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297A -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297A
KR20230068297A KR1020220136356A KR20220136356A KR20230068297A KR 20230068297 A KR20230068297 A KR 20230068297A KR 1020220136356 A KR1020220136356 A KR 1020220136356A KR 20220136356 A KR20220136356 A KR 20220136356A KR 20230068297 A KR20230068297 A KR 20230068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material
outlet
impurity separator
unit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이 웨이
원-청 장
컨-더 린
바오-딩 리
푸-원 샤오
훙-위 린
위-하오 우
화이-후이 황
이-룬 린
Original Assignee
타이 한 이큅먼트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 한 이큅먼트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 한 이큅먼트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68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 B03C1/286Magnetic plugs and dipsticks disposed 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a recipient, e.g. magnetic drain bo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 B03C1/28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dispos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a recip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25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 B03C1/031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 B03C1/033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 B03C1/0332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using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 B03C1/284Magnetic plugs and dipsticks with associated cleaning means, e.g. retractable non-magnetic slee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18Magnetic separation whereby the particles are suspended in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0Magnetic separation whereby the particles to be separated are in soli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8Parts being easily removable for cleaning purpose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및 상기 분리기를 이용하여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의 분리를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분리기는 본체 유닛, 슬리브 유닛, 봉자석 유닛, 세척 유닛 및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 유닛은 복수의 비자성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유닛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봉자석 유닛은 복수의 봉자석 및 신축관을 구비하고,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본체 유닛과 커플링된다. 상기 봉자석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각 상기 봉자석은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 안으로 들어가 상기 본체 유닛을 흐르는 물질의 자성 불순물을 흡착하도록 한다. 상기 봉자석 유닛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각 상기 봉자석은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를 이탈한다.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본체 유닛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세척액을 도입하여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에 부착된 자성 불순물을 세척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본체 유닛에 고정되고 상기 봉자석 유닛과 커플링되어, 상기 봉자석 유닛을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Description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 및 그 방법{A DEVICE, ASSEMBLY AND METHOD FOR SEPARATING TRAMP METAL FROM LIQUID RAW MATERIALS}
본 발명은 물질 중 자성 불순물을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 및 상기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또는 어셈블리로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6077333호는 유체 물질 중의 강자성 불순물을 분리하는 장치를 공개하였다. 상기 장치는 주로 2가지 결함이 있는데, 하나는 해당 특허의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 부재가 하우징을 이탈할 경우,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므로, 공기 중의 자성 불순물이 상기 자석 부재에 흡착되어 각 자석 홀더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자석 부재가 상기 하우징을 이탈할 경우, 유체 물질은 상기 하우징을 계속 흐르게 되고, 이때 상기 장치는 유체 물질 중의 자성 불순물을 제거할 수 없다는 점이다.
또한, 중국 실용신안 CN2070255070호는 유체 물질 중의 강자성 불순물을 분리하는 장치를 공개하였고, 해당 특허는 상기 장치를 분리식 유체 제철기로 명명하였다. 상기 제철기의 결함은 반드시 사람의 힘으로 전체 수용 케이스를 파이프 라인으로부터 제거해야 하며, 또한, 상기 수용 케이스가 상기 파이프 라인으로부터 제거된 후에도, 유체 물질은 상기 파이프 라인을 계속 흐르게 되고, 이때 유체 물질 중의 강자성 불순물을 분리할 수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상술한 특허 및 실용신안의 결함을 개선할 수 있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장치를 제안할 필요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유체 제철기들의 결함을 개선할 수 있는 자동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을 연속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자동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또는 어셈블리와 결합하여 실행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는 본체 유닛, 슬리브 유닛, 봉자석 유닛, 세척 유닛 및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 유닛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 수용실, 개방 상단, 폐쇄 하단, 유입구 및 유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 유닛은 커버 및 복수의 비자성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부 커버면 및 하부 커버면을 구비하고,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단에 위치하는 입구를 각각 구비한다.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는 상기 커버의 하부 커버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각 상기 입구가 상기 커버의 상부 커버면으로 연신되게 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개방 상단에 고정 연결되고,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는 상기 제1 수용실 내에 수용된다. 상기 봉자석 유닛은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과 커플링된다. 상기 봉자석 유닛은 디스크, 복수의 봉자석 및 신축관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는 상부 디스크면 및 하부 디스크면을 구비하고, 각 상기 봉자석은 상기 디스크의 하부 디스크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봉자석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각 상기 봉자석은 상기 각 비자성 슬리브의 입구로부터 상기 몸체 안으로 들어가고, 상기 봉자석 유닛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각 상기 봉자석은 각 상기 슬리브로부터 밖으로 나온다. 상기 신축관은 신축 가능한 몸체벽, 몸체벽에 의해 정의된 제2 수용실, 상단 및 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은 상기 디스크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하단은 상기 커버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봉자석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신축관은 수축 상태이고, 상기 봉자석 유닛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신축관은 신전 상태이고, 각 상기 봉자석을 수용한다. 상기 세척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우징면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세척액을 상기 노즐로 도입하여 각 상기 슬리브를 세척한다.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하우징 상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봉자석 유닛과 커플링되어, 상기 봉자석 유닛을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노즐에서 상기 하우징의 개방 상단까지의 거리가 상기 노즐에서 상기 하우징의 폐쇄 하단까지의 거리보다 작도록 배치되고, 이를 통해, 상기 비자성 슬리브에 부착된 자성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수용실 내에 수용된 유체 물질 또는 세척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또 하나의 특징으로서, 상기 유입구에 배치된 유입 밸브 유닛 및 상기 유출구에 배치된 유출 밸브 유닛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배출구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된 제1 배출 밸브 유닛 및 제2 배출 밸브 유닛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배출구의 개폐를 제어하여 유체 물질 및 세척액을 서로 다른 위치로 각각 배출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유체 자성 불순물을 분리하는 방법은 상술한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로 실행하며,
