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989A -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989A
KR20230062989A KR1020210147740A KR20210147740A KR20230062989A KR 20230062989 A KR20230062989 A KR 20230062989A KR 1020210147740 A KR1020210147740 A KR 1020210147740A KR 20210147740 A KR20210147740 A KR 20210147740A KR 20230062989 A KR20230062989 A KR 20230062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module
footrest
hors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336B1 (ko
Inventor
조상호
Original Assignee
스크린승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크린승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크린승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7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336B1/ko
Publication of KR20230062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은, 말 모형으로 형성되는 승마운동기구의 측면 영역에 사용자의 발 위치와 대응되도록 설치되고, 표면의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 안내부가 길게 형성되며, 상기 높낮이 안내부에 다수의 걸림부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지 모듈과, 상기 지지 모듈에 높낮이 안내부를 따라 안내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도록 다수의 걸림부 중 어느 하나의 걸림부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발판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마운동기구에 설치되는 지지 모듈에 대해 발판 모듈을 간편하게 높낮이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유아, 어린이, 청소년 및 성인 등의 모든 사용자의 발의 위치에 맞도록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승마운동기구의 놀이과정에서 사용자의 발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낙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SATETY FOOTBOARD FOR HORSEBACK RI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장이나 다리길이와 같은 신체구조에 따라 발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마는 말을 타고 말을 부리면서 말에게 여러가지 운동(동작)을 시키는 스포츠이다. 다양한 운동기구 및 오락기구, 또는 이들을 결합시킨 형태의 운동기구가 다수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승마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스포츠로 체력단련과 운동효과도 뛰어날 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재활치료 효과 또한 뛰어나며, 육체적, 신체적으로 살아있는 동물과 교감할 수 있어 일반 대중들에게 많은 흥미를 유발시킨다.
그러나, 대부분의 승마장은 도심에서 대부분 멀리 떨어진 장소에 위치되어 있어 접근성이 떨어져 불편하고 이용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말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승마를 접하는데 거부감을 갖는 등 대중에 보급이 어려운 실정이다.
근래에는 전국민 생활체육 스포츠로써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대안으로, 실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승마를 즐길 수 있도록 승마운동기구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승마운동기구는 일정길이의 발판끈(등좌끈)으로 연결된 발판(등좌)에 의해 탑승자의 발을 지지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탑승자의 다리길이에 따라 발판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어 매우 불편하였고, 탑승자의 발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여 낙상 등의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571252(등록일자 2015년11월17일) KR 등록특허공보 제10-0903056호(등록일자 2009년06월09일)) KR 등록특허공보 제10-1842364호(등록일자 2018년03월20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발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든 사용자가 신장이나 다리길이와 같은 신체구조에 따라 발판의 높낮이를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발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발판을 일정각도로 설정함으로써 실제 승마운동과 같은 올바른 기승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말 모형으로 형성되는 승마 본체의 측면 영역에 사용자의 발 위치와 대응되도록 설치되고, 표면의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 안내부가 길게 형성되며, 상기 높낮이 안내부에 다수의 걸림부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지 모듈; 및 상기 지지 모듈에 높낮이 안내부를 따라 안내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도록 다수의 걸림부 중 어느 하나의 걸림부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발판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 모듈은, 상기 걸림부에 걸림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림 블록; 및 상기 걸림 블록에 사용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높낮이 안내부의 일측에 걸림 블록의 상부가 걸림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 걸림턱; 및 상기 높낮이 안내부의 타측에 걸림 블록의 하부가 걸림될 수 있도록 상부 걸림턱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하부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낮이 안내부는, 상기 상부 걸림턱의 하부에 일정한 곡률을 갖는 제1 회전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걸림턱의 상부에 일정한 곡률을 갖는 제2 회전 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 블록은 제1, 2 회전 지지면과 대응되는 양 측면에 일정한 곡률을 갖는 제1, 2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 모듈이 높낮이 조절을 위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2 안내면은 제1, 2 회전 지지면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은, 상기 승마 본체에 탑승하는 사용자가 기승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걸림 블록에 대해 일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마운동기구에 설치되는 지지 모듈에 대해 발판 모듈을 간편하게 높낮이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유아, 어린이, 청소년 및 성인 등의 모든 사용자의 발의 위치에 맞도록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승마운동기구의 놀이과정에서 사용자의 발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낙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의 전체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의 지지 모듈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의 발판 모듈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의 지지 모듈 상에서 발판 모듈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이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의 높낮이 조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은, 지지 모듈(10)과, 그리고 발판 모듈(2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은 승마운동기구(1)에 탑승하는 모든 사용자의 신체구조에 따라, 지지 모듈(10)에 대해 발판 모듈(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 모듈(10)은 발판 모듈(20)의 높낮이 조절을 안내 및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서, 지지 모듈(10)은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말 모형으로 형성되는 승마운동기구(1)의 측면 영역에 사용자의 발 위치와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지지 모듈(10)은 승마운동기구(1)의 측면 영역에 수직 상태로 설치되거나 또는 승마운동기구(1)의 전방 측으로 일정각도록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 모듈(10)은 표면의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 안내부(12)가 길게 형성된다. 높낮이 안내부(12)는 지지 모듈(10) 상에서 발판 모듈(2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이동 공간을 제공한다.
