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307B1 - 차량 무선검지센서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주차유도 통합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예매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무선검지센서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주차유도 통합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예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307B1
KR102449307B1 KR1020210052725A KR20210052725A KR102449307B1 KR 102449307 B1 KR102449307 B1 KR 102449307B1 KR 1020210052725 A KR1020210052725 A KR 1020210052725A KR 20210052725 A KR20210052725 A KR 20210052725A KR 102449307 B1 KR102449307 B1 KR 102449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information
vehicle
management server
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977A (ko
Inventor
정철호
조남주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엔디 filed Critical (주)제이엔디
Priority to KR1020210052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307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무선검지센서를 이용한 인공지능 주차유도 통합서비스 시스템 및 이을 이용한 예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공지능 기반 주차유도 통합서비스 시스템은 주차장의 CCTV 영상정보와 주차장 주차면의 차량검지센서에서 검출한 차량감지정보를 유무선 통신으로 주차관리서버(300)에 전송되어 주차면정보DB(330)로 저장된다.
상기 주차면정보DB에 저장된 주차장정보는 인터넷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사용자단말기에 업로드된 주차장예약어플을 통하여 주차장을 이용하는 차량의 번호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주차면정보DB의 주차장데이터를 검색하여 주차장 사용시간을 예약하고, 상기 예약된 차량이 주차장에 도착하면 입구 차량번호인식기에서 차량번호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주차관리서버(300)에 전송되고, 상기 주차관리서버(300)의 주차제어부(310)에서 예약된 차량번호정보가 맞으면 차단봉을 위로 올라가도록 제어하여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 무선검지센서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주차유도 통합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예매 방법{Artificial intelligence parking guidance integrated service system using vehicle wireless detection sensor and parking reservation method using this}
본 발명은 차량 무선검지센서를 이용한 인공지능 주차유도 통합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CCTV 카메라 영상과 주차면에 설치되는 차량검지센서를 이용한 인공지능 주차 유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예매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8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차량 등록 대수는 2320만대이고, 연평균 약 3%씩 증가하는 추세이다. 새로 짓고 있는 건물이나 상가들은 주차 공간을 고려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주차 공간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고, 장소이동시에는 항상 주차 문제를 고민하게 된다. 특히, 번화가는 주차 공간 부족으로 불법 주차가 만연하고 있고, 주차로 인한 다툼도 흔하다.
주차공간에 24시간 주차가 되어 있는 주차면은 드물지만, 비어 있는 주차면을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이들을 통합 관리하는 서비스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나, 많은 데이터를 통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비어 있는 주차공간을 빨리 파악할 수 있으면서도, 많은 양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주차시스템이 필요하다.
최근 들어,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주차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사용자에게 수준 높은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첨단 주차장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첨단 주차장이 개발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는 주차 사업장이 증가하고 있으며, 빈 주차 공간 인식, 안내, 주차 요금 정산까지 무인으로 차량 운전자에게 정보를 원활하게 제공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3854호는 센서 기반 영상 개선방법을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센서가 적용된 디블러링(Debluring) 기법과 영상밝기 조정 기법을 통해 개선된 영상을 이용하는 주차유도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주차공간에서 영상 카메라에 노출되지 않은 지점에는 빈 주차장이 있음에도 파악되지 않아 주차장이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9-0130836호(2019. 11. 25)
본 발명의 목적은 사전에 이용하고자 하는 주차장을 이용자단말기의 어플을 작동시켜 주차장을 예약하고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주차장의 비어 있는 주차면을 빠른 시간 안에 파악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주차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어 있는 주차공간을 미리 예약함으로써, 특정 시간이 지나면 예약이 취소되어 주차공간의 효율성 및 사용자 편의의 밸런스가 우수한 인공지능 기반 주차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공지능 기반 주차유도 통합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인공지능 기반 주차유도 통합서비스 시스템은 주차장의 주차면을 검지하는 주차센싱부와 주차장을 출입하는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인식기로부터 제공되는 주차면 및 차량의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장의 주차를 관리하는 주차관리서버, 및 상기 주차관리서버와 결제시스템의 주차비를 제어하는 주차관제시스템, 그리고 상기 주차관제시스템의 관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하여 화상의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인터넷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주차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주차면을 예약하거나 주차비용을 결제하는 사용자단말기로 구성된다.