상기 봉자석 유닛을 상기 제1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자성 불순물을 분리할 유체 물질을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제1 수용실로 도입하고 상기 유출구로부터 배출시켜, 각 상기 봉자석이 상기 유체 물질의 자성 불순물을 흡착하도록 하는 단계;
이전 단계가 제1 소정 시간 진행된 후,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수용실 내에 보존된 유체 물질을 배출하는 단계;
상기 구동 유닛으로 상기 봉자석 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외부 세척액을 상기 노즐로 도입하여,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에 부착된 자성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하고, 이 단계가 제2 소정 시간 진행된 후, 외부 세척액의 도입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1 수용실 내에 보존된 세척액을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봉자석 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를 개방하여, 유체 물질을 다시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제1 수용실로 도입하고 상기 유출구로부터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기 유체 자성 불순물을 분리하는 방법에서,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는 배출구, 상기 유입구에 배치된 유입 밸브 유닛, 상기 유출구에 배치된 유출 밸브 유닛 및 상기 배출구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배출 밸브 유닛 및 제2 배출 밸브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유입 밸브 유닛 및 상기 유출 밸브 유닛을 폐쇄한 후, 상기 제1 배출 밸브 유닛으로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여, 상기 제1 수용실 내에 보존된 유체 물질을 상기 배출구로부터 외부로 배출하고, 일정 시간 진행 후, 상기 제1 배출 밸브 유닛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봉자석 유닛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외부 세척액을 상기 세척 유닛의 상기 노즐로 도입하여,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에 부착된 자성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2 배출 밸브 유닛으로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여, 상기 자성 불순물을 함유한 세척액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일정 시간 진행 후, 상기 제2 배출 밸브 유닛을 폐쇄하고 외부 세척액의 도입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유체 물질의 자성 불순물을 연속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를 더 제공한다. 상기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는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및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를 포함하고, 각 상기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구조는 상술한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와 동일하다. 상기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는 유체 물질 메인 입구, 유체 물질 메인 출구, 제1 유입 밸브 유닛, 제1 유출 밸브 유닛, 제2 유입 밸브 유닛, 제2 유출 밸브 유닛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유입 밸브 유닛은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유입구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유출 밸브 유닛은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유입 밸브 유닛은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2 유입구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유출 밸브 유닛은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2 유출구에 배치된다. 상기 유체 물질 메인 입구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및 제2 유입구에 연결된다. 상기 유체 물질 메인 출구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및 제2 유출구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 장치는 각 상기 유입 밸브 유닛 및 유출 밸브 유닛과 각각 커플링되고,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가 자성 불순물 분리 작업을 실행할 경우, 상기 제1 유입 밸브 유닛 및 상기 제1 유출 밸브 유닛을 개방하고, 상기 제2 유입 밸브 유닛 및 상기 제2 유출 밸브 유닛을 폐쇄하고,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가 자성 불순물 분리 작업을 실행할 경우, 상기 제2 유입 밸브 유닛 및 상기 제2 유출 밸브 유닛을 개방하고, 상기 제1 유입 밸브 유닛 및 상기 제1 유출 밸브 유닛을 폐쇄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및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를 교대로 작동시켜 연속적인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의 분리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술한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로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의 분리를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유입구 및 제1 유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봉자석 유닛을 상기 제1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자성 불순물을 분리할 유체 물질을 상기 유체 물질 메인 입구로부터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유입구로 도입하여,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수용실로 유입시킨 후, 상기 유출구로부터 배출하고, 이때,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의 표면은 각 상기 봉자석을 통해 상기 유체 물질의 자성 불순물을 흡착하는 단계;
이전 단계가 제1 소정 시간 진행된 후,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유입구 및 제1 유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봉자석 유닛을 상기 제1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자성 불순물을 분리할 유체 물질을 상기 유체 물질 메인 입구로부터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유입구로 도입하여,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2 수용실로 유입시킨 후, 상기 유출구로부터 배출시키고, 이때,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의 표면은 각 상기 봉자석을 통해 상기 유체 물질의 자성 불순물을 흡착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수용실 내에 보존된 유체 물질을 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봉자석 유닛을 상기 제2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외부 세척액을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세척 유닛으로 도입하여,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에 부착된 자성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하고, 이 단계가 제2 소정 시간 진행된 후, 외부 세척액의 도입을 정지시키고, 상기 외부 세척액을 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봉자석 유닛을 상기 제1위치에 다시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유입구 및 제1 유출구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2 수용실 내에 보존된 유체를 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봉자석 유닛을 상기 제2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외부 세척액을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세척 유닛으로 도입하여,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에 부착된 자성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하고, 이 단계가 제2 소정 시간 진행된 후, 외부 세척액의 도입을 정지시키고, 상기 외부 세척액을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봉자석 유닛을 상기 제1위치에 다시 위치시키고,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유입구 및 제1 유출구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반복 작동시키면, 유체 물질의 자성 불순물을 연속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하,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봉자석 유닛은 제1 위치에 위치한다.
