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317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317A
KR20200005317A KR1020180078893A KR20180078893A KR20200005317A KR 20200005317 A KR20200005317 A KR 20200005317A KR 1020180078893 A KR1020180078893 A KR 1020180078893A KR 20180078893 A KR20180078893 A KR 20180078893A KR 20200005317 A KR20200005317 A KR 20200005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connection
body arm
drum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478B1 (ko
Inventor
권용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478B1/ko
Priority to EP21187545.5A priority patent/EP3919667B1/en
Priority to EP19182819.3A priority patent/EP3594401B1/en
Priority to EP23191937.4A priority patent/EP4249664A3/en
Priority to AU2019204701A priority patent/AU2019204701B2/en
Priority to US16/502,873 priority patent/US11365500B2/en
Priority to CN202111477136.8A priority patent/CN114134681B/zh
Priority to CN201910602351.2A priority patent/CN110685118B/zh
Publication of KR20200005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317A/ko
Priority to US17/833,579 priority patent/US11761135B2/en
Priority to US17/833,561 priority patent/US11891743B2/en
Priority to US17/833,548 priority patent/US11879199B2/en
Priority to US17/833,554 priority patent/US11913157B2/en
Priority to KR1020230062635A priority patent/KR102614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478B1/ko
Priority to KR1020230165525A priority patent/KR102647036B1/ko
Priority to KR1020240025587A priority patent/KR102674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21/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horizontal axis within an enclosing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9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the bearing of the rotary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의류가 출입하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제1면,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연결하는 원주면을 구비한 드럼; 상기 제2면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에 위치하는 제1바디 허브, 및 상기 제1바디 허브에서 상기 제2면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 암을 구비한 제1바디; 상기 터브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고정된 제2바디 허브, 및 상기 제1바디 암이 상기 제1바디 허브에서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바디 허브에서 연장되는 제2바디 암을 구비한 제2바디; 및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에 물이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 및 건조를 모두 수행 가능한 장치를 포괄하는 장치를 이르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장치의 전방면에 구비된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장치에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 방식(front loading type)과, 장치의 상부면에 구비된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장치에 투입하는 탑 로딩 방식(top loading type)으로 구분된다.
어떤 방식에 의한 장치든,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드럼에 전달하도록 상기 드럼과 모터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프론트 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드럼의 배면에 고정되고, 탑 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상기 커넥터에 이물질이 잔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커넥터를 청소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가 제공하는 회전동력을 드럼에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를 최소화 가능한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의류가 출입하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제1면,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연결하는 원주면을 구비한 드럼; 상기 제2면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에 위치하는 제1바디 허브, 및 상기 제1바디 허브에서 상기 제2면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 암을 구비한 제1바디; 상기 터브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고정된 제2바디 허브, 및 상기 제1바디 암이 상기 제1바디 허브에서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바디 허브에서 연장되는 제2바디 암을 구비한 제2바디; 및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에 물이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바디 암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 암과 상기 제2바디 암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바디로 구비되고, 상기 각 연결바디는 상기 제1바디 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는 상기 제1바디 암의 너비방향에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바디 암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을 향해 휘어지거나 상기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일정한 곡률로 휘어진 다수의 연결바디으로 구비되고, 상기 각 연결바디는 상기 제1바디 암과 상기 제2바디 암을 연결하되 상기 제1바디 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바디 암의 마주보는 양단 중 일단에서 상기 회전축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 암과 상기 제2바디 암을 연결하는 제1연결바디; 및 상기 제1바디 암의 마주보는 양단 중 타단에서 상기 회전축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 암과 상기 제2바디 암을 연결하는 제2연결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바디와 상기 제2연결바디는 하나의 연결점에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향해 뾰족한 V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고, 하나의 연결부와 다른 하나의 연결부는 상기 제1바디 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상기 제1연결바디와 다른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상기 제1연결바디는 서로 평행하고,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상기 제2연결바디와 다른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제2연결바디는 서로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연결점은 다른 하나의 연결부를 구성하는 제1연결바디의 자유단과 제2연결바디의 자유단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연결점은 다른 하나의 연결부를 구성하는 제1연결바디의 자유단과 제2연결바디의 자유단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연결점과 다른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연결점을 연결하되, 상기 제1바디 암과 상기 제2바디 암을 연결하지 않도록 구비된 리브(ri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의 높이는 상기 제1바디 암과 상기 제2바디 암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설정된다.