주차장의 CCTV 영상정보와 주차장 주차면의 차량검지센서에서 검출한 차량감지정보를 유무선 통신으로 주차관리서버(300)에 전송되어 주차면정보DB(330)로 저장된다. 상기 주차면정보DB에 저장된 주차장정보는 인터넷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업로드된 주차장예약어플은 상기 주차면정보DB의 주차장데이터를 검색하여 주차장 사용시간을 예약하고, 상기 예약된 차량이 주차장에 도착하면 입구 차량번호인식기에서 차량번호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주차관리서버(300)에 전송되고, 상기 주차관리서버(300)의 주차제어부(310)에서 예약된 차량번호정보가 맞으면 차단봉을 위로 올라가도록 제어하여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도록 한다.
예약된 차량이 주차장을 이용한 후 주차장을 나갈 때 출구 차량번호인식기에서 차량번호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정보의 차량의 주차장 이용시간을 계산하여 무인주차결제장치를 차량이 통과할 때 상기 차량에 장착된 하이패스단말기의 무선통신으로 주차요금이 자동결제된다.
상기 CCTV 영상정보는 CCTV카메라로 촬영한 비전영상을 기초로 주차면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주차면으로부터 주차된 차량을 검출하며,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을 제외한 이용 가능한 주차면을 검출하는 비전 딥러닝방식을 사용하여 검출된 이용 가능한 주차면 정보를 주차관리서버(300)의 주차면정보DB로 전송한다.
상기 차량검지센서는 비전카메라가 CCTV영상을 촬영하기 어려운 사각지대의 주차면에 설치하며, 상기 차량검지센서는 스토퍼형, 반매립형 또는 매립형을 주차면에 설치하여 주차면에 차량 유무에 관한 정보를 주차관리서버(300)의 주차면정보DB로 전송하여 이용 가능한 주차면 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주차장예약어플은 주차관리서버의 주차면정보DB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주차면정보DB는 사용자단말기로 입력된 차량번호정보를 기록하는 차량정보테이블; 및 주차장 주차면의 배치도와 예매 현황을 기록하고 수정하는 배정테이블로 구성되고, 상기 주차면정보DB의 주차면 정보는 주차정보관리부와 주차제어부에 의해 사용자단말기에 이용 가능한 주차면이 표시되고, 상기 주차장을 이용하고자할 때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창에 표시된 어플을 구동시켜 이용하고자하는 주차장의 주차면과 사용시간을 예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무인주차결제장치는 기본적으로 차량에 설치된 하이패스단말기와 연동되어 무선식별시스템(RFID) 방식으로 주차요금이 자동으로 결제되며, 그 외에 신용카드 및 현금결제를 포함하여 주차요금을 결제한다.
본 발명은 주차장에 도착하기 전에 어플을 이용하여 주차장의 비어있는 주차면을 확인하여 주차를 예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각지대의 비어 있는 주차공간을 차량검지센서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파악하여 주차면정보DB에 등록 갱신할 수 있어 주차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 CCTV의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많은 양의 주차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비어 있는 주차공간을 미리 예약함으로써, 이동 중 다른 차량이 먼저 주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특정 시간이 지나면 예약이 취소되어 주차공간의 효율성 및 사용자 편의의 밸런스가 우수한 인공지능 기반 주차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센서-영상 인공지능하이브리드 주차유도 시스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LPR을 이용한 주차관리 정산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인공지능 주차유도 통합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인공지능 기반 주차유도 관제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인공지능 기반 주차시스템의 주차관리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인공지능 기반 주차시스템의 주차센싱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인공지능 기반 차량검지센서 검지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인공지능 기반 비젼 딥러닝 구성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인공지능 기반 주차시스템의 작동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인공지능 기반 주차시스템의 예약프로세스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기(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주차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센서-영상 인공지능하이브리드 주차유도 시스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LPR을 이용한 주차관리 정산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인공지능 기반 주차유도 통합서비스 시스템은 주차장(220)의 주차면을 검지하는 주차센싱부(200)와 주차장을 출입하는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인식기(100)로부터 제공되는 주차면 및 차량의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장의 주차를 관리하는 주차관리서버(300), 및 상기 주차관리서버와 결제시스템(450)의 주차비를 제어하는 주차관제시스템(400), 그리고 상기 주차관제시스템의 관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하여 화상의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440), 및 인터넷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주차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주차면을 예약하거나 주차비용을 결제하는 사용자단말기(500)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LPR(차량번호인식기, License Plate Recognition ; 100)을 이용한 주차관리 정산시스템 구성도이다. 즉, 상기 주차관리 정산시스템은 차량이 주차장에 들어올 때 또는 주차장에서 나갈 때 차량의 번호판의 번호를 차량인식기(100)에서 인식하여 차량의 주차장 이용시간에 따른 주차비를 계산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차량번호인식기)에서 주차장에 입차하는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며, 입차된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주차면으로 유도된다. 차량이 추차면에 주차하면 영상획득부(201)에서 차량의 주차정보를 검출하게 되며, 영상획득부(201)의 CCTV 비전카메라로 차량의 주차정보를 검출할 수 없는 사각지대에는 주차면에 차량검지센서(202)를 설치하여 차량의 주차정보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번호인식기(100) 및 주차센싱부(200)의 차량 정보는 주차관리서버(300)에 전송되고, 주차관리서버에 전송된 주차정보는 DB에 저장된다.
