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739A -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739A
KR20230064739A KR1020210150201A KR20210150201A KR20230064739A KR 20230064739 A KR20230064739 A KR 20230064739A KR 1020210150201 A KR1020210150201 A KR 1020210150201A KR 20210150201 A KR20210150201 A KR 20210150201A KR 20230064739 A KR20230064739 A KR 20230064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body support
bed frame
upper body
op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370B1 (ko
Inventor
오수한
Original Assignee
오수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수한 filed Critical 오수한
Priority to KR1020210150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370B1/ko
Publication of KR20230064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8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flui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8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djusting two or more rests simultaneously
    • A47C20/1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djusting two or more rests simultaneously using r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으로서, 침대 프레임(100); 각각 분절되어 독립적인 동작이 가능하며, 상기 침대 프레임(100) 상에 이격되어 병렬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200); 상기 각 지지부재(200)를 승강이동 및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액츄에이터(300); 및 상기 액츄에이터(300)를 통해 각 지지부재(200)의 동작을 제어하여, 복수의 작동모드를 구현하는 작동모드 제어부(400)를 포함하며, 각 지지부재는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에 배치되는 상체 지지부(410), 침대 프레임의 중간부에 배치되는 요추 지지부(420) 및 침대 프레임의 하단부 쪽에 배치되는 하체 지지부(430)로 구분되며, 각 지지부(410)(420)(430)는 복수개의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Bed Motion Control System having multi-stage segment operation mode}
본 발명은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이다.
현재 다양한 구조의 침대가 등장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침대 모션을 제어가능한 침대도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모션 침대의 경우, 다양하게 분절되는 동작이 잘 구현되지 못하여, 사용자의 요구 또는 환자의 증상 등에 따른 다양한 동작이 결여된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31397호 (2020.07.01)
본 발명에 따른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침대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들을 각각 작동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둘째, 상체 모드의 경우, 보다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셋째, 상체 모드, 요추 모드 및 하체 모드 뿐 아니라, 이의 복합 모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으로서, 침대 프레임; 각각 분절되어 독립적인 동작이 가능하며, 상기 침대 프레임 상에 이격되어 병렬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 상기 각 지지부재를 승강이동 및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통해 각 지지부재의 동작을 제어하여, 복수의 작동모드를 구현하는 작동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며, 각 지지부재는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에 배치되는 상체 지지부, 침대 프레임의 중간부에 배치되는 요추 지지부 및 침대 프레임의 하단부 쪽에 배치되는 하체 지지부로 구분되며, 각 지지부는 복수개의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침대 프레임의 각 단부에서 중간부로 갈수록 배치되는 지지부재의 폭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지지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의 이격 간격은 상체 지지부, 하체 지지부 및 요추 지지부의 순서로 이격 간격이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재는 7개로 구비되며, 상체 지지부는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제1 상체 지지부재 및 침대 프레임의 중간부 방향에 배치되는 제2 상체 지지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요추 지지부는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방향에 배치되는 제1 요추 지지부재, 침대 프레임의 하단부 방향에 배치되는 제3 요추 지지부재 및 그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요추 지지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하체 지지부는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방향에 배치되는 제1 하체 지지부재 및 침대 프레임의 하단부 방향에 배치되는 제2 하체 지지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 제어부는 상체 지지부, 요추 지지부 및 하체 지지부 모두 기 설정된 기본 높이에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되는 기본 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 제어부는 요추 지지부 및 하체 지지부를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상체 지지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제1 상체 모드를 구비하며, 제1 상체 모드에 있어서, 상체 지지부는 제1 상체 지지부재가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제2 상체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 제어부는 요추 지지부 및 하체 지지부를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상체 지지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제2 상체 모드를 구비하며, 제2 상체 모드에 있어서, 상체 지지부는 제1 상체 지지부재 및 제2 상체 지지부재가 동일한 평면을 유지한 상태에서, 각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 제어부는 요추 지지부 및 하체 지지부를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상체 지지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제3 상체 모드를 구비하며, 제3 상체 모드에 있어서, 상체 지지부는 제1 상체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제2 상체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하단부(130) 쪽으로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 제어부는 상체 지지부 및 하체 지지부를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요추 지지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요추 모드를 구비하며, 요추 모드에 있어서, 요추 지지부는 제1 요추 지지부재가 기 설정된 기본 높이에서 수평을 유지하고, 제2 요추 지지부재가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고, 제3 요추 지지부재의 상측이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 제어부는 상체 지지부 및 요추 지지부를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하체 지지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하체 모드를 구비하며, 하체 모드에 있어서, 하체 지지부는 제1 하체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제2 하체 지지부재가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 