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030A -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 Google Patents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030A
KR20230062030A KR1020210146884A KR20210146884A KR20230062030A KR 20230062030 A KR20230062030 A KR 20230062030A KR 1020210146884 A KR1020210146884 A KR 1020210146884A KR 20210146884 A KR20210146884 A KR 20210146884A KR 20230062030 A KR20230062030 A KR 20230062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plastic
oil
temperature
plastic pyrolysis
pyrolysis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희중
김옥윤
김가영
박영무
이호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스케이지오센트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스케이지오센트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6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2030A/ko
Priority to PCT/KR2022/016543 priority patent/WO2023075438A1/en
Publication of KR20230062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002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in combination with oil conversion- or refin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1/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10G31/06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heating, cooling, or pressur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65/00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two or more hydrotreatment processes only
    • C10G65/02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two or more hydrotreatment processes only plural serial stages only
    • C10G65/04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two or more hydrotreatment processes only plural serial stages only including only refining ste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37Hydrocarbon fractions
    • C10G2300/1048Middle distillates
    • C10G2300/1051Kerosene having a boiling range of about 180 - 230 °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20Characteristics of the feedstock or the products
    • C10G2300/201Impurities
    • C10G2300/202Heteroatoms content, i.e. S, N, O, P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40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deviating from typical ways of processing
    • C10G2300/4006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40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deviating from typical ways of processing
    • C10G2300/4012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40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deviating from typical ways of processing
    • C10G2300/4018Spatial velocity, e.g. LHSV, WHS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및 수소 기체가 유입되고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제1온도에서 수소화 처리되어 염소가 제거된 유체가 생성되는 가드 베드(100); 상기 가드 베드(100)로부터 유체 및 수소 기체가 유입되고,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에서 수소화 처리되어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가 생성되는 메인 베드(200); 상기 메인 베드(200)로부터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가 회수되는 회수 탱크(300); 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유가 회수 탱크(300)로 회수되기 전까지 온도는 290도씨 이상 350도씨 미만으로 유지(maintaining)되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Refining apparatus and refining method of waste plastic pyrolysis oil}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플라스틱은 석유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재활용도가 낮고 대부분 쓰레기로 폐기 처분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들은 자연 상태에서 분해되는데, 긴 시간이 소요되므로 토양을 오염시키고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를 열분해하여 유분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이를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라 한다.
그러나 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하여 얻은 열분해유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원유로부터 제조되는 유분과 비교하여 염소, 질소, 금속 등 불순물 함량이 높기 때문에 휘발유, 디젤유 등의 고부가 가치 연료로 바로 사용될 수 없으며, 정제 공정을 거쳐야 한다.
이와 같이,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에 함유된 염소, 질소, 금속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정제 방법으로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와 수소를 반응시켜 탈염소화/탈질소화하는 방법 또는 염소 흡착제를 이용하여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에 함유된 염소를 흡착 제거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미국등록특허공보 제3935295호에는 다양한 탄화수소 유분으로부터 염화물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제1반응기에서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유분을 수소화 처리시키고, 이때 생성된 염화수소(HCl)와 정제된 유분을 포함하는 유체를 제2반응기에 유입시킨 후, 상기 유체에 포함된 염소 성분을 흡착제를 통해 흡착 제거하는 종래 기술이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유분과 수소를 반응시킬 경우, 정제된 유분과 함께 생성되는 염화수소 등의 염소 화합물과 질소 화합물이 반응하여 암모늄 염(NH4Cl)을 생성하며, 이 암모늄 염은 다양한 공정적 문제를 유발한다. 구체적으로, 유분과 수소가 반응하여 반응기 내부에 생성되는 암모늄 염은 반응기의 부식을 유발하여 내구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차압 발생, 이로 인한 공정 효율 저하 등 많은 공정적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종래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정제 방법으로 수소화 촉매 하에 수소화 처리하여 정제하는 방법과 함께, 수처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내 수분은 통상적으로 0.2 내지 1중량% 존재하고, 상기 수처리로 인해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내 수분 함량이 과도하게 많아지게 된다. 이는 공정 전체에서 부식을 유발하여 공정 효율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촉매에 영향을 주어 촉매 내구성이 저하됨으로써 정제 장치의 안정적인 운전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염소 및 질소를 포함하는 불순물이 함유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공정에 있어, 염소 성분과 질소 성분이 반응하여 암모늄 염(NH4Cl)이 생성되지 못하도록 하거나 이를 최소한으로 생성하도록 하고, 수분을 최소화함으로써 부식 및 촉매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미국등록특허공보 제3935295호 (등록일 : 1976.01.27)
