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063A - 액침용액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관함, 전자기기 보관모듈 및 전자기기의 실링 방법 - Google Patents

액침용액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관함, 전자기기 보관모듈 및 전자기기의 실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063A
KR20230067063A KR1020210152751A KR20210152751A KR20230067063A KR 20230067063 A KR20230067063 A KR 20230067063A KR 1020210152751 A KR1020210152751 A KR 1020210152751A KR 20210152751 A KR20210152751 A KR 20210152751A KR 20230067063 A KR20230067063 A KR 20230067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immersion
sealing
liquid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171B1 (ko
Inventor
김영식
배준호
배현태
김영진
서근수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주식회사 포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주식회사 포투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152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171B1/ko
Publication of KR20230067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18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36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by immer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침용액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침액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수용부; 수용부에 수용되고,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외표면을 침액으로부터 방수되도록 감싸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침지물; 수용부 내에 침액 및 침지물을 수용한 상태로 수용부와 결합됨으로써 침액 및 침지물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액침용액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관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액침용액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관함, 전자기기 보관모듈 및 전자기기의 실링 방법{STRUCTURE INCLUDING IMMERSION FLUID FOR STORING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STORAGE MODULE AND METHOD SEALING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액침용액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운송하는데 있어서 안정성이 확보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매년 약 1만개 가량의 전기차의 폐배터리 등의 처리를 위해 이송 및 보관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에 따른 피해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자기기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러한 전자기기에 의한 화재는 일반적인 화재와는 다르게 배터리의 열폭주 등이 동반되어 규모가 크고 지속성이 뛰어나고 진압이 어렵다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폭발위험 자체를 피하고 전자기기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열폭주를 저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21-0015328 호 (2021. 02.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기기가 보관 또는 운송중에 폭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침액에 침지시켜 보관 및 운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기기가 보관 또는 운송중에 폭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침액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기기가 침액에 액침되는 상태로 유지되기 위해 실링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액침용액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침액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수용부; 수용부에 수용되고,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외표면을 침액으로부터 방수되도록 감싸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침지물; 수용부 내에 침액 및 침지물을 수용한 상태로 수용부와 결합됨으로써 침액 및 침지물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액침용액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관함이 제공된다.
그리고, 수용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커버부의 외측에는 지지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는 전자기기의 표면에 연하여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침액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수용부, 수용부에 수용되고,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외표면을 침액으로부터 방수되도록 감싸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침지물, 수용부 내에 침액 및 침지물을 수용한 상태로 수용부와 결합됨으로써 침액 및 침지물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보관함이 적층된 전자기기 보관모듈에 있어서, 커버부의 상면에 안착되어 적층되도록 하고 수용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를 통해 침액이 유입되는 유입부; 및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를 통해 침액이 유출되는 유출부;를 포함하고, 지지대가 커버부에 안착되어 접촉된 접촉면에는 보관함 간에 수용된 침액이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인접한 수용부에 수용된 침액이 복수 개의 보관함 간에 유동될 수 있는, 전자기기 보관모듈이 제공된다.
침액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수용부; 수용부에 수용되고,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외표면을 침액으로부터 방수되도록 감싸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침지물; 수용부 내에 침액 및 침지물을 수용한 상태로 수용부와 결합됨으로써 침액 및 침지물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하는 커버부; 및 수용부에 액침이 유입 및 유출이 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유입부 및 유출부를 포함하는, 액침용액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관함이 제공된다.