도 2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봉자석 유닛은 제2 위치에 위치한다.
도 4는 도 1의 4-4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5-5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가 외부 어셈블리와 결합하여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의 분리를 실행하는 방법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유체 자성 불순물 분리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봉자석 유닛은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봉자석 유닛은 제2 위치에 위치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 부호 100과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100)는 본체 유닛(10), 슬리브 유닛(20), 봉자석 유닛(30), 세척 유닛(40), 구동 유닛(50), 유입 밸브 유닛(60), 유출 밸브 유닛(62), 제1 배출 밸브 유닛(64) 및 제2 배출 밸브 유닛(66)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 유닛(10)은 하우징(12) 및 다리 프레임(14)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원통형 몸체벽(120), 상기 몸체벽(120)에 의해 정의된 제1 수용실(121), 개방 상단(122) 및 폐쇄 하단(123), 유입구(124), 유출구(125) 및 배출구(126)를 구비한다. 상기 다리 프레임(14)은 4개의 다리(140)를 포함하고, 각 상기 다리(140)는 하단(142) 및 상단(144)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하단(142)은 지면에 접하고, 상기 상단(144)은 상기 본체(12)의 개방 상단(122)이 위를 향하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120) 표면에 고정 연결된다.
상기 슬리브 유닛(20)은 커버(22) 및 복수의 비자성 슬리브(24)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22)는 상부 커버면(220) 및 하부 커버면(222)을 구비하고,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24)는 몸체(240) 및 상기 몸체(240) 상단에 위치하는 입구(242)를 각각 구비한다.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24)는 상기 커버(22)의 하부 커버면(222)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각 상기 입구(242)가 상기 커버(22)의 상부 커버면(220)으로 연신되게 한다. 조립 시, 상기 커버(22)는 상기 본체(12)의 개방 상단(122)에 고정 연결되고,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24)가 상기 제1 수용실(121) 내에 수용되게 한다.
상기 봉자석 유닛(30)은 디스크(32), 복수의 봉자석(34) 및 신축관(36)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32)는 상부 디스크면(320) 및 하부 디스크면(322)을 구비한다. 각 상기 봉자석(34)은 간격을 두고 일단(340)을 통해 상기 디스크(32)의 하부 디스크면(322)에 고정 연결된다. 상기 신축관(36)은, 본 실시예에서 다단 접힘식 고무파이프로 제조되고, 신축 가능한 몸체(360), 상기 몸체(360)에 의해 정의된 제2 수용실(362), 상부 고정단(364) 및 하부 고정단(366)을 구비한다. 조립 시, 상기 상부 고정단(364)은 상기 디스크(32)의 하부 디스크면(322)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하부 고정단(366)은 상기 커버(22)의 상부 커버면(220)에 고정 연결된다. 이를 통해, 상기 봉자석 유닛(30)은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말하자면, 상기 신축관(36)이 수축 상태일 경우,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봉자석 유닛(30)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이 때, 각 상기 봉자석(34)은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24)의 입구(242)로부터 상기 몸체(240) 안으로 각각 들어간다. 상기 신축관(36)이 신전 상태일 경우,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봉자석 유닛(30)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이때, 각 상기 봉자석(34)은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24)을 이탈하여, 상기 제2 수용실(362)에 수용된다.