상기 리브는 상기 제1바디 암과 상기 제2바디 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바디 암의 마주보는 양단 중 일단에서 상기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 암과 상기 제2바디 암을 연결하는 제1연결바디; 및 상기 제1바디 암의 마주보는 양단 중 타단에서 상기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 암과 상기 제2바디 암을 연결하는 제2연결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바디와 상기 제2연결바디는 연결점에서 서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뾰족한 V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바디 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제1연결부, 제2연결부, 및 제3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를 구성하는 제1연결바디와 제2연결바디가 연결되는 연결점은 상기 제2연결부를 구성하는 제1연결바디의 자유단과 제2연결바디의 자유단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연결부를 구성하는 제1연결바디와 제2연결바디가 연결되는 연결점은 상기 제3연결부를 구성하는 제1연결바디의 자유단과 제2연결바디의 자유단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가 제공하는 회전동력을 드럼에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를 최소화 가능한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커넥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3)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에는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11)가 구비되는데, 상기 투입구(11)는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터브(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터브 바디(21)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터브 바디(21)는 터브 지지부(211)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터브 지지부(211)는 상기 터브 바디(21)에 발생한 진동을 흡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브 지지부(211)는 터브 바디의 상부면을 캐비닛에 연결하는 스프링, 터브 바디의 하부영역을 캐비닛에 연결하는 댐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의 전방면(터브 바디를 형성하는 공간 중 투입구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된 면)에는 상기 터브 투입구(23)가 구비되는데, 상기 터브 투입구(23)와 상기 투입구(11)는 대략 원통형상의 가스켓(29, 고무재질)으로 연결된다.
상기 터브 바디(21)는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과 터브 바디(21)를 연결하는 급수관(24),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관(24)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급수밸브(25)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부는 펌프(27),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을 상기 펌프(27)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26), 상기 펌프(27)에서 배출되는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28)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3)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31)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 바디(31)는 마주보는 양면이 개방된 원주면(32),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 바디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디스크 형상의 제1면(33), 상기 원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 바디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제2면(3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면(33)에는 상기 터브 투입구(23)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를 상기 드럼 바디(31) 내부로 유입시키는 드럼 투입구(33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드럼 바디(31), 상기 제1면(33), 및 상기 제2면(35)에는 상기 드럼 바디(31) 내부를 터브 바디(21) 내부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홀(311)이 구비된다.
상기 드럼(3)은 커넥터(C)를 통해 모터(41, 43)가 제공하는 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모터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외부에 위치하여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는 스테이터(41),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4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41)는 터브 바디(21)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C)는 상기 로터(43)와 드럼 바디(31)를 연결하는 회전축(S)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S)은 상기 터브 바디(21)의 배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드럼 바디의 제2면(35)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로터(43)에 고정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회전축(S)이 상기 드럼 바디의 제2면(35)에 직접 연결되면, 상기 회전축(S)의 회전 시 상기 제2면(35)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C)는 상기 회전축(S)이 고정되는 허브(61), 상기 허브에서 상기 제2면의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된 암(62, 63, 6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은 상기 허브에서 제2면의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된 하나의 암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두 개 이상의 암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두 개 이상의 암이 커넥터(C)에 구비될 경우, 각 암들은 상기 허브(61)를 기준으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상기 암이 3개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암은 허브(61)를 기준으로 120도씩 이격된 제1암(62), 제2암(63), 및 제3암(64)으로 구비될 것이다.
