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6882A -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 - Google Patents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66882A KR20230066882A KR1020210152361A KR20210152361A KR20230066882A KR 20230066882 A KR20230066882 A KR 20230066882A KR 1020210152361 A KR1020210152361 A KR 1020210152361A KR 20210152361 A KR20210152361 A KR 20210152361A KR 20230066882 A KR20230066882 A KR 202300668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lothes
- dust removal
- vibrating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group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9/00—Washing machines using vibrations for washing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3/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70—Specific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류가 걸리는 걸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의류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토출부와 함께, 상기 걸이부의 외측 일부에 배치되어 의류의 내측 일부와 직접 접촉된 상태로 진동하는 진동부를 통해 바람에 의한 외력 및 진동에 의한 외력을 통합적으로 인가하여 먼지를 제거함으로써 먼지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일 영역의 먼지 제거 성능을 보강함과 동시에 의류 전체적인 면적에 대한 먼지 제거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류가 걸리는 걸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의류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토출부와 함께, 상기 걸이부의 외측 일부에 배치되어 의류의 내측 일부와 직접 접촉된 상태로 진동하는 진동부를 통해 바람에 의한 외력 및 진동에 의한 외력을 통합적으로 인가하여 먼지를 제거함으로써 먼지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일 영역의 먼지 제거 성능을 보강함과 동시에 의류 전체적인 면적에 대한 먼지 제거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청정기는 의류가 배치되는 처리 공간 내로 수분을 공급하여 상기 수분을 통한 의류 냄새 제거(탈취) 또는 주름 개선 기능을 수행하거나, 건조 공기를 분사하여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처리 공간 내로 건조 공기를 분사하는 의류 청정기의 경우 처리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별도의 순환 유로를 따라 순환시킨 후 다시 처리 공간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되, 이러한 순환 유로 상에 별도의 히트 펌프를 구비해서 공기를 가열한 후 처리 공간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COWAY CO LTD의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21-0071345 호에 개시된 종래의 의류 청정기에 의하면, 의류를 거치하는 에어샷 옷걸이가 구비된 수납실이 형성되고, 에어샷 옷걸이에 거치된 의류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토출구 및 토출구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는 의류의 외측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재순환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샷 옷걸이는 의류의 주변부 내측면과 면접촉하면서 의류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의류 청정기의 먼지 제거 방식에 의할 경우, 의류에 공기라는 외력을 간접적으로 가하여 먼지를 쓸어내게 되므로 먼지 제거 효율에 한계가 있으며, 의류 중 상기 토출구와 대향하는 어깨 부분에 대하여 오히려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공기에 의해 먼지가 의류 측으로 깊숙히 박히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LG ELECTRONICS INC의 국제공개특허공보 제2020-050637 호에 개시된 의류 청정기에 의하면, 처리 공간 내에서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지지바를 구비하고, 지지바에는 고리수용홈이 형성되어 의류가 걸쳐지는 옷걸이의 고리가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옷걸이가 걸린 상태에서 지지바가 왕복 운동하게 되면 의류가 흔들리게 되고, 공기가 함께 순환하면서 의류에 묻은 먼지들이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의류 청정기는 의류를 전체적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과도한 에너지 소모 및 소음이 발생되며, 먼지의 침착이 빈번한 국부적인 영역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외력을 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의류가 걸리는 걸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의류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토출부와 함께, 상기 걸이부의 외측 일부에 배치되어 의류의 내측 일부와 직접 접촉된 상태로 진동하는 진동부를 통해 바람에 의한 외력 및 진동에 의한 외력을 통합적으로 인가하여 먼지를 제거함으로써 먼지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일 영역의 먼지 제거 성능을 보강함과 동시에 의류 전체적인 면적에 대한 먼지 제거 효율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소정 면적을 구비하며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어 유연성을 가지는 유체 포켓 및 상기 유체 포켓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소정 진동수로 진동되어 상기 유체 포켓이 진동하도록 진동력을 전달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진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저소음 진동을 구현함과 동시에 에너지 사용 효율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걸이부가 진동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되도록 내측 방향으로 인입 형성된 인입홈을 구비함으로써 진동부의 평면이동을 제한하여 진동부에 대한 고정력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걸이부가 