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339A - 화장품 - Google Patents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339A
KR20230062339A KR1020220041557A KR20220041557A KR20230062339A KR 20230062339 A KR20230062339 A KR 20230062339A KR 1020220041557 A KR1020220041557 A KR 1020220041557A KR 20220041557 A KR20220041557 A KR 20220041557A KR 20230062339 A KR20230062339 A KR 20230062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eparation sheet
cosmetics
container body
appl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5603B1 (ko
Inventor
기애 김
코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Publication of KR20230062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87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for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3Powder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과제]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위생적이고 편리한 화장품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상측으로 개구하는 제1 개구부를 갖는 하단 수용부와, 하단 수용부의 상측에, 외측으로 확대하는 단차부를 통하여 마련되고, 상측으로 개구하는 제2 개구부를 갖는 상단 수용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와, 제2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와, 하단 수용부에 수용된 화장료와, 상단 수용부에 수용되고, 화장료를 도포하기 위한 도포구와, 화장료와 도포구 사이에 위치하고, 화장료와 도포구를 분리하는 분리 시트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화장품{COSMETIC}
본 발명은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공용(試供用)에 적합한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품을 구입하기 전에, 시공품(試供品)에 의해 화장품의 색조나 화장 상태 등을 확인하고 나서 구입하는 일이 있다. 종래, 시공품으로서는, 하기 특허문헌 1, 2와 같이, 베이스 시트의 충전 영역에 화장료가 부착되고, 그 화장료를 커버하도록, 베이스 시트에 투명한 커버 시트가 적층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 시공품과는 별도로, 화장료를 도포하기 위한 시공용의 도포구(塗布具)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포구를 청결하게 관리할 필요도 있다.
일본 특개2005-13335호 공보 일본 특개평 10-262727호 공보
본 발명은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위생적이고 편리한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화장품은 상측으로 개구하는 제1 개구부를 갖는 하단 수용부와, 하단 수용부의 상측에, 외측으로 확대하는 단차부를 통하여 마련되고, 상측으로 개구하는 제2 개구부를 갖는 상단 수용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와, 제2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와, 하단 수용부에 수용된 화장료와, 상단 수용부에 수용되고, 화장료를 도포하기 위한 도포구와, 화장료와 도포구 사이에 위치하고, 화장료와 도포구를 분리하는 분리 시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용기 본체는 상하 2단의 수용부를 가지고 있다. 하단 수용부에는 화장료가 수용되고, 상단 수용부에는 도포구가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용기에 화장료와 도포구가 세트로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도포구를 별도 준비할 필요가 없고, 위생적이고 편리하다. 또한, 하단 수용부와 상단 수용부가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가 컴팩트해지고, 자원 절약화가 가능해지고, 저비용이다.
하단 수용부와 상단 수용부 사이에는, 외측을 향하여 확대한 단차부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단 수용부는 하단 수용부보다도 외측을 향하여 커다란 형상이다. 하단 수용부는 하부 측면부를 가지고, 상단 수용부는 상부 측면부를 가지고 있고, 하부 측면부와 상부 측면부 사이에 단차부가 위치하고 있다. 단차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하단 수용부에 화장료를 넣을 때에, 화장료가 상부 측면부의 내면에 부착하기 어렵고, 상부 측면부의 내면으로부터 도포구에 화장료가 부착하기 어렵다.
또한, 화장료와 도포구 사이에는 분리 시트가 배치되고, 분리 시트에 의해 화장료와 도포구가 분리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포구에 화장료가 부착하는 것이 방지된다.
화장품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즉, 용기 본체의 하단 수용부에 화장료를 넣고, 다음으로, 분리 시트를 넣고, 다음으로, 도포구를 넣는다. 그리고, 용기 본체에 덮개를 장착하여 제2 개구부를 덮개로 폐색한다. 이와 같이, 용기 본체에, 순차적으로 화장료, 분리 시트, 도포구를 넣을 수 있고, 또한 용기 본체의 위로부터 덮개를 장착할 수 있다. 화장료의 삽입 방향이나 덮개의 장착 방향이 같은 방향이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저비용으로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리 시트는 단차부의 상면에 재치되어 제1 개구부를 덮고, 도포구는 분리 시트에 재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분리 시트가 단차부의 상면에 재치되어 제1 개구부를 덮고 있기 때문에, 도포구에 화장료가 보다 한층 부착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조 공정에서는, 분리 시트를 단차부의 상면에 재치할 수 있고, 그리고, 그 분리 시트 위에 도포구를 재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화장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단 수용부는, 제1 개구부의 주위의 일부에, 외측으로 확장된 지입(指入) 확장부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덮개를 열어서 도포구를 상단 수용부로부터 취출한 후에, 지입 확장부에 손가락 끝을 넣어 분리 시트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덮개는 용기 본체에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고, 덮개의 개봉 시작부에 대응한 위치에 지입 확장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덮개를 개봉 시작부로부터 박리하여 개봉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의 개봉 시작부에 대응한 위치에 지입 확장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를 과도하게 대형화하는 일 없이 지입 확장부를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차부의 상면에는, 분리 시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지지부보다도 낮은 저위부(低位部)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저위부 위에 분리 시트의 주연부(周緣部)를 위치시키고, 그 분리 시트의 주연부를 예를 들어 손가락 끝으로 하측으로 누를 수 있다. 분리 시트는 지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이 원리에 의해 기울게 된다. 그 때문에, 분리 시트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위부는 지지부의 외측으로 연속하고, 외측을 향하여 서서히 낮아지는 강하부(降下部)와, 강하부의 외측으로 연속하는 플랫부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강하부를 따라 분리 시트를 안정적으로 기울일 수 있다. 그리고, 강하부의 외측에는 플랫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측면부와 저위부의 연결이 순조롭게 되어, 용기 본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단 수용부는 제1 개구부의 주위의 일부에, 외측으로 확장된 지입 확장부를 가지고, 지입 확장부에 저위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입 확장부를 이용하여 큰 저위부를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고, 지지부와 저위부 사이의 고저차를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분리 시트를 크게 기울일 수 있고, 분리 시트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손톱으로 분리 시트의 주연부를 걸어서 들어올리는 것도 용이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단 수용부는 단차부로부터 상측으로 늘어나는 상부 측면부를 가지고, 상부 측면부는 지입 확장부에 상부 측면부의 다른 부분보다도 외측으로 팽출(膨出)한 측면 팽출부를 가지고, 측면 팽출부는 상부 측면부의 다른 부분보다도 하측으로 늘어나 있다. 화장품을 개봉할 때에는, 예를 들면, 왼손으로 용기 본체를 잡고, 오른손으로 덮개를 들어 연다. 그때, 상부 측면부의 측면 팽출부에 예를 들어 왼손의 엄지손가락을 대고 용기 본체를 잡을 수 있다. 측면 팽출부는 상부 측면부의 다른 부분보다도 하측으로 늘어나 있기 때문에, 엄지손가락을 측면 팽출부에 용이하게 또한 단단히 눌러댈 수 있고, 용기 본체를 확실하게 잡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덮개는 도포구의 상면에 당접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포구의 상하의 진동이 억제되고, 분리 시트가 단차부의 상면으로부터 들떠오르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도포구에의 화장료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나의 용기의 상하 2단의 수용부에 화장료와 도포구가 분리 시트로 분리된 상태에서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점두(店頭) 등에서 별도의 도포구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위생적이고 편리하다. 또한,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품과 같은 간이한 화장품에 알맞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서의 화장품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동 화장품의 용기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의 (a)는 동 용기 본체의 평면도, (b)는 (a)의 B-B 단면도.
