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519A -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519A
KR20230064519A KR1020220042583A KR20220042583A KR20230064519A KR 20230064519 A KR20230064519 A KR 20230064519A KR 1020220042583 A KR1020220042583 A KR 1020220042583A KR 20220042583 A KR20220042583 A KR 20220042583A KR 20230064519 A KR20230064519 A KR 20230064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alling
container body
guide
cu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지
Original Assignee
이인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지 filed Critical 이인지
Publication of KR20230064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송풍팬과 순환펌프를 작동시켜 용기본체 내부에 담겨진 물이 순환펌프에 의해 낙수체측으로 전달된 후 다시 용기본체 내부로 낙수커튼이 형성되도록 낙수시킨 후, 흡입송풍팬에 의해 용기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냄새가 낙수에 의해 형성된 낙수커튼을 통과하여 용기본체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여 냄새가 낙수커튼에 의해 제거되도록 하여 실내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며, 용기본체 내부에 담겨진 물의 오염물질이 폼타입필터에 의해 걸러지도록 하여 낙수커튼을 형성하는 낙수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부담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낙수체와 용기본체가 분리되기 때문에 용기본체 내부의 청소는 물론 용기본체 내부에 구비된 필터의 청소작업이 용이하며, 낙수에 의해 형성되는 낙수커튼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더불어 얻을 수 있으며, 냄새가 제거된 공기가 실내로 다시 배출될 때 살균처리되어 배출됨에 따라 실내의 향취를 더할 수 있으며, 배출되는 공기를 항균 필터링하여 배출할 수 있고 실내의 먼지와 습도를 감지하여 조절할 수 있는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The apparatus for removing smell using the exposuring type fall water curtain having interior function}
본 발명은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 잔류하는 냄새가 용기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노출형 낙수커튼을 통과함에 따라 냄새가 제거되도록 하고 용기본체 내부를 물이 순환되어 낙수커튼이 지속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용기본체 내부의 오염된 물이 필터에 의해 걸러지도록 하며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갈비나 삽겹살 등 육식을 전문적으로 조리 판매하는 점포에는 항상 고기냄새가 배어져 있다.
특히 삼겹살 등 돼지고기를 조리할 때 발산되는 냄새는 쇠고기의 그것보다 강하여 옷에 쉽게 배어 들뿐만 아니라 잘 빠지지 않아 지하철이나 버스 등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때 주변의 사람들에게 악취를 제공하게 되는 폐단이 있고, 육식을 제공하기 위한 사업장에서도 배이게 되는 퀘퀘한 냄새로 손님들로 하여금 쾌적한 환경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많은 사람이 모이는 장소에서는 개개인 또는 환경요인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불쾌한 냄새가 많이 나게 되는 바, 이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에는 일정간격으로 탈취제 또는 방향제를 분사하는 분무식 탈취기 등을 설치하여 실내의 불쾌한 냄새를 중화하게 된다.
또한 개인적으로 탈취제, 향수 등을 사용하면서 냄새를 제거 또는 중화하여 넓은 공공장소에서 타인에게 냄새에 따른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넓은 장소에서는 부분적으로 탈취 또는 방향제를 살포하여도 넓은 장소를 커버하면서 탈취를 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공간에 탈취제를 살포해도 사람들 개개인에게서 나는 냄새를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실내공간에 냄새가 많이 나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안출되고 있다.
