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0529A - 강화된 비점착 음식의 처리 표면을 가진 물품 - Google Patents

강화된 비점착 음식의 처리 표면을 가진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529A
KR20230060529A KR1020237011205A KR20237011205A KR20230060529A KR 20230060529 A KR20230060529 A KR 20230060529A KR 1020237011205 A KR1020237011205 A KR 1020237011205A KR 20237011205 A KR20237011205 A KR 20237011205A KR 20230060529 A KR20230060529 A KR 20230060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ubstrate
network segments
microinches
mesh
cookw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1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탠리 킨 수이 쳉
추엔 칭 리
Original Assignee
마이어 인텔렉츄얼 프로퍼티즈 리미티드
스탠리 킨 수이 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어 인텔렉츄얼 프로퍼티즈 리미티드, 스탠리 킨 수이 쳉 filed Critical 마이어 인텔렉츄얼 프로퍼티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60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64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with transparent or protective c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인 조리기구 표면은 비점착 코팅 및 내장된 단단한 금속 메시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는 메시 내의 내부 영역들 사이의 비점착 코팅이 칼이나 다른 도구들에 의해 절단되거나 또는 마모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한다. 비점착 코팅은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160 마이크로인치 이상 그리고 289 마이크로인치 이하인 표면에 적용된다.

Description

강화된 비점착 음식의 처리 표면을 가진 물품
본 발명은 음식 처리 표면 및 냄비, 팬, 플래튼, 그리들, 그리고 그릴의 유도 가열 특징과 같은 조리기구 및 그 표면에 관한 것이다.
일부 음식들은 조리기구의 표면에 달라붙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그러한 음식을 준비할 때 가열된 조리기구 표면에서 특히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향에 대처하기 위해, 조리기구 물품은 종종 "비점착" 혹은 "쉽게 분리되는"이라고 불리는 조리기구 표면을 갖출 수 있다. 이러한 표면은 전형적으로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와 같은 플루오로카본을 포함하는 코팅된 금속 표면; 유리질 에나멜; 실리콘; 그리고 세라믹을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기구 물품은 베이스 기재층, 적어도 하나의 제 1 메시층, 그리고 비점착 코팅층을 포함한다. 베이스 기재층은 제 1 측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이스 표면을 가진다. 제 1 메시층은 제 1 베이스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 1 베이스 표면에 내장되며 그리고 이로부터 바깥 방향인 평면의 외부 제 1 메시층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들은 인접한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들 사이에 복수의 제 1 내부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비점착 코팅층은 인접한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들 사이에서 제 1 내부 영역들 내에서, 제 1 베이스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바깥 방향인 외부 제 1 메시 표면에 인접한 외부 비점착 코팅 표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외부 제 1 메시 표면은 바깥 방향으로 적어도 인접한 외부 비점착 코팅 표면까지 배치될 수 있다. 비점착 코팅층 아래의 베이스 기재층의 제 1 베이스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160 마이크로인치 초과 내지 289 마이크로인치 미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점착 코팅층 아래의 베이스 기재층의 제 1 베이스 표면의 일부는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180 마이크로인치 이상 내지 약 200 마이크로인치 미만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비점착 코팅층 아래의 베이스 기재층의 제 1 베이스 표면의 일부는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180 마이크로인치 이상 내지 200 마이크로인치 미만일 수 있다. 또한, 비점착 코팅층 아래의 베이스 기재층의 제 1 베이스 표면의 일부는 제 1 베이스 표면의 전체일 수 있다.
제 1 베이스 표면과 그 층들은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에서, 비점착 코팅층 아래의 베이스 기재층의 제 1 표면의 일부는 평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부 비점착 코팅 표면은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들 사이에서 산재된 복수의 분리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들은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그리고 복수의 제 1 내부 영역을 둘러쌀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재층은 알루미늄이고(또는 포함하고) 그리고 제 1 메시층은 스테인리스강인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들이다(또는 포함한다). 인접한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들은 평행사변형, 육각형, 또는 마름모꼴 중 하나의 제 1 내부 영역들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들은 육각형인 내부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특징을 이용하는 다양한 조리 기구 물품은 냄비, 팬, 트레이, 플래터, 플래튼, 그릴, 그리들 표면, 베이킹 트레이 또는 피자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기구 물품의 표면을 형성하는 방법은 금속 혹은 합금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재를 제공하는 단계, 금속 또는 합금인 적어도 하나의 평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를 160 마이크로인치 초과 내지 289 마이크로인치 미만으로 증가시키는 단계, 그리고 금속 또는 합금인 평면을 유기 비점착 물질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세그먼트들을 베이스 기재에 내장시키기 위해 코팅된 표면에 금속 혹은 합금을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메시를 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세그먼트들은 인접한 네트워크 세그먼트들 사이에 복수의 내부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세그먼트들은 또한 베이스 기재의 바깥 방향으로 적어도 비점착 물질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금속 또는 합금인 적어도 하나의 평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를 180 마이크로인치 이상 내지 약 200 마이크로인치 미만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금속 또는 합금인 그 적어도 하나의 평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를 180 마이크로인치 이상 내지 200 마이크로인치 미만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효과, 특징, 그리고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그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특히 기재 되어있다. 하지만, 구성 그리고 작동 방식 모두에 대해 여기에 기재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의 설명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A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 물품 표면의 상부의 개략적 단면 입면도이며, 도 1B는 그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 물품 표면의 상부의 개략적 단면 입면도이며, 도 2B는 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 물품 표면의 일부의 개략적 단면 입면도이다.