도 5는 동 화장품의 개봉 작업의 한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동 화장품의 개봉 작업의 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의 (a) 및 (b)는 동 화장품의 덮개 열림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의 (a) 및 (b)는 동 화장품의 덮개 열림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a) 및 (b)는 동 화장품의 사용 상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의 (a) 내지 (c)는 동 화장품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동 화장품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화장품의 사용 상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의 (a) 내지 (c)는 참고례의 화장품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품(1)에 관해 도 1∼도 11을 참작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본 실시 형태에서의 화장품(1)을 도시하고 있다. 화장품(1)은 용기와, 용기에 수용된 화장료(4) 및 도포구와, 화장료(4)와 도포구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시트(6)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는 상면에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有底) 통형상의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3)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2)>
도 3 및 도 4에, 용기 본체(2)를 단체의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용기 본체(2)는 저면부(10)와, 저면부(10)의 주연부로부터 상측으로 늘어나는 통형상의 하부 측면부(11)와, 하부 측면부(11)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늘어나는 단차부(12)와, 단차부(12)의 주연부로부터 상측으로 늘어나는 통형상의 상부 측면부(13)와, 상부 측면부(13)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늘어나는 플랜지부(14)를 가지고 있다.
용기 본체(2)의 수용부는 단차부(12)에 의해 상하 2단으로 나누어져 있다. 용기 본체(2)는 하단 수용부(15)와, 하단 수용부(15)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단 수용부(16)를 가지고 있다. 하단 수용부(15)와 상단 수용부(16)는 서로 상하로 나열되어 있다. 평면에서 볼 때, 상단 수용부(16)는 하단 수용부(15)보다도 크다.
하단 수용부(15)는 저면부(10)와 하부 측면부(1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하단 수용부(15)는 상측으로 개구한 제1 개구부(17)를 가진다. 상단 수용부(16)는 단차부(12)와 상부 측면부(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단 수용부(16)는 상측으로 개구한 제2 개구부(18)를 가진다. 제2 개구부(18)가 용기 본체(2)의 개구부이다. 제2 개구부(18)는 제1 개구부(17)보다도 크다. 하단 수용부(15)의 수용 공간과 상단 수용부(16)의 수용 공간은 제1 개구부(17)에 의해 상하로 연통하고 있다.
용기 본체(2)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여러 가지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면부(10)는 원형이고, 하부 측면부(11)는 원통형상이고, 제1 개구부(17)는 원형이다. 즉, 하단 수용부(15)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이다. 한편, 상단 수용부(16)는 평면에서 보아 비원형이고, 원형의 전둘레 중의 일부가 지름 방향 외측으로 팽출한 형상이다. 따라서, 단차부(12)와 상부 측면부(13)와 플랜지부(14)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원형의 전둘레 중의 일부가 지름 방향 외측으로 팽출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단 수용부(16)는 제2 개구부(18)의 전둘레 중의 일부가 지름 방향 외측으로 팽출한 지입 확장부(19)를 가지고 있다. 지입 확장부(19)는 예를 들어 집게손가락이나 가운뎃손가락 등 하나의 손가락을 하측을 향하여 넣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차부(12)는 제1 개구부(17)의 주위에 전둘레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즉, 단차부(12)는 환형상(環狀)이다. 단차부(12)는 하부 측면부(11)의 상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늘어나 있다. 단차부(12)가 마련되어 있음에 의해, 상부 측면부(13)는 하부 측면부(11)보다도 한 층 외측으로 확대하고 있다. 단차부(12)의 지름 방향의 치수는 지입 확장부(19)를 제외하고 일정한다. 단차부(12)의 지름 방향의 치수는 지입 확장부(19)에서 국소적으로 지름 방향 외측으로 확대하고 있다. 단차부(12)는, 지입 확장부(19)에, 단차부(12)의 다른 부분(단차부(12)의 주부(主部))보다도 지름 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단차 확장부(20)를 가지고 있다. 단차 확장부(20)의 평면에서 볼 때의 팽출 형상은 임의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원형상 또는 초승달 형상이다. 단, 단차 확장부(20)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예를 들어 사각형형상 등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 단차부(12)는 단차 확장부(20)를 제외하고 개략 수평하다. 단, 단차부(12)는, 전둘레에 걸쳐,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여 하강하도록 경사하고 있거나 하여도 좋다.