일예로, 등록실용 20-0247008호인 활성탄 휠타를 이용한 냄새제거 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냄새제거 장치 본체에 내장된 활성탄 휠타 내부에 전열선을 장착, 공간내의 공기 과습으로 인한 여과 공기량 부족을 해소토록 하였고 , 활성탄 휠타 청소는 전열선으로 활성탄 휠타를 건조시킨후 모터출력축 끝단에 편심축을 장착, 활성탄 휠타에 케이스에 삽입시켜 모타 가동시 모타 편심축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이용 활성탄 휠타 표면의 이물질을 청소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활성탄 휠타를 이용 불쾌한 냄새를 제거함으로 실내 공간의 신선도를 유지, 주거 생활에 편익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활성탄을 수시로 교체해주어야 함에 따라 추가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 등록특허 10-1533983호인 음식 냄새 제거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내부가 비어 있고, 일측과 타측에는 유입부와 배출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배출공기를 강제 이송시키는 송풍부가 구비되고, 내부 중앙에는 수평으로 장착되는 구획판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구획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출공기의 유증기에 포함되는 기름성분을 물에 투입시켜 제거하는 기름성분 제거수단과, 상기 구획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배출공기에 포함되는 냄새와 환경오염성분을 필터링과 흡착을 통해 제거하는 냄새 제거수단과, 상기 본체의 배출공기 유입측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배출공기를 상기 기름성분 제거수단이나 냄새 제거수단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댐퍼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업소에서 배출되는 배출공기에 포함되는 음식 냄새를 제거함은 물론, 배출공기의 유증기에 포함되는 기름성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영세 사업자들의 경우 장치를 구입하여 설치하는데 발생되는 비용에 의한 부담을 갖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실용 20-0247008호(2001.09.05.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33983호(2015.06.29. 등록)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구입비용에 부담을 갖지 않을 뿐만 아니라 떨어지는 낙수에 의해 형성된 낙수커튼에 의해 흡입된 냄새가 낙수커튼을 통과하면서 제거되도록 하며 물의 순환동작에 의해 낙수커튼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낙수커튼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실내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며 냄새가 제거된 공기가 실내로 다시 배출될 때 살균처리되어 배출되도록 한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는, 전면 상단에 냄새유입공간이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덮어져 개방된 용기본체의 상부를 차단하고 흡입송풍팬을 갖는 낙수체와,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담겨진 물을 상기 낙수체측으로 순환하여 낙수체를 통해 다시 용기본체 내부로 낙수되도록 물공급관이 연결된 순횐펌프로 구비된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냄새유입공간 하단에는 제1필터가이드와 제2필터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1필터가이드와 제2필터가이드 사이에는 필터끼움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끼움공간부에 끼워져 용기본체 내부에 담겨진 물의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폼타입 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낙수체는, 상면 내측둘레부를 따라 낙수방지벽이 수직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어 용기본체의 상단 내면 둘레부에 밀착되는 밀착면과; 상기 밀착면의 상단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되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상기 밀착면의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는 안착지지면과; 상기 몸체의 상면을 관통하고 상기 순환펌프와 연결된 물공급관이 끼워지는 물공급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냄새유입공간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에 위치되게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물공급관이 끼워진 물공급부를 통해 몸체의 상면측으로 공급된 물이 유입되도록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월타입으로 수직 구비되고, 유입된 물이 용기본체 내부로 낙수되면서 낙수커튼이 형성되어 상기 흡입송풍팬에 의해 용기본체의 냄새유입공간을 통해 유입된 냄새를 씻어내도록 내면에 복수개 낙수가이드구멍이 관통되는 낙수커튼부와; 상기 몸체의 중앙 상면으로부터 수직 구비되어 상기 흡입송풍팬이 내부에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송풍부와; 상기 송풍부의 개방된 상부에 덮어지고 송풍부 내부에 구비되는 흡입송풍팬의 송풍력에 의해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개 공기배출구멍이 관통되는 지붕형 송풍가이드와; 상기 지붕형 송풍가이드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송풍부의 개방된 상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상단 내면에 안착턱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턱에 안착되는 향발산구를 갖는 향가이드와; 상기 순환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담겨진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용기본체의 내부에 담겨진 물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순환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수위감지부로 구비된다.