상기 세척 유닛(40)은 본 실시예에서 3개의 노즐(42, 44 및 46)을 포함한다. 각 상기 노즐(42, 44 및 46)은 등간격 및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12)의 몸체벽(120)의 내벽면에 배치된다. 상기 봉자석 유닛(30)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외부에서 도입된 세척액은 각 상기 노즐(42, 44 및 46)로부터 분사되어,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24)를 세척하여,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24) 표면에 부착된 자성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상기 노즐(42, 44 및 46)에서 상기 하우징(12)의 개방 상단(122)까지의 거리(d1)는 각 상기 노즐에서 상기 본체(12)의 하단(123)까지의 거리(d2)보다 작고, 이를 통해,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24)에 부착된 자성 불순물을 보다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50)은 본 실시예에서 2개의 공압 실린더(52)를 포함하고, 각 상기 공압 실린더(52)는 실린더(520) 및 피스톤(522)을 구비한다. 각 상기 실린더(520)는 상기 하우징(12)의 몸체벽(120) 양측에 대칭적으로 고정 연결된다. 각 상기 피스톤(522)은 개방단을 통해 상기 봉자석 유닛(30)의 디스크(32)의 2개의 대칭되는 측변에 설치된 탭(324)에 고정 연결되고, 이러한 고정 방식은 다양하며, 본 실시예는 나사 연결 방식을 이용한다. 이를 통해, 상기 봉자석 유닛(30)을 상기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유입 밸브 유닛(60)은 상기 유입구(124)와 커플링되고, 상기 유출 밸브 유닛(62)은 상기 유출구(125)와 커플링되어,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의 개폐를 제어한다. 상기 제1 배출 밸브 유닛(64) 및 제2 배출 밸브 유닛(66)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배출구(126)와 각각 커플링되어, 상기 제1 수용실(121) 내에 보존된 유체 물질을 제1 저장조(68)으로 각각 배출하고, 상기 자성 불순물을 포함하는 세척액은 제2 저장조(69)로 배출된다.
이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인 상기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100)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 것이며, 이하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서, 상기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100)로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의 분리를 실행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을 분리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상기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100)로 실행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봉자석 유닛(30)을 상기 제1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유입 밸브 유닛(60) 및 상기 유출 밸브 유닛(62)으로 상기 유입구(124) 및 상기 유출구(125)를 개방하여, 자성 불순물을 분리할 유체를 상기 유입구(124)로부터 상기 본체(12)의 제1 수용실(121)로 도입하고, 상기 유출구(125)로부터 배출하며, 이때, 상기 슬리브 유닛(20)은 상기 봉자석 유닛(30)의 각 상기 봉자석(34)을 통해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24)의 표면에 유체 물질의 자성 불순물을 흡착시키는 단계;
이전 단계가 제1 소정 시간 진행된 후, 상기 유입 밸브 유닛(60) 및 상기 유출 밸브 유닛(62)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1 배출 밸브 유닛(64)으로 상기 배출구(126)을 개방하여, 상기 제1 수용실(121) 내에 보존된 유체 물질을 제1 저장조(68)로 배출하고, 제2 소정 시간 진행 후, 제1 배출 밸브 유닛(64)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봉자석 유닛(30)을 상기 제2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2 배출 밸브 유닛(66)으로 상기 배출구(126)을 개방하고, 펌프 유닛(70)으로 외부 세척액(예를 들면 상기 저장조(68)에 저장된 유체 물질)을 각 상기 노즐(42, 44 및 46)로 각각 도입하여,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24)에 부착된 자성 불순물을 제거하고, 상기 자성 불순물을 포함하는 세척액을 제2 저장조(69)로 배출시키는 단계;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24)에 부착된 자성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가 제3 소정 시간 진행된 후, 상기 펌프 유닛(70) 및 상기 제2 배출 밸브 유닛(66)을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봉자석 유닛(30)을 다시 상기 제1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유입 밸브 유닛(60) 및 상기 유출 밸브 유닛(62)으로 상기 유입구(124) 및 상기 유출구(125)를 개방하여,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을 분리하는 작업을 다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기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100)와 결합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서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을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다. 이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을 결합하여 참고하면, 본 발명의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면 부호 700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1) 및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1, 702)는 구조적으로 모두 상기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100)와 동일하다. 상기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700)는 유체 물질 메인 입구(703), 유체 물질 메인 출구(704) 및 제어 장치(70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유체 물질 메인 입구(703)는 상기 제1 및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1, 702)의 제1 유입구(7010) 및 제2 유입구(7020)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유체 물질 메인 출구(704)는 상기 제1 및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1, 702)의 제1 유출구(7012) 및 제2 유출구(7022)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어 장치(705)는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1)의 제1 유입 밸브 유닛(7013) 및 제1 유출 밸브 유닛(7014)과 각각 커플링되고,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2)의 제2 유입 밸브 유닛(7023) 및 제2 유출 밸브 유닛(7024)과 각각 커플링되어,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1)가 자성 불순물 분리 작업을 진행할 경우,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1)의 제1 유입 밸브 유닛(7013) 및 제1 유출 밸브 유닛(7014)을 개방하고,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2)의 제2 유입 밸브 유닛(7023) 및 제2 유출 밸브 유닛(7024)을 폐쇄한다.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2)가 자성 불순물 분리 작업을 진행할 경우,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2)의 제2 유입 밸브 유닛(7023) 및 제2 유출 밸브 유닛(7024)을 개방하고,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1)의 제1 유입 밸브 유닛(7013) 및 제1 유출 밸브 유닛(7014)을 폐쇄한다.
