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468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468A
KR20230063468A KR1020210148579A KR20210148579A KR20230063468A KR 20230063468 A KR20230063468 A KR 20230063468A KR 1020210148579 A KR1020210148579 A KR 1020210148579A KR 20210148579 A KR20210148579 A KR 20210148579A KR 20230063468 A KR20230063468 A KR 20230063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base
inlet
tub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웅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8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3468A/ko
Priority to AU2022383620A priority patent/AU2022383620A1/en
Priority to PCT/KR2022/015279 priority patent/WO2023080458A1/ko
Publication of KR20230063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5Counterweights mounted to the tub; Mounting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2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 F16F15/36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operating automatically, i.e. where, for a given amount of unbalance, there is movement of masses until balance is achiev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2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 F16F15/36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operating automatically, i.e. where, for a given amount of unbalance, there is movement of masses until balance is achieved
    • F16F15/363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operating automatically, i.e. where, for a given amount of unbalance, there is movement of masses until balance is achieved using rolling bodies, e.g. balls free to mov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구에 연결되는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터브 투입구로 공급되는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링 형상의 제1면, 상기 베이스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제1면과 함께 순환경로를 형성하는 제2면, 및 상기 순환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볼이 구비된 밸런서;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밸런서를 상기 드럼에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거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의 총칭으로, 의류처리장치가 세탁 또는 건조하는 대상물(처리대상)은 의류 뿐 아니라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모든 물건이 될 수 있다.
세탁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터브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부,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처리대상)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시키는 연통홀을 포함하도록 구비되었다.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는 물이 저장된 터브 내부에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에서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의류에서 이물질이 제거되면 상기 배수부를 통해 터브 내부의 물은 터브에서 배출하고, 물이 배출된 터브 내부에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였다.
상술한 과정의 진행 중 드럼에는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일정 영역에 의류가 밀집된 상태로 상기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드럼은 동적균형(dynamic equribrium, or dynamic balance)이 깨진 상태로 회전하기 때문이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 동적균형은 드럼이 회전할 때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의류의 질량분포가 허용범위 내에 있는 경우(드럼이 허용범위 내에서 진동하면서 회전하는 경우)로 볼 수 있고, 드럼의 회전 시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질량분포가 허용범위를 벗어난 상태(드럼이 허용범위를 벗어나 진동하는 상태)는 동적불균형 상태(언밸런스, unbalance)로 볼 수 있다. 언밸런스 상태로 상기 드럼이 회전하면, 드럼에 발생한 진동은 터브 뿐 아니라 의류처리장치 전체를 진동시켜 소음 유발 및 내구성 저하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언밸런스 제어를 위해,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상기 드럼에 밸런서(balancer)를 고정하였다(미국등록특허 US8,522,580).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밸런서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의 전방면에 고정된 전방 밸런서, 회전축이 고정된 드럼의 후방면에 고정된 후방 밸런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었다.
상기 전방 밸런서 및 후방 밸런서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전방면이나 드럼의 후방면에 고정된 바디,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된 순환경로, 상기 순환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된 볼을 포함하도록 구비되었다. 언밸런스 상태로 회전하는 드럼은 언밸런스를 유발하는 의류의 위치에 따라 회전속도가 변화하는데, 상기 볼들은 드럼의 회전속도가 낮아질 때(볼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낮아질 때) 언밸런스를 유발하는 의류가 위치된 지점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드럼의 편심을 줄일 수 있었다.
상기 전방 밸런서는 드럼 투입구에 가까운 내측 원주면과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 가까운 외측 원주면을 가진 링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후방 밸런서는 드럼의 회전축에 가까운 내측 원주면과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 가까운 외측 원주면을 가진 링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술한 구조의 밸런서들은 상기 외측 원주면과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볼트를 통해 상기 드럼에 고정되었다.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볼에 상기 드럼의 지름방향을 따라 작용하는 원심력이 입력될 것이기 때문에, 밸런서의 외측 원주면과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고정시키는 것이 상기 바디의 변형을 방지하는데 유리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바디의 외측 원주면을 드럼 원주면에 고정시키는 방식은 상기 외측 원주면에 상기 체결구가 고정되는 고정바디가 필요한 구조이고,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순환경로의 직경을 줄이게 되며, 상기 순환경로의 직경이 줄어드는 것은 상기 볼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줄이게 된다. 볼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감소는 드럼의 언밸런스 상태를 해소하는데 긴 시간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한편, 종래 후방 밸런서(미국등록특허 US 7,975,514) 중에는 드럼의 후방면에 형성된 홈에 밸런서의 바디를 삽입하고, 드럼의 후방면에 구비되어 드럼의 회전축이 고정되는 축 고정부로 상기 바디를 상기 홈에 고정하는 것이 있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밸런서는 앞서 언급한 단점은 방지할 수 있지만, 드럼의 부피가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처리용량이 밸런서에 의해 제한되는 단점).
본 출원은 드럼의 언밸런스 상태를 빨리 해소 가능한 밸런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드럼의 부피 감소를 최소화하면서도 볼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극대화 가능한 밸런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볼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한 내구성이 저하를 최소화 가능한 밸런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구에 연결되는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터브 투입구로 공급되는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링 형상의 제1면, 상기 베이스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제1면과 함께 순환경로를 형성하는 제2면, 및 상기 순환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볼이 구비된 밸런서;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밸런서를 상기 드럼에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드럼은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 상기 드럼 바디 중 상기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하는 전방커버; 상기 전방커버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후방커버; 상기 드럼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 및 상기 전방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의류를 상기 드럼 바디로 유입시키는 드럼 투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서는 상기 전방커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고정바디; 및 상기 고정바디를 상기 드럼 바디와 상기 전방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체결바디;를 포함할 수있다.