상기 토출부와 연결되는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연장되며 의류의 어깨부분을 지지하는 한 쌍의 어깨부재를 포함하고, 이때 한 쌍의 어깨부재에 각각 진동부가 배치됨으로써 어깨 및 카라 부분 등 먼지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특수 부분에 대한 먼지 제거 효율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토출부는 의류의 어깨부분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되, 진동부가 상기 어깨 부분의 아래에 배치되어 어깨 부분을 진동시킴으로써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됨에 따라 먼지가 박힐 수 있는 상기 어깨 부분에 대하여 먼지 박힘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의류의 내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1 토출구 및 의류의 외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하는 토출부를 상술한 진동부와 함께 배치시킴으로써 먼지 제거 효과를 보다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제어부가 의류의 종류, 재질, 무게 및 두께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진동부의 진동수를 조절하는 등 의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제어를 도입함으로써 소음 및 에너지 절감 효과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제어부가 진동부를 먼저 진동하도록 제어한 후에 토출부가 공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어깨 부분에 대한 먼지 박힘 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청정기는, 의류가 걸리는 걸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의류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토출부와 함께, 상기 걸이부의 외측 일부에 배치되어 의류의 내측 일부와 직접 접촉된 상태로 진동하는 진동부 및 상기 토출부 및 진동부의 작동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먼지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어깨 영역의 먼지 제거 효과를 확보함과 동시에 의류 전체적인 면적에 대한 먼지 제거 효율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의류가 걸리는 걸이부, 상기 걸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의류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토출부, 상기 걸이부의 외측 일부에 배치되며, 상기 걸이부와 독립적으로 자체 진동하는 진동부, 및 상기 토출부 및 상기 진동부의 작동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떨어트리도록 상기 의류의 내측 일부와 직접 접촉된 상태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소정 면적을 구비하며,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어 유연성을 가지는 유체 포켓, 및 상기 유체 포켓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소정 진동수로 진동되어 상기 유체 포켓이 진동하도록 진동력을 전달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진동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되도록 내측 방향으로 인입 형성된 인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토출부와 연결되는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연장되며 상기 의류의 어깨부분을 지지하는 한 쌍의 어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한 쌍의 어깨부재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의류의 어깨부분 측으로 상기 공기를 분사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어깨부분의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의류의 중앙부분 측으로 상기 공기를 분사하는 제1 토출구와, 상기 의류의 어깨부분 측으로 상기 공기를 분사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의 종류, 재질, 무게 및 두께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진동부의 진동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부가 먼저 진동한 후에 상기 토출부가 상기 공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청정기는, 의류가 배치되는 처리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공기 유동부, 상기 처리 공간에 배치되며, 의류가 걸리는 걸이부, 및 상기 공기 유동부와 연통되며, 상기 걸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의류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토출부, 상기 걸이부의 외측 일부에 배치되며, 상기 걸이부와 독립적으로 자체 진동하는 진동부, 및 상기 토출부 및 상기 진동부의 작동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떨어트리도록 상기 의류의 내측 일부와 직접 접촉된 상태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의류가 걸리는 걸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의류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토출부와 함께, 상기 걸이부의 외측 일부에 배치되어 의류의 내측 일부와 직접 접촉된 상태로 진동하는 진동부를 통해 바람에 의한 외력 및 진동에 의한 외력을 통합적으로 인가하여 먼지를 제거함으로써 먼지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일 영역의 먼지 제거 성능을 보강함과 동시에 의류 전체적인 면적에 대한 먼지 제거 효과를 제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소정 면적을 구비하며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어 유연성을 가지는 유체 포켓 및 상기 유체 포켓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소정 진동수로 진동되어 상기 유체 포켓이 진동하도록 진동력을 전달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진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저소음 진동을 구현함과 동시에 에너지 사용 효율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걸이부가 진동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되도록 내측 방향으로 인입 형성된 인입홈을 구비함으로써 진동부의 평면이동을 