본 발명의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700)와 대부분의 구조가 동일한 것 외에,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1)의 제1 배출구(7017)의 서로 다른 위치에 제3 배출 밸브 유닛(7018) 및 제4 배출 밸브 유닛(7019)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2)의 제2 배출구(7027)의 서로 다른 위치에 제5 배출 밸브 유닛(7028) 및 제6 배출 밸브 유닛(7209)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어 장치(705)는 상술한 각 상기 밸브 유닛과 각각 커플링되어, 각 상기 밸브 유닛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한다.
여기서 반드시 언급해야 할 점은 상기 각 밸브 유닛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버터플라이 밸브 유닛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1, 702)의 유체 물질의 자성 불순물을 분리하는 방법은 상기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100)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은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상기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700)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어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 들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다른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을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을 분리하는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700)로 실행하며,
상기 제1 유입 밸브 유닛(7013) 및 상기 제1 유출 밸브 유닛(7014)으로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1)의 제1 유입구(7010) 및 제1 유출구(7012)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입 밸브 유닛(7023) 및 상기 제2 유출 밸브 유닛(7024)으로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2)의 제2 유입구(7020) 및 제2 유출구(7022)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1)의 제1 봉자석 유닛(7011)을 상기 제1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유체 물질 메인 입구(703)로부터 자성 불순물을 분리할 유체 물질을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1)의 제1 본체(7015)로 도입하고,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1)의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의 표면에 각 상기 봉자석을 통해 상기 유체 물질의 자성 불순물을 흡착시킨 후, 상기 유체 물질을 상기 유체 물질 메인 출구(704)로부터 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1)가 유체 물질의 자성 불순물을 분리하는 단계가 제1 소정 시간 진행된 후, 상기 제1 유입 밸브 유닛(7013) 및 제1 유출 밸브 유닛(7014)으로 제1 유입구(7010) 및 제1 유출구(7012)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1 배출 밸브 유닛(7018)으로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1)의 제1 배출구(7017)를 개방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배출구(7017)는 상기 제3 배출 밸브 유닛(7018)의 개폐를 통해 제1 저장조(68)와 연통 또는 비연통되므로, 상기 제1 본체(7015) 내에 보존된 유체 물질을 상기 제1 저장조(68)로 배출할 수 있고, 제2 소정 시간 진행 후, 상기 제3 배출 밸브 유닛(7018)으로 상기 제1 배출구(7017)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1)의 제1 봉자석 유닛(7011)을 상기 제2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4 배출 밸브 유닛(7019)으로 상기 제1 배출구(7017)를 개방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배출구(7017)는 상기 제4 배출 밸브 유닛(7019)의 개폐를 통해 상기 제2 저장조(69)와 연통 또는 비연통되는 단계;
상기 펌프 유닛(70)으로 외부 세척액을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1)의 제1 세척 유닛으로 도입하여,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1)의 각 비자성 슬리브에 부착된 자성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하고, 상기 자성 불순물을 함유한 오수가 상기 제1 배출구(7017)를 통해 상기 제2 저장조(69)로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세척 단계가 제3 소정 시간 진행된 후, 외부 세척액의 도입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1 배출구(7017)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입 밸브 유닛(7013) 및 상기 제1 유출 밸브 유닛(7014)으로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1)의 제1 유입구(7010) 및 제1 유출구(7012)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입 밸브 유닛(7023) 및 상기 제2 유출 밸브 유닛(7024)으로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2)의 제2 유입구(7020) 및 제2 유출구(7022)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2)의 제2 봉자석 유닛(7021)을 상기 제1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유체 물질 메인 입구(703)로부터 자성 불순물을 분리할 유체 물질을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2)의 제2 본체(7025)로 도입하고,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2)의 제2 봉자석 유닛(7021)의 각 봉자석이 유체 물질의 자성 불순물을 흡착한 후, 상기 유체 물질을 상기 유체 물질 메인 출구(704)로부터 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2)가 자성 불순물을 분리하는 단계가 제1 소정 시간 진행된 후, 상기 제2 유입 밸브 유닛(7023) 및 제2 유출 밸브 유닛(7024)으로 제2 유입구(7020) 및 제2 유출구(7022)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5 배출 밸브 유닛(7028)으로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2)의 제2 배출구(7027)를 개방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배출구(7027)는 상기 제5 배출 밸브 유닛(7028)의 개방을 통해 제1 저장조(68)와 연통 또는 비연통되므로, 상기 제2 본체(7025) 내에 보존된 유체 물질을 상기 제1 저장조(68)로 배출할 수 있고, 제2 소정 시간 진행 후, 상기 제5 배출 밸브 유닛(7028)으로 상기 제2 배출구(7027)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2)의 제2 봉자석 유닛(7021)을 상기 제2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6 배출 밸브 유닛(7029)으로 상기 제2 배출구(7027)을 개방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배출구(7027)는 상기 제6 배출 밸브 유닛(7029)의 개폐를 통해 상기 제2 저장조(69)와 연통 또는 비연통되는 단계;
상기 펌프 유닛(70)으로 외부 세척액을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2)의 제2 세척 유닛으로 도입하여,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2)의 각 자성 슬리브에 부착된 자성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하고, 상기 자성 불순물을 함유한 세척액을 상기 제2 배출구(7027)를 통해 상기 제2 저장조(69)로 배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세척 단계가 상기 제3 소정 시간 진행된 후, 외부 세척액의 도입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2 배출구(7027)를 폐쇄한 후, 다시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701)로 상술한 자성 불순물 분리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00: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10: 본체 유닛