본 발명은 흡입송풍팬과 순환펌프를 작동시켜 용기본체 내부에 담겨진 물이 순환펌프에 의해 낙수체측으로 전달된 후 다시 용기본체 내부로 낙수커튼이 형성되도록 낙수시킨 후, 흡입송풍팬에 의해 용기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냄새가 낙수에 의해 형성된 낙수커튼을 통과하여 용기본체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여 냄새가 낙수커튼에 의해 제거되도록 하여 실내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며, 용기본체 내부에 담겨진 물의 오염물질이 폼타입필터에 의해 걸러지도록 하여 낙수커튼을 형성하는 낙수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부담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낙수체와 용기본체가 분리되기 때문에 용기본체 내부의 청소는 물론 용기본체 내부에 구비된 필터의 청소작업이 용이하며, 낙수에 의해 형성되는 낙수커튼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더불어 얻을 수 있으며, 냄새가 제거된 공기가 실내로 다시 배출될 때 살균처리되어 배출됨에 따라 실내의 향취를 더할 수 있으며, 배출되는 공기를 항균 필터링하여 배출할 수 있고 실내의 먼지와 습도를 감지하여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의 지붕형 송풍가이드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작용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의 낙수커튼형으로 낙수되는 물을 냄새가 통과하는 상태의 개념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의 설치상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센서감지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면 상단에 냄새유입공간(11)이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에 덮어져 개방된 용기본체(10)의 상부를 차단하고 흡입송풍팬(101)을 갖는 낙수체(20)와,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담겨진 물을 상기 낙수체(20)측으로 순환하여 낙수체를 통해 다시 용기본체(10) 내부로 낙수되도록 물공급관(31)이 연결된 순횐펌프(30)로 구비된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는 물이 담겨지는 것으로, 용기본체(10) 내부에 담겨진 물이 순환펌프(30)에 의해 물공급관(31)을 통해 낙수체(20)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상기 용기본체(10)의 냄새유입공간(11) 하단에는 제1필터가이드(41)와 제2필터가이드(42)가 구비되고, 상기 제1필터가이드(41)와 제2필터가이드(42) 사이에는 필터끼움공간부(43)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끼움공간부(43)에 끼워지되 상기 낙수체(20)의 몸체(21) 하면에 상단이 밀착되어 낙수되는 물이 직접적으로 떨어져 소음을 최소화하고 용기본체(10) 내부에 담겨진 물의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폼타입(foam type) 필터(40)가 구비된다.
상기 폼타입 필터(40)를 제1필터가이드(41)와 제2필터가이드(42) 사이에 구비된 필터끼움공간부(43)에 끼워 구비하는 이유는,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물이 담겨지기 때문인 것으로, 예를 들어 제1필터가이드(41)와 제2필터가이드(42)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에는 필터(40)가 용기본체(10) 내부에 담겨진 물에 의해 뜨게 되어 용기본체(10) 내부의 물에 대한 오염물질이 필터링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40)를 폼타입으로 구비함에 따라 필터(40)를 제1필터가이드(41)와 제2필터가이드(42) 사이에 구비된 필터끼움공간부(43)로부터 빼낸 후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 재 사용할 수 있어 필터의 사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필터를 새 것으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어 비용적으로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필터(40) 상단이 낙수체(20)의 몸체(21) 하면에 밀착되어 있음에 따라, 낙수체(20)를 통해 용기본체(10)측으로 물이 낙수될 때 낙수되는 물이 필터(40)에 직접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낙수에 의한 소음발생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낙수체(20)는 