제한하여 진동부에 대한 고정력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걸이부가 상기 토출부와 연결되는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연장되며 의류의 어깨부분을 지지하는 한 쌍의 어깨부재를 포함하고, 이때 한 쌍의 어깨부재에 각각 진동부가 배치됨으로써 어깨 및 카라 부분 등 먼지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특수 부분에 대한 먼지 제거 효율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토출부는 의류의 어깨부분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되, 진동부가 상기 어깨 부분의 아래에 배치되어 어깨 부분을 진동시킴으로써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됨에 따라 먼지가 박힐 수 있는 상기 어깨 부분에 대하여 먼지 박힘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의류의 내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1 토출구 및 의류의 외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하는 토출부를 상술한 진동부와 함께 배치시킴으로써 먼지 제거 효과를 보다 제고하는 효과를 제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제어부가 의류의 종류, 재질, 무게 및 두께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진동부의 진동수를 조절하는 등 의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제어를 도입함으로써 소음 및 에너지 절감 효과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은, 제어부가 진동부를 먼저 진동하도록 제어한 후에 토출부가 공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어깨 부분에 대한 먼지 박힘 현상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청정기는, 의류가 걸리는 걸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의류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토출부와 함께, 상기 걸이부의 외측 일부에 배치되어 의류의 내측 일부와 직접 접촉된 상태로 진동하는 진동부 및 상기 토출부 및 진동부의 작동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먼지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어깨 영역의 먼지 제거 효과를 확보함과 동시에 의류 전체적인 면적에 대한 먼지 제거 효율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이 구비된 의류 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의 인입홈에 진동부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의 인입홈에 진동부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류 청정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이 구비된 의류 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10)은 의류 청정기(100)의 하우징부(120) 내부에 배치되어 후술될 걸이부(20)에 거치된 의류(C)에 대하여 직간접적인 외력을 가하여 상기 의류(C)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10)이 장착되는 의류 청정기(100)는 내부에 의류가 배치될 수 있도록 처리공간을 가지는 하우징부(120)와, 상기 하우징부(120)의 내부에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공기 유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유동부(140)는 일례로 송풍팬(fan)과 같은 송풍수단을 구비하여 후술될 토출부(40)를 통해 하우징부(120)의 처리공간 측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부재로서, 이를 통해 의류(C)의 먼지를 떨어트리도록 의류(C)와 인접한 영역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공기 흐름은 의류(C)의 내측 및 외측을 따라 흐르면서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 또는 악취물질을 제거하거나 주름을 개선할 수 있으며, 만일 의류(C)가 걸려있지 않은 경우에는 하우징부(120)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서 처리공간의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청정기(100)는 상기 의류(C)의 먼지를 떨어트리기 위해 상기 공기 유동부(140) 및 토출부(40)를 통해 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것 외에, 특유의 진동부(60)를 구비함으로써 의류(C)를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먼지를 떨어트릴 수도 있는데 이를 중심으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C)가 걸리는 걸이부(20)와, 걸이부(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의류(C)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토출부(40)와, 걸이부(20)의 외측 일부에 배치되며 먼지를 의류(C)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진동하는 진동부(60) 및 이들의 작동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걸이부(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배치되어 후술될 토출부(40)와 연결되는 중심부재(22)와, 중심부재(22)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경사지게 연장되며 의류(C)의 어깨부분을 지지하는 한 쌍의 어깨부재(24)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역 Y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심부재(22)와 어깨부재(24)는 각각 분리 가능한 부재를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일체로 형성된 걸이부(20)의 일 영역을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중심부재(22)는 내측에 공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어깨부재(24)는 의류(C)의 어깨부분 또는 카라부분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으며, 이처럼 의류(C)가 어깨부재(24)와 접촉됨에 따라 후술될 진동부(60)의 진동이 의류(C) 측으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상세하게, 걸이부(20)는 의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넓이가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걸이부(20)의 내측에는 후술될 제1 토출구(42)와 연통되어 의류 측으로 풍력을 제공하기 