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208B1 - 옷걸이 - Google Patents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208B1
KR102176208B1 KR1020190079499A KR20190079499A KR102176208B1 KR 102176208 B1 KR102176208 B1 KR 102176208B1 KR 1020190079499 A KR1020190079499 A KR 1020190079499A KR 20190079499 A KR20190079499 A KR 20190079499A KR 102176208 B1 KR102176208 B1 KR 102176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support
power
body part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대
Original Assignee
(주)토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보텍 filed Critical (주)토보텍
Priority to KR1020190079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1442Handling hangers, e.g. stacking,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4Slidable hangers ; Adjustable 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20Vibration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에 의류가 위치되어 있도록, 위치 이동되지 않는 고정 물체와 연결된 채로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옷걸이에 있어서,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고정 물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소정 물체에 연결되며,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의류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가 흔들릴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옷걸이 {HANGER}
본 발명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에 의류가 위치되어 있도록, 위치 이동되지 않는 고정 물체와 연결된 채로 의류를 지지하는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의류 처리 장치는 보관 공간 내에 수납되는 의류에 스팀과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스팀을 분사하는 이유는 미세한 물 입자가 섬유조직 깊숙한 곳에 존재하는 냄새 입자와 결합되게 되고, 냄새 입자와 결합된 물 입자는 건조 과정에서 의류와 분리되어 배출되어, 의류의 냄새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보관 공간에 수납된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면, 의류에 잔류하는 구김 등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스팀은 의류에 부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해 주지는 못하였으며, 오히려 수분 흡착으로 인해 이물질이 의류의 섬유에 고착화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관 공간에 보관된 의류를 흔들어서 먼지를 털어내는 의류 처리 장치(제10-1859958호, 2018.05.15, 등록)가 개발되었다. 해당 의류 처리 장치는 옷걸이가 걸리게 되는 옷걸이봉이 위치 이동되면서 옷걸이와 의류 전체를 흔드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옷걸이봉 전체를 흔들게 되면, 항상 모든 의류를 흔들기 때문에 필요치 않은 의류(일례로, 이미 관리된 의류)도 항상 흔들리기 때문에 전력 소비가 많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옷걸이 자체에서 진동을 하여 의류의 먼지를 떨어낼 수 있는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에 의류가 위치되어 있도록, 위치 이동되지 않는 고정 물체와 연결된 채로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옷걸이에 있어서,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고정 물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소정 물체에 연결되며,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의류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가 흔들릴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본체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의류가 좌우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분리 가능하게 상기 고정체에 연결될 수 있는 걸이 본체부 및 상기 걸이 본체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걸이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지지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의류가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걸이 본체부에 고정된 상태로 전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지지 본체부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지지 본체부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걸이 본체부에 고정되며, 전력이 인가되는 동력본체부 및 상기 동력본체부에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동력본체부에 의해 회전되는 외력인가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지지 본체부로와 연결되어 상기 외력인가부와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지지 매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지지 본체부가 상승되도록, 제1 회전 각도 범위에서 상기 지지 매개부와 접촉되고, 중력에 의해 상기 지지 본체부가 하강되도록, 제2 회전 각도 범위에서 상기 지지 매개부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본체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의류가 전후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본체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의류가 가상의 수평 면인 기준면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면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본체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의류가 상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분리 가능하게 상기 고정체에 연결될 수 있는 걸이 본체부 및 상기 걸이 본체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걸이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지지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의류가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걸이 본체부에 고정된 상태로 전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지지 본체부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지지 본체부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걸이 본체부에 고정되며, 전력이 인가되는 동력본체부 및 상기 동력본체부에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동력본체부에 의해 회전되는 외력인가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지지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외력인가부와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지지 매개부 및 상기 지지 본체부와 상기 걸이 본체부에 연결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지지 본체부가 하강되도록, 제1 회전 각도 범위에서 상기 지지 매개부와 접촉되고,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 본체부가 상승되도록, 제2 회전 각도 범위에서 상기 지지 매개부와 비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고정 물체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 물체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에 의하면 의류의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옷걸이 봉에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가 의류 처리 장치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가 옷걸이봉에 결합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진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진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전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전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전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진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가 의류 처리 장치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는 의류(Q10)가 지지된 채로 의류 처리 장치(1)의 옷걸이봉(20)에 결합되게 되어, 상기 의류(Q10)가 상기 의류 처리 장치(1)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옷걸이(10)가 상기 옷걸이봉(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옷걸이가 위치 이동되어 의류를 흔들 수 있다.