용기본체(10)의 냄새유입공간(11)측으로 물을 낙수시키되 낙수되는 물에 의해 낙수커튼이 냄새유입공간(11)에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하여 냄새유입공간(11)를 통과하는 냄새를 제거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상기 낙수체(20)는, 상면 내측둘레부를 따라 낙수방지벽(21a)이 수직 구비되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하단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어 용기본체(10)의 상단 내면 둘레부에 밀착되는 밀착면(22)과, 상기 밀착면(22)의 상단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되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상기 밀착면(22)의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는 안착지지면(23)과, 상기 몸체(21)의 상면을 관통하고 상기 순환펌프(30)와 연결된 물공급관(31)이 끼워지는 물공급부(24)와, 상기 용기본체(10)의 냄새유입공간(11)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에 위치되게 상기 몸체(21)의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물공급관(31)이 끼워진 물공급부(24)를 통해 몸체(21)의 상면측으로 공급된 물이 유입되도록 몸체(21)의 상면으로부터 월타입(wall type)으로 수직 구비되고, 유입된 물이 용기본체(10) 내부로 낙수되면서 낙수커튼이 형성되어 상기 흡입송풍팬(101)에 의해 용기본체(10)의 냄새유입공간(11)을 통해 유입된 냄새를 씻어내도록 내면에 복수개 낙수가이드구멍(25a)이 관통되는 낙수커튼부(25)와, 상기 몸체(21)의 중앙 상면으로부터 수직 구비되어 상기 흡입송풍팬(101)이 내부에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송풍부(26)와, 상기 송풍부(26)의 개방된 상부에 덮어지고 송풍부(26) 내부에 구비되는 흡입송풍팬(101)의 송풍력에 의해 용기본체(1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개 공기배출구멍(27a)이 관통되는 지붕형 송풍가이드(27)와, 상기 지붕형 송풍가이드(27)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송풍부(26)의 개방된 상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상단 내면에 안착턱(28a)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턱(28a)에 안착되는 향발산구(28b)를 갖는 향가이드(28)와, 상기 순환펌프(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담겨진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담겨진 물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순환펌프(3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수위감지부(29)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낙수체(20)가 쉽게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낙수체(20)를 용기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용기본체(10)의 내부는 물론 필터(40)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담겨지는 물이 오염되면 오염된 물을 버리고 깨끗한 물을 채워 재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작용은, 흡입송풍팬(101)과 순환펌프(30)를 구동시키면, 순환펌프(30)의 구동에 의해 순환펌프(30)와 연결된 물공급관(31) 및 이 물공급관(31)이 끼워진 물공급부(24)를 통해 용기본체(10) 내부에 담겨진 물이 낙수체(20)의 몸체(21) 상면측으로 공급된다.
또한, 낙수체(20)의 몸체(21) 상면에 공급된 물이 낙수체(20)의 몸체(21) 상면에 채워지면서 상기 낙수커튼부(25)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낙수커튼부(25)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낙수커튼부(25)의 내면에 복수개 구비된 낙수가이드구멍(25a)을 통해 용기본체(10)의 내부로 낙수되는 것으로, 순환펌프(30)의 계속적인 동작에 의해 용기본체(10)의 내부로 물이 계속해서 낙수커튼을 형성하면서 낙수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 구비된 낙수가이드구멍(25a) 전체를 통해 물이 용기본체(10)측으로 낙수되기 때문에, 상기 용기본체(10)의 냄새유입공간(11)에 전체적으로 낙수커튼이 형성되어 냄새유입공간(11)을 통과한 냄새가 깨끗하게 제거된다.