위한 통로가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통로 역시 걸이부(20)의 형상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넓이가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토출구(42)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의류 내측의 전 영역을 향해서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의류가 전체적으로 흔들릴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류의 어깨 부분과 같이 걸이부(20)와 직접 접하는 부분의 경우 걸이부(20)에 의해 지지되는 바, 제1 토출구(42)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한 풍력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걸이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에 공기가 이동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소정 두께를 필요로 하므로 의류의 어깨 부분은 해당 두께만큼 견고하게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걸이부(20)에 접촉되는 의류의 어깨 부분에 대해서는 후술될 진동부(60)를 통해 진동시켜 보완함으로써 풍력 전달이 용이하지 않은 어깨 부분에 대해서도 먼지가 제거될 수 있도록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10)은 의류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를 가지는 걸이부(20)를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의류의 어깨 부분에 대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관련하여, 진동부(60) 도입에 따른 효과는 후술되는 설명을 통해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걸이부(20)의 형상은 걸이부(20)의 일례에 불과하며, 이 외에도 처리공간 내에서 의류(C)를 효과적으로 지지하도록 의류의 내측과 접촉되는 다양한 형상의 걸이부(20)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10)은 걸이부(20)에 거치된 의류(C)에 대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토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토출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의류 청정기(100)에 설치된 공기 유동부(140)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최종적으로 토출시키는 토출 부재로서, 구체적인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C)의 중앙부분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1 토출구(42)와, 상기 제1 토출구(4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의류(C)의 어깨부분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제2 토출구(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토출구(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20)의 중심부재(22)와 연결되어 걸이부(20)의 내측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의류(C)의 내측을 향해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으며, 제2 토출구(44)는 공기가 의류(C)의 외측 표면을 따라 흐르도록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10)의 토출부(40)는 의류의 내측 및 외측에 대하여 모두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의류(C)에 부착된 먼지가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되도록 입체적으로 풍력을 인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부(40)가 제1 토출구(42)와 제2 토출구(44)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와 달리 제1 토출구(42) 및 제2 토출구(44)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제1 토출구(42)와 제2 토출구(44)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의 인입홈에 진동부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걸이부(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자체적으로 진동하는 진동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진동부(60)는 의류(C)가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 가능하도록 걸이부(20)의 외측 일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부(60a,60b)는 걸이부(20)의 양 어깨부재(24a, 24b)에 설치되어 의류(C)의 내측면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부(60)는 걸이부(20)와 독립적으로 자체 진동할 수 있으며, 이때 형성된 진동력은 진동부(60)와 접촉하는 의류(C) 측으로 직접 전달되어 의류(C)의 일부분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이때, 진동부(60)가 걸이부(20)와 독립적으로 자체 진동한다는 것의 의미는 진동부(60)가 걸이부의 상태에 구애받지 않고 능동적으로 진동한다는 것을 의미하되, 진동부(60)의 자체 진동으로 인하여 걸이부(20)가 미세하게 떨리는 정도의 상호작용까지 배제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10)과 같이 진동부(60)를 포함할 경우, 의류(C)는 진동부(60)에 의해 이동되는 반면, 의류에 부착 또는 침착된 먼지는 관성력에 따라 정지 상태를 유지하려고 함에 따라 상기 먼지는 의류로부터 외측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 전술한 토출부(40)의 공기 토출에 의한 먼지 제거 방식 대비 의류(C) 측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진동부(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면적을 구비하는 유체 포켓(62)과, 상기 유체 포켓(62)이 진동하도록 진동력을 전달하는 초음파 진동자(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체 포켓(62)은 일례로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 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물(H20)과 같은 액체가 충진되도록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이처럼 유체 포켓(62)은 유연성 및 방수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가진 수단에 의해 내부 액체가 일시적으로 이동되더라도 형상이 변형될 수 있어 진동력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으면서도 액체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유체 포켓(62)은 초음파 진동자(64)와 같은 가진 수단과 비교하여 넓은 면적을 가지되, 내부에 진동력을 손실없이 전달하기 유리한 액체를 수용함으로써 진동력이 미치는 영역을 폭 넓게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유체 포켓(62)을 가진하는 가진 수단은 일례로 소정 진동수로 진동되는 초음파 진동자(64) 일 수 있다. 