도 4A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 물품 표면의 단면 입면도이며, 도 4B는 조리 냄비로 형성된 도 4A의 조리기구 물품의 표면이다.
도 5는 조리기구 표면을 가지는 조리기구 물품을 제작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6은 조리기구 물품을 시험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7은 표면 거칠기의 바람직한 정도로 지시된 횟수의 테스트 주기 후 또 다른 조리기구 물품 표면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8A와 도 8B는 표면 거칠기가 더 큰 수준에 대해 지시된 횟수의 테스트 주기 후 조리기구 물품 표면의 현미경 사진이다.
비점착 혹은 쉽게 분리되는 조리 표면은 전형적으로 코팅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코팅의 내구성은 화학 반응, 미립자 강화, 복수의 층을 통해 강화될 수 있다. 하지만, 강화되었을 때에도, 비점착 혹은 쉽게 분리되는 코팅은 칼 그리고 원형 피자 커터와 같은 날카로운 도구들을 포함하여 조리기구 도구와 같은 단단한 도구나 다른 조리기구에 의해, 혹은 유사한 날카로운 기구로 쉽게 스크래치가 생기거나 베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내구성의 결여는 또한 두 물품의 코팅을 손상시킬 수 있는 조리기구 물품의 호환 사용을 제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사한 도면 부호가 다양한 도면에서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도 1A에서 8B에서, 일반적으로 물품 표면(100)으로 명명되는, 강화된 비점착 조리기구 물품 표면을 설명한다. 조리기구 물품 표면(100)은 하나 이상의 기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구 물품 표면(100)은 냄비, 팬, 플래튼, 그리들, 그릴, 조리도구 등과 같은 임의의 조리기구 물품에 내장될 수 있다. 표면(100)은 사용자가 비점착 마감재를 손상시키지 않고, 물품 표면(100)상에서 음식을 절단하고 썰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표면(100)은 냄비, 팬, 플래튼, 그리들, 그릴 등과 같은 조리기구 물품을 위해 절단 방지 비점착 구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표면(100)으로 언급되었으나, 표면(100)의 층상 기재는 벽의 두께를 통해 벽, 조리기구 물품의 확장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조리기구 물품의 확장부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기재상에 추가로 적층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건대, 조리기구 물품 표면(100)은 베이스 기재층(11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재층(110)은 전형적으로 금속과 같은 열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재층(110)은 연질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혹은 이들의 합금과 같은 가단성 금속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재(110)는 알루미늄이다.
조리기구 물품 표면(100)은 또한 기재층(110)의 표면(111)의 적어도 일부 위에 배치되는 메시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층(120)이 배치되는 표면(111)의 일부는 전형적으로 평면일 것이다. 그러므로, 메시층(120)은 표면(111)의 평면인 표면 부분 위에 배치될 것이다. 메시층(120)은 베이스 기재 표면(111) 위에 일반적으로 평면인 외부 메시 표면(122)을 함께 정의하기 위해 이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기재층(110)의 표면(111)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를 포함한다. 메시층(120)을 따라 인접한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는 복수의 내부 영역(123)을 정의할 수 있다. 내부 영역(123)은 아래에 더 자세히 설명되는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내부 영역(123)은 일관된 크기, 형상, 그리고 배열을 포함하도록 패턴화될 수 있다.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는 내부 영역(123)을 둘러싸도록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내부 영역(123)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기 위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메시층(120)은 베이스 기재층(110)의 표면(111)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111)과 접촉하는 네트워크 세그먼트(121)의 내부에 위치된 부분은 베이스 기재층(110)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조리기구 물품 표면(100)은 또한 내부 영역(123) 내의 인접한 네트워크 세그먼트들 사이의 베이스 기재층(110)의 표면(111)의 일부를 코팅하는 비점착 코팅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점착 코팅층(130)은 베이스 기재층(110)의 바깥 방향으로 평면 외부 메시 표면(122)에 인접한 외부 비점착 코팅 표면(132)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비점착 코팅층(130)은 메시층(120)과 함께, 외부 메시 표면(122) 영역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외부 비점착 코팅 표면(132) 영역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 세그먼트(121) 사이에 산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외부 비점착 코팅 표면(132)은 분리 또는 상호 연결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메시층(120)은 내부 영역(123)을 둘러싸도록 배열된 베이스 기재층(110)의 표면(111)의 평면인 부분 위에 위치한 복수의 상호 연결된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비점착 코팅층(130)의 분리 부분은 거기에 배치하게 된다.
내부 영역(123)은 바람직하게는 약 0.8 mm 내지 약 2 mm 사이에서 간격 또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더 작은 치수 또는 더 큰 치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더 작거나 큰 너비의 치수 또한 사용될 수 있지만, 내부 영역(123) 사이의 네트워크 세그먼트(121)의 너비는 바람직하게는 약 0.3 mm 내지 약 0.5 mm일 수 있다. 네트워크 세그먼트(12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조리기구 표면(100)에 대해 수직으로 약 0.5 mm 내지 약 1 mm일 수 있고; 하지만 더 작거나 또는 더 큰 두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더 작거나 더 큰 두께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베이스 기재층(110)은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3 mm 내지 4 mm일 수 있다.