제어부는 하체 지지부를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상체 지지부 및 요추 지지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제1 복합 모드가 구비되며, 제1 복합 모드에 있어서, 상체 지지부는 제1 상체 지지부재가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제2 상체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요추 지지부는 제1 요추 지지부재가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제2 요추 지지부재가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고, 제3 요추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 제어부에 있어서, 상체 지지부는 제1 상체 지지부재 및 제2 상체 지지부재가 동일한 평면을 유지한 상태에서, 각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는 제2 복합 모드가 구비되며, 제2 복합 모드에 있어서, 요추 지지부는 제1 요추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제2 요추 지지부재 및 제3 요추 지지부재가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되게 작동되며, 하체 지지부는 제1 하체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제2 하체 지지부재가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 제어부에 있어서, 상체 지지부는 제1 상체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제2 상체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하단부(130) 쪽으로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는 제3 복합 모드가 구비되며, 제3 복합 모드에 있어서, 요추 지지부는 제1 요추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제2 요추 지지부재 및 제3 요추 지지부재가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되게 작동되며, 하체 지지부는 제1 하체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제2 하체 지지부재가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분절된 각 지지부재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구비된 분절 매트리스가 더 구비되어, 분절된 각 지지부재가 작동될 때, 분절 매트리스도 함께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침대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들이 분절되어 각각 작동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상체 모드는 제1, 제2 및 제3 상체 모드로 다양하게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체 모드, 요추 모드 및 하체 모드를 함께 적용한, 제1, 제2 및 제3 복합 모드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의 기본 모드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의 제1 상체 모드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의 요추 모드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의 제1 복합 모드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의 제2 복합 모드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의 제3 복합 모드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상체 모드에서 액츄에이터에 의해 지지부재가 제어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상체 모드에서 액츄에이터에 의해 지지부재가 제어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상체 모드에서 액츄에이터에 의해 지지부재가 제어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요추 모드에서 액츄에이터에 의해 지지부재가 제어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모드에서 액츄에이터에 의해 지지부재가 제어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모드 제어부의 여러 작동모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방향를 나타내는 표현, 예를 들어 전/후/좌/우의 표현, 상/하의 표현, 종방향/횡방향의 표현은 도면에 개시된 방향을 참고하여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면은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과장되게 표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의 전 취지에 비추어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 프레임(100); 각각 분절되어 독립적인 동작이 가능하며, 상기 침대 프레임(100) 상에 이격되어 병렬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200); 상기 각 지지부재(200)를 승강이동 및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액츄에이터(300); 및 상기 액츄에이터(300)를 통해 각 지지부재(200)의 동작을 제어하여, 복수의 작동모드를 구현하는 작동모드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지지부재는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에 배치되는 상체 지지부(410), 침대 프레임의 중간부에 배치되는 요추 지지부(420) 및 침대 프레임의 하단부 쪽에 배치되는 하체 지지부(430)로 구분되며, 각 지지부(410)(420)(430)는 복수개의 지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0)는 침대 프레임(100)의 각 단부에서 중간부(120)로 갈수록 배치되는 지지부재의 폭이 감소될 수 있다(도 1 참조). 이는 요추 지지부(420)에 더욱 세분화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지지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의 이격 간격은 상체 지지부(410), 하체 지지부(430) 및 요추 지지부(420)의 순서로 이격 간격이 커질 수 있다(도 1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지지부재는 각 지지부에 복수개가 구비되면 족하며, 총 개수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지지부재(200)가 7개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제시하면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체 지지부(410)는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제1 상체 지지부재(200_A1) 및 침대 프레임의 중간부 방향에 배치되는 제2 상체 지지부재(200_A2)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추 지지부(420)는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방향에 배치되는 제1 요추 지지부재(200_B1), 침대 프레임의 하단부 방향에 배치되는 제3 요추 지지부재(200_B3) 및 그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요추 지지부재(200_B2)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체 지지부(430)는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방향에 배치되는 제1 하체 지지부재(200_C1) 및 침대 프레임의 하단부 방향에 배치되는 제2 하체 지지부재(200_C2)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모드 제어부(4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모드, 제1 상체 모드, 제2 상체 모드, 제3 상체 모드, 요추 모드, 하체 모드, 제1 복합 모드, 제2 복합 모드 및 제3 복합 모드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모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의 기본 모드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동모드 제어부(400)는 상체 지지부(410), 요추 지지부(420) 및 하체 지지부(430) 모두 기 설정된 기본 높이에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되는 기본 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상체 모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의 제1 상체 모드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동모드 제어부(400)는 요추 지지부(420) 및 하체 