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5564A -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 - Google Patents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5564A
KR20230065564A KR1020210151256A KR20210151256A KR20230065564A KR 20230065564 A KR20230065564 A KR 20230065564A KR 1020210151256 A KR1020210151256 A KR 1020210151256A KR 20210151256 A KR20210151256 A KR 20210151256A KR 20230065564 A KR20230065564 A KR 20230065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cover
module
lever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은
Original Assignee
장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지은 filed Critical 장지은
Priority to KR1020210151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5564A/ko
Publication of KR20230065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5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는, 내부가 중공되며, 변기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와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변기의 커버에 부착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와 대응되어 상호 연계 가능한 제2연결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제2연결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변기의 배수 레버까지 연장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 및 일측이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변기의 배수 레버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배수 레버가 작동되도록 하는 레버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는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호 부착되거나 분리되도록 자성체 또는 자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TOILET FLUSHING DEVICE USING TOILET COVER}
본 발명은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변기 커버와 배수 레버가 상호 연계될 수 있도록 하며, 커버의 개폐 동작에 따라 배수 레버가 구동됨으로써 자동으로 물이 내려가도록 할 수 있는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금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양변기들은 변기 사용 후 변기 내로 물을 내리기 위해서 수조전면에 설치된 레버나 혹은 변기 후방 측부에 설치되는 레버를 조작하여 변기 내면으로 일정량의 물을 흘려 내려 보내도록 되는 것이다.
이때, 변기 사용자는 변기 사용 후 물을 내리기 위한 레버 조작과는 별도로 변기의 덮개(커버)를 변기 본체에 덮어 줌으로써 변기의 사용을 모두 마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양변기는 변기 사용자가 변기 사용 후 물을 내리기 위한 레버 동작과 변기 덮개를 변기 본체에 덮기 위한 덮개 회동 동작을 반복 수행해야 하므로 그만큼 변기 사용이 번거롭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번거로움으로 인해 변기 사용자는 물만 내리고 변기 덮개를 제대로 덮지 않게 되어 양변기의 수면 근처에 형성되어 있던 박테리아 균 등 유해 세균이 공기를 타고 사방으로 퍼져 나갈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양변기와 화장실 내부가 유해한 세균에 감염될 수 있는 상황에 노출됨은 물론, 화장실의 청결한 사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9636호는, 변기 사용 후 물을 내리기 위한 레버의 작동을 변기 덮개의 개폐동작으로 대신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양변기의 사용을 간편하게 하고, 변기 사용 후 항상 변기 덮개를 덮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작동 와이어가 수조 상부에서 변기 덮개의 힌지까지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해 사람이나 기타 물건에 간섭을 주게 됨은 물론, 와이어의 파손이 쉽게 일어나는 등 유지관리가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963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사용자가 변기 커버를 덮는 동작 만으로 변기 물을 내릴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로 인해 변기 사용 후 물내림에 따른 비말 현상을 차단하여 세균 전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한, 양변기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기존의 양변기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여 효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는, 내부가 중공되며, 변기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와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변기의 커버에 부착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와 대응되어 상호 연계 가능한 제2연결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제2연결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변기의 배수 레버까지 연장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 및 일측이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변기의 배수 레버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배수 레버가 작동되도록 하는 레버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는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호 부착되거나 분리되도록 자성체 또는 자석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상기 제2연결부 및 동력전달부의 교체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의 상단이 개폐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캡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ㄱ'자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변기에 구비되는 물탱크의 일측에 부착되되, 절곡부를 중심으로, 개방된 상태의 상기 커버와 대향하는 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연결부가 구비되는 커버 대응부 및 상기 배수 레버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배수 레버와 연결되도록 상기 동력전달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레버 대응부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커버 대응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제1결합모듈과, 일측이 상기 제1결합모듈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 대응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되, 