그리고 결제시스템(450)은 상기 주차관리서버(300)에 저장된 주차정보를 이용하여 주차비가 계산되며, 주차비는 사전결제장치(451) 또는 무인결제장치(452)에서 결제되며, 결제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지역화폐 및 현금 결제가 모두 가능하며, 또한 하이패스 기능의 결제 및 카카오페이 등 RFID 기능의 결제를 포함한다.
차량 운전자가 출차하기 위해서는 주차비의 정산이 필요하며, 주차장 사용자가 주차요금을 정산하면 출차 차단 장치가 개방되어 차량이 주차장을 나갈 수 있게 된다.
주차장(220)의 영상획득부(201) 및 차량검지센서(202)로 구성되는 주차센싱부(200)에서 검출한 차량 주차정보는 유무선 통신으로 주차관리서버(300)에 전송되어 주차면정보DB(330)로 저장된다.
상기 주차면정보DB에 저장된 주차장의 차량 주차정보는 인터넷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사용자단말기(5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업로드된 주차장예약어플을 통하여 주차장을 이용하는 차량의 번호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주차면정보DB(330)의 주차장데이터를 검색하여 주차장 사용시간을 예약하고, 상기 예약된 차량이 주차장에 도착하면 차량번호인식기(100)에서 차량번호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주차관리서버(300)에 전송되고, 상기 주차관리서버(300)의 주차제어부(310)에서 예약된 차량번호정보가 맞으면 차단봉을 위로 올라가도록 제어하여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도록 한다.
상기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여 주차면을 찾아 갈 때 용이하게 주차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주차장 진입부에 주차면의 장소 또는 위치를 표시하는 주차면 표시장치를 설치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CCTV 영상정보는 CCTV카메라로 촬영한 비전영상을 기초로 주차면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주차면으로부터 주차된 차량을 검출하며,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을 제외한 이용 가능한 주차면을 검출하는 비전 딥러닝방식을 사용하여 검출된 이용 가능한 주차면 정보를 주차관리서버(300)의 주차면정보DB(330)로 전송한다.
상기 차량검지센서(202)는 비전카메라가 CCTV영상을 촬영하기 어려운 사각지대의 주차면에 설치하며, 영상획득부(201)의 영상은 비전카메라로 촬영한 CCTV 영상을 의미하고, 상기 영상획득부(201)의 영상과 차량검지센서(202)의 차량 주차정보가 주차관리서버(300)에 전송된다.
상기 차량검지센서(202)는 스토퍼형, 반매립형 또는 매립형을 주차면에 설치하여 주차면에 차량 유무에 관한 정보를 주차관리서버(300)의 주차면정보DB로 전송하여 이용 가능한 주차면 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주차비 결제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사전결제장치 및 무인결제장치에서 결제하며, 신용카드, 체크카드 및 지역화폐를 모두 포함하여 사용가능하도록 결제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지역화폐는 카드 형식의 지역화폐도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주차비 결제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된 하이패스단말기와 연동되어 무선식별시스템(RFID) 방식으로 주차요금이 자동으로 결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이패스단말기는 적외선(IR)방식 또는 라디오주파수(Rf) 방식의 하이패스단말기로 주차장의 주차요금을 결제한다.
