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464A - 스윙유닛이 구비된 벌크 백 개포기 - Google Patents

스윙유닛이 구비된 벌크 백 개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464A
KR20230064464A KR1020210150075A KR20210150075A KR20230064464A KR 20230064464 A KR20230064464 A KR 20230064464A KR 1020210150075 A KR1020210150075 A KR 1020210150075A KR 20210150075 A KR20210150075 A KR 20210150075A KR 20230064464 A KR20230064464 A KR 20230064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k bag
unit
swing unit
bulk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0360B1 (ko
Inventor
강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모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모아이
Priority to KR1020210150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360B1/ko
Publication of KR20230064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08Opening and empty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3Devices for tilting and empty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38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크 백을 이송하는 이송유닛과, 이송된 상기 벌크 백을 절개하는 절개유닛과, 내용물을 호퍼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유닛으로 구성된 벌크 백 개포기에 있어서,
상기 벌크 백 개포기에는, 벌크 백의 외측에 일정간격 이격된채로 구비되어 상기 벌크 백으로 진입하는 길이조절수단과, 상기 길이조절수단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벌크 백을 그립하는 그립수단으로 구성된 스윙유닛;이 포함되어 상기 벌크 백의 내부에 잔존한 내용물이 털어져 비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유닛이 구비된 벌크 백 개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윙유닛이 구비된 벌크 백 개포기{bulk bag cutting device with swing unit}
본 발명은 스윙유닛이 구비된 벌크 백 개포기에 관한 것으로, 벌크 백의 내부를 비운 후에 벌크 백을 스윙하도록 하여 내부에 잔존한 내용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벌크 백은 비료, 곡물, 광물, 등 원자재를 담아서 적재하거나 이송에 사용하는 포대이며, 톤 백이라고 불러지기도 한다.
벌크 백은 사용용도에 따라서 분체(powder) 같은 내용물을 담는데 제품에 수분이나 습기가 들어가면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고객에게 배송할 때 클레임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벌크 백을 기본적으로 방수처리하여 제작하게 된다. 방수처리는 벌크 백의 단가를 상승시키므로 고객 외 자체적으로 계속적으로 재사용하기 위해 벌크 백을 절개하는 것이 아니라 하부 고리를 풀거나 묶는 타입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벌크 백을 하부를 절개하여 내용물을 옮기는데 벌크 백을 절개하고 나면 펠릿(pellet) 제품은 무게가 있어서 호퍼(hopper)로 잘 떨어지나, 분체(powder) 제품은 비중이 낮고 백 안의 실밥 사이나 모서리 부분에 끼어서 잘 빠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KR 10-1671695 B1 "자동 포대절개장치" KR 10-2024880 B1 "톤백 언로딩 시스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벌크 백 개봉하여 내용물을 배출한 후 벌크 백 내부에 잔존한 내용물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윙유닛이 구비된 벌크 백 개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벌크 백을 이송하는 이송유닛과, 이송된 상기 벌크 백을 절개하는 절개유닛과, 내용물을 호퍼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유닛으로 구성된 벌크 백 개포기에 있어서, 상기 벌크 백 개포기에는, 벌크 백의 외측에 일정간격 이격된채로 구비되어 상기 벌크 백으로 진입하는 길이조절수단과, 상기 길이조절수단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벌크 백을 그립하는 그립수단으로 구성된 스윙유닛;이 포함되어 상기 벌크 백의 내부 잔존물이 털어져 비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유닛이 구비된 벌크 백 개포기를 제공한다.
상기 스윙유닛에는, 진동기(vibrator)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실린더 또는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윙유닛에는, 상기 길이조절수단과 연결 설치되어 상기 벌크 백의 측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유닛은, 하강하는 상기 벌크 백의 하부면의 대각이 상호 가로질러 절개되도록 중심에서 4방향으로 칼날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벌크 백을 하강하여 상기 배출유닛의 호퍼 상부에 안착시키고, 상기 절개유닛에 의해 상기 벌크 백을 절개한 후,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상승 속도를 조절하여 벌크 백 내부의 내용물이 자연스럽게 흘려서 상기 호퍼로 이송되어 분진 발생을 최소화하고, 상기 스윙유닛이 일정높이 상승된 벌크 백을 그립하여 스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벌크 백을 이동시키고 개포하여 내용물을 비우고 난 후, 벌크 백을 그립한채로 흔들어서 잔존한 내용물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다.