일측면이 개방되는 제2대응모듈 및 상기 제2대응모듈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대응모듈의 개방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자성체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제2대응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대응부재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길이에 맞춰 상기 제2대응모듈의 내외부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커버에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내부가 중공되며, 일측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대응모듈 및 상기 제1대응모듈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제1대응모듈의 개방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자성체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제1대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물내림 장치는 상기 커버가 개방될 시 상기 제1대응부재와 상기 제2대응부재가 상호 부착되며, 상기 커버를 닫을 경우, 상기 커버에 부착되어 스윙 이동되는 상기 제1대응부재와 함께 상기 제2대응부재가 이동되어 일측이 상기 제2대응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배수 레버와 연결되는 상기 동력전달부가 당겨져 변기의 물이 내려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대응부재는 상기 제1대응부재에 부착된 상태로 이동되되, 상기 배수 레버가 모두 당겨진 이후에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상기 제1대응부재와 분리되며, 상기 변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무게추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배수 레버가 원위치 됨에 따라 다시 상기 제2대응모듈의 내부로 원위치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결합모듈과 상기 제2대응모듈의 결합부가 관통되며, 상기 제2연결부가 상기 제1연결부의 위치에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 대응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내림 장치는 상기 레버 대응부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 대응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가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드부는 상기 레버 대응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제2결합모듈 및 상기 레버 대응부 측의 캡모듈의 상단에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제2결합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 레버에 연결되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가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모듈은 상기 제2결합모듈과 상기 가드모듈의 결합부가 관통되며, 상기 가드부가 상기 배수 레버의 위치에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레버 대응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상기 몸체의 절곡부에는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되는 상기 동력전달부가 상기 몸체의 절곡부에 의해 마모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롤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변기 전체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쉽게 설치 가능하며, 각기 다른 규격의 변기 및 배수 레버의 위치에 따라 연결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변기 커버를 닫으면서 물을 내릴 수 있게 되므로, 변기 사용 후 변기 커버를 닫는 동작을 유도하여 비말에 의한 세균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상호 연계되는 연결부들을 연결하여 운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 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에 있어서, 커버 대응부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에 있어서, 레버 대응부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의 상세 구조 및 구동 원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에 있어서, 레버결합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가 적용된 변기의 구동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변기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변기 커버와 배수 레버가 상호 연계될 수 있도록 하며, 커버의 개폐 동작에 따라 배수 레버가 구동됨으로써 자동으로 물이 내려가도록 할 수 있는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되어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변기(T)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와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변기(T)의 커버(C)에 부착 가능한 제1연결부(200)와,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C)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200)와 대응되어 상호 연계가 이루어지는 제2연결부(30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제2연결부(3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변기(T)의 배수 레버(R)까지 연장되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400) 및 일측이 상기 동력전달부(400)와 연결 가능하며, 타측이 상기 변기(T)의 배수 레버(R)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배수 레버(R)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레버결합부(500,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200) 및 제2연결부(300)는 상기 커버(C)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호 부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상호 연계 작용이 일어날 수 있도록 자성체 또는 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0)는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는 상기 제2연결부(300) 및 동력전달부(400)의 교체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단이 개폐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몸체(100)의 상단은 탈착 가능한 조립 방식 또는 도어 개폐 방식으로 이루어져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캡모듈(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상기 몸체(100)는 'ㄱ'자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변기(T)에 구비되는 물탱크의 외측면 일측에 양면 테이프 