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114A - 주차 상태 안내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 상태 안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114A
KR20230061114A KR1020210146031A KR20210146031A KR20230061114A KR 20230061114 A KR20230061114 A KR 20230061114A KR 1020210146031 A KR1020210146031 A KR 1020210146031A KR 20210146031 A KR20210146031 A KR 20210146031A KR 20230061114 A KR20230061114 A KR 20230061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conges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
정석찬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46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1114A/ko
Publication of KR20230061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8Detecting or categoris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주지 주차 지역에 주차하는 차량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취합하여 분석한 후, 시간에 따른 주차 상태를 휴대폰을 통하여 안내하여 사용자의 주차를 지원하는 주차 상태 안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와 관리서버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카메라와 관리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주차 상태 안내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주차 상태 안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서버가 출입하는 차량을 추적하여 주차 또는 출자 상태를 인식하여 관리서버 내의 차량 정보를 갱신하는 차량 인식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갱신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서버 내의 주차 혼잡도 정보를 갱신하는 주차 상태 갱신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주차 혼잡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주차 상태도 정보를 산정하고, 과거의 주차 상태도 정보를 기초로 학습하여 미래의 주차 혼잡도 정보를 예측하고, 예측된 정보를 주차 혼잡도 정보에 추가하는 주차 상태 학습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특정 주차 구역의 혼잡도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주차 정보 요청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차 혼잡도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한 후 검색 결과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주차 정보 안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차 상태 안내 방법{Method for showing parking availability of residence}
본 발명은 주차 상태 안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거지의 주차 상태를 직관적으로 안내하는 주차 상태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인구당 자동차등록 대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2명당 1대 보유하는 시대로 진입하고 있어 주거지의 선택 시 주차 가능 여부가 중요한 하나의 기준이 되고 있어,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에서는 거주자들의 효과적인 주차를 위해서 출입하는 차량들을 번호 인식 장치와 차단기를 이용하여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2012-0048329호에는 아파트의 단지를 출입하기 위한 입구에 설치되어 방문자가 관리실 또는 특정 세대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수행에 의한 방문인증이 확인되면 방문증을 발급하는 방문증 발급기와; 상기 아파트 단지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방문인증의 결과에 따라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출입차단기와; 상기 아파트 단지의 출구에 설치되어 방문을 수행한 후 출입차단기를 개방시키기 위해 입차시 발급된 방문증을 회수하는 방문증 회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파트 주차장의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 운영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아파트 단지의 경우에는 보통 주간 시간에는 주차 가능한 구역이 많이 남아 있으며, 일반적인 직장인들의 퇴근 시간 이후에는 주차 차량이 점점 증가하여 나중에는 주차 공간이 아닌 지역에도 주차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또한, 주말이나 공휴일의 경우에는 평일과 다른 주차 특성을 나타내기도 하므로, 거주하는 지역의 차량들의 주차 특성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주차 상태를 예측하여 안내하는 경우에는 거주자들의 주차에 많은 도움이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 거주지 주차 지역에 주차하는 차량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취합하여 분석한 후, 시간에 따른 주차 상태를 휴대폰을 통하여 안내하여 사용자의 주차를 지원하는 주차 상태 안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와 관리서버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카메라와 관리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주차 상태 안내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주차 상태 안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서버가 출입하는 차량을 추적하여 주차 또는 출자 상태를 인식하여 관리서버 내의 차량 정보를 갱신하는 차량 인식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갱신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서버 내의 주차 혼잡도 정보를 갱신하는 주차 상태 갱신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주차 혼잡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주차 상태도 정보를 산정하고, 과거의 주차 상태도 정보를 기초로 학습하여 미래의 주차 혼잡도 정보를 예측하고, 예측된 정보를 주차 혼잡도 정보에 추가하는 주차 상태 