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682A -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682A
KR20230063682A KR1020210149013A KR20210149013A KR20230063682A KR 20230063682 A KR20230063682 A KR 20230063682A KR 1020210149013 A KR1020210149013 A KR 1020210149013A KR 20210149013 A KR20210149013 A KR 20210149013A KR 20230063682 A KR20230063682 A KR 20230063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lyocell
resin
nonwoven fabric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716B1 (ko
Inventor
신희재
임수영
Original Assignee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유)씨앤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유)씨앤투영 filed Critical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49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716B1/ko
Publication of KR20230063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3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5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309Polyvinyl alcoho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68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phosphorus or compounds thereof, e.g. with chlorophosphonic acid or salts thereof
    • D06M11/7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phosphorus or compounds thereof, e.g. with chlorophosphonic acid or salts thereof with oxides of phosphorus; with hypophosphorous, phosphorous or phosphoric acids or their salts
    • D06M11/71Salts of phosphoric ac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 D06M15/3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of vinyl acetate; Polyvinylalcoh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02Natural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04Vegetal fibres
    • D06M2101/06Vegetal fibres cellulos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이오셀 섬유를 준비하여 촙 형태로 절단하는 섬유절단단계; 물, 상기 라이오셀 섬유와,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및 친환경 수지 중 하나인 수지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섬유분산단계; 상기 라이오셀 섬유가 분산된 혼합물을 습식방법을 통해 성형하는 성형단계 및 성형물을 건조시키는 제1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Nonwoven fabric with Lyocell fib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친환경적인 라이오셀 펄프와 NMMO를 통해 제조된 라이오셀 섬유를 활용하여 습식 방법을 통해 부직포를 제조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이며 일회용 용품에 활용될 수 있는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편의성의 증가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팬티라이너, 요실금 패드 등의 패드류 위생용품의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상기 제품은 크게 상부 시트와 흡수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 흡수층은 소변, 생리형과 같은 체 분비물을 흡수하여 겔화됨으로 패드 밖으로 체 분비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부 시트는 인체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흡수층이 인체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체 분비물은 상부 시트를 통과하여 흡수층에 도달되어야 함으로 상부 시트의 액체 투과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상부 시트는 대부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 합성 플라스틱 소재의 고분자로 제조된 부직포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0412284호 '기저귀, 생리대용 기능강화 부직포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합성 플라스틱 소재의 부직포는 물리적으로 강도가 높아 쉽게 찢어 지지 않으며 보풀이 발생하지 않고 매끄러운 감촉을 부여하는 등 많은 장점이 있으나, 소수성을 지니고 있음으로 체 분비물의 통과를 억제하는 특성을 보인다.
액체 투과성을 높이기 위해 상부 시트를 물과의 친화성이 높은 레이온과 같은 친수성 부직포를 적용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친수성 부직포는 물을 흡수하여 강도가 약화됨으로 물리적으로 쉽게 찢어질 수 있고 마찰에 의한 보풀이 발생되어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등 많은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친수성 부직포는 자체적으로 체 분비물을 흡수하여 장시간 젖어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많은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위생용품은 교체 주기가 짧아 폐기물량이 너무 많이 발생하여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흡수성이 우수하되 내구성이 우수하고 폐기물량을 줄일 수 있는 부직포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라이오셀 펄프와 NMMO를 통해 제조된 라이오셀 섬유를 활용하여 습식 방법을 통해 부직포를 제조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이며 일회용 용품에 활용될 수 있는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제조방법은 라이오셀 섬유를 준비하여 촙 형태로 절단하는 섬유절단단계; 물, 상기 라이오셀 섬유와,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및 친환경 수지 중 하나인 수지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섬유분산단계; 상기 라이오셀 섬유가 분산된 혼합물을 습식방법을 통해 성형하는 성형단계 및 성형물을 건조시키는 제1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절단단계는, 상기 라이오셀 섬유를 6 내지 10mm의 크기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섬유분산단계는, 상기 물 10000중량부에 라이오셀 섬유 1 내지 3중량부 및 수지 0.01 내지 0.06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건조단계는, 상기 성형물을 60 내지 80℃에서 15 내지 60분 또는 100 내지 150℃에서 3 내지 8분으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제조방법은 상기 제1 건조단계 후, 상기 성형물이 건조되어 형성된 베이스층 일면에 물, 텐셀 섬유 및 수지를 혼합한 제1 보강교반물을 도포하여 제1 보강층을 형성하는 제1 보강단계; 상기 제1 보강층을 건조시키는 제2 건조단계; 물, 케이폭 섬유, 수지, 인산칼슘, 히알루론산 및 선형 구조를 가지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를 혼합한 제2 보강교반물을 상기 제1 보강층 일면에 도포하여 제2 보강층을 형성하는 제2 보강단계 및 상기 제2 보강층을 건조시키는 제3 건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오셀 섬유 및 폴리에스터(Polyester)와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및 친환경 수지 중 하나인 수지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오셀 섬유 및 폴리에스터(Polyester)와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및 친환경 수지 중 하나인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물, 텐셀 섬유 및 수지를 포함하는 제1 보강층 및 물, 케이폭 섬유, 수지, 인산칼슘, 히알루론산 및 선형 구조를 가지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보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은 친환경적인 라이오셀 펄프와 NMMO를 통해 제조된 라이오셀 섬유를 활용하여 습식 방법을 통해 부직포를 제조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일 수 있다.
