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216A - 조립식 그레이팅 및, 이를 포함하는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조립식 그레이팅 및, 이를 포함하는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216A
KR20230068216A KR1020210154335A KR20210154335A KR20230068216A KR 20230068216 A KR20230068216 A KR 20230068216A KR 1020210154335 A KR1020210154335 A KR 1020210154335A KR 20210154335 A KR20210154335 A KR 20210154335A KR 20230068216 A KR20230068216 A KR 20230068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grating
fastening part
side surface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나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연
전나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연, 전나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연
Priority to KR1020210154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8216A/ko
Publication of KR20230068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은 복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체결돌기와 체결홈의 체결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연결되므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곡선 구간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고, 열가소성 수지 등을 사출하거나 압축성형하여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소음이 작고,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내부에 철판이 매립될 수 있으므로 하중 지지력이 커서 차도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필터 역할을 하는 마개가 배수공에 설치되므로 큰 이물질이 배수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그레이팅 및, 이를 포함하는 그레이팅{Grating manufactured by assembling, and grating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립식 그레이팅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체결돌기와 체결홈의 체결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곡선 구간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고, 열가소성 수지 등을 사출하거나 압축성형하여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소음이 작고,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내부에 철판이 매립될 수 있으므로 하중 지지력이 커서 차도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필터 역할을 하는 마개가 배수공에 설치되므로 큰 이물질이 배수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그레이팅에 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러한 그레이팅을 구성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도로, 주거단지, 지하철 등에 설치되는 빗물 집배수로(集排水路)의 덮개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레이팅(1)은 직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갖는 엔드 바(2)와, 엔드 바(2)의 내측에 설치된 복수 개의 베이링 바(3) 및, 크로스 바(4)를 포함한다.
베이링 바(3)는 그레이팅(1)에 인가되는 하중의 대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복수 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베어링 바(3)의 양쪽 단부는 엔드 바(2)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크로스 바(4)는 베어링 바(3)와 수직이 되도록 베어링 바(3)의 상단(그레이팅의 윗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베어링 바(3)와 엔드 바(2)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크로스 바(4)는 베어링 바(3)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그레이팅(1)은 대부분 금속으로 만들어지므로 자동차나 사람이 지나갈 때 소음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레이팅(1)은 엔드 바(2)가 형성하는 직사각형 공간의 내측에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가 설치된 구조이므로, 그 형상 및/또는 넓이를 쉽게 변경시킬 수가 없고, 동일한 넓이와 형상의 그레이팅을 반복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 그레이팅(1)의 형상 및/또는 넓이를 변경시키려면 엔드 바(2)와 베어링 바(3) 및 크로스 바(4)를 새로 제작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아울러, 그레이팅(1)은 크로스 바(4)와 베어링 바(3)가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구멍을 통해서 큰 이물질이 배수로로 유입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복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체결돌기와 체결홈의 체결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연결되므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곡선 구간에서도 시공이 가능한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가소성 수지 등을 사출하거나 압축성형하여 만들어지므로 소음이 작고,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내부에 철판이 삽입될 수 있으므로 하중 지지력이 커서 차도에도 설치될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 역할을 하는 마개가 배수공에 설치되므로 큰 이물질이 배수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은 그레이팅을 이루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성품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본체; 본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체결부(130); 및, 그레이팅 구성품이 서로 밀착되거나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었을 때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의 제1 체결부(130)와 대응되도록 본체에 형성된 제2 체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130)는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의 제2 체결부(140)에 결합되며,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의 본체의 폭방향 측면(112)(113)이 서로 마주보도록 그레이팅 구성품이 결합되어 그레이팅을 이룬다.