지지부(430)를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상체 지지부(410)의 높이를 제어하는 제1 상체 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상체 모드에 있어서, 상체 지지부(410)는 제1 상체 지지부재(200_A1)가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제2 상체 지지부재(200_A2)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110)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도 2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 상승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상체 모드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모드 제어부(400)는 요추 지지부(420) 및 하체 지지부(430)를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상체 지지부(410)의 높이를 제어하는 제2 상체 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상체 모드에 있어서, 상체 지지부(410)는 제1 상체 지지부재(200_A1) 및 제2 상체 지지부재(200_A2)가 동일한 평면을 유지한 상태에서, 각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110)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도 5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 상승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도 5 참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상체 모드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모드 제어부(400)는 요추 지지부(420) 및 하체 지지부(430)를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상체 지지부(410)의 높이를 제어하는 제3 상체 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상체 모드에 있어서, 상체 지지부(410)는 제1 상체 지지부재(200_A1)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110)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도 6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제2 상체 지지부재(200_A2)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하단부(130) 쪽으로 경사지게(도 6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됨) 상승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도 6 참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요추 모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의 요추 모드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동모드 제어부(400)는 상체 지지부(410) 및 하체 지지부(430)를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요추 지지부(420)의 높이를 제어하는 요추 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요추 모드에 있어서, 요추 지지부(420)는 제1 요추 지지부재(200_B1)가 기 설정된 기본 높이에서 수평을 유지하고, 제2 요추 지지부재(200_B2)가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고, 제3 요추 지지부재(200_B3)의 상측이 프레임의 상단부(110)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도 3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 상승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모드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모드 제어부(400)는 상체 지지부(410) 및 요추 지지부(420)를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하체 지지부(430)의 높이를 제어하는 하체 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체 모드에 있어서, 하체 지지부(430)는 제1 하체 지지부재(200_C1)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110)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도 5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됨)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제2 하체 지지부재(200_C2)가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도 5 참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복합 모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의 제1 복합 모드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동모드 제어부(400)는 하체 지지부(430)를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상체 지지부(410) 및 요추 지지부(420)의 높이를 제어하는 제1 복합 모드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복합 모드에 있어서, 상체 지지부(410)는 제1 상체 지지부재(200_A1)가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제2 상체 지지부재(200_A2)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110)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요추 지지부(420)는 제1 요추 지지부재(200_B1)가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제2 요추 지지부재(200_B2)가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고, 제3 요추 지지부재(200_B3)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110)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복합 모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의 제2 복합 모드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모드 제어부(400)에 있어서, 상체 지지부(410)는 제1 상체 지지부재(200_A1) 및 제2 상체 지지부재(200_A2)가 동일한 평면을 유지한 상태에서, 각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110)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는 제2 복합 모드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복합 모드에 있어서, 요추 지지부(420)는 제1 요추 지지부재(200_B1)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110)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제2 요추 지지부재(200_B2) 및 제3 요추 지지부재(200_B3)가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되게 작동될 수 있다.
또한, 하체 지지부(430)는 제1 하체 지지부재(200_C1)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110)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제2 하체 지지부재(200_C2)가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복합 모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의 제3 복합 모드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모드 제어부(400)에 있어서, 상체 지지부(410)는 제1 상체 지지부재(200_A1)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110)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제2 상체 지지부재(200_A2)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하단부(130) 쪽으로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는 제3 복합 모드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복합 모드에 있어서, 요추 지지부(420)는 제1 요추 지지부재(200_B1)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110)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제2 요추 지지부재(200_B2) 및 제3 요추 지지부재(200_B3)가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되게 작동될 수 있다.