상기 커넥터(C)가 제공하는 회전력이 상기 드럼 바디(31)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면(35)에는 커넥터 수용홈(35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수용홈(351)은 상기 제2면(35)이 상기 제1면(33)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홈(드럼의 후방면이 드럼의 전방면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됨으로써 형성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수용홈(351)은 상기 허브(61) 및 3개의 암(62, 63, 64)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터가 제공하는 회전동력을 드럼에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C)를 드럼 바디(31)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드럼(3)에는 체결리브(35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리브(353)는 상기 드럼 바디(31) 또는 상기 제2면(35)에 고정된 원통형 파이프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리브에는 제1관통홀(355), 제2관통홀(356), 및 제3관통홀(35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암(62)의 자유단에는 제1체결홈(623), 제2암(63)의 자유단에는 제2체결홈(633), 제3암(64)의 자유단에는 제3체결홈(64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암(62)은 상기 제1관통홀(355)을 관통하여 상기 제1체결홈(623)에 체결된 볼트에 의해 상기 드럼(3)에 고정되고, 상기 제2암(63)은 상기 제2관통홀(356)을 관통하여 상기 제2체결홈(633)에 체결된 볼트에 의해 상기 드럼(3)에 고정되며, 상기 제3암(64)은 상기 제3관통홀(357)을 관통하여 상기 제3체결홈(643)에 체결된 볼트에 의해 상기 드럼(3)에 고정될 것이다.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C)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2면(35)에 접촉하는 면에는 강도보강부(6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도보강부(65)는 다수의 판(board)들이 격자구조를 형성하도록 교차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형상의 강도보강부(65)는 각 판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류에서 배출된 이물질이나 세제가 잔류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강도보강부는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보강부는 상기 제1암(62)의 길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암 리브(621), 상기 제2암(63)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암 리브(631), 및 상기 제3암(64)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3암 리브(64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암 리브(621)는 상기 제1암(62)의 너비방향(Y)을 따라 이격된 다수개의 판(board)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암 리브(631)는 상기 제2암(63)의 너비방향을 따라 이격된 다수 개의 판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암 리브(641)는 상기 제3암(64)의 너비방향을 따라 이격된 다수 개의 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C)는 이물질 등이 각 판들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도, 각 판들이 각 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므로,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커넥터(C)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커넥터(C)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C)는 드럼(3)의 회전 시 터브(2)에 저장된 물에 의해 이물질 등이 세척될 수 있는 구조라는 점이 특징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C)는 드럼의 제2면(35, 후방면)에 고정되는 제1바디(71), 상기 회전축(S)이 고정되는 제2바디(73),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3)를 연결하는 연결부(74)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74)는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3)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바디(71)와 제2바디(73) 사이의 공간으로 물이 통과 가능한 유로를 형성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1바디(71)는 상기 제2면(35)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3)의 회전중심에 위치하는 제1바디 허브(711), 상기 제1바디 허브(711)에서 상기 제2면(35)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 암(713, 714, 7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73)는 상기 터브(2)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S)이 고정되는 제2바디 허브(731), 상기 제2바디 허브(731)에서 상기 제1바디 암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2바디 암(733, 7634, 735)을 포함한다. 상기 제2바디 허브(731)는 제1바디 허브(711)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 허브(711)에 평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 암은 상기 제1바디 허브(711)에서 상기 제2면(35)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 제1암(713)만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 암은 상기 제1바디 허브(711)에서 상기 제1바디 제1암(713)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2바디 허브(731)에서 연장되는 제2바디 제1암(733)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74)는 상기 제1바디 제1암(713)의 좌측단에서 상기 회전축(S)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연결바디(741), 및 상기 제1바디 제1암(713)의 우측단에서 상기 회전축(S)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연결바디(74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바디(741)와 제2연결바디(743)는 각각 일단은 상기 제1바디 제1암(71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바디 제1암(733)에 연결된 판(board)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연결바디(741)의 일단과 제2연결바디(743)의 일단은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연결점(745)에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두 연결바디(741, 743)가 연결점(745)에서 만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어느 경우에나 상기 연결부(74)는 상기 회전축(S)을 향해 뾰족한 V자 형상이 될 것이다.