베이스 기재층(110)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따라 비점착 코팅층(130)으로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미국 특허는 물질의 구성과 조리기구 용기에 유기계 및 비점착 코팅을 도포하는 방법에 대해 교시한다. 여기에는 Vassiliou의 미국 특허 번호 3,986,993(1976년 10월 19일 발행); Vary 등의 미국 특허 번호 4,118,537.(1978년 10월 3일 발행); Wilkinson의 미국 특허 번호 4,321,177(1982년 3월 23일 발행); Patel의 미국 특허 번호 5,691,067(1997년 10월 25일 발행) 및 Bate 등의 미국 특허 번호 6,133,359.(발행일 2000년 10월 17일)가 포함되며, 이들 모두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비점착 코팅층(130)은 전형적으로 유리,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타늄, 탄화규소 등과 같은 보강 충전재와 함께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FEP(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PFA(퍼플루오로알콕시) 및 그 조합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저표면 에너지 중합체 수지를 함유할 수 있고, 특히 불소화 수지 또는 불소화 실리콘 수지, 그리고 실리콘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더 연성이더라도 노출된 외부 표면이 화학적으로 더 불활성이고 물과 기름에 견딜 수 있도록 다양한 조성물로 다층 코팅으로 증착될 수 있다. 비점착 코팅층(130)은 또한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에테르 설폰(PES) 또는 실리콘 그리고 가능하게는 또한 안료와 같은 하나 이상의 결합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메시층(120)은 강제로 베이스 기재층(110)에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기재층(110)의 표면(111)은 비점착 코팅층(130)으로 코팅될 수 있고, 그리고 메시층(120)은 노출된 비점착 코팅층(130)에 대항하여 힘을 받을 수 있다. 메시층(120)이 베이스 기재층(110)에 강제로 내장됨에 따라, 비점착 코팅층(130)을 관통하고 그 다음에 메시층(120)의 네트워크 세그먼트들(121) 사이의 내부 영역(123) 내에서 노출된다. 내장 공정은 결과적으로 평면 외부 메시 표면(122)이 외부 표면을 따라 내부 영역(123) 내에 위치한 외부 비점착 코팅 표면(132)보다 낮지 않게 위치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부 메시 표면(122)은 외부 비점착 코팅 표면(132)과 거의 수평을 이룬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메시 표면(122)은 0 mm 내지 약 0.01 mm 사이, 또는 약 0.01 mm 내지 약 0.1 mm 사이와 같이 비점착 코팅 표면(132)을 넘어 연장될 수 있다.
메시층(120)은 바람직하게는, 비점착 코팅층(130)의 유기 비점착 코팅 물질과 베이스 기재층(110)의 베이스 물질보다 단단한, 그 합금을 포함하여, 금속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로 이루어진 메시층(120)은, 스테인리스강 네트워크 세그먼트(121)가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 및 비점착 코팅 기재보다 단단하므로, 비점착 코팅층(130) 다음에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에 쉽게 내장될 수 있다. 비점착 코팅 외부 표면(132)을 넘어 연장되거나 또는 수평을 이루는 평면 외부 메시 표면(122)은, 날카로운 강철 공구 표면과 같이 단단한 표면이 내부 영역(123)내에 비점착 코팅(130)으로 파고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차폐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시층(120)은 베이스 기재층(110)의 베이스 기재(예를 들어, 금속)보다 단단한 임의의 다른 물질(예를 들어, 임의의 다른 금속)일 수 있다.
도 2A와 도 2B는 베이스 기재층(110), 메시층(120), 그리고 비점착 코팅층(130)을 포함하는 조리기구 물품 표면(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층(110, 120, 130)은 도 1A 및 도 1B와 관련하여 기술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시층(120)의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는 다양한 형상의 내부 영역(123)을 정의하기 위해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영역(123)은 육각형 형상,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또는 직사각형, 평행사변형, 또는 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다른 형상은 아치형, 기하학적, 비기하학적, 규칙적 또는 비규칙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는 마름모 또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영역(123)을 정의할 수 있다. 소개된 바와 같이, 내부 영역(123)은 일관된 또는 비일관된 크기, 형상 그리고 배열을 포함하기 위해 조리기구 물품 표면(100)을 따라 패턴화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는 다양한 형상, 크기 혹은 둘 모두인 내부 영역(123)을 정의한다.
메시층(120)은 캐스팅, 성형, 조립, 시트로부터 물질을 제거하는 것과 같은 물질 제거 기술, 또는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를 형성하기 위한 다른 적절한 제조 기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도 2A에 도시된 메시층(120)의 네트워크 세그먼트(121)의 배열은 별도의 슬릿 열을 금속 시트에 도입한 다음 시트를 확장하여 각 슬릿이 개방되어 인접한 세그먼트(121)가 내부 영역(123)을 정의하는 연결된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를 형성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조리기구 물품은 조리기구 물품 표면(100)을 포함한다. 조리기구 물품 표면(100)은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냄비, 팬, 트레이, 플레터, 플래튼, 그릴, 또는 그리들 표면의 임의의 일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기구 물품 표면(100)은 메시층(120)이 메잘루나(mezzaluna), 혹은 원형 피자 커팅 휠과 같은 칼날로 부터 외부 비점착 표면(132)을 보호하는 베이킹 트레이 또는 피자팬의 비점착 표면의 일부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조리기구 물품 표면(100)은 메시층(120, 120')가 배치되는 다중 표면(111, 111')을 가지는 베이스 기재층(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베이스 기재층(110)은 표면(111, 111')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비점착 코팅층(130)으로 코팅될 수 있다. 비점착 코팅층(130)을 포함하는 표면(111, 111')은 전형적으로 사용하는 동안 음식을 접촉하도록 의도되거나 또는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의지인 표면(111, 111')일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 조리기구 물품 표면(100)은 베이스 기재층(110), 제 1 및 제 2 메시층(120, 120'), 그리고 비점착 코팅층(130)을 포함하는데, 제 1 메시층(120)과 비점착 코팅층(130)은 베이스 기재층(110)의 제 1 표면(111)상에 배치되며 그리고 제 2 메시층(120')은 일반적으로 제 1 표면(111)에 대향하는 베이스 기재층(110)의 제 2 표면(111') 상에 배치된다. 제 1 메시층(120)은 제 1 표면(111)에 내장되며 제 1 외부 메시 표면(122)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를 포함한다. 비점착 코팅층(130)은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121)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 영역(123)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제 1 표면(111)으로부터 바깥으로 도 1A-2B와 관련하여 기술한 것과 유사한 배열로 복수의 외부 비점착 코팅 표면(132)까지 연장된다.