이에 마스크, 기저귀, 생리대 및 일회용 속옷 등 일회용 용품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이 단순하여, 제조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에서 발생했던 이황화탄소, 황화수소 등의 유해물질을 거의 제로로 줄일 수 있어 대기오염이나 수질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다 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 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 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 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제조방법은 섬유절단단계(S1), 섬유분산단계(S2), 성형단계(S3) 및 제1 건조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
섬유절단단계(S1)는 라이오셀 섬유를 준비하여 촙 형태로 절단하는 단계로서, 라이오셀 섬유를 6 내지 10mm 크기의 촙으로 절단할 수 있다. 이는 라이오셀 섬유 촙의 크기가 6mm 미만일 경우 부직포 제작 시 섬유 간의 접촉 면적이 적어 결합력이 약해질 수 있으며, 10mm 초과일 경우 촙이 서로 엉켜서 분산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라이오셀 섬유는 천연자원인 셀룰로오스로부터 파생된 합성섬유로서, 천연목재나 펄프로부터 습식방사를 통해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원료가 천연의 목재 펄프에서 추출된 셀룰로오즈로 100% 생분해성 고분자이며, 용제가 재생가능해 무제한 사용할 수 있는 NMMO를 사용하고 있어 환경 친화적인 특성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라이오셀 섬유는 셀룰로오즈 펄프와, N-메틸몰플린-N-옥사이드(NMMO) 및 물을 포함하는 용제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셀룰로오즈 펄프를 분말로 제조하고, 셀룰로오즈 분말과 용제 그리고 글리세롤 구조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셀룰로오즈 용액을 제조한 다음, 셀룰로오즈 용액을 방사하는 것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라이오셀 섬유는 생분해가 가능하고,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며, 드레이프(drape) 성질, 탄력성 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뛰어나고 흡수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섬유분산단계(S2)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물, 라이오셀 섬유 및 수지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지는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및 친환경 수지 중 하나일 수 있으며, 폴리에스터(Polyester)가 접착력이 우수하고 수용성으로 작업성이 용이하여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S2 단계는 물 10000중량부에 라이오셀 섬유 1 내지 3중량부 및 수지 0.01 내지 0.06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라이오셀 섬유가 1중량부 미만일 경우 강도, 내구성 등이 저하될 수 있으며, 3중량부 초과일 경우 분산성이 저하되어 촙 형태의 라이오셀 섬유간의 엉킴, 밀집 등으로 표면 촉감, 흡수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수지가 0.01중량부 미만일 경우 섬유간의 결합력이 저하되며, 0.06중량부 초과일 경우 하드해지면서 부드러움이 떨어지게 되고 유연성 및 촉감이 저하될 수 있다. 기저귀, 생리대 및 일회용 속옷 등에 적용될 시 촉감, 흡수성 등은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S2 단계는 혼합물을 제조할 시, 산소아미드 및 캬비신 중 하나 이상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산소아미드와 캬비신은 향균 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각각 바람직한 항균 기능을 나타내며 물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0.008 내지 0.02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다.