또한, 냄새가 제거된 용기본체(10)의 공기는, 상기 흡입송풍팬(101)에 의해 송풍부(26)측으로 유입된 후 송풍부(26)의 상부를 덮고 있는 지붕형 송풍가이드(27)의 복수개 공기배출구멍(27a)을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실내의 냄새가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붕형 송풍가이드(27)의 일측에 구비된 향가이드(28)를 통해서도 용기본체(10)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가 배출되는 바, 이 때 향가이드(28)의 안착턱(28a)에 안착된 향발산구(28b)를 통과한 후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실내측으로 향이 발산될 수 있어 실내 공기에 대한 냄새를 제거함과 동시에 실내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낙수체(20)의 상면 및 낙수커튼부(25)에는, 상기 물공급부(24)를 통해 낙수체(20)의 상면에 공급되는 물이 상기 낙수체(20)의 낙수방지벽(21a)을 넘어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기 낙수방지벽(21a)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상단이 낙수체(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하단은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위치되는 물배수부(5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물배수부(50)의 하단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위치하되 용기본체(10) 내부에 담겨진 물속으로 담겨지도록 위치되는 것으로, 이는 물배수부(50)를 통해 물이 배수될 때 발생되는 소음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물배수부(50)의 상단이 낙수체(20)의 몸체(21)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되 높이가 낙수방지벽(21a)의 높이보다 낮게 돌출되기 때문에, 낙수체(20)의 몸체(21) 상면에 공급되는 물이 낙수방지벽(21a)을 넘어 흘러 내리기 전, 상기 물배수부(50)를 통해 용기본체(10)의 내부로 배수되어 물이 낙수방지벽(21a) 밖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낙수체(20)의 송풍부(26) 상단 내면에는 상기 지붕형 송풍가이드(27)측으로 호형진 탄성지지편(61)이 연장 구비되고, 상기 탄성지지편(61)에는 살균램프(60)가 탄성적으로 안착 구비된다.
이 때 살균램프(60)가 안착되는 탄성지지편(61)을 지붕형 송풍가이드(27)측으로 호형지게 구비하는 이유는, 살균램프(60)를 견고하게 받쳐 지지함은 물론 살균램프(60)를 교체할 때 탄성지지편(61)이 상부측으로 고장난 살균램프(60)를 쉽게 분리하고, 새 것의 살균램프(60)를 탄성지지편(61)의 상붙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살균램프(60)를 탄성지지편(61)측으로 밀어 쉽게 끼워 설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흡입송풍팬(101)에 의해 용기본체(10)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가 지붕형 송풍가이드(27)의 복수개 공기배출구멍(27a)과 상기 향가이드(28)를 통해 배출될 때 공기에 잔류하는 오염물질이 상기 살균램프(60)에 의해 살균처리되기 때문에 실내측으로 청결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본체(10)의 냄새유입공간(11)측으로 낙수되는 물에 의해 형성되는 낙수커튼이 용기본체(10)의 개방된 냄새유입공간(11)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실내에 마치 폭포수가 떨어지는 느낌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살균램프(60)를 통해 발광되는 빛이 지붕형 송풍가이드(27)의 복수개 공기배출구멍(27a)을 통해 밖으로 발광됨에 따라 실내의 조명효과는 물론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더불어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용기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된 낙수체(20)의 중앙에 지붕형 송풍가이드(27)가 구비되고 상기 지붕형 송풍가이드(27)의 일측에 굴뚝형 향발산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전제적으로 주택형상을 갖을 수 있어 낙수체(20)의 몸체(21) 상면에 다양한 수생식물을 심어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70)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고, 먼지에 의한 실내공기의 오염을 감지하는 먼지감지센서(81)와, 실내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82)와, 상기 제어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먼지감지센서(81) 및 습도감지센서(82)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이 설정값 이하일 경우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고, 설정값 이상일 경우 반복적인 점멸에 의해 알려주는 센서감지램프(8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먼지감지센서(81)와 습도감지센서(82)가 상기 제어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됨에 따라, 실내의 먼지를 실시간 감지하고 실내의 습도 역시 실시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먼지감지센서(81)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올라가거나 