학습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특정 주차 구역의 혼잡도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주차 정보 요청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차 혼잡도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한 후 검색 결과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주차 정보 안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주차 구역 및 도로에 위치하는 차량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관리서버는 관리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는 처리모듈과 상기 처리모듈에 의하여 생성 또는 갱신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는 주차 구역 상태를 나타내는 주차 구역 정보, 등록 차량의 주차 상태를 나타내는 등록 차량 정보, 미등록 차량들의 주차 상태를 나타내는 방문 차량 정보, 단위 주차장의 혼잡도 상태를 나타내는 주차 혼잡도 정보, 단위 주차장의 시간에 따른 혼잡도를 나타내는 주차 상태로 정보 및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차 상태 학습 단계에서 상기 처리모듈은 주차 혼잡도 정보와 주차 상태도 정보를 AI를 이용하여 학습하여 각 주차장별로 미래 시간의 혼잡도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차 구역 정보는 주차장 아이디, 주차 면적, 위치 및 주차 대수 항목을 포함하며, 사전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록 차량 정보는 차량 번호, 현재 주차 위치, 출입시간, 출차시간 및 갱신시간 항목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문 차량 정보는 차량 번호, 현재 주차 위치, 출입시간, 출차시간 및 갱신시간 항목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차 혼잡도 정보는 주차장 아이디, 구분, 주차 가능 차량 수, 현재 주차 수, 추가 주차 수, 혼잡도 및 시간 항목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차 상태도 정보는 시간에 대한 모든 주차장 아이디에 대한 혼잡도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간 항목은 사전에 설정된 단위로 추가되며, 미래의 시간에 대한 각 주차장의 혼잡도는 상기 처리모듈에 의하여 예측된 값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시간 항목 중 미래 시간은 일정한 기간 이상에서는 일별, 주별, 월별, 분기별 또는 연도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크위크는 상기 관리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을 위하여 무선 공중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무선 통신 기반의 테이블릿 피씨 또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상태 안내 방법은 복수의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영상을 저장하고 분석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를 설정하는 관리자 단말기, 상기 관리서버와 정보를 교환하는 사용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관리서버와 사용자 단말기를 유무선으로 연결하는 네크워크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환경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각 주자구역의 주차 상태 정보를 과거 현재 및 미래에 대하여 다수의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의 단계로 구분되는 기상도 형태로 안내하여 사용자가 해당 주차구역의 주창 상태를 빠르고 편리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상태 안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주차 상태 안내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의 내부 구조도이며,
도 3은 도 2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 구조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상태 안내 방법의 절차도이며,
도 5는 도 4의 구체적인 흐름도이며,
도 6은 도 5의 나머지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상태 안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10), 상기 카메라(10)에서 획득되는 영상을 기초로 전체 절차를 진행하는 관리서버(50), 상기 관리서버(50)와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70) 및 각 장치들을 통신에 의하여 연결하는 네트워크(90)를 포함하는 주차 상태 안내 시스템(100)을 통하여 수행된다.
먼저 상기 카메라(10)는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되며, 주택 단지 또는 아파트 단지의 주차장과 길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복수개 설치된다. 필요한 경우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PTZ형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주택 단지 또는 아파트 단지 내에 차량이 도로 또는 주차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해당 차량을 촬영할 수 있는 개수로 사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10)의 적어도 하나는 주택 단지 또는 아파트 단지내에 형성된 각 주차장 전체를 관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101동 주차장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주차장 영역 전체를 관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카메라(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리서버(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탑재되는 처리모듈(51)과 데이터베이스(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처리모듈(51)은 통신을 통하여 전송되는 카메라(10)들의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하는 기능과 데이터베이스(52)의 정보를 이용하여 비교 판단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5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구역 정보(61), 등록 차량 정보(62), 방문 차량 정보(63), 주차 혼잡도 정보(64), 주차 상태도 정보(65) 및 영상 저장 정보(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차 구역 정보(61)는 전체 주차 관리 시스템(100)이 관리하는 전체 영역을 영역별로 구분되어 구성되는 정보이다.