한편, S2 단계는 컴프레셔를 이용하여 라이오셀 섬유를 분산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성형단계(S3)는 라이오셀 섬유가 분산된 혼합물을 습식방법을 통해 성형하는 단계로, 혼합물을 부직포 형태(웹)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물이 배수될 수 있다
제1 건조단계(S4)는 성형물의 수분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열을 가하는 단계로, 성형물을 오븐을 통해 60 내지 80℃에서 15 내지 60분 또는 핫 프레스를 통해 100 내지 150℃에서 3 내지 8분으로 건조시켜 부직포(베이스층)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건조온도가 60 또는 100℃ 미만일 경우 수분이 충분히 증발하지 않을 수 있으며, 80 또는 150℃ 초과일 경우 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건조시간이 15 또는 3분 미만일 경우 온도를 급격하게 올려 건조해야 되기 때문에 겉은 건조되고 속은 건조되지 않아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60 또는 8분 초과일 경우 균일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제조방법은 S4 단계 후에, 제1 보강단계(S5), 제2 건조단계(S6), 제2 보강단계(S7) 및 제3 건조단계(S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보강단계(S5), 제2 건조단계(S6), 제2 보강단계(S7) 및 제3 건조단계(S8)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제조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강단계(S5), 제2 건조단계(S6), 제2 보강단계(S7) 및 제3 건조단계(S8)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보강단계(S5)는 S4 단계에서 성형물이 건조되어 형성된 베이스층(110) 일면에 제1 보강교반물을 도포하여 제1 보강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보강층(120)은 부직포의 흡수성을 보다 높이기 위한 것으로, 기저귀, 생리대 및 일회용 속옷 등에 적용될 시 베이스층(110)의 내부면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내부 흡수성이 높아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1 보강층(120)을 형성하는 제1 보강교반물은 물, 텐셀 섬유 및 수지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텐셀 섬유는 유칼립투스 나무 추출물로 만든 친환경적인 소재로 수분 함유량과 흡수성이 뛰어나고, 섬유 구조가 매끄러워 피부를 자극하지 않기 때문에 민감한 피부에 효과적이며, 생분해성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텐셀 섬유는 제1 보강교반물에 6 내지 10mm 크기의 촙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1 보강교반물은 물 10000중량부에 텐셀 섬유 4 내지 5중량부 및 수지 0.03 내지 0.08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텐셀 섬유가 4중량부 미만일 경우 흡수성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5중량부 초과일 경우 섬유가 너무 밀집되어 오히려 흡수성 향상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제1 보강층(120) 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지가 0.03중량부 미만일 경우 제1 보강층(120) 형성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0.08중량부 초과일 경우 흡수성, 유연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수지는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및 친환경 수지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건조단계(S6)는 제1 보강층(120)이 형성된 베이스층(110)을 건조시키는 단계로, 부직포(제1 보강층, 베이스층)를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건조는 110 내지 130℃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보강단계(S7)는 S6 단계에서 형성된 제1 보강층(120) 일면에 제2 보강교반물을 도포하여 제2 보강층(13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보강층(130)은 부직포의 내구성, 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기저귀, 생리대 및 일회용 속옷 등에 적용될 시 형태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하며 강도가 우수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2 보강층(130)을 형성하는 제2 보강교반물은 물, 케이폭 섬유, 수지, 인산칼슘, 히알루론산 및 선형 구조를 가지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케이폭 섬유는 케이폭 나무의 열매에서 얻어지는 종자섬유로서, 섬유 내에 다량의 공기를 포함하고 있어 가볍고 보온성이 있으며, 견모양의 광택이 있고 털발이 2~3츠로 푹신하고 부드러우며, 습기에 강하지만 탄력성이 있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하고 생분해성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케이폭 섬유는 물 10000중량부에 대하여, 7 내지 10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는데, 7중량부 미만일 경우 형태 안정성, 강도 향상 효과 등이 미미할 수 있으며, 10중량부 초과일 경우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수지는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및 친환경 수지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물 10000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1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이때, 수지가 0.05중량부 미만일 경우 결합력이 저하되며, 0.1중량부 초과일 경우 하드해져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인산칼슘은 제2 보강층(130)의 강도와 조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물 10000중량부에 대하여, 0.004 내지 0.01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다.
인산칼슘이 0.004중량부 미만일 경우 강도와 조직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0.01중량부 초과일 경우 유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제2 보강층(130)은 형태 안정성은 우수하되 유연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히알루론산은 점착성을 향상시켜 섬유간의 결합력을 높이며, 케이폭 섬유의 뻣뻣한 특징을 보완하여 유연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것으로, 물 10000중량부에 대하여, 0.003 내지 0.009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다.