예약된 차량이 주차장을 이용한 후 주차장을 나갈 때 출구 차량번호인식기(100)에서 차량번호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정보의 차량의 주차장 이용시간을 계산하여 결제시스템(450)의 무인결제장치 또는 사전결제장치에서 결제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주차시스템은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CCTV로부터 주차장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110); 상기 CCTV영상 사각지대의 주차면에 구비되어 차량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주차센싱부(200); 상기 영상획득부의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장의 각 주차면에 주차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내 주차면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주차판단부(310); 상기 주차판단부 및 주차센싱부로부터 주차가능 공간수를 포함하는 주차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는 주차정보 관리부(320); 및 주차장 사용자에게 상기 주차정보를 제공하는 주차정보 제공부(330);를 포함하는 주차관리서버(300) 및 주차정보 제공 서비스에 관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또는 웹을 통해 상기 주차관리서버로부터 주차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주차시스템은 CCTV로부터 주차장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110)의 영상을 인공지능을 사용하여 각 주차면의 주차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주차여부 판단이 가능하며, CCTV는 통신부를 구비한 CCTV를 새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기존의 CCTV를 활용함으로써 방대한 주차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주차장 영상은 통신부를 구비한 CCTV로부터 직접 제공 받을 수도 있고, 상기 CCTV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는 환경에 따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지능은 기존의 룰(rule) 기반 스마트 시스템과 달리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똑똑해지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은 사용할수록 인식률이 향상되고 사용자 취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기존 룰 기반 스마트 시스템은 점차 딥러닝 기반 인공 지능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고, 인공지능 기술은 머신 러닝 및 머신 러닝을 활용한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
머신 러닝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요소 기술은 딥러닝 등의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 등의 기술 분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차장의 각 주차면에 주차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모델은 주차장의 영상을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함으로써 생성된 모델로서, 주차장 영상의 각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된 상태인지 빈 주차면인지에 대한 기준 정보를 학습하여 생성된 모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델은 주차장의 영상에서 각 주차면이 차량의 주차가 가능한 주차면인지 여부에 대한 기준 정보를 더 학습하여 생성된 모델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주차센싱부(200)는, 상기 CCTV 영상 사각지대 주차면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센서(210); 및 상기 센서에서 센싱된 주차정보를 주차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210)는 각 주차 공간의 바닥 중앙에 구비되어 차량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제1 센서(211); 상기 주차라인 상에 구비되어 주차 차량이 주차라인을 침범하는지를 판단하는 제2 센서(213); 및 상기 제2 센서(213)에 의해 주차라인 침범이 판단되는 경우 이를 알리는 신호 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센서(213)에 의해 주차라인 침범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주차 가능 공간 수를 차감하여 주차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211)는 주차 공간 바닥 중앙에 구비된 센서이다. 상기 센서로 센싱된 신호들로부터 해당 주차장 영역의 주차 가능 공간 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213)는 주차라인 상에 구비, 구체적으로 매립형으로 구비되는 센서로써, 차량이 주차라인을 침범한 것을 판단할 수 있는 당업자에게 용이한 센서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2 센서(213)에 의해 주차라인 침범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주차 가능 공간 수를 차감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주차 가능 공간 수를 주차관리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주차할 수 없는 공간이 주차 가능 공간 수로 판단 되어 사용자가 주차할 수 없는 공간을 미리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주차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센서(211)는 레이더 