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138A -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138A
KR20230068138A KR1020210154157A KR20210154157A KR20230068138A KR 20230068138 A KR20230068138 A KR 20230068138A KR 1020210154157 A KR1020210154157 A KR 1020210154157A KR 20210154157 A KR20210154157 A KR 20210154157A KR 20230068138 A KR20230068138 A KR 20230068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able adhesive
substrate
protective film
substrate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6819B1 (ko
Inventor
이재식
남기성
최용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델
Priority to KR1020210154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819B1/ko
Publication of KR20230068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84Application of adhesive
    • B32B37/1292Application of adhesive selectively, e.g. in stripes, in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981Pre-treatment of th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07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보호필름이 구비된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제1 기재와 제2 기재를 부착시킨 후 UV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함으로써 UV 경화형 접착제가 누수되지 않으며, 제1 기재와 제2 기재 간에 고르게 분포되어 시인성 저하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정의 최적화가 가능한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은 (a) 제1 및 제2 기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전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제1 기재의 적어도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호필름이 구비된 양면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제1 기재의 가장자리 중 일영역만을 제외하고 보호필름을 제거한 후 제1 기재 상에 제2 기재를 부착하는 단계, (d) 상기 보호필름이 미제거된 영역을 통해 UV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한 후 미제거된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및 (e) 상기 UV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security sheet bonded with UV curing adhesive}
개시된 내용은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범시트는 수지의 황변성이나 유리의 쉽게 깨지기 쉬운 물성 및 높은 비중을 보완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지와 수지, 수지와 유리, 유리와 유리 간에 접착력이 강한 접착층을 삽입하여 만든 시트이다. 이러한 방범시트는 충격흡수력이 매우 우수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외부의 가압에 의해 시트가 파손되더라도 유리 파편이 비산되지 않아 추가적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방범시트는 자동차의 전면 유리, 방범 성능이 요구되는 금융 시설, 고층건물의 외부 유리창, 발코니, 천창, 샤워 부스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유럽, 미국, 그 외 국가들에서는 안전유리에 대한 사용 기준을 높이고 있다. 따라서, 방범시트의 사용이 보다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방범시트는 유리와 유리 사이에 PVB(polyvinyl butyral) 필름 또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필름을 넣고 열 롤프레스(roll-press) 공정으로 유리 간을 밀착시킨 뒤 오토클레이브(autoclave) 내에서 장시간 고온고압의 공정을 거쳐 제조됨으로써 작업성이 비교적 낮고 제작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특허문헌 1, 2에서는 PVB(polyvinyl butyral) 필름 또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필름 대신에 UV 경화형 접착제를 적용하였으나, 기재 간에 UV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 시 UV 경화형 접착제가 누수되고 고르게 분포되지 않아 시인성 저하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5378호(2019.06.2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23180호(2020.10.28)
보호필름이 구비된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제1 기재와 제2 기재를 부착시킨 후 UV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함으로써 제1 기재와 제2 기재 간에 UV 경화형 접착제가 고르게 분포되어 시인성이 향상된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은 (a) 제1 및 제2 기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전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제1 기재의 적어도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호필름이 구비된 양면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제1 기재의 가장자리 중 일영역만을 제외하고 보호필름을 제거한 후 제1 기재 상에 제2 기재를 부착하는 단계, (d) 상기 보호필름이 미제거된 영역을 통해 UV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한 후 미제거된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및 (e) 상기 UV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은 (a) 제1, 2, 3, 4 기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전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제2, 3 기재 각각의 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호필름이 구비된 양면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제2, 3 기재의 가장자리 중 일영역만을 제외하고 보호필름을 제거한 후 제1 내지 4 기재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부착하는 단계, (d) 상기 보호필름이 미제거된 영역을 통해 UV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한 후 미제거된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및 (e) 상기 UV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은 보호필름이 구비된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제1 기재와 제2 기재를 부착시킨 후 UV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함으로써 UV 경화형 접착제가 누수되지 않으며, 제1 기재와 제2 기재 간에 고르게 분포되어 시인성 저하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정의 최적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을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고,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기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전처리한다(S10).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 제조 시 제1 및 제2 기재의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면 접합 후 투명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기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흐르는 물로 수차례 수세하거나 이소 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IPA)과 물이 1:1의 중량비로 배합된 세척액으로 세척한 후 물기는 마른 수건 등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물질이 제거된 제1 및 제2 기재는 계면의 접착력, 내스크래치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및 제2 기재 표면에 플라즈마(plasma) 처리 또는 프라이머 코팅을 하여 전처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라즈마 처리로는 규소를 표면 증착 처리하는 화염플라즈마를 적용할 수 있고, 프라이머 코팅으로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수분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및 무기입자 혼합물을 제1 및 제2 기재에 각각 도포한 후 100~120℃의 온도에서 3~5분동안 건조시켜 코팅할 수 있다. 이러한 전처리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 제1 및 제2 기재와 양면테이프 간의 접착력을 높여 줄 수 있으므로 하기 후술할 UV 경화형 접착제 주입 시 압에 의해 양면테이프가 제1 또는 제2 기재로부터 이탈되어 UV 경화형 접착제가 누수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불량률을 떨어뜨릴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기재는 서로 동일한 성분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서로 상이한 성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제1 기재는 강화유리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기재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기재의 두께를 크게 제한하지는 아니하나 1~20mm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 및 제2 기재의 두께가 1mm 미만이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20mm를 초과하면 필요이상으로 두께가 두꺼워질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편이 쉽게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제1 기재의 적어도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호필름이 구비된 양면테이프를 부착한다(S20).