상기 고정바디의 최상단의 높이는 상기 제1면의 최상단 높이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커버는 상기 드럼 투입구가 구비되는 전방커버 바디; 상기 전방커버 바디에 상기 드럼 투입구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가 장착되는 전방 장착부; 및 상기 전방 장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드럼 바디에 접촉하는 전방 연결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디 및 상기 전방 연결부는 상기 체결바디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전방 장착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전방 장착부에는 상기 고정바디가 수용되는 전방 장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전방 장착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디는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베이스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면과 상기 베이스가 연결되는 모서리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제1바디를 향해 휘어진 제1연결면; 및 일단은 상기 제1연장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연결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결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1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면에서 상기 드럼 투입구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면과 상기 베이스가 연결되는 모서리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제2바디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휘어진 제2연결면;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전방 장착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드럼 투입구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 제2연장부; 및 일단은 상기 제2연장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연결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결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연장부의 자유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까지의 거리 1/2배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장부의 자유단에서 상기 연결면을 연결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의 두께는 상기 제2면의 두께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 상기 드럼 바디 중 상기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하는 전방커버; 상기 전방커버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후방커버; 상기 드럼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 및 상기 전방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의류를 상기 드럼 바디로 유입시키는 드럼 투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서는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후방 고정바디; 및 상기 후방 고정바디를 상기 드럼 바디와 상기 후방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후방 체결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고정바디의 최상단의 높이는 상기 제1면의 최상단 높이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된 구동축을 통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커버는 상기 구동축이 고정되는 후방커버 바디; 상기 후방커버 바디에 상기 구동축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후방 장착부; 및 상기 후방 장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드럼 바디에 접촉하는 후방 연결부;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고정바디 및 상기 후방 연결부는 상기 후방 체결바디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 상기 드럼 바디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 상기 드럼 바디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 상기 드럼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 및 상기 전방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의류를 상기 드럼 바디로 유입시키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드럼 투입구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전방커버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링 형상의 제1면, 및 상기 베이스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링 형상의 제2면이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면, 상기 제2면, 및 상기 베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경로를 폐쇄하는 제2바디; 상기 순환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볼;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고정바디, 및 상기 고정바디를 상기 드럼 바디와 상기 전방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체결바디가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구에 연결되는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 상기 드럼 바디 중 상기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하는 전방커버, 상기 전방커버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후방커버, 상기 드럼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 및 상기 전방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의류를 상기 드럼 바디로 유입시키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드럼 투입구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전방커버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링 형상의 제1면, 및 상기 베이스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링 형상의 제2면이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면, 상기 제2면, 및 상기 베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경로를 폐쇄하는 제2바디; 상기 순환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볼;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고정바디, 및 상기 고정바디를 상기 드럼 바디와 상기 전방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체결바디가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방커버는 상기 드럼 투입구가 구비되는 전방커버 바디; 상기 전방커버 바디에 상기 드럼 투입구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가 장착되는 전방 장착부; 및 상기 전방 장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드럼 바디에 접촉하는 전방 연결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디 및 상기 전방 연결부는 상기 체결바디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장착부는 상기 전방커버 바디가 상기 후방커버를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전방 장착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전방 장착부에는 상기 고정바디가 수용되는 전방 장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면과 상기 베이스가 연결되는 모서리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제1바디를 향해 휘어진 제1연결면; 및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전방 장착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디는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베이스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에서 상기 제1연장부의 자유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바디에서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연장부, 상기 고정바디, 및 상기 베이스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바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일단은 상기 제1연장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연결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결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1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드럼 투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리브(제1지지판);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면에서 상기 드럼 투입구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면과 상기 베이스가 연결되는 모서리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제2바디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휘어진 제2연결면;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전방 장착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드럼 투입구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 제2연장부; 및 일단은 상기 제2연장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연결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결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제2연장부의 자유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까지의 거리 1/2배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2연장부의 자유단에서 상기 제2연결면을 연결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드럼 투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리브(제2지지판);로 구비되고, 각각의 리브는 상기 베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7도 내지 15도씩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의 두께는 상기 제2면의 두께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의 두께는 상기 제2면의 두께의 0.7배 내지 0.9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면과 상기 제2연장부를 연결하는 상기 제2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제2연장부의 자유단까지의 거리의 0.3배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의 두께는 상기 제2면의 두께의 1/2배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출원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구에 연결되는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 상기 드럼 바디 중 상기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하는 전방커버, 상기 전방커버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후방커버, 상기 드럼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 및 상기 전방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의류를 상기 드럼 바디로 유입시키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된 구동축을 통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축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후방커버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후방 베이스, 상기 후방 베이스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링 형상의 후방 제1면, 및 상기 베이스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링 형상의 후방 제2면이 구비된 후방 제1바디; 상기 후방 제1면, 상기 후방 제2면, 및 상기 후방 베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후방 순환경로를 폐쇄하는 후방 제2바디; 상기 후방 순환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볼; 및 상기 후방 베이스에 구비된 후방 고정바디, 및 상기 후방 고정바디를 상기 드럼 바디와 상기 후방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후방 