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조합하여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레이더 센서는 날씨 등 외부 환경 변화에 영향없이 물체의 거리 정보를 탐지할 수 있어 인식률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낙엽 또는 눈에 의해 오판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1 센서(211)은 레이더센서로부터 측정된 거리가 특정 거리 내일 경우 이를 낙엽, 눈 등의 장애물로 판단하고, 지자기 센서의 정보를 근거로 차량의 주차여부를 판별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주차여부의 판단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인공지능 기반 주차시스템은 CCTV 영상에서 유효한 주차면은 인공지능을 적용하고, CCTV 사각지대의 주차면은 레이더 센서 및 지자기 센서의 조합 적용함으로써, 주차면의 주차여부 판단의 신뢰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관리서버(300)는 상기 영상획득부의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장의 각 주차면에 주차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내 주차면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주차판단부(310); 상기 주차판단부(310) 및 주차센싱부(200)로부터 주차가능 공간 수를 포함하는 주차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는 주차정보 관리부(320); 및 주차장 사용자에게 상기 주차정보를 제공하는 주차정보 제공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주차판단부(310)가 인공지능 모델을 적용하여 CCTV 영상 내주차면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주차정보 관리부(320)는 주차판단부(310) 및 주차센싱부(200)로부터 제공받은 주차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주차정보는 예를 들어, 주차 가능 공간 수, 버스 또는 트럭 주차 가능 여부, 전기차 충전 가능 여부 및 장애인 주차 가능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 가능 공간 수는 구획되거나 독립적인 주차 공간인 경우에는 해당 영역의 주차공간을 기준으로 할 수 있고, 구획되지 않고 독립적이지 않은 주차 공간인 경우에는 특정 주차면 이상의 영역을 주차공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공간을 기준으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기준이 되는 공간들은 후술하는 주차장 주소를 하나로 부여 받을 수 있고, 상기 주소를 기준으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또는 웹 상의 네비게이션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가능 공간 수는 후술하는 사용자의 예약수를 고려하여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차장이 주차관리 시스템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주차관리서버는 상기 주차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주차관리시스템에 예약된 사용자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주차관리 시스템은 상기 예약된 사용자 수를 고려하여 주차가능 공간 산출하고, 상기 주차장이 주차관리시스템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 특정 주차면 개수 이상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분할하여 주차가능 공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주차정보 제공부(330)는 주차판단부(310) 및 주차센싱부(200)로부터 제공받은 주차정보를 상기 주차 정보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또는 웹을 통해 이를 요청하는 사용자에게 단말기(4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주차관리서버(300)는 상기 영상획득부(110) 또는 상기 CCTV 영상획득부의 영상을 관리하는 서버, 상기 주차센싱부(200), 상기 사용자단말기(50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340); 상기 주차장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350); 및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360); 상기 주차장 사용자로부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또는 웹을 통해 주차 예약을 받는 예약 관리부(370); 상기 주차장 사용자의 주차요금을 산출하는 요금 산출부(380); 및 상기 주차요금을 결제하는 요금결제부(390);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40)는 상기 영상획득부(110) 또는 상기 CCTV 영상획득부의 영상을 관리하는 서버, 상기 주차센싱부(200), 상기 사용자단말기(50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부(350)는, 사용자의 신상 정보, 사용자의 예약 시각과 차량 종류 중 하나 이상을 조회하는 방법으로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관리부(360)는 본 발명의 주차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신상 정보, 차량 종류, 차량번호, 휴대폰 번호, 계좌번호 등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정보들은 후술하는 사용자단말기(500)에 설치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예약 관리부(37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500)로부터 예약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예약정보는 주차하고자 하는 주차장, 차량 종류 및 차량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예약정보 제공 시각으로부터 특정 시간 내로 상기 예약된 주차장에 입차된 정보가 없으면 상기 예약은 취소될 수 있다.