12: 하우징
120: 몸체벽
121: 제1 수용실
122: 개방 상단
123: 폐쇄 하단
124: 유입구
125: 유출구
126: 배출구
14: 다리 프레임
140: 다리
142: 하단
144: 상단
20: 슬리브 유닛
22: 커버
220: 상부 커버면
222: 하부 커버면
24: 비자성 슬리브
240: 몸체
242: 입구
30: 봉자석 유닛
32: 디스크
320: 상부 디스크면
322: 하부 디스크면
34: 봉자석
340: 일단
342: 탭
36: 신축관
360: 몸체
362: 제2 수용실
364: 상부 고정단
366: 하부 고정단
40: 세척 유닛
42, 44, 46: 노즐
50: 구동 유닛
52: 공압 실린더
520: 실린더
522: 피스톤
60: 유입 밸브 유닛
62: 유출 밸브 유닛
64: 제1 배출 밸브 유닛
66: 제2 배출 밸브 유닛
68: 제1 저장조
69: 제2 저장조
70: 펌프 유닛
700: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
701: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7010: 제1 유입구
7011: 제1 봉자석 유닛
7012: 제1 유출구
7013: 제1 유입 밸브 유닛
7014: 제1 유출 밸브 유닛
7015: 제1 본체
7017: 제1 배출구
7018: 제3 배출 밸브 유닛
7019: 제4 배출 밸브 유닛
702: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7020: 제2 유입구
7021: 제2 봉자석 유닛
7022: 제2 유출구
7023: 제2 유입 밸브 유닛
7024: 제2 유출 밸브 유닛
7025: 제2 본체
7027: 제2 배출구
7028: 제5 배출 밸브 유닛
7029: 제6 배출 밸브 유닛
703: 유체 메인 입구
704: 유체 메인 출구
705: 제어 장치

Claims (15)

  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에 있어서,
    본체 유닛, 슬리브 유닛, 봉자석 유닛, 세척 유닛,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유닛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 수용실, 개방 상단, 폐쇄 하단, 유입구 및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유닛은 커버 및 복수의 비자성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부 커버면 및 하부 커버면을 구비하고,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단에 위치하는 입구를 각각 구비하고,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는 상기 커버의 하부 커버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각 상기 입구가 상기 커버의 상부 커버면으로 연신되게 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개방 상단에 고정 연결되고,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는 상기 수용실 내에 수용되고;
    상기 봉자석 유닛은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과 커플링되고, 상기 봉자석 유닛은 디스크, 복수의 봉자석 및 신축관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는 상부 디스크면 및 하부 디스크면을 구비하고, 각 상기 봉자석은 상기 디스크의 하부 디스크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봉자석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각 상기 봉자석은 상기 각 비자성 슬리브의 상기 몸체에 수용되고, 상기 봉자석 유닛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각 상기 봉자석은 각자 상기 슬리브로부터 밖으로 나오고, 상기 신축관은 신축 가능한 몸체벽, 상기 몸체벽에 의해 정의된 제2 수용실, 상단 및 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은 상기 디스크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하단은 상기 커버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봉자석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신축관은 수축 상태이고, 상기 봉자석 유닛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신축관은 신전 상태이고, 각 상기 봉자석을 수용하고;
    상기 세척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우징면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세척액을 상기 노즐로 도입하여, 각 상기 슬리브를 세척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봉자석 유닛과 각각 커플링되어, 상기 봉자석 유닛을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유닛은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고, 각 상기 노즐은 등간격 및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우징면에 배치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각 상기 노즐에서 상기 본체의 개방 상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노즐에서 상기 본체의 폐쇄 하단까지의 거리보다 작은,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공압 실린더의 실린더는 상기 본체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공압 실린더의 피스톤은 상기 디스크와 고정 연결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관은 다단 접힘식 고무파이프를 포함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 배치된 유입 밸브 유닛 및 상기 유출구에 배치된 유출 밸브 유닛을 더 포함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수용실 내에 수용된 유체 물질 또는 세척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배출 밸브 유닛 및 제2 배출 밸브 유닛을 더 포함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유닛은 다리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리 프레임은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고, 각 상기 다리는 하단 및 상단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하단은 지면에 접하고, 상기 상단은 상기 본체의 개방 상단이 위를 향하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본체에 고정 연결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10. 제1항의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로 실행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을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봉자석 유닛을 상기 제1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자성 불순물을 분리할 유체 물질을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제1 수용실로 도입하고 상기 유출구로부터 배출시켜,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의 표면에 각 상기 봉자석을 통해 상기 유체 물질의 자성 불순물이 흡착되도록 하는 단계;
    이전 단계가 제1 소정 시간 진행된 후,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수용실 내에 보존된 유체 물질을 배출하는 단계;