또는 큐방과 같은 흡착판이나 흡착패드 등과 같은 부착부재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100)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상기 몸체(100)의 절곡부를 중심으로, 상기 변기(T)에서 상기 커버(C)가 개방된 상태일 때, 상기 커버(C)와 대향하는 면에 위치되며, 상기 커버(C)에 부착되는 상기 제1연결부(200)와 연계되는 상기 제2연결부(300)가 구비되는 커버 대응부(110) 및 상기 변기(T)에 구비되는 배수 레버(R)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배수 레버(R)와 연결되도록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레버 대응부(120)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100)는 상기 변기(T)에 구비되는 물탱크의 외측면에 부착되되, 상기 배수 레버(R)가 위치하는 측면과 상기 커버(C)가 개방된 상태에서 대향하는 전면에 원활한 동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물탱크의 모서리부를 포함하여 부착되도록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이 수행하는 역할에 따라 커버 대응부(110) 및 레버 대응부(120)로 구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서 각기 수행하는 역할에 따라 구분될 수 있는 상기 커버 대응부(110) 및 레버 대응부(120)는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00)의 커버 대응부(110)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C)에 부착되는 상기 제1연결부(200)에 대응하여 선택적인 탈착이 이루어지는 상기 제2연결부(300)는 상기 커버 대응부(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700)에 의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모듈(310)과, 일측이 상기 제1결합모듈(3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 대응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되, 일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제2대응모듈(320) 및 상기 제2대응모듈(320)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동력전달부(40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대응모듈(320)의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자성체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제2대응부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대응부재(330)는 상기 제2대응모듈(320)의 개방면을 통해 상기 제2대응모듈(320)의 내외부를 왕복하여 이동이 가능하되, 상기 제2대응부재(330)에 연결된 일정 길이를 갖는 상기 동력전달부(400)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C)에 부착되어 상기 제2연결부(300)와 상호 연계가 이루어지는 상기 제1연결부(200)는 상기 커버(C)에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으며, 내부가 중공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대응모듈(210) 및 상기 제1대응모듈(2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제1대응모듈(210)의 개방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자성체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제1대응부재(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연결부(300)의 상기 제2대응모듈(320) 및 상기 제1연결부(200)의 상기 제1대응모듈(210)은 각각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2대응부재(330) 및 제1대응부재(220)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자성체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대응부재(220) 및 제2대응부재(330)에 다른 자성을 띈 물체 또는 금속이 무분별하게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200)는 상기 커버(C)에 상기 몸체(100)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탈부착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상기 몸체(100)와 대응되도록 위치를 선정하여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는 상기 커버(C)가 개방될 시 상기 제1대응부재(220)와 상기 제2대응부재(330)가 상호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후 상기 커버(C)를 닫을 때, 상기 커버(C)에 부착되어 상기 커버(C)와 함께 스윙 이동되는 상기 제1대응부재(220)와 함께 상기 제2대응부재(330)가 이동되어 일측이 상기 제2대응부재(33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배수 레버(R)와 연결되는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당겨짐으로써, 변기(T)의 물이 자동으로 내려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대응부재(330)는 상기 커버(C)를 닫는 과정에서 상기 제1대응부재(220)에 부착된 상태로 이동되되, 상기 배수 레버(R)가 모두 당겨진 이후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상기 동력전달부(400)에 의해 더 이상 이동되지 않아 상기 제1대응부재(220)와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변기(T)의 내부에 구비되는 무게추(미도시)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배수 레버(R)가 원위치 됨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400)에 의해 당겨져 다시 상기 제2대응모듈(320)의 내부로 원위치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0)는 상기 제1결합모듈(310)과 상기 제2대응모듈(320)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관통되도록 하며, 상기 제2연결부(300)가 상기 커버(C)에 부착되는 상기 제1연결부(200)의 위치에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 대응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관통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관통홀(11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대응부(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1결합모듈(310)과 상기 커버 대응부(1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결합모듈(310)에 결합되는 상기 제2대응모듈(32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선정하여 상기 커버(C)에 부착시킨 상기 제1연결부(200)의 위치에 맞춰 상기 제2연결부(300)가 원활하게 대응될 수 있도록 위치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연결부(300)의 이동은 상기 제1결합모듈(310)이 상기 커버 대응부(110)의 내부에서 무분별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되는 상기 체결부재(700)가 가체결된 상태에서 이동되어 상기 제1연결부(20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맞춰지게 되며, 상기 제1연결부(200)와 상기 제2연결부(300)가 상호 대응될 수 있는 위치로 설정한 이후 상기 체결부재(700)를 본체결 함으로써, 상기 