아파트 단지의 경우 각동에 형성된 주차 구역을 고유 아이디를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으며, 대규모 주차장의 경우에도 적어도 주차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최소 면적으로 고유 아이디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주차 구역 정보(61)는 '주차장 아이디', '주차 면적', '위치', '주차 대수', '해당지도' 등의 항목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주차장 아이디' 항목은 해당 주차장의 고유 아이디를 의미하며, 유일한 값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주차 면적', '주차 대수' 및 '해당지도'는 주차장의 면적과 주차 가능한 대수 그리고 해당 주자장의 지도를 각각 의미한다.
그리고 '위치' 항목은 해당 주차장의 지도상의 위치를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주차장 중심점 또는 입구측과 같이 사전에 설정한 지점의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주차 구역 정보(61)는 사전에 입력된다.
한편, 상기 등록 차량 정보(62)는 관리 시스템이 관리하는 영역에 등록된 차량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차량 번호', '현재 주차 위치', '출입시간', '출차시간', '갱신시간' 등의 항목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 번호'는 고유 아이디로 활용된다.
'현재 주차 위치'는 해당 차량의 주차 위치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제1주차장 제4구역 등과 같이 주차지역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주차장 아이디)를 포함한다.
그리고 '출입시간'과 '출차시간'을 최근에 출입된 시간과 최근에 출차된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갱신시간'은 상기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이라도 변경되는 경우 변경되는 시간이 기록된다.
예를 들면, 특정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경우, 초기에 생성된 하나의 레코드 정보만이 존재하나, 해당 차량이 출차하는 경우, 출차 시간이 변경되므로, 출차 시간과 갱신시간이 변경되어 새로운 레코드 정보가 생성된다.
따라서, 특정 차량 번호를 이용하여 전체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 많은 레코드 수를 포함하는 차량의 경우 해당 차량의 출입이 빈번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는 경우 해당 차량의 거동 형태를 학습할 수 있다.
상기 방문 차량 정보(63) 역시 '차량 번호', '현재 주차 위치', '출입시간', '출차시간', '갱신시간'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항목들은 등록 차량 정보(62)의 항목과 동일하고, 필요한 경우 '방문처'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문처는 필요한 경우 별도로 구축된 방문 기록 시스템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방문 차량 정보(63) 역시 갱신이 발생하는 경우 레코드를 생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갱신에 의한 레코드 생성 방식은 다양한 방문 차량들의 출입과 주차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주차 혼잡도 정보(64)는 최소 단위의 주차장에 대한 시간에 대한 혼잡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주차장 아이디', '구분', '주차 가능 차량 수', '현재 주차 수', '추가 주차 수', '혼잡도', '시간' 항목을 포함한다.
상기 '주차장 아이디'는 관리하는 단위 주차장의 고유 아이디를 의미하며, 사전에 관리자가 전체 주차장을 분할하여 형성한다.
또한 각 주차장 아이디의 면적을 합하는 경우 전체 주차 면적이 도출되며, 필요한 경우 해당 주차장의 면적 항목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도로 역시 별도의 주차장으로 설정하여 주차장 아이디를 부여할 수 있으며, 적어도 차량이 주차될 수 있는 모든 부분에 주차장 아이디를 부여하는 것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관리하는 모든 면적을 구분하여 주차장 아이디를 부여하는 경우 전체 공간에 대한 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구분' 항목은 주차 구역, 도로 구역, 상업 구역 등과 같이 해당 주차장의 용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할당하여 활용할 수 있다.
'주차 가능 차량 수' 항목은 해당 주차장 아이디의 주차 구역에 주차 가능한 최대 차량 수를 의미한다.
상기 '주차 가능 차량 수' 항목은 실제 주차 구역으로 구분되어 정상적인 형태로 주차되는 차량 수를 의미할 수 있고, 세로 주차 등과 같이 주차 구역 이외에 주차하는 차량 수를 합하여 설정할 수 있다.
'현재 주차 수' 항목과 '추가 주차 수' 항목은 각각 해당 주차장 아이디에 해당하는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 수와 추가하여 주차할 수 있는 차량 수를 각각 의미한다.