여기서, 초음파 진동자(64)는 예를 들어 니켈진동자, 페라이트 진동자, 압전세라믹 진동자, BLT 진동자 또는 수정 진동자 등 공지의 다양한 초음파 진동자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초음파 진동자(64)는 후술될 제어부에 의해 구동 진동수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제어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자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이처럼 진동부(60)를 구성하는 가진 수단이 초음파 진동자(64)로 이루어질 경우, 저소음의 진동 구현이 가능하며, 어깨부분과 같이 국부적인 영역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진동력을 인가하기에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가진 수단의 예가 상술한 초음파 진동자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모터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가진 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진동부(60)는 걸이부(20)에 형성된 인입홈(26)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걸이부(20)의 인입홈(2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20)의 내측 방향으로 인입 형성되는 일 영역으로서, 진동부(60)의 효과적인 삽입 및 고정을 위하여 진동부(60)의 전체적인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인입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진동부(60)는 인입홈(26)에 의해 평면 방향 이동이 효과적으로 제한됨으로써 고주파 진동에도 불구하고 걸이부(20)에 대하여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입홈(26)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20)의 어깨부재(24)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것은 의류의 어깨부분과 같이 토출부(40)의 공기 분사에 의한 먼지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먼지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의류의 어깨부분의 경우, 그 상측에 배치된 제2 토출구(44)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제2 토출구(44)로부터 공기가 분사될 경우, 오히려 상기 공기에 의해 먼지가 박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10)의 진동부(60)는 이러한 문제 영역에 대하여 진동력을 인가하여 먼지를 떨어트림으로써 토출부(40)의 먼지 제거 효과를 국부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10)은 공기 분사 방식에 의한 토출부(40)와 진동력 전달 방식에 의한 진동부(60)가 서로 협응하여 작동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먼지 제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10)은 상술한 토출부(40) 및 진동부(60)의 작동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의류 청정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수신하여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토출부(40) 및 진동부(60) 측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먼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스스로 사용환경을 판단한 후 이에 기반한 제어 신호를 토출부(40) 및 진동부(60) 측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된 일례로서, 제어부는 의류(C)의 종류, 재질, 무게 및 두께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진동부(60)의 구동 진동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 또는 다양한 감지 센서에 의한 자체 센싱을 통해 의류 정보를 도출하여 해당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떨어트리기에 적합한 진동수로 진동부(60)가 진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제어에 의할 경우, 실크 소재와 같이 비교적 먼지 제거가 용이한 소재로 형성된 의류에 대해서는 최소한의 진동수를 인가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 및 저소음 진동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다.
효과적인 먼지 제거를 위한 제어 방법의 다른 예로서, 제어부는 진동부(60)와 토출부(40)의 작동을 제어함에 있어서, 진동부(60)가 먼저 진동한 후에 토출부(40)가 공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것은 만약 토출부(40)가 먼저 작동할 경우 의류의 어깨부분에 부착된 먼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의류 상에 더 깊이 박히게 될 수 있으며, 진동부(60)는 이처럼 깊숙히 박힌 먼지를 의류(C)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므로 먼지 제거 효율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진동부(60)를 먼저 가동시킬 경우, 적어도 어깨부분에 대해서는 먼지를 적절하게 제거한 후에 공기를 토출시키게 되어 어깨부분에 침착되는 먼지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모듈(10)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100)는 공기 토출 방식에 의한 토출부(40) 외에 의류에 직접적인 진동력을 전달하여 먼지를 떨어트리는 진동부(60)를 함께 구비하여 이들이 협응하여 작동함으로써 어깨부분 및 카라부분과 같이 구조 상 먼지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영역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먼지 제거 모듈
20: 걸이부
22: 중심부재
24: 어깨부재
26: 인입홈
40: 토출부
42: 제1 토출구
44: 제2 토출구
60: 진동부
62: 유체 포켓
64: 초음파 진동자
100: 의류 청정기
120: 하우징부
140: 공기 유동부
20: 걸이부
22: 중심부재
24: 어깨부재
26: 인입홈