제 2 메시층(120')은 제 2 표면(111')에 내장되며 그리고 일반적으로 평면인 제 2 외부 메시 표면(122')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를 포함한다.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는 내부에 베이스 기재층(110)의 제 2 표면(111')이 노출되어 외부 베이스 기재 표면(112)을 형성하는 인접한 세그먼트들(121') 사이에 내부 영역(123')을 정의하도록 배열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재층(110)은, 비록 더 작거나 큰 두께가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3 mm 내지 4 mm 두께일 수 있다. 베이스 기재층(110)은 조리기구 물품 표면(100)의 확장부의 두께를 가로질러 그리고 관통하여 동일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베이스 기재층이 제 1 및 제 2 표면(111, 111') 모두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기재층(110)은 다중의 베이스 기재층(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메시층(120')의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는 베이스 기재층(110)에 제 1 메시층(120)의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121) 보다 더 깊이 내장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는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와 동일한 깊이 또는 보다 깊이 내장될 수 있다. 제 2 외부 메시 표면(122')은 외부 베이스 기재 표면(112)보다 낮지 않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 2 외부 메시 표면(122')은 제 2 표면(111')을 따라 외부 베이스 기재 표면 너머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외부 베이스 기재 표면(112)은 또한 제 2 외부 메시 표면(122)과 수평일 수 있다.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두께는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121)의 두께와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의 두께는 조리기구 물품 표면(100)에 수직으로 약 0.5 mm 내지 약 1 mm 사이일 수 있지만, 더 작거나 더 큰 두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큰 두께를 가지는 제 1 또는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 121')가 견고함과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는 내부 영역(123')을 둘러싸도록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부분적으로 내부 영역(123')을 둘러싸기 위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유사하게, 외부 베이스 기재 표면(112)은 상호 연결되거나 또는 별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베이스 기재 표면(112)은 상호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들(121')사이의 각 내부 영역(123') 내에 분리 표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메시층(120')의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는 제 1 메시층(120)의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121)와 유사한 너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예를 들어, 내부 영역(123')사이의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의 너비는 바람직하게는 약 0.3 mm 내지 약 0.5 mm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는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보다 더 크거나 더 작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는 적용 가능한 경우, 유도 용량 또는 그에 따른 구조적 견고함과 내구성을 증대시키도록 0.5 mm보다 더 큰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는 평행사변형, 마름모, 육각형, 아치형, 기하학적, 비기하학적,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형상과 같은 임의의 형상을 갖는 내부 영역(123')을 정의할 수 있다.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는 또한 형상, 크기, 또는 배열상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121)에 의해 정의되는 유사하거나 다른 형상, 크기, 또는 배열을 가지는 내부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는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121)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 영역(123)과 비슷한 직경을 가지는 내부 영역(123')을 정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예를 들어, 내부 영역(123)은 약 0.8 mm 내지 약 2 mm 사이의 간격이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는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121)에 의해 정의되는 인테리어 영역(123) 보다 더 작거나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내부 영역(123')을 정의한다.
외부 베이스 기재 표면(112)은 크기, 형상 또는 위치에 있어서 외부 비점착 코팅 표면(132)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베이스 기재 표면(112)은 하나 이상의 크기, 형상, 또는 위치와 관련하여 외부 비점착 코팅 표면(132)에 대응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메시층(120') 그리고 이의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는 복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제 1 메시층(120)과 관련하여 기재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는 제 2 표면(111')을 따라 단단한 금속 혹은 합금과 같은, 베이스 기재보다 더 단단한 물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는 스테인리스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2 메시층(120')은 유도 가열 특징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은 강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메시층(120')은 제 1 외부 표면(122/132)의 유도 가열을 위해 자성 스테인리스강을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팬(도 4B)을 포함하는 조리기구 물품 10을 이용하는 조리기구 물품 표면(100) 및 조리기구 물품 표면(100)을 도시한다. 조리기구 물품 표면(100)은 도 3과 관련하여 기술한 조리기구 물품 표면(100)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구 물품 표면(100)은 베이스 기재층(110), 제 1 및 제 2 메시층(120, 120'), 그리고 비점착 코팅층(130)을 포함하는데, 제 1 메시층(120)과 비점착 코팅층(130)은 베이스 기재층(110)의 제 1 표면(111) 상에 배치되며 그리고 제 2 메시층(120')은, 일반적으로 제 1 표면(111)에 대향하는 베이스 기재층(110')의 제 2 표면(111') 상에 배치된다. 제 1 메시층(120)은 제 1 표면(111)에 내장되며 그리고 제 1 외부 메시 표면(122)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를 포함한다. 비점착 코팅층(130)은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121)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 영역(123) 내에 배치되며 도 1A 내지 2B와 관련하여 기술한 것과 유사한 배열로 제 1 표면(111)으로부터 바깥으로 복수의 외부 비점착 코팅 표면(132)까지 연장된다. 제 2 메시층(120')은 제 2 표면(111')에 내장되며 그리고 일반적으로 평평한 제 2 외부 메시 표면(122')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를 포함한다.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는 내부에 베이스 기재층(120)의 제 2 표면(111')이 노출되어 외부 베이스 기재 표면(112)를 형성하도록 인접한 세그먼트(121') 사이에 내부 영역(123')을 정의하도록 배열된다.