상기 입차된 정보는 상기 주차장이 주차관리 시스템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주차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전송받고, 상기 주차장이 주차관리 시스템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 후술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센싱부와 무선링크를 형성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요금 산출부(380)는 주차장 사용자의 주차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차시스템에서 요금을 산출하는 시간은 상기 주차장이 주차관리 시스템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주차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전송받고, 상기 주차장이 주차관리 시스템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 후술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센싱부와 무선링크 형성하여 주차방지부의 구동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요금결제부(390)는 당업자에게 용이한 모바일 결제 수단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1148038호를 참고할 수 있다. 상기 요금을 출차 전에 결제함으로써, 주차장 출차 시 차량이 밀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500)는 상기 주차관리서버(300) 또는 주차센싱부(20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410); 상기 주차관리서버(300)로부터 주차정보 제공 서비스에 관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주차장 사용자를 인증하거나, 웹 상에서 접속에 의해 주차장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주차정보를 제공 받는 프로그램부(420); 상기 인증된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또는 웹을 통해 예약 주차장, 차량 종류 및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430); 상기 주차장 각각의 주차정보, 예약 시각 및 예약 취소 예정 시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40); 주차 요금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시스템(450); 및 상기
주차관리서버 또는 주차센싱부와의 통신,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실행, 예약정보 입력 및 정보 표시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46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10)는 상기 주차관리서버(300) 또는 주차센싱부(20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로그램부(420)는 상기 주차관리서버(300)로부터 주차정보 제공서비스에 관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주차장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주차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웹 상에서 접속에 의해 주차장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주차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 및 주차정보 제공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구체예에서, 상기 프로그램부(420)는 목적지와 일정한 거래 내의 주차장을 지정하여 이에 관한 주차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691312호를 참고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430)는 인증된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또는 웹을 통해 예약 주차장, 차량 종류 및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예약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40)는 목적지 주변 주차장 각각의 주차정보, 예약시각, 예약 취소 예정 시각을 표시할 수 있고, 네비게이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구체예에서 CCTV 영상 정보를 주차관리서버(300)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요금을 출차 전에 결제함으로써, 주차장 출차 시 차량이 밀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주차관리서버 또는 주차센싱부와의 통신,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실행, 예약정보 입력 및 정보 표시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주차관리서버(300)는 상기 CCTV가 촬영하는 장소의 주소정보 및 상기 주차센싱부의 주소정보를 추출하는 주소추출부(39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관리서버(300)는 상기 추출된 주소를 더 포함하는 주차정보를 사용자단말기(500)에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500)는 상기 추출된 주소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또는 웹 상의 맵과 연동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10 상기 주차장의 주소는 주차정보 관리부(32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역의 구획, 독립, 설정된 바를 기준으로 부여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주차센싱부(200)는, 상기 CCTV 영상 사각지대의 주차면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센서(210); 상기 센서에서 센싱된 주차정보를 주차관리서버(300)로 전송하고, 주차관리서버(300)로부터 예약한 사용자의 인증코드를 전송받고, 사용자단말기(500)와 통신하는 통신부(231); 해당 주차면에 주차를 방지할 수 있는 주차방지부(250); 상기 주차방지부(250)를 구동하는 구동부(270); 및 상기 센서(210), 통신부(231) 및 구동부(270)를 제어하는 제어부(290);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관리서버(300)의 예약관리부(370)는 예약한 사용자의 단말기(400)로 예약된 시간에 인증코드를 20 포함하는 스마트키를 전송하고, 상기 주차센싱부(200)의 제어부(29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500)의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센싱부(200)와 무선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장을 예약한 사용자가 해당 주차장으로 이동하면, 예약한 시간에 예약 관리부(370)가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스마트키를 사용자의 단말기(400)로 전송하고,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키를 클릭 함으로써, 상기 주차센싱부(200)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400)는 무선링크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400)로 상기 구동부(270)를 구동하여 상기 주차방지부(250)를 개폐, 세움/?똑? 등 주차방지부(25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다. 이로써, 예약하지 않은 다른 사용자가 먼저 주차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차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이 무선링크를 통해 사용자의 주차시간도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예약 시각으로부터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한 특정 시간(예를 들어 5분 내지 30분)이 초과되는 경우 상기 예약은 취소되므로 무분별한 예약 및 노쇼(no show)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하나의 구체예로 주차방지부(250)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주차방지부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구동부를 통해 주차방지 효과를 줄 수 있는 것이면 적용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체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구체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0 : 차량번호인식기 110 : 영상획득부 200 : 주차센싱부