40: 토출부
42: 제1 토출구
44: 제2 토출구
60: 진동부
62: 유체 포켓
64: 초음파 진동자
100: 의류 청정기
120: 하우징부
140: 공기 유동부
Claims (9)
- 의류가 걸리는 걸이부;
상기 걸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의류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토출부;
상기 걸이부의 외측 일부에 배치되며, 상기 걸이부와 독립적으로 자체 진동하는 진동부; 및
상기 토출부 및 상기 진동부의 작동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떨어트리도록 상기 의류의 내측 일부와 직접 접촉된 상태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소정 면적을 구비하며,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어 유연성을 가지는 유체 포켓; 및
상기 유체 포켓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소정 진동수로 진동되어 상기 유체 포켓이 진동하도록 진동력을 전달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진동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되도록 내측 방향으로 인입 형성된 인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토출부와 연결되는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연장되며 상기 의류의 어깨부분을 지지하는 한 쌍의 어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한 쌍의 어깨부재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의류의 어깨부분 측으로 상기 공기를 분사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어깨부분의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의류의 중앙부분 측으로 상기 공기를 분사하는 제1 토출구와, 상기 의류의 어깨부분 측으로 상기 공기를 분사하는 제2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의 종류, 재질, 무게 및 두께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진동부의 진동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부가 먼저 진동한 후에 상기 토출부가 상기 공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제거 모듈. - 의류가 배치되는 처리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공기 유동부;
상기 처리 공간에 배치되며, 의류가 걸리는 걸이부;
상기 공기 유동부와 연통되며, 상기 걸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의류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토출부;
상기 걸이부의 외측 일부에 배치되며, 상기 걸이부와 독립적으로 자체 진동하는 진동부; 및
상기 토출부 및 상기 진동부의 작동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떨어트리도록 상기 의류의 내측 일부와 직접 접촉된 상태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청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2361A KR20230066882A (ko) | 2021-11-08 | 2021-11-08 |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2361A KR20230066882A (ko) | 2021-11-08 | 2021-11-08 |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6882A true KR20230066882A (ko) | 2023-05-16 |
Family
ID=86546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52361A KR20230066882A (ko) | 2021-11-08 | 2021-11-08 |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66882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0637A (ko) | 2018-11-02 | 2020-05-12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기체방지투과층을 포함하는 알칼라인 수전해 셀 및 그 제조방법 |
KR20210071345A (ko) | 2019-12-06 | 2021-06-16 |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풍하중에 대한 강성이 우수한 방음판 |
-
2021
- 2021-11-08 KR KR1020210152361A patent/KR20230066882A/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0637A (ko) | 2018-11-02 | 2020-05-12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기체방지투과층을 포함하는 알칼라인 수전해 셀 및 그 제조방법 |
KR20210071345A (ko) | 2019-12-06 | 2021-06-16 |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풍하중에 대한 강성이 우수한 방음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478969B1 (en) | Home appliance | |
KR0139307Y1 (ko) | 오존 발생장치를 가진 세탁기 | |
JP5918429B1 (ja) | 加湿方法及び加湿装置 | |
EP0754097B1 (en) | Immersible vibrating unit for cleaning objects | |
KR20150087760A (ko) | 세탁기 | |
JP2011130944A (ja) | 手乾燥装置 | |
JP2018175049A (ja) | 洗濯機 | |
KR20230066882A (ko) |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 | |
JP2017196270A (ja) | 洗濯機 | |
JP6098696B1 (ja) | 衣類メンテナンス装置 | |
JP2014054404A (ja) | 洗濯機 | |
KR102578442B1 (ko) | 스팀발생장치 및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 |
KR102176208B1 (ko) | 옷걸이 | |
JP2000060763A (ja) | 手洗浄乾燥装置 | |
KR102401943B1 (ko) | 스마트폰 소독기 | |
KR102567897B1 (ko) | 걸이형 의류 관리기 | |
US3472493A (en) | Denture cleaning agitator | |
EP3323331A1 (en) | Hand dryer device | |
CN102282377A (zh) | 气流喷出装置及使用该气流喷出装置的手干燥装置 | |
JP2016129535A (ja) | 布材処理装置 | |
KR102621887B1 (ko) |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 | |
KR102376759B1 (ko) | 스팀을 이용하는 걸이형 의류관리기 | |
KR102580839B1 (ko) | 걸이형 의류 관리기 | |
KR200167863Y1 (ko) | 세정 장치 | |
WO2024207934A1 (zh) |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