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353A - 탈출형 대피시설 - Google Patents

탈출형 대피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353A
KR20230064353A KR1020210149846A KR20210149846A KR20230064353A KR 20230064353 A KR20230064353 A KR 20230064353A KR 1020210149846 A KR1020210149846 A KR 1020210149846A KR 20210149846 A KR20210149846 A KR 20210149846A KR 20230064353 A KR20230064353 A KR 20230064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pe
opening
facility
fire
la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화
Original Assignee
(주)119래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119래드 filed Critical (주)119래드
Priority to KR1020210149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4353A/ko
Publication of KR20230064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1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e.g. rope or chain ladders, ladders of the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1Trap-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52Ladders in general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1/54Ladders in general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of the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6Rail or rope for guiding a safety attachment, e.g. a fall arrest system
    • E06C7/187Guiding r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출형 대피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 아파트의 외벽에 피난사다리를 설치하여 화재발생시 사다리를 따라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새로운 구조의 탈출형 대피시설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고층 아파트의 입주민이 용이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탈출형 대피시설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발코니에 물건이 적재되어 있더라도 정상 동작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탈출형 대피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출형 대피시설{ESCAPE TYPE EVACUATION FACILITY}
본 발명은 탈출형 대피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 아파트의 외벽에 피난사다리를 설치하여 화재발생시 사다리를 따라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새로운 구조의 탈출형 대피시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에는 16층 이상의 층수를 가지는 고층의 아파트가 다수 건설되고 있다. 이는 주택을 지을 면적은 한정된 반면, 토지의 가격이 매일 급상승함에 따라, 최근 건설사들은 동일한 면적에 더 많은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아파트를 건설하는 것이다. 또한, 소음, 미세먼지 환경, 조광권 등의 이유로 사용자 또한 고층의 아파트를 선호하고 있다.
종래의 저층아파트 및 단독주택은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외부로 탈출하기까지의 거리가 멀지 않아, 화재가 확산되기 전에 쉽게 탈출할 수 있었다.
하지만, 고층 아파트에 거주하는 입주민의 경우에는 탈출구가 있는 1층까지 탈출하기까지 거리가 멀어 쉽게 탈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는 차량의 짐칸에 전자동 사다리가 실려 사다리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사다리차가 동원되더라도 고층까지 닿지 않아 신속한 대피가 사실상 불가능 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건설되는 아파트에는 화염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화실이 발코니 등에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발코니는 화재의 일시적인 위험으로부터 도망칠 수 있을 뿐, 화재로부터 완전하게 피난했다고는 볼 수 없다.
이에 따라, 아파트의 발코니에 고층의 입주민이 옥상 또는 지층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별도의 피난사다리를 설치하게 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피난사다리의 경우 피난사다리가 동작하는 반경에 물건을 적재하는 경우 정상 동작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으나, 대부분의 입주민은 발코니에 여러 물건을 보관하여 정상 동작되지 못하는 문제가 다수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 시, 고층 아파트의 입주민이 용이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탈출형 대피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발코니에 물건이 적재되어 있더라도 정상 동작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탈출형 대피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층 아파트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입주민의 대피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피난사다리에 있어서, 아파트 각 층의 외벽에 설치되는 화재대피 시설; 상기 화재대피 시설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폐구; 상기 개폐구에 연결되는 피난 사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재대피 시설의 출입구는 입주자가 거주하는 주택의 발코니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재대피 시설은 둘레를 따라 철제 난간이 설치되어 대피자가 지상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재대피 시설의 바닥면에는 내측으로 파인 빗물 홈이 더 포함되어, 빗물이 화재대피 시설에 머물지 않고 빗물 홈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구는 화재대피 시설의 바닥면에 형성된 탈출구에 장착되는 개폐구 프레임과, 상기 개폐구 프레임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개폐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구 뚜껑과, 상기 개폐구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개폐구 개방유지부와, 피난 사다리를 연결하는 피난사다리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난 사다리는 개폐구가 개방됨과 동시에 아래층에 설치된 화재대피 시설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구 뚜껑의 내측면에는 손잡이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고층 아파트의 입주민이 용이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탈출형 대피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코니에 물건이 적재되어 있더라도 정상 동작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탈출형 대피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출형 대피시설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탈출형 대피시설의 사용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출형 대피시설이 설치된 현장의 사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출형 대피시설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탈출형 대피시설의 사용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출형 대피시설이 설치된 현장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고층 아파트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입주민의 대피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피난사다리에 대한 것으로 아래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아파트 각 층의 외벽에 설치되는 화재대피 시설(100)과 상기 화재대피 시설(10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폐구(200)와 상기 개폐구(200)에 연결되는 피난 사다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재대피 시설(100)은 아파트 주거공간의 외부에 설치되어 입주자가 화염을 대피하는 공간으로, 아파트의 외벽에 추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화재대피 시설(100)의 출입구는 입주자가 거주하는 주거공간의 발코니와 연결된 것으로, 입주자는 화재 발생시 발코니를 통해 화재대피 시설로 피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화재대피 시설은 발코니 뿐 아니라, 베란다 또는 별도로 구비된 방화실에 연결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재대피 시설은 아파트의 외부에 설치된 것으로 피난자가 지상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화재대피 시설의 둘레를 따라 철제 난간(11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대피 시설은 아파트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비, 눈, 바람 등의 기상변화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가령, 상기 화재대피 시설은 화염의 고열에 녹지 않도록 철재로 제작되는데, 눈, 비에 의해 사용자가 발이 미끄러져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화재대피 시설(100)의 바닥면에 내측으로 파인 빗물 홈(120)을 더 포함하여 빗물이 화재대피 시설의 내부에 머물지 않고 빗물 홈(120)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화재대피 시설(100)의 바닥이 1 내지 4의 작은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빗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구(200)는 화재대피 시설(10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입주자가 대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화재대피 시설의 바닥면에 형성된 탈출구에 장착되는 개폐구 프레임(210)과, 상기 개폐구 프레임(210)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개폐구(20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구 뚜껑(220)과, 상기 개폐구 뚜껑(22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개폐구 개방유지부(230)와, 피난 사다리(300)를 연결하는 피난사다리 연결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화재대피 시설(100)의 바닥에 형성된 탈출구에 개폐구 프레임(210)을 끼워 설치하고, 상기 개폐구 프레임(210)의 내부에 개폐구 개방유지부(230)와 피난 사다리(300)를 보관하고, 상기 개폐구 프레임(210)의 위에 개폐구 뚜껑(220)을 덮는 것으로 구성된다.
개폐구 개방유지부(230)는 평상시에는 바닥면과 수평되도록 접혀 개폐구 프레임(210)의 내부에 보관되다가, 개폐구 뚜껑(220)이 개방되고 사용자가 개폐구를 통해 탈출하고자 할 때, 개폐구 뚜껑(230)의 가장자리에 펼쳐 연결하여 개폐구 뚜껑(230)이 폐쇄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구 개방유지부(230)는 바닥면과 수직되도록 I자로 개폐구 뚜껑(220)을 지지할 수 있으며 X자로 교차된 형태로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IXI형상과 같이 4개 이상의 개방유지부를 사용하여지지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개폐구 뚜껑(220)의 내측면에는 손잡이(221)가 추가로 형성된다. 이는 입주자가 피난사다리(300)를 따라 아래층으로 내려갈 때, 계단에서 발을 헛디뎌 아래층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대피자는 손으로 상기 손잡이(221)를 잡아 몸을 고정한 상태에서, 발을 천천히 아래로 뻗어 사다리 아래쪽으로 내려갈 수 있다. 이후, 사다리의 양 옆 또는 사다리의 발판을 손으로 잡아가면 더 아래층으로 내려가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피난 사다리는 개폐구 뚜껑(220)이 개방됨과 동시에 아래층에 설치된 화재대피 시설(100)로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고층 아파트의 입주자는 별도로 사다리를 설치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사다리가 자동으로 설치되므로 더욱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화재대피 시설 110 : 철제 난간
120 : 빗물 홈 200 : 개폐구
210 : 개폐구 프레임 220 : 개폐구 뚜껑
230 : 개폐구 개방유지부 240 : 피난사다리 연결구
300 : 피난사다리