단차부(12)의 상면에는, 제1 개구부(17)에 인접하는 지지부(21)와, 지지부(21)보다도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지지부(21)보다도 낮은 저위부(22)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21)는 제1 개구부(17)의 주위 전둘레에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21)는 환형상이다. 지지부(21)의 높이는 일정하다. 지지부(21)는 분리 시트(6)를 제1 개구부(17)의 주위 전둘레에서 지지한다. 지지부(21)는 단차부(12) 중 단차 확장부(20) 이외의 부분에서는 단차부(12)의 상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상부 측면부(13)의 내면의 근방까지 개략 수평으로 늘어나 있다.
저위부(22)는 단차 확장부(20)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단차 확장부(20)는 단차부(12)의 다른 부분에 비해 낮고, 움푹 패인 부분이다. 저위부(22)는 지지부(21)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속하고,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여 서서히 낮아지는 강하부(22a)와, 강하부(22a)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속하는 플랫부(22b)를 가지고 있다. 강하부(22a)는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여 하측 또는 상측으로 만곡한 만곡면이라도 좋다. 강하부(22a)가 예를 들어 경사면인 경우, 그 구배는 예를 들어 10∼45도라도 좋다. 플랫부(22b)는 개략 수평 평탄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랫부(22b)는 상부 측면부(13)의 근방까지 늘어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랫부(22b)와 상면 측면부의 내면 사이의 경계부에는, 만곡면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차 확장부(20)의 상면이 단차부(12)의 다른 부분의 상면에 비해 낮게 되어 있는 것에 대응하여, 단차 확장부(20)의 하면은 단차부(12)의 다른 부분의 하면에 비해 낮게 되어 있다.
상부 측면부(13)는 원통형의 일부가 지름 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형상이다. 상부 측면부(13)는 지입 확장부(19)에 상부 측면부(13)의 다른 부분(상부 측면부(13)의 주부)보다도 지름 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측면 팽출부(25)를 가지고 있다. 측면 팽출부(25)는, 평면에서 볼 때, 지름 방향 외측으로 원호형상으로 팽출하고 있다. 단, 측면 팽출부(25)는,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형상으로 팽출하고 있어도 좋다.
측면 팽출부(25)는 단차 확장부(20)의 외연부에 접속하고 있다. 단차 확장부(20)가 단차부(12)의 다른 부분보다도 낮게 되어 있기 때문에, 측면 팽출부(25)는 상부 측면부(13)의 다른 부분보다도 하측으로 늘어나 있다. 즉, 측면 팽출부(25)는, 그 하단부에, 상부 측면부(13)의 다른 부분의 하단부보다도 하측으로 늘어난 연장부(25a)를 가지고 있다. 측면 팽출부(25)의 하단부의 높이는 상부 측면부(13)의 다른 부분의 하단부의 높이보다도 낮다. 한편, 상부 측면부(13)의 상단부의 높이는 일정하다. 따라서, 측면 팽출부(25)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상부 측면부(13)의 다른 부분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다.
플랜지부(14)는 제2 개구부(18)의 전둘레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14)는 개략 수평하다. 플랜지부(14)는 원형의 일부가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형상이다. 플랜지부(14)는, 전둘레 중 지입 확장부(19)에 대응한 위치에, 플랜지부(14)의 다른 부분(플랜지부(14)의 주부)보다도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플랜지 돌출부(28)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 돌출부(28)는 측면 팽출부(25)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플랜지 돌출부(28)의 돌출 단부에는, 플랜지 돌출부(28)의 다른 부분(플랜지 돌출부(28)의 기단부)보다도 한 층 낮아진 도피부(29)가 마련되어 있다.
용기 본체(2)는 바람직하게는 합성 수지제이다. 용기 본체(2)는 바람직하게는 합성 수지 시트제로서, 진공 성형 등의 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단, 용기 본체(2)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합성 수지 시트는 여러 가지라도 좋지만, 예를 들면, PP나 PE, PET, PET-G, PCTA, POM, PBT, PA, PC, PS, PVC, PLA, AS, ABS 등이고, 두께는 예를 들어 0.3∼1.0㎜이다.
<덮개(3)>
덮개(3)는 용기 본체(2)의 제2 개구부(18)를 폐색한다. 덮개(3)는 여러 가지 형태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 덮개(3)는 용기 본체(2)의 상단부에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덮개(3)는 플랜지부(14)의 상면에 박리 가능하게 히트 실 되어 있다. 덮개(3)는 바람직하게는 유연성을 갖는 필름제이다. 필름은 단층이라도 좋지만 다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은, 하측 즉 용기 본체(2)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실런트층과, 베리어층과, 기층(基層)을 구비하고 있다. 실런트층은 히트 실에 의해 용기 본체(2)에 접착하기 위한 층이고, PET나 PP, PE, PBT, PA, PLA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베리어층은 알루미늄박이나 실리카, EVOH 등으로 이루어진다. 기층은 필름의 주된 층으로서, PET나 PP, PE, PBT, PA, PLA 등의 합성 수지나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실런트층과 베리어층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의 중간층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중간층은 예를 들어 PET나 PP, PE, PBT, PA, PLA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덮개(3)는 플랜지부(14)에 대응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덮개(3)는 원형의 일부가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형상이다. 덮개(3)는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개봉 시작부(30)(집는 부분)를 가지고 있다. 개봉 시작부(30)는 플랜지 돌출부(28)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개봉 시작부(30)의 선단부는 플랜지 돌출부(28)의 도피부(29)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개봉 시작부(30)의 선단부와 도피부(29)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즉, 개봉 시작부(30)의 선단부에는, 플랜지부(14)에 접착되어 있지 않은 미접착부(31)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는, 개봉 시에, 미접착부(31)를 손가락 끝으로 잡을 수 있다. 또한, 플랜지 돌출부(28)에 도피부(29)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그 경우라도, 개봉 시작부(30)에 미접착부(31)를 마련해 둠에 의해, 덮개(3)를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또한, 개봉 시작부(30)의 선단부에 미접착부(31)를 마련하지 않고, 플랜지 돌출부(28)의 선단부에, 그 선단부를 횡단하도록 하여 절리선(切離線)을 마련하고, 덮개(3)의 개봉 시에 그 절리선에서 플랜지 돌출부(28)의 선단부를 플랜지 돌출부(28)의 기단부로부터 분리(切離)하도록 해도 좋다. 분리된 플랜지 돌출부(28)의 선단부를 개봉 시작부(30)의 선단부와 함께 잡고, 덮개(3)를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화장료(4)>
화장료(4)는 하단 수용부(15)에 수용된다. 하단 수용부(15)는 화장료(4)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이다. 화장료(4)는 여러 가지라도 좋고, 고체라도 좋고 액체라도 좋다. 고체의 화장료(4)는, 예를 들면, 분체나 페이스트상(狀)이다. 화장료(4)는 휘발 성분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도 좋다. 고체의 화장료(4)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금속제나 합성 수지제, 종이제 등의 트레이(중간 접시)에 충전되어 다져진 것이라도 좋다. 액체 화장료(4)인 경우에는, 패드(7)에 함침된 것이라도 좋다. 액체 화장료(4)의 점도는 예를 들어 2000∼30000m㎩·s(B형 점도계, No. 4 로터, 12rpm, 60sec)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화장료(4)를 예로 설명한다.