본 개시의 목적은 염소 및 질소를 포함하는 불순물이 함유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공정에 있어, 암모늄 염(NH4Cl)이 생성되지 못하도록 하거나 이를 최소한으로 생성하도록 하며, 반응기 부식 및 차압 발생을 억제하고, 내구성 및 공정 효율이 향상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염소 및 질소를 포함하는 불순물이 함유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공정에 있어, 수분을 최소화하여 반응기의 부식 및 촉매 내구성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공정 안정성이 향상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염소, 질소, 금속 등의 불순물 함유량 및 올레핀 함유량이 매우 낮고, 품질이 우수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및 수소 기체가 유입되고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제1온도에서 수소화 처리되어 염소가 제거된 유체가 생성되는 가드 베드(100); 상기 가드 베드(100)로부터 유체 및 수소 기체가 유입되고,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에서 수소화 처리되어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가 생성되는 메인 베드(200); 상기 메인 베드(200)로부터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가 회수되는 회수 탱크(300); 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유가 회수 탱크(300)로 회수되기 전까지 온도는 290℃ 이상 350℃미만으로 유지(maintaining)되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는 비점 180℃ 이상, C10 이상의 중거대 탄화수소 유분을 3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는 100℃ 초과 300℃ 미만이며, 상기 제2온도는 300℃ 초과 450℃ 미만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드(200)의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 내 수분 함량은 100ppm 미만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드(200)와 회수 탱크(300) 사이에 가열 수단(250)을 더 포함할 수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가드 베드(100) 및 메인 베드(200)의 반응 압력은 60bar 초과 120bar 미만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가드 베드(100) 및 메인 베드(200)는 액체 시간당 공간 속도(LHSV)의 비가 1:0.1 내지 1:0.8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S1)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제1온도에서 수소 기체로 수소화 처리하여 염소가 제거된 유체를 생성하는 단계; (S2) 상기 유체를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에서 수소 기체로 수소화 처리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를 생성하는 단계; (S3)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를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유를 회수하기 전까지 온도를 290℃ 이상 350℃ 미만으로 유지(maintaining)하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는 비점 180℃ 이상, C10 이상의 중거대 탄화수소 유분을 3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는 100℃ 초과 300℃ 미만이며, 상기 제2온도는 300℃ 초과 450℃ 미만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S2)의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 내 수분 함량은 100ppm 미만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 및 (S2) 단계의 수소화 처리 시 반응 압력은 60bar 초과 120bar 미만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 및 (S2) 단계의 수소화 처리 시 액체 시간당 공간 속도(LHSV)의 비가 1:0.1 내지 1:0.8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및 방법은 염소 및 질소를 포함하는 불순물이 함유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공정에 있어, 암모늄 염(NH4Cl)이 생성되지 못하도록 하거나 이를 최소한으로 생성하도록 하며, 반응기 부식 및 차압 발생을 억제하고, 내구성 및 공정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은 정제 공정에 있어, 수분을 최소화하여 반응기의 부식 및 촉매 내구성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공정 안정성이 향상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및 방법은 염소, 질소, 금속 등의 불순물 함유량 및 올레핀 함유량이 매우 낮고, 품질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도면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단수 형태는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수치 범위는 하한치와 상한치와 그 범위 내에서의 모든 값, 정의되는 범위의 형태와 폭에서 논리적으로 유도되는 증분, 이중 한정된 모든 값 및 서로 다른 형태로 한정된 수치 범위의 상한 및 하한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실험 오차 또는 값의 반올림으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수치범위 외의 값 역시 정의된 수치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포함한다'는 '구비한다', '함유한다', '가진다', '특징으로 한다' 등의 표현과 등가의 의미를 가지는 개방형 기재이며, 추가로 열거되어 있지 않은 요소, 재료 또는 공정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 없이 사용된 %의 단위는 별다른 정의가 없는 한 중량%를 의미한다.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정제함에 있어,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유분과 수소를 반응시킬 경우, 정제된 유분과 함께 생성되는 염화수소 등의 염소 화합물과 질소 화합물이 반응하여 암모늄 염(NH4Cl)을 생성하며, 이 암모늄 염은 다양한 공정적 문제를 유발한다. 