체결바디가 구비된 후방 체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후방커버는 상기 구동축이 고정되는 후방커버 바디; 상기 후방커버 바디에 상기 구동축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후방 베이스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후방 장착부; 및 상기 후방 장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드럼 바디에 접촉하는 후방 연결부;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고정바디 및 상기 후방 연결부는 상기 후방 체결바디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방 고정바디는 상기 후방 베이스에서 상기 후방 장착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후방 장착부에는 상기 후방 고정바디가 수용되는 후방 장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구에 연결되는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 상기 드럼 바디 중 상기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하는 전방커버, 상기 전방커버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후방커버, 상기 드럼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 및 상기 전방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의류를 상기 드럼 바디로 유입시키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된 구동축을 통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드럼 투입구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전방커버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링 형상의 제1면, 및 상기 베이스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링 형상의 제2면이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면, 상기 제2면, 및 상기 베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경로를 폐쇄하는 제2바디; 상기 순환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볼;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고정바디, 및 상기 고정바디를 상기 드럼 바디와 상기 전방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체결바디가 구비된 체결부; 상기 구동축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후방커버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후방 베이스, 상기 후방 베이스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링 형상의 후방 제1면, 및 상기 베이스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링 형상의 후방 제2면이 구비된 후방 제1바디; 상기 후방 제1면, 상기 후방 제2면, 및 상기 후방 베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후방 순환경로를 폐쇄하는 후방 제2바디; 상기 후방 순환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볼; 및 상기 후방 베이스에 구비된 후방 고정바디, 및 상기 후방 고정바디를 상기 드럼 바디와 상기 후방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후방 체결바디가 구비된 후방 체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드럼의 언밸런스 상태를 빨리 해소 가능한 밸런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드럼의 부피 감소를 최소화하면서도 볼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극대화 가능한 밸런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볼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한 내구성이 저하를 최소화 가능한 밸런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드럼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도 4, 도 5, 및 도 6은 밸런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밸런서에 구비된 제2면과 제2연장부의 길이 비에 따른 제2보강부의 강성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후방 밸런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전방 밸런서, 드럼, 및 후방밸런서의 결합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7)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는 의류를 상기 터브(2)로 안내하는 투입구(11)가 구비되는데, 도 1은 상기 투입구(11)가 캐비닛(1)의 전방면(의류처리장치의 정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투입구(11)는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도어(13)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 중 상기 투입구(11)의 상부공간 또는 하부공간에는 컨트롤패널(15)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패널(15)에는 입력부(151) 및 표시부(1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51)는 상기 컨트롤패널을 통해 제어부(미도시)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이고, 상기 표시부(153)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의 표시,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 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터브 바디(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는 터브 지지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되는데, 도 1은 상기 터브 지지부가 댐퍼(22) 및 스프링(23)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댐퍼(22)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터브 바디(21)의 하부영역과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에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23)은 상기 터브 바디(21)에 입력되는 외력이 없어지면(터브 바디가 진동하지 않으면) 상기 터브 바디(21)가 초기위치로 이동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상기 스프링(23)은 상기 터브 바디(21)의 상부영역(터브 바디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상부에 위치된 공간)을 상기 캐비닛(1)의 상부면에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터브 바디(21)의 하부영역을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에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의 부피가 커질수록(의류처리장치의 처리용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댐퍼(22)와 스프링(23) 모두 상기 터브 바디(21)의 하부영역을 캐비닛에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터브 바디(21)의 진동 제어에 유리하다.
상기 터브 바디(21)의 전방면에는 터브 투입구(211)가 구비된다. 상기 터브 투입구(211)는 상기 투입구(11)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도 1에서 상기 터브 투입구(211)는 상기 투입구(11)에 직접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터브 투입구(211)와 투입구(11)는 고무 등으로 제작된 주름관(corrugate tube)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상술한 구조의 터브 지지부가 구비되면 주름관의 삭제가 가능함).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에는 히터(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급수부(3)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4)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3)는 급수원과 상기 터브 바디(21)를 연결하는 급수관(31, 32),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33)로 구비되고, 상기 배수부(4)는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41), 및 상기 배수관(41)의 개폐를 제어하는 배수밸브(4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세제공급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는 제1공급부(5)와 제2공급부(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제1공급부(5) 및 제2공급부(6)가 모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공급부(5)는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로워(51),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51)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로워 하우징(5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의 일면에는 상기 드로워(51)의 출입을 위한 인출구가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인출구가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에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로워(51)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511), 상기 챔버(511) 내부의 세제를 상기 드로워 하우징(52)으로 배출하는 챔버 배출구(512)가 구비된다. 상기 챔버(511)는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챔버 배출구(512)는 상기 챔버(511) 내부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를 초과한 때 상기 챔버 내부의 액체를 상기 드로워 하우징으로 배출하는 워터트랩(water trap, siphon flow path)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51)는 상기 드로워 하우징(52)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챔버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노즐(54)을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챔버 배출구(512)를 통해 상기 드로워 하우징(52)으로 배출된 액체는 하우징 배출구(53)를 통해 드로워 하우징(52)에서 배출된다. 이 경우, 상기 급수관은 상기 노즐(54)과 급수원을 연결하는 제1급수관(31) 및 상기 하우징 배출구(53)와 터브 바디(21)를 연결하는 제2급수관(3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33)는 상기 제1급수관(31)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공급부(6)는 상기 제2급수관(32)을 통해 상기 터브(2)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급수관(32)은 상기 하우징 배출구(53)에 연결된 제1호스(321), 상기 터브 바디(21)의 후방면에 연결된 제2호스(322), 및 상기 두 호스를 연결하는 커넥터(32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공급부(6)는 액상세제가 저장된 세제저장부(61), 상기 세제저장부와 상기 커넥터(323)를 연결하는 공급관(62), 및 상기 세제저장부(61) 내부의 세제가 상기 공급관(62)을 통해 상기 커넥터(323)로 이동하게 하는 펌프(6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부(6)는 상기 드럼(7)에 투입된 의류의 양(포량)에 따라 필요한 세제량을 판단하고, 판단된 양의 세제를 상기 커넥터(323)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의류의 양은 상기 드럼(7)을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부(76)에 공급되는 전력량으로부터 제어부가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실험을 통해 설정된 양(포량에 따른 적정 세제량)의 세제가 상기 커넥터(323)로 이동되도록 상기 펌프(63)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드럼(7)은 상기 터브(2) 내부에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71), 상기 드럼 바디(71) 중 상기 터브 투입구(211)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드럼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72), 상기 전방커버(72)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에 저장된 물이 상기 드럼(7)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드럼 바디(71)에는 다수의 연통홀(711)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커버(72)에는 상기 터브 투입구(211)로 유입된 의류를 상기 드럼 바디(71) 내부로 안내하는 드럼 투입구(722)가 구비된다.
상기 드럼 바디(71) 내부에는 리프터(7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712)는 상기 드럼 바디(71)의 원주면에서 상기 드럼 바디(71)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7)의 회전 시 의류는 상기 리프터(712)에 의해 상기 드럼(7) 내부에서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고, 이와 같은 과정이 이물질을 의류에서 분리하는 것을 촉진시킨다.