액체 화장료(4)는, 예를 들면, 액체의 파운데이션이나 치크, 미용액, 유액 등이다. 액체 화장료(4)는 패드(7)(함침체)에 함침된다. 함침량은 예를 들어 0.5∼5g이다. 패드(7)는 연질이고,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 패드(7)는 하단 수용부(15)에 대응한 형상으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주형상이다. 패드(7)의 직경은 하단 수용부(15)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아도 커도 좋다. 패드(7)의 상하 방향의 길이(두께)는 하단 수용부(15)의 깊이, 즉, 하부 측면부(11)의 상하 방향의 길이와 같거나 그것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단 수용부(15)에 패드(7)가 수용된 상태에서, 패드(7)의 상면은 단차부(12)의 상면과 비슷하거나 또는 그것보다도 낮다. 패드(7)의 상면이 단차부(12)의 상면보다도 상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드(7)의 재질은 액체 화장료(4)가 함침 가능한 것이라면 좋다. 패드(7)의 재질은 각종의 발포체나 다공질 재료, 섬유체 등이다. 패드(7)는 쿠션성을 가지고 있다. 섬유체는, 섬유가 정글짐(junglegym)과 같이 입체적으로 교차한 구조이다. 섬유체는 3차원 입체 구조이다. 섬유끼리가 교차하고 있는 교차부는 섬유끼리가 접촉하고 있는 접촉부이다. 접촉부에서, 섬유끼리는 융착하고 있다. 섬유체의 밀도는, 예를 들면, 6∼50㎏/㎥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6∼30㎏/㎥ 정도이다. 섬유체의 아스카 F 경도는 30∼6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스카 F 경도는 고분자계기(주)제의 아스카 고무 경도계 F형을 이용하여, 25℃의 온도로 측정했을 때의 값이다. 또한, 패드(7)는 단층이라도 좋고, 다층이라도 좋다.
패드(7)에 액체 화장료(4)를 함침시키는 공정은 패드(7)를 하단 수용부(15)에 수용하기 전이라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패드(7)를 하단 수용부(15)에 수용한 후이다. 패드(7)를 하단 수용부(15)에 수용한 후에, 도 10과 같이 용기 본체(2)에 충전기(90)의 노즐(91)을 진입시킨다. 그리고, 노즐(91)을 패드(7)에 꽉 누른다. 노즐(91)에 의해 패드(7)를 상하로 압축하면서, 노즐(91)의 구멍(92)으로부터 액체 화장료(4)를 배출하고, 패드(7)에 액체 화장료(4)를 얼룩 없이 균일하게 함침시킨다. 노즐(91)은 패드(7)의 형상에 대응한 원형으로서, 노즐(91)의 직경은 하단 수용부(15)의 내경과 개략 동등하다.
<분리 시트(6)>
분리 시트(6)는 화장료(4)와 도포구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분리 시트(6)는 제1 개구부(17)보다도 작아도 좋고, 하단 수용부(15) 내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제1 개구부(17)보다도 크고, 단차부(12)의 상면에 재치되어 있다. 분리 시트(6)가 단차부(12)의 상면에 재치됨에 의해, 제1 개구부(17)를 덮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차부(12)의 상면에는, 환형상의 지지부(21)가 마련되어 있다. 단차부(12)의 상면에 재치된 분리 시트(6)는 환형상의 지지부(21)에 의해 전둘레에 걸쳐 지지되고, 제1 개구부(17)는 분리 시트(6)에 의해 봉지된다.
분리 시트(6)는 제1 개구부(17)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서, 원형이다. 분리 시트(6)는 제1 개구부(17)보다도 대경이다. 분리 시트(6)가 원형임으로써, 분리 시트(6)에 방향성이 없어지고, 분리 시트(6)를 용이하게 용기 본체(2)에 넣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분리 시트(6)의 자동 장전이 용이해진다.
분리 시트(6)는, 단차부(12)의 외연부의 직경, 즉, 상부 측면부(13)의 내경보다도 작다. 그 때문에, 단차부(12)의 상면에 재치된 분리 시트(6)의 외연과 상부 측면부(13)의 내면 사이에는 간극이 생긴다. 그 간극만큼, 분리 시트(6)는 수평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날 수 있다. 분리 시트(6)가 수평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난 경우라도, 분리 시트(6)는 제1 개구부(17)의 전체를 덮어서 제1 개구부(17)를 막는다. 도 8(a)는 분리 시트(6)가 제1 개구부(17)와 동심형상으로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b)는 분리 시트(6)가 제1 개구부(17)에 대해 지입 확장부(19)를 향하여 편심(偏心)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분리 시트(6)는 각종의 시트로 형성된다. 분리 시트(6)는 바람직하게는 합성 수지제의 시트이다. 분리 시트(6)는 바람직하게는 투명의 시트이고, 분리 시트(6)의 위로부터 화장료(4)의 색을 시인할 수 있다. 분리 시트(6)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는, 예를 들면, PET나 PP, PE 등이고, 바람직하게는 투명성에 우수하기 때문에 PET이다. 분리 시트(6)의 두께는 예를 들어 20∼100㎛으로서, 바람직하게는 50∼100㎛이다.