하체 지지부(430)는 제1 하체 지지부재(200_C1)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110)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제2 하체 지지부재(200_C2)가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200)의 상측에는, 상기 분절된 각 지지부재(200)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구비된 분절 매트리스(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분절된 각 지지부재(200)가 작동될 때, 분절 매트리스도 함께 작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각 지지부재는 공지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작동 모드에서 액츄에이터에 의해 지지부재가 제어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침대 프레임 110 : 침대 프레임 상단부
120 : 침대 프레임 중간부 130 : 침대 프레임 하단부
200 : 지지부재 200_A1 : 제1 상체 지지부재
200_A2 : 제2 상체 지지부재 200_B1 : 제1 요추 지지부재
200_B2 : 제2 요추 지지부 200_B3 : 제3 요추 지지부
200_C1 : 제1 하체 지지부재 200_C2 : 제2 하체 지지부재
300 : 액츄에이터 400 : 작동모드 제어부
410 : 상체 지지부 420 : 요추 지지부
430 : 하체 지지부

Claims (14)

  1. 침대 프레임;
    각각 분절되어 독립적인 동작이 가능하며, 상기 침대 프레임 상에 이격되어 병렬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
    상기 각 지지부재를 승강이동 및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통해 각 지지부재의 동작을 제어하여, 복수의 작동모드를 구현하는 작동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며,
    각 지지부재는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에 배치되는 상체 지지부, 침대 프레임의 중간부에 배치되는 요추 지지부 및 침대 프레임의 하단부 쪽에 배치되는 하체 지지부로 구분되며,
    각 지지부는 복수개의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침대 프레임의 각 단부에서 중간부로 갈수록 배치되는 지지부재의 폭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지지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의 이격 간격은
    상체 지지부, 하체 지지부 및 요추 지지부의 순서로 이격 간격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재는 7개로 구비되며,
    상체 지지부는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제1 상체 지지부재 및 침대 프레임의 중간부 방향에 배치되는 제2 상체 지지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요추 지지부는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방향에 배치되는 제1 요추 지지부재, 침대 프레임의 하단부 방향에 배치되는 제3 요추 지지부재 및 그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요추 지지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하체 지지부는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방향에 배치되는 제1 하체 지지부재 및 침대 프레임의 하단부 방향에 배치되는 제2 하체 지지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 제어부는 상체 지지부, 요추 지지부 및 하체 지지부 모두 기 설정된 기본 높이에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되는 기본 모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 제어부는 요추 지지부 및 하체 지지부를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상체 지지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제1 상체 모드를 구비하며,
    제1 상체 모드에 있어서,
    상체 지지부는 제1 상체 지지부재가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제2 상체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 제어부는 요추 지지부 및 하체 지지부를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상체 지지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제2 상체 모드를 구비하며,
    제2 상체 모드에 있어서,
    상체 지지부는 제1 상체 지지부재 및 제2 상체 지지부재가 동일한 평면을 유지한 상태에서, 각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 제어부는 요추 지지부 및 하체 지지부를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상체 지지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제3 상체 모드를 구비하며,
    제3 상체 모드에 있어서,
    상체 지지부는 제1 상체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제2 상체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하단부(130) 쪽으로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 제어부는 상체 지지부 및 하체 지지부를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요추 지지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요추 모드를 구비하며,
    요추 모드에 있어서,
    요추 지지부는 제1 요추 지지부재가 기 설정된 기본 높이에서 수평을 유지하고, 제2 요추 지지부재가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고, 제3 요추 지지부재의 상측이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 제어부는 상체 지지부 및 요추 지지부를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하체 지지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하체 모드를 구비하며,
    하체 모드에 있어서,
    하체 지지부는 제1 하체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제2 하체 지지부재가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 제어부는 하체 지지부를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상체 지지부 및 요추 지지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제1 복합 모드가 구비되며,
    제1 복합 모드에 있어서,