'혼잡도' 항목은 현재 주차 수 항목/주차 가능 차량 수의 비율로 백분율로 표현한다. 만약 주차 가능 차량 수를 구분선 내에 정상 주차 차량 수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혼잡도는 100%이상이 될 수 있다.
즉, 비정상적으로 차량들이 주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 가능 차량 수 항목이 주차 가능한 모든 차량 수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혼잡도는 100%를 초과할 수 없다.
필요한 경우 상기 혼잡도는 적절한 범위를 설정하여 '맑음', '보통', '혼잡', '만차' 형태로 표현할 수도 있다.
이때 맑음은 주차 가능 차량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를 의미하고, 보통은 10% 이내의 여유 주차가 있는 경우, 혼잡은 정상 주차가 불가한 경우, 만차는 모든 구역에 주차가 되어 있는 경우 등과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다른 형태로 주차 상태를 표현할 수도 있다.
상기 '시간' 항목은 해당 주차장 아이디에서 각 항목의 값이 갱신되는 경우, 해당 갱신 시간을 의미한다.
즉, 새로운 차량이 주차되는 경우, 각 항목들의 변화가 발생하므로, 새로운 레코드가 생성되며, 이때 생성된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주차 혼잡도 정보(64)에서 많은 레코드를 발생시킨 주차장 아이디는 차량의 이동이 빈번한 주차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혼잡도 정보(64)를 토대로 학습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주차장의 시간에 따른 혼잡도를 예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주차 상태도 정보(65)는 시간에 대한 모든 주차장 아이디에 대한 혼잡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시간' 항목, '제1 주차장 아이디의 혼잡도' 항목, '제2 주차장 아이디의 혼잡도 항목', ..., '제N 주차장 아이디의 혼잡도'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시간은 분 단위 또는 시간 단위로 레코드가 생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시간 단위로 정보가 갱신될 수 있도록 한다.
전체 혼잡도는 모든 주차장의 혼잡도에 각 주차장 계수를 곱한 값을 합하여 평균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장 계수는 각 주차장의 주차대수를 기준으로 설정하며, 주차대수가 많은 주차장은 높은 값을 주차대수가 적은 주차장은 낮은 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계산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사용자가 특정한 주차장의 혼잡도도 산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영상 저장 정보(66)는 각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영상 아이디', '카메라 아이디', '촬영시간' 및 '촬영 내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영상 아이디' 항목은 해당 영상의 고유 아이디를 의미하고, '카메라 아이디' 항목은 해당 영상을 촬용한 카메라의 아이디를 의미하며 필요한 경우 복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촬영시간'은 촬영 시작 시간과 촬영 종료 시간을 포함하여 할당되고 마지막으로 '촬영 내용'은 해당 동영상이 할당된다.
필요한 경우 관리서버(50) 내부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전체 동영상의 저장 기간을 설정하고, 기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삭제하는 형태로 운영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되는 정보들은 암호화 처리된 상태로 저장되어 높은 보안성을 유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70)는 사용자의 요청을 수용하여 상기 관리서버(50)로 전송하고 또한 관리서버(50)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스마트폰, 테이블릿 피씨 또는 피씨로 구현될 수 있으나, 신속하게 정보를 확인하는 측면에서는 스마트폰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는 카메라(10), 관리서버(50) 및 사용자 단말기(7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단지 내에 구축된 별도의 네트워크를 적용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공중 통신망에 따른 인터넷 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0)와 관리서버(50)는 주택 또는 아파트에 구축된 별도의 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관리서버(5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70)는 공중 통신망을 통하여 구현되는 이중 네트워크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주차 관리 시스템(100)의 하드웨어적 환경 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주거지용 주차 관리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인식 단계(S1), 주차 상태 갱신 단계(S2), 주차 상태 학습 단계(S3), 주차 정보 요청 단계(S4) 및 주차 정보 안내 단계(S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고하여 각 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차량 인식 단계(S1)
차량 인식 단계(S1)는 복수의 카메라(10)에서 획득되는 영상을 기초로 상기 처리모듈(51)이 특정 차량이 거주지(아파트 등 집단 주거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주차장에서 이동하여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카메라(10)를 통하여 해당 차량을 촬영하고, 번호를 인식한 후, 추적하여 주차 위치와 출차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통상 아파트 단지 내에는 주 출입구와 부출입구들이 있으며, 상기 차량 촬영 단계(S1) 차량이 출입할 수 있는 모든 출입구를 통하여 출입하는 차량을 촬영한다.