상기 본체는 사각형상의 윗면(111)을 갖고, 두 개의 폭방향 측면(112)(113)과 두 개의 길이방향 측면(114)(115)을 가질 수 있다. 본체(111)와 제1,2 체결부(130)(140)는 플라스틱을 사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1 체결부(130)는, 폭방향 측면(112)(113) 중 어느 하나의 폭방향 측면(112)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연장부(131); 및, 연장부(131)의 선단에 형성된 체결홈(133) 또는 체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부(140)는, 폭방향 측면(112)(113) 중 나머지 어느 하나의 폭방향 측면(113)에 형성된 삽입홈(141); 및, 본체의 윗면에서 아래로 형성된 체결돌기(142)(143) 또는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31)는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의 삽입홈(141)에 삽입되고, 제1 체결부(130)의 체결홈(133)에 제2 체결부(140)의 체결돌기(142)(143)가 결합되거나 제1 체결부(130)의 체결돌기가 제2 체결부(140)의 체결홈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체결부(140)에는 복수 개의 체결돌기(142)(143) 또는 체결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체결부(130)의 체결홈(133)에 제2 체결부(140)의 복수 개의 체결돌기(142)(143)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거나 제1 체결부(130)의 체결돌기가 제2 체결부(140)의 복수 개의 체결홈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서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다수 개의 배수공(118)이 윗면(111)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윗면(111)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윗면(111)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다수 개의 지지부(121)(122)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21)(122)는 폭방향과 길이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수공(118)에는 마개(170)가 설치될 수 있다. 마개(170)는 배수공(118)을 복수 개의 작은 구멍(173)으로 구획하여 작은 구멍(173) 보다 큰 이물질이 배수공(118)을 통과하지 않도록 한다.
보강용 철판(150)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서 폭방향 측면(112)(113)에 매립되도록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보강용 철판(150)은 상기 폭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체의 폭방향의 중앙 부분이 위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본체의 윗면(111)은 수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은 상기 그레이팅 구성품이 적어도 두 개 이상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그레이팅 구성품이 서로 밀착되도록 결합되거나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제1,2 체결부(130)(140)는 본체의 폭방향 양쪽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폭방향 양쪽 단부에서 연장부(131)가 삽입홈(141)에 삽입되는 길이가 서로 다르게 되는 것에 의해 그레이팅 구성품이 곡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은 복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체결돌기와 체결홈의 체결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연결되므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은 그레이팅 구성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고, 곡선 구간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은 열가소성 수지 등을 사출하거나 압축성형하여 만들어지므로 소음이 작고,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내부에 철판이 삽입(매립)될 수 있으므로 하중 지지력이 커서 차도에도 설치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은 필터 역할을 하는 마개가 배수공에 설치되므로 큰 이물질이 배수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위와 같은 그레이팅을 이루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정면도.
도 2c는 도 2a의 우측면도.
도 3a는 도 2a의 A-A' 단면도.
도 3b는 도 2a의 B-B' 단면도.
도 4(a)는 그레이팅을 제조하기 위해 그레이팅 구성품을 조립하는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우측면도.
도 5a는 도 4(a)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5b는 도 4(b)의 D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5c는 도 4(a)의 E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6a는 그레이팅 구성품에 사용될 수 있는 철판 조립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b는 도 6a의 정면도.
도 6c는 도 6a의 우측면도.
도 7a는 마개가 배수공에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
도 7b는 마개가 배수공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a는 도 7a의 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b는 도 8a의 저면도.
도 8c는 도 8a의 VIII-VIII'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9b는 도 9a의 정면도.
도 9c는 도 9a의 F-F' 단면도.
도 10(a)는 그레이팅을 제조하기 위해 그레이팅 구성품을 조립하는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b)는 도 10(a)의 측면도.
도 11a는 도 10(a)의 G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11b는 도 10(b)의 H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12는 그레이팅 구성품이 곡선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a는 도 12의 I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13b는 도 12의 J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14는 수평 윗면을 가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 실시예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정면도이며, 도 2c는 도 2a의 측면도이다.
그레이팅 구성품(100)은 그레이팅을 이루는 구성품으로서,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100)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그레이팅을 이룬다. 그레이팅 구성품(100)은 플라스틱, 우레탄, 고무 등을 이용하여 사출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내부에 보강용 철판(150)이나 철판 조립체(도 6a~6b의 150a)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레이팅 구성품(100)이 플라스틱, 우레탄, 고무 등으로 만들어지므로, 그레이팅 구성품(100)이 그레이팅으로 만들어진 후 현장에 시공되었을 때 기존의 금속으로 만들어진 제품에 비해 소음이 작게 발생하거나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은 자동차, 보행자 등이 그레이팅을 지나갈 때 그레이팅과 앵글(또는 콘크리트)의 충돌로 인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은 플라스틱 등의 소재 특성상 금속 그레이팅에 비해 소음이 작게 발생하거나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레이팅 구성품(100)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본체와, 본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체결부(130) 및, 제1 체결부(130)와 결합되도록 본체에 형성된 제2 체결부(140)를 포함한다.