    상체 지지부는 제1 상체 지지부재가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제2 상체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요추 지지부는 제1 요추 지지부재가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면서, 제2 요추 지지부재가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고, 제3 요추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 제어부에 있어서,
    상체 지지부는 제1 상체 지지부재 및 제2 상체 지지부재가 동일한 평면을 유지한 상태에서, 각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는 제2 복합 모드가 구비되며,
    제2 복합 모드에 있어서,
    요추 지지부는 제1 요추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제2 요추 지지부재 및 제3 요추 지지부재가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되게 작동되며,
    하체 지지부는 제1 하체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제2 하체 지지부재가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 제어부에 있어서,
    상체 지지부는 제1 상체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제2 상체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하단부(130) 쪽으로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는 제3 복합 모드가 구비되며,
    제3 복합 모드에 있어서,
    요추 지지부는 제1 요추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제2 요추 지지부재 및 제3 요추 지지부재가 기 설정된 기본 높이 및 수평 상태로 유지되게 작동되며,
    하체 지지부는 제1 하체 지지부재의 상측이 침대 프레임의 상단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승되도록 작동되며, 제2 하체 지지부재가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분절된 각 지지부재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구비된 분절 매트리스가 더 구비되어,
    분절된 각 지지부재가 작동될 때, 분절 매트리스도 함께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

KR1020210150201A 2021-11-04 2021-11-04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 KR102582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201A KR102582370B1 (ko) 2021-11-04 2021-11-04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201A KR102582370B1 (ko) 2021-11-04 2021-11-04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739A true KR20230064739A (ko) 2023-05-11
KR102582370B1 KR102582370B1 (ko) 2023-09-25

Family

ID=8637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201A KR102582370B1 (ko) 2021-11-04 2021-11-04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37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11514U (ko) * 1985-03-19 1986-10-04 대원강업 주식회사 분절형 베드
KR101015387B1 (ko) * 2010-06-09 2011-02-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욕창방지를 위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자세변환주기가 제어되는 전동침대 플랫폼
KR101033857B1 (ko) * 2010-06-09 2011-05-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사용자 체형에 따라 회전축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전동침대용 플랫폼
CN210493409U (zh) * 2019-09-04 2020-05-12 浙江世道电器有限公司 多功能电动床
KR102131397B1 (ko) 2018-05-04 2020-07-08 유장호 모션침대
KR102171708B1 (ko) * 2019-08-28 2020-10-29 이경환 이분할 구조의 다단변형 모션침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11514U (ko) * 1985-03-19 1986-10-04 대원강업 주식회사 분절형 베드
KR101015387B1 (ko) * 2010-06-09 2011-02-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욕창방지를 위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자세변환주기가 제어되는 전동침대 플랫폼
KR101033857B1 (ko) * 2010-06-09 2011-05-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사용자 체형에 따라 회전축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전동침대용 플랫폼
KR102131397B1 (ko) 2018-05-04 2020-07-08 유장호 모션침대
KR102171708B1 (ko) * 2019-08-28 2020-10-29 이경환 이분할 구조의 다단변형 모션침대
CN210493409U (zh) * 2019-09-04 2020-05-12 浙江世道电器有限公司 多功能电动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370B1 (ko) 202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5277B2 (en) Adjustable bed
CN203693941U (zh) 一种电动升降病床
CN101309661A (zh) 床控制程序
JP6495604B2 (ja) 手術台
KR20100066564A (ko) 에어 매트리스 제어장치
CN108272586A (zh) 用于控制工作台运动的促动系统
CN104755055B (zh) 能够分离的床
CN101780003A (zh) 全自动升降医疗床及控制方法
KR20230064739A (ko) 다단 분절 작동모드를 갖는 침대 모션 제어시스템
US3579671A (en) Adjustable bed
JP5866495B2 (ja) 仰臥台のボトム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6240237B2 (ja) エアセル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エアセル制御システム
CN103169580B (zh) 腰椎颈椎调理床
WO2017038230A1 (ja) 寝台装置
CN202982452U (zh) 病床双升降机构
CN105156848A (zh) 一种平台自动水平系统
CN109106529A (zh) 一种电动多功能护理床
JP2008154795A (ja) 起立補助椅子
CN205750728U (zh) 一种充气型键盘高度调节装置及键盘
CN104873338A (zh) 液压缸式仰卧台的台面部的跳起防止机构
JP2015205220A (ja) 仰臥台
US9572736B2 (en) Adjustable bed with improved shear reducing mechanism
CN205144918U (zh) 一种可倾斜侧翻的病床结构
WO2018096447A1 (en) A mechanism for a scissor lift or a tilt system
CN107205873A (zh) 附接到医院病床的新型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