상기 드럼(7)의 부피가 커질수록(의류처리장치의 처리용량이 커질수록) 상기 드럼(7)에 큰 부하(터브에 저장된 물과 드럼의 마찰력, 드럼 내부에 저장된 의류의 무게 등)가 입력될 것이다. 상기 드럼(7)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드럼의 뒤틀림, 전방커버나 후방커버가 드럼 바디에서 분리되는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드럼(7)에는 상기 전방커버(72)와 후방커버(73)를 상기 드럼 바디(21)에 고정하는 고정축(74)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74)은 일단은 상기 전방커버(7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커버(73)에 고정되는 바(bar)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74)이 드럼 바디(71) 내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축(74)은 상기 리프터(712)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7)은 상기 구동부(76)를 통해 회전한다. 상기 구동부(76)는 상기 후방커버(73)에 고정된 구동축(761), 및 상기 구동축(761)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76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761)은 상기 터브 바디(21)의 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축(761)은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구비되거나,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90도 미만의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761)은 상기 모터(767)에 직결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767)가 상기 터브(2)의 후방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및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로 구비될 경우, 상기 구동축(761)은 일단은 상기 후방커버(7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로터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761)은 풀리와 벨트를 통해 상기 모터(767)가 제공하는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모터(767)의 회전축에는 주동풀리(765)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761)에는 종동풀리(764)가 구비되며, 두 풀리(765, 764)는 벨트(766)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761)은 축 고정부(762)를 통해 상기 후방커버(7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761)이 상기 후방커버(73)의 중심에 별도의 장치없이 직접 고정되면, 상기 후방커버(73)의 중심에 응력이 집중하여 후방커버(73)의 내구성이 저하될 위험이 있다. 상기 축 고정부(762)는 상술한 위험을 저감하는 수단으로, 상기 후방커버(73)의 직경보다 짧은 직경을 가진 디스크 형상의 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761)은 상기 터브(2)의 후방면을 관통하여 상기 축 고정부(762)와 종동풀리(764)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터브(2)의 후방면에는 상기 구동축(761)을 상기 터브(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베어링(763)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동축(761)은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투입구는 상기 캐비닛(1)의 상부면에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터브와 드럼은 터브 투입구 및 드럼 투입구가 상기 캐비닛(1)의 상부면에 위치된 투입구를 향하도록 구조를 변경해야 할 것이다.
상기 드럼(7)은 회전 시 진동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71)의 일정 영역에 의류가 밀집된 상태로 상기 드럼(7)이 고속 회전하면, 상기 드럼(7)은 동적균형(dynamic equribrium, or dynamic balance)이 깨진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 동적균형은 드럼이 회전할 때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의류의 질량분포가 허용범위 내에 있는 경우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드럼의 회전 시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질량분포가 허용범위를 벗어난 상태(드럼이 허용범위를 벗어나 진동하는 상태)는 동적불균형 상태로 볼 수 있고,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상태를 언밸런스 상태(unbalance)라고 한다.
언밸런스 상태로 상기 드럼이 회전하면, 드럼에 발생한 진동은 터브 뿐 아니라 의류처리장치 전체를 진동시켜 소음 유발 및 내구성 저하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드럼의 언밸런스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제어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밸런서(8, 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상기 밸런서가 상기 드럼의 전방면(전방커버, 72)에 고정된 전방 밸런서(8) 및 상기 드럼의 후방면(후방커버, 73)에 고정된 후방 밸런서(9)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밸런서는 상기 전방 밸런서(8)와 상기 후방 밸런서(9) 중 어느 하나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밸런서(8)는 상기 드럼바디(71) 또는 상기 전방커버(72)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 투입구(722)를 감싸는 링 형상의 바디(81, 82)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바디는 상기 드럼(7)에 고정되는 제1바디(81, 전방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된 제2바디(82, 전방 제2바디), 및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투입구(722)가 관통하는 관통홀(83, 전방 관통홀)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디(81)는 상기 드럼 투입구(722)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 베이스(813, 전방 베이스), 상기 베이스(813)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링 형상의 제1면(811, 전방 제1면), 및 상기 베이스(813)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링 형상의 제2면(812, 전방 제2면)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813)는 상기 제1바디(81) 중 상기 전방커버(72)가 위치된 지점을 향하는 링 형상의 평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813)가 링 형상으로 구비되면, 상기 베이스(813)에는 상기 드럼 투입구(722)에 가까운 내측 원주면(내측 가장자리)와 상기 드럼 바디(71)의 원주면에 가까운 외측 원주면(외측 가장자리)가 형성된다.
상기 제1면(811)은 상기 베이스(813)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터브(2)의 전방면(터브 투입구가 형성된 면)을 향해 돌출된 벽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면(812)은 상기 베이스(813)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터브(2)의 전방면을 향해 돌출된 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면(812)은 상기 드럼 투입구(722)를 감싸는 링 형상의 벽을 형성하고, 상기 제1면(811)은 상기 제2면을 감싸는 링 형사으이 벽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면(811)의 자유단과 상기 제2면(812)의 자유단 사이에는 개방면(전방 개방면)이 형성되는데, 상기 개방면은 상기 제2바디(82)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 밸런서(8) 내부에는 상기 베이스(813), 제1면(811), 제2면(812), 및 상기 제2바디(82)에 의해 순환경로(84, 전방 순환경로)가 형성된다. 상기 순환경로(84)는 상기 드럼 투입구(722)를 감싸는 링 형상의 경로가 될 것이다.
상기 전방 밸런서(8)에는 상기 순환경로(84)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볼(841)이 구비되는데, 상기 볼(841)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경로(84)에는 볼의 속도가 너무 빨라지는 것을 방지하는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2바디(82)에는 액체를 상기 순환경로(84)로 유입시키는 주입구(821, 전방 주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밸런서(8)는 체결부(85, 전방 체결부)를 통해 상기 드럼(7)에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85)는 상기 베이스(813)에 구비된 고정바디(851, 전방 고정바디), 및 상기 고정바디(851)를 상기 드럼 바디(71)와 상기 전방커버(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체결바디(852, 전방 체결바디)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체결바디(852)가 상기 고정바디(851)를 상기 드럼 바디(71) 및 전방커버(72)에 고정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체결바디(852)는 상기 전방 밸런서(8)를 드럼(7)에 고정하는 수단일 뿐 아니라, 상기 드럼 바디(71)와 전방커버(72)도 결합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고정바디(851)가 상기 제2면(812)에 위치시킨다면, 상기 전방 밸런서(8)는 상기 드럼 투입구(722)나 전방커버(72)에 고정되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 드럼 투입구(722)의 직경보다 상기 관통홀(83)의 직경이 길기 때문에, 상기 드럼 투입구(722)에 전방 밸런서(8)를 고정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커버(72)에 상기 전방 밸런서(8)를 고정하려면 상기 체결바디(852)는 상기 전방커버(72)에 직교하도록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드럼의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이 상기 체결바디에 전단응력(shear stress)을 유발하는 결과를 낳게 되므로, 드럼이나 제1바디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위험이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를 손상시키는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상기 전방 밸런서(8)의 내구성 저하의 위험은 상기 관통홀(83)의 직경이 증가할수록 커지며, 상기 전방 밸런서의 파손은 순환유로 내부의 액체 누출과 같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이와 같은 문제는 상업용 세탁기와 같이 드럼의 직경이 긴 의류처리장치에서 더 중요한 설계적 해결과제에 해당 함).