상기 의류(Q10)가 흔들어지는 것에 따라, 상기 의류(Q10)에 부착된 먼지가 상기 의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옷걸이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10)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에 의류가 위치되어 있도록, 위치 이동되지 않는 고정 물체와 연결된 채로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옷걸이에 있어서,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고정 물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소정 물체에 연결되며,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에 의해 지지된 상기 의류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100)가 흔들릴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외력을 인가하는 동력제공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분리 가능하게 상기 고정체에 연결될 수 있는 걸이 본체부(110) 및 상기 걸이 본체부(11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걸이 본체부(110)와 연결되며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지지 본체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지지 본체부(120)로와 연결되어 상기 외력인가부(221, 222)와 접촉 또는 비 접촉되는 지지 매개부(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제공부(200)는 상기 걸이 본체부(110)에 고정되며, 전력이 인가되는 동력본체부(210) 및 상기 동력본체부(210)에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동력본체부(210)에 의해 회전되는 외력인가부(221, 222)를 구비할 수 있다.
걸이 본체부(110)는 상기 동력본체부(210)가 배치되는 제1 걸이 본체부(111), 상기 제1 걸이 본체부(111)와 소정 거리로 이격되는 제2 걸이 본체부(112)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걸이 본체부(11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걸이 본체부(112)에 연결되는 제3 걸이 본체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 본체부(110)는 상기 제2 걸이 본체부(112)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후술하는 옷걸이봉의 체결함입부에 삽입되는 걸이 단자부(1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걸이 본체부(111)는 상기 동력본체부(21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걸이 본체부(111)의 상면의 일부가 관통되어 내부 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공기 유입부(B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걸이 본체부(111)의 정면의 일부가 함입되어 상기 동력본체부(210)가 배치될 수 있는 제1 보관 공간(S111a)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걸이 본체부(111)는 상기 제1 보관 공간(S111a)을 제공하는 제1 보관내면(A111a)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보관 공간(S111a)은 원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보관 공간(S111a)은 상기 동력본체부(210)의 형상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걸이 본체부(111)는 상기 지지 본체부(12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의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걸이 본체부(111)의 정면의 일부가 함입되어 상기 지지 본체부(120)의 일부가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는 제2 보관 공간(S111b)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보관 공간(S111b)은 원통 관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2 보관 공간(S111b)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제2 보관 공간(S111b)의 내측에 상기 제1 보관 공간(S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이 본체부(111)는 상기 제2 보관 공간(S111b)을 제공하는 제2-1 보관내면(A111b-1) 및 상기 제2-1 보관내면(A111b-1)을 에워싸는 제2-2 보관내면(A111b-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2 보관내면(A111b-2)에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복 수개의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봉에서부터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제1 걸이 본체부(11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걸이 본체부(111)의 상면이 관통되어 공기 유입부(B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이 본체부(111)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 유입부(B111)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2 보관내면(A111b-2)에 형성된 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소정의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걸이 본체부(112)와 상기 제1 걸이 본체부(111) 사이에 상기 옷걸이봉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걸이 본체부(111)와 상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3 걸이 본체부(113)는 상기 제1 걸이 본체부(111)와 상기 제2 걸이본체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걸이 단자부(114)는 상기 보관 공간에 배치된 상기 동력본체부(210)와 연결된 전선(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걸이 단자부(114)가 상기 옷걸이봉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동력본체부(210)에 전력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걸이 단자부(114)는 전기적 접점을 위한 단자 구성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걸이 단자부(114)는 상기 상기 제2 걸이 본체부(112)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2 걸이 본체부(112)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걸이 단자부(114)는 상기 체결함입부에 용이하게 체결되거나, 상기 체결함입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지지 본체부(120)는 제1 지지 본체부(121), 상기 제1 지지 본체부(121)의 후면(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보관 공간(S111b)에 삽입되는 제2 지지 본체부(122) 및 상기 제1 지지 본체부(121)로와 연결되어 상기 의류가 지지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3 지지 본체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본체부(121)의 내부에는 상기 제2 지지 본체부(122) 상에 유동되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본체부(122)가 형성하는 내측 공간에는 동력회전부(211)가 배치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본체부(122)의 내면에 돌출되어 지지 매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지지 본체부(122)는 원통관 형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2 지지 본체부(122)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2 지지 본체부(122)는 상기 외력인가부(221, 222)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인 이동 공간(S122)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본체부(122)의 최 외측면에는 상기 제2-2 보관내면(A111b-2)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복 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본체부(122)의 내부에는 유입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본체부(122)가 상기 제2 보관 공간(S111b)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지 본체부(121)의 후면은 상기 제1 걸이 본체부(111)의 정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 본체부(122)가 상기 제2 보관 공간(S111b)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2 지지 본체부(122)의 외 측면은 상기 제2-2 보관내면(A111b-2)과 접촉되고, 상기 제2 지지 