상기 S10단계에서 전처리된 제1 기재의 적어도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호필름이 구비된 양면테이프를 부착하되, 하기 후술할 단계에서 주입되는 UV 경화형 접착제의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양면테이프가 누락되거나 들뜨는 영역이 없도록 긴밀하게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기재의 가장자리 중 일영역만을 제외하고 보호필름을 제거한 후 제1 기재 상에 제2 기재를 부착한다(S30).
제1 기재의 가장자리 중 UV 경화형 접착제가 주입될 일영역만을 제외하고 보호필름을 제거한 다음 제1 기재 상에 제2 기재를 위치시켜 부착하며, 제1 기재와 제2 기재 간에 UV 경화형 접착제가 주입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보호필름이 미제거된 영역을 통해 UV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한 후 미제거된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기포를 제거한다(S40).
보호필름이 미제거된 영역을 통해 UV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정량주입기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기재 간에 UV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한 후 미제거된 보호필름을 제거하여 제1 및 제2 기재 간을 완전히 긴밀하게 부착하고, UV 경화형 접착제 내에 못빠져 나온 공기 즉, 기포는 버큠(vacuum)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기재를 부착한 후 일부분을 강제로 벌려 UV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하던 종래와는 달리 보호필름이 구비된 양면테이프를 적용함으로써 억지벌림으로 인해 제1 및 제2 기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UV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하는 영역의 확보가 용이하여 한번에 많은 양의 주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UV 경화형 접착제를 제1 및 제2 기재 간에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어 시인성 저하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정이 비교적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UV 경화형 접착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개시제 및 첨가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중합하여 합성한 폴리우레탄과 아크릴 단량체를 중합하여 생성된 것으로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3,000g/mol인 것을 사용하는데, 이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g/mol 미만이면, 이종의 기재를 접합함으로써 유도될 수 있는 경도 향상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중량평균분자량(Mw)이 3,000g/mol을 초과하면, 지나치게 높은 점도에 의해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올리고머는 UV 경화형 접착제 전체중량%에 대해 10~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올리고머가 10중량% 미만이면, 점도가 낮아져 두께 조절이 어렵고, 50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 초기 접착력이 낮은 단점이 있다.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로, 알킬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글리시딜기를 함유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질소성분을 함유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질소성분을 함유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UV 경화형 접착제 전체중량%에 대해 40~80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40중량% 미만이면, 흐름성 저하로 인해 UV 경화형 접착제의 주입이 어렵고, 80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낮아서 전체 두께가 불균일해지고 경화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광개시제는 UV 에너지를 흡수하여 중합반응을 시작하게 하는 물질로, UV 경화형 접착제 전체중량%에 대해 0.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광개시제가 0.1중량% 미만이면, 중합속도가 느릴뿐만 아니라 전환률이 낮고, 5중량%를 초과하면, 반응속도는 빠르지만 저분자량의 올리고머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기재가 서로 상이한 성분으로 형성되는 방범시트의 경우 일반적으로 UV 투과율이 좋지 못하고, 층간 굴절률 차이 또는 기포 발생에 의한 시인성 저하 문제가 많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광개시제로 300nm 미만의 파장을 갖는 활성 에너지선을 흡수하여 라디칼을 생성하는 단파장 광개시제와 300nm 이상의 파장을 갖는 활성 에너지선을 흡수하여 라디칼을 생성하는 장파장 광개시제를 일정비율로 배합하여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단파장 광개시제와 장파장 광개시제를 1~5: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적용함으로써 UV 경화형 접착제의 심부와 표면부가 모두 고르게 경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단파장 광개시제로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및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온(2,2-dimethoxy-1,2-diphenylethanon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및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온(2,2-dimethoxy-1,2-diphenylethanone)을 1: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장파장 광개시제로는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TPO),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및 비스(에타 5-2,4-시클로펜타디엔-1-일)비스[2,6-디플루오로-3-(1H-피롤-1-일)페닐]티타늄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TPO)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TPO)와 비스(에타 5-2,4-시클로펜타디엔-1-일)비스[2,6-디플루오로-3-(1H-피롤-1-일)페닐]티타늄을 1:1~2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파장 광개시제와 장파장 광개시제를 각각 두가지 물질로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 UV 경화형 접착제의 표면부와 심부가 모두 더 효율적으로 경화될 수 있다.