<퍼프(5)(도포구)>
상단 수용부(16)에는, 도포구가 수용된다. 도포구는 화장료(4)를 얼굴 등의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화장용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포구로서 퍼프(5)가 상단 수용부(16)에 수용되어 있다. 퍼프(5)는 쿠션성을 갖는 퍼프 본체(50)와, 퍼프 본체(50)의 상면에 부착된 띠체(帶體)(51)를 구비하고 있다.
퍼프 본체(50)는 편평형상이다. 퍼프 본체(50)는, 평면에서 볼 때 상단 수용부(16)에 대응한 형상이고, 예를 들어 원형형상이나 사각형형상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퍼프 본체(50)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형상이다. 퍼프 본체(50)의 하면이 퍼프(5)의 하면(5b)으로서 도포면이다. 사용 시에 도포면에 화장료(4)가 부착한다.
띠체(51)는 퍼프 본체(50)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띠체(51)는 퍼프 본체(50)의 상면으로부터 약간 상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띠체(51)의 양단부가 퍼프 본체(50)의 상면의 주연부의 두군데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띠체(51)와 퍼프 본체(50)의 상면 사이에 1개 또는 몇 개의 손가락을 삽입 가능하다. 띠체(51)와 퍼프 본체(50)의 상면 사이에 손가락이 삽입되어, 퍼프(5)가 손으로 지지된다.
퍼프(5)는 띠체(51)가 상측을 향하도록 하여 상단 수용부(16)에 수용된다. 퍼프(5)는 분리 시트(6)에 재치되어 있다. 퍼프(5)의 상면(5a)은 덮개(3)에 당접하고 있다. 특히, 퍼프(5)의 상면(5a) 중 띠체(51)가 덮개(3)에 당접하고 있다. 퍼프(5)는 덮개(3)에 의해 하측을 향하여 눌려져 있다. 퍼프(5)는 덮개(3)와 분리 시트(6) 사이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덮개(3)와 분리 시트(6)에 의해 상하로 협지(狹持)되어 있다. 도 11과 같이, 덮개(3)를 용기 본체(2)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퍼프(5)의 상면(5a)은 제2 개구부(18)로부터 약간 상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띠체(51)가 플랜지부(14)의 상면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부(14)에 덮개(3)가 히트 실 됨에 의해, 덮개(3)에 의해 띠체(51)가 하측으로 눌려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화장품(1)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된다. 우선, 용기 본체(2)의 하단 수용부(15)에 패드(7)를 넣는다. 그 후, 패드(7)에 액체 화장료(4)를 함침시킨다. 도 10에 패드(7)에 액체 화장료(4)를 충전하는 공정의 개략을 도시하고 있다. 하단 수용부(15)에 패드(7)가 수용된 상태의 용기 본체(2) 위에 충전기(90)의 노즐(91)을 위치시킨다. 반대로 말하면, 충전기(90)의 노즐(91) 아래에, 용기 본체(2)를 위치시킨다. 노즐(91)의 직경은 하부 측면부(11)의 내경과 개략 동등하다. 노즐(91)을 하강시켜서 노즐(91)을 제2 개구부(18)로부터 용기 본체(2) 내에 진입시켜 간다. 그리고, 노즐(91)을 제1 개구부(17)로부터 하단 수용부(15)에 진입시켜서 패드(7)의 상면에 눌러대서 패드(7)를 노즐(91)로 상하 방향으로 압축한다. 이 상태에서 노즐(91)의 구멍(92)으로부터 액체 화장료(4)를 내서 패드(7)에 액체 화장료(4)를 함침시킨다. 소정량의 액체 화장료(4)를 노즐(91)로부터 배출시킨 후, 노즐(91)을 상승시켜서 용기 본체(2)로부터 노즐(91)을 뺀다.
또한, 액체 화장료(4)를 용기 본체(2)에 자동 충전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충전기(90)의 노즐(91)을 소정 위치에 배치해 두고, 노즐(91)은 상하 이동만을 행하도록 한다. 용기 본체(2)를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켜서, 용기 본체(2)를 노즐(91)의 하방에 위치시킨다.
상단 수용부(16)가 하단 수용부(15)에 대해 외측으로 확대하고 있기 때문에, 노즐(91)을 제2 개구부(18)로부터 용기 본체(2)에 진퇴시켜도, 노즐(91)이 상부 측면부(13)에 접촉하기 어렵고, 상부 측면부(13)의 내면에 액체 화장료(4)가 부착하기 어렵다. 또한, 고체의 화장료(4)인 경우에도, 고체의 화장료(4)를 하단 수용부(15)에 넣을 때에, 상부 측면부(13)의 내면에 화장료(4)가 부착하기 어렵다.
도 13에 비교례로서, 용기 본체(200)에 단차부가 없고, 용기 본체(200)가 하나의 수용부만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패드(204)의 직경은 용기 본체(200)의 측면부(201)의 내경과 개략 동등하다. 이 경우, 노즐(91)을 용기 본체(200)에 진퇴시킬 때에 측면부(201)의 내면에 화장료(205)가 부착하기 쉽다. 측면부(201)의 내면에 화장료(205)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령, 노즐(91)의 직경을 측면부(201)의 내경보다도 대폭적으로 작게 하면, 패드(204)의 주연부에 화장료(205)가 함침하기 어려워지고, 함침 얼룩이 생긴다.
패드(7)에 화장료(4)를 충전한 후, 제2 개구부(18)로부터 분리 시트(6)를 용기 본체(2) 속에 넣어서 단차부(12)의 상면에 얹는다. 분리 시트(6)의 직경은 제1 개구부(17)의 직경보다도 크기 때문에, 분리 시트(6)를 단차부(12)의 상면에 얹음으로써, 제1 개구부(17)를 막을 수 있다. 제1 개구부(17)의 주위에는 지지부(21)가 환형상으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 시트(6)는 환형상의 지지부(21)에 의해 지지된다. 그 때문에, 제1 개구부(17)의 밀폐 정도가 높아지고, 액체 화장료(4)의 누설이나 휘발 성분의 휘발을 억제할 수 있다.
