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061A -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061A
KR20230068061A KR1020210153970A KR20210153970A KR20230068061A KR 20230068061 A KR20230068061 A KR 20230068061A KR 1020210153970 A KR1020210153970 A KR 1020210153970A KR 20210153970 A KR20210153970 A KR 20210153970A KR 20230068061 A KR20230068061 A KR 20230068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mera
target area
parking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일식
박구만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53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8061A/ko
Publication of KR20230068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대상 영역에 진입한 차량을 제 1 카메라를 통해 검출하는 차량 검출부; 상기 검출된 차량의 유동량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하는 주차 감지부; 상기 차량의 주차를 감지한 경우, 제 2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차량 번호판 인식부; 및 상기 대상 영역에서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차량, 상기 차량의 유동량 정보, 상기 차량의 주차 여부 및 주차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맵 상에 시각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VEHICLE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대상 영역에 대한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Parking Enforcement System)은 교통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는 불법 주정차 차량을 근절하기 위하여, 상습적으로 불법 주정차가 이루어지는 지역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상시적으로 단속하고 지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시스템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은 불법 주정차가 이루어지는 지역에 CCTV 카메라를 설치하여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해당 지역에 설치된 CCTV 카메라에만 의존하고 있어, CCTV 카메라로 촬영되지 못하는 경우, 또는 CCTV 카메라로만 인식되지 못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지역에 대한 불법 주정차 단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73837호 (2018. 6. 27.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 카메라인 제 1 카메라 및 원격으로 특정 위치를 고배율로 확대할 수 있는 제 2 카메라를 연동하여 대상 영역에 대한 교통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대상 영역에서 차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차량의 주차 여부 및 불법 주차 차량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대상 영역에 진입한 차량을 제 1 카메라를 통해 검출하는 차량 검출부; 상기 검출된 차량의 유동량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하는 주차 감지부; 상기 차량의 주차를 감지한 경우, 제 2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차량 번호판 인식부; 및 상기 대상 영역에서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차량, 상기 차량의 유동량 정보, 상기 차량의 주차 여부 및 주차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맵 상에 시각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감지 장치를 제공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고정 카메라인 제 1 카메라 및 원격으로 특정 위치를 고배율로 확대할 수 있는 제 2 카메라를 연동하여 대상 영역에 대한 교통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대상 영역에 대한 교통 상황 정보를 맵 상에 시각화 정보로 표시할 수 있는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상 영역에서 검출된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불법 주차 차량을 검출하여 해당 불법 주차 차량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감지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메라의 수직각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메라를 통해 검출된 차량에 대한 제 2 카메라의 위치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영역에 대한 맵 상에 시각화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감지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감지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100)는 제 1 카메라(110) 및 제 2 카메라를 연동하여 대상 영역(10)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대상 영역(10)에 대한 맵 상에 시각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카메라(110)는 고정 카메라이고, 제 2 카메라는 팬틸트줌 카메라(Pan-Tilt-Zoom Camera)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고정 카메라, 제 1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대상 영역(10)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대상 영역(10)에 진입한 차량(11)을 검출한 경우, 팬틸트줌 카메라, 제 2 카메라의 화면을 제어하여 차량(11)의 차량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대상 영역(10)에 대한 차량의 진입 여부, 차량의 유동량 정보, 차량의 주차 여부 및 주차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상 영역(10)에 대한 맵 상에 시각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대상 영역(10)에서 검출된 차량(11)의 차량 번호판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주차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 이벤트는 차량(11)이 고의로 차량 번호판을 막은 문제, 차량 간의 겹침으로 인한 문제 또는 차량 번호판이 촬영되지 않는 위치로 인한 문제 등 다양한 원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대상 영역(10)에서 검출된 차량(11)의 차량 번호판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주차 이벤트를 생성하여 대상 영역(10)에 불법 주차된 차량을 검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감지 장치(100)는 차량 검출부(210), 주차 감지부(220), 차량 번호판 인식부(230), 표시부(240) 및 주차 이벤트 생성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위 구성 요소들(210 내지 250)은 감지 장치(10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일 뿐이다.