제2연결부(30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대응부(110)의 하측면에는 상기 체결부재(700)가 관통되어 상기 제1결합모듈(310)이 고정되도록 하되, 가체결된 상태에서 좌우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체결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2연결부(300)의 이동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물내림 장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대응부(1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 대응부(120)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배수 레버(R)와 연결될 수 있는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노출을 최소화 하고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가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드부(600)는 상기 레버 대응부(1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체결부재(7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모듈(610) 및 상기 레버 대응부(120) 측의 상기 캡모듈(130)의 상단에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제2결합모듈(610)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 레버(R)에 연결되는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파손을 방지하는 가드모듈(6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캡모듈(130)은 상기 제2결합모듈(610)과 상기 가드모듈(620)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관통될 수 있으며, 상기 가드부(600)가 상기 변기(T)에서 각기 차이가 있는 상기 배수 레버(R)의 위치에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적정 위치에서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돌출되어 상기 레버결합부(500,500')가 상기 배수 레버(R)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레버 대응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관통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 대응부(120)의 하측면에는 상기 커버 대응부(110)의 하측면과 동일하도록 상기 제2결합모듈(610)이 상기 레버 대응부(120)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상기 체결부재(700)가 상기 가드부(600)의 슬라이딩 이동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체결홈은 상술한 상기 커버 대응부(110)에 형성되는 체결홈과 동일하고, 상기 가드부(600)가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제2결합모듈(610)과 상기 체결부재(700)의 결합에 대한 상기 체결홈과의 결합 방법 역시 동일하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캡모듈(130)의 내측면에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왕복 이동이 가능한 상기 제1결합모듈(310) 및 제2결합모듈(610)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모듈(310) 및 상기 제2결합모듈(610)의 상면과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제1결합모듈(310) 및 제2결합모듈(610)의 왕복 이동은 물론,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관통홀(111) 및 제2관통홀(121)과 함께 상기 제1결합모듈(310) 및 제2결합모듈(61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결합부(500,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동력전달부(400)와 연결되어 상기 배수 레버(R)의 일측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측에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연결되고, 상기 배수 레버(R)를 감싸도록 씌워지는 캡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상기 몸체(100)에서 절곡부에 해당하는 내부 공간에는, 상기 제1연결부(200)와 상기 제2연결부(30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되는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상기 몸체(100)의 절곡부에 의해 마모되지 않고 원활하게 왕복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롤러모듈(1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의 세부 구조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물내림 장치가 적용된 변기의 작동 모습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 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 몸체 110 : 커버 대응부
111 : 제1관통홀 120 : 레버 대응부
121 : 제2관통홀 130 : 캡모듈
140 : 롤러모듈 200 : 제1연결부
210 : 제1대응모듈 220 : 제1대응부재
300 : 제2연결부 310 : 제1결합모듈
320 : 제2대응모듈 330 : 제2대응부재
400 : 동력전달부 500, 500' : 레버 결합부
600 : 가드부 610 : 제2결합모듈
620 : 가드모듈 700 : 체결부재
C : 커버 R : 배수 레버
T : 변기

Claims (12)

  1. 내부가 중공되며, 변기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와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변기의 커버에 부착되는 제1연결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와 대응되어 상호 연계 가능한 제2연결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제2연결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변기의 배수 레버까지 연장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 및
    일측이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변기의 배수 레버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배수 레버가 작동되도록 하는 레버결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는,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호 부착되거나 분리되도록 자성체 또는 자석을 포함하는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상기 제2연결부 및 동력전달부의 교체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의 상단이 개폐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캡모듈;
    을 포함하는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ㄱ'자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변기에 구비되는 물탱크의 일측에 부착되되, 절곡부를 중심으로, 개방된 상태의 상기 커버와 대향하는 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연결부가 구비되는 커버 대응부 및 상기 배수 레버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배수 레버와 연결되도록 상기 동력전달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레버 대응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커버 대응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제1결합모듈;