구체적으로, 유분과 수소가 반응하여 반응기 내부에 생성되는 암모늄 염은 반응기의 부식을 유발하여 내구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차압 발생, 이로 인한 공정 효율 저하 등 많은 공정적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종래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정제 방법으로, 수소화 촉매 하에 수소화 처리하여 정제하는 방법과 함께 수처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수행되고 있으나, 상기 수처리로 인해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내 수분 함량이 많아지게 되고, 이는 공정 전체에서 부식을 유발하여 공정 효율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촉매에 영향을 주어 촉매 내구성이 저하됨으로써 정제 장치의 안정적인 운전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개시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및 수소 기체가 유입되고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제1온도에서 수소화 처리되어 염소가 제거된 유체가 생성되는 가드 베드(100); 상기 가드 베드(100)로부터 유체 및 수소 기체가 유입되고,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에서 수소화 처리되어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가 생성되는 메인 베드(200); 상기 메인 베드(200)로부터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가 회수되는 회수 탱크(300); 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유가 회수 탱크(300)로 회수되기 전까지 온도는 290℃ 이상 350℃ 미만으로 유지(maintaining)되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하여 생성된 탄화수소 유분 혼합물일 수 있고, 이때 폐플라스틱은 폐합성수지, 폐합성섬유, 폐합성고무, 폐비닐 등 합성 고분자 화합물과 관련한 고상 또는 액상의 쓰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 유분 혼합물은 탄화수소 유분 외에 염소 화합물, 질소 화합물, 금속 화합물 등의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고, 탄화수소 내에 염소, 질소 또는 금속이 결합된 화합물 형태의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올레핀 형태의 탄화수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는 질소 300 ppm 이상, 염소 30 ppm 이상을 함유할 수 있으며, 올레핀(Olefin) 20 부피%(1 atm, 25℃ 기준) 이상, 공액 디올레핀(Conjugated diolefin) 1 부피%(1 atm, 25℃ 기준) 이상, 수분 0.1 내지 1중량%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불순물의 함량은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에 포함될 수 있는 구체적인 예시일 뿐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조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는 비점 180℃ 이상, C10 이상의 중거대 탄화수소 유분을 3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는 비점 180℃ 이상, C10 이상의 선형 파라핀 및 알파 메틸 파라핀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유분을 3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C10 이하의 Naphtha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유분을 30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탄화수소 유분 조성을 만족하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원료로 이용할 경우, 올리고머화 또는 cracking 등의 부가적인 공정 없이 수소화 처리만으로 정제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정제 공정 전/후 반응물과 생성물 사이에 분자량 분포가 차이가 거의 없이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가드 베드(100)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및 수소 기체가 유입되고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제1온도에서 수소화 처리되어 염소가 제거된 유체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베드(200)는 상기 가드 베드(100)로부터 유체 및 수소 기체가 유입되고,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에서 수소화 처리되어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가드 베드(100) 및 메인 베드(200)에서 제거되는 각 성분의 종류는 반응 온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가드 베드(100)의 수소화 처리는 제1온도에서 수행되어 염소가 제거될 수 있고, 메인 베드(200)의 수소화 처리는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에서 수행되어 질소를 포함하는 불순물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수소화 처리가 수행되는 가드 베드(100) 및 메인 베드(200)가 복수로 연결되어 수소화 처리가 수행되되, 가드 베드(100)에서 염소가 먼저 제거된 이후에 메인 베드(200)에서 질소를 포함한 불순물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반응기 내 암모늄 염(NH4Cl)의 생성 및 축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는 100℃ 초과 300℃ 미만이며, 상기 제2 온도는 300℃ 초과 450℃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의 범위에서 수소화 처리될 경우 염소가 집중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상기 제1온도는 구체적으로 120 내지 250℃, 보다 구체적으로 150 내지 230℃일 수 있다.
상기 제2온도의 범위에서 수소화 처리될 경우 질소를 포함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생성된 정제유 내 수분 함량을 최소화하여 공정 중 부식을 방지하고 촉매 비활성화를 방지할 수 있다. 300℃ 이하일 경우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내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게 되어 공정 중 부식을 유발하게 되고, 상기 수분은 촉매 내구성에 영향을 주어 촉매 활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450℃ 이상일 경우 Thermal cracking 부반응이 발생하여 coking 등의 촉매 비활성화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2온도는 구체적으로 350 내지 420℃, 보다 구체적으로 370 내지 400℃인 경우 공정 부식 문제의 해결, 촉매 활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온도와 제2 온도의 차이는 50 내지 350℃, 구체적으로 50 내지 280℃, 보다 구체적으로 50 내지 200℃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제1온도와 제2온도의 차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인 베드(200)의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 내 수분 함량은 100ppm 미만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베드(200)의 반응 온도를 300℃ 초과 450℃ 미만으로 하여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내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수분 함량은 100ppm 미만인 정제유를 수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80ppm 미만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60ppm 미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드 베드(100) 내에는 수소화 처리 촉매가 구비되어 있는 제1반응영역이 존재한다. 상기 반응영역으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와 수소 기체가 유입되고, 제1온도에서 수소화 처리되어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로부터 염소가 제거될 수 있고, 일부의 올레핀과 금속 불순물도 함께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수소 첨가 반응이 일어나고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로부터 염소가 대부분 제거되면서 염화수소가 생성된다. 뿐만 아니라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로부터 올레핀의 일부가 제거되며, 기타 금속 불순물들이 제거된다. 이렇게 탈염소화된 유분과, 염화수소, 그리고 미반응 수소를 포함하는 유체는 메인 베드(200)로 유입된다.