팬의 밑면을 따라 배치된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는 바람직하게는 외부 표면(122, 132)의 유도 가열을 위한 자성 스테인리스강이다. 제 1 및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 121')는 임의의 형상인 내부 영역(123, 123')을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121), 제 2 네트워크 세그먼트(121'), 또는 둘 다는 약 0.8 mm 내지 약 2 mm 사이의 간격 또는 직경인 육각형, 평행사변형, 직사각형, 또는 마름모 형상의 내부 영역(123, 123')을 정의할 수 있다. 내부 영역(123, 123') 사이의 네트워크 세그먼트(121, 121')의 너비는 바람직하게는 약 0.3 mm 내지 약 0.5 mm 일 수 있다. 네트워크 세그먼트(121, 121')의 두께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조리기구 물품 표면(100)에 수직으로 약 0.5 mm 내지 약 1 mm 사이일 수 있다. 베이스 기재층(110)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 mm 내지 4 mm일 수 있다. 제 2 표면(111')을 따라 베이스 기재층(110)은 도 1A 내지 3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유사한 베이스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표면(111')을 따라 베이스 기재층(110)은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구 물품(10)의 그릇 형상은 제 1 메시층(120), 제 2 메시층(120), 또는 둘 다를 내장시키기 전이나 또는 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세그먼트(121, 121')은 냄비 또는 팬이 형성될 때 내장될 수 있다. 측면(104, 104')은 평면 조리기구 표면(100)을 둘러싼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내부 또는 외부 측면(104, 104')은 메시층(120, 120'), 비점착층(130), 또는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부 측면(104)은 비점착층을 포함한다. 조리기구 물품(10)은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 세그먼트(121, 121')를 유기 비점착 기재가 적어도 하나의 표면(111, 111')에 코팅된 후 베이스 기재층(110)의 각각의 표면(111, 111')에 내장시킴으로서 만들어 질 수 있다. 네트워크 세그먼트(121, 121')는 우선 비점착 코팅층(130)을 관통할 것이지만, 이후 나이프, 메잘루나, 절단 휠, 주걱 등과 같은 절단 도구로부터 보호 장벽을 형성한다.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비슷하게 구성된 반대 표면을 가질 수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들 또한 도 3 내지 도 4B와 관련하여 기술한 것과 유사한 베이스 기재의 내부영역 사이에 위치한 메시가 내장된 베이스 기재를 포함하는 반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는 베이스 기재층 위에 적층된 비점착 물질과 베이스 기재에 내장되고 다른 표면을 따라 베이스 기재층(110), 메시층(120), 그리고 비점착층(130)과 유사한 방식으로 배열된 메시층을 포함하는 반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반대 표면을 따라 외부 메시 표면은 외부 베이스 표면 또는 외부 비점착 표면 너머 바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반대 표면을 따라 외부 베이스 표면은 메시 표면 부분과 수평이거나 또는 이를 너머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표면(111')은 베이스 기재 위에 보호층 또는 코팅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제 1 메시층(120)을 비점착 코팅층(130)에 내장시켜 조리기구 물품(100)에 부착하는 개선된 공정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정은 베이스 기재층(110)의 표면(111)이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160 마이크로인치 초과 그리고 289 마이크로인치 미만,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Ra가 180 마이크로인치 이상 내지 약 200 마이크로인치 미만 (예를 들어, 200 마이크로인치 +/-5 마이크로인치)으로 거칠어지는 조면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Ra 범위는 예기치 못하게 표면(111)과 비점착 코팅층(130) 사이에 더 큰 접착력을 유발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 놀라운 발견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도 5 내지 8과 관련하여 후술된다.
도 5는 제 1 메시층(120)을 비점착 코팅층(130)에 내장시킴에 의해 조리기구 물품(100)에 부착하는 개선된 공정에 대한 공정 단계의 일 예이다. 도 5의 제 1 단계(510)는 알루미늄 또는 다른 금속 몸체와 같은 조리기구 몸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다음 단계(520)는 비점착 코팅층을 단계(530)에서 거기에 적층하기 전에 조리기구 몸체의 내부 표면(111)을 조면하는 것이다. 조리기구 몸체의 내부 표면(111)의 임의의 부분이 조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구 몸체의 전체 내부 표면(111)이 조면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비점착 코팅층과 접촉하는 내부 표면(111)의 일부만 조면될 수 있다.