그리고, 수용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유입부는 지지대에 형성되고, 유출부는 수용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입부는 유출부보다 하방에 형성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유출부 및 유입부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는 침액을 유동시키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침액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수용부, 수용부에 수용되고,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외표면을 침액으로부터 방수되도록 감싸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침지물, 수용부 내에 침액 및 침지물을 수용한 상태로 수용부와 결합됨으로써 침액 및 침지물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보관함에서 전자기기를 실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기기가 실링재에 감싸지도록 배치되는 전자기기 배치단계; 실링재와 전자기기 사이에 공기가 제거되는 공기제거 단계; 실링재가 열융착됨으로써 전자기기의 표면에 밀착유지되도록 하는 열융착 단계;를 포함하는, 액침된 전자기기를 실링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그리고, 전자기기 배치단계에서 실링재가 전자기기의 양측방에 위치되고, 공기제거 단계에서 양측방으로부터 가압됨으로써 공기가 제거되며, 열융착 단계에서 전자기기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실링재 간의 열융착으로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 배치단계에서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공간이 마련된 실링재의 내부에 전자기기가 위치되고, 공기제거 단계에서 실링재의 일측에 마련된 흡입홀을 통해 내부공간에 있는 공기가 흡입되어 제거되고, 열융착 단계에서 흡입홀 및 전자기기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열융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기기가 보관 또는 운송중에 폭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침액에 침지시켜 보관 및 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액침용액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관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기기가 보관 또는 운송중에 폭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침액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되는 전자기기 보관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기기가 침액에 액침되는 상태로 유지되기 위해 실링되는 전자기기 실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침용액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관함이 적층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침용액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관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침용액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관함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보관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보관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되는 전자기기의 실링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되는 전자기기가 프레스구동에 의해 실링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되는 전자기기가 프레스구동에 의해 실링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되는 전자기기가 흡입기구동에 의해 공기가 제거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되는 전자기기가 흡입기구동에 의해 실링재가 실링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침용액을 포함하는 전자기기(151) 보관함(100)이 적층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침용액을 포함하는 전자기기(151) 보관함(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액침용액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보관함(100)(이하, 보관함(100))은 침액(14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11)을 마련하는 수용부(110) 수용부(110)에 수용되고, 전자기기(151) 및 전자기기(151)의 외표면을 침액(140)으로부터 방수되도록 감싸는 실링부(152)를 포함하는 침지물(150), 수용부(110) 내에 침액(140) 및 침지물(150)을 수용한 상태로 수용부(110)와 결합됨으로써 침액(140) 및 침지물(150)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하는 커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침액(140)은 침지물(150)을 완전 침지시킬 수 있는 유체이면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한 예로는 물이 될 수 있고, 해수, 담수, 염수, 화학 첨가제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온도나 유량도 한정된 바 없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침지물(150)이 완전침지되는 유량이면 바람직하고, 침지물(150)에 포함된 전자기기(151)를 냉각시키기 용이한 온도로서, 상대적 저온이면 본 발명의 취지에 적절할 수 있다. 이는 전자기기(151)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폭주를 방지하기 위해 침액(140)에 침지되어 보관되는 중에 침액(140)으로부터 지속적인 냉각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전자기기(151)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연료전지와 같은 배터리일 수 있고, 전기적 결함에 의해 폭발이 발생할 수 있는 전자기기(151)일 수 있다.
한편, 수용부(110)로부터 일방(예를 들면, 하방으로)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101)를 더 포함하고, 커버부(120)의 외측에는 지지대(101)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지지대(101)는 수용부(11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공간은 예를 들어 이동시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함과 동시에 보관함(100)이 수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조가 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20)의 상면에는 소정의 깊이만큼 장방형의 안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21)에는 지지대(101)가 안착되고, 지지대(101)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안착면(121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관함(100)은 지지대(101)가 다른 보관함(100)의 안착부(121)에 안착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120)는 수용부(11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분리가능한 결합이나 영구적인 결합 등 선택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152)는 전자기기(151)의 표면에 연하여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전자기기(151)를 실링하고 있는 실링부(152)와 전자기기(151) 사이에 기체없이 면접촉된 상태로 실링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전자기기(151)가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실링되고, 침액(140)으로부터 수용부(110) 내에서 액침되므로 냉각환경에서 보관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침용액을 포함하는 전자기기(151) 보관함(100)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침지물(150)은 전자기기(151)가 공기와의 노출이 없이 실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링된 전자기기(151)는 외측방으로 침액(14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수용부(110)의 하단에 침지물(150)이 안착되는 경우, 침지물(150)의 저면은 침액(140)에 의해 냉각되기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고정구조나 지지구조 등에 의해 도시된 도 3과 같이 침지물(150)은 외측을 향하는 전방향에 침액(140)이 위치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수용부(110)는 플라스틱 계열(PP, PVC, PPA, P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중 층일 수 있음.)