상기 연결부(74)가 회전축(S)을 향해 뾰족한 V자 형상으로 구비되면, 상기 커넥터(C)는 상기 제1바디 제1암(713)의 너비방향(Y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상기 제1바디 제1암(713)의 길이방향(Z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및 상기 커넥터의 두께방향(X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모두 지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터가 제공하는 회전동력을 드럼에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강도를 가진 커넥터(C)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연결부(74)는 상기 회전축(S)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뾰족한 V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연결부(74)는 상기 제1바디 제1암(713)의 좌측단에서 상기 회전축(S)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제1연결바디(741), 및 상기 제1바디 제1암(713)의 우측단에서 상기 회전축(S)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연결바디(741)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74)는 상기 제1바디 제1암(713)의 너비방향(Y축 방향, 회전축에서 제1바디 제1암의 자유단을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 판 형상의 연결바디로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연결부(74)는 상기 제1바디 제1암(713)의 너비방향(Y)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S)이 위치된 방향(-Z축 방향)을 향해 휘어지거나 상기 회전축(S)에서 멀어지는 방향(+Z축 방향)을 향해 일정한 곡률로 휘어진 판 형상의 연결바디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조의 연결부(74)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연결부(74)는 상기 제1바디 제1암(713)의 길이방향(Z축 방향, 회전축에서 제1바디 제1암의 자유단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각 연결부(74) 사이의 공간에 물이 이동하는 유로(77)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상기 제1연결바디와 다른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상기 제1연결바디는 서로 평행하고,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상기 제2연결바디와 다른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제2연결바디는 서로 평행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금형을 이용하여 커넥터를 제작할 때 제작 편의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드럼의 회전 시(로터의 회전 시, 커넥터의 회전 시) 터브에 저장된 물은 상기 연결부(74)에 의해 형성된 유로(77)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의류에서 배출된 이물질 등이 커넥터(C)에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C)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세척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의 커넥터(C)는 상기 연결부(74)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77) 때문에 커넥터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커넥터의 무게 때문에 모터에 공급되어야 하는 에너지를 최소화 가능하다(드럼의 회전에 필요한 에너지 최소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C)에는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연결점(745)과 다른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연결점(745)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의 강도를 높이는 리브(rib, 7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브(78)는 상기 제1바디 제1암(713)과 상기 제2바디 제1암(7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되, 상기 유로(77)을 막지 않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즉, 상기 리브(78)는 상기 제1바디 제1암(713)과 제2바디 제2암(733)을 연결하지 않도록 구비되어야 한다(리브의 높이는 상기 제1바디 암과 상기 제2바디 암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리브(78)는 상기 제1바디 제1암(713)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므로, 상기 제1바디 제1암(713)과 제2바디 제1암(733)이 상기 제2면(35)을 향해 휘어지거나, 상기 제2면(35)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77)를 통해 이동하는 물의 양을 늘리고, 커넥터의 무게를 크게 줄이기 위해, 하나의 연결부(74)에 구비된 연결점(745)은 다른 하나의 연결부를 구성하는 제1연결바디의 자유단과 제2연결바디의 자유단을 연결(L1)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A1)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로(77)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커넥터(C)의 강도를 높이려면,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연결점(745)은 다른 하나의 연결부를 구성하는 제1연결바디의 자유단과 제2연결바디의 자유단을 연결(L2)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A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다수의 연결부들(74)은 제1연결바디의 자유단과 제2연결바디의 자유단을 연결(L3)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A3)의 외부에 위치하는 연결점(745)과, 제1연결바디의 자유단과 제2연결바디의 자유단을 연결(L4)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A4)의 내부에 위치하는 연결점(745)이 모두 존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1바디 제1암(7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제1연결부, 제2연결부, 및 제3연결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제1연결부를 구성하는 제1연결바디와 제2연결바디가 연결되는 연결점은 상기 제2연결부를 구성하는 제1연결바디의 자유단과 제2연결바디의 자유단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A4)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연결부를 구성하는 제1연결바디와 제2연결바디가 연결되는 연결점은 상기 제3연결부를 구성하는 제1연결바디의 자유단과 제2연결바디의 