본체부(122)의 내 측면은 상기 제2-1 보관내면(A111b-1)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 본체부(123)는 상기 제1 지지 본체부(121)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 본체부(123)는 상기 제1 지지 본체부(12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공간을 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 본체부(123)는 상기 제3 지지 본체부(123) 상에서 유동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외면에 복 수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본체부(121), 상기 제2 지지 본체부(122) 및 상기 제3 지지 본체부(123)는 서로 연통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매개부(130)는 상기 제2 지지 본체부(122)의 내측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 매개부(130)는 상기 제2 지지 본체부(122)의 내측 면의 일부에서부터 상기 이동 공간(S122)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에 의해 지지된 상기 의류가 좌우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동력제공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동력제공부(200)는 상기 걸이 본체부(110)에 고정되며, 전력이 인가되는 동력본체부(210) 및 상기 동력본체부(210)에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동력본체부(210)에 의해 회전되는 외력인가부(221, 222)를 구비하며, 상기 외력인가부(221, 222)는 이동 공간(S122)에 배치되는 동력 회전부(221) 및 상기 동력 회전부(221)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지지 매개부(130)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동력 매개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력본체부(210)는 상기 제1 보관 공간(S111a)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동력본체부(210)는 상기 제1 보관내면(A111a)에 접촉되어 상기 제1 걸이 본체부(1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동력 회전부(221)는 상기 이동 공간(S1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 회전부(221)는 상기 제2 지지 본체부(122)의 내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동력 매개부(222)는 상기 동력 회전부(221)의 측면 일부분에서부터 상기 동력 회전부(221)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 매개부(222)는 상기 지지 매개부(130)와 접촉되어 상기 지지 매개부(130)를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 동력 매개부(222)는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동력 매개부(222)는 고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동력 매개부(222)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가 옷걸이봉에 결합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옷걸이봉(2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일 구성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옷걸이봉(20)은 사각 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옷걸이봉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옷걸이봉(20)의 내부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옷걸이봉(20)의 하측면에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소정의 홀인 공기배출부(B22)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옷걸이봉(20)의 상측면의 일부가 함입되어 상기 체결함입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함입부(21)의 일부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 단자(일례로,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함입부(21)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전선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옷걸이는 상기 옷걸이봉(20)에 외삽될 수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체결함입부(21)에 상기 걸이 단자부(114)가 연결(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기배출부(B22)와 상기 공기 유입부(B111)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고정 물체(20)에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 물체(20)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상기 공기배출부(B22)와 상기 공기 유입부(B111)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체결함입부(21)와 상기 걸이 단자부(114)가 서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의류 처리 장치의 전력 공급원과 상기 동력제공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물체(20)는 상술한 옷걸이봉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고정 물체는 위치가 이동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물체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옷걸이봉을 통해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부와 공기 유입부(B111)를 통해 제1 걸이 본체부(111)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이 본체부(111)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는 제2-2 보관내면(A111b-2)의 홀들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제2 지지 본체부(122)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홀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본체부(122)의 외측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 지지 본체부(122)의 내부 공간, 상기 제1 지지 본체부(121)의 내부 공간 및 상기 제3 지지 본체부(123)의 내부 공간을 차례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 본체부(123) 상에서 이동되는 유체는 상기 제3 지지 본체부(123)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외부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 본체부(123)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상기 지지 본체부(120)에 지지되는 의류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옷 걸이는 상기 동력제공부(20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 사용자의 조작과 관련된 정보를 생성 및 전달하는 입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제공부(200)의 가동 여부 또는 상기 동력제공부(200)의 가동 정도와 관련된 조작을 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조작할 수 있고, 상기 입력부는 이와 관련된 정보를 생성한 뒤에 상기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되어오는 조작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동력제공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동력제공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본체부가 좌우 방향으로 반복 적으로 위치 이동되는 메커니즘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진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제공부(200, 도 2 참조)는 상기 의류가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걸이 본체부(110)에 고정된 상태로 전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지지 본체부(120)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지지 본체부(12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동력본체부(210)에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동력본체부(210)에 의해 상기 동력 회전부(221)는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 회전부(221)는 상기 지지 매개부(130)와 항상 이격된 채로, 상기 동력 회전부(221)가 일 방향으로 회전(일례로, 시계 방향)될 수 있다.