첨가제는 자외선 반응성 유무기 입자, 자외선 흡수제 및 적외선 차단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반응성 유무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UV 경화형 접착제 전체중량%에 대해 0.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첨가제가 0.1중량% 미만이면, 내구성 및 광학적특성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5중량%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인한 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을 수 있다.
자외선 반응성 유무기 입자는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구조식 1]
Figure pat00001
상기 구조식 1에서, 실리카(SiO2)는 망상구조를 나타내고, R은 C2~C20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알킬기, 방향족 구조의 화합물이며, Acryl은 아크릴 화합물이다.
자외선 반응성 유무기 입자는 나노크기로 UV 조사 시, 자외선 반응성 유무기 입자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아크릴계 모노머와 함께 경화되어, 경화된 폴리머 접착층 구조 내에 일정하게 분포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고 수축률과 기포 발생이 낮아질 수 있다. 이에 투명도, 헤이즈와 같은 광학적 특성, 접착강도 및 충격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2-(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티리아졸 및 알콕시벤조페논을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적외선 차단제로는 인듐, 티타늄 및 바나듐을 1: 1~2: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UV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킨다(S50).
상기 S40에서 UV 경화형 접착제가 주입된 제1 및 제2 기재를 UV 조사장치 내에 넣고, UV를 조사함으로써 UV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킬 수 있으며, 경화에 의해 형성된 접착제층의 두께는 1~3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은 제1, 2, 3, 4 기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전처리하는 단계(110), 상기 제2, 3 기재 각각의 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호필름이 구비된 양면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120), 상기 제2, 3 기재의 가장자리 중 일영역만을 제외하고 보호필름을 제거한 후 제1 내지 4 기재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부착하는 단계(130), 상기 보호필름이 미제거된 영역을 통해 UV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한 후 미제거된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140) 및 상기 UV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4 기재를 접합하는 경우, 중간에 위치되는 제2, 3 기재에만 보호필름이 구비된 양면테이프를 부착함으로써 제1, 4 기재에는 이러한 공정을 실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공정의 간소화가 가능하다. 각 단계, UV 경화형 접착제의 성분이나 함량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내지 4 기재는 각각 강화유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4 기재는 각각 강화유리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3 기재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좋지 못한 폴리카보네이트가 중간층인 제2, 3 기재로 사용됨으로써 내충격성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6)

  1. (a) 제1 및 제2 기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전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제1 기재의 적어도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호필름이 구비된 양면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제1 기재의 가장자리 중 일영역만을 제외하고 보호필름을 제거한 후 제1 기재 상에 제2 기재를 부착하는 단계;
    (d) 상기 보호필름이 미제거된 영역을 통해 UV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한 후 미제거된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및
    (e) 상기 UV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제1 및 제2 기재는 서로 상이한 성분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기재는 강화유리이고, 상기 제2 기재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 경화형 접착제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3,000g/mol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50중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40~80중량%, 광개시제 0.1~5중량% 및 첨가제 0.1~5중량%를 포함하는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및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온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파장 광개시제와 상기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및 비스(에타 5-2,4-시클로펜타디엔-1-일)비스[2,6-디플루오로-3-(1H-피롤-1-일)페닐]티타늄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장파장 광개시제가 1~5:1의 중량비로 배합된 것인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자외선 반응성 유무기 입자, 자외선 흡수제 및 적외선 차단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자외선 반응성 유무기 입자는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
    [구조식 1]
    Figure pat00002

    상기 구조식 1에서, 실리카(SiO2)는 망상구조를 나타내고, R은 C2~C20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알킬기, 방향족 구조의 화합물이며, Acryl은 아크릴 화합물이다.
