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0701A - 자동차용 흡음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흡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701A
KR20230060701A KR1020210145187A KR20210145187A KR20230060701A KR 20230060701 A KR20230060701 A KR 20230060701A KR 1020210145187 A KR1020210145187 A KR 1020210145187A KR 20210145187 A KR20210145187 A KR 20210145187A KR 20230060701 A KR20230060701 A KR 20230060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 absorbing
absorbing material
noise absorption
polyurethane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정종화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45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0701A/ko
Publication of KR20230060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두 장의 부직포 사이에 장착되는 폴리우레탄 폼 시트에 여러 개의 흡음 구멍을 관통 형성함으로써, 이 흡음 구멍을 통해 자동차용 흡음재의 중량이 늘어나지 않게 하면서도 흡음재의 흡음 성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특히, 각 흡음 구멍의 지름을 0.4~0.6㎜(가장 바람직하게는 0.5㎜)로 관통 형성하고, 이웃한 두 개의 흡음 구멍 사이의 간격이 8~12㎜(가장 바람직하게는 10㎜)가 되게 형성함으로써, 1,600㎐ 이상의 대역에서 흡음 성능을 더욱더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흡음재의 두께를 25~30㎜(가장 바람직하게는 27㎜)로 제작함으로써, 자동차의 흡음재로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흡음재에 대해서도 장착 공간에 방해를 받지 않고 쉽고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하면서도 흡음 성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흡음재{NOISE ABSORPTION MATERIAL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흡음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장의 부직포 사이에 삽입되는 폴리우레탄 폼 시트에 여러 개의 흡음 구멍을 관통 형성하되, 흡읍 구멍의 지름을 0.4~0.6㎜로 형성하고, 이웃한 두 개의 이웃한 흡음 구멍 사이의 간격을 8~12㎜로 형성함으로써, 1,600㎐ 이상의 대역에서 흡음 성능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흡음재는 기존과 같은 두께로 제작함에 따라 흡음 구멍의 형성으로 흡음재의 중량을 약간 줄이면서도 흡음 성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룸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자동차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 주행할 때 자동차 하부에서 발생한 소음 등이 자동차 실내로 유입하지 않도록 여러 곳에 흡음재가 장착된다. 이러한 흡음재는, [도 1]과 같이, 자동차에서도 후드 인슐레이션(B), 헤드라이너(H), 러기지 트레이(T) 트렁크 플로어(F) 등 다양한 곳에서 흡음재로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흡음재의 기재로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성형성과 제조가 쉽고 흡음 성능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 시트가 주로 사용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2140941호
폴리우레탄 흡음재를 발포 성형할 때 에어로겔 파우더를 첨가함으로써, 단열성과 경량화 소재로 잘 알려진 에어로겔을 통해 중량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폴리우레탄 흡음재 제조방법 및 그 폴리우레탄 흡음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에어로겔을 미리 폴리올에 혼합하여 마스터 배치 원액을 제조하고, 여기에 폴리올을 추가하여 농도를 조절한 다음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를 혼합하여 발포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에어로겔의 농도 조절을 쉽게 하면서도 분산 효과를 높여 균질한 흡차음 성능을 얻을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폴리우레탄 흡음재 제조방법 및 그 폴리우레탄 흡음재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797462호