한편, 상기 고정바디(851)가 상기 제1면(811)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바디(852)가 상기 드럼 바디(71)의 원주면과 상기 고정바디(851)를 결합시키도록 구비된다면, 상술한 문제없이 상기 전방 밸런서(8)를 드럼(7)에 쉽게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면(811)에 상기 고정바디(851)를 위치시키면, 상기 순환경로(84)의 직경이 짧아지는데(고정바디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확보를 위해 제1면을 드럼 투입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함), 상기 순환경로의 직경이 짧아지는 것은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볼(841)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작아짐을 의미하고, 상기 볼(841)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감소는 상기 드럼의 언밸런스를 해소하는데 긴 시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고정바디(851)가 상기 베이스(813)에 구비되면, 상기 볼(841)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극대화하여 드럼의 언밸런스 상태를 단시간에 해소 가능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커버(72)는 상기 드럼 투입구(722)가 구비되는 전방커버 바디(721), 상기 전방커버 바디(721)에 상기 드럼 투입구(722)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813)가 장착되는 전방 장착부(723), 및 상기 전방 장착부(723)에서 연장되어 상기 드럼 바디(71)의 원주면에 접촉하는 전방 연결부(72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장착부(723)는 상기 전방커버 바디(721)가 상기 후방커버(73)를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7)의 회전 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1면(811)은 변형될 수 있는데, 상기 전방커버(72)가 상술한 구조로 구비되면 상기 전방 연결부(725)가 상기 제1면(811)의 변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851)가 상기 베이스(813)에서 상기 전방 장착부(723)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전방 장착부(723)에는 상기 고정바디(851)가 수용되는 전방 장착홈(7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장착홈(724)은 상기 전방 장착부(723)가 상기 후방커버(73)를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851)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바디(851)는 상기 관통홀(83)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장착홈(724)는 상기 고정바디(85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체결바디(852)는 제1고정홀(713)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바디(851)를 상기 드럼 바디(71)에 고정하는데, 상기 제1고정홀(713)은 상기 드럼 바디(71)의 원주면과 상기 전방 연결부(725)를 관통하여 상기 전방 장착홈(724)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851)가 상기 전방 장착홈(724)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면, 상기 전방 밸런서(8)와 상기 드럼(7)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851)의 상단의 높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면(811)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제1면(811)의 높이보다 낮은 지점에 구비(H)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면(811)의 높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의 고정바디(851) 구조는 상기 볼(841)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극대화할 뿐 아니라 상기 고정바디(851)가 상기 전방 연결부(725)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디(81, 82)의 변형을 최소화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드럼(7)의 회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1면(811)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전방 밸런서(8)에는 제1보강부(86, 전방 제1보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디(81)에는 상기 제1면(811)과 상기 베이스(813)가 연결되는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1연결면(813a, 전방 제1연결면) 및 상기 제2면(812)과 상기 베이스(813)가 연결되는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2연결면(813b, 전방 제2연결면)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면(813a)은 상기 베이스(813)에서 상기 제1바디(811)를 향해 휘어진 곡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면(813b)은 상기 베이스(813)에서 상기 제2바디(812)를 향해 휘어진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86)는 상기 제1면(811)에서 상기 전방커버(72)를 향해(전방 장착부를 향해) 돌출된 제1연장부(861, 전방 제1연장부), 및 일단은 상기 제1연장부(86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연결면(813a)에 고정된 제1지지부(862, 전방 제1지지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862)는 상기 제1연장부(861)의 변형을 최소화 가능할 뿐 아니라 상기 제1연장부(861)와 상기 제1연결면(813a)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2바디(82)에서 상기 제1연장부(861)의 자유단까지의 거리(L3)는 상기 제2바디(82)에서 상기 베이스(813)의 외주면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제1연장부의 자유단은 베이스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구비됨). 상기 전방 밸런서(8)의 장착을 위해 상기 전방커버(72)에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지지부(862)는 상기 관통홀(83)의 중심(드럼 투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리브(제1지지판)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보강부(86)는 상기 제1연장부(861)와 제1지지부(862) 중 어느 하나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장부(861)가 구비될 경우, 상기 고정바디(851)는 상기 제1연장부(861)와 상기 베이스(813)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851)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비되면, 상기 제1연장부(861) 및 상기 제1면(811)이 변형될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다.