벌크 백을 좌,우 다양한 방법으로 스윙시킬 수 있으며, 진동을 가하여 벌크백의 잔존한 내용물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윙에 의해 벌크 백의 잔존한 내용물을 제거하므로 분체(powder) 개포시에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인 벌크 백 개포기의 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벌크 백 개포기의 절개유닛의 일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벌크 백 개포기의 절개유닛의 이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벌크 백 개포기의 스윙유닛을 적용한 일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벌크 백 개포기의 스윙유닛을 적용한 이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벌크 백 개포기의 스윙유닛을 적용함 삼 실시예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 나타난 바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벌크 백을 이송하는 이송유닛과, 이송된 상기 벌크 백을 절개하는 절개유닛과, 내용물을 호퍼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유닛으로 구성된 벌크 백 개포기에 있어서, 스윙유닛이 더 구비되어 벌크 백의 내부에 잔존한 내용물을 털어서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벌크 백 개포기의 실시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벌크 백 개포기의 절개유닛의 일 실시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벌크 백 개포기의 절개유닛의 이 실시예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벌크 백 개포기의 스윙유닛을 적용한 일 실시예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벌크 백 개포기의 스윙유닛을 적용한 이 실시예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벌크 백 개포기의 스윙유닛을 적용함 삼 실시예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인 벌크 백 개포기는 크게 기본적으로 프레임(100)을 기초로 하여 벌크 백을 그립하여 로딩, 언로딩 하는 이송유닛(200)이 설치되고, 이송유닛(200)에 의해 이동된 벌크 백의 하부를 절개하는 절개유닛(300, 도 2, 3)이 설치되며, 절개유닛(300)의 하부에는 호퍼로 구성된 배출유닛(400)이 설치되며, 배출유닛(400)의 상부에는 스윙유닛(500, 도 4, 5, 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200)은 벌크 백을 상부에서 그립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며, 더하여 프레임(100)에 슬라이딩 수단이 설치되어 전,후,좌,우로 수평면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a)에 도시된 절개유닛(300)은 벌크 백의 하부를 절개하는 장치이다. 벌크 백(10)이 이송유닛에 의해 하강하게 되면 벌크 백의 하중이 절개유닛(300)의 4방향의 십자 형태의 칼날에 작용하여 벌크 백(10)의 하부면이 도2(c)의 평면처럼 4면으로 절개되고, 도 2(b)의 측면처럼 하부의 절개된 부분을 통해 내용물이 하중에 의해 펼쳐지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절개유닛(300)은 원형의 회전칼날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벌크 백의 하부를 절개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도 3(a)에서 이동하는 회전칼날(340)이 벌크 백(10)의 하부면 모서리에 맞게 총 3개소에 가이드라인(320)이 위치하여 각 가이드라인(320)에 각각의 회전칼날(340)이 이동하여 한 모서리만 남기고 하부를 절개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은 도 3(b)에서 회전칼날(340)이 벌크 백(10)의 하부면 3개의 모서리를 따라 이동되도록 'U'자 형 가이드라인을 따라 회전칼날(340)이 반대편으로 이동하여 벌크 백(10)의 한 모서리만 남기고 하부를 절개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다음 벌크 백(10)을 절개시에는 반대편에서 시작하게 된다.
상기의 가이드라인(320)은 밸트, LM가이드 등 회전칼날(34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는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한편, 벌크 백을 절개할 때에는 회전칼날(340)에 스프링이나 공압실린더가 더 설치되게 하여 벌크 백에 대한 가압력 조절을 하여 항상 밀착된 상태로 커팅되게 할 수 있다.
이렇듯 절개유닛(300)에 의해 절개를 하고 나면, 하부에 호퍼가 위치한 배출유닛(400, 도 1)을 통하여 벌크 백의 내용물이 쏟아지게 되어 배출할 수 있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스윙유닛(500)을 통하여 벌크 백 내부의 잔존한 내용물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
스윙유닛(500)은 벌크 백(10)을 스윙시킬 수 있는 것으로 길이조절수단(520)과 그립수단(54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윙유닛(500)은 최소 하나 이상으로 하며, 벌크 백의 측면에 맞게 대향되는 위치에 2개소 또는 각 측면에 맞게 4개소 설치할 수 있다.
길이조절수단(520)은 그립수단(540)을 벌크 백(10)의 측면 둘레로 밀착 또는 이격 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이다. 본 발명에서는 공압실린더에 의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공압실린더 외에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서 바(bar)의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립수단(540)은 벌크 백의 측면을 고정하는 것으로, 집게형태로 하여 벌크 백의 다양한 부분을 그립할 수 있다.