상기 가드 베드(100)는 별도의 가스 배출구가 없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가드 베드(100)의 탈염소화된 유분과, 염화수소, 그리고 미반응 수소를 포함하는 유체는 그대로 메인 베드(2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베드(200) 내에는 수소화 처리 촉매가 구비되어 있는 제2반응영역이 존재한다. 상기 제2반응영역으로 상기 가드 베드(100)로부터 유체 및 수소 기체가 유입되고, 제2온도에서 수소화 처리되어 유체로부터 불순물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유체 내 염화수소, 미반응의 수소 기체와 함께 질소, 산소, 황 등을 포함하는 불순물이 모두 제거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염화 수소, 암모니아, 수증기, 황화 수소 등을 포함하는 혼합 가스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베드(200)는 제2반응영역 상부에 혼합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구를 구비될 수 있고, 제2반응영역 하부에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가 배출되는 유분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온도에서 수소화 처리된 유체 내 혼합 가스가 가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회수 탱크(300)로 상기 메인 베드(200)로부터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가 회수될 수 있다. 정제유는 상기 메인 베드(200)의 유분 배출구로부터 이송되어 회수 탱크(300)에서 회수될 수 있고, 상기 회수 탱크(300)로 회수되기 전까지 온도는 290℃ 이상 350℃ 미만으로 유지(maintaining)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유가 회수 탱크(300)로 회수되기 전까지 온도가 290℃ 이상으로 유지(maintaining)됨으로써 정제유 내 존재하는 잔량의 불순물로부터 암모늄 염(NH4Cl)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분 함량이 최소화된 고품질의 정제유를 수득할 수 있다. 정제유를 회수하기 전까지의 온도가 290℃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수분이 응축되거나, 암모늄 염(NH4Cl) 생성에 의한 차압 발생 가능성이 있고, 온도가 350℃ 이상인 경우 Thermal cracking 부반응 발생에 의한 촉매 비활성화 가능성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드(200)와 회수 탱크(300) 사이에 가열 수단(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수단을 메인 베드(200)와 회수 탱크(300) 사이에 구비함으로써 회수 탱크(300)로 회수하기 전까지 온도를 290℃ 이상으로 유지(maintaining)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전기 히터, 스팀 가열기, 에어 드라이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는 일 예로 제시된 것일 뿐 상기 가열 수단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가드 베드(100) 및 상기 메인 베드(200)의 반응 압력은 60bar 초과 120bar 미만일 수 있다. 60bar 이하인 낮은 압력 조건에서는 염소 및 질소를 포함하는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120bar 이상인 높은 압력 조건에서는 암모늄 염(NH4Cl) 생성이 촉진되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65bar 내지 110bar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70bar 내지 100bar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가드 베드(100) 및 메인 베드(200)는 액체 시간당 공간 속도(LHSV)의 비가 1:0.1 내지 1:0.8일 수 있다. 이를 만족할 경우, 가드 베드(100) 및 메인 베드(200)를 통해 효과적으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고, 수소화 촉매의 활성을 고활성으로 장기간 유지할 수 있으며, 공정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가드 베드(100)로 유입되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및 상기 메인 베드(200)로 유입되는 유체와 수소의 1 기압 기준 부피 유량비는 1:300~3,000일 수 있다. 상기 부피 유량비는 수소화 처리가 수행될 수 있을 정도라면 무방하며, 구체적으로 1 기압 기준 부피유량비가 1:300~3,000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1:500~2,500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로서 설명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소화 처리 촉매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탄화수소 유분에 수소가 첨가되는 수첨반응이 수행되도록 하는 촉매라면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수소화 처리 촉매는 수소화 탈황화 촉매, 수소화 탈질소화 촉매, 수소화 탈염소화 촉매 및 수소화 탈금속화 촉매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촉매는 탈금속화 반응이 수행되면서 동시에 전술한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탈질소화 반응 또는 탈염소화 반응이 수행되도록 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상기 수소화 처리 촉매능을 가지는 활성금속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좋게는 지지체에 활성금속이 담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활성금속은 요구 촉매능을 갖는 것이라면 무방하며, 예컨대 몰리브데늄, 니켈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활성금속을 담지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갖는 것이라면 무방하며, 예를 들어 규소, 알루미늄, 지르콘, 나트륨 및 망간 티타늄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 상기 금속의 산화물; 및 카본블랙, 활성탄소,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및 흑연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탄소계 소재;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상기 수소화 처리 촉매는 총 중량에 대하여 니켈 0.1 내지 10 중량% 및 몰리브데늄 0.