    상기 구동 유닛으로 상기 봉자석 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외부 세척액을 상기 노즐로 도입하여,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 표면에 부착된 자성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하고, 이 단계가 제2 소정 시간 진행된 후, 외부 세척액의 도입을 정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구동 유닛으로 상기 봉자석 유닛을 구동하여 다시 상기 제1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를 개방하여, 유체 물질을 다시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제1 수용실로 도입하고 상기 유출구로부터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을 분리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하우징에 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가 폐쇄되면, 상기 제1 수용실 내에 보존된 유체 물질을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을 분리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봉자석 유닛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후,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고, 외부 세척액이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에 부착된 자성 불순물을 제거한 후, 다시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여, 자성 불순물을 포함한 세척액을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을 분리하는 방법.
  13.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항에 따른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제1항에 따른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유입구 및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2 유입구와 각각 연결되는 유체 물질 메인 입구;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유출구 및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2 유출구와 각각 연결되는 유체 물질 메인 출구;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유입구에 배치되는 제1 유입 밸브 유닛;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유출구에 배치되는 제1 유출 밸브 유닛;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2 유입구에 배치되는 제2 유입 밸브 유닛;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2 유출구에 배치되는 제2 유출 밸브 유닛; 및
    상기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구동 장치 및 각 상기 밸브 유닛과 각각 커플링되어, 각 상기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가 유체 물질의 자성 불순물 분리 작업을 교대로 실행하도록 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 배출구;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2 배출구;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상기 제1 배출구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치된 제3 배출 밸브 유닛 및 제4 배출 밸브 유닛;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상기 제2 배출구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치된 제5 배출 밸브 유닛 및 제6 배출 밸브 유닛; 및
    각 상기 배출 밸브 유닛과 각각 커플링되는 상기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
  15. 제14항의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로 실행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 밸브 유닛 및 상기 제1 유출 밸브 유닛으로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유입구 및 제1 유출구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입 밸브 유닛 및 상기 제2 유출 밸브 유닛으로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봉자석 유닛을 상기 제1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유체 물질 메인 입구로부터 자성 불순물을 분리할 유체 물질을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본체로 도입하고,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의 표면에 각 상기 봉자석을 통해 상기 유체 물질의 자성 불순물을 흡착시킨 후, 상기 유체 물질을 상기 유체 메인 출구로부터 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가 유체 물질의 자성 불순물을 분리하는 단계가 제1 소정 시간 진행된 후, 상기 제1 유입 밸브 유닛 및 제1 유출 밸브 유닛으로 제1 유입구 및 제1 유출구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3 배출 밸브 유닛으로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배출구를 개방하여, 상기 제1 본체 내에 보존된 유체 물질을 배출하고, 이 단계가 제2 소정 시간 진행된 후, 상기 제3 배출 밸브 유닛으로 상기 제1 배출구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봉자석 유닛을 상기 제2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4 배출 밸브 유닛으로 상기 제1 배출구를 개방하는 단계;
    외부 세척액을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세척 유닛으로 도입하여,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각 비자성 슬리브에 부착된 자성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하고, 상기 자성 불순물을 함유한 오수가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세척 단계가 제3 소정 시간 진행된 후, 외부 세척액의 도입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1 배출구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입 밸브 유닛 및 상기 제1 유출 밸브 유닛으로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1 유입구 및 제1 유출구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입 밸브 유닛 및 상기 제2 유출 밸브 유닛으로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2 봉자석 유닛을 상기 제1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유체 물질 메인 입구로부터 자성 불순물을 분리할 유체 물질을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2 본체 내로 도입하고,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각 상기 비자성 슬리브의 표면에 각 상기 봉자석을 통해 상기 유체 물질의 자성 불순물을 흡착시킨 후, 상기 유체 물질을 상기 유체 메인 출구로부터 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가 자성 불순물을 분리하는 단계가 제1 소정 시간 진행된 후, 상기 제2 유입 밸브 유닛 및 제2 유출 밸브 유닛으로 제2 유입구 및 제2 유출구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5 배출 밸브 유닛으로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2 배출구를 개방하여, 상기 제2 본체 내에 보존된 유체 물질을 배출하고, 상기 제2 소정 시간 진행 후, 상기 제5 배출 밸브 유닛으로 상기 제2 배출구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2 봉자석 유닛을 상기 제2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6 배출 밸브 유닛으로 상기 제2 배출구를 개방하는 단계;
    외부 세척액을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제2 세척 유닛으로 도입하여, 상기 제2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의 각 자성 슬리브의 표면에 부착된 자성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하고, 상기 자성 불순물을 함유한 세척액이 상기 제2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세척 단계가 상기 제3 소정 시간 진행된 후, 외부 세척액의 도입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2 배출구를 폐쇄하고, 다시 상기 제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로 상술한 자성 불순물 분리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 방법.