높낮이 안내부(12)에는 발판 모듈(20)의 높낮이 조절 상태를 걸림할 수 있는 다수의 걸림부(14)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걸림부(14)는 높낮이 안내부(12)의 일측에 상부 걸림턱(14A)이 형성되고, 높낮이 안내부(12)의 타측에 상부 걸림턱(14A)보다 낮은 위치에 하부 걸림턱(14B)이 형성된다.
즉, 지지 모듈(10)에 대해 발판 모듈(20)의 높낮이 조절하는 경우, 발판 모듈(20)의 걸림 블록(22)은 높낮이 안내부를 따라 이동된 후, 걸림 블록(22)의 일측 상부가 상부 걸림턱(14A)에 걸림되고, 걸림 블록(22)의 타측 하부가 하부 걸림턱(14B)에 걸림됨으로써 다수의 걸림부(14) 중 어느 하나의 걸림부(14)에 선택적으로 걸림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높낮이 안내부(12)는 상부 걸림턱(14A)의 하부에 일정한 곡률을 갖는 제1 회전 지지면(16)이 형성되고, 하부 걸림턱(14B)의 상부에 일정한 곡률을 갖는 제2 회전 지지면(18)이 형성된다. 이때, 제1, 2 회전 지지면(16)(18)은 높낮이 안내부(12)의 양측에 오목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 모듈(10)에 대해 발판 모듈(20)의 높낮이 조절하는 경우, 걸림 블록(22)의 회전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즉, 걸림 블록(22)은 지지 모듈(10)에 대해 발판 모듈(20)의 높낮이 조절시 높낮이 안내부(12) 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걸림 블록(22)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양 측면이 제1, 2 회전 지지면(16)(18)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됨으로써 원활한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발판 모듈(20)은 지지 모듈(10)에 대해 높낮이 조절되도록 마련되며, 걸림 블록(22)과, 그리고 발판(28)을 포함한다.
걸림 블록(22)은 걸림부(14)에 걸림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걸림 블록(22)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걸림 블록(22)은 일측 상부가 상부 걸림턱(14A)에 걸림되고, 타측 하부가 하부 걸림턱(14B)에 걸림됨으로써 걸림부(14) 상에서 높낮이 조절되도록 걸림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달리, 걸림 블록(22)은 세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지지 모듈(10)에 대해 높낮이 조절되도록 높낮이 안내부(12)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걸림 블록(22)은 양 측면에 일정한 곡률을 갖는 제1, 2 안내면(24)(26)이 형성된다. 이때, 제1, 2 안내면(24)(26)의 곡률은 걸림부(14)의 제1, 2 회전 지지면(16)(18)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걸림 블록(22)은 높낮이 안내부(12) 상에서 높낮이 조절을 위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2 안내면(24)(26)이 제1, 2 회전 지지면(16)(18)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될 수 있게 된다.
발판(28)은 걸림 블록(22)에 사용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발판(28)은 승마운동기구(1)에 탑승하는 사용자가 기승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걸림 블록(22)에 대해 일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즉, 발판(28)은 걸림 블록(22)에 대해 사용자 발의 뒤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발판(28)에 지지되는 발에 의해 승마운동기구(1)에 상체를 밀착시키게 됨으로써 올바른 기승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발판(28)은 사용자의 기승 자세 유지를 위해 걸림 블록(22)에 대해 대략 10도 내지 15도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의 높낮이 조절상태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유아 등의 어린이는 신체의 미성숙으로 인해 다리의 길이가 짧을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지지 모듈(10)에 대해 발판 모듈(20)의 높낮이를 발의 위치에 맞도록 높낮이 조절하게 된다.
즉, 발판 모듈(20)이 지지 모듈(10)의 걸림부(14)에 걸림된 상태에서, 걸림 블록(2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높낮이 안내부(12)의 최상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 블록(22)의 상부와 하부가 상부 걸림턱(14A)과 하부 걸림턱(14B)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발의 위치에 맞도록 발판(28)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신장이 작은 청소년의 경우, 지지 모듈(10)에 대해 발판 모듈(2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높낮이 안내부(12)의 중간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 블록(22)의 상부와 하부가 상부 걸림턱(14A)과 하부 걸림턱(14B)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발의 위치에 맞도록 발판(28)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신장이 큰 청소년 또는 성인의 경우, 신체 발달의 성숙으로 다리의 길이가 길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지지 모듈(10)에 대해 발판 모듈(20)의 높낮이를 발의 위치에 맞도록 높낮이 조절하게 된다.