또는 습도감지센서(82)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올라가면, 상기 제어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센서감지램프(83)가 반복적으로 점멸되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반복 점멸되는 센서감지램프(83)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실내의 공기오염과 습도의 높음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10)에 담겨진 물을 새 것으로 교체하여 상기 낙수체(20)의 낙수커튼부(25)를 통해 깨끗한 물이 낙수되도록 하여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거나 상기 송풍팬(101)의 작동을 일시 중지하여 송풍가이드(27)를 통해 실내측으로 공기 배출을 조절하면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낙수체(20)의 송풍부(26) 내면에는 상기 송풍팬(101)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지지대(91)가 구비되고, 상기 송풍부(26)에는 상기 가이드지지대(91)와 연통되는 인출입구멍(92)이 통공되며, 상기 인출입구멍(92)을 통해 송풍부(26)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가이드지지대(92)에 의해 하단이 받쳐 지지되어 송풍팬(101)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항균필터(9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송풍팬(101)에 의해 상기 송풍가이드(27)를 통해 공기가 송풍되어 공기배출구멍(27a)을 통해 공기가 배출될 때 상기 항균필터(9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 잔류하는 유해균을 필터링한 후 공기배출구멍(27a)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도록 하여 실내 공기를 보다 청결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항균필터(90)는 상기 인출입구멍(92)을 통해 송풍부(26)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송풍부(26)로부터 빼낼 수 있기 때문에, 항균필터(90)의 교체성이 용이하며, 항균필터(90)를 송풍팬(101)의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구비하는 이유는 송풍팬(101)에 의해 송풍가이드(27)의 공기배출구멍(27a)측으로 송풍되는 공기가 항균필터(90)를 통해 필터링됨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물공급관(31)에 의해 순환펌프(30)와 연결되어 물을 상기 낙수체(20)의 몸체(21) 상면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24)는 낙수체(20) 몸체(21)의 상면과 수평선상(a)으로 위치된다.
또한, 상기 물배수부(50)는, 상기 낙수체(20) 몸체(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높이(b)를 갖도록 수직 돌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물공급부(24)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물배수부(50)를 통해 낙수되기 전, 돌출높이(b)에 의해 낙수체(20)의 몸체(21) 상면에 채워지기 때문에, 낙수체(20) 몸체(21)에 채워진 물에 의해 상기 물공급부(24)를 통해 낙수체(20)의 몸체(21) 상면측으로 물이 공급될 때 발생되는 물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낙수체(20) 몸체(21)의 상면에는 수질측정기(101)를 끼워 거치할 수 있는 수질측정기거치부(1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질측정기거치부(110)의 전면과 후면에는, 낙수체(20) 몸체(21)의 상면에 채워지는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부(111)가 각각 개방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순환펌프(30)에 의해 물공급부(24)를 통해 낙수체(20)의 몸체(21) 상면측으로 공급되어 물배수부(50)를 통해 배수 전 채워진 물이 수질측정거치부(1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개방 구비되는 물유입부(111)를 통해 수질측정거치부(110)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수질측정거치부(110)에 끼워져 거치된 수질측정기(101)에 의해 수질오염도가 측정된다.
이에 따라, 순환펌프(30)에 의해 순환되는 용기본체(10) 내부의 물 오염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물이 오염되면 용기본체(10) 내부의 물을 새 것으로 교체하면 되는 것으로, 물의 오염을 쉽게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항상 깨끗한 물이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용기본체 11 : 냄새유입공간
20 : 낙수체 21 : 몸체
21a : 낙수방지벽 22 : 밀착면
23 : 안착지지면 24 : 물공급부
25 : 낙수커튼부 25a : 낙수가이드구멍
26 : 송풍부 27 : 송풍가이드
27a : 공기배출구멍 28 : 향가이드
28a : 안착턱 28b : 향발산구
29 : 수위감지부 30 : 순환펌프
31 : 물공급관 40 : 필터
41 : 제1필터가이드 42 : 제2필터가이드
43 : 필터끼움공간부 50 : 물배수부
60 : 살균램프 61 : 탄성지지편
70 : 제어부 81 : 먼지감지센서
82 : 습도감지센서 83 : 센서감지램프
90 : 항균필터 91 : 가이드지지대
92 : 인출입구멍 110 : 수질측정기거치부
111 : 물유입부 101 : 수질측정기

Claims (5)