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강화플라스틱을 소재로서 채용하여 외부충격으로부터 침지물(150)을 보호하고 침액(140)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측에는 벤팅구가 마련되어 수용부(110)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스를 수용부(110)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물론, 벤팅구는 수용부(110)에 마련될 수도 있고, 커버부(120)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벤팅구는 상기 개방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아라 일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개방되어 유체를 배출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51) 보관모듈(200)(이하, 보관모듈(2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보관모듈(200)은, 침액(14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11)을 마련하는 수용부(110), 수용부(110)에 수용되고, 전자기기(151) 및 전자기기(151)의 외표면을 침액(140)으로부터 방수되도록 감싸는 실링부(152)를 포함하는 침지물(150), 수용부(110) 내에 침액(140) 및 침지물(150)을 수용한 상태로 수용부(110)와 결합됨으로써 침액(140) 및 침지물(150)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하는 커버부(120)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보관함(100)이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120)의 상면에 안착되어 적층되도록 하고 수용부(110)로부터 연장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101),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101)를 통해 침액(140)이 유입되는 유입부(101a) 및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10)를 통해 침액(140)이 유출되는 유출부(101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101)가 커버부(120)에 안착되어 접촉된 접촉면에는 보관함(100) 간에 수용된 침액(140)이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인접한 수용부(110)에 수용된 침액(140)이 복수 개의 보관함(100) 간에 유동될 수 있다. 즉, 수용부(110)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대(101)는 수용부(110)와 별개의 구성으로 수용부(11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대(101)의 내측공간과 수용부(110)의 수용공간(111)이 연통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통구조는 유입부(101a)로 유입되는 침액(140)이 수용부(110) 내에 유출부(101b)로 유출되는 경로인 유션을 형성할 수 있고, 형성되는 상기 유선(F)에 의한 침액(140)순환으로 전자기기(151)를 포함한 침지물(150)은 지속적인 냉각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침액(140)순환을 보다 적극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유출부(101b) 및 유입부(101a)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는 침액(140)을 유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침액(140)순환방향인 유선(F)은 저부에서 상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선(F)의 형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침액(140)이 침지물(150)을 수용하는 수용부(110)를 보다 많이 경유할 수 있도록 자연대류에 의해 저부에 위치하는 낮은 온도의 침액(140)을 상부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51) 보관모듈(2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관모듈(200)의 다른 실시예로서, 침액(14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11)을 마련하는 수용부(110), 수용부(110)에 수용되고 전자기기(151) 및 전자기기(151)의 외표면을 침액(140)으로부터 방수되도록 감싸는 실링부(152)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침지물(150), 수용부(110) 내에 침액(140) 및 침지물(150)을 수용한 상태로 수용부(110)와 결합됨으로써 침액(140) 및 침지물(150)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하는 커버부(120) 및 수용부(110)에 액침이 유입 및 유출이 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유입부(101a) 및 유출부(101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시의 보관모듈(200)은 복수의 보관함(100)이 적층된 모델은 아니고, 하나의 수용부(110) 내에 복수의 침지물(150)이 수용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침액(140)에 침지된 침지물(150)이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이격된 공간으로 침액(140)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지속적인 침액(140)에 대한 노출로 인해 냉각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01a) 및 유출부(101b)가 형성된 위치는 수용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유출부(101b)와 수용부(1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면으로부터 수용부(110)를 지지하는 지지대(101)에 형성된 유입부(101a)일 수 있다. 여기서 유입부(101a)의 경우 본 예시에 따르면 지지대(101)에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출부(101b)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침액(140)의 온도차에 의해 자연대류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저온의 침액(140)이 저부에 위치되므로 낮은 온도의 침액(140)을 통해 침지물(150)의 냉각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예시도 전술한 도 4에 개시한 실시예와 같이 유출부(101b) 및 유입부(101a)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는 침액(140)을 유동시키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침액(140)의 유동을 강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동방향은 유선(F)의 방향에 따른다. 상기 유선(F)의 방향은 온도차에 의한 침액(140)의 냉각수행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되는 전자기기(151)의 실링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액침된 전자기기(151)를 실링하는 방법은 전자기기(151) 배치, 공기제거(S20) 및 열융착(S30)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포함된 침지물(150)은 이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151)가 실링재(152')에 감싸지도록 배치되는 전자기기(151) 배치단계, 실링재(152')와 전자기기(151) 사이에 공기가 제거되는 공기제거(S20) 단계, 실링재(152')가 열융착(S30)됨으로써 전자기기(151)의 표면에 밀착유지되도록 하는 열융착(S30) 단계를 포함하는 액침된 전자기기(151)를 실링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전자기기(151)와 밀착된 상태로 실링재(152')가 배치된 상태로 실링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재(152')는 금속박막재로서 CFF(Cold Form Foil)층을 포함한 다중층 구조일 수 있다. 