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활성금속이 담지된 지지체인 촉매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구체적인 일 예로서 설명된 것일 뿐,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는 (S1)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제1온도에서 수소 기체로 수소화 처리하여 염소가 제거된 유체를 생성하는 단계; (S2) 상기 유체를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에서 수소 기체로 수소화 처리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를 생성하는 단계; (S3)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를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유를 회수하기 전까지 온도를 290℃ 이상 350℃ 미만으로 유지(maintaining)하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하여 생성된 탄화수소 유분 혼합물일 수 있고, 이때 폐플라스틱은 폐합성수지, 폐합성섬유, 폐합성고무, 폐비닐 등 합성 고분자 화합물과 관련한 고상 또는 액상의 쓰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 유분 혼합물은 탄화수소 유분 외에 염소 화합물, 질소 화합물, 금속 화합물 등의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고, 탄화수소 내에 염소, 질소 또는 금속이 결합된 화합물 형태의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올레핀 형태의 탄화수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는 질소 300 ppm 이상, 염소 30 ppm 이상을 함유할 수 있으며, 올레핀(Olefin) 20 부피%(1 atm, 25℃ 기준) 이상, 공액 디올레핀(Conjugated diolefin) 1 부피%(1 atm, 25℃ 기준) 이상, 수분 0.1 내지 1중량%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불순물의 함량은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에 포함될 수 있는 구체적인 예시일 뿐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조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는 비점 180℃ 이상, C10 이상의 중거대 탄화수소 유분을 3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는 비점 180℃ 이상, C10 이상의 선형 파라핀 및 알파 메틸 파라핀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유분을 3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C10 이하의 Naphtha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유분을 30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탄화수소 유분 조성을 만족하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원료로 이용할 경우, 올리고머화 또는 craking 등의 부가적인 공정 없이 수소화 처리만으로 정제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정제 공정 전/후 반응물과 생성물 사이에 분자량 분포가 차이가 거의 없이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S1)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제1온도에서 수소 기체로 수소화 처리하여 염소가 제거된 유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S2) 상기 유체를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에서 수소 기체로 수소화 처리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S1) 및 (S2)의 수소화 처리 시 제거되는 각 성분의 종류는 반응 온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S1)의 수소화 처리는 제1온도에서 수행되어 염소가 제거될 수 있고, 상기 (S2)의 수소화 처리는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에서 수행되어 질소를 포함하는 불순물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S1) 단계 및 (S2) 단계의 수소화 처리는 연속하여 수행되되, (S1) 단계에서 염소가 먼저 제거된 이후에 (S2) 단계에서 질소를 포함한 불순물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반응기 내 암모늄 염(NH4Cl)의 생성 및 축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는 100℃ 초과 300℃ 미만이며, 상기 제2 온도는 300℃ 초과 450℃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의 범위에서 수소화 처리될 경우 염소가 집중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상기 제1온도는 120 내지 250℃, 보다 구체적으로 150 내지 230℃일 수 있다.
상기 제2온도의 범위에서 수소화 처리될 경우 질소를 포함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생성된 정제유 내 수분 함량을 최소화하여 공정 중 부식을 방지하고 촉매 비활성화를 방지할 수 있다. 300℃ 이하일 경우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내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게 되어 공정 중 부식을 유발하게 되고, 상기 수분은 촉매 내구성에 영향을 주어 촉매 활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450℃ 이상일 경우 Thermal cracking 부반응이 발생하여 coking 등의 촉매 비활성화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2온도는 구체적으로 350 내지 420℃, 보다 구체적으로 370 내지 400℃인 경우 공정 부식 문제의 해결, 촉매 활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온도와 제2 온도의 차이는 50 내지 350℃, 구체적으로 50 내지 280℃, 보다 구체적으로 50 내지 200℃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제1온도와 제2온도의 차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S2) 단계의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 내 수분 함량은 100ppm 미만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S2) 단계의 반응 온도를 300℃ 초과 450℃ 미만으로 하여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내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수분 함량은 100ppm 미만인 정제유를 수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80ppm 미만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60ppm 미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S1)단계의 수소화 처리는 제1온도에서 수행되어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로부터 염소가 제거될 수 있고, 일부의 올레핀과 금속 불순물도 함께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수소 첨가 반응이 일어나고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로부터 염소가 대부분 제거되면서 염화수소가 생성된다. 뿐만 아니라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로부터 올레핀의 일부가 제거되며, 기타 금속 불순물들이 제거된다. 이렇게 기타 불순물 제거 및 탈염소화된 유분과, 염화수소, 그리고 미반응 수소를 포함하는 유체가 생성된다.