그 후, 제2 개구부(18)로부터 퍼프(5)를 용기 본체(2) 속에 넣어서 분리 시트(6) 위에 얹는다. 퍼프(5)의 띠체(51)는 플랜지부(14)의 상면보다도 약간 상측에 위치한다. 또한, 퍼프 본체(50)의 상면이 플랜지부(14)의 상면보다도 약간 높게 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플랜지부(14)에 덮개(3)를 히트 실에 의해 접착한다. 덮개(3)에 의해 제2 개구부(18)가 봉지되고, 용기 본체(2)가 밀봉된다. 그 때문에, 액체 화장료(4)의 증발, 그 휘발 성분의 휘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덮개(3)에 베리어층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 화장료(4)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덮개(3)를 플랜지부(14)에 용착함으로써, 덮개(3)에 의해 퍼프(5)가 하측에 눌려진다. 그 때문에, 퍼프(5)의 상하의 덜컹거림이 억제되고, 퍼프(5)가 안정된다. 또한, 퍼프(5)에 의해 분리 시트(6)가 하측으로 눌려지기 때문에, 분리 시트(6)의 진동도 억제되고, 분리 시트(6)도 안정된다. 퍼프(5)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분리 시트(6)가 환형상의 지지부(21)에 밀착하고, 제1 개구부(17)를 분리 시트(6)에 보다 확실하게 폐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 시트(6)와 덮개(3)에 의해 하단 수용부(15)를 이중으로 폐색할 수 있다.
화장품(1)의 개봉 작업에 관해 설명한다. 화장품(1)은 덮개(3)가 플랜지부(14)로부터 박리됨에 의해 개봉된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2)를 한쪽 손으로 잡고, 다른 쪽의 손으로 덮개(3)를 잡고 덮개(3)를 플랜지부(14)로부터 박리한다. 덮개(3)의 박리 방법은 임의로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박리하면 좋은데, 한 예를 도 5 및 도 6에 도시하고 있다.
도 5와 같이, 예를 들어 왼손으로 용기 본체(2)를 파지한다. 그때, 예를 들면, 엄지손가락(100)을 측면 팽출부(25)에 대고, 용기 본체(2)를 덮개(3)의 개봉 방향(X)을 따라 협지할 수 있다. 측면 팽출부(25)는 상부 측면부(13)보다도 하측으로 늘어나 있어서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부 측면부(13)의 다른 부분보다도 길기 때문에, 측면 팽출부(25)에 엄지손가락(100)을 확실하게 당접시켜서, 용기 본체(2)를 단단히 잡을 수 있다. 그리고, 오른손의 손가락 끝으로 덮개(3)의 개봉 시작부(30)를 잡고 덮개(3)를 플랜지부(14)로부터 박리한다. 개봉 시작부(30)의 선단부에 플랜지부(14)에 접착되어 있지 않은 미접착부(31)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3)의 미접착부(31)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특히, 플랜지 돌출부(28)에 도피부(29)가 마련되어 있어서 도피부(29)와 미접착부(31)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접착부(31)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용기 본체(2)를 덮개(3)의 개봉 방향(X)을 따라 협지하고 있으면, 덮개(3)를 박리할 때의 힘에 의해 용기 본체(2)가 불안정해지기 어렵고, 덮개(3)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덮개(3)를 용기 본체(2)로부터 떼낸다. 용기 본체(2)로부터 덮개(3)를 떼낸 상태를 도 7(a)에 도시하고 있다. 개구한 제2 개구부(18)로부터 퍼프(5)를 취출할 수 있다. 퍼프(5)를 취출한 상태를 도 7(b)에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분리 시트(6)의 취출 작업에 관해 설명한다. 분리 시트(6)는 이하와 같은 2개의 방법으로 취출할 수 있다. 첫번째 방법은 손가락 끝으로 분리 시트(6)의 주연부를 하측을 향하여 눌러서 분리 시트(6)를 기울인다는 방법이다. 분리 시트(6)의 직경은 상부 측면부(13)의 내경보다도 작다. 그 때문에, 분리 시트(6)와 상부 측면부(13)의 내면 사이에는 간극이 생기고 있다. 그 간극만큼 분리 시트(6)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에는, 분리 시트(6)의 중심이 제1 개구부(17)의 중심에 대해 편심하지 않고 동심형상으로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분리 시트(6)를 지입 확장부(19)를 향하여 편심시킬 수 있다. 도 8(b)에 편심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분리 시트(6)를 지입 확장부(19)를 향하여 편심시킴에 의해, 강하부(22a) 위에 위치하는 분리 시트(6)의 부분을 확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와 같이 지입 확장부(19)에 예를 들어 집게손가락(101)을 넣고, 그 집게손가락(101)의 손가락 끝으로 분리 시트(6)의 주연부를 하측을 향하여 누른다. 이때, 분리 시트(6)를 지입 확장부(19)를 향하여 편심시키고 있으면, 분리 시트(6)의 주연부를 손가락 끝으로 용이하게 누를 수 있다. 그리고, 분리 시트(6)의 주연부를 하측으로 누름으로써, 분리 시트(6)는 도 9(b)와 같이 강하부(22a)의 바로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지지부(21)를 지점으로 하여 기울어진다. 이와 같이 분리 시트(6)를 기울임으로써, 또 한 쪽의 손으로 분리 시트(6)를 용이하게 잡고 용기 본체(2)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저위부(22)에 강하부(22a)가 마련되어 있으면, 그 강하부(22a)에 분리 시트(6)의 주연부를 당접시킬 수 있어서, 분리 시트(6)를 안정적으로 경사시킬 수 있다. 특히 강하부(22a)가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면, 그 경사면에 분리 시트(6)가 따르기 쉽기 때문에, 기울어진 분리 시트(6)의 자세가 안정되기 쉽다.