즉, 겹층구조의 라미네이트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실링재(152')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OPA, 접착층, PVC, PP, PPA, P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중층일 수 있다. 보관함(100)의 경우 배터리를 구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보관목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므로 BMS, 전선 등을 구분하지 않고 실링을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공기제거(S20) 및 열융착(S30) 단계는 도 7 및 도 9에 개시된 이하의 단계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되는 전자기기(151)가 프레스구동(S1)에 의해 실링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되는 전자기기(151)가 프레스구동(S1)에 의해 실링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전자기기(151) 배치단계에서 실링재(152')가 전자기기(151)의 양측방에 위치되고, 공기제거(S20) 단계에서 양측방으로부터 가압됨으로써 공기가 제거되며, 열융착(S30) 단계에서 전자기기(151)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실링재(152') 간의 열융착(S30)으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양측방은 상하방일 수 있고, 하부프레스(P2)와 상부프레스(P1)의 가압방향(P)으로의 가압에 의해 실링재(152')는 전자기기(151)에 접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151)에 접한 실링재(152')는 열융착(S30)을 통해 실링부(152)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열융착(S30)이 되는 실링재(152')는 전자기기(151)의 가장자리에서 실링재(152') 간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되는 전자기기(151)가 흡입기구동(S2)에 의해 공기가 제거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되는 전자기기(151)가 흡입기구동(S2)에 의해 실링재(152')와 전자기기(151) 사이에 공기가 제거되고 열융착(S30)됨으로써 실링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기기(151) 배치단계에서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공간이 마련된 실링재(152')의 내부에 전자기기(151)가 위치되고, 공기제거(S20) 단계에서 실링재(152')의 일측에 마련된 흡입홀(VH)을 통해 내부공간에 있는 공기가 흡입되어 제거되고, 열융착(S30) 단계에서 흡입홀(VH) 및 전자기기(151)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열융착(S30)될 수 있다.
즉, 흡입홀(VH)은 공기제거(S20)를 위해 마련된 것이고, 흡입홀(VH)에 연결된 흡입기에 의해 실링재(152')가 형성한 내부공간의 공기가 제거완료되면 흡입홀(VH)이 형성된 실링재(152')의 일부인 절단부(153)를 열융착(S30)하는 과정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기기(151)는 실링부(152)에 의해 접촉되어 실링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보관함
101 : 지지대
101a : 유입부
101b : 유출부
110 : 수용부
111 : 수용공간
120 : 커버부
121 : 안착부
121a : 안착면
140 : 침액
150 : 침지물
151 : 전자기기
152 : 실링부
152' : 실링재
153 : 절단부
200, 300 : 전자기기 보관모듈
F : 유선
P : 가압방향
P1 : 상부프레스
P2 : 하부프레스
VH : 흡입홀
S1 : 프레스구동
S2 : 흡입기구동
S10 : 전자기기 배치
S20 : 공기제거
S30 : 열융착

Claims (12)

  1. 침액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전자기기 및 상기 전자기기의 외표면을 상기 침액으로부터 방수되도록 감싸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침지물;
    상기 수용부 내에 상기 침액 및 상기 침지물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수용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침액 및 상기 침지물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액침용액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관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외측에는 상기 지지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액침용액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관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표면에 연하여 접하도록 배치되는, 액침용액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관함.
  4. 침액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전자기기 및 상기 전자기기의 외표면을 상기 침액으로부터 방수되도록 감싸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침지물, 상기 수용부 내에 상기 침액 및 상기 침지물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수용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침액 및 상기 침지물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보관함이 적층된 전자기기 보관모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상면에 안착되어 적층되도록 하고 상기 수용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가 상기 커버부에 안착되어 접촉된 접촉면에는 상기 보관함 간에 수용된 상기 침액이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인접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침액이 상기 복수 개의 보관함 간에 유동될 수 있는, 전자기기 보관모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지지대를 통해 상기 침액이 유입되는 유입부;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용부를 통해 상기 침액이 유출되는 유출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관모듈.

  6. 침액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전자기기 및 상기 전자기기의 외표면을 상기 침액으로부터 방수되도록 감싸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침지물;
    상기 수용부 내에 상기 침액 및 상기 침지물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수용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침액 및 상기 침지물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하는 커버부; 및
    상기 수용부에 상기 액침이 유입 및 유출이 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유입부 및 유출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관모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지지대에 형성되고, 상기 유출부는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는, 전자기기 보관모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유출부보다 하방에 형성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이격되는, 전자기기 보관모듈.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 및 상기 유입부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는 상기 침액을 유동시키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관모듈.