본체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체는 윗면(111)과 두 개의 폭방향 측면(112)(113)과 두 개의 길이방향 측면(114)(115)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폭방향은 도 2a에서 좌우 방향을 의미하고 길이방향은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의 윗면(111)은 폭방향 중앙 부분이 볼록하고 양측 단부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며 폭방향의 양쪽 끝단은 평평한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폭방향 중앙 부분이 볼록한 구조는 하중 지지에 유리하다.
윗면(111)에는 다수 개의 배수공(118)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공(118)은 우수 등을 아래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공(118)에는 마개(도 7a~7b의 17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마개(17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배수공(118)에는 마개(17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118a)가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18a)는 배수공(118)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배수공(118)에 180°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18a)는 마개(170)의 돌기(175)와 체결하여 마개(170)가 위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윗면(111)의 아래에는 다수 개의 지지부(121)(122)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21)(122)는 상부 하중과 휨하중을 지지하고 그레이팅 구성품(100)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부(121)(122)는 폭방향 지지부(122)와 길이방향 지지부(12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지지부(121)(122)는 배수공(118) 사이에서 아래로 연장된다.
폭방향 지지부(122)는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폭방향 지지부(122)와 폭방향 측면(112)(113)의 내부에는 보강용 철판(150)이 포함될 수 있다.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작할 때 보강용 철판(150)을 금형 내부에 설치한 후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폭방향 지지부(122)와 폭방향 측면(112)(113)에는 폭방향을 따라 홈(123)(113a)이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이 홈(123)(113a)에 보강용 철판(150)이 설치될 수 있다. 보강용 철판(150)은 상부 하중과 휨하중을 지지한다. 따라서, 보강용 철판(1500)을 포함하는 그레이팅 구성품(100)은 차도용 그레이팅에 더욱 적합하다.
길이방향 지지부(121)는 폭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길이방향 지지부(121)는 윗면에서 아래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두 개의 폭방향 측면(112)(113) 중 어느 하나(112)에는 제1 체결부(130)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어느 하나(113)에는 삽입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130)는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100)의 삽입홈(141)에 삽입되어 제2 체결부(140)와 결합될 수 있다.
폭방향 측면(112)(113)의 내부에는 보강용 철판(150)이 매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폭방향 측면(112)(113)의 내부에는 홈(113a)이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보강용 철판(150)이 홈(113a)에 설치될 수 있다.
폭방향 측면(112)(113)에는 제1 돌기라인(119)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라인(119)은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폭방향 측면(112)의 제1 돌기라인(119)과 폭방향 측면(113)의 제1 돌기라인(119)은 수평방향으로 약간 이격되어 있다.
제1 돌기라인(119)은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100)을 결합시킬 때 그레이팅 구성품(100)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고 그레이팅 구성품(100)이 폭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a)와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130)가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100)의 제2 체결부(140)에 결합되면 제1 돌기라인(119)의 측면(119a)은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100)의 제1 돌기라인(119)의 측면(119a)에 접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그레이팅 구성품(100)이 측방향(폭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돌기라인(119)의 앞면은 폭방향 측면(112)(113)에 접하게 되어 수평 하중을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100)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므로 큰 수평 하중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길이방향 측면(114)(115)에는 제2 돌기라인(11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라인(116)은 그레이팅 구성품(100)과 앵글(도 4(a)(b)의 1) 사이의 간격을 줄여주므로 차량이나 보행자가 지나갈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여준다. 참고로, 도 4(a)(b)에서 앵글(1)은 'ㄴ'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제1 체결부(130)는 폭방향 측면(112)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 체결부(130)가 폭방향 양쪽 끝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130)는 폭방향 측면(112)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장부(131)와, 연장부(131)의 선단에 형성된 체결홈(133)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31)에는 나사공(13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a)~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레이팅 구성품(100)이 앵글(1)에 설치된 경우, 나사못(135)이 나사공(132)에 설치되어 그레이팅 구성품(100)을 앵글(1)에 고정시킨다.
체결홈(133)은 연장부(131)의 선단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체결홈(133)은 연장부(131)의 선단에서 위로 돌출된 돌기부(134)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부(140)는 그레이팅 구성품(100)이 서로 밀착되거나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었을 때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100)의 제1 체결부(130)와 대응되도록 본체에 형성된다.