이때, 히알루론산이 0.003중량부 미만일 경우 점착성 향상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0.009중량부 초과일 경우 물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점도를 조절하여 우수한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 단량체인 비닐아세테이트(Vinyl <21> acetate)에, 비닐버사테이트(Vinyl versatate),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iso-butyl acrylate),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라우릴아크릴레이트(Lauryl acrylate), 에틸렌(Ethylene) 등의 공단량체를 중합하여 선형의 중합구조를 지니도록 합성된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5 내지 15℃일 수 있다.
여기서,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Tg)가 -5℃미만일 경우 점도가 너무 증가하여 제2 보강층(130)의 경화 및 물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5℃를 초과할 경우 유연성 향상 효과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물 10000중량부에 대하여, 0.015 내지 0.018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가 0.015중량부 미만일 경우 유연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0.018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너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3 건조단계(S8)는 제2 보강층(130)을 건조시키는 단계로, 부직포(제2 보강층, 제1 보강층, 베이스층)를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건조는 110 내지 130℃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를 통해 도 3과 같이, 베이스층(110), 제1 보강층(120), 제2 보강층(130)으로 구성된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1)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1)는 라이오셀 섬유 및 폴리에스터(Polyester)와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및 친환경 수지 중 하나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강층(120)과 제2 보강층(130)을 포함할 경우, 상기 구성들은 베이스층(11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은 친환경적인 라이오셀 펄프와 NMMO를 통해 제조된 라이오셀 섬유를 활용하여 습식 방법을 통해 부직포를 제조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일 수 있다.
이에 마스크, 기저귀, 생리대 및 일회용 속옷 등 일회용 용품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이 단순하여, 제조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에서 발생했던 이황화탄소, 황화수소 등의 유해물질을 거의 제로로 줄일 수 있어 대기오염이나 수질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물 10000중량부에 라이오셀 섬유 3중량부 및 수지 0.02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로 성형하고 건조시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을 베이스층으로 구성하여 제1 보강교반물로 제1 보강층, 제2 보강교반물로 제2 보강층을 형성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제1 보강교반물은 물 10000중량부에 텐셀 섬유 5중량부 및 수지 0.04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이고, 제2 보강교반물은 물 10000중량부에 케이폭 섬유 8중량부, 수지 0.06중량부, 인산칼슘 0.008중량부, 히알루론산 0.006중량부 및 선형 구조를 가지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 0.016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이다.
[실험예] 성능 평가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이용하여 기저귀를 제조하는 것으로, 제조예 1 및 제조예 2를 구성하여, 제조예 1과 2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때 색소를 첨가한 물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제조예 1 제조예 2
흡수량(g) 12 12
최초 흡수시간(sec) 0.2 0.1
최종 흡수시간(sec) 3.4 3.0
묻어나옴 중간 적음
상기 표 1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제조예 1과 제조예 2 모두 물을 빠르게 흡수하였으나, 제조예 2가 제조예 1보다 흡수 측면에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110: 베이스층
120: 제1 보강층
130: 제2 보강층

Claims (7)

  1. 라이오셀 섬유를 준비하여 촙 형태로 절단하는 섬유절단단계;
    물, 상기 라이오셀 섬유와,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및 친환경 수지 중 하나인 수지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섬유분산단계;
    상기 라이오셀 섬유가 분산된 혼합물을 습식방법을 통해 성형하는 성형단계 및
    성형물을 건조시키는 제1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절단단계는,
    상기 라이오셀 섬유를 6 내지 10mm의 크기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분산단계는,
    상기 물 10000중량부에 라이오셀 섬유 1 내지 3중량부 및 수지 0.01 내지 0.06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단계는,
    상기 성형물을 60 내지 80℃에서 15 내지 60분 또는 100 내지 150℃에서 3 내지 8분으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단계 후,
    상기 성형물이 건조되어 형성된 베이스층 일면에 물, 텐셀 섬유 및 수지를 혼합한 제1 보강교반물을 도포하여 제1 보강층을 형성하는 제1 보강단계;
    상기 제1 보강층을 건조시키는 제2 건조단계;
    물, 케이폭 섬유, 수지, 인산칼슘, 히알루론산 및 선형 구조를 가지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를 혼합한 제2 보강교반물을 상기 제1 보강층 일면에 도포하여 제2 보강층을 형성하는 제2 보강단계 및
    상기 제2 보강층을 건조시키는 제3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제조방법.