상기 동력 회전부(221)가 회전되는 도중에 상기 동력 매개부(222)는 상기 지지 매개부(13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동력 매개부(222)와 상기 지지 매개부(130)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동력 회전부(221)가 계속해서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지지 매개부(130)는 상기 동력 매개부(222)와 함께 상승되면서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 본체부(120)도 함께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지지 본체부(120)에 지지되는 의류도 함께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진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외력인가부(221, 222)는 상기 지지 본체부(120)가 상승되도록, 제1 회전 각도 범위에서 상기 지지 매개부(130)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중력에 의해 상기 지지 본체부(120)가 하강되도록, 상기 외력인가부(221, 222)는 제2 회전 각도 범위에서 상기 지지 매개부(130)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본체부(12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정도가 커질 수록 상기 의류 및 상기 지지 본체부(120)의 중량에 의해 상기 지지 본체부(120)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커질 수 있다.
상기 동력 매개부(222)를 밴딩시키려 하는 외력보다 상기 지지 본체부(120)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더 커진다면 상기 동력 매개부(222)는 밴딩될 수 있다.
즉, 상기 동력 매개부(222)를 밴딩시키려 하는 외력과 상기 지지 본체부(120)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같아질 때까지 상기 지지 본체부(120)는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 매개부(222)가 밴딩되면, 상기 지지 본체부(120)는 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 회전부(221)는 계속해서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지지 본체부(120)는 계속해서 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동력 매개부(222)와 상기 지지 매개부(13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 본체부(120)는 관성력에 의해 도 5(a)의 처음 위치를 지나서 더욱 더 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처음 위치는 상기 지지 본체부(120)에 상기 의류의 중력만이 작용되는 경우일 때의 상기 지지 본체부(120)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동력 회전부(221)가 계속해서 회전되어 상기 동력 매개부(222)가 상기 지지 매개부(130)와 재 접촉되면, 상기 지지 매개부(130)는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지지 본체부(120)도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 매개부(130)와 상기 동력 매개부(222)의 접촉 및 재 접촉의 반복을 통해, 지지 본체부(120)는 좌우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진자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전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가 구비하는 제1 걸이 본체부와 제1 지지 본체부가 접촉되는 방향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가 구비하는 제1 걸이 본체부와 제1 지지 본체부가 접촉되는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의류가 전후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본체부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옷걸이(2000)가 구비하는 제1 걸이 본체부(2111)와 제1 지지 본체부(2121)는 상기 옷걸이봉이 상기 걸이 본체부(2110)로 삽입되려는 방향으로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는 전후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전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30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동력제공부(3200)는 상기 본체부(3100)에 의해 지지된 상기 의류가 가상의 수평 면인 기준면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면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3100)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3000)는 본체부(3100) 및 동력제공부(3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3100)는 걸이 본체부(3110) 및 지지 본체부(3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이 본체부(3110)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동력제공부(3200)가 연결되는 제1 걸이 본체부(3111), 상기 제1 걸이 본체부(3111)와 소정 거리로 이격되는 제2 걸이 본체부(3112)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걸이 본체부(311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걸이 본체부(3112)에 연결되는 제3 걸이 본체부(311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 본체부(3110)는 상기 제2 걸이 본체부(3112)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후술하는 옷걸이(3000)봉의 체결함입부에 삽입되는 걸이 단자부(31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3000)봉에서부터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제1 걸이 본체부(311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걸이 본체부(3111)의 상면이 관통되어 공기 유입부(B311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이 본체부(311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 걸이 본체부(3111)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걸이 본체부(3111)의 하면이 관통되어 공기 배출부(B3111b)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본체부(3120)는 상기 제1 걸이 본체부(311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지지 본체부(3121) 및 상기 제1 지지 본체부(3121)로와 연결되어 상기 의류가 지지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3 지지 본체부(3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제공부(3200)는 상기 제1 지지 본체부(3121)와 상기 제1 걸이 본체부(3111)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걸이 본체부(3111)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지 본체부(31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본체부(3121)의 상면에는 상기 제1 걸이 본체부(311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 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전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40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4000)는 본체부(4100) 및 동력제공부(4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4100)는 분리 가능하게 상기 고정체에 연결될 수 있는 걸이 본체부(4110) 및 상기 걸이 본체부(411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걸이 