이때 차량의 정면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제 차량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해당 카메라(10)들은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할 수 있는 각도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10)는 차량의 진입 여부를 인식하는 별도의 센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10)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은 상기 네트워크(90)를 통하여 상기 관리서버(50)로 전송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52)의 영상 저장 정보(66)에 저장된다.
먼저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 번호가 인식되는 경우, 해당 차량이 주차할 때까지 또는 출차할 때까지 상기 복수의 카메라(10)를 이용하여 추적한다.
상기 처리모듈(51)은 별도의 차량 정보와 주차 구역 정보(61)를 기초로 추적한 차량이 등록 차량인 경우, 등록 차량 정보(61)를 추가하여 갱신하고, 추적한 차량이 방문 차량인 경우에는 방문 차량 정보(62)를 추가하여 갱신한다.
즉, 차량 인식 단계(S1)에서는 차량이 지속적으로 주차 또는 출차하는 경우 차량 정보(662, 63)의 레코드가 지속적으로 추가된다.
주차 상태 갱신 단계(S2)
상기 차량 인식 단계(S1)를 통하여 등록 차량 정보(62)와 방문 차량 정보(63)가 갱신되면, 상기 처리모듈(51)은 갱신된 정보를 기초로 주차 혼잡도 정보(64)를 갱신한다.
즉, 특정 주차장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경우, 주차 구역 정보(61)를 기초로 하여 주차 혼잡도 정보(64) 각 항목을 갱신한다.
새로운 차량이 주차된 경우, 현재 주차 수 항목, 혼잡도 항목 및 시간 항목이 변경되어 새로운 레코드를 추가 생성한다.
물론 주차된 차량이 출차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항목이 변경되어 새로운 레코드를 추가 생성한다.
주차 상태 갱신 단계(S3) 역시 차량의 주차 및 출차에 따라 지속적인 레코드의 추가 생성된다.
주차 상태 학습 단계(S3)
상기 주차 상태 학습 단계(S3)는 상기 관리서버(50)의 처리모듈(51)이 상기 주차 혼잡도 정보(64)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 상태도 정보(65)를 지속적으로 갱신하는 단계이다.
상기 주차 상태도 정보(65)는 시간에 따라 각각의 주차장 아이디의 혼잡도가 저장된 정보이므로, 상기 처리모듈(51)은 사전에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주차 상태도 정보(65)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처리모듈(51)은 현재 시간의 주차 상태도 정보(65)는 상기 주차 혼잡도 정보(64)에 의하여 바로 갱신하고, 미래의 시간은 학습을 통하여 예측된 정보로 예상한 값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1시간 단위로 상기 주차 상태도 정보(65)를 갱신하는 경우, 현재 시간에서의 주차 상태도 정보(65)를 갱신하고, 1시간 후, 2시간 후, 3시간 후, ..., N시간 후의 주차 상태도 정보(65) 역시 예측하여 갱신한다.
또 한시간이 증가된 경우, 1시간 후의 추차 상태도 정보(65)는 정확하게 정정되고, 추가 시간에서 N+1시간 후의 정보까지 다시 예측하여 갱신한다.
따라서, 상기 주차 상태도 정보(65)는 과거 현재 및 예측된 미래의 혼잡도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미래 혼잡도는 별도의 AI 기법을 이용하여 과거의 혼잡도 정보와 필요한 경우 주차 상태도 정보(65)를 기초로 학습을 수행하여 예측할 수 있다.