210: 센서 230, 231: 통신부
250: 주차방지부 270: 구동부 290: 제어부
300: 주차관리서버 310: 주차판단부 320: 주차정보 관리부
330: 주차정보 제공부 340: 통신부 350: 사용자 인증부
360: 사용자 관리부 370: 예약 관리부 380: 요금 산출부
390: 요금 결제부 395: 주소추출부 400: 사용자 단말기
410: 통신부 420: 프로그램부 430: 입력부
440: 디스플레이부 450: 결제시스템 460: 제어부

Claims (2)

  1. 인공지능 기반 주차유도 통합서비스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차유도 통합서비스시스템은 주차장의 주차면을 검지하는 주차센싱부,
    상기 주차센싱부의 주차면 데이터와 주차장에 출입하는 차량의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장의 주차를 관리하는 주차관리서버,
    상기 주차관리서버와 결제시스템의 주차비를 제어하는 주차관제시스템,
    상기 주차관제시스템의 관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하여 화상의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인터넷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주차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주차면을 예약하거나 주차비용을 결제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500)는 주차관리서버(300) 또는 주차센싱부(20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410), 상기 주차관리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주차정보 제공 서비스에 관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주차장 사용자를 인증하고 주차정보를 제공 받는 프로그램부(420), 상기 인증된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또는 웹을 통해 예약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430), 및 주차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40)와 주차 요금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시스템(450) 및 상기 주차관리서버 또는 주차센싱부와의 통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460)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센싱부는 각 주차 공간의 바닥 중앙에 구비되어 차량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제1 센서(211), 주차라인 상에 구비되어 주차 차량이 주차라인을 침범하는지를 판단하는 제2 센서(213) 및 상기 제2 센서(213)에 의해 주차라인 침범이 판단되는 경우 이를 알리는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213)에 의해 주차라인 침범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주차 가능 공간 수를 차감하여 주차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주차센싱부에서 검출한 주차장 CCTV 영상정보와 주차장 주차면의 차량검지센서의 차량감지정보를 검출하여 유무선 통신으로 주차관리서버(300)에 전송되어 주차면정보DB(330)로 저장되며,
    상기 CCTV 영상정보는 CCTV카메라로 촬영한 비전영상을 기초로 주차면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주차면으로부터 주차된 차량을 검출하며,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을 제외한 이용 가능한 주차면을 검출하는 비전 딥러닝방식을 사용하여 검출된 이용 가능한 주차면 정보를 상기 주차관리서버(300)의 주차면정보DB로 전송하고,
    차량검지센서(202)는 비전카메라가 CCTV영상을 촬영하기 어려운 사각지대의 주차면에 설치하고, 영상획득부(201)의 영상과 차량검지센서(202)의 차량 주차정보가 주차관리서버(300)에 전송하되, 상기 차량검지센서(202)는 스토퍼형, 반매립형 또는 매립형을 주차면에 설치하여 주차면에 차량 유무에 관한 정보를 주차관리서버(300)의 주차면정보DB로 전송하여 이용 가능한 주차면 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주차면정보DB에 저장된 주차장정보는 인터넷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업로드된 주차장예약어플을 통하여 주차장을 이용하는 차량의 번호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주차면정보DB의 주차장데이터를 검색하여 주차장 사용시간을 예약하며,
    상기 예약된 차량이 주차장에 도착하면 입구 차량번호인식기에서 차량번호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주차관리서버(300)에 전송되고, 상기 주차관리서버(300)의 주차제어부(310)에서 예약된 차량번호정보와 일치하면 차단봉을 위로 올라가도록 제어하여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결제시스템(450)은 상기 주차관리서버(300)에 저장된 주차정보를 이용하여 주차비가 계산되고, 상기 주차비는 사전결제장치(451) 또는 무인결제장치(452)에서 결제되며, 결제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지역화폐 및 현금 결제가 가능하고, 또한 하이패스 결제 및 카카오페이 등 RFID 기능의 결제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비는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차량번호인식기)에서 주차장에 입차하는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고, 입차된 차량이 차량이 주차면에 주차하면 영상획득부(201)에서 검출한 차량의 주차정보 또는 영상획득부(201)의 CCTV카메라로 차량의 주차정보를 검출할 수 없는 사각지대에는 주차면에 설치된 상기 스토퍼형, 반매립형 또는 매립형의 차량검지센서(202)에서 검출된 차량의 주차정보가 주차관리서버(300)에 전송되며,
    차량이 주차장을 이용한 후 나갈 때 출구 차량번호인식기에서 차량번호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정보 차량의 주차장 이용시간을 계산하여 유무선통신으로 주차요금이 결제시스템에서 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주차유도 통합서비스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주차장예약어플은 주차관리서버의 주차면정보DB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주차면정보DB는 사용자단말기로 입력된 차량번호정보를 기록하는 차량정보테이블; 및 주차장 주차면의 배치도와 예매 현황을 기록하고 수정하는 배정테이블로 구성되며,