원심력에 의한 상기 제1면(811)과 베이스(813)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상기 고정바디(851)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전방 밸런서(8)에는 고정바디 지지부(853, 전방 고정바디 지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 지지부(853)는 상기 제1연장부(861), 상기 고정바디(851), 및 상기 베이스(813)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상기 제1연장부(861)와 상기 베이스(813)를 연결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의 상단과 상기 고정바디(851)를 연결하는 상단 연결바디, 및 상기 지지바디의 하단과 상기 고정바디(851)를 연결하는 하단 연결바디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 지지부(853)는 상기 고정바디(851)의 좌측에 구비된 고정바디 제1지지부, 및 상기 고정바디(851)의 우측에 구비된 고정바디 제2지지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7)의 회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2면(812)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전방 밸런서(8)에는 제2보강부(87, 전방 제2보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보강부(87)는 상기 제2면(812)에서 상기 드럼 투입구(722)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871, 전방 돌출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83)을 형성하는 상기 제2면(812)에 상기 돌출부(871)가 구비되면, 원심력에 의한 상기 제2면(812)의 변형을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제2보강부(87)는 상기 돌출부(871)에서 상기 전방커버(72)를 향해 연장(전방 장착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연장부(872, 전방 제2연장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872)는 상기 드럼 투입구(722)를 감싸는 링 형상의 벽(상기 관통홀)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연장부(872)가 구비될 경우, 상기 제2보강부(87)에는 일단은 상기 제2연장부(87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연결면(813b)에 고정되는 제2지지부(873, 전방 제2지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873)는 상기 관통홀(83)의 중심을 기준으로(드럼 투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리브(제2지지판)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부(873)는 상기 관통홀(83)의 중심(베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각도(A)로 이격된 다수의 리브로 구비될 수 있으며, 실험에 의하면 상기 각도(A)는 7도 내지 15도로 설정될 때 상기 전방 밸런서(8)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상기 제2지지부(873)의 두께(T4)는 상기 제2면(812)의 두께(T1)의 1/2배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871)에서 상기 제2연장부(872)의 자유단까지의 거리(L2)는 상기 돌출부(871)에서 상기 베이스(813)의 외주면까지의 거리(L1)의 1/2배 이상으로 설정될 때 상기 제2면(812)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도 7은 상기 제2연장부(872)의 길이(L2)와 상기 제2면(812)의 길이(L1) 비에 따른 상기 제2지지부(873)의 강도변화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7의 그래프에 의하면, L2와 L1의 길이 비(L2/L1)가 0.5 미만일 때에는 길이 비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873)의 강도가 크게 변화하지만, 상기 길이 비가 0.5 이상이면 상기 제2지지부(873)의 강도 변화는 크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최소한의 비용으로 가장 큰 효과를 구현하는 L2와 L1의 길이 비는 0.5 이상 1 이하로 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장부(872)의 길이(L2)가 상기 제2면(812)의 길이(L1)보다 짧게 설정될 경우, 상기 제2지지부(873)의 자유단에는 경사부(874, 전방 경사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지지부(873)의 넓이가 넓어질수록 상기 제2면(812)의 변형방지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상기 경사부(873)는 상기 제2연장부(872)의 자유단에서 상기 제2연결면(813b)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872)의 두께(T3)는 상기 제2면(812)의 두께(T1) 이하로 설정될 때 제2면(812)의 변형방지에 효과적이며, 상기 제2연장부(872)의 두께(T3)가 상기 제2면의 두께(T1)의 0.7배 내지 0.9배로 설정될 때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상기 제2면(812)과 상기 제2연장부(872)를 연결하는 상기 제2지지부(873)의 높이(T2)는 상기 돌출부(871)에서 상기 제2연장부(872)의 자유단까지의 거리(L2)의 0.3배 이상으로 설정될 때 제2면(812)의 변형방지에 효과적이다.
도 8은 상기 후방 밸런서(9)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후방 밸런서(9)의 구조는 상술한 전방 밸런서(8)의 구조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 밸런서(9)는 상기 드럼바디(71) 또는 상기 후방커버(73)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축(791)을 감싸는 링 형상의 후방 바디(91, 92)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후방 바디는 상기 드럼(7)에 고정되는 후방 제1바디(91), 상기 후방 제1바디에 고정된 후방 제2바디(92), 및 상기 후방 제1바디 및 후방 제2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791)이 관통하는 후방 관통홀(9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제1바디(91)는 상기 구동축(761)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 후방 베이스(913), 상기 후방 베이스(913)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링 형상의 후방 제1면(911), 및 상기 후방 베이스(813)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링 형상의 후방 제2면(912)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후방 베이스(913)는 상기 후방 제1바디(91) 중 상기 후방커버(73)가 위치된 지점을 향하는 링 형상의 평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 베이스(913)가 링 형상으로 구비되면, 상기 후방 베이스(913)에는 상기 구동축(761)에 가까운 내측 원주면(내측 가장자리)와 상기 드럼 바디(71)의 원주면에 가까운 외측 원주면(외측 가장자리)가 형성된다.
상기 후방 제1면(911)은 상기 후방 베이스(913)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터브(2)의 후방면을 향해 돌출된 벽으로 구비되고, 상기 후방 제2면(912)은 상기 후방 베이스(913)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터브(2)의 후방면을 향해 돌출된 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 제2면(912)은 상기 구동축(761)를 감싸는 링 형상의 벽을 형성하고, 상기 후방 제1면(911)은 상기 후방 제2면을 감싸는 링 형사의 벽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상기 후방 제1면(911)의 자유단과 상기 후방 제2면(912)의 자유단 사이에는 개방면이 형성되는데, 상기 개방면은 상기 후방 제2바디(92)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 밸런서(9)에는 상기 후방 베이스(913), 후방 제1면(911), 후방 제2면(912), 및 상기 후방 제2바디(92)에 의해 후방 순환경로(94)가 형성된다. 상기 후방 순환경로(94)는 상기 구동축(761)을 감싸는 링 형상의 경로가 될 것이다.