이때 미래의 혼잡도는 사전에 관리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적어도 1주일 정도는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주일 이후에는 일별로 평균 혼잡도를 추가할 수 있고, 30일 이후에는 달별 혼잡도를 추가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미래의 일별 또는 달별로 혼잡도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필요한 경우 미래의 분기별 또는 연도별로 혼잡도를 추가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주차 정보 요청 단계(S4)
상기 주차 정보 요청 단계(S4)는 사용자 단말기(70)를 통하여 원하는 주차 구역을 주차 혼잡도 안내를 요청하는 단계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70) 역시 내부에 별도의 모듈이 탑재되어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고 또한 송신된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마트폰이 가장 바람직하며, 해당 스마트폰은 해당 앱이 탑재된다.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70)에 특정 주차장의 혼잡도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70)는 입력된 주차구역에 관한 정보와 요청하는 기간을 상기 관리서버(50)로 전송한다.
주차 정보 안내 단계(S5)
상기 주차 정보 안내 단계(S5)는 상기 주차 정보 요청 단계(S4)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70)를 통하여 특정 주차구역과 특정 시간대의 혼잡도 안내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처리모듈(51)이 상기 데이터베이스(52)의 주차 상태도 정보(65)를 통하여 혼잡도를 검색한 후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70)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70)는 상기 관리서버(50)에 의하여 전송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70)의 화면으로 출력하는 기능이다.
즉, 사용자 단말기(70)의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50)는 저장된 주차 상태로 정보(65)를 검색하여 결과를 전송하고, 전송된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70)가 화면을 출력한다.
주차장의 혼잡도인 경우 수치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인식율이 떨어지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맑음', '보통', '혼잡', '만차' 각각의 의미하는 색상으로 주차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영역의 주차 상태는 상기한 평균 방법에 의하여 평균하여 해당하는 상태를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일별 주차 상태를 변화를 출력할 수 있으며, 시간단위로 주차 상태 변화를 출력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월별 주차 상태 변화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필요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상태 안내 방법은 관리 대상 주차장들이 아파트인 경우 평일 낮 시간대에는 주차할 공간이 많이 비므로, 오후 6시 출차 조건으로 저렴하게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적절한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차 정보 요청 단계(S4)에서 오후 6시 출차 조건으로 주차 요청을 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50)는 비어있는 주차 구역을 할당하고, 해당 요청 사용자에게 주차를 허가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물론 이때 필요한 비용의 결제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관리대상 주차장뿐만 아니라 다른 단지의 아파트 등과 연합하여 관리를 확대하는 경우 효율적으로 전체 사용자들의 주차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더나아가 다른 지역의 주차장과 연계하여 주차 관리하는 경우 해당 주차장 지역을 방문하는 경우 사용자가 비교적 용이하게 해당 지역의 주차장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상태 안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카메라 50: 관리서버
51: 관리모듈 52: 데이터베이스
61: 주차 구역 정보 62: 등록 차량 정보
63: 방문 차량 정보 64: 주차 혼잡도 정보
65: 영상 저장 정보 70: 사용자 단말기
90: 네트워크 100: 주차 상태 안내 시스템

Claims (14)

  1. 복수의 카메라와 관리서버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카메라와 관리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주차 상태 안내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주차 상태 안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서버가 출입하는 차량을 추적하여 주차 또는 출자 상태를 인식하여 관리서버 내의 차량 정보를 갱신하는 차량 인식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갱신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서버 내의 주차 혼잡도 정보를 갱신하는 주차 상태 갱신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주차 혼잡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주차 상태도 정보를 산정하고, 과거의 주차 상태도 정보를 기초로 학습하여 미래의 주차 혼잡도 정보를 예측하고, 예측된 정보를 주차 혼잡도 정보에 추가하는 주차 상태 학습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특정 주차 구역의 혼잡도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주차 정보 요청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차 혼잡도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한 후 검색 결과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주차 정보 안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안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주차 구역 및 도로에 위치하는 차량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안내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관리서버는 