제2 체결부(140)는 삽입홈(141)과 체결돌기(142)(143)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141)은 연장부(131)와 대응되는 곳의 폭방향 측면(113)에 형성된다. 삽입홈(141)에는 연장부(131)가 삽입 및 설치된다. 즉, 연장부(131)는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100)의 삽입홈(141)에 삽입된다.
체결돌기(142)(143)는 본체의 윗면(111)에서 아래쪽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제1 체결부(130)의 체결홈(133)과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본체의 폭방향 양쪽 끝단에는 결합홈(144)(145)이 아래를 향해 형성되고 결합홈(144)(145)의 중앙에 체결돌기(142)(143)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142)(143)가 체결홈(133)에 삽입 결합될 때 돌기부(134)가 결합홈(144)(145)에 삽입 결합되는 것에 의해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복수 개의 체결돌기(142)(143)가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100)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체결돌기(142)(143) 중 어느 하나가 제1 체결부(130)의 체결홈(133)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100)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는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결돌기(143)가 체결홈(133)에 결합되고,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100) 사이의 간격이 넓은 경우에는 도 1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결돌기(142)가 체결홈(133)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제1 체결부(130)에 체결홈(133)이 형성되고 제2 체결부(140)에 체결돌기(142)(143)가 형성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제1 체결부(130)에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제2 체결부(140)에 체결홈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본 명세서와 도면을 참조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6a는 그레이팅 구성품에 사용될 수 있는 철판 조립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정면도이며, 도 6c는 도 6a의 측면도이다.
상기 철판 조립체(150a)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사출 성형할 때 금형 내부에 설치된다. 즉, 철판 조립체(150a)를 금형에 설치한 후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보강용 철판(150)은, 철판이 조립된 것이 아니라, 단일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철판 조립체(150a)는 폭방향 철판(151)과 길이방향 철판(152)이 용접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폭방향 철판(151)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폭방향 측면(112)(113)과 폭방향 지지부(122)의 내부에 매립되고, 길이방향 철판(152)은 폭방향 철판(151)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데 윗면(111)의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도 7a는 마개가 배수공에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이고, 도 7b는 마개가 배수공에 설치 완료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a~8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개(170)는 몸체(171)와, 몸체(171)의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176)와, 몸체(171)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175)와, 몸체(171)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다수 개의 작은 구멍(173)으로 구획하는 구획벽(172)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176)는 배수공(118)의 상단에 걸리는 것에 의해 마개(170)가 배수공(118)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돌기(175)는 고정돌기(118a)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돌기(175)는 고정돌기(118a)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마개(17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과 위로 빠지는 것을 함께 방지한다.
구획벽(172)은 몸체(171)의 중앙을 가로 및 세로로 구획하여 작은 구멍(173)을 형성한다. 상기 작은 구멍(173)을 통해 우수와 작은 이물질이 아래로 이동할 수 있지만 작은 구멍(173) 보다 큰 이물질은 아래로 이동할 수 없고 걸리게 된다. 따라서, 마개(170)는 필터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마개(170)를 다양한 색상 및/또는 야광 기능을 갖도록 생산할 수도 있다. 이러한 마개(170)를 배수공(118)에 설치시, 다양한 디자인 형상이나 색상 기능을 연출하도록 마개(170)를 배수공(118) 중에서 선택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주.야간에 안전식별기능과 안내 문자를 연출할 수 있고 도시 미관을 아름답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야간 기능을 가진 마개가 그레이팅에 설치될 때, 여러 마개가 협력하여 그레이팅 상에서 특정한 문자나 디자인을 연출하도록 마개가 배수공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정면도이며, 도 9c는 도 9a의 F-F' 단면도이다. 도 9a~9c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2a~8c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그레이팅 구성품(100a)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본체와, 본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체결부(130) 및, 제1 체결부(130)와 결합되도록 본체에 형성된 제2 체결부(140)를 포함한다.
그레이팅 구성품(100a)은, 제1 실시예의 그레이팅 구성품(100)과 비교하여, 보강용 철판(150)을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르고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다. 따라서, 폭방향 지지부(122)와 폭방향 측면(112)(113)의 홈(123)(113a)에 보강용 철판(150)이 설치되지 않고 빈 상태로 있다. 그레이팅 구성품(100a)은 보강용 철판(150)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인도용 그레이팅 제조에 더욱 적합하다.