자동차 흡음재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이를 이용한 자동차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바이오 폴리올 및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흡음재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제조방법으로 제공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바이오 폴리올 및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기존의 석유계 원료를 대체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인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음률과 강도가 기존의 석유계 폴리올 또는 석유계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동등 또는 우수하며, 환경친화적인 자동차용 흡음재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자동차 시트나 쿠션 시트 백 등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391915호
가격 경쟁력 및 제조가 간편하면서 기존 흡음재의 흡음력과 유사한 흡음력을 형성하되, 차량에 탈, 부착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필름을 적용한 조립형 차량용 흡음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작된 폴리우레탄 필름을 적용한 조립형 차량용 흡음재에 관한 것으로, 금형의 상, 하측 금형틀에 제1, 2 폴리우레탄 필름을 각각 고정하고, 하측 금형틀에 고정한 제2 폴리우레탄 필름 위에 액상의 우레탄 폼 액의 주입 및 상측 금형을 닫은 후, 열을 가하여 우레탄 폼 액을 발포시켜 제1, 2 폴리우레탄 필름 사이에서 우레탄 폼 액을 발포시켜 우레탄 폼의 상, 하측에 제1, 2 폴리우레탄 필름이 접착되어 있는 폴리우레탄 필름을 적용한 조립형 차량용 흡음재를 제조함으로써, 제1, 2 폴리우레탄 필름 사이에 우레탄 폼을 직접 발포 성형하여 소음의 흡음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커버에 탈, 부착 가능한 조립형태의 흡음재를 제공할 수 있고, 제1, 2 폴리우레탄에 의해 흡음재를 커버에 부착시 밀착성이 향상되어 소음의 흡음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두께를 얇게 형성하더라도 흡음력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경량화를 구현하여 가격 경쟁력이 향상되는 효과 및 우레탄 폼을 기반으로 제작되되 조립형으로 형성된 흡음재를 제공하여 이동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리우레탄 필름을 적용한 조립형 차량용 흡음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작된 폴리우레탄 필름을 적용한 조립형 차량용 흡음재를 제공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40941호 (등록일: 2020.07.29) 한국등록특허 제10-1797462호 (등록일: 2017.11.08) 한국등록특허 제10-1391915호 (등록일: 2014.04.28)
한편, 종래의 폴리우레탄 폼 시트를 기재(1)로 사용하는 기존의 흡음재는, [도 2]와 같이, 양쪽 면 중 적어도 한쪽 면에 부직포(2)를 부착하여 흡음재의 형상을 유지하게 하면서도 구조적 강성을 얻을 수 있게 제작된다. 하지만, 이처럼 폴리우레탄 폼 시트를 이용한 흡음재는 흡음 성능이 우수하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는 흡음재에 적용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자동차의 차종이나 흡음재가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요구되는 소음 특성이 달라진다. 이에, 달라진 소음 특성에 맞춰 흡음재의 두께, 즉 폴리우레탄 폼 시트의 두께가 두꺼워져야 한다.
(2) 이는, 흡음재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제조비용이 더 필요할 뿐만 아니라, 흡음재 전체의 중량이 많이 나가게 된다. 이에, 자동차 중량 증가로 자동차의 연비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3) 또한, 흡음재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만큼 흡음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흡음재가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서는 흡음재 두께를 쉽게 확장할 수 없는 영역이 생긴다.
(4) 이에, 흡음재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하게 마련하지 못할 때는 흡음재의 두께를 두껍게 제작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이러한 위치에 장착되는 흡음재는 흡음 성능이 떨어지게 되어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5)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폼 시트를 대신할 수 있는 다른 흡음재를 찾아야 한다.