    상기 주차면정보DB의 주차면 정보는 주차정보관리부와 주차제어부에 의해 사용자단말기에 이용 가능한 주차면이 표시되고, 상기 주차장을 이용하고자할 때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창에 표시된 어플을 구동시켜 이용하고자하는 주차장의 주차면과 사용시간을 예약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부(410)는 주차관리서버(300) 또는 주차센싱부(20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프로그램부(420)는 상기 주차관리서버(300)로부터 주차정보 제공서비스에 관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주차장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주차정보를 제공 받거나, 웹 상에 접속하여 주차장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주차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입력부(430)는 인증된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또는 웹을 통해 예약 주차장, 차량 종류 및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예약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40)는 목적지 주변 주차장 각각의 주차정보, 예약시각, 예약 취소 예정 시각을 표시하고, 네비게이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CCTV 영상 정보를 주차관리서버(300)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주차관리서버 또는 주차센싱부와의 통신,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실행, 예약정보 입력 및 정보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주차유도 통합서비스 시스템



KR1020210052725A 2020-07-07 2021-04-23 차량 무선검지센서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주차유도 통합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예매 방법 KR102449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725A KR102449307B1 (ko) 2020-07-07 2021-04-23 차량 무선검지센서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주차유도 통합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예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402 2020-07-07
KR1020210052725A KR102449307B1 (ko) 2020-07-07 2021-04-23 차량 무선검지센서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주차유도 통합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예매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402 Division 2020-07-07 2020-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977A KR20220005977A (ko) 2022-01-14
KR102449307B1 true KR102449307B1 (ko) 2022-09-30

Family

ID=79343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725A KR102449307B1 (ko) 2020-07-07 2021-04-23 차량 무선검지센서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주차유도 통합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예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3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204666A1 (de) * 2022-05-12 2023-11-16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Verfahren zur Übergabe eines Fahrzeugs an ein Verkehrssystem, Verkehrssystem und Managementsystem für Verkehrssystem
CN115131986A (zh) * 2022-06-08 2022-09-30 智慧互通科技股份有限公司 封闭停车场智慧管理方法以及系统
CN115206127A (zh) * 2022-06-15 2022-10-18 厦门市政智慧城市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停车场车位及车场管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542B1 (ko) 2015-03-09 2015-10-28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639729B1 (ko) 2015-09-18 2016-07-22 김경숙 스마트 주차 관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2013A (ko) * 2016-05-23 2017-12-01 에이제이파크 주식회사 사전 예약에 의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102059849B1 (ko) 2018-05-15 2019-12-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주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542B1 (ko) 2015-03-09 2015-10-28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639729B1 (ko) 2015-09-18 2016-07-22 김경숙 스마트 주차 관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977A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307B1 (ko) 차량 무선검지센서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주차유도 통합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예매 방법
CN105913132B (zh) 一种酒店速住系统、方法
JP6016676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US11688217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n access control system
KR101343102B1 (ko) 지능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56934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스마트 주차시스템
KR20180073509A (ko) 통행료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05326B1 (ko) 인공지능 기반 주차시스템
CN112907761A (zh) 用于停车管理的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US20170301149A1 (en) Parking assignment system with laser rangefinder and parking meter
KR20130110437A (ko) 주차관리 시스템
KR20130011365A (ko)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KR101249450B1 (ko) 주차요금 징수 시스템
KR20200052427A (ko)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의 공유시스템
KR20190119945A (ko) 스마트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KR102320495B1 (ko) 주차장 자동결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1912302B1 (ko) 영수증 출력 기능을 구비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그것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하이패스 단말기용 영수증 출력 장치 및 그것들의 제어 방법
KR100426610B1 (ko) 주차장의 요금징수 서비스방법
JP2021064344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1020770B1 (ko) 할인대상자를 위한 통행요금결제 단말기, 방법 및 지문정보저장 방법
KR102201615B1 (ko) 주차시스템
EP43254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arking service
WO2016054660A1 (en) Parking assignment system with laser rangefinder and parking meter
KR20230060562A (ko) 지능형 영상 분석 기반 스마트 주차 시스템
JP2000030097A (ja) 車両の入退場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