도 2의 감지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어, 차량 검출부(210), 주차 감지부(220), 차량 번호판 인식부(230), 표시부(240) 및 주차 이벤트 생성부(250)는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차량 검출부(210)는 대상 영역에 진입한 차량을 제 1 카메라를 통해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감지부(220)는 제 1 카메라를 이용하여 대상 영역에 진입한 차량을 검출하고 추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감지부(220)는 Region Ba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R-CNN), Fast R-CNN, Faster R-CNN 등을 이용하여 제 1 카메라를 통해 차량을 검출할 수 있다. 주차 감지부(220)는 Deep SORT 모델 등을 이용하여 검출된 차량을 추적할 수 있다.
주차 감지부(220)는 검출된 차량의 유동량을 분석하여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감지부(220)는 제 1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유동량을 측정할 수 있고, 대상 영역의 차량 혼잡도를 파악할 수 있다.
주차 감지부(220)는 제 1 카메라를 통해 검출된 차량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정차하는 경우 차량이 위치하는 영역에 주차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감지부(220)는 차량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정차하는 경우, 신호 대기로 인한 정차인지 주차로 인한 정차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 번호판 인식부(230)는 차량의 주차를 감지한 경우, 제 2 카메라를 제어하여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번호판 인식부(230)는 제 1 카메라의 고도, 방위각 및 화각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카메라의 좌표 및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 번호판 인식부(230)는 제 2 카메라의 좌표 및 줌 정도를 제어하여 주차 중인 것으로 판단된 차량의 번호판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번호판 인식부(230)는 제 2 카메라를 제어하여 차량 번호판을 검출 후, 문자 판독 장치(Optical Character Reader, OCR)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의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차량 번호판 인식부(230)는 EAST, TextFuseNet 등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에서 번호 영역을 탐지할 수 있고, CRNN, SRN 등을 이용하여 탐지된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카메라는 고정 카메라이고, 제 2 카메라는 팬틸트줌 카메라일 수 있다. 제 2 카메라는 방향 및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고, 특정 위치를 고배율로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 장치(100)는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를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를 연동하여 대상 영역에 진입한 차량을 검출 및 추적할 수 있고, 차량의 주정차 여부를 파악하여 주차된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감지 장치(100)는 대상 영역에 불법 주차한 차량을 검출할 수 있고, 해당 차량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대상 영역에서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차량, 차량의 유동량 정보, 차량의 주차 여부 및 주차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상 영역에 대한 맵 상에 시각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40)는 대상 영역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맵 상에 시각화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대상 영역의 교통량 흐름 및 불법 주차한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태를 맵 상에 시각화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주차 이벤트 생성부(250)는 제 2 카메라의 제어를 통해 차량의 번호판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주차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이벤트 생성부(250)는 차량이 고의적으로 번호판을 막았거나, 차량 간의 겹침으로 번호판이 가려져 있거나 차량의 번호판이 제 2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주차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생성된 주차 이벤트를 대상 영역에 대한 맵 상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40)는 주차 이벤트를 대상 영역에 대한 맵 상에 반영하여 해당 차량의 불법 주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여기서, 제 1 카메라(310)는 고정 카메라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100)는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제 1 카메라(310)를 통해 검출된 차량(320)의 방위각(
Figure pat00001
), 수직각(
Figure pat00002
) 및 거리(
Figure pat00003
)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도 3 및 수학식 1에서, 제 1 카메라(310)를 통해 검출된 차량(320)의 위치 좌표가
Figure pat00014
이고, 제 1 카메라(310)의 설치 각도가
Figure pat00015
이라고 가정하자.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제 1 카메라(310)의 설치 각도(
Figure pat00016
), 제 1 카메라(310)의 가로 화각에 대한 너비(W), 검출된 차량(320)의 너비(
Figure pat00017
) 및 제 1 카메라(310)의 가로 화각(
Figure pat00018
)에 기초하여 제 1 카메라(310)를 통해 검출된 차량(320)의 방위각(
Figure pat00019
)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제 1 카메라(310)의 설치 각도(
Figure pat00020
, 제 1 카메라(310)의 가로 화각에 대한 깊이(H), 제 1 카메라(310)를 통해 검출된 차량(320)의 깊이(