(6) 또한, 이처럼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자동차에 적용했던 흡음재는 전기차나 하이브리드차에 그대로 적용하기가 어렵다. 이는, 내연기관 자동차와 모터를 이용하는 자동차는 동력발생방식이 다르므로 자동차가 주행할 때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이 달라 내연기관에 적용했던 흡음재를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두 장의 부직포 사이에 장착되는 폴리우레탄 폼 시트에 여러 개의 흡음 구멍을 관통 형성함으로써, 이 흡음 구멍을 통해 자동차용 흡음재의 중량이 늘어나지 않게 하면서도 흡음재의 흡음 성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흡음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흡음 구멍의 지름을 0.4~0.6㎜(가장 바람직하게는 0.5㎜)로 관통 형성하고, 이웃한 두 개의 흡음 구멍 사이의 간격이 8~12㎜(가장 바람직하게는 10㎜)가 되게 형성함으로써, 1,600㎐ 이상의 대역에서 흡음 성능을 더욱더 향상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흡음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흡음재의 두께를 25~30㎜(가장 바람직하게는 27㎜)로 제작함으로써, 자동차의 흡음재로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흡음재에 대해서도 장착 공간에 방해를 받지 않고 쉽고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하면서도 흡음 성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흡음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흡음재는, 폴리우레탄 폼 시트(10)의 양쪽 면 중 적어도 한쪽 면에 부직포(20)가 일체로 부착되어 이루어진 자동차용 흡음재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폼 시트(10)에는 한쪽 면 전체에 여러 개의 흡음 구멍(11)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흡음 구멍(11)은 지름(D)이 0.4~0.6㎜이고, 이웃한 두 개의 흡음 구멍(11) 사이의 간격(W)이 8~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흡음재는, 두께가 25~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흡음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두 장의 부직포 사이에 설치되는 폴리우레탄 폼 시트에서 한쪽 면 전체에 흡음 구멍을 관통하여 형성함으로써, 이 흡음 구멍을 통해 흡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2) 특히, 이처럼 폴리우레탄 폼 시트에 흡음 구멍을 관통하여 소음 성능을 개선하게 제작함으로, 흡음재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 이는, 자동차의 중량을 줄여 자동차 연비를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3) 또한, 상기 흡음 구멍은 그 지름을 0.4~0.6㎜(가장 바람직하게는 0.5㎜)로 관통 형성하고, 이웃한 두 개의 흡음 구멍 사이의 간격이 8~12㎜(가장 바람직하게는 10㎜)으로 형성함으로써, 1,600㎐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흡음 성능을 더욱더 향상할 수 있다.
(4) 그리고 상기 흡음재의 두께를 25~30㎜(가장 바람직하게는 27㎜)로 제작함으로써, 자동차의 차종이나 흡음재의 장착 위치에 상관없이 흡음재를 장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쉽게 설치하여 흡음 성능을 더욱더 높일 수 있다.
(5) 기존과 같은 방식으로 자동차용 흡음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폴리우레탄 폼 시트에 흡음 구멍을 관통 형성하여 흡음재를 제작함으로써, 제조공정이 늘어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흡음 성능은 더욱더 높일 수 있다.
(6) 한편, 이렇게 형성되는 흡음 구멍은 그 지름과 이웃한 두 개의 흡음 구멍 사이의 간격을 한정하고 있으나, 그 지름과 간격을 다르게 제작함에 따라 흡음 구멍을 통해 흡음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 달라지므로 본 발명에 따른 흡음재가 장착되는 위치에서 요구되는 흡음 성능에 맞춰 흡음 구멍을 관통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7) 따라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가 아닌 전기차나 하이브리드차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자동차용 흡음재가 장착된 위치를 보여주는 자동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두 장의 부직포 사이에 폴리우레탄 폼 시트가 삽입된 종래 흡음재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흡음재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폴리우레탄 폼 시트에서 부직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 구멍의 지름과 간격을 보여주려고 폴리우레탄 폼 시트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폴리우레탄 폼 시트에 흡음 구멍이 관통 형성된 자동차용 흡음재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흡음 구멍이 관통 형성된 실시예와 흡음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에 대해 주파수 변화에 따른 흡음 성능(Absoription Coefficient)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자동차용 흡음재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흡음재에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두 장의 부직포(20) 사이에 폴리우레탄 폼 시트(10)가 삽입되어 일체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폴리우레탄 폼 시트(10)에는 한쪽 면 전체에 여러 개의 흡음 구멍(11)이 관통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이들 흡음 구멍(11)을 통해 흡음 구멍(11)이 형성되지 않은 폴리우레탄 폼 시트(10)와는 다른 대역의 주파수를 흡음하여 흡음 성능을 향상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흡음 구멍(11)은 각각의 지름(D)을 0.4~0.6㎜(가장 바람직하게는 0.5㎜)로 관통 형성하고, 이웃한 두 개의 흡음 구멍 사이의 간격(W)을 8~12㎜(가장 바람직하게는 10㎜)으로 형성함으로써, 1,600㎐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흡음 성능을 더욱더 향상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음재는 그 두께를 25~30㎜(가장 바람직하게는 27㎜)로 제작함으로써, 자동차의 차종이나 흡음재의 장착 위치에 상관없이 흡음재를 장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쉽게 설치하여 흡음 성능을 더욱더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직포