도 10(a)는 그레이팅 구성품(100a)을 조립하여 만들어지는 그레이팅(200a)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11a는 도 10(a)의 G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1b는 도 10(b)의 H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a)~11b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2a~9c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0(a)~1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레이팅(200a)은 그레이팅 구성품(100a) 사이의 간격이 그레이팅(200) 보다 넓다. 이것은 체결홈(133)이 두 개의 체결돌기(142)(143) 중 체결돌기(142)와 체결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레이팅 구성품(100a) 사이의 간격이 넓으므로 차도 보다는 수평방향 하중이 작게 작용하는 인도에 더욱 적합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그레이팅 구성품(100a)이 곡선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그레이팅(200b)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3a는 도 12의 I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13b는 도 12의 J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 ~ 13b에서 앵글(1)이 생략되었다. 이 경우, 앵글(1)은 곡선 구간에 적합하도록 곡선으로 형성된 것이다.
그레이팅 구성품(100a)의 곡선 설치는 두 개의 제1 체결부(130) 중 일측의 제1 체결부(130)는 체결돌기(142)와 결합하고 반대측의 제1 체결부(130)는 체결돌기(143)와 결합하도록 하여 그레이팅 구성품 사이의 간격을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1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측의 제1 체결부(130)는 체결돌기(143)와 결합하고 좌측의 제1 체결부(130)는 체결돌기(142)와 결합하면 그레이팅 구성품이 곡선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그레이팅 구성품(100)(100a)의 윗면이 위로 볼록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윗면은 평평할 수도 있다. 도 14는 그레이팅 구성품의 정면을 보여주는 도면인데, 윗면이 평평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이 그레이팅 구성품의 내부에 보강용 철판(150)이 생략될 수도 있다.
100, 100a, 100b : 그레이팅 구성품
130 : 제1 체결부 140 : 제2 체결부
150 : 보강용 철판 150a : 철판 조립체
170 : 마개 200, 200a : 그레이팅

Claims (11)

  1.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본체;
    본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체결부(130); 및,
    그레이팅 구성품이 서로 밀착되거나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었을 때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의 제1 체결부(130)와 대응되도록 본체에 형성된 제2 체결부(140);를 포함하고,
    제1 체결부(130)는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의 제2 체결부(140)에 결합되며,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의 본체의 폭방향 측면(112)(113)이 서로 마주보도록 그레이팅 구성품이 결합되어 그레이팅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구성품.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는 사각형상의 윗면(111)을 갖고, 두 개의 폭방향 측면(112)(113)과 두 개의 길이방향 측면(114)(115)을 가지며, 본체(111)와 제1,2 체결부(130)(140)는 플라스틱, 우레탄, 고무 중 어느 하나를 성형하여 제조되고,
    제1 체결부(130)는,
    폭방향 측면(112)(113) 중 어느 하나의 폭방향 측면(112)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연장부(131); 및,
    연장부(131)의 선단에 형성된 체결홈(133) 또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제2 체결부(140)는,
    폭방향 측면(112)(113) 중 나머지 어느 하나의 폭방향 측면(113)에 형성된 삽입홈(141); 및,
    본체의 윗면에서 아래로 형성된 체결돌기(142)(143) 또는 체결홈;을 포함하며,
    연장부(131)는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의 삽입홈(141)에 삽입되고, 제1 체결부(130)의 체결홈(133)에 제2 체결부(140)의 체결돌기(142)(143)가 결합되거나 제1 체결부(130)의 체결돌기가 제2 체결부(140)의 체결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구성품.
  3. 제2항에 있어서,
    제2 체결부(140)에는 복수 개의 체결돌기(142)(143) 또는 체결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고,
    제1 체결부(130)의 체결홈(133)에 제2 체결부(140)의 복수 개의 체결돌기(142)(143)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거나 제1 체결부(130)의 체결돌기가 제2 체결부(140)의 복수 개의 체결홈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서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구성품.
  4. 제3항에 있어서,
    윗면(111)을 관통하도록 다수 개의 배수공(118)이 형성되고,
    윗면(111)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윗면(111)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다수 개의 지지부(121)(122)가 형성되며, 지지부(121)(122)는 폭방향과 길이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구성품.
  5. 제4항에 있어서,
    배수공(118)에는 마개(170)가 설치되고, 마개(170)는 배수공(118)을 복수 개의 작은 구멍(173)으로 구획하여 작은 구멍(173) 보다 큰 이물질이 배수공(118)을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구성품.