또한, 벌크 백의 측면을 그립할 때 벌크 백의 하부, 중간, 상부 등을 조절하여 그립할 수 있도록 모터를 이용하여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거나 수동으로 세팅하여 벌크 백의 측면 높이를 조절하여 잡을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이 상기 스윙유닛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조절수단은 길이조절수단과 그립수단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높이조절수단, 길이조절수단, 그립수단 순으로 설치하여 높이를 조절한 다음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그립수단으로 벌크백의 그립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5(a)의 측면도와, 도 5(b)의 평면도 에서는 그립수단(540)이 벌크 백(10)의 절개된 하면의 양측을 그립할 수 있으며 상호 다른 방향으로 스윙하여 벌크 백(10)의 잔존한 내용물을 제거할 수 있다. 물론, 같은 방향으로도 스윙할 수 있다.
도 4에서 벌브 백(10)의 하면이 4개소(A,B,C,D) 절개된 경우 각각 그립수단(540)으로 각 면을 그립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6에서 또 다른 방법으로 벌크 백(10)의 측면 둘레의 각 모서리를 그립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그립수단(540)에 의해 벌크 백의 절개면을 고정하면 액츄에이터의 설정된 길이만큼 반복 작동에 의해 스윙하는 공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스윙유닛(500)의 자체에 진동기(vibrator)가 설치되게 하여 작동시킬 수도 있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상기 스윙유닛(500)에는, 상기 길이조절수단(520)과 연결 설치되어 상기 벌크 백의 측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동수단은 벌크 백(10)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게 하여 벌크 백이 절개되는 면이 측면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위치를 조절하여 길이조절수단(520)이 정확히 절개면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은 프레임에 설치되게 하여 길이조절수단(52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동수단은 LM GUIDE나 LM SHAFT와 사각 레일이나 원형 레일에 캠팔로워 베어링이나 V홈 베어링을 사용하여 이동도 가능하며, 어떠한 형태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인 스윙유닛이 구비된 벌크 백 개포기는 개포된 벌크 백을 스윙유닛을 이용하여 스윙할 수 있는데 벌크 백의 측면 또는 측면 모서리 또는 하면의 절개된 면의 위치를 찾아 이동수단에 의해 수평이동,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수직 이동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다양한 방법으로 스윙시킬 수 있다. 더하여 진동기를 장착하여 스윙에 진동을 부가할 수도 있어 그 활용도가 높으며 특히 분체(powder) 제거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벌크 백을 하강하여 호퍼 상부의 메쉬 플레이트나 안착 가이드에 벌크 백을 안착하여 고정한 뒤 벌크 백을 커팅 한다. 이 후에 벌크 백을 언로더나 호이스트로 천천히 상승 시켜서 분진이 최소화 되도록 올려서 벌크 백의 커팅된 부분이 제품을 자연스럽게 흘려서 호퍼로 보내게 된다. 벌크 백을 이송유닛인 언로더나 호이스트로 천천히 들어올리면서 분진 발생을 최소화하고, 일정한 높이만큼 들어 올린 후 벌크 백을 스윙유닛에 의해 그립하여 스윙하는데 절개면을 호퍼 하부에 설치된 메쉬 플레이트나 안착 가이드에 마찰하면서 같이 털어주게 작동을 세팅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스윙유닛이 구비된 벌크 백 개포기의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프레임
200: 이송유닛
300: 절개유닛
320: 가이드라인
340: 회전칼날
400: 배출유닛
500: 스윙유닛
520: 길이조절수단
540: 그립수단

Claims (6)

  1. 벌크 백을 이송하는 이송유닛과, 이송된 상기 벌크 백을 절개하는 절개유닛과, 내용물을 호퍼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유닛으로 구성된 벌크 백 개포기에 있어서,
    상기 벌크 백 개포기에는,
    벌크 백의 외측에 일정간격 이격된채로 구비되어 상기 벌크 백으로 진입하는 길이조절수단과, 상기 길이조절수단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벌크 백을 그립하는 그립수단으로 구성된 스윙유닛;이 포함되어,
    상기 벌크 백의 내부 잔존물이 털어져 비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유닛이 구비된 벌크 백 개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유닛에는,
    진동기(vibrator)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유닛이 구비된 벌크 백 개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실린더 또는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유닛이 구비된 벌크 백 개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유닛에는,
    상기 길이조절수단과 연결 설치되어 상기 벌크 백의 측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유닛이 구비된 벌크 백 개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유닛은,
    하강하는 상기 벌크 백의 하부면의 대각이 상호 가로질러 절개되도록 중심에서 4방향으로 칼날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유닛이 구비된 벌크 백 개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벌크 백을 하강하여 상기 배출유닛의 호퍼 상부에 안착시키고, 상기 절개유닛에 의해 상기 벌크 백을 절개한 후,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상승 속도를 조절하여 벌크 백 내부의 내용물이 자연스럽게 흘려서 상기 호퍼로 이송되어 분진 발생을 최소화하고, 상기 스윙유닛이 일정높이 상승된 벌크 백을 그립하여 스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유닛이 구비된 벌크 백 개포기.