자유단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A3)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바디 허브(711)와 제2바디 허브(731)는 허브 연결부(747)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허브 연결부(747)는 일단은 상기 제1바디 허브(71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바디 허브(731)에 고정된 판(board)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허브 연결부(747)는 회전축(S)을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된 다수의 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커넥터(C)는 제1바디 암이 제1바디 제1암(713)만으로 구비되고, 제2바디 암은 제2바디 제1암(733)만으로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인데, 이하에서는 상기 제1바디 암은 제1바디 제1암(713), 제1바디 제2암(714), 및 제1바디 제3암(715)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 암은 제2바디 제1암(733), 제2바디 제2암(734), 및 제2바디 제3암(735)로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디 암은 상기 제1바디 허브(711)에서 상기 제2면(35)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 제1암(713), 상기 제1바디 허브(711)에서 상기 제2면(35)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 제2암(714), 및 상기 제1바디 허브(711)에서 상기 제2면(35)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 제3암(71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암들(713, 714, 715)은 회전축(S)을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120도)로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바디 암은 상기 제1바디 허브(711)에서 제1바디 제1암(713)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바디 허브(731)에서 연장되는 제2바디 제1암(733), 상기 제1바디 허브(711)에서 제1바디 제2암(714)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바디 허브(731)에서 연장되는 제2바디 제2암(734), 및 상기 제1바디 허브(711)에서 제1바디 제3암(715)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바디 허브(731)에서 연장되는 제2바디 제3암(7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 제1암(713)의 자유단과 제2바디 제1암(733)의 자유단은 제1체결바디(751)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제1체결바디에는 상기 체결리브(353)에 구비된 제1관통홀(355)에 연통하는 제1체결홈(751a)이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바디 제2암(714)의 자유단과 제2바디 제2암(734)의 자유단을 연결하는 제2체결바디(753)에는 제2관통홀(356)에 연통하는 제2체결홈(753a)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바디 제3암(715)의 자유단과 제2바디 제3암(735)의 자유단을 연결하는 제3체결바디(755)에는 제3관통홀(357)에 연통하는 제3체결홈(755a)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74)는 상기 제1바디 제1암(713)과 제2바디 제1암(733)을 연결하는 제1암 연결부, 상기 제1바디 제2암(714)과 제2바디 제2암(734)을 연결하는 제2암 연결부, 상기 제1바디 제3암(715)과 제2바디 제3암(735)을 연결하는 제3암 연결부로 구비된다.
상기 제1암 연결부의 구조, 제2암 연결부의 구조, 및 제3암 연결부의 구조는 앞서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연결부의 구조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암 연결부는 상기 제1바디 제1암(713)과 제2바디 제1암(733)을 연결하는 제1연결바디(741) 및 제2연결바디(743)로 구비되고, 상기 제2암 연결부는 상기 제1바디 제2암(714)과 제2바디 제2암(734)을 연결하는 제1연결바디 및 제2연결바디로 구비되며, 상기 제3암 연결부는 상기 제1바디 제3암(715)과 제2바디 제3암(735)을 연결하는 제1연결바디 및 제2연결바디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프론트 로딩 방식(front-loading type)의 의류처리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인데, 본 발명은 탑 로딩 방식(top-loading type)의 의류처리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투입구(11)는 캐비닛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 투입구(23)는 원통형상의 터브 바디의 상부면에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드럼 투입구가 구비되는 제1면은 상기 드럼 바디의 상부면이 되고, 커넥터의 제1바디(71)가 고정되는 제2면은 드럼 바디(31)의 하부면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2: 터브
3: 드럼 31: 드럼 바디 C: 커넥터
S: 회전축 71: 제1바디 711: 제1바디 허브
713: 제1바디 제1암 714: 제1바디 제2암 715: 제1바디 제3암
73: 제2바디 731: 제2바디 허브 733: 제2바디 제1암
734: 제2바디 제2암 735: 제2바디 제3암 74: 연결부
741: 제1연결바디 743: 제2연결바디 745: 연결점
747: 허브 연결부 77: 유로 78: 리브

Claims (14)

  1.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의류가 출입하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제1면,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연결하는 원주면을 구비한 드럼;
    상기 제2면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에 위치하는 제1바디 허브, 및 상기 제1바디 허브에서 상기 제2면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 암을 구비한 제1바디;
    상기 터브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고정된 제2바디 허브, 및 상기 제1바디 암이 상기 제1바디 허브에서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바디 허브에서 연장되는 제2바디 암을 구비한 제2바디; 및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에 물이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바디 암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 암과 상기 제2바디 암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바디로 구비되고,
    상기 각 연결바디는 상기 제1바디 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바디 암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을 향해 휘어지거나 상기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일정한 곡률로 휘어진 다수의 연결바디으로 구비되고,