또 다른 방법을 도 12에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고 있는 용기 본체(2)의 단차부(12)에는 저위부(22)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단차부(12)는 전둘레에 걸쳐 높이가 일정하다. 단, 단차부(12)에 저위부(22)를 마련해도, 같은 방법으로 분리 시트(6)를 취출할 수 있다. 도 12(a)와 같이 지입 확장부(19)에 예를 들어 집게손가락(101)을 넣어서, 그 손톱으로 분리 시트(6)의 주연부를 걸어서, 도 12(b)와 같이 들어올린다. 그리고, 들어올린 분리 시트(6)를 잡고 용기 본체(2)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이상의 2개의 추출 방법은 사용자의 기호나 상황 등에 의해 임의로 선택된다.
이상과 같이, 하나의 용기에 화장료(4)와 퍼프(5)가 세트로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퍼프(5)를 예를 들어 점두에서 준비하거나, 화장품(1)을 손에 넣은 사용자가 별도 준비하거나 할 필요가 없어, 매우 편리하고, 위생적이다. 또한, 하단 수용부(15)와 상단 수용부(16)가 상하로 나열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가 컴팩트해지고, 자원 절약화가 가능해지고, 또한, 저비용이다. 그 때문에, 간이적인 화장품(1)에 적합하고, 예를 들어 점두에서 시공용으로서 제공되는 화장품(1)이나, 부담 없이 사용하기 위한 상품으로서 염가로 제공되는 화장품(1) 등에 적합하다. 특히, 용기 본체(2)가 합성 수지제라면, 용기 본체(2)를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기 본체(2)가 시트 성형품이라면, 용기 본체(2)를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분리 시트(6)를 돌기 등이 없는 형상이며 게다가 원형으로 함으로써, 분리 시트(6)에 방향성이 없어지고, 자동화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어서,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단 수용부(15)를 원통형상으로 하고 제1 개구부(17)를 원형으로 함으로써, 원형의 분리 시트(6)를 사용할 수 있어서,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하단 수용부(15)와 상단 수용부(16) 사이에 단차부(12)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하단 수용부(15)에 화장료(4)를 넣을 때에, 화장료(4)가 상부 측면부(13)의 내면에 부착하기 어렵다. 가령, 상부 측면부(13)의 내면에 화장료(4)가 부착하고 있으면, 상부 측면부(13)의 내면에 부착한 화장료(4)가 제조 공정에서 퍼프(5)에 부착하기 쉬워져서, 화장품(1)으로서의 가치가 저하된다. 단차부(12)가 마련되어 있음에 의해, 제조 공정에서 퍼프(5)에 화장료(4)가 부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 시트(6)에 의해 화장료(4)와 퍼프(5)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하단 수용부(15)의 화장료(4)가 퍼프(5)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리 시트(6)가 제1 개구부(17)를 덮고 있기 때문에, 퍼프(5)에 화장료(4)가 부착하기 어렵다. 또한, 퍼프(5)가 분리 시트(6)에 재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 시트(6)가 위치를 어긋나기 어렵다. 또한, 단차부(12)에 분리 시트(6)를 재치하고, 그 위에 퍼프(5)를 재치하면 좋기 때문에, 제조도 용이하다. 특히, 덮개(3)가 퍼프(5)의 상면에 당접하고 있으면, 퍼프(5)가 덮개(3)와 분리 시트(6)로 상하로 협지되어, 퍼프(5)가 안정된다. 그 때문에, 분리 시트(6)도 안정되어, 분리 시트(6)가 단차부(12)의 상면으로부터 들떠오르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퍼프(5)에의 화장료(4)의 부착이 보다 한층 억제된다. 또한, 분리 시트(6)에 의한 제1 개구부(17)의 폐색 상태도 안정되기 때문에, 화장료(4)의 증발이나 열화 등도 억제된다.
단차부(12)의 상면에 분리 시트(6)를 지지하는 지지부(21)가 환형상으로 마련되어 있으면, 제1 개구부(17)가 분리 시트(6)에 의해 효과적으로 봉지된다. 지지부(21)는 제1 개구부(17)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에 떨어져 있어도 좋지만, 지지부(21)가 제1 개구부(17)에 인접하고 있으면, 단차부(12)를 과도하게 확대하지 않아도 된다.
상단 수용부(16)가 지입 확장부(19)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입 확장부(19)에 손가락 끝을 넣어서 분리 시트(6)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용기 본체(2)의 전둘레 중, 개봉 시작부(30)에 대응한 위치에 지입 확장부(19)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를 과도하게 대형화하는 일 없이 지입 확장부(19)를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단차부(12)의 상면에 저위부(22)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지렛대 원리에 의해 분리 시트(6)를 기울일 수 있다. 또한, 도 12와 같이, 손가락 끝의 손톱으로 분리 시트(6)를 걸어서 들어올릴 수도 있다. 저위부(22)가 강하부(22a)를 가지고 있으면, 강하부(22a)를 따라 분리 시트(6)를 안정적으로 기울일 수 있다. 또한, 강하부(22a)의 외측에 플랫부(22b)가 마련되어 있으면, 강하부(22a)가 마련되어 있어도, 용기 본체(2)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지입 확장부(19)에 저위부(22)가 마련되어 있으면, 지입 확장부(19)를 이용하여 큰 저위부(22)를 마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지지부(21)와 저위부(22) 사이의 고저차를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고, 분리 시트(6)를 크게 기울일 수 있다. 또한, 손가락 끝의 손톱으로 분리 시트(6)를 용이하게 걸어서 들어올릴 수 있다.
상부 측면부(13)의 측면 팽출부(25)가 상부 측면부(13)의 다른 부분보다도 하측으로 늘어나 있기 때문에, 측면 팽출부(25)에 손가락을 대고 용기 본체(2)를 단단히 잡고 개봉할 수 있다. 측면 팽출부(25)가 용기 본체(2)의 전둘레 중 개봉 시작부(30)에 대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개봉 방향(X)을 따라 용기 본체(2)를 파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개봉 시에 용기 본체(2)를 단단히 파지할 수 있고, 덮개(3)를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차부(12)의 상면의 전둘레 중 일부만, 즉, 지입 확장부(19)의 위치에만 저위부(22)가 마련되어 있었는데, 저위부(22)가 전둘레에 걸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지입 확장부(19)를 마련하지 않고, 단차부(12)에 저위부(22)를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지지부(21)는 환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장품(1)이 파운데이션인 경우를 설명했는데, 치크 등이라도 좋다. 도포구는 퍼프(5) 이외에, 브러시나 칩 등이라도 좋다.