  6. 제3항에 있어서,
    보강용 철판(150)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서 폭방향 측면(112)(113)에 매립되도록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되, 보강용 철판(150)이 상기 폭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구성품.
  7.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폭방향의 중앙 부분이 위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구성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적어도 두 개 이상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그레이팅 구성품이 서로 밀착되도록 결합되거나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9. 제8항에 있어서,
    본체는 사각형상의 윗면을 갖고, 두 개의 폭방향 측면(112)(113)과 두 개의 길이방향 측면(114)(115)을 가지며,
    제1 체결부(112)는,
    폭방향 측면(112)(113) 중 어느 하나의 폭방향 측면(112)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연장부(131); 및,
    연장부(131)의 선단에 형성된 체결홈(133) 또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제2 체결부(140)는,
    폭방향 측면(112)(113) 중 나머지 어느 하나의 폭방향 측면(113)에 형성된 삽입홈(141); 및,
    본체의 윗면에서 아래로 형성된 체결돌기(142)(143) 또는 체결홈;을 포함하며,
    제2 체결부(140)에는 복수 개의 체결돌기(142)(143) 또는 체결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고,
    연장부(131)는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의 삽입홈(141)에 삽입되고, 제1 체결부(130)의 체결홈(133)에 제2 체결부(140)의 복수 개의 체결돌기(142)(143)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거나 제1 체결부(130)의 체결돌기가 제2 체결부(140)의 복수 개의 체결홈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연장부(131)가 삽입홈(141)에 삽입되는 길이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그레이팅 구성품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10. 제9항에 있어서,
    제1,2 체결부(130)(140)는 본체의 폭방향 양쪽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폭방향 양쪽 단부에서 연장부(131)가 삽입홈(141)에 삽입되는 길이가 서로 다르게 되는 것에 의해 그레이팅 구성품이 곡선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11. 제9항에 있어서,
    연장부(131)에는 나사공(132)이 형성되고,
    나사못(135)이 나사공(132)에 설치되어 그레이팅 구성품(100)을 앵글(1)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KR1020210154335A 2021-11-10 2021-11-10 조립식 그레이팅 및, 이를 포함하는 그레이팅 KR202300682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335A KR20230068216A (ko) 2021-11-10 2021-11-10 조립식 그레이팅 및, 이를 포함하는 그레이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335A KR20230068216A (ko) 2021-11-10 2021-11-10 조립식 그레이팅 및, 이를 포함하는 그레이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216A true KR20230068216A (ko) 2023-05-17

Family

ID=8654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335A KR20230068216A (ko) 2021-11-10 2021-11-10 조립식 그레이팅 및, 이를 포함하는 그레이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82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8256B1 (en) Drainage grate assembly
CN101631917B (zh) 覆盖格栅
KR101779959B1 (ko)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582121B1 (ko) 우수저류조
US9169630B2 (en) Cover element
US9745733B2 (en) Drainage channel with a drainage body and a cover
AU2007321752B2 (en) A sideform system
KR20230068216A (ko) 조립식 그레이팅 및, 이를 포함하는 그레이팅
KR102049984B1 (ko) 압축 강도가 강화된 배수용 그레이팅
KR20190042153A (ko) 차도 및 보도를 위한 블럭격자틀
KR100899680B1 (ko) 일체형 구조를 갖는 배수블럭
CN104379837A (zh) 用于固定有轨车辆的轨道的导向板
CN103806358B (zh) 一种排水路缘石组件
KR102237273B1 (ko) 미끄럼방지 조립식 맨홀뚜껑
KR101142617B1 (ko) 지렛대 구조에 의해 분해 가능한 s자형상의 힌지결합구조를 갖는 그레이팅
KR101085213B1 (ko) 복공판
JP2007162350A (ja) 排水導入具及び側溝ブロック
KR102052909B1 (ko) 배수트렌치 및 배수트렌치 세트
KR100837654B1 (ko) 조립식 그레이팅
KR100597032B1 (ko) 안전방지턱 기능이 구비된 도로횡단 측구용 덮개
US5467493A (en) Support plates for bridges and ramps
KR100654643B1 (ko) 복공판
KR101937968B1 (ko) 맞물림블럭을 이용한 옹벽설치구조
KR200401213Y1 (ko) 유지관리용 도로경계석 설치구조
KR200312003Y1 (ko) 그레이팅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