부직포(2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두 장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그 사이에 후술할 폴리우레탄 폼 시트(10)가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부직포(20)와 폴리우레탄 폼 시트(10) 사이에는 핫멜트를 바르거나 핫멜트 필름 또는 접착 필름 등을 이용하여 열과 압력을 가해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여기서, 핫멜트는 열을 받아 용융되어 접착 후 다시 굳는 열가소성 수지로,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며, 이러한 핫멜트는 필름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핫멜트 필름에 통기 구멍이 관통 형성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직포(20)는 후술할 폴리우레탄 폼 시트(10)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게 하여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 폼 시트(10)가 쉽게 찢기지 않고 성형 후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부직포(20)는 기계 조작이나 열 또는 화학 약품을 이용하여 섬유를 접착하게 하거나 엉키게 하여 만든 통상의 기술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부직포(20)로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이루어진 부직포(20)는 두 장이 서로 마주하게 사용되며, 그 사이에 폴리우레탄 폼 시트(10)가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나. 폴리우레탄 폼 시트
폴리우레탄 폼 시트(10)는, [도 3]과 같이, 상술한 두 장의 부직포(20) 사이에 삽입하여 일체로 성형이 된다.
여기서, 상기 폴리우레탄 폼 시트(10)는 알코올기와 아이소사이안산기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우레탄결합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화합물로, 충격흡수력과 흡음 성능이 우수하여 자동차용 내장재 등에도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폼 시트(10)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흡음재로 사용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 시트(10)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여러 개의 흡음 구멍(11)이 관통 형성된다.
다. 흡음 구멍
흡음 구멍(11)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폴리우레탄 폼 시트(10) 면에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흡음 구멍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 시트의 실제 사진을 보여준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흡음 구멍(11)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술한 폴리우레탄 폼 시트(10) 면 전체에 걸쳐 여러 개를 관통 형성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폼 시트(10) 전체에 걸쳐 흡음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흡음 구멍(11)은, [도 4]와 같이, 각 흡음 구멍(11)의 지름(D)을 0.4~0.6㎜(가장 바람직하게는 0.5㎜)로 형성하고, 이웃한 두 개의 흡음 구멍(11) 사이의 간격(W)을 8~12㎜(가장 바람직하게는 10㎜)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파수 대역이 1,600㎐ 이상인 대역에서 흡음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흡음재는 폴리우레탄 폼 시트에 형성된 흡음 구멍을 통해 흡음 성능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흡음재는 그 전체 두께가 25~30㎜로 제작함으로써, 흡음재의 전체 두께가 너무 두껍게 제작되지 않게 하면서도 한정된 자동차의 장착 공간에 자동차용 흡음재를 쉽고 편리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라 흡음 구멍이 형성된 흡음재(실시예)와 흡음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흡음재(비교예)에 대해 주파수(Frequency) 변화에 따른 흡음 성능(Absorption Coefficient)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흡음 성능 비교)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한 흡음 성능 결과는, 아래의 [도 6]과 같이, 실시예의 흡음 성능을 보여주는 붉은 선 그래프가 비교예의 흡음 성능을 보여주는 검은선 그래프의 흡음 성능보다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흡음 구멍의 지름은 0.5㎜로, 흡음 구멍 사이의 간격은 10㎜로, 흡음재의 두께는 27㎜로 각각 제적하였다.
이처럼 이루어진 흡음 성능 결과, [도 6]과 같이, 실시예는 주파수가 1,600[㎐] 이상의 대역에서 더 효과적으로 흡음 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6]에서, 가로축은 주파수(Frequency[㎐])를 세로축은 흡음 성능(Absorption Coefficient)를, 붉은 선은 실시예의 흡음 성능을, 검은 선은 비교예의 흡음 성능을 각각 나타낸다.