관리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는 처리모듈과 상기 처리모듈에 의하여 생성 또는 갱신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안내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는 주차 구역 상태를 나타내는 주차 구역 정보, 등록 차량의 주차 상태를 나타내는 등록 차량 정보, 미등록 차량들의 주차 상태를 나타내는 방문 차량 정보, 단위 주차장의 혼잡도 상태를 나타내는 주차 혼잡도 정보, 단위 주차장의 시간에 따른 혼잡도를 나타내는 주차 상태로 정보 및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안내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차 상태 학습 단계에서 상기 처리모듈은 주차 혼잡도 정보와 주차 상태도 정보를 AI를 이용하여 학습하여 각 주차장별로 미래 시간의 혼잡도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안내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차 구역 정보는 주차장 아이디, 주차 면적, 위치 및 주차 대수 항목을 포함하며, 사전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안내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등록 차량 정보는 차량 번호, 현재 주차 위치, 출입시간, 출차시간 및 갱신시간 항목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안내 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방문 차량 정보는 차량 번호, 현재 주차 위치, 출입시간, 출차시간 및 갱신시간 항목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안내 방법.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차 혼잡도 정보는 주차장 아이디, 구분, 주차 가능 차량 수, 현재 주차 수, 추가 주차 수, 혼잡도 및 시간 항목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안내 방법.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차 상태도 정보는 시간에 대한 모든 주차장 아이디에 대한 혼잡도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안내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시간 항목은 사전에 설정된 단위로 추가되며, 미래의 시간에 대한 각 주차장의 혼잡도는 상기 처리모듈에 의하여 예측된 값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안내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시간 항목 중 미래 시간은 일정한 기간 이상에서는 일별, 주별, 월별, 분기별 또는 연도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안내 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크워크는 상기 관리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을 위하여 무선 공중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안내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무선 통신 기반의 테이블릿 피씨 또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상태 안내 방법.
KR1020210146031A 2021-10-28 2021-10-28 주차 상태 안내 방법 KR20230061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031A KR20230061114A (ko) 2021-10-28 2021-10-28 주차 상태 안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031A KR20230061114A (ko) 2021-10-28 2021-10-28 주차 상태 안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114A true KR20230061114A (ko) 2023-05-08

Family

ID=86381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031A KR20230061114A (ko) 2021-10-28 2021-10-28 주차 상태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11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9853B2 (ja) デバイス管理装置及びデバイス管理方法
KR102223572B1 (ko)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CN110838239B (zh) 车位导航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JP5605512B2 (ja) 情報管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管理方法
KR101191776B1 (ko) 주차관리시스템 및 그 주차관리방법
CN110807888A (zh) 一种园区智能安防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01322166A (zh) 停车控制系统和方法
KR20170024615A (ko) 공유경제 실현을 위한 주차장 예약방법, 및 시스템
CN110766570A (zh) 一种智慧酒店服务方法及系统、智慧酒店电视机
KR20180101648A (ko)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
KR101743872B1 (ko) 아파트의 차량 관리 시스템
KR102449307B1 (ko) 차량 무선검지센서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주차유도 통합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예매 방법
CN111311952A (zh) 车辆停车的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2436475B1 (ko) 이동통신을 결합한 주차잠금장치와 그 처리방법
CN112671834A (zh) 停车数据的处理系统
CN113724526A (zh) 用于停车场的诱导泊车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102016089B1 (ko) 전화 자동응답시스템 겸 Web기반 보이는 ARS를 이용한 주차면 공유 시스템
KR102149618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61114A (ko) 주차 상태 안내 방법
CN109615750B (zh) 门禁机的人脸识别控制方法及装置、门禁设备、存储介质
KR101072466B1 (ko) 이종데이터의 통합관리를 위한 데이터 표준화 모듈장치를 이용한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
CN115271475A (zh) 基于物联网的智慧园区业务规范模型设计架构
KR100839590B1 (ko) 주차 관제 시스템 및 계수 방법
KR20030087313A (ko)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18209B1 (ko) 공유주차공간을 연결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주차장 공유장치 및 주차장 공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