Figure pat00021
) 및 제 1 카메라(310)의 세로 화각(γ)에 기초하여 제 1 카메라(310)를 통해 검출된 차량(320)의 수직각(
Figure pat00022
)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제 1 카메라(310)의 세로 화각에 대한 높이(h1) 및 산출된 차량(320)의 수직각(
Figure pat00023
에 기초하여 1 카메라(310)를 통해 검출된 차량(320)의 거리(
Figure pat00024
)을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여기서, 제 2 카메라(430)는 팬틸트줌 카메라일 수 있다. 팬틸트줌 카메라는 방향과 확대 또는 축소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카메라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100)는 제 1 카메라, 고정형 카메라의 화면에 기초하여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제 2 카메라(430), 팬틸트줌 카메라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제 1 카메라를 통해 검출된 차량(440)의 크기에 맞도록 제 2 카메라(430)의 줌 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화각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카메라(430)의 줌 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감지 장치(100)는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제 2 카메라(430)의 틸트(410) 및 팬(420)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25
도 4 및 수학식 2를 참조하면, 감지 장치(100)는 제 2 카메라(430) 및 검출된 차량(440) 간의 거리(d2) 및 높이(h2)에 기초하여 틸트값(
Figure pat00026
)을 산출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산출된 틸트값(
Figure pat00027
)에 기초하여 팬값(
Figure pat00028
)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제 2 카메라(430)의 틸트값(
Figure pat00029
)및 팬값(
Figure pat00030
)을 고려하여 제 2 카메라(430)에 대한 줌 배율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메라의 수직각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100)는 제 2 카메라(520)에 기초하여 제 1 카메라(510)의 수직각(
Figure pat00031
)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하기 수학식 3을 이용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도 5 및 수학식 3을 참조하면, 감지 장치(100)는 제 1 카메라(510)를 통해 검출된 차량(530)과 제 2 카메라(520) 간의 거리(d2), 제 1 카메라(510) 및 제 2 카메라(520) 간의 거리(w), 제 1 카메라(510), 제 2 카메라(520) 및 검출된 차량(530) 간의 각도(
Figure pat00034
)에 기초하여 제 1 카메라(510)와 검출된 차량(530) 간의 거리(d1)를 산출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산출된 거리(d1)와 검출된 차량(530)에 대한 제 1 카메라(510)의 높이(h1)에 기초하여 제 1 카메라(510)의 수직각(
Figure pat00035
)을 산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메라를 통해 검출된 차량에 대한 제 2 카메라의 위치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100)는 제 1 카메라(610) 및 제 2 카메라(620)의 화각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카메라(610)를 통해 검출된 차량(630)에 대한 제 2 카메라(62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하기 수학식 4를 이용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8
도 6 및 수학식 4에서, r1은 하기 수학식 5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40
도 6, 수학식 4 및 수학식 5를 참조하면, 감지 장치(100)는 제 1 카메라(610)와 검출된 차량(630) 간의 거리(d1), 제 1 카메라(610)와 제 2 카메라(620) 간의 거리(w), 제 1 카메라(610)와 검출된 차량(630) 간의 각도(r1)에 기초하여 검출된 차량(630)으로부터 제 2 카메라(610)의 거리(d2)를 산출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산출된 제 2 카메라(620)와 검출된 차량(630) 간의 거리(d2), 제 1 카메라(610)와 제 2 카메라(620) 간의 거리(w), 제 1 카메라(610)와 검출된 차량(630) 간의 거리(d1)에 기초하여 제 1 카메라(610) 및 검출된 차량(630)과 제 2 카메라(620) 간의 각도(r2)를 산출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산출된 제 1 카메라(610) 및 검출된 차량(630)과 제 2 카메라(620) 간의 각도(r2)에 기초하여 제 2 카메라(620)와 검출된 차량(630) 간의 각도(a2)를 산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100)는 제 1 카메라를 통해 검출된 차량(730)의 차량 번호판(731)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주차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검출된 차량(730)의 차량 번호판(731)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 2 카메라(710)를 제어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검출된 차량(730)의 차량 번호판(731)이 바로 앞 차량(720)에 가려져 확인되지 않는 경우, 주차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검출된 차량(730)의 차량 번호판(731)이 다양한 원인(예: 도 7에 도시된 실시예 등)으로 확인되지 않는 경우, 주차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검출된 차량(730)의 불법 주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영역에 대한 맵 상에 시각화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100)는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를 연동하여 대상 영역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대상 영역에 대한 교통량 정보 및 차량의 주정차 정보를 맵 상에 시각화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제 1 카메라를 통해 대상 영역을 촬영한 영상에 포함된 차량을 검출할 수 있다(S810).