A1 (de) * | 1994-11-24 | 1996-05-30 | Robert Bosch Gmbh | Elektromagnetisch steuerbare ventilanordnung |
KR102274114B1 (ko) | 2017-01-25 | 2021-07-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독립 거동 가능한 파일럿 플런저 헤드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
-
2022
- 2022-07-26 KR KR1020220092668A patent/KR1026429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31393A (ja) * | 2013-08-07 | 2015-02-16 | 愛三工業株式会社 | 流量制御弁 |
KR101759491B1 (ko) * | 2015-12-21 | 2017-07-19 | (주)모토닉 | 연료 공급용 제어밸브 |
JP2017219136A (ja) * | 2016-06-08 | 2017-12-14 |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 流量制御弁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血圧情報測定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4915A (ko) | 2024-0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73451B2 (ja) | 弁装置 | |
US20210033212A1 (en) | Proportional valve for controlling a gaseous medium | |
CN112673203A (zh) | 用于气态介质的阀装置和用于存储气态介质的箱设备 | |
US12078297B2 (en) | Tank device for storing a gaseous medium, comprising a valve device | |
KR101652678B1 (ko) | 가스 분사 밸브 | |
KR20210032739A (ko) | 차단밸브 및 그가 적용된 레귤레이터 | |
CN102278504A (zh) | 一种大气排放阀 | |
JP3481021B2 (ja) | 燃料タンクの燃料遮断装置 | |
KR20180087593A (ko) | 독립 거동 가능한 파일럿 플런저 헤드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 |
KR102642949B1 (ko) | 연료탱크용 고압밸브 | |
KR20130113427A (ko) | 릴리프 밸브 및 연료 증기 밸브 조립체 | |
KR102230582B1 (ko) | 연료전지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 |
KR100903413B1 (ko) | 압력 평형 솔레노이드 밸브 | |
CN116324262A (zh) | 具有阀装置的、用于储存气态介质的罐装置 | |
US10967733B2 (en) | Fuel shutoff valve | |
KR102476095B1 (ko) | 연료차단밸브 | |
KR102466778B1 (ko) | 댐핑 기능을 구비한 안전 밸브 | |
US20230417370A1 (en) | Tank device for storing a gaseous medium | |
US11499726B2 (en) | Coaxial gas valve assemblies includ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solenoids | |
KR102703279B1 (ko) | 연료 공급 밸브 | |
KR102558570B1 (ko) | 연료차단밸브 | |
KR102613026B1 (ko) | 솔레노이드 밸브 | |
CN202109010U (zh) | 一种大气排放阀 | |
KR100617425B1 (ko) | 파일럿 밸브 | |
KR102709904B1 (ko) | 연료 차단 밸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