상기 (S2) 단계의 수소화 처리는 제2온도에서 수행되어 상기 유체로부터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유체 내 염화수소, 미반응의 수소 기체와 함께 질소, 산소, 황 등을 포함하는 불순물이 모두 제거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염화 수소, 암모니아, 수증기, 황화 수소 등을 포함하는 혼합 가스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S3)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를 회수하는 단계는 상기 (S2)의 혼합 가스를 배출하여 제거하고, 상기 정제유를 혼합 가스로부터 기액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정제유를 회수하기 전까지 온도를 290℃ 이상 350℃ 미만으로 유지(maintaining)할 수 있다. 상기 온도를 290℃ 이상으로 유지(maintaining)하여 정제유 내 존재하는 잔량의 불순물로부터 암모늄 염(NH4Cl)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분 함량이 최소화된 고품질의 정제유를 회수할 수 있다. 정제유를 회수하기 전까지의 온도가 290℃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수분이 응축되거나, 암모늄 염(NH4Cl) 생성에 의한 차압 발생 가능성이 있고, 온도가 350℃ 이상인 경우 Thermal cracking 부반응 발생에 의한 촉매 비활성화 가능성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상기 (S1) 단계 및 (S2) 단계의 수소화 처리 시 반응 압력은 60bar 초과 120bar 미만일 수 있다. 60bar 이하인 낮은 압력 조건에서는 염소 및 질소를 포함하는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120bar 이상인 높은 압력 조건에서는 암모늄 염(NH4Cl) 생성이 촉진되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65bar 내지 110bar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70bar 내지 100bar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 및 (S2) 단계의 수소화 처리 시 액체 시간당 공간 속도(LHSV)의 비가 1:0.1 내지 1:0.8일 수 있다. 이를 만족할 경우, (S1) 단계 및 (S2) 단계의 수소화 처리를 통해 효과적으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고, 수소화 촉매의 활성을 고활성으로 장기간 유지할 수 있으며, 공정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방법에 있어서 더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전술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에 서술된 내용을 참고하면 된다.
상기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또는 정제 방법을 통해 수득되는 정제유는 불순물 함량이 극도로 낮으며, 예를 들어 염소 10 ppm(중량) 이하, 질소 30 ppm(중량) 이하, 황 10 ppm(중량) 이하, 기타 금속 성분 10 ppm(중량) 이하, 산소 0.1 중량% 이하, 올레핀 10 부피% 이하, 공액 디올레핀(Conjugated diolefin) 0.2 부피% 이하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구체적인 일 예로서 설명된 것일 뿐,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의 정제 장치 또는 방법을 통에 수득되는 정제유는 다양한 유동점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동점이 0℃ 이상으로 상온에서 고체인 왁스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은 본 개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권리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 베드(100), 메인 베드(200) 및 회수 탱크(300)가 직렬로 연결된 장치를 설계하고, 상기 메인 베드(200)와 회수 탱크(300) 사이에는 전기 히터(250)를 설치하였다. 상기 장치를 운전하여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로부터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를 수득하였다.
원료로 사용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는 질소(N) 1,000 ppm, 염소(Cl) 700 ppm, 올레핀(Olefin) 18 중량% 이상, 공액 디올레핀(Conjugated diolefin) 2.3 중량%, 수분 1중량%의 고농도 불순물을 함유하는 탄화수소 유분 혼합물이다. 상기 탄화수소 유분 혼합물에는 Naphtha(bp <180℃,~C8) 가 20중량% 포함되어 있고, KERO 28중량%, LGO 16중량%, VGO 36중량%가 포함되어 있음을 Simdsit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전체 olefin은 Br Index 분석을 통해 전체 유분 중 40%를 포함함을 확인하였다.
수소화 촉매는 다음의 절차를 통해 전처리하여 촉매를 활성화시켰다. 2.5중량% DMDS(dimethyl disulfide)가 포함된 R-LGO 유분을 H2 60bar 조건에서 170℃ 조건에서 2시간 동안 처리 후, 320℃까지 온도를 승온한 뒤 3시간 유지하여 촉매를 활성화시켰다.
구체적으로, 가드 베드(100) 내부에 수소화 처리 촉매인 NiMo/r-Al2O3, CoMo/r-Al2O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드 베드(100) 내부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와 수소 기체가 각각 유입되고, 250℃, 80bar, H2/Oil ratio 840 및 LHSV 0.4 h-1 조건에서 수소화 처리하여 상기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로부터 염소 성분이 제거되면서 부생성물인 염화수소가 생성되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반응에 의해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로부터 염소 성분 외에도 올레핀과 금속 불순물 등이 함께 제거하였다.