본체부(4110)와 연결되며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지지 본체부(41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4100)는 상기 지지 본체부(4120)로와 연결되어 상기 외력인가부(4221, 4222)와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지지 매개부(4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기 동력제공부(4200)는 상기 걸이 본체부(4110)에 고정되며, 전력이 인가되는 동력본체부(4210) 및 상기 동력본체부(4210)에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동력본체부(4210)에 의해 회전되는 외력인가부(4221, 42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력인가부(4221, 4222)는 상기 이동 공간에 배치되는 동력 회전부(4221) 및 상기 동력 회전부(4221)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지지 매개부(4130)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동력 매개부(422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4100)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4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이 본체부(4110)는 상기 동력본체부(4210)가 배치되는 제1 걸이 본체부(4111), 상기 제1 걸이 본체부(4111)와 소정 거리로 이격되는 제2 걸이 본체부(4112)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걸이 본체부(411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걸이 본체부(4112)에 연결되는 제3 걸이 본체부(411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 본체부(4110)는 상기 제2 걸이 본체부(4112)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후술하는 옷걸이(4000)봉의 체결함입부에 삽입되는 걸이 단자부(41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4000)봉에서부터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제1 걸이 본체부(411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걸이 본체부(4111)의 상면이 관통되어 공기 유입부(B411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이 본체부(411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 걸이 본체부(4111)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걸이 본체부(4111)의 하면이 관통되어 공기 배출부(B4111b)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본체부(4120)는 상기 제1 걸이 본체부(4111)와 연결되는 제1 지지 본체부(4121a, 4121b) 및 제1 지지 본체부(4121a, 4121b)로와 연결되어 상기 의류가 지지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3 지지 본체부(41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본체부(4121a, 4121b)는 상기 제3 지지 본체부(4123)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지지 본체부(4121a, 4121b)의 일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1 지지 본체부(4121a) 및 상기 제3 지지 본체부(4123)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지지 본체부(4121a, 4121b)의 타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 지지 본체부(412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 본체부(4123)의 상면에는 상기 제1 지지 본체부(4121a, 4121b)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3 지지 본체부(4123)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복 수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 본체부(4123)와 상기 제1 걸이 본체부(4111)의 하면에는 상기 탄성부(41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매개부(4130)는 상기 제1-1 지지 본체부(4121a)와 상기 제1-2 지지 본체부(4121b)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 매개부(4130)는 상기 외력인가부(4221, 4222)가 배치되고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진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동력제공부(4200)는 상기 본체부(4100)에 의해 지지된 상기 의류가 상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4100)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제공부(4200)는 상기 의류가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걸이 본체부(4110)에 고정된 상태로 전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지지 본체부(4120)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지지 본체부(412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부(4100)는 상기 지지 본체부(4120)와 연결되어 상기 외력인가부(4221, 4222)와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지지 매개부(4130) 및 상기 지지 본체부(4120)와 상기 걸이 본체부(4110)에 연결되는 탄성부(4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본체부(4120)가 하강되도록, 상기 외력인가부(4221, 4222)는 제1 회전 각도 범위에서 상기 지지 매개부(4130)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41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 본체부(4120)가 상승되도록, 상기 외력인가부(4221, 4222)는 제2 회전 각도 범위에서 상기 지지 매개부(4130)외 비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10을 참조하자면, 상기 동력본체부(4210)에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동력 회전부(4221)는 상기 지지 매개부(4130)가 제공하는 공간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상기 동력 회전부(4221)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동력 매개부(4222)가 상기 지지 매개부(413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동력 매개부(4222)가 상기 지지 매개부(4130)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동력 매개부(4222)가 계속해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동력 매개부(4222)가 상기 동력 회전부(4221)로부터 돌출되는 정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지지 매개부(4130)는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3 지지 본체부(4123)도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동력 회전부(4221)가 계속 회전되어 상기 지지 매개부(4130)로부터 상기 동력 매개부(4222)가 이격되는 과정에서, 상기 동력 매개부(4222)가 상기 동력 회전부(4221)로부터 돌출되는 정도가 작아짐에 따라 상기 탄성부(41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 매개부(4130)는 상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동력 회전부(4221)가 계속 회전되어 상기 동력 매개부(4222)가 상기 지지 매개부(4130)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 지지 매개부(4130)는 상기 동력 매개부(4222)가 상기 지지 매개부(4130)에 접촉되기 전의 처음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는 것에 따라, 상기 지지 본체부(4120)에 지지되는 의류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본체부 110 : 걸이 본체부