Claims (7)

  1. 고층 아파트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입주민의 대피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대피시설에 있어서,
    아파트 각 층의 외벽에 설치되는 화재대피 시설(100);
    상기 화재대피 시설(10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개폐구(200);
    상기 개폐구(200)에 연결되는 피난 사다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형 대피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대피 시설(100)의 출입구는 입주자가 거주하는 주택의 발코니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형 대피시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대피 시설(100)은 둘레를 따라 철제 난간(110)이 설치되어 대피자가 지상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형 대피시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대피 시설(100)의 바닥면에는 내측으로 파인 빗물 홈(120)이 더 포함되어, 빗물이 화재대피 시설(100)에 머물지 않고 빗물 홈(120)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형 대피시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200)는 화재대피 시설의 바닥면에 형성된 탈출구에 장착되는 개폐구 프레임(210)과,
    상기 개폐구 프레임(210)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개폐구(20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구 뚜껑(220)과,
    상기 개폐구 뚜껑(22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개폐구 개방유지부(230)와,
    피난 사다리(300)를 연결하는 피난사다리 연결구(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형 대피시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 사다리(300)는 개폐구(200)가 개방됨과 동시에 아래층에 설치된 화재대피 시설(100)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형 대피시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 뚜껑(220)의 내측면에는 손잡이(221)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형 대피시설.
KR1020210149846A 2021-11-03 2021-11-03 탈출형 대피시설 KR202300643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846A KR20230064353A (ko) 2021-11-03 2021-11-03 탈출형 대피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846A KR20230064353A (ko) 2021-11-03 2021-11-03 탈출형 대피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353A true KR20230064353A (ko) 2023-05-10

Family

ID=86386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846A KR20230064353A (ko) 2021-11-03 2021-11-03 탈출형 대피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43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297B1 (ko) 발코니 난간 설치식 비상 탈출용 사다리
KR101925617B1 (ko)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1412211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WO2012176976A2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0996129B1 (ko) 절첩식 구난장치
KR101607133B1 (ko) 공동주택용 비상대피 난간
US10465437B2 (en) Storm shield for bathing structure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EP1666100B1 (en) Rescue cage
CN102711922A (zh) 火灾避难逃离装置
KR100965536B1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WO2018199495A1 (ko)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20230064353A (ko) 탈출형 대피시설
KR101161561B1 (ko)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200344310Y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20230007700A (ko)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JP6002165B2 (ja) 集合住宅
JP2891859B2 (ja) 排煙及び火災避難施設を有する高層建築物
KR102701779B1 (ko) 수직하강 방식의 대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피방법
KR102572551B1 (ko) 고층 건물 실외기실에 설치하는 화재 대피 시설의 설치 방법
KR102601754B1 (ko) 건물 외벽 및 루버창을 이용한 건물 대피 시설
KR102600261B1 (ko) 에어컨 실외기용 루버창을 갖는 고층건물의 피난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