  6. (a) 제1, 2, 3, 4 기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전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제2, 3 기재 각각의 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호필름이 구비된 양면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제2, 3 기재의 가장자리 중 일영역만을 제외하고 보호필름을 제거한후 제1 내지 4 기재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부착하는 단계;
    (d) 상기 보호필름이 미제거된 영역을 통해 UV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한 후 미제거된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및
    (e) 상기 UV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 .
KR1020210154157A 2021-11-10 2021-11-10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 KR102606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157A KR102606819B1 (ko) 2021-11-10 2021-11-10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157A KR102606819B1 (ko) 2021-11-10 2021-11-10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138A true KR20230068138A (ko) 2023-05-17
KR102606819B1 KR102606819B1 (ko) 2023-11-29

Family

ID=8654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157A KR102606819B1 (ko) 2021-11-10 2021-11-10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81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178A (ko) * 1999-06-17 1999-10-05 고영근 건축용물품의벽면부착방법
KR20120012320A (ko) * 2010-07-30 2012-02-09 대흥화학공업주식회사 휘도가 우수한 광확산 도료 조성물
KR101258388B1 (ko) * 2012-07-15 2013-04-30 김일순 방탄패널 제조방법
KR20170071665A (ko) * 2015-12-15 2017-06-26 유명렬 방탄패널 접합방법
KR101995378B1 (ko) 2017-08-07 2019-07-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광경화성 점접착제 조성물
KR20200123180A (ko) 2018-02-20 2020-10-28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열 및 uv 경화 접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178A (ko) * 1999-06-17 1999-10-05 고영근 건축용물품의벽면부착방법
KR20120012320A (ko) * 2010-07-30 2012-02-09 대흥화학공업주식회사 휘도가 우수한 광확산 도료 조성물
KR101258388B1 (ko) * 2012-07-15 2013-04-30 김일순 방탄패널 제조방법
KR20170071665A (ko) * 2015-12-15 2017-06-26 유명렬 방탄패널 접합방법
KR101995378B1 (ko) 2017-08-07 2019-07-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광경화성 점접착제 조성물
KR20200123180A (ko) 2018-02-20 2020-10-28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열 및 uv 경화 접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819B1 (ko)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80492B1 (en) Process for improving impact resistance of coated plastic substrates
KR101628435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101566061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101374374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KR101563764B1 (ko) 굽힘가공 가능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적층체 및 광투과형 전자파 차폐 적층체 및 그들의 제조방법
JP5871788B2 (ja) 表示パネル用透明保護板および表示装置
KR101385042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JP6264214B2 (ja) 熱転写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ハードコート体
US20060286382A1 (en) Articles
KR20050045873A (ko) 광학용 필름
JP2007030307A (ja) 透明性シート
JP2009529436A (ja) 安定化された赤外線吸収剤を含むポリマーフィルム
KR20190017723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이것을 이용한 접합 유리
KR102606819B1 (ko) Uv 경화형 접착제로 접합한 방범시트의 제조방법
JP2011020381A (ja) 耐紫外線プラスチック成形体
KR20130134541A (ko) 내구성 및 자외선 차단능이 우수한 수지접합유리
JP2015030165A (ja) ハードコート被膜付き樹脂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ハードコート被膜付き樹脂基板
KR102569482B1 (ko) Uv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JP2003094573A (ja) 反射防止フィルム
JP2001253019A (ja) 耐擦傷性に優れた高分子樹脂積層体およびその成形物
KR102620650B1 (ko) 시인성이 우수한 탄성 기재 필름, 이를 포함하는 적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4260B1 (ko) Uv 경화형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종 접합시트
KR102401141B1 (ko) 점착 시트,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40013929A (ko) 접착제 재활용이 가능한 uv 경화형 복층시트의 제조방법
KR20120128739A (ko) 반사 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