거칠기는 본래 표면(111)의 마모, 또는 본질적으로 거친 층을 형성하는 추가 층(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금속이나, 또는 아크 스프레이 세라믹 입자의 추가와 같은)의 추가와 같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하지만, 후속 단계(550)는 조리기구 물품의 내부 표면(111)을 관통하도록 비점착 코팅층(130)에 메시(120)를 내장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면화 단계는 그릿(Grit) 입자로 연마 블라스팅과 같은 연마 방법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부 표면(111)의 경도를 메시(120)의 그러한 관통을 방해하는 정도로 증가시키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 조면화 단계와 관련하여 추가 내용은 아래에서 논의된다.
조면화 단계 이후, 비점착 코팅은 우선 단계(530)에서 증착되고 그 후(540) 단계에서 경화된다. 비점착 코팅이 빈번히 다른 조성의 2 ~ 3 개의 서브 레이어를 이용하므로, 경화 단계는 가열에 의한 것과 같이 액체 몸체 또는 용액이 증발에 의해 제거된 후 각 서브 레이어가 용액 및/또는 슬러리로 증착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경화는 또한 비점착 코팅의 층 또는 서브 레이어 내에 유기 그리고 무기 구성성분의 소결 및/또는 화학적 결합과 접착을 촉진시키는 가열 단계를 지칭할 수 있다.
단계(550)에서, 메시(120)가 비점착 코팅층(130)을 통해 관통하고 그리고 표면(111)에 더 관통하도록 충분한 정도의 힘이 메시(120)(예, 메시(120)의 상면)에 가해진다. 이는 메시(120)가 표면(111)에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메시(120)의 상면은 비점착 코팅층(130)의 상면과 수평(또는 약간 위)이어야 한다.
도 5의 조면화 단계(520) 관련하여, 일단 표면(111) 상에 최소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달성되면, 비점착 코팅층(130)(그리고 그 서브 레이어들)은 통상적인 소비자가 사용하기에 충분한 접착력 및 내구성을 갖는다는 것이 전통적으로 이해되어 왔다. 전술한 바와 같이, Ra는 산술 평균 거칠기(즉, 평가 길이 내에 기록된 평균선으로부터 프로파일 높이 편차의 절대값의 산술 평균)를 의미한다. Ra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는 ASME B46.1(2020)에 추가로 기술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Ra는 다음의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L = 평가 길이(evaluation length)
Z(x) = 프로파일 높이 함수(the profile height function)
일부 실시예에서, Ra는 조면계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Ra는 ASME B46.1(2020)에서 기술되는 임의의 장치 및/또는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알루미늄 표면에 대해, 충분한 접착력과 내구성을 위해 최소 산술 평균 거칠기 Ra는 최소한 약 150 내지 160 마이크로인치인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또한, 최소 산술 평균 거칠기를 더 증가시키는 것은 (즉, 150 내지 160 마이크로인치로 증가시키는 것) 관찰 가능한 성능에 어떠한 변화 없이 접착력을(비점착 코팅층(130)과 표면(111) 사이에) 향상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게다가 알루미늄 표면에 대해 이러한 최소 산술 평균 거칠기 Ra를 달성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60 #그릿으로 알루미늄 표면을 Ra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그릿 블라스트하는 것이라고 또한 전통적으로 이해되어 왔다.
이러한 전통적인 사고를 테스트하기 위해, Ra가 최소한 약 150 내지 160 마이크로인치로 거칠어진 표면(111) 상에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조리기구에 대한 초기 관찰은 비점착 코팅(130)이 표면(111)에 적합하게 접착되는 것으로 보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초기 관찰은 미관상 결함 또는 기능적 결함(예, 비점착 코팅(130)이 메시(120) 또는 표면(111)으로부터 박리되거나 탈결합하는)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제품 메시(120)와 비점착 코팅(130)의 접착력과 온전성이 연장된 사용에서 남아 있기에 최소한 약 150 내지 160 마이크로인치의 Ra가 충분하다는 이러한 전통적인 사고를 더 테스트하기 위해 조리기구로 조리 및 세척에 대해 연장된 주기로 추가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이 테스트는 (1) 규칙적인 순서로 일련의 음식을 조리하는 것, 그리고 (2) 조리기구 표면을 다음 조리 주기 전에 세척하는 반복하는 주기를 수반한다. 매 5회차 조리 주기 이후, 조리기구는 식기세척기에서 세제로 세척되었다. 식기세척기 세척 외에, 모든 다른 조리 주기 사이에 조리기구는 손으로 세척되었다.
80회 조리 주기로 구성되는 하나의 완전한 테스트는 다음과 같다:
주기 1 내지 20: 올리브 오일 없이 계란이 250°C에서 조리되었고, 각 면이 조리된 후 계란을 뒤집음(총 20회의 조리 주기 동안 계란 20개를 사용).
주기 21 내지 40: 계란이 250°C에서 올리브 오일 일 테이블 스푼으로 조리되었고, 각 면이 조리된 후 계란을 뒤집음(총 20회의 추가 주기동안 계란 20개를 사용).
주기 41 내지 60: 스테이크의 제 1 면이 250°C에서 올리브 오일 일 테이블 스푼으로 조리되었고, 그 다음 추가적인 올리브 오일 없이 스테이크의 제 2 면이 조리됨(총 20회의 추가 주기 동안 스테이크 20개 사용).