  1. 전면 상단에 냄새유입공간(11)이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에 덮어져 개방된 용기본체(10)의 상부를 차단하고 흡입송풍팬(101)을 갖는 낙수체(20)와,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담겨진 물을 상기 낙수체(20)측으로 순환하여 낙수체를 통해 다시 용기본체(10) 내부로 낙수되고 낙수된 물은 물공급관(31)이 연결된 순횐펌프(30)를 통해 낙수체(20)의 몸체(21) 상면으로 재공급되도록 구비된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의 냄새유입공간(11) 하단에는 제1필터가이드(41)와 제2필터가이드(42)가 구비되고, 상기 제1필터가이드(41)와 제2필터가이드(42) 사이에는 필터끼움공간부(43)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끼움공간부(43)에 끼워지되 상기 낙수체(20)의 몸체(21) 하면에 상단이 밀착되어 낙수되는 물이 직접적으로 떨어져 소음을 최소화하고 용기본체(10) 내부에 담겨진 물의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폼타입(foam type) 필터(40)가 구비되며,
    상기 낙수체(20)는,
    상면 내측둘레부를 따라 낙수방지벽(21a)이 수직 구비되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하단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어 용기본체(10)의 상단 내면 둘레부에 밀착되는 밀착면(22)과; 상기 밀착면(22)의 상단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되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상기 밀착면(22)의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는 안착지지면(23)과; 상기 몸체(21)의 상면을 관통하고 상기 순환펌프(30)와 연결된 물공급관(31)이 끼워지고 용기본체(10) 내부의 물을 낙수체(20) 몸체(21)의 상면측으로 공급하는 물공급부(24)와; 상기 용기본체(10)의 냄새유입공간(11)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에 위치되게 상기 몸체(21)의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물공급관(31)이 끼워진 물공급부(24)를 통해 몸체(21)의 상면측으로 공급된 물이 유입되도록 몸체(21)의 상면으로부터 월타입(wall type)으로 수직 구비되고, 유입된 물이 용기본체(10) 내부로 낙수되면서 낙수커튼이 형성되어 상기 흡입송풍팬(101)에 의해 용기본체(10)의 냄새유입공간(11)을 통해 유입된 냄새를 씻어내도록 내면에 복수개 낙수가이드구멍(25a)이 관통되는 낙수커튼부(25)와; 상기 몸체(21)의 중앙 상면으로부터 수직 구비되어 상기 흡입송풍팬(101)이 내부에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송풍부(26)와; 상기 송풍부(26)의 개방된 상부에 덮어지고 송풍부(26) 내부에 구비되는 흡입송풍팬(101)의 송풍력에 의해 용기본체(1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개 공기배출구멍(27a)이 관통되는 지붕형 송풍가이드(27)와; 상기 지붕형 송풍가이드(27)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송풍부(26)의 개방된 상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상단 내면에 안착턱(28a)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턱(28a)에 안착되는 향발산구(28b)를 갖는 향가이드(28)와; 상기 순환펌프(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담겨진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담겨진 물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순환펌프(3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수위감지부(29)로 구비되며,
    상기 송풍팬(101)과 순환펌프(30)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70)가 구비되며,
    상기 낙수체(20)의 상면 및 낙수커튼부(25)에는,
    상기 물공급부(24)를 통해 낙수체(20)의 상면에 공급되는 물이 상기 낙수체(20)의 낙수방지벽(21a)을 넘어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기 낙수방지벽(21a)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상단이 낙수체(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하단은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위치되는 물배수부(5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물공급부(24)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물배수부(50)를 통해 낙수되기 전, 상기 낙수체(20) 몸체(21)에 채워진 물에 의해 상기 물공급부(24)를 통해 낙수체(20)의 몸체(21) 상면측으로 물이 공급될 때 발생되는 물소음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물공급관(31)에 의해 순환펌프(30)와 연결되어 물을 상기 낙수체(20)의 몸체(21) 상면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24)는 낙수체(20) 몸체(21)의 상면과 수평선상(a)으로 위치되고,
    상기 물배수부(50)는,
    상기 낙수체(20) 몸체(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높이(b)를 갖도록 수직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체(20)의 송풍부(26) 상단 내면에는, 상기 지붕형 송풍가이드(27)측으로 호형진 탄성지지편(61)이 연장 구비되고,