120 : 지지 본체부 130 : 지지 매개부
200 : 동력제공부 210 : 동력본체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에 의류가 위치되어 있도록, 위치 이동되지 않는 고정 물체와 연결된 채로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옷걸이에 있어서,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고정 물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물체에 연결되며,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의류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가 흔들릴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분리 가능하게 상기 고정 물체에 연결될 수 있는 걸이 본체부, 상기 걸이 본체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걸이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지지 본체부 및 상기 지지 본체부와 연결되는 지지 매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걸이 본체부에 고정되며 전력이 인가되는 동력본체부 및 상기 동력본체부에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동력본체부에 의해 회전되는 외력인가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지지 본체부가 상승되도록, 제1 회전 각도 범위에서 상기 지지 매개부와 접촉되고,
    중력에 의해 상기 지지 본체부가 하강되도록, 제2 회전 각도 범위에서 상기 지지 매개부와 이격되는,
    옷걸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에 의류가 위치되어 있도록, 위치 이동되지 않는 고정 물체와 연결된 채로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옷걸이에 있어서,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고정 물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물체에 연결되며,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의류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가 흔들릴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분리 가능하게 상기 고정 물체에 연결될 수 있는 걸이 본체부, 상기 걸이 본체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걸이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지지 본체부, 상기 지지 본체부와 연결되는 지지 매개부 및 상기 지지 본체부와 상기 걸이 본체부에 연결되는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의류가 상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걸이 본체부에 고정된 상태로 전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지지 본체부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지지 본체부를 위치 이동시키며,
    상기 걸이 본체부에 고정되며, 전력이 인가되는 동력본체부 및 상기 동력본체부에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동력본체부에 의해 회전되는 외력인가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지지 본체부가 하강되도록, 제1 회전 각도 범위에서 상기 지지 매개부와 접촉되고,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 본체부가 상승되도록, 제2 회전 각도 범위에서 상기 지지 매개부와 비접촉되는,
    옷걸이.
  10. 제4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고정 물체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 물체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옷걸이.
KR1020190079499A 2019-07-02 2019-07-02 옷걸이 KR102176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499A KR102176208B1 (ko) 2019-07-02 2019-07-02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499A KR102176208B1 (ko) 2019-07-02 2019-07-02 옷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208B1 true KR102176208B1 (ko) 2020-11-09

Family

ID=7342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499A KR102176208B1 (ko) 2019-07-02 2019-07-02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2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5799A (en) * 2021-04-13 2022-10-19 Tam Plastik Ve Kalip Sanayi Ticaret Ltd Sirketi Garment hangers and associated methods of display and supp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4923A (ko) * 2012-02-17 2013-08-27 유상필 의류 건조기
KR101600788B1 (ko) * 2014-10-29 2016-03-08 양준식 의복 리프레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4923A (ko) * 2012-02-17 2013-08-27 유상필 의류 건조기
KR101600788B1 (ko) * 2014-10-29 2016-03-08 양준식 의복 리프레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5799A (en) * 2021-04-13 2022-10-19 Tam Plastik Ve Kalip Sanayi Ticaret Ltd Sirketi Garment hangers and associated methods of display and supp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3834B2 (en) Laundry appliance having an ultrasonic drying mechanism
RU2622832C2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ая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использующее такую машину
KR102176208B1 (ko) 옷걸이
KR102583491B1 (ko) 의류처리장치
EP2980297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suspension assemblies
US20120317729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031150A1 (en) Laundry machine
US5924312A (en) Multiple direction vibration absorber
WO2016079139A1 (en) Laundry system for smart garments
JP2005000658A (ja) モノタブドラム洗濯機及びその洗濯制御方法
KR102464106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2075601A (ja) 洗濯乾燥装置
RU263202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2578442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WO2017176658A1 (en) Ultrasonic cleaning in flexible container
RU263164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JP2015070930A (ja) 保持構造及び布材処理装置
TW201730400A (zh) 洗衣機
JP6047759B2 (ja) 洗濯機
JP2013070921A (ja) 乾燥装置
KR102580839B1 (ko) 걸이형 의류 관리기
KR102567897B1 (ko) 걸이형 의류 관리기
EP3042993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559785B1 (ko) 걸이형 의류 관리기
KR102395010B1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