상기 후방 밸런서(9)에는 상기 후방 순환경로(94)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볼(941, 후방 볼)이 구비되며, 볼의 속도가 너무 빨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후방 순환경로(94)에는 액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후방 밸런서(9)는 후방 체결부(95)를 통해 상기 드럼(7)에 고정된다. 상기 후방 체결부(95)는 상기 후방 베이스(913)에 구비된 후방 고정바디(951), 및 상기 후방 고정바디(951)를 상기 드럼 바디(71)와 상기 후방커버(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후방 체결바디(952)로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후방 체결바디(952)가 상기 후방 고정바디(951)를 상기 드럼 바디(71) 및 후방커버(73)에 고정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후방 고정바디(951)가 상기 후방 베이스(913)에 구비되면, 상기 볼(941)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극대화하여 드럼의 언밸런스 상태를 단시간에 해소 가능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후방 고정바디(951)의 상단의 높이는 상기 후방 제1면(911)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제1면(811)의 높이보다 낮은 지점에 구비(H)될 수도 있고, 상기 후방 제1면(911)의 높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데, 도 9는 후자의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커버(73)는 상기 구동축(761)이 고정되는 후방커버 바디(731), 상기 후방커버 바디(731)에 상기 구동축(761)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후방 베이스(913)가 장착되는 후방 장착부(733), 및 상기 후방 장착부(733)에서 연장되어 상기 드럼 바디(71)의 원주면에 접촉하는 후방 연결부(7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7)의 회전 시 원심력에 의해 상기 후방 제1면(911)은 변형될 수 있는데, 상기 후방커버(73)가 상술한 구조로 구비되면 상기 후방 연결부(735)가 상기 후방 제1면(911)의 변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후방 고정바디(951)가 상기 후방 베이스(913)에서 상기 후방 장착부(733)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후방 장착부(733)에는 상기 후방 고정바디(951)가 수용되는 후방 장착홈(73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장착홈(734)은 상기 후방 장착부(733)가 상기 전방커버(72)를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 고정바디(951)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후방 고정바디(951)는 상기 후방 관통홀(93)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 장착홈(734)은 상기 후방 고정바디(95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후방 체결바디(952)는 제2고정홀(715)에 삽입되어 상기 후방 고정바디(951)를 상기 드럼 바디(71)에 고정하는데, 상기 제2고정홀(715)은 상기 드럼 바디(71)의 원주면과 상기 후방 연결부(735)를 관통하여 상기 후방 장착홈(734)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 고정바디(951)가 상기 후방 장착홈(734)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면, 상기 후방 밸런서(9)와 상기 드럼(7)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의 언밸런스 상태를 단시간에 해소 가능할 뿐 아니라, 상기 후방 밸런서(9)의 장착을 위해 상기 후방커버(73)에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드럼(7)의 회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후방 제1면(911)과 상기 후방 제2면(912)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후방 밸런서(9)에는 후방 제1보강부(96) 및 후방 제2보강부(97)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제1보강부(96)와 상기 후방 제2보강부(97)의 구조는 상술한 전방 밸런서의 제1보강부(86) 및 제2보강부(87)의 구조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제1바디(91)에는 상기 후방 제1면(911)과 상기 후방 베이스(913)가 연결되는 모서리에 위치하는 후방 제1연결면(913a) 및 상기 후방 제2면(912)과 상기 후방 베이스(913)가 연결되는 모서리에 위치하는 후방 제2연결면(913b)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제1연결면(913a)은 상기 후방 베이스(913)에서 상기 후방 제1바디(911)를 향해 휘어진 곡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후방 제2연결면(913b)은 상기 후방 베이스(913)에서 상기 후방 제2바디(912)를 향해 휘어진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 제1보강부(96)는 상기 후방 제1면(911)에서 상기 후방커버(73)를 향해 돌출된 후방 제1연장부(961), 및 일단은 상기 후방 제1연장부(96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 제1연결면(913a)에 고정된 후방 제1지지부(96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제1지지부(962)는 상기 구동축(761)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리브(후방 제1지지판)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제1연장부(961)가 구비될 경우, 상기 후방 고정바디(951)는 상기 후방 제1연장부(961)와 상기 후방 베이스(913)를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후방 고정바디(951)의 양측에는 후방 고정바디 지지부(9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 고정바디 지지부(953)는 상기 후방 제1연장부(961), 상기 후방 고정바디(951), 및 상기 후방 베이스(913)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상기 후방 제1연장부(961)와 상기 후방 베이스(913)를 연결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의 상단과 상기 후방 고정바디(951)를 연결하는 상단 연결바디, 및 상기 지지바디의 하단과 상기 후방 고정바디(951)를 연결하는 하단 연결바디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 고정바디 지지부(953)는 상기 후방 고정바디(951)의 좌측에 구비된 후방 고정바디 제1지지부, 및 상기 후방 고정바디(951)의 우측에 구비된 후방 고정바디 제2지지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제2보강부(97)는 상기 후방 제2면(912)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구동축)을 향해 돌출된 후방 돌출부(971), 상기 후방 돌출부(971)에서 상기 후방커버(73)를 향해 연장되는 후방 제2연장부(972), 및 일단은 상기 후방 제2연장부(97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 제2연결면(913b)에 고정되는 후방 제2지지부(9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제2지지부(973)는 상기 후방 관통홀(93)의 중심을 기준으로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리브(후방 제2지지판)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후방 제2지지부(973)의 자유단에는 후방 경사부(9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제2보강부(97)는 상기 후방 돌출부(971)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후방 돌출부(971) 및 후방 제2지지부(973)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후방 돌출부(971) 및 후방 제2연장부(972)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전방 밸런서에 구비된 제2보강부(87)도 마찬가지이다.