    일측이 상기 제1결합모듈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 대응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되, 일측면이 개방되는 제2대응모듈; 및
    상기 제2대응모듈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대응모듈의 개방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자성체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제2대응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2대응부재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길이에 맞춰 상기 제2대응모듈의 내외부로 왕복 이동되는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커버에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내부가 중공되며, 일측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대응모듈; 및
    상기 제1대응모듈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제1대응모듈의 개방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자성체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제1대응부재;
    를 포함하는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내림 장치는,
    상기 커버가 개방될 시 상기 제1대응부재와 상기 제2대응부재가 상호 부착되며, 상기 커버를 닫을 경우, 상기 커버에 부착되어 스윙 이동되는 상기 제1대응부재와 함께 상기 제2대응부재가 이동되어 일측이 상기 제2대응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배수 레버와 연결되는 상기 동력전달부가 당겨져 변기의 물이 내려가도록 하는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대응부재는,
    상기 제1대응부재에 부착된 상태로 이동되되, 상기 배수 레버가 모두 당겨진 이후에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상기 제1대응부재와 분리되며, 상기 변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무게추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배수 레버가 원위치 됨에 따라 다시 상기 제2대응모듈의 내부로 원위치 되는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결합모듈과 상기 제2대응모듈의 결합부가 관통되며, 상기 제2연결부가 상기 제1연결부의 위치에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 대응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관통홀;
    을 더 포함하는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내림 장치는,
    상기 레버 대응부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 대응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가드부;
    를 더 포함하는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부는,
    상기 레버 대응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제2결합모듈; 및
    상기 레버 대응부 측의 캡모듈의 상단에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제2결합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 레버에 연결되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가드모듈;
    을 포함하는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캡모듈은,
    상기 제2결합모듈과 상기 가드모듈의 결합부가 관통되며, 상기 가드부가 상기 배수 레버의 위치에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레버 대응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관통홀;
    을 포함하는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상기 몸체의 절곡부에는,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되는 상기 동력전달부가 상기 몸체의 절곡부에 의해 마모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롤러모듈;
    을 더 포함하는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
KR1020210151256A 2021-11-05 2021-11-05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 KR20230065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256A KR20230065564A (ko) 2021-11-05 2021-11-05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256A KR20230065564A (ko) 2021-11-05 2021-11-05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564A true KR20230065564A (ko) 2023-05-12

Family

ID=86385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256A KR20230065564A (ko) 2021-11-05 2021-11-05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556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636Y1 (ko) 1996-10-16 1999-10-15 최진순 양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636Y1 (ko) 1996-10-16 1999-10-15 최진순 양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76937A3 (en) Retractable pet guard
US11371231B2 (en) Toilet flushing device using toilet cover
MXPA05005456A (es) Dispositivo de descarga y desague aplicados para mejorar inodoros sanitarios.
US5305472A (en) Ventilation unit for a toilet
KR20130104552A (ko) 창호용 환기장치
KR20230065564A (ko) 변기 커버를 이용한 변기 물내림 장치
JP2006274537A (ja) 浴室ドア
WO2006038302A1 (ja) 横引き網戸
KR200465597Y1 (ko) 소변기용 감지 센서의 감지기능 차단장치
CN106013366B (zh) 全机械式自动厕所冲水装置
JP5713767B2 (ja) 換気装置
DE60227954D1 (de) Fenster mit lüftungsöffnung
CN210520883U (zh) 防臭坐便器
KR200372410Y1 (ko)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KR102600773B1 (ko) 양변기의 덮개 개폐장치
AU2006201931A1 (en) Magnetic Latch for Toilet Seat and/or Cover
KR102579647B1 (ko) 개폐식 좌변기 커버
KR200251220Y1 (ko)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JP2002142600A (ja) 猫用トイレ
CN208447428U (zh) 一种用于蹲厕的组合式活动盖板
KR200372924Y1 (ko) 문틀의 보호대
JPS5916477Y2 (ja) 小窓付きドア
WO2023209252A1 (es) Cortina de ducha
KR200392832Y1 (ko) 출입문용 방충망의 개선구조
WO1995030802A1 (en) Ventilation unit for a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