주기 61 내지 80: 치킨 날개가 추가적인 올리브 오일 없이 간장으로 250°C에서 조리됨(20회의 추가 주기 동안 20개의 치킨 날개를 사용하였고, 한 주기는 각 치킨 날개의 양 면을 요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80회의 조리 주기 후, 도 6의 공정 흐름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Ra가 약 150 내지 160 마이크로인치인 표면(111)을 가지는 조리기구 물품 표면(100)은 미관상 그리고 기능적 결함에 대해 점검되었다. 이러한 테스트 조건을 통해 비점착 코팅(130)은 메시(120)와의 계면에 인접한 조면된 표면(111)으로부터 결합 해제될 것이라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합 해제는 또한 비점착 코팅(130)의 일부 얼룩을 제거하는 결과가 된다. 즉, 약 150 내지 160 마이크로인치의 Ra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추가로, 표면(111)의 Ra를 289 마이크로인치로 증가시키는 것은 도 8의 현미경 사진에서 보여지는 것과 유사한 결함을 가져온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표면(111)의 Ra를 371 내지 378 마이크로인치 범위로 증가시키는 것은 도 8B의 현미경 사진에서 보여지는 것과 유사한 결함을 가져왔다. 즉, 테스트를 통해 전통적인 사고가 틀렸다는 것이 드러났다.
하지만, 놀랍게도 표면(111)을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160 마이크로인치 초과 내지 289 마이크로인치 미만, 더 구체적으로 Ra를 180 마이크로인치 이상 내지 약 200 마이크로인치 미만(즉, 200 마이크로인치 +/- 5 마이크로인치)으로 조면하는 것이 예기치 않게 표면(111)과 비점착 코팅층(130) 사이에 더 큰 접착력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예를 들어, 도 6의 조리 및 세척 의례는 160 마이크로인치 초과 내지 289 마이크로인치 미만, 더 구체적으로는 Ra가 180 마이크로인치 내지 약 200 마이크로인치 미만인 중위 범위로, 얼룩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결합 해제와 비점착 코팅(130)의 손실 없이 최소한 160 주기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는 도 7에 나타나 있다.
게다가, 조면 수준의 이 범위는 #60 그릿과 대조적으로, 더 거친 블라스팅 그릿, 즉 #30 또는 #35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는 것 또한 발견되었다. 도 5 공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계 520에서 알루미늄 조리기구 몸체의 내부 표면(111)을 #30 그리고 #35를 중량비율 1:3으로 혼합하여 조면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는 다양한 비제한적 그리고 비포괄적 실시예 및/또는 예를 참조하여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대체, 변형, 또는 개시된 실시예 및/또는 예(혹은 그 일부)의 임의의 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 기술에 통상의 기술을 가지는 사람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가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은 추가적인 실시예 및/또는 예들을 지지하는 것으로 고려되고 이해된다.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예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비제한적 그리고 비포괄적 실시예 및/또는 예의 개시된 단계, 구성, 요소, 특징, 양태, 특성, 제한 등을 조합, 변형, 또는 재구성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출원인은 본 명세서에 다양하게 기재된 특징들을 추가하기 위해 절차 기간 동안 청구항을 수정할 권리를 보유한다.

Claims (18)

  1. a. 제 1 측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이스 표면을 갖는 베이스 기재층;
    b. 상기 제 1 베이스 표면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메시층, 상기 제 1 메시층은 상기 제1 베이스 표면에 매립되며, 이로부터 바깥 방향인 평면의 외부 제 1 메시 표면까지 연장되며, 그리고 인접한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들 사이에서 복수의 제 1 내부 영역을 정의하는 복수의 상기 제1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그리고
    c. 상기 인접한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 사이의 상기 제1내부 영역 내에서, 상기 제1베이스 표면 상에 배치되며, 이로부터 바깥 방향인 상기 외부 제1 메시 표면과 인접하는 외부 비점착 코팅 표면까지 연장되는 비점착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제1 메시 표면은 바깥방향으로 적어도 상기 인접한 외부 비점착 코팅 표면까지 배치되며, 상기 비점착 코팅층 아래의 베이스 기재층의 상기 제1베이스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160 마이크로인치 초과 내지 289 마이크로인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점착 코팅층 아래의 베이스 기재층의 상기 제 1 베이스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180 마이크로인치 이상 내지 약 200 마이크로인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물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점착 코팅층 아래의 상기 베이스 기재층의 상기 제 1 베이스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180 마이크로인치 이상 내지 200 마이크로인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물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점착 코팅층 아래의 베이스 기재층의 상기 제 1 베이스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물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점착 코팅층 아래의 베이스 기재층의 상기 제 1 베이스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베이스 표면 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물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비점착 코팅 표면은 상기 제1네트워크 세그먼트들 사이에서 산재된 복수의 분리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물품.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들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 1 내부영역들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물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재층은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메시층은 스테인리스강인 상기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물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 물품은 냄비, 팬, 트레이, 플래터, 플래튼, 그릴, 그리들 표면, 베이킹 트레이 또는 피자 팬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물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들은 평행사변형, 육각형, 또는 마름모꼴 중 하나의 상기 제 1 내부영역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물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제 1 네트워크 세그먼트들은 육각형의 내부 영역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물품.