1: 화장품
2: 용기 본체
3: 덮개
4: 화장료
5: 퍼프(도포구)
5a: 상면
5b: 하면
6: 분리 시트
7: 패드
10: 저면부
11: 하부 측면부
12: 단차부
13: 상부 측면부
14: 플랜지부
15: 하단 수용부
16: 상단 수용부
17: 제1 개구부
18: 제2 개구부
19: 지입 확장부
20: 단차 확장부
21: 지지부
22: 저위부
22a: 강하부
22b: 플랫부
25: 측면 팽출부
25a: 연장부
28: 플랜지 돌출부
29: 도피부
30: 개봉 시작부
31: 미접착부
50: 퍼프 본체
51: 띠체
90: 충전기
91: 노즐
92: 구멍
100: 엄지손가락
101: 집게손가락
200: 용기 본체
201: 측면부
204: 패드
205: 화장료

Claims (9)

  1. 상측으로 개구하는 제1 개구부를 갖는 하단 수용부와, 하단 수용부의 상측에, 외측으로 확대하는 단차부를 통하여 마련되고, 상측으로 개구하는 제2 개구부를 갖는 상단 수용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와,
    제2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와,
    하단 수용부에 수용된 화장료와,
    상단 수용부에 수용되고, 화장료를 도포하기 위한 도포구와,
    화장료와 도포구 사이에 위치하고, 화장료와 도포구를 분리하는 분리 시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2. 제1항에 있어서,
    분리 시트는 단차부의 상면에 재치되어 제1 개구부를 덮고, 도포구는 분리 시트에 재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단 수용부는, 제1 개구부의 주위의 일부에, 외측으로 확장된 지입 확장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4. 제3항에 있어서,
    덮개는 용기 본체에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고, 덮개의 개봉 시작부에 대응한 위치에 지입 확장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5. 제2항에 있어서,
    단차부의 상면에는, 분리 시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지지부보다도 낮은 저위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6. 제5항에 있어서,
    저위부는 지지부의 외측으로 연속하고, 외측을 향하여 서서히 낮아지는 강하부와, 강하부의 외측으로 연속하는 플랫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단 수용부는, 제1 개구부의 주위의 일부에, 외측으로 확장된 지입 확장부를 가지고, 지입 확장부에 저위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단 수용부는 단차부로부터 상측으로 늘어나는 상부 측면부를 가지고, 상부 측면부는, 지입 확장부에, 상부 측면부의 다른 부분보다도 외측으로 팽출한 측면 팽출부를 가지고, 측면 팽출부는 상부 측면부의 다른 부분보다도 하측으로 늘어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9. 제2항에 있어서,
    덮개는 도포구의 상면에 당접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KR1020220041557A 2021-10-29 2022-04-04 화장품 KR102635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77457 2021-10-29
JP2021177457A JP2023066704A (ja) 2021-10-29 2021-10-29 化粧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339A true KR20230062339A (ko) 2023-05-09
KR102635603B1 KR102635603B1 (ko) 2024-02-13

Family

ID=82646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557A KR102635603B1 (ko) 2021-10-29 2022-04-04 화장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066704A (ko)
KR (1) KR102635603B1 (ko)
CN (2) CN217117727U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2727A (ja) 1997-03-03 1998-10-06 Color Prelude Inc 製品見本試供器
JP2002225964A (ja) * 2001-01-31 2002-08-14 Morinaga & Co Ltd 食品収納容器
JP2005013335A (ja) 2003-06-24 2005-01-20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料の試供用容器
JP5661561B2 (ja) * 2011-05-31 2015-01-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収納容器
JP2016112124A (ja) * 2014-12-12 2016-06-23 紀伊産業株式会社 パウダー容器
KR20200022420A (ko) * 2017-10-30 2020-03-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내용물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2727A (ja) 1997-03-03 1998-10-06 Color Prelude Inc 製品見本試供器
JP2002225964A (ja) * 2001-01-31 2002-08-14 Morinaga & Co Ltd 食品収納容器
JP2005013335A (ja) 2003-06-24 2005-01-20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料の試供用容器
JP5661561B2 (ja) * 2011-05-31 2015-01-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収納容器
JP2016112124A (ja) * 2014-12-12 2016-06-23 紀伊産業株式会社 パウダー容器
KR20200022420A (ko) * 2017-10-30 2020-03-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내용물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603B1 (ko) 2024-02-13
CN217117727U (zh) 2022-08-05
JP2023066704A (ja) 2023-05-16
CN116058585A (zh) 2023-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61400A (en) Cosmetic package
JP2021109708A (ja) 内容物の吐出容器
JP6757863B1 (ja) 化粧品容器
US20100175704A1 (en) Device for applying a product
US20080190937A1 (en) Food and Drink Packing Vessel
WO1994005181A1 (en) Replaceable stick deodorant package
US6167890B1 (en) Cosmetic package having permeable zone
JPH0524026B2 (ko)
CN107072645B (zh) 泡罩条带
KR20230062339A (ko) 화장품
CN201260473Y (zh) 化妆品容器
KR102310817B1 (ko) 내용물 용기
KR101404766B1 (ko) 화장품 캡슐용기
KR102303426B1 (ko) 파우치 타입의 화장품 용기
EP4238449A1 (en) Contents container
JP2004331158A (ja)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US11440725B2 (en) Shot glass shaker combination
KR101217864B1 (ko) 흡입형 브러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CN221533095U (zh) 一种包覆式内芯及应用该包覆式内芯的气垫
CN218752481U (zh) 用于蔬菜或乳制产品的食品包装
WO1990011715A1 (en) Liquid applicator
KR102683671B1 (ko) 간편 개봉구조를 포함하는 스낵 포장용기
JP2011010837A (ja) 粉体化粧料入りの容器の製造方法
JP4559786B2 (ja) 使い切り容器
US20220153503A1 (en) Beverage Container and Shaker Comb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