  6. 라이오셀 섬유 및 폴리에스터(Polyester)와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및 친환경 수지 중 하나인 수지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오셀 섬유 및 폴리에스터(Polyester)와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및 친환경 수지 중 하나인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물, 텐셀 섬유 및 수지를 포함하는 제1 보강층 및
    물, 케이폭 섬유, 수지, 인산칼슘, 히알루론산 및 선형 구조를 가지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보강층을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KR1020210149013A 2021-11-02 2021-11-02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2620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013A KR102620716B1 (ko) 2021-11-02 2021-11-02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013A KR102620716B1 (ko) 2021-11-02 2021-11-02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682A true KR20230063682A (ko) 2023-05-09
KR102620716B1 KR102620716B1 (ko) 2024-01-05

Family

ID=8640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013A KR102620716B1 (ko) 2021-11-02 2021-11-02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7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0664A (ja) * 1997-10-31 1999-05-18 Kao Corp シート状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88409A (ja) * 2002-10-15 2004-07-08 Mitsubishi Paper Mills Ltd 濾材および液体濾過用フィルター濾材
JP2006291437A (ja) * 2005-03-16 2006-10-26 Mitsubishi Paper Mills Ltd ワイパー用不織布
KR20120075888A (ko) * 2010-12-29 2012-07-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케이폭 부직포를 포함하는 다층 부직포
CN109355801A (zh) * 2018-09-29 2019-02-19 中原工学院 一种抗菌保健性湿法成网水刺复合型非织造布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0664A (ja) * 1997-10-31 1999-05-18 Kao Corp シート状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88409A (ja) * 2002-10-15 2004-07-08 Mitsubishi Paper Mills Ltd 濾材および液体濾過用フィルター濾材
JP2006291437A (ja) * 2005-03-16 2006-10-26 Mitsubishi Paper Mills Ltd ワイパー用不織布
KR20120075888A (ko) * 2010-12-29 2012-07-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케이폭 부직포를 포함하는 다층 부직포
CN109355801A (zh) * 2018-09-29 2019-02-19 中原工学院 一种抗菌保健性湿法成网水刺复合型非织造布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716B1 (ko) 2024-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1202B1 (ko) 수용능이높은유체흡수부재
AU2013388178B2 (en) Sanitary towels for women and urinary incontinence, gauze/bandages and surgical dressings for treating wounds, based on tourmaline
US20040054341A1 (en) Elastomeric nonwoven with attached superabsorbent polymer
JP2003519297A (ja) 流体処理用生分解性熱可塑性不織ウェブ
US6956009B2 (en) Microphase separated superabsorbent compositions and method for making
KR102341361B1 (ko) 천연섬유를 함유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CN1652827A (zh) 熔喷的吸收性纤维和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620716B1 (ko) 라이오셀 섬유가 적용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749723B1 (ko) 습윤 강도가 강화된 흡수 코어의 제조 방법
CN114288091B (zh) 一种植物基泡沫芯体的制备方法
KR20190096022A (ko) 고흡수성 박막 코어층
KR101633848B1 (ko) 고흡수성 수지 복합체
JP6448976B2 (ja) 吸収体及び衛生用品
KR102297773B1 (ko) 발수성 및 공기 투과성이 향상된 일회용 흡수용품
KR102341363B1 (ko) 흡수 성능이 개선된 일회용 흡수용품
CN201263754Y (zh) 一种麻纤维卫生巾
CN111363281A (zh) 一种高吸水性片材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6200112A1 (ko) 습윤 강도가 강화된 흡수 코어의 제조 방법
KR101882921B1 (ko) 고흡수성 박막 코어층
KR102090297B1 (ko) 고흡수성 박막 코어층
KR20090123653A (ko) 대나무섬유 및 열가소성 합성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제품
JPH0430864B2 (ko)
KR20220153520A (ko) 흡수성 물품
KR20200005883A (ko) 천연고분자 섬유가 포함된 고흡수성 박막 코어층
KR101603604B1 (ko) 일회용 흡수제품용 탄성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