KR1020210150075A 2021-11-03 2021-11-03 스윙유닛이 구비된 벌크 백 개포기 KR102660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075A KR102660360B1 (ko) 2021-11-03 2021-11-03 스윙유닛이 구비된 벌크 백 개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075A KR102660360B1 (ko) 2021-11-03 2021-11-03 스윙유닛이 구비된 벌크 백 개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464A true KR20230064464A (ko) 2023-05-10
KR102660360B1 KR102660360B1 (ko) 2024-04-24

Family

ID=86386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075A KR102660360B1 (ko) 2021-11-03 2021-11-03 스윙유닛이 구비된 벌크 백 개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36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5225A (ja) * 2000-11-09 2002-05-22 Hosokawa Micron Corp 粉粒物収容袋体の内容物排出装置
KR101671695B1 (ko) 2016-07-20 2016-11-03 주식회사 토모아이 자동 포대절개장치
JP2018131260A (ja) * 2017-02-17 2018-08-23 ユーグロップ株式会社 フレコンの開封方法とフレコンの開封装置
KR102024880B1 (ko) 2018-05-28 2019-11-04 주식회사 토모아이 톤백 언로딩 시스템
CN110683144A (zh) * 2019-11-20 2020-01-14 淮阴工学院 一种吨袋自动解袋装置及解袋方法
CN214113109U (zh) * 2020-10-13 2021-09-03 邯郸市鼎正重型机械有限公司 一种拆包机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5225A (ja) * 2000-11-09 2002-05-22 Hosokawa Micron Corp 粉粒物収容袋体の内容物排出装置
KR101671695B1 (ko) 2016-07-20 2016-11-03 주식회사 토모아이 자동 포대절개장치
JP2018131260A (ja) * 2017-02-17 2018-08-23 ユーグロップ株式会社 フレコンの開封方法とフレコンの開封装置
KR102024880B1 (ko) 2018-05-28 2019-11-04 주식회사 토모아이 톤백 언로딩 시스템
CN110683144A (zh) * 2019-11-20 2020-01-14 淮阴工学院 一种吨袋自动解袋装置及解袋方法
CN214113109U (zh) * 2020-10-13 2021-09-03 邯郸市鼎正重型机械有限公司 一种拆包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0360B1 (ko) 202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53235A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emptying a container
US3757973A (en) Method of removing contents from container
KR102024880B1 (ko) 톤백 언로딩 시스템
CN206886248U (zh) 一种用于粉料的投料站
US612023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mptying containers for flowable materials such as comminuted tobacco leaves
CN107285055B (zh) 一种自适应抓手式的卸料装置及卸料方法
WO2008027303A2 (en) Continuous bulk bag discharging facility
CN110683145B (zh) 包装袋自动拆包系统及其拆袋分离机构
CN108910197B (zh) 振动除残料式自动拆包卸料方法
CN108861651B (zh) 一种用于集装袋的翻板式卸料装置
KR102057571B1 (ko) 플랫보드 그립장치
CN108860868B (zh) 振动除残料式自动拆包卸料装置
EP2857144B1 (en) A machine for drag finishing of mechanical parts
KR20230064464A (ko) 스윙유닛이 구비된 벌크 백 개포기
ES528989A0 (es) Dispositivo para cerrar y vaciar continuamente el recipiente de una maquina de tratamiento de materiales, por ejemplo una maquina trituradora de desperdicio de basura.
CN219116377U (zh) 一种用于物料固定姿态理料的柔性理料站
KR102008306B1 (ko) 플랫보드 자동 공급시스템
CN207120943U (zh) 一种灌装机
JP2006273388A (ja) 開袋方法及び開袋機
JPH05330528A (ja) ケースの自動開箱・物品取り出し・折畳装置
CN211443032U (zh) 一种菌包包装机
IT1211919B (it) Macchina per sformare prosciutti cotti e simili
CN218250753U (zh) 一种料垛粉碎agv运输系统
CN218663975U (zh) 一种带有液压阀门的采石场给料机
CN213504037U (zh) 一种吨袋下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