  10. 침액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전자기기 및 상기 전자기기의 외표면을 상기 침액으로부터 방수되도록 감싸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침지물, 상기 수용부 내에 상기 침액 및 상기 침지물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수용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침액 및 상기 침지물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보관함에서 상기 전자기기를 실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실링재에 감싸지도록 배치되는 전자기기 배치단계;
    상기 실링재와 상기 전자기기 사이에 공기가 제거되는 공기제거 단계;
    상기 실링재가 열융착됨으로써 전자기기의 표면에 밀착유지되도록 하는 열융착 단계;를 포함하는, 액침된 전자기기를 실링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배치단계에서 상기 실링재가 상기 전자기기의 양측방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제거 단계에서 상기 양측방으로부터 가압됨으로써 공기가 제거되며, 상기 열융착 단계에서 상기 전자기기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기 실링재 간의 열융착으로 접합되는, 액침된 전자기기를 실링하는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배치단계에서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공간이 마련된 상기 실링재의 내부에 상기 전자기기가 위치되고, 상기 공기제거 단계에서 상기 실링재의 일측에 마련된 흡입홀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에 있는 공기가 흡입되어 제거되고, 상기 열융착 단계에서 상기 흡입홀 및 상기 전자기기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열융착되는, 액침된 전자기기를 실링하는 방법.

KR1020210152751A 2021-11-09 2021-11-09 액침된 전자기기의 실링 방법 KR102640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751A KR102640171B1 (ko) 2021-11-09 2021-11-09 액침된 전자기기의 실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751A KR102640171B1 (ko) 2021-11-09 2021-11-09 액침된 전자기기의 실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063A true KR20230067063A (ko) 2023-05-16
KR102640171B1 KR102640171B1 (ko) 2024-02-27

Family

ID=8654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751A KR102640171B1 (ko) 2021-11-09 2021-11-09 액침된 전자기기의 실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1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7268B2 (ja) * 2009-01-09 2013-09-11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収容ラック
JP2020043257A (ja) * 2018-09-12 2020-03-19 キオクシア株式会社 メモリシステム及びストレージシステム
KR20210015328A (ko) 2019-08-01 2021-02-10 이정민 냉매 침지식 배터리 냉각장치
JP2021027020A (ja) * 2019-08-09 2021-02-22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熱交換モジュールおよび熱交換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7268B2 (ja) * 2009-01-09 2013-09-11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収容ラック
JP2020043257A (ja) * 2018-09-12 2020-03-19 キオクシア株式会社 メモリシステム及びストレージシステム
KR20210015328A (ko) 2019-08-01 2021-02-10 이정민 냉매 침지식 배터리 냉각장치
JP2021027020A (ja) * 2019-08-09 2021-02-22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熱交換モジュールおよび熱交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171B1 (ko)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3633A1 (en) Battery cooling method and system
CA3095289C (en) A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
KR101410562B1 (ko) 전해액 주입 장치 및 전해액 주입 방법
US5791150A (en) Pallet based refrigerated transportation system
CN104528166B (zh) 容器和袋的组合
KR100881651B1 (ko) 전해질 밀폐형 플렉시블 배터리 어셈블리 장치 및 방법
KR20120120196A (ko) 개선된 밀봉 특성을 갖는 밀봉장치
US20170159989A1 (en) Cooler with Raised Rack
JP6230575B2 (ja) 凍結保存用バッグ、および凍結保存用バッグに対する生体組織の封入方法
JP2018106796A (ja) 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JP2014107178A (ja) 車両用電池パック
FR2471336A1 (fr) Procede de transport de produits perissables ainsi que conteneur et echangeur de chaleur a cet effet
KR20230067063A (ko) 액침용액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보관함, 전자기기 보관모듈 및 전자기기의 실링 방법
JP2016197572A (ja) 電池パックと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CN1119597C (zh) 运输或贮存产品或货物的方法和叉车可搬运的托架
JP2009023682A (ja) 包装容器
JP7104005B2 (ja) バッテリパック
JP5123110B2 (ja) 保冷ケース
JP2015153689A (ja) 電池パック
CN105140423B (zh) 电池容器、膜包装电池以及它们的制造方法
JP2001171750A (ja) 物品搬送用包装体および光学レンズ
JP2015201418A (ja) 電解液分離収納電池
JP7177791B2 (ja) 組電池および電動装置
JP3914125B2 (ja) 活魚輸送用容器
US9947454B2 (en) Modular insulation fluid hand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