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제 1 카메라를 이용하여 대상 영역에 대한 교통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대상 영역으로 차량의 진입 여부, 차량의 주차 여부 등을 제 1 카메라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대상 영역에서 차량을 검출한 경우(S811), 검출된 차량의 유동량을 분석할 수 있다(S820).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대상 영역으로 진입한 차량을 검출하고 추적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차량의 유동량을 분석하여 차량의 정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정차한 차량이 신호 대기 중인지, 또는 주차 중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830).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정차한 차량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일예로, 정차한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신호 대기 중인지 주차 중인지 여부를 파악하여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차량이 대상 영역(10)에 주차한 경우(S831), 제 2 카메라를 제어하여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다(S840).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정차한 차량이 주차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이 주차한 위치로 제 2 카메라를 고배율로 확대하여 차량의 차량 번호판을 검출하고, 차량 번호판의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한 경우(S841), 대상 영역에 대한 맵 상에 시각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860).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대상 영역에 대한 교통량 정보를 맵 상에 시각화 할 수 있다. 시각화 정보는 대상 영역에 대한 차량 모니터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차량이 대상 영역에 주차하지 않은 경우(S832), 대상 영역에 대한 맵 상에 시각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860).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정차한 차량이 주차 차량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별도로 제 2 카메라의 제어 없이, 제 1 카메라를 통한 대상 영역의 모니터링 정보를 맵 상에 시각화할 수 있다.
한편, 감지 장치(100)는 차량의 번호판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S842), 주차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S850).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정차한 차량이 주차 차량으로 판단되어 제 2 카메라의 제어를 통해 차량의 번호판 인식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한 경우, 주차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생성한 주차 이벤트를 반영하여 대상 영역(10)에 대한 맵 상에 시각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860).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주차 차량의 번호판 인식을 실패한 정보를 맵 상에 시각화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감지 장치(100)는 대상 영역(10)에 불법 주차한 차량을 검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100)는 대상 영역에 대한 교통 정보를 맵 상에 시각화 정보(900)로 표시할 수 있다.
도 9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시각화 정보(900)는 특정 교차로에 대한 교통 정보이다.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제 1 카메라를 통해 파악한 특정 교차로의 교통량 정보(910)를 시각화 정보(900)로 맵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특정 교차로에 대한 교통량 정보(910)를 혼잡한 구역(911), 보통 구역(912) 및 양호한 구역(913)으로 구분하여 시각화 정보(9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특정 교차로에 대한 시각화 정보(900)에서 매우 혼잡한 구역(911)을 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고, 보통 구역(912)을 파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고, 양호한 구역(913)을 녹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특정 교차로에 대한 시각화 정보(900)에서 감지 영역(920)을 분홍색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고, 특정 교차로에서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를 연동하여 검출된 불법 주차 차량(930)을 회색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는 제 2 카메라의 제어를 통해 인식한 불법 주차 차량(930)의 차량 번호판 등 불법 주차 차량(930)에 대한 정보(940)도 함께 시각화 정보(9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감지 장치(100)는 대상 영역, 일예로, 특정 교차로에 대한 교통량 정보를 시각화 정보(900)로 표시하여 대상 영역에 대한 교통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감지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차량을 감지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에서 차량을 감지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1010에서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는 대상 영역에 진입한 차량을 제 1 카메라를 통해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1020에서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는 검출된 차량의 유동량을 분석하여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1030에서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는 차량의 주차를 감지한 경우, 제 2 카메라를 제어하여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다.