상술한 후방 제1보강부(96) 및 후방 제2보강부(97)의 두께, 길이, 및 배치에 관한 특징은 앞서 설명한 전방 밸런서(8)의 제1보강부(86) 및 제2보강부(87)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커버(72)의 두께와 상기 후방커버(73)의 두께는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후방커버(73)가 상기 구동축(761)으로부터 외력을 입력받는 것을 고려하면, 상기 후방커버(73)의 두께가 전방커버(72)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드럼바디(71)에는 상기 제1고정홀(713)을 상기 드럼 투입구(722)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수용홈(71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밸런서(8)와 후방 밸런서(9)를 동일한 구조로 설계하면서, 상기 전방커버(72)와 후방커버(73)의 두께를 달리 설정하면, 상기 제1고정홀(713)의 위치를 상기 전방 밸런서(8)의 고정바디(851)에 접촉하는 지점까지 이동시켜야만 상기 전방 밸런서(8)의 내구성 저하를 최소화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구비된 전방밸런서(8) 및 후방밸런서(9)의 순환경로(84, 94) 내부에는 볼(841, 941)만 구비될 수도 있고, 볼과 액체가 모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액체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2: 터브
3: 급수부 4: 배수부 5: 제1공급부
6: 제2공급부 7: 드럼 71: 드럼 바디
711: 연통홀 712: 리프터 713: 제1고정홀
714: 수용홈 715: 제2고정홀 72: 전방커버
721: 전방커버 바디 722: 드럼 투입구 723: 전방 장착부
724: 전방 장착홈 725: 전방 연결부 73: 후방커버
731: 후방커버 바디 733: 후방 장착부 734: 후방 장착홈
735: 후방 연결부 76: 구동부 761: 구동축
762: 축 고정부 764: 종동풀리 765: 주동풀리
766: 벨트 767: 모터 8: 전방 밸런서
81: 제1바디 813: 베이스 813a: 제1연결면
813b: 제2연결면 811: 제1면 812: 제2면
82: 제2바디 821: 주입구 83: 관통홀
84: 순환경로 841: 볼 85: 체결부
851: 고정바디 852: 체결바디 853: 고정바디 지지부
86: 제1보강부 861: 제1연장부 862: 제1지지부
87: 제2보강부 871: 돌출부 872: 제2연장부
873: 제2지지부 874: 경사부 9: 후방 밸런서
91: 후방 제1바디 913: 후방 베이스 913a: 후방 제1연결면
913b: 후방 제2연결면 911: 후방 제1면 912: 후방 제2면
92: 후방 제2바디 93: 후방 관통홀 94: 후방 순환경로
95: 후방 체결부 951: 후방 고정바디 952: 후방 체결바디
953: 후방 고정바디 지지부 96: 후방 제1보강부
961: 후방 제1연장부 962: 후방 제1지지부 97: 후방 제2보강부
971: 후방 돌출부 972: 후방 제2연장부 973: 후방 제2지지부
974: 후방 경사부

Claims (17)

  1.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구에 연결되는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터브 투입구로 공급되는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링 형상의 제1면, 상기 베이스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제1면과 함께 순환경로를 형성하는 제2면, 및 상기 순환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볼이 구비된 밸런서;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밸런서를 상기 드럼에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 상기 드럼 바디 중 상기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하는 전방커버; 상기 전방커버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후방커버; 상기 드럼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 및 상기 전방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의류를 상기 드럼 바디로 유입시키는 드럼 투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서는 상기 전방커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고정바디; 및 상기 고정바디를 상기 드럼 바디와 상기 전방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체결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의 최상단의 높이는 상기 제1면의 최상단 높이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는 상기 드럼 투입구가 구비되는 전방커버 바디; 상기 전방커버 바디에 상기 드럼 투입구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가 장착되는 전방 장착부; 및 상기 전방 장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드럼 바디에 접촉하는 전방 연결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디 및 상기 전방 연결부는 상기 체결바디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전방 장착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전방 장착부에는 상기 고정바디가 수용되는 전방 장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전방 장착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디는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베이스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상기 베이스가 연결되는 모서리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제1바디를 향해 휘어진 제1연결면; 및
    일단은 상기 제1연장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연결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결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1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에서 상기 드럼 투입구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과 상기 베이스가 연결되는 모서리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제2바디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휘어진 제2연결면;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전방 장착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드럼 투입구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 제2연장부; 및
    일단은 상기 제2연장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연결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결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연장부의 자유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까지의 거리 1/2배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장부의 자유단에서 상기 연결면을 연결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의 두께는 상기 제2면의 두께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 상기 드럼 바디 중 상기 터브 투입구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하는 전방커버; 상기 전방커버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후방커버; 상기 드럼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 및 상기 전방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의류를 상기 드럼 바디로 유입시키는 드럼 투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서는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후방 고정바디; 및 상기 후방 고정바디를 상기 드럼 바디와 상기 후방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후방 체결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고정바디의 최상단의 높이는 상기 제1면의 최상단 높이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된 구동축을 통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커버는 상기 구동축이 고정되는 후방커버 바디; 상기 후방커버 바디에 상기 구동축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후방 장착부; 및 상기 후방 장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드럼 바디에 접촉하는 후방 연결부;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고정바디 및 상기 후방 연결부는 상기 후방 체결바디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48579A 2021-11-02 2021-11-02 의류처리장치 KR2023006346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579A KR20230063468A (ko) 2021-11-02 2021-11-02 의류처리장치
AU2022383620A AU2022383620A1 (en) 2021-11-02 2022-10-11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PCT/KR2022/015279 WO2023080458A1 (ko) 2021-11-02 2022-10-11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579A KR20230063468A (ko) 2021-11-02 2021-11-02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468A true KR20230063468A (ko) 2023-05-09

Family

ID=86241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579A KR20230063468A (ko) 2021-11-02 2021-11-02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063468A (ko)
AU (1) AU2022383620A1 (ko)
WO (1) WO2023080458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54293B1 (en) 2006-06-01 2017-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having balancer
KR101273587B1 (ko) 2006-06-01 2013-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101498037B1 (ko) * 2008-05-16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00129169A (ko) * 2009-05-28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ITRN20100029A1 (it) * 2010-05-21 2011-11-22 Iindesit Company S P A Macchina di lavaggio
KR102025781B1 (ko) * 2013-01-04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밸런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PL3702511T3 (pl) * 2019-02-26 2023-03-1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Pralka do rzeczy przeznaczonych do pran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0458A1 (ko) 2023-05-11
AU2022383620A1 (en) 202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422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8033145B2 (en) Drum-type washing machine
EP1143059B1 (en) Washing machine with balancer
US20130036776A1 (en) Washing machine
AU2020201985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0790630B1 (ko) 드럼식 세탁기
US1142794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spin-drying cycle of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20000531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63468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0418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60061B1 (ko) 의류처리장치
US20050262886A1 (en) Base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KR20200096030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06223452A (ja) ドラム式洗濯機
US11629447B2 (en) Drum-type washing apparatus
KR102413331B1 (ko) 의류처리장치
EP3985157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balancer
KR20220114167A (ko) 의류처리장치
KR102248075B1 (ko)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060039761A (ko) 세탁기 및 그 밸런싱 제어방법
KR101586309B1 (ko) 드럼세탁기
KR20230126584A (ko) 건조 겸용 세탁기
KR20210120298A (ko) 세탁장치
KR20120127868A (ko) 드럼세탁기
KR20110009533A (ko) 세탁물 처리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