즉, 발판 모듈(20)의 걸림 블록(2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높낮이 안내부(12)의 최하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 블록(22)의 상부와 하부가 상부 걸림턱(14A)과 하부 걸림턱(14B)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발의 위치에 맞도록 발판(28)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은, 승마운동기구에 설치되는 지지 모듈(10)에 대해 발판 모듈(20)을 간편하게 높낮이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유아, 어린이, 청소년 및 성인 등의 모든 사용자의 발의 위치에 맞도록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승마운동기구(1)의 놀이과정에서 사용자의 발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낙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지지 모듈
12: 높낮이 안내부
14: 걸림부
14A: 상부 걸림턱
14B: 하부 걸림턱
16: 제1 회전 지지면
18: 제2 회전 지지면
20: 발판 모듈
22: 걸림 블록
24: 제1 안내면
26: 제2 안내면
28: 발판

Claims (5)

  1. 말 모형으로 형성되는 승마운동기구의 측면 영역에 사용자의 발 위치와 대응되도록 설치되고, 표면의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 안내부가 길게 형성되며, 상기 높낮이 안내부에 다수의 걸림부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지 모듈; 및
    상기 지지 모듈에 높낮이 안내부를 따라 안내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도록 다수의 걸림부 중 어느 하나의 걸림부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발판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모듈은,
    상기 걸림부에 걸림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림 블록; 및
    상기 걸림 블록에 사용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높낮이 안내부의 일측에 걸림 블록의 상부가 걸림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 걸림턱; 및
    상기 높낮이 안내부의 타측에 걸림 블록의 하부가 걸림될 수 있도록 상부 걸림턱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하부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안내부는,
    상기 상부 걸림턱의 하부에 일정한 곡률을 갖는 제1 회전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걸림턱의 상부에 일정한 곡률을 갖는 제2 회전 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 블록은 제1, 2 회전 지지면과 대응되는 양 측면에 일정한 곡률을 갖는 제1, 2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 모듈이 높낮이 조절을 위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2 안내면은 제1, 2 회전 지지면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승마 본체에 탑승하는 사용자가 기승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걸림 블록에 대해 일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
KR1020210147740A 2021-11-01 2021-11-01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 KR102614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740A KR102614336B1 (ko) 2021-11-01 2021-11-01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740A KR102614336B1 (ko) 2021-11-01 2021-11-01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989A true KR20230062989A (ko) 2023-05-09
KR102614336B1 KR102614336B1 (ko) 2023-12-15

Family

ID=86409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740A KR102614336B1 (ko) 2021-11-01 2021-11-01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3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056B1 (ko) 2007-10-30 2009-06-18 (주)마이키 승마형 운동기구
KR101571252B1 (ko) 2014-10-15 2015-11-23 조단비 스크린 승마 운동기구
KR20160144840A (ko) * 2015-06-09 2016-12-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승마 운동 장치
KR101842364B1 (ko) 2016-09-06 2018-03-27 박영호 무동력 승마 운동 기구
CN212878521U (zh) * 2020-10-26 2021-04-06 徐兴校 一种钓椅脚踏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056B1 (ko) 2007-10-30 2009-06-18 (주)마이키 승마형 운동기구
KR101571252B1 (ko) 2014-10-15 2015-11-23 조단비 스크린 승마 운동기구
KR20160144840A (ko) * 2015-06-09 2016-12-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승마 운동 장치
KR101842364B1 (ko) 2016-09-06 2018-03-27 박영호 무동력 승마 운동 기구
CN212878521U (zh) * 2020-10-26 2021-04-06 徐兴校 一种钓椅脚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336B1 (ko) 202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3008A (en) Infant exerciser
US5242338A (en) Infant exercise and entertainment device
US9931556B2 (en) Riding trainer
KR101731302B1 (ko)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기 동작 훈련용 스윙타입 재활치료기기
US7708676B2 (en) “Figure-eight” track, apparatus, method, and game for sensory-motor exercise
KR20230062989A (ko)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
KR102150353B1 (ko) 다변형 자전거 운동기구
KR101389926B1 (ko) 스탠드형 보행장치
KR101663074B1 (ko) 영아용 슬라이딩 놀이기구
KR100903968B1 (ko) 등자쇠 운동을 할 수 있는 승마 운동기구
JP3203714U (ja) 揺動遊戯具
US10245494B1 (en) Trick board training apparatus
KR101817147B1 (ko)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
US10959537B1 (en) Activity saucer for infants with clubfoot
US726028A (en) Child's exercising and amusement apparatus.
Swift Centered riding 2: further exploration
KR101442709B1 (ko) 그네
KR101319622B1 (ko)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101077490B1 (ko) 승마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KR20120004381A (ko)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 발걸이가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RU56808U1 (ru) Опора для стояния "березка"
JP3426713B2 (ja) 対面式固定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遊戯装置
US11917275B2 (en) Playground apparatus comprising a camera support
CN211885106U (zh) 具有蹦蹦床、摇摇马、扭扭车、跷跷板多功能变化的玩具
KR100977913B1 (ko) 유희용 승마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