    상기 각 연결바디는 상기 제1바디 암과 상기 제2바디 암을 연결하되 상기 제1바디 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바디 암의 마주보는 양단 중 일단에서 상기 회전축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 암과 상기 제2바디 암을 연결하는 제1연결바디; 및
    상기 제1바디 암의 마주보는 양단 중 타단에서 상기 회전축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 암과 상기 제2바디 암을 연결하는 제2연결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바디와 상기 제2연결바디는 하나의 연결점에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향해 뾰족한 V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고, 하나의 연결부와 다른 하나의 연결부는 상기 제1바디 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상기 제1연결바디와 다른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상기 제1연결바디는 서로 평행하고,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상기 제2연결바디와 다른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제2연결바디는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연결점은 다른 하나의 연결부를 구성하는 제1연결바디의 자유단과 제2연결바디의 자유단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연결점은 다른 하나의 연결부를 구성하는 제1연결바디의 자유단과 제2연결바디의 자유단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연결점과 다른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연결점을 연결하되, 상기 제1바디 암과 상기 제2바디 암을 연결하지 않도록 구비된 리브(ri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높이는 상기 제1바디 암과 상기 제2바디 암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제1바디 암과 상기 제2바디 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바디 암의 마주보는 양단 중 일단에서 상기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 암과 상기 제2바디 암을 연결하는 제1연결바디; 및
    상기 제1바디 암의 마주보는 양단 중 타단에서 상기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 암과 상기 제2바디 암을 연결하는 제2연결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바디와 상기 제2연결바디는 연결점에서 서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뾰족한 V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80078893A 2018-07-06 2018-07-06 의류처리장치 KR102534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893A KR102534478B1 (ko) 2018-07-06 2018-07-06 의류처리장치
EP21187545.5A EP3919667B1 (en) 2018-07-06 2019-06-27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19182819.3A EP3594401B1 (en) 2018-07-06 2019-06-27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3191937.4A EP4249664A3 (en) 2018-07-06 2019-06-27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19204701A AU2019204701B2 (en) 2018-07-06 2019-07-02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6/502,873 US11365500B2 (en) 2018-07-06 2019-07-03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2111477136.8A CN114134681B (zh) 2018-07-06 2019-07-05 衣物处理设备
CN201910602351.2A CN110685118B (zh) 2018-07-06 2019-07-05 衣物处理设备
US17/833,579 US11761135B2 (en) 2018-07-06 2022-06-06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7/833,561 US11891743B2 (en) 2018-07-06 2022-06-06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7/833,548 US11879199B2 (en) 2018-07-06 2022-06-06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7/833,554 US11913157B2 (en) 2018-07-06 2022-06-06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230062635A KR102614503B1 (ko) 2018-07-06 2023-05-15 의류처리장치
KR1020230165525A KR102647036B1 (ko) 2018-07-06 2023-11-24 의류처리장치
KR1020240025587A KR102674541B1 (ko) 2024-02-22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893A KR102534478B1 (ko) 2018-07-06 2018-07-06 의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2635A Division KR102614503B1 (ko) 2018-07-06 2023-05-1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317A true KR20200005317A (ko) 2020-01-15
KR102534478B1 KR102534478B1 (ko) 2023-05-19

Family

ID=6710584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893A KR102534478B1 (ko) 2018-07-06 2018-07-06 의류처리장치
KR1020230062635A KR102614503B1 (ko) 2018-07-06 2023-05-15 의류처리장치
KR1020230165525A KR102647036B1 (ko) 2018-07-06 2023-11-24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2635A KR102614503B1 (ko) 2018-07-06 2023-05-15 의류처리장치
KR1020230165525A KR102647036B1 (ko) 2018-07-06 2023-11-2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11365500B2 (ko)
EP (3) EP3919667B1 (ko)
KR (3) KR102534478B1 (ko)
CN (2) CN114134681B (ko)
AU (1) AU2019204701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7567B1 (en) 2018-01-12 2019-07-23 Dusa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photodynamic therapy
US11846057B2 (en) * 2019-12-17 2023-12-19 Wade Chapman Stabilizer for a rotatable drum