10: 폴리우레탄 폼 시트
11: 흡음 구멍
20: 부직포

Claims (2)

  1. 폴리우레탄 폼 시트(10)의 양쪽 면 중 적어도 한쪽 면에 부직포(20)가 일체로 부착되어 이루어진 자동차용 흡음재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폼 시트(10)에는 한쪽 면 전체에 여러 개의 흡음 구멍(11)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흡음 구멍(11)은 지름(D)이 0.4~0.6㎜이고,
    이웃한 두 개의 흡음 구멍(11) 사이의 간격(W)이 8~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음재.
  2. 제1항에서,
    상기 흡음재는,
    두께가 2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음재.
KR1020210145187A 2021-10-28 2021-10-28 자동차용 흡음재 KR20230060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187A KR20230060701A (ko) 2021-10-28 2021-10-28 자동차용 흡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187A KR20230060701A (ko) 2021-10-28 2021-10-28 자동차용 흡음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701A true KR20230060701A (ko) 2023-05-08

Family

ID=86381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187A KR20230060701A (ko) 2021-10-28 2021-10-28 자동차용 흡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070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915B1 (ko) 2013-11-06 2014-05-07 (주)제이아이코리아 폴리 우레탄 필름을 적용한 조립형 차량용 흡음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작된 폴리 우레탄 필름을 적용한 조립형 차량용 흡음재
KR101797462B1 (ko) 2016-06-24 2017-11-16 덕양산업 주식회사 자동차 흡음재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흡음재
KR102140941B1 (ko) 2019-04-30 2020-08-05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폴리우레탄 흡음재 제조방법 및 그 폴리우레탄 흡음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915B1 (ko) 2013-11-06 2014-05-07 (주)제이아이코리아 폴리 우레탄 필름을 적용한 조립형 차량용 흡음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작된 폴리 우레탄 필름을 적용한 조립형 차량용 흡음재
KR101797462B1 (ko) 2016-06-24 2017-11-16 덕양산업 주식회사 자동차 흡음재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흡음재
KR102140941B1 (ko) 2019-04-30 2020-08-05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폴리우레탄 흡음재 제조방법 및 그 폴리우레탄 흡음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46799A1 (en) Sound attenuating/absorbing laminat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8695758B2 (en) Soundproof sheet for vehicle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ash silencer for vehicles using soundproof sheet
JPH01164643A (ja) 隔壁用吸音性防音材
US20140014438A1 (en) Automotive noise attenuating trim part
US20050142964A1 (en) Composite shod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8337975B2 (en) Vehicle panel
US20040216949A1 (en) Vehicle trim components with selectively applied foam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20080108250A (ko) 자동차용 경량 방음 커버의 개선된 제조 방법 및 그 커버
KR20170076255A (ko) 차량용 언더커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29309A (ko) 자동차의 인슐레이션용 폴리우레탄 폼 시트의 제조방법, 인슐레이션 제조방법 및 그 인슐레이션
JPWO2020084802A1 (ja) 自動車用遮音材
JP2011225150A (ja) 車両用天井内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60701A (ko) 자동차용 흡음재
US20230278507A1 (en) Sound absorption board for electric vehicle
JP6795992B2 (ja) 防音材
JP4439657B2 (ja) 振動遮断防音材
KR102403536B1 (ko) 차음성능이 우수하며 중량이 개선된 차량용 엔진룸 격벽
KR20190001960A (ko)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US2019029166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insulation for automobiles and insulation manufactured by the same
JP5819699B2 (ja) 車両用天井成形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01104U (ko) 자동차용 대쉬 패널의 대쉬 인슐레이션 패드
KR20230004980A (ko) 자동차용 엔진룸 흡·차음재
KR20190134128A (ko) 자동차용 경량 인슐레이션
KR102516518B1 (ko) 자동차용 대쉬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02744B1 (ko) 흡차음재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