  12. 조리기구 물품의 표면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금속 혹은 합금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재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금속 혹은 합금인 적어도 하나의 평면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를 160 마이크로인치 초과 내지 289 마이크로인치 미만으로 증가시키는 단계;
    (c) 상기 금속 혹은 합금의 거칠어진 평면을 유기 비점착 물질로 코팅하는 단계; 및
    (d) 네트워크 세그먼트들을 상기 베이스 기재에 매립시키기 위해 코팅된 표면에 상기 금속 혹은 합금을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세그먼트로 구성된 메시를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세그먼트들은 인접한 네트워크 세그먼트들 사이에서 복수의 내부 영역을 정의하고,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세그먼트들은 상기 베이스 기재의 바깥 방향을 향해 상기 비점착 물질까지 적어도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물품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혹은 합금의 적어도 하나의 평면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를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금속이나 합금의 적어도 하나의 평면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가 180 마이크로인치 이상 내지 약 200 마이크로인치 미만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물품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혹은 합금의 적어도 하나의 평면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를 증가시키는 단계는 금속이나 합금의 적어도 하나의 평면 표면의 거칠기(Ra)를 180 마이크로인치 이상 내지 200마이크로인치 미만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물품의 제조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재는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메시는 복수의 스테인리스강 네트워크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물품의 제조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 물품은 냄비, 팬, 트레이, 플래터, 플래튼, 그릴, 그리들 표면, 베이킹 트레이 또는 피자 팬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물품의 제조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네트워크 세그먼트들은 평행사변형, 육각형, 또는 마름모 중 하나의 내부 영역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물품의 제조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네트워크 세그먼트들은 육각형 내부 영역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237011205A 2020-10-13 2021-10-13 강화된 비점착 음식의 처리 표면을 가진 물품 KR202300605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069,055 2020-10-13
US17/069,055 US20220110475A1 (en) 2020-10-13 2020-10-13 Article with reinforced nonstick food preparation surface
PCT/US2021/054768 WO2022081698A1 (en) 2020-10-13 2021-10-13 Article with reinforced nonstick food preparation surf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529A true KR20230060529A (ko) 2023-05-04

Family

ID=81079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205A KR20230060529A (ko) 2020-10-13 2021-10-13 강화된 비점착 음식의 처리 표면을 가진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10475A1 (ko)
KR (1) KR20230060529A (ko)
CN (1) CN117083001A (ko)
TW (2) TWI818329B (ko)
WO (1) WO20220816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10475A1 (en) * 2020-10-13 2022-04-14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Article with reinforced nonstick food preparation surface
CN217471702U (zh) * 2022-02-28 2022-09-23 宁波市金象厨具有限公司 一种具有良好导热性的搪瓷复底锅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7846A (en) * 1992-12-23 1997-09-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oller coating to make post-formable non-stick smooth substrates
US6846570B2 (en) * 2000-08-17 2005-01-25 Whitford Corporation Multiple coat non-stick coating system and articles coated with same
CN1236912C (zh) * 2000-08-17 2006-01-18 华福涂料公司 多涂层无粘性涂料层系和采用此方法涂敷的制品
US6793093B2 (en) * 2001-11-30 2004-09-21 Tung-Hung Tsai Anti-stick cookware with cookware body formed by spinning
US8697195B2 (en) * 2006-01-30 2014-04-1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forming a protective coating with enhanced adhesion between layers
WO2007123353A1 (en) * 2006-04-24 2007-11-01 Jung-Suk Jung Frying pan having stainless steel plate
FR2945428B1 (fr) * 2009-05-15 2011-06-10 Seb Sa Article culinaire comportant une base dure en un materiau ceramique et/ou metallique et/ou polymere et un revetement antiadhesif a base de resine fluorocarbonee.
US20140004311A1 (en) * 2012-06-29 2014-01-02 Pt Maspion Cookware Surface and Method for Forming Cookware Surface
FR3025995B1 (fr) * 2014-09-23 2017-02-17 Seb Sa Recipient de cuisson comportant une face interieure en acier inoxydable partiellement revetue, et procede d'obtention
MX2018010271A (es) * 2016-02-25 2019-03-28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Articulo con superficie de preparacion de alimentos antiadherente reforzada.
US20220110475A1 (en) * 2020-10-13 2022-04-14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Article with reinforced nonstick food preparation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083001A (zh) 2023-11-17
WO2022081698A1 (en) 2022-04-21
TWI818329B (zh) 2023-10-11
TWM631677U (zh) 2022-09-11
US20220110475A1 (en) 2022-04-14
TW202220599A (zh) 202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6155B2 (en) Article with reinforced nonstick food preparation surface
JP6779128B2 (ja) ノンスティッククッキングコンテナ
TWI818329B (zh) 具有強化不黏食物製備表面的製品及製造所述表面的方法
US20120305568A1 (en) Cooking vessel with nonstick coating
KR101324031B1 (ko) 조리기구 내부표면의 코팅방법
WO2014001858A1 (en) Cookware surface and method for forming cookware surface
EP0580557A1 (en) A process for realizing a non-stick covering on a metallic or other underlayer, in the manufacture of kitchenware for cooking foods and the product thus obtained
US20100276432A1 (en) Non-stick cookware
CN111481048B (zh) 易清洁烹饪用具
JP3148424U (ja) 内底面に粗面が形成された金属製調理器
EP2960017A1 (en) Method of treating a surface of a utensil
JP3180057U (ja) 調理器具
AU2021309909B2 (en) Cookware for searing
KR100977667B1 (ko) 조리용구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JPS6284715A (ja) 粘着防止層を有する菓子調理器具の層状化法と菓子調理器具
JP2003135280A (ja) 調理用鍋