KR1020220136356A 2021-11-10 2022-10-2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 및 그 방법 KR202300682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10141872A TWI781820B (zh) 2021-11-10 2021-11-10 流體物料磁性雜質分離機、總成及其方法
TW110141872 2021-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297A true KR20230068297A (ko) 2023-05-17

Family

ID=83900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356A KR20230068297A (ko) 2021-11-10 2022-10-21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47141A1 (ko)
EP (1) EP4180130A1 (ko)
JP (1) JP7466608B2 (ko)
KR (1) KR20230068297A (ko)
CN (1) CN116099652A (ko)
TW (1) TWI781820B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1427C2 (nl) 1995-10-16 1997-04-17 Paulus Wolfs Inrichting voor het verwijderen van magnetiseerbare delen.
JP3948802B2 (ja) * 1997-11-27 2007-07-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マグネットフィルタの清掃装置
JP2004016938A (ja) * 2002-06-17 2004-01-22 Shimonishi Seisakusho:Kk 微細鉄粉除去装置
JP2015120095A (ja) * 2013-12-20 2015-07-02 株式会社大阪マグネットロール製作所 微細鉄粉除去装置
CN204602393U (zh) * 2015-04-30 2015-09-02 宁波西磁磁业发展有限公司 一种全自动强磁除铁机
CN207025570U (zh) 2017-09-30 2018-02-23 宁波西磁磁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分离式流体除铁器
EP3815790A1 (en) * 2019-11-01 2021-05-05 Petrogas Gas-Systems B.V.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and transporting objects
TWM625889U (zh) * 2021-11-10 2022-04-21 泰翰實業有限公司 流體物料磁性雜質分離機及其總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19120A (zh) 2023-05-16
TWI781820B (zh) 2022-10-21
JP7466608B2 (ja) 2024-04-12
EP4180130A1 (en) 2023-05-17
CN116099652A (zh) 2023-05-12
JP2023071164A (ja) 2023-05-22
US20230147141A1 (en)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573B1 (ko) 자성 여과 장치
KR20090102974A (ko) 여과집진기 가스 흐름 차단방식 탈진장치 및 방법
KR101961088B1 (ko) 여과 장치
JP2016533895A (ja) 磁気濾過装置
CN218945296U (zh) 流体物料磁性杂质分离机及其总成
KR20230068297A (ko) 유체 물질 자성 불순물 분리기, 어셈블리 및 그 방법
JPH02187106A (ja) 逆洗式フイルタ
KR101576120B1 (ko) 필터링 장치
TWI721854B (zh) 自動控制式鐵磁性雜質分離器總成
KR101748741B1 (ko)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CN111203318A (zh) 除铁装置及具有其的除铁设备
KR101822079B1 (ko) 진공청소기 역펄싱 장치
KR101080607B1 (ko) 생물학적 시료 추출장치
KR102210269B1 (ko) 응축수 드레인용 마그네틱필터 장치
KR101091197B1 (ko) 개방형 초전도 마그네트를 이용한 자기분리 장치
KR100596055B1 (ko) 기체농축기의 흡착베드
JP3991095B2 (ja) 圧縮空気用より発生したドレン水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JPH04156963A (ja) 濾過器
JPH072002Y2 (ja) 比重の異なる液体の分離装置
KR200211825Y1 (ko) 역삼투압식 공기여과장치
KR100614134B1 (ko) 역삼투압식 공기여과장치
TWM582870U (zh) 離心過濾器
KR101748751B1 (ko) 필터 기밀향상 구조를 갖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JP2007075804A (ja) 圧縮空気より発生したドレン水より異物を分離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14308378A (zh) 一种除铁电磁棒及除铁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