단계 S1040에서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는 대상 영역에서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차량, 차량의 유동량 정보, 차량의 주차 여부 및 주차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상 영역에 대한 맵 상에 시각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010 내지 S1040는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된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에서 차량을 감지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된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에서 차량을 감지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감지 장치
210: 차량 검출부
220: 주차 감지부
230: 차량 번호판 인식부
240: 표시부
250: 주차 이벤트 생성부

Claims (5)

  1.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대상 영역에 진입한 차량을 제 1 카메라를 통해 검출하는 차량 검출부;
    상기 검출된 차량의 유동량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하는 주차 감지부;
    상기 차량의 주차를 감지한 경우, 제 2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차량 번호판 인식부; 및
    상기 대상 영역에서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차량, 상기 차량의 유동량 정보, 상기 차량의 주차 여부 및 주차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맵 상에 시각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메라의 제어를 통해 상기 차량의 번호판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주차 이벤트를 생성하는 주차 이벤트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감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생성된 주차 이벤트를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맵 상에 반영하는 것인, 감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감지부는,
    상기 제 1 카메라를 통해 검출된 차량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정차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위치하는 영역에 주차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감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는 고정 카메라이고,
    상기 제 2 카메라는 팬틸트줌 카메라(Pan-Tilt-Zoom Camera)이고,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는 연동되는 것인, 감지 장치.
KR1020210153970A 2021-11-10 2021-11-10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 KR20230068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970A KR20230068061A (ko) 2021-11-10 2021-11-10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970A KR20230068061A (ko) 2021-11-10 2021-11-10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061A true KR20230068061A (ko) 2023-05-17

Family

ID=8654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970A KR20230068061A (ko) 2021-11-10 2021-11-10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80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484A1 (ko) 2022-10-12 2024-04-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누설 전류 감지를 위한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837B1 (ko) 2016-09-29 2018-07-03 나광원 스마트 차량감지장치 및 차량감지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837B1 (ko) 2016-09-29 2018-07-03 나광원 스마트 차량감지장치 및 차량감지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484A1 (ko) 2022-10-12 2024-04-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누설 전류 감지를 위한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3204B1 (en) Driving assisting method and driving assisting device using the same
US201101824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signal sensing using traffic enforcement cameras
WO2017047687A1 (ja) 監視システム
JP7040606B2 (ja) 交通監視装置、交通監視システム、交通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30255B1 (ko) 객체 자동 추적 장치가 구비된 cctv 시스템
JP7063379B2 (ja) 交通監視装置、交通監視システム、交通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62855B1 (ko) 불법 주정차 무인 자동 단속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EP3018902B1 (en) Monitoring camera system
KR101697060B1 (ko) 이벤트 감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20170096437A (ko) 영상처리를 이용한 도로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11363B1 (ko) IoT기반의 카메라 그룹핑을 이용한 터널 내 유고 감시 시스템
KR20230068061A (ko)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
US20200391752A1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N107578595B (zh) 流动体分析装置
CN104917957A (zh) 用于控制摄像机成像的设备及其系统
KR20160069685A (ko) 주차차단기의 번호인식시스템
KR101748552B1 (ko) 도로 감시용 촬영 시스템
KR101719799B1 (ko) 교통정보 감응형 cctv 모니터링 시스템
KR100782205B1 (ko) 영상검지를 이용한 차량속도 표시 장치 및 시스템
KR101917674B1 (ko) 주차 상태 자기 분석 검지 방법을 적용한 지능형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방법
JP6703183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1930429B1 (ko) 표준화된 유고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고 상황 분석 방법
KR102264403B1 (ko) 레이다를 이용한 단속구간 내의 차량 검출과 추적에 의한 차량번호인식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정보시스템
KR102121423B1 (ko)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도로선형인지서버 및 그 인지 방법
KR102153609B1 (ko) Cctv 카메라를 이용한 사고 안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