KR20220109907A (ko) * 2021-01-29 2022-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122240A (ko) * 2021-02-26 2022-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8185A (ko) * 2007-10-15 2009-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샤프트플랜지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20130137528A (ko) * 2012-06-07 2013-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밸런싱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3902A (ko) 1999-06-26 2001-01-15 윤종용 드럼세탁기의 베어링 냉각장치
KR100505233B1 (ko) 2002-12-10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US20050252252A1 (en) * 2004-05-15 2005-11-17 Lg Electronics Inc. Drum for washing machine
KR101191194B1 (ko) * 2006-05-01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스파이더 구조
KR100805231B1 (ko) 2006-11-24 200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101440664B1 (ko) * 2007-06-29 2014-09-24 바스프 에스이 세탁기용 바스켓 조립체
KR101068830B1 (ko) 2009-03-31 2011-09-29 양덕수 세탁기용 플랜지 샤프트
KR101692726B1 (ko) 2009-05-28 201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20130077997A (ko) * 2011-12-30 2013-07-1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펄세이터
US9441697B2 (en) * 2012-06-07 2016-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lancing modul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WO2013183929A1 (en) 2012-06-07 2013-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lancer, balancer housing,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L2671996T3 (pl) * 2012-06-07 2015-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duł wyważający i pralka w niego wyposażona
JP6397254B2 (ja) * 2014-08-04 2018-09-26 アクア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2329421B1 (ko) * 2015-04-01 2021-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436701B1 (ko) * 2015-10-01 2022-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KR20180023288A (ko) * 2016-08-25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498660B (zh) * 2016-09-21 2019-01-01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内筒组件和洗衣机
CN106498680A (zh) 2016-10-28 2017-03-15 衡阳智源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内衣物干燥消毒装置
CN106498860B (zh) 2016-11-28 2018-09-21 柳州欧维姆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拱桥旧吊杆拆除的整束顶拔钢丝及清孔的方法
CN106681795B (zh) 2016-12-09 2020-04-28 北京航空航天大学 节点局部拓扑和可利用资源容量的虚拟网络映射方法
KR101937314B1 (ko) 2016-12-30 2019-01-10 롯데첨단소재(주) 고무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426575B1 (ko) * 2017-08-18 2022-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8185A (ko) * 2007-10-15 2009-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샤프트플랜지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20130137528A (ko) * 2012-06-07 2013-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밸런싱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65500B2 (en) 2022-06-21
KR20230074428A (ko) 2023-05-30
CN110685118A (zh) 2020-01-14
US11761135B2 (en) 2023-09-19
KR102647036B1 (ko) 2024-03-13
EP4249664A3 (en) 2023-12-20
US11891743B2 (en) 2024-02-06
AU2019204701B2 (en) 2021-02-25
EP3594401A1 (en) 2020-01-15
US20200010997A1 (en) 2020-01-09
US20220307187A1 (en) 2022-09-29
US20220298701A1 (en) 2022-09-22
US20220298700A1 (en) 2022-09-22
CN114134681B (zh) 2023-12-22
CN110685118B (zh) 2021-12-24
US11913157B2 (en) 2024-02-27
KR20240026979A (ko) 2024-02-29
EP3594401B1 (en) 2021-07-28
KR20230165735A (ko) 2023-12-05
KR102614503B1 (ko) 2023-12-19
EP3919667A1 (en) 2021-12-08
EP4249664A2 (en) 2023-09-27
CN114134681A (zh) 2022-03-04
KR102534478B1 (ko) 2023-05-19
AU2019204701A1 (en) 2020-01-23
US11879199B2 (en) 2024-01-23
US20220298699A1 (en) 2022-09-22
EP3919667B1 (en) 202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703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83492B1 (ko) 의류처리장치
EP3159449B1 (en)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102091603B1 (ko) 의류처리장치
RU244285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CN109972361B (zh) 衣物处理设备
KR20100018241A (ko) 볼 밸런서 및 이를 구비한 세탁장치
KR10267454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6006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10125A (ko) 의류처리장치
JP2017189480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428265B1 (ko) 세탁기
KR20230002965A (ko) 의류처리장치
KR20140065896A (ko) 세탁기
KR20080034337A (ko) 드럼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