상기 가드 베드(100) 내에서 염소 성분이 제거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염화수소 및 미반응 수소 기체를 포함하는 유체는 메인 베드(200)로 유입되었다.
상기 메인 베드(200) 내부에 상기 수소화 처리 촉매와 동일한 것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 베드(200) 내부로 유체 및 수소 기체가 각각 유입되고, 370℃, 85bar, H2/Oil ratio 840 및 LHSV 0.7h-1 조건에서 수소화 처리하여 상기 유체로부터 질소 성분이 제거되면서, 부생성물인 암모니아가 생성되었다. 뿐만 아니라 질소 성분 외에도 제거되지 않은 미량의 염소 성분, 황 성분, 산소 성분 등의 기타 나머지 불순물들이 함께 제거되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베드(200) 내부에 존재하는 암모니아, 제거되지 않은 미량의 염화수소, 물, 황화수소, 수소 등을 포함하는 혼합 가스는 상기 메인 베드(100)의 가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었고,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는 상기 메인 베드(200)의 유분 배출구를 통해 회수 탱크(300)로 회수되었다. 메인 베드(200)로부터 회수 탱크(300)로 회수되는 경로의 온도는 전기 히터(250)에 의해 330℃로 유지(maintaining)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가드 베드(100)를 160℃, 85bar, 메인 베드(200)를 360℃, 90bar 조건으로 운전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유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메인 베드(200)로부터 회수 탱크(300)로 회수되는 경로의 온도를 300℃로 유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유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가드 베드의 반응 조건을 메인 베드와 동일하게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유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상기 메인 베드(200)와 회수 탱크(300) 사이에는 전기 히터(250)를 설치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유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상기 가드(100)와 메인 베드(200) 사이에 세정 탱크를 설치하여 수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유를 수득하였다.
[평가예]
염소(Cl) 함량(ppm)과 질소(N) 함량(ppm)은 ICP, XRF 분석법을 통해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정제유를 지속적으로 생산하면서, 압력 강하의 문제없이 운전이 가능한 시간을 측정하여 암모늄 염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압력 손실(delta P)이 7 bar가 될 때까지 소요되는 최대 운전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회수된 정제유 내 염소(Cl) 및 질소(N)함량이 수ppm 수준이며, 수분 함량이 50ppm 이하로 저감된 고품질의 정제유를 수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메인 베드로부터 회수 탱크로 회수되는 경로 온도를 300℃ 이상에서 수행함으로써 압력손실 전까지 최대 운전 시간이 19일로 현저하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최대 운전 시간이 5일로 현저하게 짧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가드 베드와 메인 베드 모두 370℃, 85bar 조건에서 수소화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암모늄 염(NH4Cl) 생성으로 인한 압력 손실(delta P) 증가가 주 원인으로 보인다.
또한 비교예 2의 경우에도 최대 운전 시간이 5일로 현저하게 짧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전기 히터를 구비하지 않아 메인 베드로부터 회수 탱크로 회수되는 경로 온도를 조절하지 못함으로써 암모늄 염(NH4Cl)이 석출되고, 이로 인해 압력 손실(delta P)이 증가한 것이 주 원인으로 보인다.
비교예 3은 메인 베드 정제유 내 수분(ppm) 함량이 800ppm으로 현저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수처리 공정을 수행한 것이 주 원인으로 보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제유 내 높은 수분 함량은 공정 전체에서 부식을 유발하게 되고 공정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상 실시예 및 비교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가드 베드
200 : 메인 베드
300: 회수 탱크

Claims (13)

  1.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및 수소 기체가 유입되고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제1온도에서 수소화 처리되어 염소가 제거된 유체가 생성되는 가드 베드(100);
    상기 가드 베드(100)로부터 유체 및 수소 기체가 유입되고,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에서 수소화 처리되어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가 생성되는 메인 베드(200);
    상기 메인 베드(200)로부터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가 회수되는 회수 탱크(300); 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유가 회수 탱크(300)로 회수되기 전까지 온도는 290℃ 이상 350℃미만으로 유지(maintaining)되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는 비점 180℃ 이상, C10 이상의 중거대 탄화수소 유분을 30중량% 이상 포함하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는 100℃ 초과 300℃ 미만이며,
    상기 제2온도는 300℃ 초과 450℃ 미만인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드(200)의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 내 수분 함량은 100ppm 미만인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드(200)와 회수 탱크(300) 사이에 가열 수단(250)을 더 포함하는 정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 베드(100) 및 메인 베드(200)의 반응 압력은 60bar 초과 120bar미만인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 베드(100) 및 메인 베드(200)는 액체 시간당 공간 속도(LHSV)의 비가 1:0.1 내지 1:0.8인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8. (S1)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제1온도에서 수소 기체로 수소화 처리하여 염소가 제거된 유체를 생성하는 단계;
    (S2) 상기 유체를 수소화 처리 촉매 하에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에서 수소 기체로 수소화 처리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를 생성하는 단계;
    (S3)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를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유를 회수하기 전까지 온도를 290℃ 이상 350℃ 미만으로 유지(maintaining)하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는 비점 180℃ 이상, C10 이상의 중거대 탄화수소 유분을 30중량% 이상 포함하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는 100℃ 초과 300℃ 미만이며,
    상기 제2온도는 300℃ 초과 450℃ 미만인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S2)의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유 내 수분 함량은 100ppm 미만인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 및 (S2) 단계의 수소화 처리 시 반응 압력은 60bar 초과 120bar 미만인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 및 (S2) 단계의 수소화 처리 시 액체 시간당 공간 속도(LHSV)의 비가 1:0.1 내지 1:0.8인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방법.