    상기 탄성지지편(61)에는, 흡입송풍팬(101)에 의해 용기본체(10)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가 지붕형 송풍가이드(27)의 복수개 공기배출구멍(27a)과, 상기 향가이드(28)를 통해 배출될 때 공기에 잔류하는 오염물질을 살균하는 살균램프(60)가 탄성적으로 안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고,
    먼지에 의한 실내공기의 오염을 감지하는 먼지감지센서(81)와 ;
    실내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82)와;
    상기 제어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먼지감지센서(81) 및 습도감지센서(82)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이 설정값 이하일 경우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고, 설정값 이상일 경우 반복적인 점멸에 의해 알려주는 센서감지램프(8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체(20)의 송풍부(26) 내면에는 상기 송풍팬(101)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지지대(91)가 구비되고,
    상기 송풍부(26)에는 상기 가이드지지대(91)와 연통되는 인출입구멍(92)이 통공되며,
    상기 인출입구멍(92)을 통해 송풍부(26)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가이드지지대(92)에 의해 하단이 받쳐 지지되어 송풍팬(101)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항균필터(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체(20) 몸체(21)의 상면에는 수질측정기(101)를 끼워 거치할 수 있는 수질측정기거치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수질측정기거치부(110)의 전면과 후면에는, 낙수체(20) 몸체(21)의 상면에 채워지는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부(111)가 각각 개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
KR1020220042583A 2021-11-02 2022-04-06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 KR202300645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512 2021-11-02
KR20210148512 2021-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519A true KR20230064519A (ko) 2023-05-10

Family

ID=86386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583A KR20230064519A (ko) 2021-11-02 2022-04-06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451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008Y1 (ko) 2001-06-09 2001-10-17 최태영 활성탄 휠타를 이용한 냄새제거 장치
KR101533983B1 (ko) 2014-03-27 2015-07-03 주식회사 제이케이글로벌 음식 냄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008Y1 (ko) 2001-06-09 2001-10-17 최태영 활성탄 휠타를 이용한 냄새제거 장치
KR101533983B1 (ko) 2014-03-27 2015-07-03 주식회사 제이케이글로벌 음식 냄새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953B1 (ko) 흡연 부스용 악취 및 연기 제거방법 및 그 장치
US7722708B2 (en) Ai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6374638B2 (ja) 汚染物質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清浄維持システム
JP5192745B2 (ja) 表示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KR100867110B1 (ko) 방향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JP2000070055A (ja) 衣服収納ロッカー
KR102329659B1 (ko) 옷장용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US5727262A (en) Bathroom ventilator
CN209763350U (zh) 一种卫生间用空气净化除湿装置
US20130276220A1 (en) Odor eliminating apparatus for toilets and the like
KR20230064519A (ko)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노출형 낙수커튼을 이용한 냄새 제거장치
CN113260444B (zh) 空气净化装置
KR100893635B1 (ko) 벽천을 장착한 에어컨
JP2007003088A (ja) 調理廃気浄化装置
KR100564648B1 (ko)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재순환레인지후드
KR200406718Y1 (ko) 벽부착형 냄새제거기
KR20190055869A (ko) 공기 청정기
KR101671743B1 (ko) 위생 세정 장치
JP4014543B2 (ja) 医療器具用の除菌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医療器具用の保管庫
KR20050006518A (ko) 세척 및 살균, 건조가 가능한 핸드 크리닝 장치
JPH10128029A (ja) 空気清浄装置
KR20210093105A (ko) 신발관리장치
KR100998519B1 (ko)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
KR102261970B1 (ko) 신발 소독장치
KR20210120274A (ko)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