KR1020210146884A 2021-10-29 2021-10-29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KR20230062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884A KR20230062030A (ko) 2021-10-29 2021-10-29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PCT/KR2022/016543 WO2023075438A1 (en) 2021-10-29 2022-10-27 Waste plastic pyrolysis oil refining equipment and method of refining waste plastic pyrolysis o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884A KR20230062030A (ko) 2021-10-29 2021-10-29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030A true KR20230062030A (ko) 2023-05-09

Family

ID=8615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884A KR20230062030A (ko) 2021-10-29 2021-10-29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62030A (ko)
WO (1) WO202307543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5295B2 (ja) 1999-11-08 2007-06-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用アダプ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8040B2 (en) * 2007-06-29 2009-12-29 Uop Llc Process for upgrading contaminated hydrocarbons
FI126808B (en) * 2012-03-16 2017-05-31 Upm Kymmene Corp Process for Refining Pyrolysis Oil, Treated Pyrolysis Oil and Its Use
FI125844B (fi) * 2012-06-25 2016-03-15 Upm Kymmene Corp Prosessi hiilivetyjen valmistamiseksi
WO2016142805A1 (en) * 2015-03-10 2016-09-15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rocess for dechlorination of hydrocarbon streams and pyrolysis oils
FR3107530B1 (fr) * 2020-02-21 2022-02-11 Ifp Energies Now Procede optimise de traitement d’huiles de pyrolyse de plastiques en vue de leur valoris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5295B2 (ja) 1999-11-08 2007-06-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用アダプ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5438A1 (en)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8453B1 (ko) 치환 가능한 수소첨가탈금속화 가드층, 고정층 수소첨가처리 단계 및 치환 가능한 반응기에서의 수소첨가분해 단계를 포함하는 전환 방법
KR20230010197A (ko) 고온 수소처리를 통한 폐플라스틱 기반 오일의 정제
KR100644987B1 (ko) 잔사유 처리 공정 및 장치
KR102061187B1 (ko) 원유의 처리를 위한 통합된 수소화공정 및 유체 촉매 크래킹 방법
KR101829113B1 (ko) 잔사유 수소첨가분해 및 용매 탈아스팔트화의 통합
KR101429830B1 (ko) 비등층 수소화 전환 공정을 위한 잔류 수소화 전환 촉매의 황 전처리 및 사전 조건 형성
CN115087719A (zh) 处理塑料热解油以改善其用途的优化方法
KR101716989B1 (ko) 잔유물의 하이드로크랙킹
CN114729264A (zh) 为了在蒸汽裂化单元中使用塑料热解油而对其进行处理的方法
EP2753424B1 (en) Catalytic system and process for the total hydroconversion of heavy oils
JPH0598270A (ja) 重質炭化水素油の接触水素化処理方法
KR20180011876A (ko) 잔사유 수소첨가분해 공정
JP2023535638A (ja) 2工程の水素化分解を含むプラスチック熱分解油の処理方法
KR20230062030A (ko)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WO1993017082A1 (fr) Procede pour l&#39;hydrotraitement d&#39;huiles hydrocarbures lourdes
KR102321220B1 (ko) 나프타로부터의 황의 제거
KR20230063995A (ko)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정제 방법 및 정제 장치
KR20230131535A (ko)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방법 및 정제 장치
EP43066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refining of waste plastic pyrolysis oil
KR20230078287A (ko)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KR20230071424A (ko) 황 공급원(sulfur source)과 몰리브덴계 수소화 촉매를 이용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방법및 이의 연속 운전 방법
JPH05112785A (ja) 重質炭化水素油の処理方法
KR20230146210A (ko)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처리 방법
KR20230037842A (ko)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로부터 고부가 가치 오일을 생산하는 방법과 장치
JPH05239472A (ja) 重質炭化水素油の処理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